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5270Y1 - 학습용 유희구 - Google Patents

학습용 유희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5270Y1
KR200375270Y1 KR20-2004-0033117U KR20040033117U KR200375270Y1 KR 200375270 Y1 KR200375270 Y1 KR 200375270Y1 KR 20040033117 U KR20040033117 U KR 20040033117U KR 200375270 Y1 KR200375270 Y1 KR 20037527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learning
guide groove
play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311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복숙
Original Assignee
김복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복숙 filed Critical 김복숙
Priority to KR20-2004-003311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527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52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5270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00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00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 G09B1/02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 G09B1/16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the elements each bearing a plurality of different symbols, signs, or combinations of symbols and signs, only one symbol, sign, or combination thereof, of each element to be used at a time
    • G09B1/18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the elements each bearing a plurality of different symbols, signs, or combinations of symbols and signs, only one symbol, sign, or combination thereof, of each element to be used at a time the elements being rotatabl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00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 G09B1/02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 G09B1/16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the elements each bearing a plurality of different symbols, signs, or combinations of symbols and signs, only one symbol, sign, or combination thereof, of each element to be used at a time
    • G09B1/28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the elements each bearing a plurality of different symbols, signs, or combinations of symbols and signs, only one symbol, sign, or combination thereof, of each element to be used at a time the elements being slidabl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미취학 유아나 아동들이 인지발달에 필요한 창의력은 물론 수리력, 공간지각력 등 수학적 개념의 형성과 언어 및 감성의 발달에도 큰 교육효과를 가져오게 하는 학습교구에 관한 것으로, 소정의 정방형으로 구성되는 상판과 하판; 상기 상판과 하판의 외측벽에 형성하여 구비되는 가이드홈; 상기 가이드홈에 내입되어 각각의 프레임을 지지 및 상호작용 할 수 있도록 하는 연결끈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용 유희구에 관한 것이다.
상·하판이 상호 결합하는 방식으로 형성되는 각 프레임 6개가 한조를 이루고, 각 프레임 내측에 구비되는 가이드홈 및 상·하판 외측면을 경유하면서 위치조작을 반복형성하는 3가닥의 연결끈이 상호작용함으로써 각 프레임이 180°회동범위각을 갖게 되는 작용방식으로 학습효과의 향상에 일조할 수 있다.

