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6173Y1 - 입체 블록 형성용 놀이완구 - Google Patents

입체 블록 형성용 놀이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6173Y1
KR200496173Y1 KR2020200002108U KR20200002108U KR200496173Y1 KR 200496173 Y1 KR200496173 Y1 KR 200496173Y1 KR 2020200002108 U KR2020200002108 U KR 2020200002108U KR 20200002108 U KR20200002108 U KR 20200002108U KR 200496173 Y1 KR200496173 Y1 KR 20049617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k
perforated plate
block
insertion hole
shaped perfor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210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2896U (ko
Inventor
김지한
Original Assignee
진주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주아 filed Critical 진주아
Priority to KR202020000210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6173Y1/ko
Publication of KR2021000289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289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617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617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10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by means of additional non-adhesive elements
    • A63H33/108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by means of additional non-adhesive elements with ho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10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by means of additional non-adhesive elements
    • A63H33/102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by means of additional non-adhesive elements using elastic deforma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10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by means of additional non-adhesive elements
    • A63H33/12Perforated strips or the like assembled by rods, bolt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3/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ornamental structures
    • B44C3/12Uniting ornamental elements to structures, e.g. mosaic pl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6Natural ornaments; Imitations thereof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00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 G09B1/02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 G09B1/04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the elements each bearing a single symbol or a single combination of symbols
    • G09B1/06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the elements each bearing a single symbol or a single combination of symbols and being attachable to, or mounted on, the support
    • G09B1/10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the elements each bearing a single symbol or a single combination of symbols and being attachable to, or mounted on, the support by means of pins and ho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일면에 다수의 삽입홀이 형성되어 있는 디스크형 천공판, 기하학적 형태를 갖고 표면에 적어도 하나의 삽입홀이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조각 블록, 상기 디스크형 천공판의 삽입홀에 일단이 삽입되어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블록에 형성된 삽입홀에 삽입되어 디스크형 천공판에 대해 블록을 고정하는 복수의 결합핀, 및 상기 결합핀에 고정되어 디스크형 천공판의 표면 공간을 입체적으로 분할하거나 구획하는 탄성 밴드를 포함하는 입체 블록 형성형 놀이완구를 제공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부품간의 불규칙적인 결합 또는 조합을 통해 공간적 창의력을 발휘하여 다양한 입체 형상 및 모양을 창의적으로 표현 가능하며 유아들도 쉽게 스스로 조립과 표현이 가능한 새로운 놀이완구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입체 블록 형성용 놀이완구 {Playing toy for 3 dimensional block structuring}
본 고안은 블록 놀이완구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천공판에 다양한 형상의 블록과 탄성 밴드를 고정하고 상호 결합하여 이용자의 상상력에 기반한 창의적인 입체 형상을 형성할 수 있는 새로운 놀이완구를 제안한다.
유아의 놀이는 사회성, 지능, 신체운동능력의 발달 정도 등에 따라 구체적인 모습 및 놀이 종류도 바뀌어 간다. 어린이에게 놀이 활동은 매우 중요한데, 신체적인 면에서는 몸의 균형을 가지게 하고 특히 유아기의 왕성한 신체 활동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으며, 지능적인 면에서는 상상력을 구체적으로 표현하여 창의력을 개발할 수 있다.
유아 및 어린이들의 놀이 활동에는 공이나 자전거 등의 운동기구와 더불어 블록, 인형, 로봇, 자동차 모형 등의 각종 완구가 널리 이용된다. 놀이완구는 교육적 기능과 더불어 함께 어울려 또래들과 시간을 보내는 과정에서 사회성을 기르는데 도움이 되고 있다.
