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0431B1 - 한글학습 기능을 구비한 퍼즐블록 - Google Patents

한글학습 기능을 구비한 퍼즐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0431B1
KR101160431B1 KR1020090105401A KR20090105401A KR101160431B1 KR 101160431 B1 KR101160431 B1 KR 101160431B1 KR 1020090105401 A KR1020090105401 A KR 1020090105401A KR 20090105401 A KR20090105401 A KR 20090105401A KR 101160431 B1 KR101160431 B1 KR 1011604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unit
unit blocks
blocks
horizontal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54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48711A (ko
Inventor
피동훈
피성민
Original Assignee
피동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피동훈 filed Critical 피동훈
Priority to KR10200901054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0431B1/ko
Publication of KR201100487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87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04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04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00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 G09B1/32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comprising elements to be used without a special support
    • G09B1/40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comprising elements to be used without a special support to form symbols or signs by appropriate arrangeme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퍼즐블록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한글 자음형상의 자음블록 및 모음 형상의 모음블록을 이용하여 다양한 입체형상을 구현할 수 있는 한글학습 기능을 구비한 퍼블블록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한글학습 기능을 구비한 퍼즐블록에 의하면 한글의 자음과 모음의 모양으로 형상화한 자음블록 및 모음블록을 조립하는 과정에서 유아들이 자연스럽게 한글을 익힐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자음블록과 모음블록을 통해 조립 제작할 수 있는 입체 형상이 매우 다양하여 사용자의 성취감과 창의력 및 상상력을 증진시킬 수 있으며 입체 공간에 의한 대칭의 개념 및 공간지각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퍼즐블록, 한글학습기능, 자음블록, 모음블록

Description

한글학습 기능을 구비한 퍼즐블록{A puzzle block having the function of the korean language studying}
본 발명은 퍼즐블록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한글 자음형상의 자음블록 및 모음 형상의 모음블록을 이용하여 다양한 입체형상을 구현할 수 있는 한글학습 기능을 구비한 퍼블블록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유아 또는 어린이의 지능발달을 위한 장난감으로서, 다양한 모양으로 이루어진 다수의 블록을 조립하여 임의의 조형물을 만들 수 있는 조립식 블록세트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조립식 블록세트는 어린이의 상상에 따라 다양한 형상의 조형물을 조립할 수 있고, 조립한 조형물을 다시 분해한 뒤 다른 조형물을 만들 수 있는 등 반복 사용이 가능하다.
이러한 퍼즐 블록은 여러 가지 형태와 종류가 있으나 정육면체의 각면에 가로 3개, 세로 3개로서 총 9개의 단위 정육면체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각각의 면에 다른 색채를 배치한 후, 각 면에 배치된 9개의 사각형의 위치를 회전시킴으로써 재배열하여 각 면의 색상을 통일하도록 하는 퍼즐이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퍼즐은 일단 조작순서와 방법을 숙지한 이후에는 맞추는 시간을 단축시키는 것 이외에 별다른 흥미를 유발시킬 수 없다는 단점이 있었다.
