KR102567550B1 - 종이 블록 놀이 기구 - Google Patents

종이 블록 놀이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7550B1
KR102567550B1 KR1020210021902A KR20210021902A KR102567550B1 KR 102567550 B1 KR102567550 B1 KR 102567550B1 KR 1020210021902 A KR1020210021902 A KR 1020210021902A KR 20210021902 A KR20210021902 A KR 20210021902A KR 102567550 B1 KR102567550 B1 KR 1025675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body
unit block
delete delete
present
desig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19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18139A (ko
Inventor
오경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스럽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스럽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스럽션
Priority to KR10202100219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7550B1/ko
Publication of KR202201181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81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75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75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046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comprising magnetic interaction means, e.g. holding together by magnetic attrac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16Models made by folding pap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1/00Teaching hand-writing, shorthand, drawing, or painting
    • G09B11/10Teaching painting

Abstract

본 발명은 종이 블록 놀이 기구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각각 정사각형의 제1면 내지 제6면이 이어진 전개도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개도가 접히면서 정육면체를 형성하는 단위 블록체; 및 미리 정해진 형상의 그림이 도안으로 그려지고 상기 도안에 대응하여 상기 단위 블록체가 적어도 하나 이상 놓여지는 매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유아 또는 어린이들이라도 제작이 쉬우므로 제작을 통해 공간지각능력, 창의력 및 집중력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대량으로 생산이 가능하고 재활용이 가능하며, 버려지더라도 환경오염을 예방할 수 있다. 다른 또한 본 발명은, 유아 또는 어린이로 하여금 교육과정에서 배우는 지식을 놀이를 통해 선행으로 학습할 수 있고, 교육 및 학습에 대한 거부감을 미리 희석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종이 블록 놀이 기구 { PAPER BLOCK PLAYING APPARATUS }
본 발명은 놀이 기구에 관한 것으로, 종이 블록 놀이 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아 또는 어린이들은 놀이를 통해 사회에 대한 지식과 사회성 등을 배우며, 이를 위해 다양한 놀이 기구가 개발된 바 있다.
상기 놀이 기구로써 다양한 형태의 블록이 있다. 블록은 사면체부터 다면체까지 매우 다양한 형태를 가지며, 유아 또는 어린이들은 이러한 다양한 형태를 적재적소에 배치하여 여러가지 놀이를 실행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블록을 통해 건축물의 형태를 만들 수 있고, 자동차나 탱크와 같은 구동체의 형태를 만들 수 있다. 즉, 유아 또는 어린이들은 평면적인 놀이에서 탈피하여 입체적인 놀이를 통해 공간지각능력을 강화시킬 수 있다.
하지만, 상기 블록 놀이 기구는 대부분 합성수지를 재료로 제조되고 있어 독성물질이 포함될 수 있고, 버려지는 경우 잘 썩지 않아 환경오염의 문제가 있다.
근래에 들어 합성수지의 대체제로 친환경 소재인 나무를 재료로 블럭을 제조하고 있으나 개별적으로 블록 형태로 깎아 형성하므로 형틀에 넣어 대량생산가능한 합성수지에 비해 고가이고 가공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내구성은 합성수지나 나무보다 떨어지지만, 보다 가공이 쉽고 제작비가 저렴하며 사용 후 버려지더라도 잘 썩어 친환경적인 종이를 이용한 블록이 개발되고 유행한 바 있다.
