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0690Y1 - 십이교놀이 세트 - Google Patents

십이교놀이 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0690Y1
KR200230690Y1 KR2020010002653U KR20010002653U KR200230690Y1 KR 200230690 Y1 KR200230690 Y1 KR 200230690Y1 KR 2020010002653 U KR2020010002653 U KR 2020010002653U KR 20010002653 U KR20010002653 U KR 20010002653U KR 200230690 Y1 KR200230690 Y1 KR 20023069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welve
play
present
cut
piec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265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동식
Original Assignee
차동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동식 filed Critical 차동식
Priority to KR202001000265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069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06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0690Y1/ko

Links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십이교놀이 세트에 관한 것으로, 전통적으로 전래되어 오던 칠교놀이 및 본 출원인의 선등록고안인 십교놀이 세트에서의 단점을 보완하고 더욱 창의적으로 개선하여 영어나 한글 등의 다양한 글자나 숫자, 길다란 물체나 꽃잎 또는 공룡과 같은 네발 달린 동물 등 어떠한 물체도 표현이 가능하도록 한 것으로, 정사각형을 대각선으로 2등분하고, 양쪽 직각삼각형을 다시 한쪽 모서리에서 등각으로 2등분하며, 재차 2등분 된 양측의 절개선이 접하는 변에 닿도록 상기 대각선에 직각으로 교차되도록 절개시키고, 이 교차점에 접하도록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절개시켜서 12개의 작은 도형으로 된 십이교놀이 조각(1,2,3,4,5,6,7,8,9,10, 11,12)으로 이루어져 현시대를 살고 있는 어린이들이 관심을 갖고 있는 사물을 표현하는데 적합하도록 함으로써 어린이들의 창의력과 공간지각력, 연상능력 및 수학적 사고력을 향상시켜 줄 수 있고, 지루하지 않으므로 오랫동안 갖고 놀 수 있어 집중력과 인내심도 놀이를 통해 자연스럽게 길러 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십이교놀이 세트 {TANGRAM SET CONSIST OF DOZEN PIECES}
본 고안은 십이교놀이 세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통적으로 전래되어 오던 칠교놀이에서의 단점을 보완하고, 본 출원인의 선등록실용신안 제218939호의 십교놀이 세트를 개량하여 대칭형태의 모든 물체, 기하학적인 형상, 알파벳이나 숫자, 한글의 자음과 모음 등을 쉽게 나타낼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교육적인 효과를 높이고 어린이들의 창조력과 상상력을 무한하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어린이의 놀이기구는 플라스틱제 장난감 및 완구들이 개발 판매되고 있으며, 이러한 놀이기구들 중 총이나 로봇, 인형 등과 같은 장난감들은 미리 완성된 제품을 판매하거나 또는 각 부품의 조립을 통해 완성된 제품을 이루게 된다.
한편, 이와 같은 장난감들은 교육적인 측면은 전혀 배제된 상태에서 단순한 오락기구에 지나지 않아 정서와 지능함양에 중요한 시기의 어린이들에게 그다지 좋지 않은 영향을 끼치는 결과를 초래하고 있는 것이 주지의 사실이다.
한편, 근래에는 전통적으로 내려오던 놀이기구를 복원하여 어린이들의 정서와 교육에 도움이 되는 길을 모색하고 있는데, 이중에서 칠교놀이는 기원전 중국에서 비롯되어 우리나라로 전해진 것으로, 이는 어린이들 뿐만 아니라 어른들 사이에도 널리 이용되었던 것인데, 비단 단순한 놀이기구로서 뿐만 아니라 이러한 놀이를 통해서 공간지각력, 창의력, 인내심 등 다양한 지적능력을 향상시키고 정서함양에도 가치가 있는 것이었으나, 근세에 들어 물밀듯이 유입되는 서양의 놀이기구 및 다양한 장난감 들로 말미암아 사라졌던 것이었다. 그러나, 최근에 들어와서 그 가치의 재평가와 우수성의 인식을 통해 다시 복원되게 된 점은 여간 다행스러운 일이 아닐수 없다.
상기한 칠교놀이에 대하여는 국내 공개실용신안 제98-58271호, 동공개 제99-41201호 및 동공개 제99-34705호 등에 개시되어 있다.