한편, 소마큐브라는 명칭으로 알려져 있는 블록은 7개의 단위블록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를 조합함으로써 단위 정육면체가 3x3x3이 조합된 조합 정육면체를 완성하는 형태의 퍼즐로서, 사용자의 도형에 대한 인식력 및 공간지각력 등을 향상시키는 교육적인 목적이 강화된 퍼즐형태이지만 단위블록의 개수가 7가지에 불과하며 완성형태가 단지 상기 3x3x3인 조합 정육면체에 한정되기 때문에 공간지각능력 및 창의력의 증진이라는 학습효과가 미진하다는 한계가 있었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3-25087호에는 최소 4개 이상의 단위블록으로 구성되는 퍼즐이 개시되어 있으나, 이 또한 상기 소마튜브처럼 단위 정육면체가 3x3x3이 조합된 조합 정육면체를 완성하는 형태의 퍼즐에 한정되기 때문에 상기 소마튜브와 동일한 문제점이 여전히 존재하였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단위블록을 결합하여 한글의 자음과 모음의 모양으로 형상화한 자음블록 및 모음블록을 구비하고 이를 이용하여 퍼즐블록을 조립하는 과정에서 유아들이 자연스럽게 한글을 익힐 수 있으며 다양한 형태의 입체형상을 제작할 수 있도록 하는 한글학습 기능을 구비한 퍼즐블록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한글학습 기능을 구비한 퍼 즐블록은 한글의 자음 형상으로 이루어진 복수개의 자음블록 및 한글의 모음 형상으로 이루어진 복수개의 모음블록을 구비하며, 상기 복수개의 자음블록과 복수개의 모음블록을 조합하여 다양한 입체 형상을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한글학습 기능을 구비한 퍼즐블록에 의하면 한글의 자음과 모음의 모양으로 형상화한 자음블록 및 모음블록을 조립하는 과정에서 유아들이 자연스럽게 한글을 익힐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자음블록과 모음블록을 통해 조립 제작할 수 있는 입체 형상이 매우 다양하여 사용자의 성취감과 창의력 및 상상력을 증진시킬 수 있으며 입체 공간에 의한 대칭의 개념 및 공간지각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핵심적인 아이디어는 정육면체의 단위블록을 이용하여 한글의 자음과 모음의 모양으로 형상화하여 한글 학습의 효과를 달성하고 다양한 입체 형상의 제작을 가능하게 한다는 데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한글학습 기능을 구비한 퍼즐블록의 자음블록과 모음블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한글학습 기능을 구비한 퍼즐블록은 한글의 자음 모양으로 이루어진 14개의 자음블록과 한글의 모음 모양으로 이루어진 10개의 모음블록을 구비한다.
자음블록은 한글자음 'ㄱ'자 형상의 제1블록(1) 내지 한글자음 'ㅎ'자 형상의 제14블록(14)을 구비하고, 모음블록은 한글모음 'ㅏ'자 형상의 제15블록(15) 내지 한글모음 'ㅣ'자 형상의 제24블록(24)을 구비한다.
상기 제1블록(1)은 정육면체인 단위블록 세 개가 수평으로 차례로 연결되고 우측 단위블록의 저면에 상기 단위블록 두 개가 수직으로 차례로 연결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한글자음 'ㄱ'자의 형상을 갖는다.
상기 제2블록(2)은 상기 단위블록 세 개가 수평으로 차례로 연결되고 좌측 단위블록의 평면에 상기 단위블록 한 개가 수직으로 연결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한글자음 'ㄴ'자의 형상을 갖는다.
상기 제3블록(3)은 상기 단위블록 세 개가 수직으로 차례로 연결되고 수직으로 차례로 연결된 세 개의 단위블록 중 상부 단위블록의 우측면에 단위블록 한 개가 수평으로 연결되고, 하부 단위블록의 우측면에 단위블록 한 개가 수평으로 연결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한글자음 'ㄷ'자의 형상을 갖는다.
상기 제4블록(4)은 상기 단위블록 두 개가 수평으로 차례로 연결되고 상기 수평으로 결합된 두 개의 단위블록 중 우측 단위블록의 저면에 단위블록 두 개가 수직으로 차례로 연결되고, 상기 수직으로 결합된 두 개의 단위블록 중 하부 단위블록의 좌측면에 단위블록 한 개가 수평으로 연결되고, 상기 좌측면에 연결된 단위블록의 저면에 단위블록 두 개가 수직으로 차례로 연결되고, 상기 수직으로 연결된 두 개의 단위블록 중 하부 단위블록의 우측면에 단위블록 한 개가 수평으로 연결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한글자음 'ㄹ'자의 형상을 갖는다.
상기 제5블록(5)은 상기 단위블록 두 개가 수평으로 차례로 연결되고 상기 수평으로 결합된 두 개의 단위블록 중 좌측 단위블록 및 우측 단위블록의 저면에 각각 단위블록이 수직으로 연결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한글자음 'ㅁ'자의 형상을 갖는다.
상기 제6블록(6)은 상기 단위블록 세 개가 수평으로 차례로 연결되고 상기 수평으로 연결된 세 개의 단위블록 중 우측 단위블록 및 좌측 단위블록의 평면에 각각 단위블록이 수직으로 연결되고, 상기 세 개의 단위블록의 저면에 각각 단위블록이 수직으로 연결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한글자음 'ㅂ'자의 형상을 갖는다.
