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1705B1 - 블록쌓기 윷놀이 세트 - Google Patents

블록쌓기 윷놀이 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1705B1
KR101211705B1 KR1020110067522A KR20110067522A KR101211705B1 KR 101211705 B1 KR101211705 B1 KR 101211705B1 KR 1020110067522 A KR1020110067522 A KR 1020110067522A KR 20110067522 A KR20110067522 A KR 20110067522A KR 101211705 B1 KR101211705 B1 KR 1012117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unit
blocks
unit block
do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75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광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르
Priority to KR10201100675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17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17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17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6Patience; Other games for self-amusement
    • A63F9/12Three-dimensional jig-saw puzzles
    • A63F9/1288Sculpture puzz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4Dice; Dice-boxes; Mechanical dice-throw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4Dice; Dice-boxes; Mechanical dice-throwing devices
    • A63F2009/0484Dice with pictures or fig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블록쌓기 윷놀이 세트에 관한 것으로, 상기 도를 나타내는 말로서 하나의 단위 블록을 포함하는 도 블록; 두 개의 단위블록들이 일 면에서 나란히 붙어서 일자형상을 이루는 개 블록; 제1단위블록과 제2단위블록의 일면에서 나란히 붙어 있고, 제1단위블록과 제3단위블록은 상기 제1단위블록과 제2단위블록이 접하는 면과 인접하는 수직한 면에서 붙어서 "ㄴ"자 형상을 이루는 걸 블록; 제1단위블록과 제2단위블록의 일면에서 나란히 붙어 있고, 제1단위블록과 제3단위블록은 상기 제1단위블록과 제2단위블록이 접하는 면과 인접하는 수직한 면에서 붙어 있고, 제4단위블럭은 제2단위블록과 반대쪽에서 제1단위블록과 붙어서 "T"자 형상을 이루는 윷 블록; 제1단위블록에서 인접하는 네면에서 각각 붙어서 "+"자 형상을 이루는 모 블록을 포함하여, 윷을 던져서 나오는 순서에 해당하는 상기 다섯 가지의 블록들을 쌓아서 육면체를 완성한다.

Description

블록쌓기 윷놀이 세트{Cube set of blocks using yut}
본 발명은 블록쌓기 윷놀이 세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윷놀이에서의 도개걸윷모에 해당하는 일정한 형태의 다섯 가지 블록을 지정하고, 다섯 종류의 블록중에서 윷놀이를 시행하면서 윷놀이의 말에 대신에 각각에 해당하는 블록을 이용하여 육면체를 쌓아서 완성하는 윷놀이를 이용한 블록쌓기 장치로서 윷놀이를 즐기면서 공간지각력, 도형 추리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꾸며진 블록쌓기 윷놀이 세트에 관한 것이다.
윷놀이는 척사(擲柶) 또는 사희(柶戱)라고도 하며, 삼국시대 이전부터 전해오는 한국 고유의 민속놀이로 대개 정월 초하루부터 보름날까지 즐긴다. 그 기원을 살펴보면, 5가지 가축을 5부락에 나누어주어 그 가축들을 경쟁적으로 번식시킬 목적에서 비롯된 놀이라고 하며, 그에 연유하여 '도'는 돼지, '개'는 개, '걸'은 양, '윷'은 소, '모'는 말에 비유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윷놀이에 사용되는 기구는 윷, 윷판, 말이 사용된다. 윷은 주로 박달나무나 붉은 통싸리나무로 제작되는데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장작윷은 나무를 대략 15cm 정도로 잘라 이것을 둘로 쪼개서 4개로 제작되고 있다.
윷판은 던져진 윷가락의 결과를 이용해서 말을 놓는 소품으로 말이 머물수 있는 정점과 이것들로 구성된 길이 표시되어 있다.