Description

학습용 유희구{Merrymaking for learning}
본 고안은 유아용 학습교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아 인지발달에 필요한 주의력, 관찰력, 구성력, 이해력, 사고력, 판단력 등을 지루하지 않고 보다 능동적으로 교육시킬 수 있는 아동의 학습용 유희구에 관한 것이다.
아동은 자발적으로 자유롭게 놀이를 하고, 체계적으로 놀이교육을 받으면서 언어, 사회성, 지성, 신체, 감각과 같은 자신의 기본 능력을 발달시키게 된다.
일반적으로, 아동의 효과적인 교육을 위한 주요영역은 입체, 면, 선, 점의 4가지 영역으로 나뉘며 3차원의 세계(입체)에서 2차원의 세계(면), 1차원의 세계(선)의 순으로 배열되고, 모양이 단순한 것에서 복잡한 것으로, 구체적인 것에서 추상적인 것으로, 가벼운 것에서 무거운 것으로, 잘 알려진 것에서 덜 알려진 것으로 나아가는 것을 지향함으로써, 아이들이 재미있게 놀면서도 창의력은 물론 수리력, 공간지각력 등 수학적 개념의 형성과 언어 및 감성의 발달에도 큰 교육효과를 가져오게 한다.
또한, 본 고안의 학습용 유희구는 완성된 교구가 아니라, 사물을 기본적인 입체, 면, 선, 점으로 표현할 수 있어 만들려고 생각하는 것은 얼마든지 만들 수 있고 새로운 것을 창조할 수도 있다.
미취학 유아 및 아동은 놀이감을 통하여 자기를 표현할 수 있으며, 놀이감을 가지고 놀면서 발달할 수 있다. 아동의 활동적 본능을 바르게 길러주기 위해서는우선 아동에게 이상적인 놀이감을 주고 그 놀이감에 의해서 자기 스스로의 창조력을 키워나가는 훈련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이에 적합한 놀이감은 복잡하거나 이미 완성된 것이 아닌 단순한 기본형이어야 하며, 이 단순함 속에서도 다양한 것을 함축하고 있어야 한다. 그리고, 놀이감은 기본형에서 새로운 것을 창조해 나가는데 필요한 논리, 수리적인 요소를 함축하고 있어야 한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이 학습용 유희구에 요구되는 기능을 제공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정형화 되지 않은 형상으로 인해 아동의 의지대로 자유로운 표현이 가능하여 자발적인 참여를 높힘으로써, 이상적인 교육효과의 지향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상판과 하판이 상호 결합하여 하나의 프레임을 형성하는 방식으로 모두 6개의 프레임이 한 조가 되고, 상기 프레임 각각의 내측에는 소정의 폭과 깊이를 갖는 가이드홈을 구비하여 연결끈을 내입함으로써, 이들 프레임을 유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구성한 학습용 유희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례에 따른 학습용 유희구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례에 따른 학습용 유희구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례에 따른 학습용 유희구가 앞뒤 접지가능함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례에 따른 프레임을 확대한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례에 따른 프레임이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
도 6(a)(b)(c)(d)(e)(f)는 본 고안이 적용된 학습용 유희구의 다양한 작용상태를 도시한 실시례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상판 20. 하판
30. 제1프레임 31.가이드홈
32. 제2프레임 33. 제3프레임
34. 제4프레임 35. 제5프레임
36. 제6프레임 40,40a. 연결끈
41. 돌기부 42. 통공
100. 학습용 유희구 본체 300. 프레임
본 고안은 미취학 유아 및 아동에게 심신의 발달과 더불어 능동적인 사고와 탐구력을 향상시켜 학습 흥미를 고무시킴과 동시에 교육의 효과를 극대화시키는데 주안점을 두고, 자신의 의지대로 직접 손으로 조작하게 함으로써 문제 해결력과 대응력이 효과적으로 발달하게 되어 사고력을 증진시키고, 다양한 활동성을 만족시키며 물체의 조작, 눈과 손의 협응력, 잡기, 쥐기 등의 소근육 발달에도 효과가 있는 학습용 유희구를 제안하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학습용 유희구의 바람직한 구성과 실시예를 설명하고, 본 고안에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례에 따른 학습용 유희구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례에 따른 학습용 유희구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례에 따른 학습용 유희구가 앞뒤 접지가능함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례에 따른 프레임을 확대한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례에 따른 프레임이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 도 6(a)(b)(c)(d)(e)(f)는 본 고안이 적용된 학습용 유희구의 다양한 작용상태를 도시한 실시례 도면이다.
본 고안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방형을 갖으며 프레임(300)을 형성하는 상판(10)과 하판(20); 상기 상판과 하판이 결합하기 위한 돌기부(41)와 통공(42); 상기 상·하판의 외측벽에 형성된 가이드홈(31); 상기 가이드홈에 내입되어 각각의 프레임(300)을 지지 및 상호작용 할 수 있도록 하는 연결끈(40,40a)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프레임(300)을 구성하는 상판(10)과 하판(20)은 상호간 맞물려 밀착되어 고정되는 방식인 바, 상판 내측면에는 돌기부(41)가 형성되고 상기 돌기부가 하판 내측면에 요입됨으로써 끼움에 의해 결합할 수 있도록 통공(42)을 구비하여 보다 견고하게 밀착시켜서 결합하게 하고, 상기 상판과 하판의 형상은 본 고안의 실시례에서 보인 정방형 뿐만 아니라, 원형 내지 다각형의 형상으로 제작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프레임(300)은 목재로도 제조가 가능하나, 합성수지로 제조되어 대량생산에 용이할 뿐만 아니라, 그 표면이 부드러운 특성이 있어서 각종 부주의로 인한 사고에 노출되어 있는 아이들이 사용함에 더욱 안전하고 실용적이다.