상기 제7블록(7)은 상기 단위블록 세 개가 수직으로 차례로 연결되고 상기 세 개의 단위블록 중 가운데 단위블록의 우측면에 단위블록이 수평으로 연결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한글자음 'ㅅ'자의 형상을 갖는다.
상기 제8블록(8)은 상기 단위블록 세 개가 수평으로 차례로 연결되고 상기 세 개의 단위블록의 저면에 각각 단위블록 두 개가 수직으로 차례로 연결된 형태로형성된 육면체의 모서리가 라운드 처리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한글자음 'ㅇ'자의 형상을 갖는다.
상기 제9블록(9)은 상기 단위블록 세 개가 수직으로 차례로 연결되고 상부 단위블록의 좌측면에 단위블록 한 개가 수평으로 연결되고 가운데 단위블록의 우측면에 단위블록이 수평으로 연결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한글자음 'ㅈ'자의 형상을 갖는다.
상기 제10블록(10)은 상기 단위블록 세 개가 수직으로 차례로 연결되고 상부 단위블록의 좌측면에 단위블록 한 개가 수평으로 연결되고, 상기 수평으로 연결된 단위블록의 평면에 단위블록 한 개가 수직으로 연결되고, 상기 수직으로 차례로 연결된 세 개의 단위블록 중 가운데 단위블록의 우측면에 단위블록이 수평으로 연결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한글자음 'ㅊ'자의 형상을 갖는다.
상기 제11블록(11)은 상기 단위블록 네 개가 수직으로 차례로 연결되고 상기 수직으로 결합된 네 개의 단위블록 중 첫 번째 및 세 번째 단위블록의 좌측면에 단위블록 한 개가 각각 수평으로 연결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한글자음 'ㅋ'자의 형상을 갖는다.
상기 제12블록(12)은 상기 단위블록 다섯 개가 수직으로 차례로 연결되고 상기 수직으로 결합된 다섯 개의 단위블록 중 첫 번째, 세 번째 및 다섯 번째 단위블록의 우측면에 단위블록 한 개가 각각 수평으로 연결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한글자음 'ㅌ'자의 형상을 갖는다.
상기 제13블록(13)은 상기 단위블록 네 개가 수평으로 차례로 연결되고, 상기 수평으로 연결된 네 개의 단위블록 중 두 번째 및 세 번째 단위블록의 저면에 단위블록 두 개가 각각 수직으로 연결되고 상기 수직으로 각각 연결된 두 개의 단위블록 중 좌측 단위블록의 좌측면에 하나의 단위블록이 수평으로 연결되고 두 개의 단위블록 중 우측 단위블록의 우측면에 하나의 단위블록이 수평으로 연결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한글자음 'ㅍ'자의 형상을 갖는다.
상기 제14블록(14)은 상기 단위블록 세 개가 수평으로 차례로 연결되고, 상 기 수평으로 연결된 세 개의 단위블록의 저면에 각각 단위블록이 수직으로 연결되어 형성된 육면체의 모서리가 라운드 처리되고, 상기 수평으로 연결된 세 개의 단위블록의 평면에 각각 단위블록 수직으로 연결되고 상기 수직으로 연결된 단위블록 중 가운데 블록의 평면에 단위블록이 수직으로 연결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한글자음 'ㅎ'자의 형상을 갖는다.
상기 제15블록(15)은 정육면체인 단위블록 네 개가 수직으로 차례로 연결되고 상기 수직으로 차례로 연결된 단위블록 중 두 번째 단위블록의 우측면에 상기 단위블록 한 개가 수평으로 연결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한글모음 'ㅏ'자의 형상을 갖는다.
상기 제16블록(16)은 상기 단위블록 다섯 개가 수직으로 차례로 연결되고 상기 수직으로 차례로 연결된 단위블록중 두 번째 및 네 번째 단위블록의 우측면에 단위블록 한 개가 각각 수평으로 연결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한글모음 'ㅑ'자의 형상을 갖는다.
상기 제17블록(17)은 상기 단위블록 세 개가 수직으로 차례로 연결되고 가운데 단위블록의 좌측면에 단위블록 두 개가 수평으로 차례로 연결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한글모음 'ㅓ'자의 형상을 갖는다.