한편, 페이퍼 토이나 페이퍼 크래프트는 역사적 인물이나 고대 유적과 건축물, 그리고 곤충과 같은 각종 생물의 형태를 종이를 이용하여 제작가능하게 함으로써, 아동들의 교육 및 학습 효과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하지만, 페이퍼 토이나 페이퍼 크래프트는 단순히 인형과 같은 역할을 하므로 제작하는 과정에서 공간지각능력 및 창의력을 향상시킬 수는 있으나, 제작과정을 제외하면 인형놀이에 한정되므로 다양한 교육적인 학습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등록특허공보 제10-1358638호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유아 또는 어린이로 하여금 쉬운 제작방법을 통해 대상물을 제작함으로써 공간지각능력, 창의력, 집중력의 향상시킬 수 있는 종이 블록 놀이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대량으로 생산이 가능하고 재활용이 가능하며, 버려지더라도 환경오염을 예방할 수 있는 종이 놀이 블럭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유아 또는 어린이로 하여금 교육과정에서 배우는 지식을 놀이를 통해 선행으로 학습할 수 있고, 교육 및 학습에 대한 거부감을 미리 희석시킬 수 있는 종이 놀이 블럭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종이 블록 놀이 기구는, 각각 정사각형의 제1면 내지 제6면이 이어진 전개도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개도가 접히면서 정육면체를 형성하는 단위 블록체; 및 미리 정해진 형상의 그림이 도안으로 그려지고 상기 도안에 대응하여 상기 단위 블록체가 적어도 하나 이상 놓여지는 매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종이 블록 놀이 기구에 있어서, 상기 단위 블록체는, 상기 전개도로 펼쳐진 경우 상기 제1 내지 제6면 중 서로 이어지지 않는 불연장변 중 어느 일부에 외부로 돌출되고, 접혔을 때 정육면체 형상을 유지하도록 결속력을 강화하는 날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종이 블록 놀이 기구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는 상기 제1 내지 제6면 중 어느 하나와 어느 한 변을 공유하여 이어지고, 상기 날개부는 상기 변의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된 절개부; 및 상기 전개도가 접힐 경우 상기 공유된 변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여 마주하는 변에 형성되는 결속강화편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결속강화편부에는 상기 절개부에 삽입되는 보조 날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종이 블록 놀이 기구에 있어서, 상기 보조 날개는, 상기 절개부보다 길게 형성되고 상기 절개부에 삽입된 후 상기 절개부보다 큰 길이로 인해 걸림으로써 이탈을 방지하는 보조 날개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종이 블록 놀이 기구에 있어서, 상기 단위 블록체는 상기 전개도가 접힐 경우 외부공간과 마주하는 상기 제1 내지 제6면의 외면에 형성되어 색칠가능하도록 그려진 도안이 그려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종이 블록 놀이 기구에 있어서, 상기 단위 블록체는, 상기 전개도가 접힐 경우 형성된 내부공간과 마주하는 상기 제1 내지 제6면의 내면 중앙에 마련되는 자력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자력체는 서로 마주보는 내면 각각에 서로 다른 극이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종이 블록 놀이 기구에 있어서, 상기 자력체는 고무자석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종이 블록 놀이 기구에 있어서, 상기 단위 블록체는, 상기 제1 내지 제6면에 상기 제1 내지 제6면보다 작은 닮은 꼴로 형성된 메인면; 및 상기 메인면의 주변에 형성되고 상기 메인면이 외부 또는 내부를 향하여 볼록하거나 오목하도록 경사를 형성하는 경사면;을 포함하고,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가압함으로써 외면 또는 내면이 볼록 또는 오목하게 가변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종이 블록 놀이 기구에 있어서, 상기 매트는, 상기 도안에 형성되고, 상기 단위 블록체가 미끄러져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적층되는 미끄럼 방지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종이 블록 놀이 기구에 있어서, 상기 매트는, 직각삼각형 도안 및 상기 직각삼각형의 각 변에 접하는 3개의 정사각형 도안을 포함하고, 복수 개의 상기 단위 블록체는 상기 정사각형 도안 위에 배치되며, 상기 직각삼각형 도안 위에 배치되는 직각삼각형 형상의 중심 블록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종이 