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2266U - 조립용 완구의 각도조절유닛 - Google Patents

조립용 완구의 각도조절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2266U
KR20230002266U KR2020220001247U KR20220001247U KR20230002266U KR 20230002266 U KR20230002266 U KR 20230002266U KR 2020220001247 U KR2020220001247 U KR 2020220001247U KR 20220001247 U KR20220001247 U KR 20220001247U KR 20230002266 U KR20230002266 U KR 2023000226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gle adjustment
assembly toy
adjustment unit
connection
ang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2000124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용수
최지원
Original Assignee
최용수
최지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용수, 최지원 filed Critical 최용수
Priority to KR202022000124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02266U/ko
Publication of KR2023000226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2266U/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10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by means of additional non-adhesive elements
    • A63H33/106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by means of additional non-adhesive elements with rotation, e.g. of bayonet typ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10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by means of additional non-adhesive elements
    • A63H33/107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by means of additional non-adhesive elements using screws, bolts, nails, rivets, clamp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10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by means of additional non-adhesive elements
    • A63H33/12Perforated strips or the like assembled by rods, bolts, or the lik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5/00Model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09B23/00,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Abstract

조립용 완구의 각도조절유닛이 제공된다. 조립용 완구의 각도조절유닛은, 제1 부재와 제2 부재 및 제1 부재와 제2 부재를 연결하고, 제1 부재 또는 제2 부재의 회전을 안내하는 회전 안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조립용 완구의 각도조절유닛{Angle adjustment unit for assembling toy}
본 고안은 조립용 완구의 각도조절유닛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야외용 무대를 소형화하여 여러 가지 형태로 구현해볼 수 있는 조립용 완구의 각도조절유닛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대는 연극, 무용, 음악회 등을 공연하기 위해 객석과 구별하여 만들어 놓은 장소로서 주로 객석보다 높게 되어 있다.
특히, 야외용 무대는 주로 일정 높이를 갖는 무대용 패널 부재를 연속적으로 결합시키고 그 위에 바닥판이나 카펫 등을 깔아 놓음으로써 일정 높이를 형성할 수 있으므로 다수의 관객이 보다 용이하게 관람할 수도 있도록 설치된다.
그러나 설치된 야외용 무대가 연출자의 의도대로 세팅되지 않은 경우, 야외용 무대의 변경이나 수정이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야외용 무대를 소형화시키고 시뮬레이션(simulation)을 해볼 수 있음은 물론 여러 가지 형태로 만들어 구현해볼 수 있는 조립용 완구의 각도조절유닛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68132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1-0104958호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야외용 무대를 축소하여 시뮬레이션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무대장치의 디자인을 구현해볼 수 있는 조립용 완구의 각도조절유닛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연출자가 원하는 대로 무대를 구현할 수 있는 조립용 완구의 각도조절유닛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고안의 과제들은 이상에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용 완구의 각도조절유닛은, 제1 부재와 제2 부재 및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제2 부재를 연결하고, 상기 제1 부재 또는 상기 제2 부재의 회전을 안내하는 회전 안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부재는, 판으로 형성되거나 'ㄱ'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부재에 배치된 제1 결합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결합공과 동일 선상으로 상기 제1 부재에서 돌출되는 제1 연결리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부재에 구비되어 조립용 완구의 구성품의 결합을 안내하는 제1 연결 결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 결합부는, 상기 제1 부재에 돌출된 연결 결합돌기 또는 상기 제1 부재에 요입된 연결 결합홈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제2 부재에 배치된 제2 결합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결합공과 동일 선상으로 상기 제2 부재에서 돌출되는 제2 연결리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부재에 구비되어 조립용 완구의 구성품의 결합을 안내하는 제2 연결 결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연결 결합부는, 상기 제2 부재에 돌출된 연결 결합돌기 또는 상기 제2 부재에 요입된 연결 결합홈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회전 안내부는, 상기 제1 부재의 일측 단부와 상기 제2 부재의 일측 단부를 연결하는 연결편일 수 있다.
상기 연결편은 편리브일 수 있다.