말은 윷판에 표시되는 참가자의 위치한 상태를 가리키는 소품이며, 한 참가자(또는 편)에 넉 동(4개)씩 주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말은 나무를 깎아 만든 둥근 혹은 각진 토막이나 또는 작은 돌 따위, 혹은 동전이나 바둑알등 참가자(또는 편)을 나타낼 수 있는 작은 소품을 사용한다. 말은 던져진 윷의 결과에 따라서 윷셈과 말길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한편, 어린이와 성인의 지능 발달 또는 놀이, 및 특정 이미지의 광고에도 이용될 수 있는 블록 조립체는 주로 블록을 전체 블록의 이차원적 평면 배열 구조상에 특정 이미지를 도안하여, 전체 블록의 그 특정 이미지를 맞추는 놀이 기능의 2차원 퍼즐형 조립체와, 블록의 3차원적 형상 배열을 달성하는 3차원 블록 쌓기형 조립체와, 이들 조립체의 퍼즐 기능 및 블록 쌓기 기능 조합형 3차원 블록 조립체가 존재한다.
종래의 블록 조립체들은 단일 블록 자체로서 특정 조합을 완성하기 때문에 조작이 단조로우며, 여러 개의 단일 블록으로 이루어진 단위 블록을 사용하더라도 블록 단위의 변형만이 가능하므로 조작이 단조롭고 흥미유발이 어렵게 된다.
한편, 윷놀이와 블록을 결합한 것으로 공개특허공보 2010-129364호의 도1을 참조하면, 주사위 놀이와 동시에 주사위의 육면체 각 면에 윷놀이를 할 수 있도록 한 디스플레이 수단을 마련하고, 주사위를 투척할 때 몸체 내부에서 특정의 음색이 표출될 수 있도록 하여, 단품의 주사위로 주사위 놀이와 윷놀이를 동시에 즐길 수 있도록 한 것이나, 윷놀이의 말을 주사위로 대체한 것으로 블록 쌓기에 대한 흥미 유발을 하지 못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그의 목적은 남녀노소가 함께 윷놀이에 동참하여 즐길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윷놀이의 말판에서 윷셈을 하는 대신에 말에 해당하는 블록을 이용하여 입체적인 육면체를 완성하도록 하여 윷놀이에 따른 흥미유발과 동시에 블록완성을 위한 공간지각력과 도형 추리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블록쌓기 윷놀이 세트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블록쌓기 윷놀이 세트는, 네 개의 윷가락을 던져서 도, 개, 걸, 윷, 모를 구현하는 윷놀이 세트에 있어서, 상기 도를 나타내는 말로서 하나의 단위 블록을 포함하는 도 블록; 상기 개를 나타내는 말로서 두 개의 단위 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두 개의 단위블록들이 일 면에서 나란히 붙어서 일자형상을 이루는 개 블록; 상기 걸을 나타내는 말로서 세 개의 단위 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세 개의 단위 블록은 제1단위블록과 제2단위블록의 일면에서 나란히 붙어 있고, 제1단위블록과 제3단위블록은 상기 제1단위블록과 제2단위블록이 접하는 면과 인접하는 수직한 면에서 붙어서 "ㄴ"자 형상을 이루는 걸 블록; 상기 윷을 나타내는 말로서 네 개의 단위 블록을 포함하고, 제1단위블록과 제2단위블록의 일면에서 나란히 붙어 있고, 제1단위블록과 제3단위블록은 상기 제1단위블록과 제2단위블록이 접하는 면과 인접하는 수직한 면에서 붙어 있고, 제4단위블럭은 제2단위블록과 반대쪽에서 제1단위블록과 붙어서 "T"자 형상을 이루는 윷 블록; 및 상기 모를 나타내는 말로서 다섯 개의 단위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모를 나타내는 말로서 다섯 개의 단위블록을 포함하고, 제1단위블록을 중심으로 하여 제1단위블록에서 인접하는 네 면에서 제2단위블록, 제3단위블록, 제4단위블록, 제5단위블록이 각각 붙어서 "+"자 형상을 이루는 모 블록을 포함하여, 윷가락을 던져서 나오는 순서에 해당하는 상기 다섯 가지 종류의 블록들을 쌓아서 육면체를 완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블록쌓기 윷놀이 세트에 있어서, 상기 다섯 가지 블록은 목재 또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블록쌓기 윷놀이 세트에 있어서, 상기 도 블록, 개 블록, 걸 블록, 윷 블록, 모 블록에는 각각 돼지, 개, 양, 소, 말 그림이 표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윷놀이 말에 해당하는 블록을 이용하여 입체적인 육면체를 완성하도록 함으로써 윷놀이에 따른 흥미유발과 동시에 블록완성을 위한 공간지각력과 도형 추리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특히, 어린이나 학생들에게 흥미 유발과 지능 향상을 위한 교육용, 학습용 교구로서 활용할 수 있는 것이다.