블록 놀이 기구에 있어서, 상기 매트는, 상기 도안의 형상에 따라 상기 도안의 테두리에 형성되어 상기 단위 블록체의 이탈을 방지하는 울타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종이 블록 놀이 기구에 있어서, 상기 울타리는 복수 개가 준비되고, 상기 복수 개의 울타리는 양측단부에 각각 바닥과 수직방향으로 일부가 절개된 절개공;을 포함하고, 일단이 어느 한 울타리의 절개공에 삽입되고, 타단이 상기 어느 한 울타리와 이웃하는 울타리의 절개공에 삽입됨으로써 복수 개의 울타리를 연결하는 연결편;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종이 블록 놀이 기구에 의하면, 유아 또는 어린이들이라도 제작이 쉬우므로 제작을 통해 공간지각능력, 창의력 및 집중력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종이 블록 놀이 기구에 의하면, 대량으로 생산이 가능하고 재활용이 가능하며, 버려지더라도 환경오염을 예방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종이 블록 놀이 기구에 의하면, 유아 또는 어린이로 하여금 교육과정에서 배우는 지식을 놀이를 통해 선행으로 학습할 수 있고, 교육 및 학습에 대한 거부감을 미리 희석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종이 블록 놀이 기구에 있어서, 단위 블록체와 매트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종이 블록 놀이 기구에 있어서, 중심 블록체와 단위 블록체의 구성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종이 블록 놀이 기구에 있어서, 단위 블록체의 전개도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4의 (a)는 도 3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위 블록체의 전개도이다.
도 4의 (b)는 도 4의 (a)가 조립된 모습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4의 (c)는 도 4의 (a)의 변형예에 따른 단위 블록체의 전개도이다.
도 5의 (a)는 도 3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위 블록체의 전개도이다.
도 5의 (b)는 도 5의 (a)가 조립된 모습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6의 (a)는 도 3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위 블록체의 전개도이다.
도 6의 (b)는 도 6의 (a)가 단위 블록체가 조립되어 한 쌍의 단위 블록체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7의 (a)는 도 3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위 블록체의 전개도이다.
도 7의 (b)는 도 7의 (a)의 단위 블록체가 조립된 모습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7의 (c)는 도 7의 (a)의 어느 한 면을 측방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종이 블록 놀이 기구에 있어서, 매트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9의 (a)는 도 8의 연결부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의 (b)는 도 9의 (a)의 분리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종이 블록 놀이 기구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종이 블록 놀이 기구에 있어서, 단위 블록체와 매트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종이 블록 놀이 기구는 단위 블록체(100)와 매트(10)를 포함할 수 있다.
단위 블록체(100)는 제1 내지 제6면(A, B, C, D, E, F)을 포함하는 정육면체일 수 있다. 단위 블록체(100)는 전개도로 이루어지고, 사용자에 의해 전개도가 접히면서 정육면체를 형성할 수 있다.
매트(10)는 미리 정해진 형상의 그림이 도안(11)으로 그려질 수 있다. 매트(10)에 그려진 도안(11)에는 단위 블록체(100)가 적어도 하나 이상 놓여져 채워질 수 있다. 예컨대, 도 1에는 피타고라스의 정리를 유클리트 기하학으로 나타낸 도안(11)이 나타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본 발명을 통한 종이 블록 놀이를 진행하면서도 피타고라스 정리를 이해할 수 있어 학습효과를 증진시키는 교육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한편, 매트(10)는 도안(11)에 배치되는 단위 블록체(100)의 미끄러짐 또는 날림을 방지하기 위해 접착력이 약한 접착제가 도포된 상태일 수 있다. 예컨대, 제품으로서 매트(10)가 출하될 때 매트(10)에는 접착제가 도포되고 접착제에 의한 접착층을 보호하기 위해 이형지(미도시)가 매트(10)의 상부에 부착된 상태일 수 있다. 즉, 매트(10)는 미끄럼 방지층(12)을 포함할 수 있다.