상기 제18블록(18)은 상기 단위블록 다섯 개가 수직으로 차례로 연결되고 상기 수직으로 차례로 연결된 단위블록 중 두 번째 및 네 번째 단위블록의 좌측면에 단위블록 두 개가 각각 수평으로 연결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한글모음 'ㅕ'자의 형상을 갖는다.
상기 제19블록(19)은 상기 단위블록 다섯 개가 수평으로 차례로 연결되고 상기 수평으로 차례로 연결된 다섯 개의 단위블록 중 중앙의 단위블록의 평면에 단위블록 두 개가 수직으로 차례로 연결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한글모음 'ㅗ'자의 형상을 갖는다.
상기 제20블록(20)은 상기 단위블록 다섯 개가 수평으로 차례로 연결되고 상기 수평으로 차례로 연결된 다섯 개의 단위블록 중 두 번째 단위블록의 평면에 단위블록 두 개가 수직으로 차례로 연결되고, 네 번째 단위블록의 평면에 단위블록 한 개가 수직으로 연결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한글모음 'ㅛ'자의 형상을 갖는다.
상기 제21블록(21)은 상기 단위블록 다섯 개가 수평으로 차례로 연결되고 상기 수평으로 차례로 연결된 다섯 개의 단위블록 중 좌측에서 두 번째 단위블록의 저면에 단위블록 두 개가 수직으로 차례로 연결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한글모음 'ㅜ'자의 형상을 갖는다.
상기 제22블록(22)은 상기 단위블록 다섯 개가 수평으로 차례로 연결되고 상기 수평으로 차례로 연결된 다섯 개의 단위블록 중 좌측에서 두 번째 단위블록의 저면에 단위블록 두 개가 수직으로 차례로 연결되고, 좌측에서 네 번째 단위블록의 저면에 단위블록 세 개가 수직으로 차례로 연결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한글모음 'ㅠ'자의 형상을 갖는다.
상기 제23블록(23)은 상기 단위블록 세 개가 수평으로 차례로 연결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한글모음 'ㅡ'자의 형상을 갖는다.
상기 제24블록(24)은 상기 단위블록 네 개가 수직으로 차례로 연결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한글모음 'ㅣ'자의 형상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한글학습 기능을 구비한 퍼즐블록의 자음블록과 모음블록은 모두 156개의 단위블록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러한 자음블록과 모음블록을 결합하여 다양한 입체 형상을 제작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다양한 실시 예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한글학습 기능을 구비한 퍼즐블록을 이용하여 제작된 12x13x1 조합의 육면체의 평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한글학습 기능을 구비한 퍼즐블록의 자음블록과 모음블록은 모두 사용하여 적절히 배치하는 경우 12x13x1 조합의 육면체를 제작할 수 있다.
이러한 12x13x1 조합의 육면체는 유아들의 완구용 퍼즐블록 외에 보도블록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퍼즐블록을 보도블록이나 타일 등으로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들에게 한글에 대한 관심과 함께 심미감을 유발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의 12x13x1 조합의 육면체는 자음블록과 모음블록을 스펀지나 부드러운 플라스틱 재질로 만들어 어린이집이나 유치원 등에서 매트로 사용하는 경우 아이들이 안전하게 뛰어놀면서 한글을 익힐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한글학습 기능을 구비한 퍼즐블록을 이용하여 3x4x13 조합의 육면체를 제작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a 내지 도 3c에 도시된 3x4x13 조합의 육면체는 12x13x1 조합의 육면체 와 마찬가지로 본 발명에 따른 자음블록과 모음블록을 모두 사용하여야만 구현할 수 있다.
먼저,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3x4x13 조합의 육면체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먼저 제1블록(1), 제2블록(2), 제14블록(14), 제20블록(20), 제22블록(22), 제4블록(4), 제18블록(18), 제9블록(9) 및 제13블록(13)으로 제1단을 형성한다.
이후,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7블록(17), 제6블록(6), 제10블록(10), 제15블록(15), 제12블록(12) 및 제16블록(16)으로 제2단을 형성한다.