상기 회전 안내부는, 상기 제1 부재의 일측 단부에서 연장된 제1 연장리브와, 상기 제2 부재의 일측 단부에서 연장된 제2 연장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연장리브와 상기 제2 연장리브 내부의 축공에 결합되는 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 안내부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상기 제1 부재 또는 상기 제2 부재의 회전각도를 조절하고, 조절된 회전각도를 지지하는 각도 조절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각도 조절부는, 상기 제1 부재 또는 상기 제2 부재 중 어느 하나의 부재에 관통된 각도조절 체결공 및 상기 각도조절 체결공에 체결되면서 다른 하나의 부재를 밀어올리는 제1 각도 조절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도 조절부는, 상기 제1 부재 및 상기 제2 부재의 단부에 돌출되고, 내부에 각도 조절공이 관통된 각도조절 안내편 및 상기 각도조절 안내편의 각도 조절공에 결합되는 제2 각도 조절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각도 조절부재는, 케이블타이일 수 있다.
상기 각도 조절부는, 상기 제1 부재 및 상기 제2 부재에서 각각 연장된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너트 및 상기 너트에 체결되는 제3 각도 조절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각도 조절부재는, 각도 조절봉의 중앙을 중심으로 일측의 각도 조절봉에 구비된 왼 나사산과, 상기 각도 조절봉의 중앙을 중심으로 타측의 각도 조절봉에 구비된 오른 나사산 및 상기 각도 조절봉의 중앙에 구비되고, 상기 각도 조절봉을 회전시키는 손잡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부재 또는 제2 부재 중 어느 하나의 부재를 받쳐 지지하는 받침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받침유닛은, 받침부 및 상기 받침부에 구비된 받침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받침부를 받쳐 지지하는 받침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용 완구의 각도조절유닛에 의하면, 야외용 무대를 축소하여 시뮬레이션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무대장치의 디자인을 구현해볼 수 있다.
또한, 연출자가 원하는 대로 무대를 구현할 수 있으므로 두뇌 발달과 창의성의 시너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용 완구의 각도조절유닛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1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용 완구의 각도조절유닛의 부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 내지 도 1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용 완구의 각도조절유닛의 각도 조절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참조하여 구체적인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용 완구의 각도조절유닛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 내지 도 1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용 완구의 각도조절유닛부재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13 내지 도 1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용 완구의 각도조절유닛의 각도 조절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용 완구의 각도조절유닛(100)은, 제1 부재(110), 제2 부재(120), 회전 안내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조립용 완구의 각도조절유닛(100)은 각도 조절부(140) 및 받침유닛(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도 5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조립용 완구의 각도조절유닛(100)을 설명하고, 조립용 완구의 각도조절유닛(100)에 받침유닛(150)이 체결되는 구조는 후술하도록 한다. 제1 부재(110)는 사각 형상의 판으로 형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부재(110)는 정사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직사각 형상, 육각 형상, 팔각 형상, 'ㄱ'자 형상 제2 부재(120)가 안착되도록 단차를 갖는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부재(110)는 제1 결합공(11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결합공(111)은 제1 부재(110) 내부를 관통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결합공(111)은 제1 부재(110)의 상면과 하면을 수직으로 관통하며 형성될 수 있다. 