도1은 종래의 옻놀이 겸용 주사위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블록쌓기 윷놀이세트에서의 도개걸윷모에 해당하는 블록 세트의 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블록쌓기 윷놀이세트에서의 블록쌓기의 일실시예이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블록쌓기 윷놀이세트에서의 블록쌓기의 또 다른 실시예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2 본 발명에 따른 블록쌓기 윷놀이세트에서의 도개걸윷모에 해당하는 블록 세트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블록쌓기 윷놀이세트는 통상적인 윷놀이에서 말과 윷판을 대신하여 윷가락을 던져서 나오는 도, 개, 걸, 윷, 모에 해당하는 다섯가지의 블록으로 육면체를 완성하도록 고안된 것이다.
도2를 참조하면, 윷가락을 던져서 나오는 도, 개, 걸, 윷, 모에 해당하는 다섯가지의 블록으로서 도 블록(A), 개 블록(B), 걸 블록(C), 윷 블록(D), 모 블록(E)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도 블록(A)은 도를 나타내는 말을 대신하는 것으로 윷판에서 한 단위를 이동하는 것과 대응하여 하나의 단위 블록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개 블록(B)은 상기 개를 나타내는 말을 대신하는 것으로서 두 개의 단위 블록을 포함하게 된다.
상기 개 블록(B)은 상기 두 개의 단위블록들이 일 면에서 나란히 붙어서 일자형상을 이루고 있다.
또한, 상기 걸 블록(C)은 걸을 나타내는 말을 대신하는 것으로서 제1단위블록(1), 제2단위블록(2), 제3단위블록(3)으로서 세 개의 단위 블록을 포함한다.
상기 세 개의 단위 블록은 제1단위블록(1)과 제2단위블록(2)의 일면에서 나란히 붙어 있고, 제1단위블록(1)과 제3단위블록(3)은 상기 제1단위블록(1)과 제2단위블록(2)이 접하는 면과 인접하는 수직한 면에서 붙어서 "ㄴ"자 형상을 이루게 된다.
또한, 상기 윷 블록(D)은 상기 윷을 나타내는 말 대신에 제1단위블록(1), 제2단위블록(2), 제3단위블록(3), 제4단위블록(4)으로 이루어지는 네 개의 단위 블록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윷 블록(D)은 제1단위블록(1)과 제2단위블록(2)의 일면에서 나란히 붙어 있고, 제1단위블록(1)과 제3단위블록(3)은 상기 제1단위블록(1)과 제2단위블록(2)이 접하는 면과 인접하는 수직한 면에서 붙어 있고, 제4단위블럭(4)은 제2단위블록(2)과 반대쪽에서 제1단위블록(1)과 붙어서 "T"자 형상을 이루게 된다.
또한, 모 블록(E)은 모를 나타내는 말 대신에 제1단위블록(1), 제2단위블록(2), 제3단위블록(3), 제4단위블록(4), 제5단위블록(5)으로 이루어지는 5개의 단위 블록을 포함한다.
상기 모 블록(E)은 제1단위블록(1)을 중심으로 하여 제1단위블록(1)에서 인접하는 네 면에서 제2단위블록(2), 제3단위블록(3), 제4단위블록(4), 제5단위블록(5)이 각각 붙어서 "+"자 형상을 이루게 된다.
도3,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블록쌓기 윷놀이세트에서의 블록쌓기의 실시예들이다.
도3, 도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블록쌓기 윷놀이 세트를 이용한 게임 방법을 설명한다.
참가자가 번갈아 가면서 통상적인 윷가락을 던지면 나오는 순서에 따라, 말에 해당하는 블록을 가지고 빈 공간이 없이 육면체를 쌓아서 완성하는 것이다.