마지막으로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8블록(8), 제17블록(17), 제19블록(19), 제21블록(21), 제5블록(5), 제3블록(3), 제24블록(24) 및 제11블록(11)을 결합하여 3x4x13 조합의 육면체를 제작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e는 본 발명에 따른 한글학습 기능을 구비한 퍼즐블록을 이용하여 5x5x5 조합의 육면체를 제작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5x5x5 조합의 육면체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먼저 제13블록(13), 제7블록(7), 제12블록(12), 제18블록(18), 제11블록(11), 제3블록(3) 및 제8블록(8)으로 제1단을 형성한다.
이후 도 4b 내지 도 4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0블록(10), 제15블록(15), 제17블록(17), 제6블록(6), 제14블록(14), 제24블록(24), 제2블록(2), 제4블록(4), 제16블록(16), 제5블록(5), 제1블록(1), 제9블록(9) 및 제23블록(23)을 차례로 결합한다.
5x5x5 조합의 육면체를 제작하는 경우에는 제19블록(19), 제20블록(20), 제 21블록(21) 및 제22블록(22)은 사용되지 않는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에 따른 한글학습 기능을 구비한 퍼즐블록을 이용하여 4x4x4 조합의 육면체를 제작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4x4x4 조합의 육면체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먼저 제11블록(11), 제15블록(15), 제10블록(10), 제13블록(13) 및 제24블록(24)으로 제1단을 형성한다. 이후 도 5b 내지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8블록(8), 제7블록(7), 제2블록(2), 제6블록(6), 제23블록(23) 및 제17블록(17)을 차례로 결합한다.
도 6a 내지 도 6d는 본 발명에 따른 한글학습 기능을 구비한 퍼즐블록을 이용하여 피라미드 형상의 입체를 제작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한글학습 기능을 구비한 퍼즐블록을 이용하여 숫자를 표시한 도면이다.
도 6a 내지 도 6d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한글학습 기능을 구비한 퍼즐블록을 이용하여 제작할 수 있는 입체형상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 외에 여러 가지 모양으로 변형이 가능하다.
비록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한글학습 기능을 구비한 퍼즐블록의 자음블록과 모음블록을 적절히 배치하는 경우 알파벳의 형상으로 구현이 가능하여 알파벳 학습에 사용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 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입체적 형상의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한글학습 기능을 구비한 퍼즐블록의 자음블록과 모음블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한글학습 기능을 구비한 퍼즐블록을 이용하여 제작된 12x13x1 조합의 육면체의 평면도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한글학습 기능을 구비한 퍼즐블록을 이용하여 3x4x13 조합의 육면체를 제작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 내지 도 4e는 본 발명에 따른 한글학습 기능을 구비한 퍼즐블록을 이용하여 5x5x5 조합의 육면체를 제작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에 따른 한글학습 기능을 구비한 퍼즐블록을 이용하여 4x4x4 조합의 육면체를 제작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a 내지 도 6d는 본 발명에 따른 한글학습 기능을 구비한 퍼즐블록을 이용하여 피라미드 형상의 입체를 제작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한글학습 기능을 구비한 퍼즐블록을 이용하여 숫자를 표시한 도면이다.

