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6109Y1 - 학습용 조형블럭 - Google Patents

학습용 조형블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6109Y1
KR200366109Y1 KR20-2004-0017498U KR20040017498U KR200366109Y1 KR 200366109 Y1 KR200366109 Y1 KR 200366109Y1 KR 20040017498 U KR20040017498 U KR 20040017498U KR 200366109 Y1 KR200366109 Y1 KR 20036610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unit
length
learning
block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749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영욱
박상규
Original Assignee
박상규
안영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상규, 안영욱 filed Critical 박상규
Priority to KR20-2004-001749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610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610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6109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00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 G09B1/32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comprising elements to be used without a special support
    • G09B1/38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comprising elements to be used without a special support the elements being connectible magnetical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학습용 조형블록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규칙적인 결합면을 유지하고 있는 서로 다른 모양을 갖는 복수개의 단위블럭을 이용하여 그 방향을 달리 결합하거나 상호 조합함으로써 평면 또는 입체적인 다양한 사물의 안정적인 형상을 표현할 수 있도록 하며, 이를 통해 학습자의 활발한 두뇌활동을 유발할 수 있도록 하는 학습용 조형블럭에 관한 것이다.
이같은 본 고안은, 2이상의 단위조각으로 균등 분할되며, 단위조각의 조합체가 3단위길이를 지름으로 하고 1단위길이를 높이로 하는 원형단면의 기둥을 형성하되, 그 내측에 1단위길이를 지름으로 하는 내접원 범위의 파인홈부를 구비하여, 상기 분할된 각 단위조각의 양쪽 노출단면이 가로와 세로길이를 각각 1단위길이로 하는 정사각형을 유지하도록 구성한 원형 분할 곡선블럭과; 가로와 세로가 각각 1단위길이로 이루어지며, 높이는 1단위길이의 배수로 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막대블럭; 및 동일 또는 상이한 길이를 가진 상기 막대블럭의 직교된 결합으로 이루어지며, 결합되는 2이상의 막대블럭 결합면이 정사각형 단면을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꺽임블럭; 들의 복수 조합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학습용 조형블럭{Fold-up block for study}
본 고안은, 학습용 조형블럭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규칙적인 결합면을 유지하고 있는 서로 다른 모양을 갖는 복수개의 단위블럭을 이용하여 그 방향을 달리결합하거나 상호 조합함으로써 평면 또는 입체적인 다양한 사물의 안정적인 형상을 표현할 수 있도록 하며, 이를 통해 학습자의 활발한 두뇌활동을 유발할 수 있도록 하는 학습용 조형블럭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학습용 조형블럭은 다수의 소형블럭을 상호 적층 결합시켜 건물이나 로봇 또는 자동차 등의 형상을 만들 수 있도록 제작된 것으로서, 어린아이들의 지능계발에 도움을 주는 유익한 놀이용품이다.
이러한 학습용 조형블럭은 대응되는 양면에 홈부와 돌기부가 각각 형성된 육면체 형상, 도너츠 형상 및 막대 형상 등이 주류를 이루고 있으며, 그 외에도 중공부를 갖는 해바라기 형상, 저면에 홈부가 형성된 사각뿔 형상 등의 블럭들이 개발 제작되고 있다.
그러나 이같은 조형블럭들은, 어린아이들이 소망하는 형상들을 몇 번 조립하고 난 후에는 블럭조립에 대한 흥미를 잃게 된다. 더욱이 이와 같이 단순형상을 갖는 블럭들은 적층결합하기 전부터 완성된 형상을 쉽게 연상할 수 있는 것이어서 실제로 어린아이들의 창의력과 지능계발에 큰 도움을 주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며, 힘의 균형이나 무게중심과 같은 구조물의 원리를 이해하는데는 별다른 효과를 거두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즉, 상기와 같은 종래의 학습용 조형블럭은 여러개의 단위블럭을 일정한 규칙없이 막연하게 조립하면서 조립물을 구성하는 방식이므로, 여러 단위블럭들을 이리저리 맞추어 가는 과정을 통해서 창의력을 학습하는 데는 효과적이지만, 그에 반하여 단위블럭을 쌓아가거나 조합하여 완성품을 만들어가는 과정에서 힘의 균형이나 무게중심을 이용한 일정한 규칙성과 조화감 등을 학습하는 데는 적합치 못한 것이었다.