단위 블록체(100)와 매트(10)는 종이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종이 블록 놀이 기구에 있어서, 중심 블록체와 단위 블록체의 구성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매트(10)에 도시된 직각삼각형 형상의 도안 위에 직각삼각형의 형상을 가지는 중심 블록체(200)가 배치되고, 직각삼각형의 각 변에 대응하는 위치에 복수 개의 단위 블록체(100)가 결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단위 블록체가 중심 블록체(200)의 각 변에 결합되어 각 변마다 연장된 매트(100)의 정사각형(a, b, c) 형태를 모두 채우는 경우, 직각삼각형의 빗변에 대응하는 정사각형(c)에 위치한 단위 블록체(100)의 개수는 직각삼각형의 나머지 두 변에 대응하는 정사각형(a, b)에 위치한 단위 블록체(100)의 합과 같게 된다. 이러한 놀이 과정을 통해 피타고라스의 정리(c2=a2+b2)를 자연스럽게 습득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종이 블록 놀이 기구에 있어서, 단위 블록체의 전개도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3은 단위 블록체(100)가 정육면체를 형성했을 때의 내면을 바라보도록 도시되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날개부(1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정육면체 형상으로 접힌 단위 블록체(100)는 정육면체의 형상을 유지하기 위한 결속력을 강화하도록 날개부(110)가 마련될 수 있다.
도 3과 같이 단위 블록체(100)가 전개도로 펼쳐진 경우, 제1면 내지 제4면(A, B, C, D) 사이와 제3면과 제5면(C, E) 또는 제3면과 제6면(C, F) 사이의 연장변(111)을 포함할 수 있고, 제1 내지 제6면이 상호 연장되지 않는 부분의 불연장변(112)를 포함할 수 있다. 덧붙여서, 도 3 이외의 방법으로 단위 블록체(100)의 전개도가 마련되는 경우에는 연장변(111) 및 불연장변(112)의 위치는 변경될 수 있다. 예컨대, 제5면(E)과 제6면(F)은 일렬로 형성된 제1 내지 제4면(A, B, C, D)중 일렬의 길이방향의 양단을 제외하고 상측변에 어느 하나, 하측변에 다른 하나가 배치될 수 있다. 즉,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5면(E)은 제1면(A)의 상측변에 배치되고, 제6면(F)은 제2면(B)의 하측변에 배치될 수 있으며, 특별히 어느 하나로 한정하지 않는다.
날개부(110)는 단위 블록체(100)가 전개도로 펼쳐진 경우에 제1 내지 제6면(A, B, C, D, E, F) 중 서로 이어지지 않는 불연장변(112) 중 어느 일부에 외부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참고로, 날개부(110)는 단위 블록체(100)가 접혀져 정육면체를 이루는 경우, 제1 내지 제6면(A, B, C, D, E, F)이 접히면서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될 때 주변의 제1 내지 제6면(A, B, C, D, E, F)과 간섭되지 않도록 모따기된 형태일 수 있다.
도 4의 (a)는 도 2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위 블록체의 전개도이고, 도 4의 (b)는 도 4의 (a)가 조립된 모습을 나타낸 개념도이며, 도 4의 (c)는 도 4의 (a)의 변형예에 따른 단위 블록체의 전개도이다. 도 4의 (a)와 (c)는 단위 블록체(100')가 정육면체를 형성했을 때의 내면을 바라보도록 도시되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절개부(120)와 결속강화편부(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절개부(120)는 날개부(110)에 형성될 수 있다. 즉, 날개부(110)는 제1 내지 제6면(A, B, C, D, E, F) 중 어느 하나와 어느 한 변을 공유하여 이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고, 절개부(120)는 날개부(110)에 상기 변의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될 수 있다. 이때, 절개부(120)의 일측은 상기 변을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절개부(120)는 날개부(110)가 이어진 어느 한 변으로부터 날개부(110)의 돌출방향을 따라 폭이 형성되고, 상기 어느 한 변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이가 형성될 수 있다.