제1 결합공(111)은 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정삼각 형상, 정사각 형상, 직사각 형상, 육각 형상, 팔각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결합공(111)은 음각의 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는 일 예시이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기둥 결합부의 결합홈은 다양한 음각 패턴으로 함몰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부재(110)는 제1 연결리브(1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연결리브(112)는 제1 부재(110)의 일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연결리브(112)는 제1 결합공(111)과 동일 선상으로 제1 부재(110)의 일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연결리브(112)에는 다양한 조립완구 구성품들이 연결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연결리브(112)는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삼각형, 사각형, 육각형, 팔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연결리브(112)는 제1 부재(110)와 체결 및 분리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고,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연결리브(112)는 제1 부재(110)와 일체형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여기서, 제1 부재(110)의 일면은 제2 부재(120)와 접촉되지 않는 면을 의미할 수 있고, 제1 부재(110)의 타면은 제2 부재(120)와 접촉되는 면을 의미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부재(110)의 일면은 제1 부재(110)의 상면으로 정의될 수 있고,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부재(110)의 타면은 제1 부재(110)의 하면으로 정의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연결리브(112)의 외면은 산과 골이 반복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연결리브(112)의 외면은 다수의 돌출패턴이 배치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제1 연결리브(112)의 외면이 산과 골이 반복되는 형태로 이루어지거나 제1 연결리브(112)의 외면에 다수의 돌출 패턴이 배치되는 경우, 제1 연결리브(112)가 조립용 완구의 구성품들과 체결된 상태에서 외력에 의한 충격으로 제1 연결리브(112)의 형상이 변경되거나 부러지는 등의 손상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연결리브(112)는 제1 부재(110)에서 돌출된 테두리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원형 테두리 형상, 삼각 테두리 형상, 사각 테두리 형상, 육각 테두리 형상, 팔각 테두리 형상 등 다양한 테두리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부재(110)는 제1 연결 결합부(1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연결 결합부(113)는 제1 부재(110)의 상면에 구비되어 조립용 완구의 구성품의 결합을 안내할 수 있다. 제1 연결 결합부(113)와 조립용 완구의 구성품의 결합은 단추방식, 핀방식, 측면 핀방식, 볼트방식, 자석방식, 벨크로 방식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도면에 나타난 연결 방식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연결 결합부(113)는 연결 결합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결합돌기는 제1 부재(110)에 돌출되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연결 결합돌기는 제1 부재(110) 상면의 각 모서리에 돌출되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연결 결합돌기는 제1 부재(110)의 하면, 측면 등에 배치될 수 있고, 모서리가 아닌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연결 결합돌기의 외면은 산과 골이 반복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몇몇 실시예에서 연결 결합돌기의 외면은 다수의 돌출 패턴이 배치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연결 결합돌기의 외면이 산과 골이 반복되는 형태로 이루어지거나 연결 결합돌기의 외면에 다수의 돌출 패턴이 배치되는 경우, 연결 결합돌기가 조립용 완구의 구성품들과 체결된 상태에서 외력에 의한 충격으로 연결 결합돌기의 형상이 변경되거나 부러지는 등의 손상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연결 결합돌기는 반원기둥 형상, 삼각기둥 형상, 사각기둥 형상, 육각기둥 형상, 팔각기둥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연결 결합부(113)는 연결 결합홈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 결합홈은 제1 부재(110)에 요입되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연결 결합홈은 제1 부재(110) 상면의 각 모서리에 요입되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연결 결합홈은 제1 부재(110)의 하면, 측면 등에 배치될 수 있고, 모서리가 아닌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연결 결합홈에 조립용 완구의 구성품들이 체결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연결 결합홈은 반원기둥 형상, 삼각기둥 형상, 사각기둥 형상, 육각기둥 형상, 팔각기둥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 결합홈은 음각의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는 일 예시이며, 이에 한정되는 아니다. 몇몇 실시예에서 연결 결합홈은 다양한 음각 패턴으로 함몰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연결 결합돌기의 제1 부재(110) 일측에 형성될 수 있고, 연결 결합홈은 제1 부재(110) 타측에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제1 부재(110)에 연결 결합돌기와 연결 결합홈이 같이 형성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연결 결합돌기의 제1 부재(110) 일측의 모서리에 형성될 수 있고, 연결 결합홈은 제1 부재(110) 타측의 모서리에 형성될 수도 있다.