한편, 상기한 칠교놀이는 7개의 조각 즉, 크고작은 이등변삼각형 블럭 5개, 정사각형 블럭 1개, 평행사변형 블럭 1개를 맞추어 도형을 만드는 것이었으므로 만들어진 모양이 현시대의 사물을 전부 표현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고, 단지 옛날 물건이나 자연물의 도형화만이 가능하였으므로 어린이들에게 흥미와 관심을 불러일으키기가 어려운 단점이 있었으며, 7개의 도형으로 만들어진 모양이 매우 추상적이어서 불분명하였고, 비교적 복잡한 형태, 즉 꽃잎이나 공룡과 같이 네발 달린 동물 등의 표현이 않되어 어린이들이 표현가능할 수 있는 모양이 비교적 적은 단점이 있었다.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본 출원인은 실용신안등록 제218939호의 십교놀이 세트를 개발하여 학교 및 교육현장에서 어린이들이 가지고 놀 수 있도록 해 본바, 종래의 칠교놀이세트에 비해 표현할 수 있는 영역이 학대되고 어린이들도 흥미를 가지고 놀면서 자연스럽게 창의력, 공간지각력, 연상능력 및 수학적 사고능력이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본 출원인의 선등록고안을 좀더 개선하여 표현역역을 꽃, 화살표, 보석, 비행기 등의 대칭형 물체, 기하학적인 형상, 아라비아 숫자, 알파벳, 한글의 자음과 모음 까지도 자연스럽게 표현할 수 있도록 확대함으로써 어린이들이 갖고 놀면서 자연스럽게 창의력, 공간지각력, 연상능력, 수학적 사고능력 및인내심 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정사각형을 대각선으로 2등분하고, 양쪽 직각삼각형을 다시 한쪽 모서리에서 등각으로 2등분하며, 재차 2등분 된 양쪽의 절개선이 접하는 변에 닿도록 상기 대각선에 직각으로 교차되도록 절개시키고, 이 교차점에 접하도록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절개시켜서 12개의 작은 도형으로 이루어진 십이교놀이 조각으로 이루어진 십이교놀이 세트를 제공한다.
본 고안은 본 출원인의 선등록실용신안 제218939호의 십교놀이 형태에서 큰 직각삼각형 도형과 사다리꼴 도형을 한번 더 절단하여 전체 12조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대각선을 중심으로 양측에 6쌍의 동일한 형태의 도형이 되도록 함으로써 대칭형태의 모든 물체의 표현이 가능하도록 하고, 가늘고 긴 형상을 쉽게 표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글자나 숫자 또는 각종 심벌 등의 자유로운 표현이 가능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십이교놀이 세트의 12조각의 결합상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십이교놀이 세트의 12조각의 모서리 각도 표시도,
도 3 내지 도 12는 본 고안에 의한 십이교놀이 세트로 만들어지는 모양의 다양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3,4,5,6,7,8,9,10,11,12 : 십이교놀이 조각
R : 정사각형 L1 : 대각선(1차 절개선)
C : 모서리 L2,L3 : 2차 절개선
D,D' : 변 L4 : 3차 절개선
E : 교차점 L5,L6 : 4차 절개선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십이교놀이 세트를 도시한 결합상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소정크기를 갖는 정사각형을 대각선으로 2등분하고, 양쪽 직각삼각형을 다시 한쪽 모서리에서 등각으로 2등분하며, 재차 2등분 된 양쪽의 절개선이 접하는 변에 닿도록 상기 대각선에 직각으로 교차되도록절개시키고, 이 교차점에 접하도록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절개시켜서 12개의 작은 도형으로 된 십이교놀이 조각(1,2,3,4,5,6,7,8,9,10,11,12)으로 이루어진 12교놀이 세트이다.
본 고안은 여기에 더하여 상기한 본 출원인의 선등록고안에서와 같은 보드를 구비할 수도 있다.
본 고안의 십이교놀이 조각(1,2,3,4,5,6,7,8,9,10,11,12)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크기를 갖는 정사각형(R)을 대각선(1차 절개선; L1)으로 2등분하고, 양쪽 직각삼각형을 다시 한쪽 모서리(C)에서 등각이 되는 2차 절개선(L2,L3)으로 각각 2등분하며, 재차 2등분 된 2차 절개선(L2,L3)이 접하는 변(D,D')에 일치되도록 상기 대각선(L1)에 직각으로 교차되는 3차 절개선(L4)으로 절개시키고, 상기 대각선(L1)과 3차 절개선(L4)의 교차점(E)에 접하도록 수평 및 수직방향의 4차 절개선(L5,L6)으로 절개시켜서 12개의 작은 도형(1,2,3,4,5,6,7,8,9,10,11,12)으로 분할시킨 것으로, 이는 대각선(L1)을 경계로 각각 동일한 형태의 도형 1과 2, 도형 3과 4, 도형 5와 6, 도형 7과 8, 도형 9와 10, 도형 11과 12가 대칭을 이루도록 한 것으로, 이는 크고작은 삼각형 10개(1,2,3,4,7,8,9,10,11,12)와 2개의 사다리꼴 조각(5,6)으로 이루어져 있다.