결속강화편부(130)는 단위 블록체(100)의 전개도가 접힐 경우, 상기 공유된 변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여 마주하는 변에 형성될 수 있다. 결속강화편부(130)는 보조 날개(131)를 포함할 수 있다. 즉, 결속강화편부(130)는 일부가 접힘가능한 보조 날개(131)를 포함하고, 접혀진 보조 날개(131)는 단위 블록체(100)의 전개도가 정육면체로 접힐 경우, 마주하도록 대응되는 날개부(110)에 형성된 절개부(120)에 삽입될 수 있다. 보조 날개(131)가 절개부(120)에 삽입되면서 날개부(110) 하나만으로 정육면체를 이루는 단위 블록체의 결속력은 더욱 강화될 수 있다.
도 4의 (c)를 참조하면, 결속강화편부(130)는 보조 날개(132)를 포함할 수 있고, 보조 날개(132)는 보조 날개턱(132a)을 가질 수 있다.
보조 날개턱(132a)은 절개부(131)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보조 날개턱(132a)의 길이를 특별히 한정하지 않지만, 보조 날개턱(132a)는 절개부(131)보다 1 ∼ 2㎜ 더 긴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보조 날개(132)가 우그러지며 절개부(131)를 관통하여 정육면체의 단위 블록체(100') 내부공간으로 삽입되고, 보조 날개(132)가 상기 내부공간에서 다시 펼쳐질 때, 절개부(131)의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된 보조 날개턱(132a)이 제1 내지 제6면의 내면에 걸려 외부로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도 5의 (a)는 도 2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위 블록체의 전개도이고, 도 5의 (b)는 도 5의 (a)가 조립된 모습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5의 (a)는 단위 블록체(100")가 정육면체를 형성했을 때의 외면을 바라보도록 도시되었다.
도 5를 참조하면, 단위 블록체(100")는 전개도가 접힐 경우 외부공간과 마주하는 제1 내지 제6면(A, B, C, D, E, F)의 외면에 형성되어 색칠가능하도록 그려진 도안(140)이 그려질 수 있다. 도 5에서는 도안(140)으로 캐릭터를 도시하였지만, 도안(140)은 캐릭터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도안(140)이 마련될 수 있으며, 6면 모두 또는 6면 중 일부를 동일한 도안(140)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안(14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놀이 기구로써 사용시 색채를 입힘으로써 미술에 대한 교육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도안(140)의 형태를 통해 해당 단위 블록체(100")와 다른 단위 블록체(100")의 동일성 및 개별성을 구분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6의 (a)는 도 2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위 블록체의 전개도이고, 도 6의 (b)는 도 6의 (a)가 단위 블록체가 조립되어 한 쌍의 단위 블록체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6의 (a)는 단위 블록체(100"')가 정육면체를 형성했을 때의 내면을 바라보도록 도시되었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자력체(150)를 포함할 수 있다. 자력체(150)는 단위 블록체(100"')가 정육면체를 이룰시 내측공간에 위치하도록 제1 내지 제6면(A, B, C, D, E, F)의 내면 중앙에 배치될 수 있다.
자력체(150)는 서로 마주보는 내면 각각에 서로 다른 극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력체(150)는 서로 다른 극이 마주함으로써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단위 블록체(100)는 서로 자력으로 인해 결합될 수 있고,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참고로 자력체(150)는 고무자석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의 (a)는 도 2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위 블록체의 전개도이고, 도 7의 (b)는 도 7의 (a)의 단위 블록체가 조립된 모습을 나타낸 개념도이며, 도 7의 (c)는 도 7의 (a)의 어느 한 면을 측방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7의 (a)는 단위 블록체(100"")가 조립되었을 때의 내면을 바라보도록 도시되었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단위 블록체(100"")의 제1 내지 제6면(A, B, C, D, E, F)이 메인면(160)과 경사면(170)을 포함하는 울퉁불퉁한 형태일 수 있다.