제2 부재(120)는 사각 형상의 판으로 형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부재(120)는 정사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직사각 형상, 육각 형상, 팔각 형상, 제1 부재(110)의 단차진 홈에 안착되는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부재(120)는 제2 결합공(12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결합공(121)은 제2 부재(120)를 관통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결합공(121)은 제2 부재(120)의 상면과 하면을 수직으로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2 결합공(121)은 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정삼각 형상, 정사각 형상, 직사각 형상, 육각 형상, 팔각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결합공(121)은 음각의 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는 일 예시이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기둥 결합부의 결합홈은 다양한 음각 패턴으로 함몰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부재(120)는 제2 연결리브(1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연결리브(122)는 제2 부재(120)의 일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연결리브(122)는 제2 결합공(121)과 동일 선상으로 제2 부재(120)의 일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연결리브(122)에는 다양한 조립완구 구성품들이 연결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연결리브(122)는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삼각형, 사각형, 육각형, 팔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연결리브(122)는 제2 부재(120)와 체결 및 분리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고, 몇몇 실시예에서 제2 연결리브(122)는 제2 부재(120)와 일체형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여기서, 제2 부재(120)의 일면은 제2 부재(120)와 접촉되지 않는 면을 의미할 수 있고, 제2 부재(120)의 타면은 제2 부재(120)와 접촉되는 면을 의미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부재(120)의 일면은 제1 부재(120)의 상면으로 정의될 수 있고, 몇몇 실시예에서 제2 부재(120)의 타면은 제2 부재(120)의 하면으로 정의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연결리브(122)의 외면은 산과 골이 반복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몇몇 실시예에서 제2 연결리브(122)의 외면은 다수의 돌출패턴이 배치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제2 연결리브(122)의 외면이 산과 골이 반복되는 형태로 이루어지거나 제2 연결리브(122)의 외면에 다수의 돌출 패턴이 배치되는 경우, 제2 연결리브(122)가 조립용 완구의 구성품들과 체결된 상태에서 외력에 의한 충격으로 제2 연결리브(122)의 형상이 변경되거나 부러지는 등의 손상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연결리브(122)는 제2 부재(120)에서 돌출된 테두리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원형 테두리 형상, 삼각 테두리 형상, 사각 테두리 형상, 육각 테두리 형상, 팔각 테두리 형상 등 다양한 테두리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부재(120)는 제2 연결 결합부(1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연결 결합부(123)는 제2 부재(120)의 상면에 구비되어 조립용 완구의 구성품의 결합을 안내할 수 있다. 제2 연결 결합부(123)와 조립용 완구의 구성품의 결합은 단추방식, 핀방식, 측면 핀방식, 볼트방식, 자석방식, 벨크로 방식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도면에 나타난 연결 방식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연결 결합부(123)는 연결 결합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결합돌기는 제2 부재(120)에 돌출되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연결 결합돌기는 제2 부재(120) 상면의 각 모서리에 돌출되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연결 결합돌기는 제2 부재(120)의 하면, 측면 등에 배치될 수 있고, 모서리가 아닌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연결 결합돌기의 외면은 산과 골이 반복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몇몇 실시예에서 연결 결합돌기의 외면은 다수의 돌출 패턴이 배치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연결 결합돌기의 외면이 산과 골이 반복되는 형태로 이루어지거나 연결 결합돌기의 외면에 다수의 돌출 패턴이 배치되는 경우, 연결 결합돌기가 조립용 완구의 구성품들과 체결된 상태에서 외력에 의한 충격으로 연결 결합돌기의 형상이 변경되거나 부러지는 등의 손상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연결 결합돌기는 반원기둥 형상, 삼각기둥 형상, 사각기둥 형상, 육각기둥 형상, 팔각기둥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연결 결합부(123)는 연결 결합홈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 결합홈은 제2 부재(120)에 요입되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연결 결합홈은 제2 부재(120) 상면의 각 모서리에 요입되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연결 결합홈은 제1 부재(110)의 하면, 측면 등에 배치될 수 있고, 모서리가 아닌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연결 결합홈에 조립용 완구의 구성품들이 체결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연결 결합홈은 반원기둥 형상, 삼각기둥 형상, 사각기둥 형상, 육각기둥 형상, 팔각기둥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 결합홈은 음각의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는 일 예시이며, 이에 한정되는 아니다. 몇몇 실시예에서 연결 결합홈은 다양한 음각 패턴으로 함몰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연결 결합돌기의 제2 부재(120) 일측에 형성될 수 있고, 연결 결합홈은 제2 부재(120) 타측에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제2 부재(120)에 연결 결합돌기와 연결 결합홈이 같이 형성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연결 결합돌기의 제2 부재(120) 일측의 모서리에 형성될 수 있고, 연결 결합홈은 제2 부재(120) 타측의 모서리에 형성될 수도 있다.
회전 안내부(130)는 제1 부재(110)와 제2 부재(120)를 연결하고, 제1 부재(110) 또는 제2 부재(120)의 회전을 안내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회전 안내부(130)는 제1 부재(110)와 제2 부재(120)를 연결하는 연결편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연결편은 제1 부재(110)의 일측 단부와 제2 부재(120)의 일측 단부를 연결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연결편은 편리브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카드 등과 같이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를 연결하는 편리브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연결편은 제1 부재(110)의 일측 단부와 제2 부재(120)의 일측 단부를 연결하는 바(Bar)형태일 수 있고, 몇몇 실시예에서 연결편은 제1 부재(110)의 일측 단부와 제2 부재(120)의 일측 단부를 일정 간격 이격되며 연결하는 다수의 구성 각편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몇몇 실시예에서 회전 안내부(130)는 리브와 축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리브는 제1 부재(110)의 일측 단부에서 연장된 제1 연장리브와, 제2 부재(120)의 일측 단부에 연장된 제2 연장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연장리브와 제2 연장리브는 지그재그로 형성되고, 제1 연장리브와 제2 연장리브 내부에 축공이 관통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축은 제1 연장리브와 제2 연장리브의 축공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축을 중심으로 제1 부재(110) 또는 제2 부재(120)가 회전될 수 있다.