유아들의 다양한 상상을 창의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놀이 세트가 다양하게 제안되어 왔는데, 예를 들어 유사한 형태의 블록간의 조립, 조각 부품들의 끼워맞추기, 글자 글자 도형 만들기, 평면적 또는 입체적 모형 만들기, 장식품 만들기 등 기능과 교육적 목적하에 놀이 방식을 변화시킬 수 있는 완구들이 그것이다. 특히 블록 관련 제품으로는 전통적인 목재 블록 쌓기 제품부터 세계적으로 유명한 레고 블록에 이르기까지 유아 및 어린이의 발달 과정에 맞춘 각종 제품들이 상용화된 바 있다. 이와 같은 부품의 조립 기반 제품들은 기본적으로 부품 결합 방식이 일관적이고 통일성이 있는 것들이 대부분이며, 이러한 조립 기반 완구들의 개선된 기술들도 예외없이 단일한 결합 방식을 취하고 있다.
예를 들어 등록특허 10-1740504호에 따르면, 조립식 블록완구에 관한 것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면에 상호 일정한 피치를 두고 이격하여 배치된 제1 끼움구멍이 적어도 둘 이상 형성된 복수의 베이스 블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면에 상기 제1 끼움구멍에 대응되는 제2 끼움구멍을 각각 형성하며 상기 베이스 블록에 조립되는 복수의 적층 블록; 및 상기 제1 끼움구멍과 상기 제2 끼움구멍에 각각 끼워져 상기 베이스 블록 또는 상기 적층 블록 각각의 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로 돌출되어 상기 베이스 블록과 상기 적층 블록을 상호 조립시키며, 상기 베이스 블록에 대하여 상기 적층 블록의 자유로운 회전이 가능하도록 원형 단면으로 이루어진 끼움축을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 블록의 어느 한 면에는, 상기 베이스 블록의 어느 한 면에 복수로 결합된 상기 적층 블록들 중 하나의 고정된 적층 블록에 대하여 이웃한 적층 블록이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피치보다 작은 공간의 적층블록 회전용 간격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등록특허 10-1245060호에 따르면, 유아용 블록완구에 관한 것으로, 주로 유아들이 원하는 입체 형상을 다양한 형상으로 보다 조립이 용이하면서도 자유롭게 확장가능 하고, 각종 도형이나 그림 문자와 연관하여 창작 범위를 넓혀 유아 지능발달과 흥미유발을 도모할 수 있도록 창안되었고, 합성수지재로 성형되며 외측으로 적어도 한개 이상의 끼움홈을 구성하도록 나란하게 끼움날개들이 돌출 형성되는 조립체와, 일정 두께의 판 형상으로 상기 조립체의 끼움홈에 끼워지는 카드부재들과, 상기 끼움날개에 카드부재의 조립위치로 돌출되는 고정돌기와, 상기 카드부재에는 끼움날개에 조립되는 상태에서 고정돌기에 대응되는 위치로 뚫어지는 고정구멍으로 구성되며, 상기 카드부재들과 끼움날개 사이로 틈새를 없애도록 고정돌기에 대응되는 위치로 고정홀이 뚫어지는 틈새보강편이 더 설치되는 점에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블록 기반 조립 완구 등은 블록간의 결합에 결합 방식 및 결합 방향 등의 규칙을 기초로 여러가지 형태를 구현하게 되며, 이러한 규칙성은 일정 조건과 범위 내에서 입체적 형태의 구현이 가능하지만, 이용자 스스로 상상력에 기반한 불규칙한 입체적 구조나 기하학적 모양을 형성하는데 한계가 있고 공간적 창의력을 발휘하여 다양한 입체 형상을 구현하는 것이 어렵다. 특히 숫자나 글자의 표현은 불가능하다.
종래의 규칙성 기반의 블록 완구나 기타 놀이완구의 한계를 고려할 때, 놀이를 통한 즐거움은 물론, 추상적 생각을 구체적인 시각적 구조물로 표현할 수 있고, 유아나 어린이의 사고 발달 과정에서 기하학적 도형이나 입체 구조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한편, 스스로 입체 도형이나 형상을 설계할 수 있는 새로운 놀이완구가 필요하다.