메인면(160)은 제1 내지 제6면(A, B, C, D, E, F)에 형성될 수 있다. 메인면(160)은 제1 내지 제6면(A, B, C, D, E, F)보다 작은 닮은 꼴로 형성될 수 있다. 메인면(160)은 제1 내지 제6면(A, B, C, D, E, F)의 각각의 중앙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메인면(160)이 제1 내지 제6면(A, B, C, D, E, F)의 각 변으로부터의 가장 가까운 거리가 동일하게 배치될 수 있다.
경사면(170)은 메인면(160) 주변에 형성될 수 있다. 경사면(170)은 경사를 형성하며 메인면(160)이 외부 또는 내부를 향하여 볼록하거나 오목하게 할 수 있다. 메인면(160)의 주변에 배치되는 경사면(170)은 모두 동일한 형태 및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즉, 메인면(160)과 경사면(170)을 포함하는 단위 블록체(100"")는 육면체로 조립될 때, 제1 내지 제6면(A, B, C, D, E, F) 중 어느 면은 볼록하고 다른 면은 오목할 수 있다. 일례로, 도 7의 (b)를 참조하면, 어느 한 단위 블록체(100"")의 일면은 외부를 향하여 오목하고 다른 단위 블록체(100"")의 일면은 외부를 향하여 볼록하며, 상기 오목한 일면과 상기 볼록한 일면이 서로 마주하며 접면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복수 개의 단위 블록체(100"")는 상호 볼록한 부분이 오목한 부분에 삽입되는 형태로 결합될 수 있고, 이로써 이동이 제한될 수 있으며 매트(10) 상에서 보다 안정적인 배치가 가능하다.
한편, 도 7의 (c)를 참조하면, 제1 내지 제6면(A, B, C, D, E, F) 중 일면은 사용자의 가압방향에 따라 볼록과 오목의 방향이 바뀔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어느 한 단위 블록체(100"")의 일면과 다른 단위 블록체의 일면이 서로 접면시키려는 경우, 어느 한 단위 블록체(100"")의 일면과 다른 단위 블록체의 일면이 서로 동일하게 볼록하거나 오목하다면, 사용자는 접면하고자 하는 면 중 어느 하나를 반대 방향으로 가압하여 볼록 또는 오목 상태를 변경할 수 있다. 이때, 가압 방향은 외부 또는 내부로 볼록한 면으로부터 외부 또는 내부로 오목한 면을 향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종이 블록 놀이 기구에 있어서, 매트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9의 (a)는 도 7의 연결부분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9의 (b)는 도 9의 (a)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울타리(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매트(10)는 도안(11)의 형상에 따라 도안(11)의 테두리에 형성된 울타리(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울타리(13)는 매트(10)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단위 블록체(10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고, 사용자는 울타리(13) 내측으로 그려진 도안(11)에 단위 블록체(100)를 복수 개 배치가능하다. 이는 도 2에서 설명하는 중심 블록체(200)와 단위 블록체(100)의 배치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울타리(13)는 복수 개가 준비될 수 있다. 즉, 도안(11)의 테두리는 직선 또는 곡선을 이룰 수 있고, 테두리를 따라 전체적으로 연장되지 않으며 부분적인 연장되어 복수 개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울타리(13)는 복수 개가 마련되고, 울타리(13)를 조립하기 전까지는 매트(10)에 눕혀진 상태일 수 있다. 만약, 울타리(13)가 도안(11)의 테두리 전체를 연장하여 형성된 것이라면, 매트(10)의 상방으로 돌출된 울타리(13)에 의해 부피가 늘어나고 보관이 어려워질 것이다. 따라서, 매트(10)에 눕혀진 상태의 울타리(13)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매트(10)로부터 세우는 것이 보관에 있어서 더욱 효율적이다.