이하, 각도 조절부(140)의 다양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몇몇 실시예에서 각도 조절부(140)는 각도조절 체결공(141), 제1 각도 조절부재(142)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각도조절 체결공(141)은 제1 부재(110) 또는 제2 부재(120) 중 어느 하나의 부재에 관통되고,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각도 조절부재(142)는 각도조절 체결공(141)에 체결되는 부재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각도 조절부재(142)는 볼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각도 조절부재(142)가 각도조절 체결공(141)에 체결되면서 각도조절 체결공(141)이 형성되지 않은 다른 하나의 부재를 밀어올림으로써 다른 하나의 부재를 상향으로 회전시키고, 회전된 다른 하나의 부재를 지지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각도 조절부재(142)는 핀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1 각도 조절부재(142)가 핀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 제1 각도 조절부재(142)의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을 수도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몇몇 실시예에서 각도 조절부(140)는 회전 안내부(130)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1 부재(110) 또는 제2 부재(120)의 회전각도를 조절하고, 조절된 회전각도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도 14를 참조하면, 몇몇 실시예에서 각도 조절부(140')는 각도조절 안내편(143), 제2 각도 조절부재(144)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각도조절 안내편(143)은 회전 안내부(130) 타측의 제1 부재(110) 및 제2 부재(120)의 단부에 돌출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각도조절 안내편(143)은 각도 조절공을 포함할 수 있다. 각도 조절공은 각도조절 안내편(143) 내부에 관통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각도 조절부재(144)는 각도 조절공에 결합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각도 조절부재(144)는 케이블타이(cable tie)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각도 조절부재(144)가 각도 조절공을 결합될 때, 제2 각도 조절부재(144)인 케이블타이에 형성된 경사면이 각도 조절공 내면에 밀착되어 변형되면서 각도 조절공을 통과하고, 각도 조절공을 통과한 경사면은 원래의 상태로 복원되는 과정을 반복할 수 있다. 또한, 케이블타이가 각도 조절공에 결합되면, 케이블타이의 경사면 사이에 위치한 홈이 각도조절 안내편(143)에 걸림으로써 제1 부재(110)와 제2 부재(120)의 회전각도를 조절함은 물론 회전된 각도를 지지할 수 있다. 여기서, 케이블타이의 경사면은 케이블타이에 일방향으로 형성되거나 양측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각도조절 안내편(143)과 제2 각도 조절부재(144)는 제1 부재(110) 및 제2 부재(120)의 단부에 일정간격 이격되게 복수로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도 15를 참조하면, 몇몇 실시예에서 각도 조절부(140")는 제3 각도 조절부재(147), 너트(146), 연결부(145)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3 각도 조절부재(147)는 각도 조절봉의 중앙을 중심으로 일측의 각도 조절봉의 외주면에 왼 나사산이 구비되고, 각도 조절봉의 중앙을 중심으로 타측의 각도 조절봉의 외주면에 오른 나사산이 구비되며, 각도 조절봉의 중앙에 각도 조절봉을 회전시키는 손잡이가 구비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너트(146)는 제3 각도 조절부재(147)의 왼 나사산에 체결되는 제1 너트와 제3 각도 조절부재(147)의 오른 나사산에 체결되는 제2 너트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너트 및 제2 너트는 제3 각도 조절부재(147)의 정방향 회전에 따라 왼 나사산과 오른 나사산을 각각 따라 회전하면서 제1 너트와 제2 너트의 간격이 좁아지거나 제3 각도 조절부재(147)의 역방향 회전에 따라 제1 너트와 제2 너트의 간격이 넓어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연결부(145)는 제1 너트와 제1 부재(110) 및 제2 너트와 제2 부재(120)를 연결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연결부(145)는 각 너트에서 연장된 너트 연장리브와 각 부재에서 연장된 부재 연장리브를 포함하고, 너트 연장리브와 부재 연장리브 내부에 관통된 축공으로 연결축이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제3 각도 조절부재(147)의 회전에 따라 너트(146)가 이동함과 동시에 연결축을 중심으로 부재 연장리브가 회전하면서 부재의 단부를 이동시켜 회전 안내부(130)를 중심으로 부재를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몇몇 실시예에서 조립용 완구의 각도조절유닛(100)은 받침유닛(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받침유닛(150)은 받침부(151), 받침 결합부(152)를 포함할 수 있다.
