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18163B1 -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화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18163B1
KR100418163B1 KR10-2001-0046706A KR20010046706A KR100418163B1 KR 100418163 B1 KR100418163 B1 KR 100418163B1 KR 20010046706 A KR20010046706 A KR 20010046706A KR 100418163 B1 KR100418163 B1 KR 1004181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drive
transmission member
drive transmission
drive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67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11902A (ko
Inventor
키따야마구니히꼬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119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19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81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816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 G03G15/1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charge patter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39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 G03G21/1857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for transmitting mechanical drive power to the process cartridge, drive mechanisms, gears, couplings, braking mechanisms
    • G03G21/186Axial coupl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3/00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 F16D3/16Universal joints in which flexibility is produced by means of pivots or sliding or rolling connecting parts
    • F16D3/26Hooke's joints or other joints with an equivalent intermediate member to which each coupling part is pivotally or slidably connected
    • F16D3/44Hooke's joints or other joints with an equivalent intermediate member to which each coupling part is pivotally or slidably connected the intermediate member being connected to the coupling parts by ridges, pins, balls, or the like guided in grooves or between cog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75Details relating to xerographic drum, band or plate, e.g. replacing, testing
    • G03G15/757Drive mechanisms for photosensitive medium, e.g. gea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51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for connecting the different parts
    • G03G2221/1657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for connecting the different parts transmitting mechanical drive pow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 Shafts, Cranks, Connecting Bars, And Related Bea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는, 정전 화상을 보유하는 화상 보유 부재와 회전 샤프트를 구비하여 상기 화상 보유 부재 상에서 작용가능한 프로세스 수단을 포함하고 화상 형성 장치의 주조립체에 착탈식으로 장착되는 프로세스 유닛과, 상기 회전 샤프트와 사실상 동축이고 상기 회전 샤프트를 회전시키는 구동 샤프트와, 상기 구동 샤프트로부터 상기 회전 샤프트로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해 상기 구동 샤프트와 상기 회전 샤프트와 결합되는 구동 전달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 전달 부재는 상기 구동 샤프트와 작동 여유를 가지고 결합되는 상기 회전 샤프트와 작동 여유를 가지고 결합된다.

Description

화상 형성 장치 {IMAGE FORMING APPARATUS}
본 발명은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화상 형성 장치의 화상 보유 부재 등의 수명은 화상 형성 장치의 주조립체보다 짧다. 따라서, 화상 보유 부재 등을 소위 프로세스 카트리지라고 하는 카트리지 내에 배치함으로써 교체식으로 장착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통상적인 실예이다.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장착되는 화상 형성 장치의 주조립체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야 한다.
화상 형성 장치의 주조립체로부터 프로세스 카트리지로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한 방법에서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측 구동 샤프트가 장치의 주조립체측 구동 샤프트에 직접 연결되어, 구동력 전달 기어에 대한 필요성을 제거한다. 즉, 구동력은 간단한 구조를 통해 전달된다.
그러나,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장치의 주조립체측으로부터 전달되는 구동력에 의해 구동되는 복수의 부재들을 구비한다면, 프로세스 카트리지측의 복수의 부재들의 구동 샤프트들을 장치 주조립체측의 대응 구동 샤프트들과 완벽하게 정렬되도록 정확히 위치시키는 데에는 상당한 어려움이 있다.
구동 샤프트가 전술한 바와 같이 사실상 직선으로 구동 샤프트에 연결되는 구조의 배치에서는, 구동측의 구동 샤프트 또는 구동(driving) 샤프트의 위치 및 피동측의 구동 샤프트 또는 피동(driven) 샤프트의 위치가 그들이 연결되기 전에 구동 샤프트 및 피동 샤프트의 축 방향에 대해 오정렬된다면, 두 개의 샤프트들은 그들의 회전축이 서로에 대해 기울어지는 방식으로 연결되게 된다. 이러한 연결은 두 개의 샤프트들 사이의 접촉점들을 각각의 접촉점을 통해 전달되는 구동력량의 면에서 불균일하게 만든다. 결국, 구동력의 소정량은 구동력이 전달되는 방향으로부터 벗어나,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진동하게 한다.
본 발명의 주 목적은, 화상 형성 장치의 주조립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 프로세스 카트리지 내의 복수의 부품들의 샤프트들이 장치 주조립체측의 대응 구동 샤프트들과 완벽하게 정렬되어 있지 않더라도, 진동을 발생시키지 않으면서, 구동력이 구동 샤프트들 또는 주조립체측의 구동 샤프트들로부터 피동 샤프트들 또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측의 샤프트들로 전달되는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화상 형성 장치의 주조립체에 착탈식으로 장착 가능하고 정전 화상을 보유하기 위한 화상 보유 부재와 상기 화상 보유 부재 상에 작용 가능하고 회전 샤프트를 갖는 프로세스 수단을 포함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와, 상기 회전 샤프트와 실질적으로 동축이고 상기 회전 샤프트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 샤프트와, 상기 구동 샤프트 및 상기 회전 샤프트와 결합되고 상기 구동 샤프트로부터 상기 회전 샤프트로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구동 전달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 전달 부재는 구동 샤프트와 작동 여유(play)를 갖고 결합되고 상기 회전 샤프트와 작동 여유를 갖고 결합되는 화상 형성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화상 형성 장치의 주조립체에 착탈식으로 장착 가능한 프로세스 카트리지로서, 정전 화상을 보유하기 위한 화상 보유 부재와, 상기 화상 보유 부재 상에 작용 가능하고 회전 샤프트를 갖는 프로세스 수단과, 화상 형성 장치의 주조립체 내에 제공된 구동 샤프트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기 위한 구동 전달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 전달 부재는 구동 샤프트와 작동 여유를 갖고 결합 가능하고 상기 회전 샤프트와 작동 여유를 갖고 결합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장치 내에서, 상기 화상 보유 부재는 상기 구동 전달 부재가 상기 구동 샤프트 또는 상기 회전 샤프트와 결합되는 작동 여유보다 작은 작동 여유를 갖고 상기 장치의 주조립체 내에 제공된 구동 샤프트와 결합되는 회전 샤프트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 내에서, 상기 화상 보유 부재는 상기 구동 전달 부재가 상기 구동 샤프트 또는 상기 회전 샤프트와 결합되는 작동 여유보다 작은 작동 여유를 갖고 상기 장치의 주조립체 내에 제공된 구동 샤프트와 결합 가능한 회전 샤프트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 구성, 이점 및 다른 목적, 구성, 이점들은 첨부 도면과 함께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대한 이하의 설명을 참조하면 보다 명백하게 될 것이다.