또한, 대부분의 종래 학습용 조형 블럭들은, 1조를 이루는 여러가지 형상의 블럭들을 골고루 이용하여 적층 결합하여야만 소정의 모형을 완벽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이들 소형 블럭중에서 수 개의 블럭을 분실한 경우에는 나머지 블럭들만으로 소망하는 모형을 완벽하게 조립하기 어려워 소형블럭의 조립을 아예 기피하거나 새로운 학습용 조형 블럭을 구매하여 사용하게 됨으로써, 구매에 따른 경제적 부담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이와같은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본원출원인은, 무게중심을 이용한 학습용 조형블럭에 관한 고안을 제안한 바 있다. 상기 학습용 조형블럭은 일정길이를 갖는 단일 막대형으로 이루어지며, 무게중심이 길이방향과 폭방향 교차점에 위치하여 세워진 상태에서 안정된 상태를 유지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안정블럭을 구비한다. 이와 함께 동일한 규격을 갖는 두개의 막대형태로 이루어져 서로 교차되도록 고정함으로써, 하나의 수직막대 측면에 고정되는 수평막대가 바닥으로부터 이격되는 경우 독립적으로 세워진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불안정블럭을 구비한다.
상기한 학습용 조형블럭은 동일한 규격을 갖는 수직막대의 측단부와 수평막대의 측단부를 고정하거나 수직막대의 측단부와 수평막대의 측면 중앙부가 고정되고, 또한 수직막대의 측면 중앙부와 수평막대의 측면 중앙부가 고정된 상태로 이루어져 동일한 크기와 길이를 갖는 다수개의 육면체를 이용해 다양한 형태의 블럭을구성함으로써, 아동들에게 블럭조립에 대한 지속적인 흥미와 호기심을 유발할 수 있으며, 동시에 육면체들의 조합되는 과정을 통하여 무게중심, 힘의 균형에 대한 감각과 결합된 모형을 통한 입체적 감각을 자연스럽게 학습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안정블럭과 불안정블럭의 조립체는 비교적 단조로운 조합형태에 머물고 있어 사물의 다양한 형상을 사실적으로 표현하는데에 한계를 보이고 있는 것이며, 따라서 아동들의 흥미를 유발하고 학습능력을 크게 계발하는데에 이르지 못하게 되는 것이었다.
그러므로 아동들의 학습능력을 지속적으로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다양한 길이와 규격을 갖는 규칙적인 기초블럭을 상호 결합하여 다양한 형태의 단위블럭을 구성하고, 이들을 쌓기 놀이방법에 의해 임의 조합함으로써, 다양한 모양과 형상으로 조형할 수 있는 조형블럭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규칙적인 결합면을 유지하고 있는 서로 다른 모양을 갖는 복수개의 단위블럭을 이용하여 그 방향을 달리 결합하거나 상호 조합함으로써 평면 또는 입체적인 다양한 사물의 안정적인 형상을 표현할 수 있도록 하며, 이를 통해 학습자의 활발한 두뇌활동을 유발할 수 있도록 하는 학습용 조형블럭을 제공하는데 그 주된 목적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방향을 바꾸어 조립하더라도 언제나 규칙적인 결합위치를 벗어나지 아니하는 안정된 구조물을 제공하는 학습용 조형블럭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3종의 단위블럭 조합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a, 2b, 2c는 본 고안의 원형 분할 곡선블럭 단위조각 조합체 및 그 분해도,
도 3은 본 고안의 막대블럭 일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꺽임블럭 일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원형 분할 곡선블럭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분해도,