육면체는 3(가로)×3(세로) 육면체, 4(가로)×4(세로) 육면체 등 게임 참여자들이 다양하게 선택하여 게임할 수 있다.
여기에서, 빈 공간이 없이 상기 블록들을 이용하여 1층을 완벽하게 쌓으면 완성하고 윷놀이 게임은 승리하게 된다.
그러나, 빈 공간이 있거나 남은 블록이 생기면 2층으로 쌓아야 되고, 2층에서도 완성이 되지 않으면 3층으로 넘어가는 방식이다.
또한, 4×4, 1층 또는 2층과 같이 처음에 기본 층수를 미리 정하여 게임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3을 참조하면, 4×4, 1층으로 쌓아가다가 단위블록이 하나 모자란 상태에서 윷가락을 던져서 개가 나오면, 상기 개 블록을 여기에 쌓아올리게 된다.
이때, 상기 개 블록을 쌓아 올림으로써 1층은 육면체로 완성되었으나 2층에서 육면체가 미완성된 상태이므로 윷놀이 게임은 계속 진행하게 된다.
또한, 육면체를 완성할 수 있어도 육면체를 쌓고 남아 있는 블록이 있다면 한층을 더 쌓아야 되며 남아 있는 블록이 없어야 승리하여 게임이 종료된다.
도4를 참조하면, 4×4, 1층으로 쌓아가다가 단위블록이 하나 모자란 상태에서 윷가락을 던져서 걸이 나오면, 상기 걸 블록을 여기에 쌓아올리게 된다.
이때, 상기 걸 블록을 쌓아 올림으로써 1층은 육면체로 완성되었으나 2층에서 육면체가 2개의 단위블록이 쌓여진 미완성된 상태이므로 윷놀이 게임은 계속 진행하게 된다.
도3, 도4의 경우에 윷가락을 던져서 도가 나오면 1층 육면체가 완성되므로 게임은 끝나게 된다.
윷놀이 게임은 개인전, 단체전으로 즐길 수 있으며, 같은 편끼리 나온 윷가락에 따라서 블록을 함께 쌓아 나가게 된다.
윷놀이에서처럼, 윷 또는 모가 나오면 게임자는 한 번 더 윷가락을 던질 수 있다.
또한, 윷 또는 모가 나오면 상대방 게임자 중 한사람으로부터 맨 위에 쌓은 블록 1개를 갖고 올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여기에서, 본 발명에 따른 블록쌓기 윷놀이는 다양한 경우의 블록 완성을 이루도록 게임자, 특히 어린이들에게 사고력을 훈련시키도록 하게 된다.
한편, 상기 사용되는 블록들은 보관과 사용이 편리하도록 목재 또는 합성수지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시각적 효과와 교육적 목적을 위하여 상기 도 블록, 개 블록, 걸 블록, 윷 블록, 모 블록에는 각각 돼지, 개, 양, 소, 말 그림이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동물 그림을 블록의 소정 표면에 인쇄하거나 투명한 소재로 블록을 구성하여 동물 형상을 블록 속에 삽입시켜서 표현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A : 도 블록 B : 개 블록
C : 걸 블록 D : 윷 블록
E : 모 블록 1 : 제1단위블록
2 : 제2단위블록 3 : 제3단위블록
4 : 제4단위블록 5 : 제5단위블록

Claims (3)

  1. 네 개의 윷가락을 던져서 도, 개, 걸, 윷, 모를 구현하는 윷놀이 세트에 있어서,
    상기 도를 나타내는 말로서 하나의 단위 블록을 포함하는 도 블록;
    상기 개를 나타내는 말로서 두 개의 단위 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두 개의 단위블록들이 일 면에서 나란히 붙어서 일자형상을 이루는 개 블록;
    상기 걸을 나타내는 말로서 세 개의 단위 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세 개의 단위 블록은 제1단위블록과 제2단위블록의 일면에서 나란히 붙어 있고, 제1단위블록과 제3단위블록은 상기 제1단위블록과 제2단위블록이 접하는 면과 인접하는 수직한 면에서 붙어서 "ㄴ"자 형상을 이루는 걸 블록;
    상기 윷을 나타내는 말로서 네 개의 단위 블록을 포함하고, 제1단위블록과 제2단위블록의 일면에서 나란히 붙어 있고, 제1단위블록과 제3단위블록은 상기 제1단위블록과 제2단위블록이 접하는 면과 인접하는 수직한 면에서 붙어 있고, 제4단위블럭은 제2단위블록과 반대쪽에서 제1단위블록과 붙어서 "T"자 형상을 이루는 윷 블록; 및