도 2는 본 고안을 이루는 12개 조각의 각 모서리 각도를 표시한 것으로, 본 고안을 이루는 각 조각들의 모서리 각도는 가장 작은 각인 22.5도를 단위로 하여 그 2배인 45도, 3배인 67.5도, 4배인 90도, 5배인 112.5도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와같이 각 조각들의 모서리의 각도가 22.5도의 공배수로만 이루어져 있으므로 조각들의 결합에 의해 만들어지는 형태는 다양하고, 여기서 만들어지는 형태는 짜임새있는 기하적인 형태를 이루게 된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보드는 테두리에 장식을 새기거나 입혀 전체적으로 액자와 같은 형태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드의 전면에는 배경이 될 수 있도록 색채를 가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의 십이교놀이 조각들은 각기 색상을 다르게 하므로써 전체적으로 색채감각을 향상시킬 수도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십이교놀이 세트로 만들 수 있는 모양은 무한하며,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의해 만들어지는 도형의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십이교놀이 세트로 만들어지는 대칭형 도형들을 몇가지 예를 들어 도시한 것으로, 바람개비, 바람개비의 변형, 다양한 형태의 다이아몬드, 화살표, 꽃, 가위 등 좌우대칭형이나 사방 대칭형의 물품을 표현하는데 적합하며, 특히 표현된 물품은 기하학적으로도 완벽한 형태를 이루고 있어 어린이들이 사물을 기하학적으로 분석하고 표현하는 능력을 높여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십이교놀이 세트로 만들어지는 숫자의 예를 도시한 것으로, 숫자 1은 여기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본 고안의 십이교놀이세트는 가늘고 길게 늘어놓으면 숫자 1이 표시될 수 있고,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분적으로 구부림으로써 표현하고자 하는 숫자를 자유자재로 만들 수 있다.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십이교놀이 세트로 만들어지는 한글 자음중의 ㄹ,ㅁ,ㅂ,ㅍ 등을 도시한 것으로, 이또한 도4의 설명에서와 같이 가늘고 길게 늘어놓고이를 글자 획수에 맞게 분할하여 배치함으로써 한글자음의 표시가 가능하게 된다.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십이교놀이 세트로 만들어지는 한글 가,너,도 등을 표시한 것으로, 받침이 없는 글자는 대부분 표현이 가능하므로 유아들의 공간지각력향상에 사용됨과 더불어 한글교육용 교재로도 활용할 수 있다.
도 7은 본 고안에 의한 십이교놀이 세트로 만들어지는 알파벳중 B,E,M,O,P 등을 도시한 것으로, 본 고안의 십이교놀이 세트는 영문 알파벳모두가 표현가능하므로 기초영어교육용 교재로도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도 8은 본 고안에 의한 십이교놀이 세트로 만들어지는 동물모양으로, 도 8에 도시된 것은 코뿔소의 다양한 동작을 표현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는데, 유유히 걸어가는 동작, 잠시 멈춘 상태, 그리고 달리는 동작을 실감나게 표현할 수 있으며, 도 9는 도 8에서와 마찬가지로 여우 또는 고양이의 다양한 포즈를 표현하고 있는바, 동물의 다양한 동작과 함께 보조적으로 눈이나 수염을 부가시키면 감정까지도 적절히 표현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의한 십이교놀이 세트로 만들어본 집의 형태를 도시한 것으로, 다 기울어져 가는 초가집의 형태, 부잣집의 형태, 일반적인 집의 형태 등 하나의 주제로도 다양한 형태로의 표현이 가능함을 보여준다.
도 11 또한 본 고안에 의해 표현해 본 자동차의 다양한 형태를 보여주고 있는데, 스포츠카, 승용차, 트럭 등을 자유자재료 표현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것은 가늘고 긴 사물인 지팡이, 촛불, 로켓 등으로써 본 고안의 12조각을 이용하여 표현하지 못할 것이 없음을 보여주고 있으며, 각각의 모양이 매우 실제와 가깝고 각 모양의 자세가 다양하게 변화 가능함을 보여주고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십이교놀이 세트는 본 출원인의 선등록고안인 십교놀이세트를 더욱 발전시켜서 된 것으로, 기존 십교놀이 세트에서 표현할 수 있는 것은 모두 다 표현이 가능함은 물론, 12개의 작은 조각들은 모두 자신의 짝이 있어서 대칭의 형상을 쉽게 완성시킬 수 있으며, 모든 조각(긴 삼각형, 사다리꼴, 이등변삼각형, 작은 이등변삼각형)의 한쪽 변은 작은 직각이등변삼각형의 한변과 일치하는 길이이므로 모든 도형들은 일렬로 길에 늘어 놓을 수 있고, 가늘고 긴 형태, 아라비아 숫자, 알파벳, 한글의 모음과 자음의 형태를 쉽게 완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처럼 본 고안의 십이교놀이 세트는 매우 다양한 형태의 모습을 만들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만들어진 모습이 매우 사실적이어서 표현하고자 하는 바를 직접적으로 표출할 수 있으므로 어린이들이 흥미와 관심을 가지고 장시간 동안 갖고 놀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며, 만들어진 물건의 형상이 과거에는 없던 현시대의 어린이들이 관심을 갖는 사물을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으므로 흥미진진한 놀이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전통적으로 전래되어 오던 칠교놀이 및 본 출원인의 선등록고안인 십교놀이 세트에서의 단점을 보완하고 더욱 창의적으로 개선하여 길다란 물체나 꽃잎 또는 공룡과 같은 네발 달린 동물을 비롯한 각종 물체는 물론 각종 문자나 숫자 등이 자유롭게 표현가능하므로 교육적인 효과의 향상은물론 어린이들이 관심을 갖고 있는 사물을 표현하는데 적합하므로 어린이들의 창의력과 공간지각력 및 수학적 사고력을 향상시켜 줄 수 있고, 지루하지 않으므로 오랫동안 갖고 놀 수 있어 집중력과 인내심도 놀이를 통해 자연스럽게 길러 줄 수 있는 등의 실용적인 효과를 갖는다.