상기 가이드홈(31)은 각각의 프레임을 지지 및 상호작용하도록 체결되는 연결끈(40,40a)이 상판(10)과 하판(20) 접착면에 위치함으로 인해 연결끈의 두께만큼 불필요한 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상판과 하판이 견고하게 밀착되지 못하는 점을 해소하고자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판과 하판 내측면 소정공간에 일정한 폭과 깊이를 갖추어 상기 가이드홈(31)을 형성함으로써 이 공간에 끈이 외부와 간섭없이 내입될 수 있도록 하며, 각각의 프레임을 연결 매듭하는 연결끈(40,40a)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즉, 본 고안 학습용 유희구는 도 1과 같이 상기 프레임을 연결끈의 매듭으로 엮어서 외형을 형성하는 바, 연결끈이 각 프레임을 연결 지지하는 구성이며, 최소 6개의 프레임이 한 조를 형성하여 유기적인 작용으로 도 6(a)(b)(c)(d)(e)(f)와 같은 다양한 형상들을 표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프레임 개수는 8개, 10개, 12개 등 개수의 변화를 주어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으나, 본 고안의 사용대상인 미취학 유아나 아동들이 쉽게 손으로 잡아서 조작할 수 있어야 하는 사실에 주안점을 두어 가장 적절한 개수가 최소 6개란 점을 의미하는 것이지, 프레임의 개수를 6개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6(a)(b)(c)(d)(e)(f)와 같은 각종 형상을 표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3가닥의 연결끈(40,40a)으로 구성되고, 상기 연결끈은 각 프레임 양끝단과 중앙부에 위치하게 되어 상호 유기적인 작용을 하게 된다.
상세히 설명하면, 도 2에서와 같이 중앙부에 위치하는 연결끈(40)은 제1프레임(30) 내측면에 접착수단으로 고정된 다음, 제1프레임 상판 외측면을 경유하여 제2프레임(32)에 도달하게 되고, 제2프레임 가이드홈을 따라 내부로 관통하여 제3프레임(33)에 이르게 된 후, 제3프레임 하판 외측면을 경유하여 다시 제3프레임 가이드홈으로 유입되어 역행한 다음, 제2프레임(32)과 맞닿는 지점에서 외부로 노출되고, 제3프레임(33) 상판을 경유하여 제4프레임(34)에 도달하게 된다. 제4프레임에 도달한 연결끈(40)은 가이드홈을 따라 관통하여 제5프레임(35) 하판 외측면을 경유한 후, 제5프레임 가이드홈으로 유입되어 역행하고 다시 제5프레임 상판 외측면을 따라 경유하여 제6프레임(36) 가이드홈으로 유입되어 고정되는 방식으로 작용한다.
한편, 상기 각 프레임 양끝단에 위치하는 연결끈(40a)은 중앙부에 구비되는 연결끈(40)과 상반되게 위치하며, 제1프레임(30) 내측에서 고정되어 제2프레임(32) 상판 외측면을 따라 경유하고 제2프레임 가이드홈을 따라 내부에서 역행하여 제1프레임과 맞닿는 지점에서 외부로 노출되어 제2프레임 하판 외측면을 경유하여 제3프레임(33) 가이드홈에 유입되는 방식으로 구성되며, 제4,5,6 프레임도 동일한 방식으로 작용하게 됨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다.
상기한 구성으로 연결끈(40,40a)이 구비된 본 고안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판 외측면을 경유하는 연결끈의 상호 작용으로 회동의 자유로움을 제한하지 않아서 앞·뒤로 180° 회동범위각을 갖는다.
즉, 프레임 외측면을 경유하는 중앙부 연결끈(40)이 프레임 일측면에 밀착된 상태로 존재하게 되면, 프레임 양끝단에 위치하여 외측면을 경유하는 연결끈(40a)이 몸체와 이격되면서 경유한 거리만큼의 연결끈이 펴지게 되어 해당 프레임은 180°회동범위각을 갖게 되며, 상기한 경우와 반대로 프레임 외측면을 경유하는 양끝단 연결끈(40a)이 몸체와 밀착되어 있으면, 프레임 외측면을 경유하는 중앙부 연결끈(40)이 몸체와 분리되면서 해당 프레임은 회동이 가능하게 된다.
이로써, 중앙부와 양끝단에 위치한 연결끈(40,40a)이 상호 작용하여 도 6(a)(b)(c)(d)(e)(f)와 같은 다양한 형상들을 표현할 수 있는 것이며, 보관이나 소지할 때에도 각각의 프레임을 앞뒤로 젖혀 밀착되게 접을 수 있는 특성을 활용함으로써 부피를 줄일 수 있도록 하여 편의성이란 잇점도 부각시킨다.
본 고안이 적용된 학습용 유희구의 다양한 작용상태를 도시한 실시례 도면 6(a)(b)(c)(d)(e)(f)을 살펴보면, (a)는 교각 내지 긴의자를 표현한 것이고, (b)는 등을 진 의자, (c)는 집, (d)는 사람모양, (e)는 청소하는 모습, (f)는 가지가 있는 꽃 모양을 표현한 것이다.
특히, 도 6(f)와 같이 다소 복잡한 형상을 지닌 사물을 표현함에 있어서는, 본 고안의 학습용 유희구를 2조 이상 사용하여 6개의 프레임으로 표현함에 부족한 부분을 보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특징이 있는 학습용 유희구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이 연결끈의 간단한 위치조작으로 회동이 자유로운 학습용 유희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며, 미취학 유아나 아동들이 자신의 의지대로 직접 손으로 조작하여 다양한 사물을 표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능동적인 태도를 함양시킬 수 있도록 하고, 체계적으로 놀이교육을 받으면서 언어, 사회성, 지성, 신체, 감각과 같은 자신의 기본 능력을 발달시킴에 효과가 탁월한 교구이다.