도 6a 내지 도 6d는 본 고안의 학습용 조형블럭을 복수 조합하여 구성한 사용예의 사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10a: 곡선블럭, 12: 파인홈부, 20: 막대블럭, 30: 꺾임블럭, M: 자석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2이상의 단위조각으로 균등 분할되며, 단위조각의 조합체가 3단위길이를 지름으로 하고 1단위길이를 높이로 하는 원형단면의 기둥을 형성하되, 그 내측에 1단위길이를 지름으로 하는 내접원 범위의 파인홈부를 구비하여, 상기 분할된 각 단위조각의 양쪽 노출단면이 가로와 세로길이를 각각 1단위길이로 하는 정사각형을 유지하도록 구성한 원형 분할 곡선블럭과; 가로와 세로가 각각 1단위길이로 이루어지며, 높이는 1단위길이의 배수로 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막대블럭; 및 동일 또는 상이한 길이를 가진 상기 막대블럭의 직교된 결합으로 이루어지며, 결합되는 2이상의 막대블럭 결합면이 정사각형 단면을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꺽임블럭; 의 복수 조합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원형 분할 곡선블럭은, 높이방향에 대하여 2단위길이로 구성되어, 양쪽 노출단면에 2개의 블럭이 동일방향 또는 교차된 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고안은 또한, 상기 원형 곡선 곡선블럭과 상기 꺾임블럭 및 상기 막대블럭의 단부에 제공되는 각 정사각형의 결합면에는, 인접한 블럭 단부와 결합될 수 있도록 착탈수단이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착탈수단은 바람직하게 자석이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해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3종의 단위블럭 조합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a, 2b, 2c는 본 고안의 원형 분할 곡선블럭 단위조각 조합체 및 그 분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막대블럭 일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꺽임블럭 일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은, 2이상의 단위조각으로 균등하게 분할되는 원형 분할 곡선블럭(10)을 포함한다. 그리고, 이같은 원형 분할 곡선블럭(10)은, 가로와 세로가 각각 1단위길이로 이루어지며 높이는 1단위길이의 배수로 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막대블럭(20), 또는 동일 또는 상이한 길이를 가진 상기 막대블럭의 직교된 결합으로 이루어지며 결합되는 2이상의 막대블럭 결합면이 정사각형 단면을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꺽임블럭(30)과 조합되는 형태로 구성되어 본 고안이 추구하는 학습용 조형블럭을 이루게 된다.
상기 원형 분할 곡선블럭(10)은, 도 2a 내지 도 2c에 구체적으로 예시하고 있듯이 단위조각의 조합체가 3단위길이를 지름으로 하고, 1단위길이를 높이로 하는 원형단면의 기둥을 형성되는 것으로서, 그 내측에는 1단위길이를 지름으로 하는 내접원 범위의 파인홈부(14)를 구비한다.
따라서 상기 원형 분할 곡선블럭(10)은, 상기 분할된 각 단위조각의 양쪽 노출단면이 가로와 세로길이를 각각 1단위길이로 하는 안정적이고도 규칙적인 정사각형의 결합면(12)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다시말해, 도 2a와 도 2b를 참조할 때, 원형 분할 곡선블럭(10)은 내경이 1단위길이를 형성하는 도우넛 형상의 원형조립체를 균등하게 2개로 또는 4개로 분할한 상태를 가리킨다. 따라서 하나의 원형조립체가 존재한다면, 2개로 분할된 것이나 혹은 3개 이상으로 균등하게 분할된다면 이들 모두가 원형 분할 곡선블럭(10)이 된다.