본 고안은 전술한 기술적 배경하에서 창안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안전하고 창의적인 표현이 가능한 놀이완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부품간의 불규칙적인 결합 또는 조합을 통해 공간적 창의력을 발휘하여 다양한 입체 형상을 구현할 수 있는 새로운 방식의 놀이완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창의적 표현을 통한 교육적 기능은 물론, 조화롭게 표현된 부품들로 장식적 기능을 갖는 놀이완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기타,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 및 기술적 특징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제시될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일면에 다수의 삽입홀이 형성되어 있는 디스크형 천공판과, 디스크 구조, 원기둥, 반달형 기둥, 타원형 기둥 중에서 선택되는 기하학적 형태를 갖는 복수의 블록으로서 표면에 적어도 하나의 삽입홀이 형성되어 있는 조각 블록과, 상기 디스크형 천공판의 삽입홀에 일단이 삽입되어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블록에 형성된 삽입홀에 삽입되어 디스크형 천공판에 대해 블록을 고정하는 복수의 결합핀, 및 상기 결합핀이 디스크형 천공판에 두 개 이상 이격된 상태로 삽입되어 있을 때 결합핀에 고정되어 디스크형 천공판의 표면 공간을 입체적으로 분할하거나 구획하는 탄성 밴드를 포함하며, 상기 디스크형 천공판에 형성된 삽입홀은 천공판 내부에 격자 모양으로 배치된 복수의 제1삽입홀과, 격자 모양의 제1삽입홀 주변으로 디스크형 천공판의 가장자리에 배치된 복수의 제2삽입홀을 포함하는 입체 블록 형성형 놀이완구를 제공한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제1삽입홀과 제2삽입홀은 디스크형 천공판의 중심을 기준으로 수평축 및 수직축에 대하여 대칭적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블록에 형성된 삽입홀은 형성 위치를 달리하여 직경이 다른 두 개 이상의 삽입홀을 포함하며 상기 결합핀은 직경을 달리하여 두 종류 이상의 결합핀을 포함할 수 있고, 이 경우 디스크형 천공판과 블록의 결합에는 직경이 큰 제1결합핀 사용하고 형태가 다른 두 블록간의 결합에는 직경이 작은 제2결합핀을 사용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안전하고 창의적인 표현이 가능하며 부품의 촉감으로부터 느껴지는 질감, 나무 재질의 향, 부품 결합 시 발생하는 소리 등으로 오감을 자극하는 활동을 통해 어린이들에게 필요한 신체적 활동과 창의적 표현 활동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유아들도 쉽게 스스로 조립과 표현이 가능하여 손과 눈에 협응력을 키우고 집중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본 고안은 부품간의 불규칙적인 결합 또는 조합을 통해 공간적 창의력을 발휘하여 다양한 입체 형상 및 모양을 구현할 뿐만 아니라, 놀이 활동을 통해 유아들의 경우 언어, 수, 공간의 분할, 과학적 원리 등을 배울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한편, 본 고안의 놀이완구는 창의적 표현을 통한 교육적 기능은 물론, 조화롭게 표현된 부품들로 장식적 기능을 갖는 놀이완구를 제공할 수 있으며, 유아들에게 자연에서 주는 심미적 아름다움을 통하여 정서발달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놀이완구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놀이완구의 각종 블록의 예를 보인 사진
도 3은 디스크형 천공판의 삽입홀 대칭구조를 보인 평면도
도 4a 및 4b는 놀이완구로 도형 구현 및 면 분할의 예를 보인 사진
도 5는 숫자를 형성한 예를 보인 사진
도 6a 및 6b는 놀이완구로 다양한 모양과 입체 형태를 형성한 사진
도 7a 및 7b는 장식적 모양을 구현한 예를 보인 사진
본 고안은 교육적 기능은 물론 장식적 기능을 함께 수행하는 놀이완구로서, 새로운 방식의 입체 블록 형성형 놀이완구를 제안한다.