울타리(13)는 절개공(14)이 형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울타리(13)는 양측단부에 각각 바닥과 수직방향으로 일부가 절개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울타리(13)는 후술하는 연결편(15)에 의해 상호 연결될 수 있고, 도안(11)의 테두리를 감쌀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연결편(15)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편(15)은 일단이 어느 한 울타리(13)의 절개공(14)에 삽입되고, 타단이 상기 어느 한 울타리(13)와 이웃하는 울타리(13)의 절개공(14)에 삽입됨으로써 복수 개의 울타리를 연결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종이 블록 놀이 기구를 실시하기 위한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 : 매트 11 : 도안
12 : 미끄럼 방지층 13 : 울타리
14 : 절개공 15 : 연결편
100, 100', 100" ,100"', 100"" : 단위 블록체
110 : 날개부 111 : 연장변
112 : 불연장변 120 : 절개부
130 : 결속강화편부 131, 132: 보조 날개
131a : 보조 날개턱 140 : 캐릭터 도안
150 : 자력체 160 : 메인면
170 : 경사면 200 : 중심 블록체

Claims (12)

  1. 각각 정사각형의 제1면 내지 제6면이 이어진 전개도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개도가 접히면서 정육면체를 형성하며, 상기 전개도가 접힐 경우 외부공간과 마주하는 상기 제1 내지 제6면의 외면에 형성되어 색칠가능하도록 그려진 도안이 그려지고,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가압함으로써 외면 또는 내면이 볼록 또는 오목하게 가변가능한 단위 블록체; 및
    미리 정해진 형상의 그림이 도안으로 그려지고 상기 도안에 대응하여 상기 단위 블록체가 적어도 하나 이상 놓여지는 매트;
    를 포함하고,
    상기 단위 블록체는,
    상기 제1 내지 제6면에 상기 제1 내지 제6면보다 작은 닮은 꼴로 형성된 메인면;
    상기 메인면의 주변에 형성되고 상기 메인면이 외부 또는 내부를 향하여 볼록하거나 오목하도록 경사를 형성하는 경사면;
    상기 전개도로 펼쳐진 경우 상기 제1 내지 제6면 중 서로 이어지지 않는 불연장변 중 어느 일부에 외부로 돌출되고, 접혔을 때 정육면체 형상을 유지하도록 결속력을 강화하는 날개부;
    상기 제1 내지 제6면 중 어느 하나와 어느 한 변을 공유하여 이어지고, 상기 날개부는 상기 변의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된 절개부;
    상기 전개도가 접힐 경우 상기 공유된 변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여 마주하는 변에 형성되고, 상기 절개부보다 길게 형성되고 상기 절개부에 삽입된 후 상기 절개부보다 큰 길이로 인해 걸림으로써 이탈을 방지하는 보조 날개턱을 포함하여 상기 절개부에 삽입되는 보조 날개를 포함하는 결속강화편부; 및
    상기 전개도가 접힐 경우 형성된 내부공간과 마주하는 상기 제1 내지 제6면의 내면 중앙에 마련되고, 서로 마주보는 내면 각각에 서로 다른 극이 배치되는 고무자석인 자력체;
    를 포함하며,
    상기 매트는,
    상기 단위 블록체의 미끄러짐 또는 날림을 방지하기 위해 접착제가 상기 도안에 도포되어 적층된 미끄럼 방지층; 및
    상기 도안의 형상에 따라 상기 도안의 테두리에 형성되어 상기 단위 블록체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복수 개가 준비되고, 양측단부에 각각 바닥과 수직방향으로 일부가 절개된 절개공이 형성되며, 일단이 어느 한 울타리의 절개공에 삽입되고 타단이 상기 어느 한 울타리와 이웃하는 울타리의 절개공에 삽입됨으로써 복수 개의 울타리를 연결하는 연결편을 포함하는 울타리;
    를 포함하고,
    직각삼각형 도안 및 상기 직각삼각형의 각 변에 접하는 3개의 정사각형 도안을 포함하며,
    복수 개의 상기 단위 블록체는 상기 정사각형 도안 위에 배치되고,
    상기 직각삼각형 도안 위에 배치되는 직각삼각형 형상의 중심 블록체;