받침부(151)는 바(bar) 형상으로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받침부(151)는 바(bar) 형상으로 연장되는 원기둥, 사각기둥, 삼각기둥 등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몇몇 실시예에서 받침부(151)는 서로 다른 형상이 조합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에를 들어, 받침부(151)의 일부는 원기둥 형상을 가지되, 받침부(151)의 나머지는 사각기둥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받침부(151)는 트러스 기둥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받침부(151)가 원기둥 형상인 경우를 일 예시로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몇몇 실시예에서 받침부(151)는 다양한 길이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받침부(151)가 다양한 길이로 형성됨으로써 다양한 위치에 다양한 용도로 체결될 수 있다. 여기서, 받침부(151)의 길이는 받침부(151)가 연장된 길이를 의미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받침 결합부(152)는 받침부(151)의 일단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받침 결합부(152)는 받침부(151)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받침 결합부(152)는 받침부(151)의 하면에 배치될 수 있고, 몇몇 실시예에서 받침 결합부(152)는 받침부(151)의 상면 및 하면에 배치될 수도 있다. 여기서, 받침부(151)의 상면은 조립용 완구의 각도조절유닛(100)과 체결되는 면을 의미하고, 받침부(151)의 하면은 상면의 반대면을 의미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받침 결합부(152)는 받침 결합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받침 결합부(152)는 받침부(151)에 돌출되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받침 결합돌기는 원기둥 형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삼각기둥 형상, 사각기둥 형상 등과 같은 다각기둥 형상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받침 결합돌기의 형상은 받침부(151)의 형상과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받침부(151)의 형상이 원기둥 형상인 경우에 받침 결합돌기의 형상도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몇몇 실시예에서 받침 결합돌기의 형상은 받침부(151)의 형상과 다른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받침부(151)의 형상이 원기둥 형상인 경우에 받침 결합돌기의 형상은 다각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받침 결합돌기의 상면의 면적과 받침부(151)의 상면의 면적은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받침 결합돌기의 상면의 면적이 받침부(151)의 상면의 면적보다 작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받침 결합돌기의 하면의 면적과 받침부(151)의 상면의 면적은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질 수도 있다. 여기서, 받침 결합돌기의 하면은 받침부(151)의 상면과 접촉하는 면일 수 있다. 이와 같은 면적 차이에 의하여 받침부(151)와 받침 결합돌기의 연결 부위에는 단차가 형성될 수 있으며, 단차를 통하여 조립의 편리성과 안정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몇몇 실시예에서 받침 결합돌기의 상면 및 하면의 면적이 받침부(151)의 상면의 면적보다 크게 이루어질 수도 있고, 받침 결합돌기의 상면 및 하면의 면적과 받침부(151)의 상면의 면적이 동일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받침 결합돌기가 받침부(151)의 일단에 배치되어 받침 결합돌기의 일단은 돌출된 형태를 가질 수 있게 되며, 받침 결합돌기가 제1 부재(110) 및 제2 부재(120)의 결합공 또는 연결리브에 결합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예시이며, 받침 결합돌기에는 다양한 조립완구 구성품들이 체결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받침 결합돌기와 조립완구 구성품들의 체결은 벨크로, 스냅단추 등 다양한 결합방식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받침 결합돌기의 외면은 산과 골이 반복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몇몇 실시예에서 받침 결합돌기의 외면은 다수의 돌출 패턴이 배치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받침 결합돌기의 외면이 산과 골이 반복되는 형태로 이루어지거나, 받침 결합돌기의 외면에 다수의 돌출 패턴이 배치되는 경우, 받침 결합돌기와 부재가 체결된 상태에서 외력에 의한 충격으로 받침 결합돌기의 형상이 변경되거나 부러지는 등의 손상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받침 결합돌기의 외면은 받침 결합돌기의 상면과 하면을 연결하는 측면을 의미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받침 결합돌기는 반원기둥 형상, 삼각기둥 형상, 사각기둥 형상, 육각기둥 형상, 팔각기둥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받침 결합부(152)는 받침 결합홈을 포함할 수 있다. 