본 고안은 어린이, 특히 유아들의 다양한 상상을 창의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놀이 세트로서 조립, 끼워맞추기 등의 활동을 통해 평면적 또는 입체적 형상 만들기가 가능하고, 공간 분할 및 모양 형성 등을 통해 숫자, 글자, 도형 만들기가 가능하며, 기하학적으로 구획된 공간 내에 장식적 요소를 배치하여 장식품 만들기 등의 심미적 활동이 가능하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일면에 다수의 삽입홀이 형성되어 있는 디스크형 천공판, 기하학적 형태를 갖고 표면에 적어도 하나의 삽입홀이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조각 블록을 포함한다. 천공판과 블록은 결합핀으로 상호 고정될 수 있으며, 결합핀은 디스크형 천공판의 삽입홀에 일단이 삽입되어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블록에 형성된 삽입홀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천공판에 일단이 고정되어 있는 결합핀에 고정되어 디스크형 천공판의 표면 공간을 입체적으로 분할하거나 구획하는 탄성 밴드를 더 포함한다.
본 고안의 놀이완구에 있어서, 디스크형 천공판, 기하학적 형태의 블록, 결합핀 등은 촉감, 무게, 결합 용이성 및 내구성 측면에서 각 부품들의 재질은 목재가 바람직하고 특히 표면이 매끄럽고 경도가 우수하면서 밝은 색상의 목재가 선호된다. 반면, 부분적으로 또는 선택적으로 일부 부품을 인체에 무해하고 가벼우며 강도가 우수한 플라스틱 재질을 사용하여 제조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놀이완구(100)를 보인 모식도로서, 일면에 다수의 삽입홀이 형성되어 있는 디스크형 천공판(110)과 상기 삽입홀에 일단이 삽입되는 결합핀(130), 및 결합핀의 타단에 삽입되는 블록(120)을 보이고 있다.
각 부품들은 친환경 소재로 화학처리하지 않아 유아들이 안전하게 놀이할 수 있는 재질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어 디스크형 천공판은 자작나무 합판을 사용하여 원형 또는 타원형 평면 구조의 디스크 형태로 제작할 수 있다. 천공판의 일일면에 다수의 삽입홀이 형성되어 있는데, 디스크 표면 내부에 격자 모양으로 배치된 복수의 제1삽입홀(112)이 있고, 또한 격자 모양의 제1삽입홀 주변으로 디스크형 천공판의 가장자리에 배치된 복수의 제2삽입홀(11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삽입홀과 제2삽입홀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디스크형 천공판의 중심을 기준으로 수평축 및 수직축에 대하여 대칭적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천공판에 결합핀(130)을 매개로 고정되는 복수의 블록(120)은 예를 들어 디스크 구조, 원기둥, 반달형 기둥, 타원형 기둥 중에서 선택되는 기하학적 형태를 갖는 입체 구조를 가질 수 있고, 표면에 적어도 하나의 삽입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필요에 따라 둘 이상의 삽입홀(122a, 122b)이 형성될 수도 있다. 도 2는 놀이완구의 각종 블록의 예를 보인 사진으로서, 반달형, 원형, 나뭇잎 조각형 등 다양한 모양을 보이고 있는데, 이와 같은 블록 형태를 이용하여 천공판 위에 상상력에 기반한 여러가지 입체 형상을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결합핀은 디스크형 천공판의 삽입홀에 일단이 삽입되어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블록에 형성된 삽입홀에 삽입되어 복수의 블록을 디스크형 천공판에 대해 고정함으로써 블록들이 평면적 또는 입체적인 형태를 구성하는 매개체로 기능한다. 결합핀은 얇은 기둥 형태로서 양단은 삽입홀에 진입하기 용이하게 직경이 줄어드는 원뿔 모양으로 마감처리되는 것이 좋다. 결합핀은 직경 또는 길이가 다른 두 가지 이상의 형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블록에 형성된 삽입홀은 형성 위치를 달리하여 직경이 다른 두 개 이상의 삽입홀을 포함할 수 있는데, 이 경우 결합핀은 직경을 달리하여 두 종류 이상의 결합핀을 포함하고, 디스크형 천공판과 블록의 결합에는 직경이 큰 결합핀 사용하는 한편, 형태가 다른 두 블록간의 결합에는 직경이 작은 결합핀을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블록 이외에 본 고안의 놀이완구에는 탄성 밴드(140)가 더 포함될 수 있는데, 탄성밴드는 예를 들어 상기 결합핀이 디스크형 천공판에 두 개 이상 이격된 상태로 삽입되어 있을 때 결합핀에 고정되어 디스크형 천공판의 표면 공간을 입체적으로 분할하거나 구획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은 디스크형 천공판의 삽입홀을 보인 평면도로서, 제1삽입홀(112)과 제2삽입홀(114)은 디스크형 천공판의 중심을 기준으로 수평축(x축) 및 수직축(y축)에 대하여 대칭적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삽입홀은 디스크형 천공판 중앙부에 가로 7열 및 세로 7열로 격자 배열된 총 49개의 홀이 형성되어 있다. 제2삽입홀은 디스크형 천공판의 가장자리 쪽에 원 또는 타원형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제1삽입홀에 대하여 대칭적인 관계를 유지하도록 좌우 각각 9개씩 총 18개의 홀이 형성되어 있다.