    를 더 포함하는 종이 블록 놀이 기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210021902A 2021-02-18 2021-02-18 종이 블록 놀이 기구 KR1025675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1902A KR102567550B1 (ko) 2021-02-18 2021-02-18 종이 블록 놀이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1902A KR102567550B1 (ko) 2021-02-18 2021-02-18 종이 블록 놀이 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8139A KR20220118139A (ko) 2022-08-25
KR102567550B1 true KR102567550B1 (ko) 2023-08-16

Family

ID=831114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1902A KR102567550B1 (ko) 2021-02-18 2021-02-18 종이 블록 놀이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755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89033B2 (ja) * 1996-03-14 2001-07-16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輌用灯具
JP2008054777A (ja) * 2006-08-29 2008-03-13 Yanoman:Kk ジグソーパズルの組立マット兼保管用ホルダー
JP2011010785A (ja) * 2009-07-01 2011-01-20 Masayuki Fukaya シート製オブジェおよびシート製ブロック遊具
JP3210117U (ja) * 2017-02-13 2017-04-27 株式会社嶋田紙器製作所 絵合わせパズル組立用キット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8966U (ja) * 1992-04-09 1994-02-04 瀧夫 小野 「三平方の定理」学習教材
KR101358638B1 (ko) * 2012-01-31 2014-02-05 이종구 어린이 놀이용 조립식 큐브블럭
KR101898623B1 (ko) * 2016-11-10 2018-09-13 주식회사 브레인숲 종이 완구블록
KR20200094860A (ko) * 2019-01-30 2020-08-10 고명애 정다면체 전개도 모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89033B2 (ja) * 1996-03-14 2001-07-16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輌用灯具
JP2008054777A (ja) * 2006-08-29 2008-03-13 Yanoman:Kk ジグソーパズルの組立マット兼保管用ホルダー
JP2011010785A (ja) * 2009-07-01 2011-01-20 Masayuki Fukaya シート製オブジェおよびシート製ブロック遊具
JP3210117U (ja) * 2017-02-13 2017-04-27 株式会社嶋田紙器製作所 絵合わせパズル組立用キッ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8139A (ko) 2022-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14572Y1 (ko) 덮개와 패널이 설치되는 자석블럭 완구
KR20100087087A (ko) 조립 완구
WO2007021090A1 (en) Wooden block set
US5405135A (en) Block puzzle
KR102567550B1 (ko) 종이 블록 놀이 기구
KR200406231Y1 (ko) 종이 패널을 이용한 조립식 입체 구조물
KR102519226B1 (ko) 조립식 블록완구 소자
KR101565092B1 (ko) 입체공간 채우기 교육용 완구
KR200495487Y1 (ko) 놀이용 이음블럭
CN114173892B (zh) 具有磁吸性的积木玩具以及行走路线的设计图
KR200380938Y1 (ko) 유희용 완구의 입체패널
KR100796186B1 (ko) 라인 트레이스 로봇용 트랙
KR200427056Y1 (ko) 데코 패널
US4892484A (en) Interconnecting toy
KR20100024177A (ko) 조립식 교육ㆍ완구용 판재세트
KR200496173Y1 (ko) 입체 블록 형성용 놀이완구
TWI571295B (zh) 壓縮可回彈之變形玩偶及其板材
KR101410674B1 (ko) 일체형 조립식 완구 블럭 세트
JP6882586B1 (ja) 玩具
KR200249756Y1 (ko) 적목식 완구
CN214075060U (zh) 一种积木玩具
KR200230954Y1 (ko) 입체형 조립식 블록
KR102026835B1 (ko) 매쓰 큐브 교구
KR200250896Y1 (ko) 구형 조립식 완구
KR200401686Y1 (ko) 다용도 딱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