이때, 상기 원형 분할 곡선블럭(10)의 내접원 위치에 형성되는 파인홈부(14)는, 도 2a 및 도 2b 에서와 같이 1단위길이를 지름으로 하는 내접원의 원호로 이루어 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 2c 에서와 같이 1단위길이를 지름으로 하는 내접원 안에 위치하며 분할 조각의 양쪽 단부를 잇는 직선형의 가공부에 의해 상기 파인홈부(14)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원형 곡선 곡선블럭(10)과 상기 막대블럭(20) 및 상기 꺽임블럭(30)의 단부에 제공되는 각 정사각형의 결합면(12,22,32)에는, 인접한 블럭 단부와 결합될 수 있도록 착탈수단이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착탈수단은 각 블록들의 정사각형 결합면(12,22,32)상에 노출되지 아니하도록 매설되는 자석(M)이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막대블럭(20) 또한, 결합되는 상대 블록과의 안정적인 결합면(22)을 유지할 수 있도록 가로와 세로가 각각 1단위길이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높이는 1단위길이의 배수로 구성되는 것으로서 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접한 블록과 면접촉된다.
여기에 더하여, 동일 또는 상이한 길이를 가진 2개의 막대블럭(20)을 "ㄱ"자 형상으로 결합시켜 구성한 상기 꺽임블럭(30)이 제공되는데, 이 역시 결합되는 2개의 막대블럭 결합면이 정사각형 단면을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며, 모든 길이는 1단위길이의 배수를 유지하도록 하게 된다.
이같은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원형 분할 곡선블럭(10)은, 높이방향에 대하여 2단으로 적층된 단일체의 블럭을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조합된 조형블럭 구조물의 연속성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를 도 5에 예시하고 있다.
도 5는 본 고안의 원형 분할 곡선블럭(10)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분해도로서, 상기 변형된 원형 분할 곡선블럭(10a)은, 높이방향에 대하여 2단위길이로 구성되어, 양쪽으로 노출되는 결합면(12)에 2개의 기본 블럭이 적층되는 형태로 동일방향 또는 교차된 방향에 대하여 상호 조합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는 것이다.
이에 결합되는 블록으로는 도시된 원형 분할 곡선블럭(10)을 포함하여 상기 막대블럭(20)과 꺽임블럭(30)이 모두 동일한 단위면적의 결합면(12,22,32)을 유지하고 있는 것이므로 방향성에 구애됨이 없이 언제나 안정된 결합구조물을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으로서 놀이에 집중하는 어린이로 조합의 불규칙 단면으로 인하여 놀이를 거부하거나 의욕을 상실하게 되는 폐단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고안의 학습용 조형블럭을 복수 조합하여 구성한 사용예의 대표적 사진들을 소개하고 있다. 이들은 원형 분할 곡선블럭(10)과 막대블럭(20) 및 꺽임블럭(30)들을 이용하여 만든 블럭조립체의 다양한 형상들을 표현하고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들을 통해 예시한 상기 블록조립체들은, 종래의 블록들을 통해 기대할 수 없는 표현의 다양성이 제공되는 것으로서, 그 조립된 형상의 실시예들은 첨부한 도면에 국한되지 아니하며, 사용자의 연령이나 사고력의 범위에 따라 보다 다양하게 표현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본 고안의 학습용 조형블럭은, 학습자가 성장하면서 그 학습연령이 증가되더라도 항상 새로운 연상과 새로운 조형물의 창작이 가능한 것이므로 반복적으로 사용에 의해 실증을 느끼게 되는 일 없이 발생되지 아니하는 것이며, 블럭의 일부가 분실 또는 훼손되더라도 남아 있는 블록을 통해 구성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물과 형상을 꾸준히 개발할 수 있어 창의성있는 교육을 추구하는데에 매우 유익한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서로 다른 모양을 갖는 복수개의 단위블럭을 이용하여 그 방향을 달리 결합하거나 상호 조합함으로써 평면 또는 입체적인 다양한 사물의 안정적인 형상을 표현할 수 있도록 하며, 이를 통해 평면적 조립에 국한된 조형블럭의 표현범위를 입체적인 구조물과 도형의 중첩 및 사실적 물체의 표현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범주로 확장시켜 학습자의 활발한 두뇌활동과 지능계발에 유익하게 활용할 수 있게 되는 교육적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Claims (3)