제1삽입홀과 제2삽입홀의 개수 및 배치 모양은 달라질 수 있으나, 복수의 제1삽입홀과 복수의 제2삽입홀이 디스크형 천공판의 중심 및 가장자리에 상호 대칭적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삽입홀 배치구조를 통해 복수의 홀 중 특정 홀들을 선택하여 결합핀을 삽입하고 블록이나 탄성 밴드를 고정하여 기하학적 형태의 구조물(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육각형, 마름모 등)을 형성하기에 유리하다. 또한, 디스크형 천공판 내부에 격자 모양으로 배치된 복수의 제1삽입홀과, 격자 모양의 제1삽입홀 주변으로 디스크형 천공판의 가장자리에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배치된 복수의 제2삽입홀이 이격되어 배치됨으로써 천공판을 기하학적 모양으로 분할하거나 구획하기에 유리하다. 이러한 삽입홀의 배치 구조를 통해 어린이들이 자유로운 상상력으로 숫자나 글자 모양을 만들 수 있고, 입체 형상을 구현할 때 도형이나 기하학적 원리를 습득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놀이완구를 사용함에 있어서 유아들이 결합핀을 천공판에 삽입하거나 블록에 결합핀을 고정하기 위해 나무망치를 이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나무망치는 각종 형태적 블록 예를 들어 납작한 원기둥 블록, 반달형 블록, 코르크형 블록 등의 적어도 일 면에 형성된 삽입홀에 결합핀을 삽입하여 고정하기에 유리하다.블록과 나무망치, 결합핀은 예를 들어 미송 원목 등의 재질로 형성할 수 있고, 나무망치의 한 면은 고무로 마감하여 안전하게 사용 할 수도 있다.
전술한 탄성 밴드는 놀이완구에서 공간 분리, 구획 형성, 숫자 또는 글자 형태 부여하는데 사용될 수 있고, 이 때 결합핀은 탄성 밴드의 고정 수단으로 기능한다. 디스크형 천공판에 삽입되어 상호 이격된 두 개의 결합핀으로 탄성 밴드의 장력이 유지된 채로 고정할 수 있으며, 상호 이격된 세 개 이상의 결합핀에 하나의 탄성 밴드를 고정할 경우, 공간적 내지 기하학적 구획이 가능하다. 여러 개의 탄성 밴드를 사용하여 서로 다른 공간 분할, 면 구획, 글자 형성 등이 가능하도록 각각의 밴드의 색상이 다르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놀이완구를 통해 여러가지 도형을 구성할 수 있는데, 결합핀과 탄성밴드를 이용하여 자신의 원하는 도형을 만드는 활동을 통해 도형의 모양과 크기, 부피 등의 개념을 익힐 수 있고, 이러한 과정에서 손과 눈에 협응력을 키우면서 집중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4a 및 4b는 놀이완구로 도형 구현 및 면 분할의 예를 보인 사진으로서, 천공판 중앙을 중심으로 전체적인 면을 분할하거나 도형을 만들어봄으로써 수학적 요소를 습득할 수 있고, 탄성밴드의 색상을 달리함으로써 색과 형상에 대한 관심을 높일 수 있다.