Claims (10)

  1. 한글의 자음 형상으로 이루어진 복수개의 자음블록; 및
    한글의 모음 형상으로 이루어진 복수개의 모음블록을 구비하며,
    상기 복수개의 자음블록과 복수개의 모음블록을 조합하여 다양한 입체형상을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학습 기능을 구비한 퍼즐블록.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음블록은
    한글 자음 'ㄱ'자를 형상화한 제1블럭;
    한글 자음 'ㄴ'자를 형상화한 제2블럭;
    한글 자음 'ㄷ'자를 형상화한 제3블럭;
    한글 자음 'ㄹ' 자를 형상화한 제4블럭;
    한글 자음 'ㅁ' 자를 형상화한 제5블럭;
    한글 자음 'ㅂ' 자를 형상화한 제6블럭;
    한글 자음 'ㅅ' 자를 형상화한 제7블럭;
    한글 자음 'ㅇ' 자를 형상화한 제8블럭;
    한글 자음 'ㅈ' 자를 형상화한 제9블럭;
    한글 자음 'ㅊ'자를 형상화한 제10블럭;
    한글 자음 'ㅋ' 자를 형상화한 제11블럭;
    한글 자음 'ㅌ' 자를 형상화한 제12블럭;
    한글 자음 'ㅍ' 자를 형상화한 제13블럭; 및
    한글 자음 'ㅎ' 자를 형상화한 제14블럭;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학습 기능을 구비한 퍼즐블록.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음블록은
    한글 모음 'ㅏ'자를 형상화한 제15블럭;
    한글 모음 'ㅑ'자를 형상화한 제16블럭;
    한글 모음 'ㅓ'자를 형상화한 제17블럭;
    한글 모음 'ㅕ' 자를 형상화한 제18블럭;
    한글 모음 'ㅡ' 자를 형상화한 제23블럭; 및
    한글 모음 'ㅣ' 자를 형상화한 제24블럭;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학습 기능을 구비한 퍼즐블록.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모음블록은
    한글 모음 'ㅗ' 자를 형상화한 제19블럭;
    한글 모음 'ㅛ' 자를 형상화한 제20블럭;
    한글 모음 'ㅜ' 자를 형상화한 제21블럭; 및
    한글 모음 'ㅠ' 자를 형상화한 제22블럭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학습 기능을 구비한 퍼즐블록.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블록은 정육면체인 단위블록 세 개가 수평으로 차례로 연결되고 우측 단위블록의 저면에 상기 단위블록 두 개가 수직으로 차례로 연결된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블록은 상기 단위블록 세 개가 수평으로 차례로 연결되고 좌측 단위블록의 평면에 상기 단위블록 한 개가 수직으로 연결된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3블록은 상기 단위블록 세 개가 수직으로 차례로 연결되고 상부 단위블록의 우측면에 상기 단위블록 한 개가 수평으로 연결되고, 하부 단위블록의 우측면에 상기 단위블록 한 개가 수평으로 연결된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4블록은 상기 단위블록 두 개가 수평으로 차례로 연결되고 우측 단위블록의 저면에 단위블록 두 개가 수직으로 차례로 연결되고, 상기 수직으로 결합된 두 개의 단위블록 중 하부 단위블록의 좌측면에 단위블록 한 개가 수평으로 연결되고, 상기 좌측면에 연결된 단위블록의 저면에 단위블록 두 개가 수직으로 차례로 연결되고, 상기 수직으로 연결된 두 개의 단위블록 중 하부 단위블록의 우측면에 단위블록 한 개가 수평으로 연결된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5블록은 상기 단위블록 두 개가 수평으로 차례로 연결되고 좌측 단위블록 및 우측 단위블록의 저면에 각각 단위블록이 수직으로 연결된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6블록은 상기 단위블록 세 개가 수평으로 차례로 연결되고 세 개의 단위블록 중 우측 단위블록 및 좌측 단위블록의 평면에 각각 단위블록이 수직으로 연결되고, 수평으로 연결된 세 개의 단위블록의 저면에 각각 단위블록이 수직으로 연결된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7블록은 상기 단위블록 세 개가 수직으로 차례로 연결되고 세 개의 단위블록 중 가운데 단위블록의 우측면에 단위블록이 수평으로 연결된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8블록은 상기 단위블록 세 개가 수평으로 차례로 연결되고 세 개의 단위블록의 저면에 각각 단위블록 두 개가 수직으로 차례로 연결되어 형성된 육면체의 모서리가 라운드 처리된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9블록은 상기 단위블록 세 개가 수직으로 차례로 연결되고 상부 단위블록의 좌측면에 단위블록 한 개가 수평으로 연결되고 가운데 단위블록의 우측면에 단위블록이 수평으로 연결된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0블록은 상기 단위블록 세 개가 수직으로 차례로 연결되고 상부 단위블록의 좌측면에 단위블록 한 개가 수평으로 연결되고, 상기 수평으로 연결된 단위블록의 평면에 단위블록 한 개가 수직으로 