Claims (3)

  1. 미취학 유아나 아동들이 인지발달에 필요한 창의력과 수리력, 공간지각력 등 수학적 개념의 형성과 언어 및 감성의 발달을 가져오게 하는 학습용 유희구에 있어서,
    상기 학습용 유희구 본체로 구성되는 프레임은 소정의 정방형으로 구성되며, 상판과 하판의 내측에 소정의 돌기부와 통공을 형성하여 상호 끼움에 의해 결합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한편 다수의 프레임을 연결끈의 매듭으로 엮어서 학습용 유희구 본체를 이루도록 하는 바, 상기 연결끈은 3가닥을 한 조로 하여 각각의 프레임의 상판과 하판 사이를 경유하면서 엮도록 하되, 각각의 프레임은 180°회동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용 유희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프레임을 연결 매듭하는 연결끈의 이탈을 방지하고자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상판과 하판의 외측벽에 가이드홈을 형성하여 연결끈이 경유하도록 하는 구성을 더 포함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용 유희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최소한 6개를 한 조로 구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용 유희구.
KR20-2004-0033117U 2004-11-23 2004-11-23 학습용 유희구 KR20037527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3117U KR200375270Y1 (ko) 2004-11-23 2004-11-23 학습용 유희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3117U KR200375270Y1 (ko) 2004-11-23 2004-11-23 학습용 유희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5270Y1 true KR200375270Y1 (ko) 2005-02-07

Family

ID=494458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3117U KR200375270Y1 (ko) 2004-11-23 2004-11-23 학습용 유희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527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7392B1 (ko) * 2010-01-21 2012-06-15 최미숙 회전중심변환기능을 갖는 카드조합체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7392B1 (ko) * 2010-01-21 2012-06-15 최미숙 회전중심변환기능을 갖는 카드조합체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esio The need for play for the sake of play
Besio et al. The challenge of a research network on play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Danko-McGhee Nurturing aesthetic awareness in young children: Developmentally appropriate art viewing experiences
Bruce The whole child
White et al. What makes a good outdoor environment for young children
US6790118B2 (en) Block set for educational purposes
KR101336672B1 (ko) 기하학적 조립식 완구 및 그 연결방법
KR200375270Y1 (ko) 학습용 유희구
Richardson Creating a Space to Grow: the process of developing your outdoor learning environment
KR20210109398A (ko) 조립식 블록완구 소자 및 그 소자를 이용한 조립식 블록완구 세트
KR200465045Y1 (ko) 영어 학습 교구
Abdubannonovna Sand therapy-one of the methods of art therapy
Shree et al. Play: World of children
KR200371841Y1 (ko) 아동용 학습 놀이구
Whyte et al. Teaching approaches exploring multiple pathways to holistic development.
Hall et al. What can we learn through careful observation of infants and toddlers in nature?
KR200496173Y1 (ko) 입체 블록 형성용 놀이완구
KR102203529B1 (ko) 성냥 모형을 이용한 유아용 학습용 교구
CN201815119U (zh) 二十拼块
KR102026835B1 (ko) 매쓰 큐브 교구
KR102493300B1 (ko) 멀티 탄성 블럭
Solly Following in Froebel's footsteps
CN101673474A (zh) 榫接式拼块
Roemer FROM THE PAST PRESIDENT
Willoughby Outdoor Play Matters: The Benefits of Outdoor Play for Young Childr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127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