도형과 면 분할 등의 놀이 외에도 어린이 스스로 숫자나 글자의 형상을 디스크형 천공판에 구현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결합핀을 숫자 모양에 해당하는 천공판 위치에 삽입한 후 탄성밴드를 결합핀에 고정하여 해당 숫자의 형태를 만들어 볼 수 있다. 도 5는 숫자를 형성한 예를 보인 사진이며, 숫자 이외에도 한글 자모나 영문자 형상을 구현해보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놀이 활동을 통해 유아들은 언어, 수, 분할 등의 원리를 쉽게 터득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나무 블록의 다양한 조각 모양을 조합하여 새로운 형태를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블록의 다양한 형태에서 점, 선, 면의 요소에 대해 알 수 있으며, 도형의 구성을 응용하여 사물과 유사한 형태를 인지하며 표현할 수 있게 된다. 도 6a 및 6b는 놀이완구로 다양한 모양과 입체 형태를 형성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곤충이나 동물 모양, 꽃이나 각종 식물을 입체적으로 표현할 수 있고, 블록을 통한 입체적인 요소에 대해 표현하는 과정에서 회전이나 적층 등에 대한 원리를 자연스럽게 습득할 수 있다.
특히 목재 재질의 부품들의 촉감을 통해 느껴지는 질감과 나무의 향, 소리 등은 오감을 자극하며, 유아들에게 필요한 신체적 활동과 창의적 표현 활동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부품간의 불규칙적인 결합을 통해 상상력을 발휘하여 다양한 입체 형상 및 모양을 구현함으로써 공간적 창의력이 개발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고안의 놀이완구는 유아들에게 자연을 마주하며 자연에서 주는 심미적 아름다움을 통한 정서발달에 도움을 줄 수도 있는데, 예를 들어 놀이완구를 응용하여 꽃이나 자연물이 조화롭게 배치된 장식품을 만들어 볼 수 있다. 도 7a 및 7b는 장식적 모양을 구현한 예를 보인 것으로, 이러한 창작 활동을 통해 아름다움에 대한 감각을 익히는 한편, 놀이완구의 조작의 단순성에서 벗어나 지루함이 없는 적극적인 창작을 지속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고안을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에서 제시한 기술적 사상, 구체적으로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수정, 변경, 또는 개선될 수 있을 것이다.
100:놀이완구 110:디스크형 천공판
112:제1삽입홀 112:제2삽입홀
120:블록 122:삽입홀
130:결합핀 140:탄성밴드

Claims (3)

  1. 일면에 다수의 삽입홀이 형성되어 있는 디스크형 천공판,
    디스크 구조, 원기둥, 반달형 기둥, 타원형 기둥 중에서 선택되는 기하학적 형태를 갖는 복수의 블록으로서, 표면에 적어도 하나의 삽입홀이 형성되어 있는 조각 블록,
    상기 디스크형 천공판의 삽입홀에 일단이 삽입되어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블록에 형성된 삽입홀에 삽입되어 디스크형 천공판에 대해 블록을 고정하는 복수의 결합핀, 및
    상기 결합핀이 디스크형 천공판에 두 개 이상 이격된 상태로 삽입되어 있을 때 결합핀에 고정되어 디스크형 천공판의 표면 공간을 입체적으로 분할하거나 구획하는 탄성 밴드를 포함하며,
    상기 디스크형 천공판에 형성된 삽입홀은 천공판 내부에 격자 모양의 사각 형태로 배치된 복수의 제1삽입홀과, 격자 모양의 제1삽입홀 주변으로 디스크형 천공판의 가장자리에 원형으로 배치된 복수의 제2삽입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1삽입홀과 제2삽입홀은 디스크형 천공판의 중심을 기준으로 수평축 및 수직축에 대하여 대칭적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블록 형성형 놀이완구.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에 형성된 삽입홀은 형성 위치를 달리하여 직경이 다른 두 개 이상의 삽입홀을 포함하며 상기 결합핀은 직경을 달리하여 두 종류 이상의 결합핀을 포함하고, 디스크형 천공판과 블록의 결합에는 직경이 큰 제1결합핀 사용하고 형태가 다른 두 블록간의 결합에는 직경이 작은 제2결합핀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블록 형성형 놀이완구.