받침 결합홈은 받침부(151)에 요입되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받침 결합홈은 다양한 음각 패턴으로 함몰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받침 결합홈은 원기둥 형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삼각기둥 형상, 사각기둥 형상 등과 같은 다각기둥 형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받침 결합홈은 음각의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는 일 예시이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받침 결합홈은 받침부(151)의 일단에 요입된 형태를 가질 수 있게 되며, 받침 결합홈이 제1 부재(110) 및 제2 부재(120)의 연결리브(112, 122)에 결합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예시이며, 받침 결합홈에는 다양한 조립완구 구성품들이 체결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받침 결합홈과 조립완구 구성품들의 체결은 벨크로, 스냅단추 등 다양한 결합방식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받침유닛(150)은 받침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받침부재는 받침부(151)의 일단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받침부재는 받침부(151)의 하면에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받침부재는 받침부(151)에 체결된 상태에서 바닥면에 안착되어 받침부(151) 및 받침 결합부(152)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받침부재는 받침부(151)에 나사방식으로 체결되어 받침부(151)의 높이를 조절할 수도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조립용 완구의 각도조절유닛
110: 제1 부재
111: 제1 결합공
112: 제1 연결리브
113: 제1 연결 결합부
120: 제2 부재
121: 제2 결합공
122: 제2 연결리브
123: 제2 연결 결합부
130: 회전 안내부
140, 140', 140": 각도 조절부
141: 각도조절 체결공
142: 제1 각도 조절부재
143: 각도조절 안내편
144: 제2 각도 조절부재
145: 연결부
146: 너트
147: 제3 각도 조절부재
150: 받침유닛
151: 받침부
152: 받침 결합부

Claims (20)

  1. 제1 부재와 제2 부재; 및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제2 부재를 연결하고, 상기 제1 부재 또는 상기 제2 부재의 회전을 안내하는 회전 안내부를 포함하는 조립용 완구의 각도조절유닛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는,
    판으로 형성되거나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조립용 완구의 각도조절유닛.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에 배치된 제1 결합공을 더 포함하는 조립용 완구의 각도조절유닛.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공과 동일 선상으로 상기 제1 부재에서 돌출되는 제1 연결리브를 더 포함하는 조립용 완구의 각도조절유닛.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에 구비되어 조립용 완구의 구성품의 결합을 안내하는 제1 연결 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조립용 완구의 각도조절유닛.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 결합부는,
    상기 제1 부재에 돌출된 연결 결합돌기 또는 상기 제1 부재에 요입된 연결 결합홈 중 어느 하나인 조립용 완구의 각도조절유닛.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재에 배치된 제2 결합공을 더 포함하는 조립용 완구의 각도조절유닛.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결합공과 동일 선상으로 상기 제2 부재에서 돌출되는 제2 연결리브를 더 포함하는 조립용 완구의 각도조절유닛.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재에 구비되어 조립용 완구의 구성품의 결합을 안내하는 제2 연결 결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연결 결합부는,
    상기 제2 부재에 돌출된 연결 결합돌기 또는 상기 제2 부재에 요입된 연결 결합홈 중 어느 하나인 조립용 완구의 각도조절유닛.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안내부는,
    상기 제1 부재의 일측 단부와 상기 제2 부재의 일측 단부를 연결하는 연결편인 조립용 완구의 각도조절유닛.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편은 편리브인 조립용 완구의 각도조절유닛.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안내부는,
    상기 제1 부재의 일측 단부에서 연장된 제1 연장리브와, 상기 제2 부재의 일측 단부에서 연장된 제2 연장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연장리브와 상기 제2 연장리브 내부의 축공에 결합되는 축을 포함하는 조립용 완구의 각도조절유닛.