연결되고, 수직으로 차례로 연결된 세 개의 단위블록 중 가운데 단위블록의 우측면에 단위블록이 수평으로 연결된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1블록은 상기 단위블록 네 개가 수직으로 차례로 연결되고 상기 수직으로 결합된 네 개의 단위블록 중 첫 번째 및 세 번째 단위블록의 좌측면에 단위블록 한 개가 각각 수평으로 연결된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2블록은 상기 단위블록 다섯 개가 수직으로 차례로 연결되고 상기 수직으로 결합된 다섯 개의 단위블록 중 첫 번째, 세 번째 및 다섯 번째 단위블록의 우측면에 단위블록 한 개가 각각 수평으로 연결된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3블록은 상기 단위블록 네 개가 수평으로 차례로 연결되고, 상기 수평으로 연결된 네 개의 단위블록 중 두 번째 및 세 번째 단위블록의 저면에 단위블록 두 개가 각각 수직으로 연결되고 상기 수직으로 각각 연결된 두 개의 단위블록중 좌측 단위블록의 좌측면에 하나의 단위블록이 수평으로 연결되고 두 개의 단위블록중 우측 단위블록의 우측면에 하나의 단위블록이 수평으로 연결된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4블록은 상기 단위블록 세 개가 수평으로 차례로 연결되고, 상기 수평으로 연결된 세 개의 단위블록의 저면에 각각 단위블록이 수직으로 연결되어 형성된 육면체의 모서리를 라운드 처리하고, 상기 수평으로 연결된 세 개의 단위블록의 평면에 각각 단위블록 수직으로 연결되고 상기 수직으로 연결된 단위블록 중 가운데 블록의 평면에 단위블록이 수직으로 연결된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학습용 블록.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5블록은 정육면체인 단위블록 네 개가 수직으로 차례로 연결되고 상기 수직으로 차례로 연결된 단위블록 중 두 번째 단위블록의 우측면에 상기 단위블록 한 개가 수평으로 연결된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6블록은 상기 단위블록 다섯 개가 수직으로 차례로 연결되고 상기 수직으로 차례로 연결된 단위블록중 두 번째 및 네 번째 단위블록의 우측면에 단위블록 한 개가 각각 수평으로 연결된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7블록은 상기 단위블록 세 개가 수직으로 차례로 연결되고 가운데 단위블록의 좌측면에 단위블록 두 개가 수평으로 차례로 연결된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8블록은 상기 단위블록 다섯 개가 수직으로 차례로 연결되고 상기 수직으로 차례로 연결된 단위블록 중 두 번째 및 네 번째 단위블록의 좌측면에 단위블록 두 개가 각각 수평으로 연결된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3블록은 상기 단위블록 세 개가 수평으로 차례로 연결된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4블록은 상기 단위블록 네 개가 수직으로 차례로 연결된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학습 기능을 구비한 퍼즐블록.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9블록은 상기 단위블록 다섯 개가 수평으로 차례로 연결되고 상기 수평으로 차례로 연결된 다섯 개의 단위블록 중 중앙의 단위블록의 평면에 단위블록 두 개가 수직으로 차례로 연결된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0블록은 상기 단위블록 다섯 개가 수평으로 차례로 연결되고 상기 수평으로 차례로 연결된 다섯 개의 단위블록 중 두 번째 단위블록의 평면에 단위블록 두 개가 수직으로 차례로 연결되고, 네 번째 단위블록의 평면에 단위블록 한 개 가 수직으로 연결된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1블록은 상기 단위블록 다섯 개가 수평으로 차례로 연결되고 상기 수평으로 차례로 연결된 다섯 개의 단위블록 중 좌측에서 두 번째 단위블록의 저면에 단위블록 두 개가 수직으로 차례로 연결된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2블록은 상기 단위블록 다섯 개가 수평으로 차례로 연결되고 상기 수평으로 차례로 연결된 다섯 개의 단위블록 중 좌측에서 두 번째 단위블록의 저면에 단위블록 두 개가 수직으로 차례로 연결되고, 좌측에서 네 번째 단위블록의 저면에 단위블록 세 개가 수직으로 차례로 연결된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학습 기능을 구비한 퍼즐블록.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자음블록 및 상기 모음블록을 구성하는 단위블록의 적어도 한 면은 모두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학습 기능을 구비한 퍼즐블록.
  9.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자음블록 또는 상기 모음블록은 목재, 플라스틱합성수지 또는 골판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학습 기능을 구비한 퍼즐블록.