KR2020200002108U 2020-06-17 2020-06-17 입체 블록 형성용 놀이완구 KR20049617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2108U KR200496173Y1 (ko) 2020-06-17 2020-06-17 입체 블록 형성용 놀이완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2108U KR200496173Y1 (ko) 2020-06-17 2020-06-17 입체 블록 형성용 놀이완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2896U KR20210002896U (ko) 2021-12-24
KR200496173Y1 true KR200496173Y1 (ko) 2022-11-17

Family

ID=791789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2108U KR200496173Y1 (ko) 2020-06-17 2020-06-17 입체 블록 형성용 놀이완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6173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46429A (ja) * 2003-07-30 2005-02-24 Yoshiko Yoshino 輪状のゴム紐を利用した作画具
KR101663076B1 (ko) * 2016-08-08 2016-10-06 이은화 체험학습도구
KR101740504B1 (ko) * 2015-12-09 2017-06-05 주식회사 휴리스 조립식 블록완구
CN206587413U (zh) * 2017-01-25 2017-10-27 北京儿童创客教育科技有限公司 一种益智玩具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46429A (ja) * 2003-07-30 2005-02-24 Yoshiko Yoshino 輪状のゴム紐を利用した作画具
KR101740504B1 (ko) * 2015-12-09 2017-06-05 주식회사 휴리스 조립식 블록완구
KR101663076B1 (ko) * 2016-08-08 2016-10-06 이은화 체험학습도구
CN206587413U (zh) * 2017-01-25 2017-10-27 北京儿童创客教育科技有限公司 一种益智玩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2896U (ko) 2021-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13680B2 (en) Multi-dimensional puzzle
KR101160431B1 (ko) 한글학습 기능을 구비한 퍼즐블록
US4773649A (en) Pieces assembable to form regular hexagons and other figures
KR200496173Y1 (ko) 입체 블록 형성용 놀이완구
KR20190043707A (ko) 창의력 증진을 위한 놀이판이 포함된 블록 놀이세트 및 그것을 이용한 놀이방법
KR200389153Y1 (ko) 목재 블럭 완구
KR20210109398A (ko) 조립식 블록완구 소자 및 그 소자를 이용한 조립식 블록완구 세트
US6190228B1 (en) Toddler toy system and method
CN102711937A (zh) 手持玩具
JP3217628U (ja) 立体造形ブロック
WO2023033774A1 (en) Multipurpose educational material
CN211724645U (zh) 用于儿童娱乐的墙面建构及建构插件
JP3232319U (ja) 知育玩具
RU2782724C1 (ru) Деревянные блоки со встроенными скрытыми магнитами
KR20130005436U (ko) 균형잡는 학습완구
KR200366109Y1 (ko) 학습용 조형블럭
KR200465025Y1 (ko) 숫자 색상 익힘 교구
Tan Playable Modeling: Interactive Learning Process in Science and Art
KR200375270Y1 (ko) 학습용 유희구
RU17439U1 (ru) Объемная логическая головоломка
PL167117B1 (pl) Zestaw klockowy PL
KR20210129834A (ko) 우드블록 안전 연결구
KR200251927Y1 (ko) 모형구조물 결합구조
KR20240020886A (ko) 벽돌블럭 완구 구조
Liu Application of modularity principles in designing of functional regenerating open-ended toys alongside with child develo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