    상기 모를 나타내는 말로서 다섯 개의 단위블록을 포함하고, 제1단위블록을 중심으로 하여 제1단위블록에서 인접하는 네 면에서 제2단위블록, 제3단위블록, 제4단위블록, 제5단위블록이 각각 붙어서 "+"자 형상을 이루는 모 블록을 포함하여, 윷가락을 던져서 나오는 순서에 해당하는 상기 다섯 가지 종류의 블록들을 쌓아서 육면체를 완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쌓기 윷놀이 세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섯 가지 블록은 목재 또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쌓기 윷놀이 세트.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도 블록, 개 블록, 걸 블록, 윷 블록, 모 블록에는 각각 돼지, 개, 양, 소, 말 그림이 표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쌓기 윷놀이 세트.
KR1020110067522A 2011-07-07 2011-07-07 블록쌓기 윷놀이 세트 KR1012117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7522A KR101211705B1 (ko) 2011-07-07 2011-07-07 블록쌓기 윷놀이 세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7522A KR101211705B1 (ko) 2011-07-07 2011-07-07 블록쌓기 윷놀이 세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11705B1 true KR101211705B1 (ko) 2013-01-16

Family

ID=478408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7522A KR101211705B1 (ko) 2011-07-07 2011-07-07 블록쌓기 윷놀이 세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170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2906A (ko) 2017-01-11 2018-07-19 주식회사 세르 변형 주사위를 이용한 블록 게임 세트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29364A (ko) * 2009-05-30 2010-12-09 최강수 놀이용 주사위 장치
KR101160431B1 (ko) 2009-11-03 2012-06-27 피동훈 한글학습 기능을 구비한 퍼즐블록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29364A (ko) * 2009-05-30 2010-12-09 최강수 놀이용 주사위 장치
KR101160431B1 (ko) 2009-11-03 2012-06-27 피동훈 한글학습 기능을 구비한 퍼즐블록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2906A (ko) 2017-01-11 2018-07-19 주식회사 세르 변형 주사위를 이용한 블록 게임 세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45089B2 (en) Apparatus for a board game
KR101211705B1 (ko) 블록쌓기 윷놀이 세트
JP3161491U (ja) ステップアップ「学習」パズル
KR20070055888A (ko) 카드 바둑기구
US20150352433A1 (en) Quaternity Chess
CN203325276U (zh) 益智性桌上游戏教具
KR200271322Y1 (ko) 다기능 교육용 놀이 학습기구
KR20150007181A (ko) 학습 기능을 갖는 젠가
CN214512707U (zh) 一种搭建策略型积木益智玩具
JP3237725U (ja) 立体3目並べ
JP6802538B1 (ja) マジックスクエア
ES2307404B1 (es) Tableros de ajedrez modulares.
CN205460906U (zh) 磁力竞赛棋
KR20200106137A (ko) 주사위 게임
KR20180048468A (ko) 가위 바위 보 보드 게임
KR20050109225A (ko) 개량된 주사위 및 그 주사위를 이용한 게임 방법
JP2020010809A (ja) ボードゲームセット
Majgaard et al. Playtesting the digital playground
Cabrera A School Board Games Club: How To Resource The Games
Cabrera Board Games Club: All You Need To Start A School Board Games Club
TW202126356A (zh) 分身、跳躍、攻擊遊戲棋盤及電腦程式
KR20110007996A (ko) 확률을 이용한 3차원 오목 게임
TWM548577U (zh) 十二生肖健康卡遊戲裝置
IES86504B2 (en) A board game apparatus
JPH054857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