  10.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자음블록 및 상기 모음블록을 이용하여 형성된 입체형상을 이용하여 유아용 매트, 보도블록 또는 타일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학습 기능을 구비한 퍼즐블록.
KR1020090105401A 2009-11-03 2009-11-03 한글학습 기능을 구비한 퍼즐블록 KR1011604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5401A KR101160431B1 (ko) 2009-11-03 2009-11-03 한글학습 기능을 구비한 퍼즐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5401A KR101160431B1 (ko) 2009-11-03 2009-11-03 한글학습 기능을 구비한 퍼즐블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8711A KR20110048711A (ko) 2011-05-12
KR101160431B1 true KR101160431B1 (ko) 2012-06-27

Family

ID=443599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5401A KR101160431B1 (ko) 2009-11-03 2009-11-03 한글학습 기능을 구비한 퍼즐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043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1705B1 (ko) 2011-07-07 2013-01-16 주식회사 세르 블록쌓기 윷놀이 세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2538B1 (ko) * 2011-04-06 2013-09-02 윤충한 언어 학습 퍼즐
KR200469803Y1 (ko) * 2011-11-30 2013-11-13 (주)문화예술에이지 한글 학습용 블록 교구
KR101690984B1 (ko) * 2015-06-03 2016-12-29 김형기 한글을 알리기 위한 특정 구조를 만드는 블럭 세트
CN110444090A (zh) * 2019-09-17 2019-11-12 金莲姬 韩语学习道具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9430Y1 (ko) * 2000-10-13 2001-07-04 안영욱 학습용 조립 블럭
KR200336549Y1 (ko) * 2003-08-18 2003-12-18 안영욱 학습용 조형블럭
KR200418978Y1 (ko) * 2006-04-06 2006-06-14 박세균 정(직)육면체 블럭에 의한 북 형식의 한글교본.
KR20090005883A (ko) 2007-07-10 2009-01-14 박민혜 창의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조립식 퍼즐블록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9430Y1 (ko) * 2000-10-13 2001-07-04 안영욱 학습용 조립 블럭
KR200336549Y1 (ko) * 2003-08-18 2003-12-18 안영욱 학습용 조형블럭
KR200418978Y1 (ko) * 2006-04-06 2006-06-14 박세균 정(직)육면체 블럭에 의한 북 형식의 한글교본.
KR20090005883A (ko) 2007-07-10 2009-01-14 박민혜 창의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조립식 퍼즐블록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1705B1 (ko) 2011-07-07 2013-01-16 주식회사 세르 블록쌓기 윷놀이 세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8711A (ko) 2011-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13680B2 (en) Multi-dimensional puzzle
KR101160431B1 (ko) 한글학습 기능을 구비한 퍼즐블록
CN203235262U (zh) 一种新型插接式组合积木
KR200305655Y1 (ko) 단위블럭을 이용한 유아용 학습용구
KR200389153Y1 (ko) 목재 블럭 완구
KR20190043707A (ko) 창의력 증진을 위한 놀이판이 포함된 블록 놀이세트 및 그것을 이용한 놀이방법
CN201969352U (zh) 穿插积木
KR101302538B1 (ko) 언어 학습 퍼즐
US3564757A (en) Toy corn cob
KR101120740B1 (ko) 영어학습 기능을 구비한 퍼즐블록
CN203648080U (zh) 精密组合积木玩具
KR200496173Y1 (ko) 입체 블록 형성용 놀이완구
KR101024204B1 (ko) 황금분할을 이용한 조립블록
CN219743899U (zh) 鲁班锁
RU216160U1 (ru) Игровой элемент
JP2580444Y2 (ja) パズルブロック玩具
US20080029959A1 (en) Mind teaser 3-D puzzle
KR200222293Y1 (ko) 입체 칠교놀이 조립기구
CN106823409A (zh) 一种开发儿童智力的可搭建城市立体街景的积木
CN200987897Y (zh) 益智拼图玩具
RU124171U1 (ru) Интеллектуальный игровой набор
CN2680322Y (zh) 蜘蛛王拼板
JP3001126U (ja) 魔方陣
JP3045245U (ja) パズル式知育玩具
KR200230690Y1 (ko) 십이교놀이 세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