  1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안내부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상기 제1 부재 또는 제2 부재의 회전각도를 조절하고, 조절된 회전각도를 지지하는 각도 조절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각도 조절부는,
    상기 제1 부재 또는 상기 제2 부재 중 어느 하나의 부재에 관통된 각도조절 체결공; 및
    상기 각도조절 체결공에 체결되면서 다른 하나의 부재를 밀어올리는 제1 각도 조절부재를 포함하는 조립용 완구의 각도조절유닛.
  1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 조절부는,
    상기 제1 부재 및 상기 제2 부재의 단부에 돌출되고, 내부에 각도 조절공이 관통된 각도조절 안내편; 및
    상기 각도조절 안내편의 각도 조절공에 결합되는 제2 각도 조절부재를 포함하는 조립용 완구의 각도조절유닛.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각도 조절부재는,
    케이블타이인 조립용 완구의 각도조절유닛.
  1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 조절부는,
    상기 제1 부재 및 상기 제2 부재에서 각각 연장된 연결부;
    상기 연결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너트; 및
    상기 너트에 체결되는 제3 각도 조절부재를 포함하는 조립용 완구의 각도조절유닛.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각도 조절부재는,
    각도 조절봉의 중앙을 중심으로 일측의 각도 조절봉에 구비된 왼 나사산;
    상기 각도 조절봉의 중앙을 중심으로 타측의 각도 조절봉에 구비된 오른 나사산; 및
    상기 각도 조절봉의 중앙에 구비되고, 상기 각도 조절봉을 회전시키는 손잡이를 포함하는 조립용 완구의 각도조절유닛.
  1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 또는 제2 부재 중 어느 하나의 부재를 받쳐 지지하는 받침유닛을 더 포함하는 조립용 완구의 각도조절유닛.
  19.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유닛은,
    받침부; 및
    상기 받침부에 구비된 받침 결합부를 포함하는 조립용 완구의 각도조절유닛.
  20.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를 받쳐 지지하는 받침부재를 더 포함하는 조립용 완구의 각도조절유닛.
KR2020220001247U 2022-05-20 2022-05-20 조립용 완구의 각도조절유닛 KR2023000226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1247U KR20230002266U (ko) 2022-05-20 2022-05-20 조립용 완구의 각도조절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1247U KR20230002266U (ko) 2022-05-20 2022-05-20 조립용 완구의 각도조절유닛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2266U true KR20230002266U (ko) 2023-11-28

Family

ID=889682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20001247U KR20230002266U (ko) 2022-05-20 2022-05-20 조립용 완구의 각도조절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02266U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68132A (ko) 2009-12-15 2011-06-22 천선우 원활한 단계적 각도 조절이 가능한 조립 완구
KR20210104958A (ko) 2020-02-18 2021-08-26 오상돈 상하좌우 각도조절되는 조립완구의 연결블록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68132A (ko) 2009-12-15 2011-06-22 천선우 원활한 단계적 각도 조절이 가능한 조립 완구
KR20210104958A (ko) 2020-02-18 2021-08-26 오상돈 상하좌우 각도조절되는 조립완구의 연결블록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96826B1 (en) Elevated flooring system
US6467224B1 (en) Decking tile
RU2250313C2 (ru) Кубический профильный элемент и профильная рейка для использования с ним
US11136784B2 (en) Outdoor structure
KR100782515B1 (ko) 조립식 울타리
US20030038829A1 (en) Display structure and system
US11926975B2 (en) Paver supporting apparatus
KR20230002266U (ko) 조립용 완구의 각도조절유닛
US20030061772A1 (en) Decking tile
KR20100107297A (ko) 무대장치 조립구조
EP2384797B1 (de) Murmelbahnsystem
JP6755449B1 (ja) 雪崩予防柵
JP2002315465A (ja) 猫用の遊戯装置
KR200497289Y1 (ko) 조립용 완구의 연결유닛
KR20230002129U (ko) 조립용 완구 유닛
KR200497470Y1 (ko) 조립용 완구 유닛
KR20240000818U (ko) 조립용 완구 유닛
KR20230171853A (ko) 조립용 완구 유닛
KR102114296B1 (ko) 지오데식 구조물의 허브커넥터
KR100954952B1 (ko) 텐트 구조체
JP3940578B2 (ja) 手摺連結具
KR101248430B1 (ko) 가구용 체결구
KR102184506B1 (ko) 프레임 연결장치
JP6850829B2 (ja) ベース材
KR101369694B1 (ko) 당구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