  1. 2이상의 단위조각으로 균등 분할되며, 단위조각의 조합체가 3단위길이를 지름으로 하고 1단위길이를 높이로 하는 원형단면의 기둥을 형성하되, 그 내측에 1단위길이를 지름으로 하는 내접원 범위의 파인홈부를 구비하여, 상기 분할된 각 단위조각의 양쪽 노출단면이 가로와 세로길이를 각각 1단위길이로 하는 정사각형을 유지하도록 구성한 원형 분할 곡선블럭과;
    가로와 세로가 각각 1단위길이로 이루어지며, 높이는 1단위길이의 배수로 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막대블럭; 및
    동일 또는 상이한 길이를 가진 상기 막대블럭의 직교된 결합으로 이루어지며, 결합되는 2이상의 막대블럭 결합면이 정사각형 단면을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꺽임블럭; 의 복수 조합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용 조형블럭.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형 분할 곡선블럭은, 높이방향에 대하여 2단위길이로 구성되어, 양쪽 노출단면에 2개의 블럭이 동일방향 또는 교차된 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용 조형블럭.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원형 곡선 곡선블럭과 상기 꺾임블럭 및 상기 막대블럭의 노출된 결합면에는, 각 정사각형의 단위마디 마다 인접한 블럭의 단부와 결합될 수 있도록 자석이 삽입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용 조형블럭.
KR20-2004-0017498U 2004-06-21 2004-06-21 학습용 조형블럭 KR20036610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7498U KR200366109Y1 (ko) 2004-06-21 2004-06-21 학습용 조형블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7498U KR200366109Y1 (ko) 2004-06-21 2004-06-21 학습용 조형블럭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6109Y1 true KR200366109Y1 (ko) 2004-11-03

Family

ID=494400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7498U KR200366109Y1 (ko) 2004-06-21 2004-06-21 학습용 조형블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610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9543B1 (ko) * 2017-06-02 2018-07-17 최말경 수학 서클 블록
KR20220129798A (ko) * 2021-03-17 2022-09-26 박윤희 멀티 탄성 블럭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9543B1 (ko) * 2017-06-02 2018-07-17 최말경 수학 서클 블록
KR20220129798A (ko) * 2021-03-17 2022-09-26 박윤희 멀티 탄성 블럭
KR102493300B1 (ko) 2021-03-17 2023-01-27 박윤희 멀티 탄성 블럭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299088A1 (en) Three-dimensional logic puzzle
JP6167247B2 (ja) 積み木及び積み木ユニット
KR20180030598A (ko) 장난감 건설세트
US11123652B2 (en) Modular cube building block system
KR200305655Y1 (ko) 단위블럭을 이용한 유아용 학습용구
KR101611788B1 (ko) 레일 블록 완구
KR101160431B1 (ko) 한글학습 기능을 구비한 퍼즐블록
KR200366109Y1 (ko) 학습용 조형블럭
KR102519226B1 (ko) 조립식 블록완구 소자
US9744473B2 (en) Densely stackable building block system
KR101336672B1 (ko) 기하학적 조립식 완구 및 그 연결방법
JP6005711B2 (ja) 組立構造体
KR200366110Y1 (ko) 학습용 조형블럭
JP2009000139A (ja) 知的創造を惹起する遊戯具用組み立てブロック
JP6280667B1 (ja) ブロック玩具
CN217448934U (zh) 一种几何积木
KR200336549Y1 (ko) 학습용 조형블럭
KR200324237Y1 (ko) 학습용 조형블럭
KR200222293Y1 (ko) 입체 칠교놀이 조립기구
KR200496173Y1 (ko) 입체 블록 형성용 놀이완구
KR200336550Y1 (ko) 색상을 이용한 색상을 이용한 학습용 조형블럭
KR102450381B1 (ko) 다방면으로 조립이 가능한 놀이블럭
JP3178528U (ja) 積み木玩具
CN210096929U (zh) 一种磁性积木组合
KR101024204B1 (ko) 황금분할을 이용한 조립블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1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