Claims (1)

  1. 소정크기를 갖는 정사각형(R)을 대각선(L1)으로 2등분하고, 양쪽 직각삼각형을 다시 한쪽 모서리(C)에서 등각이 되는 2차 절개선(L2,L3)으로 각각 2등분하며, 재차 2등분 된 2차 절개선(L2,L3)이 접하는 변(D,D')에 일치되도록 상기 대각선(L1)에 직각으로 교차되는 3차 절개선(L4)으로 절개시키고, 상기 대각선(L1)과 3차 절개선(L4)의 교차점(E)에 접하도록 수평 및 수직방향의 4차 절개선(L5,L6)으로 절개시켜서 12개의 작은 도형(1,2,3,4,5,6,7,8,9,10,11,12)으로 분할시켜 상기 대각선(L1)을 경계로 각각 동일한 형태의 도형 1과 2, 도형 3과 4, 도형 5와 6, 도형 7과 8, 도형 9와 10, 도형 11과 12가 대칭을 이루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십이교놀이 세트.
KR2020010002653U 2001-02-05 2001-02-05 십이교놀이 세트 KR20023069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2653U KR200230690Y1 (ko) 2001-02-05 2001-02-05 십이교놀이 세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2653U KR200230690Y1 (ko) 2001-02-05 2001-02-05 십이교놀이 세트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4056A Division KR100475483B1 (ko) 2002-05-02 2002-05-02 십이교놀이 세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0690Y1 true KR200230690Y1 (ko) 2001-07-19

Family

ID=730626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2653U KR200230690Y1 (ko) 2001-02-05 2001-02-05 십이교놀이 세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069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637217A (en) Puzzle with pieces in the form of subdivided rhombuses
Inomjonovna SPECIFIC CHARACTERISTICS OF MAKING TOYS FROM CLAY AND PLASTICLINE IN PRESCHOOL EDUCATIONAL ORGANIZATION
Inomjonovna EFFECTIVENESS OF BUILDING-MAKING AND WORKING WITH CLAY TECHNOLOGY IN PRE-SCHOOL EDUCATIONAL ORGANIZATION
Bragdon Projective ornament
Zuckerman Historical overview and classification of traditional and digital learning objects
KR101160431B1 (ko) 한글학습 기능을 구비한 퍼즐블록
KR100475483B1 (ko) 십이교놀이 세트
KR200230690Y1 (ko) 십이교놀이 세트
KR20210109398A (ko) 조립식 블록완구 소자 및 그 소자를 이용한 조립식 블록완구 세트
Kamaruddin et al. Developing Fine Motor Skills in Early Childhood through Plasticine Media
KR20200097145A (ko) 유아 한글쓰기 학습용 교구
US2399566A (en) Toy
KR200218939Y1 (ko) 십교놀이 세트
KR20130042175A (ko) 프랙털 원리를 이용한 퍼즐 조립체
Parkinson Re-constructing the construction kit--re-constructing childhood: a synthesis of the influences which have helped to give shape and form to kit-based construction activities in the primary school classroom
US6464556B1 (en) Pedagogical children's doll
JP2580444Y2 (ja) パズルブロック玩具
KR20010095344A (ko) 유아용 미술교재
JP2004203008A (ja) 多様面体及びその組立治具
CN2680322Y (zh) 蜘蛛王拼板
Samadovna Methods of teaching preschool children to draw
CN2603467Y (zh) 汉字立体结构玩教具
Olson Little workers of the kindergarten
KR200377064Y1 (ko) 마술용구
CN206950631U (zh) 一种七巧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50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