도1은 구조를 도시하기 위한 것으로, 평면 D-D (도14의 라인 D-D)에서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구동력 전달 장치의 단면도.
도2는 구조를 도시하기 위한 것으로, 평면 E-E (도14에서의 라인 E-E)에서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구동력 전달 장치의 단면도.
도3은 이동을 도시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의 구동력 전달 장치의 단면도.
도4는 도3의 평면 B-B에서의 구동력 전달 장치의 구동력 전달부의 단면도.
도5는 구동력 전달 장치의 구동 샤프트의 회전축이 슬리브 샤프트의 회전축에 완전하게 정렬되지 않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구동력 전달 장치의 단면도.
도6은 구동력 전달의 상이한 형태를 분석적으로 도시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의 구동력 전달 장치의 구동력 전달부의 단면도.
도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구동력 전달 장치의 도6의 평면 C-C (라인 C-C)에서의 단면도.
도8은 두 개의 부품이 서로 결합되는 과정을 도시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의 구동력 전달 장치의 커플링 및 구동 샤프트의 개략 측면도.
도9는 두 개의 부품이 서로 결합되는 과정을 도시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의 구동력 전달 장치의 커플링(단면도) 및 구동 샤프트의 개략 측면도.
도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의 구동력 전달 장치의 커플링의 다른 변형예의 국부 투시도.
도1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구동력 전달 장치의 커플링의 다른 변형예의 국부 투시도.
도12는 구동력 전달 장치의 구동축 안으로 핀을 끼우고 그 안에 핀을 보유시키기 위한 방법을 도시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의 구동력 전달 장치의 커플링부의 단면도.
도13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완전 색상 복사기)의 단면도.
도14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화상 형성부의 단면도.
도15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화상 형성부와 그 구동 트레인의 단면도.
도16은 두 개의 부품인 드럼 실린더 및 드럼 샤프트를 서로 끼우기 위한 구조를 도시하기 위한 드럼 실린더 및 드럼 샤프트의 분해 사시도.
도17은 상기 두 개의 부품이 서로 끼워진 뒤의 드럼 실린더, 드럼 샤프트 및 그 인접부의 단면도.
도18은 회전 위상이 일치하지만 별개인 드럼 실린더 및 드럼 샤프트의 단면도.
도19는 도18의 평면 H-H에서의 드럼 실린더 및 드럼 샤프트의 단면도.
도20은 드럼 실린더 및 드럼 샤프트의 측면도.
도21은 드럼 실린더 및 드럼 샤프트의 평면도.
도22는 구조를 도시하기 위한 것으로, 구동력 전달부의 축선을 포함하는 수직면에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구동력 전달 장치의 구동력 전달부의 단면도.
도23은 도22의 평면 F-F에서, 본 발명에 따른 구동력 전달 장치의 제2 실시예의 구동력 전달부의 단면도.
도24는 도22의 평면 F-F에서, 본 발명에 따른 구동력 전달 장치의 제2 실시예의 구동력 전달부의 단면도.
도25는 도22의 평면 G-G에서, 본 발명에 따른 구동력 전달 장치의 제2 실시예의 구동력 전달부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카세트
10Y, 10M, 10C, 10K : 화상 형성 스테이션
11Y, 11M, 11C, 11K : 감광 드럼
13a : 현상 슬리브
31 : 슬리브 샤프트
61 : 커플링
81 : 구동 샤프트
이하에서,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실시예 1>
도13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인 완전 색상(full-color) 복사기의 수직 단면도이다. 이러한 완전 색상 화상 형성 장치는 상이한 색상의 4개의 토너 화상, 즉 황색, 마젠타색, 남색 및 흑색 토너 화상을 층으로 배열함으로써 완전 색상 화상을 형성하는 장치이다.
도13을 참조하면, 참조 부호(10Y, 10M, 10C 및 10K)는 황색, 마젠타색, 남색 및 흑색 토너 화상 형성 스테이션을 나타낸다. 도14는 화상 형성 스테이션 중 하나의 확대 단면도이다.
복수개의 기록 용지는 카세트(1) 내에 저장되고, 카세트(1)로부터 용지 이송 스테이션(2)의 화상 형성 장치의 주조립체로 이송된다. 그리고 나서, 기록 용지가 비스듬하거나 유사한 상태에 있다면 정렬 등으로 수정되는 정합 롤러(3)로 이송된 기록 용지는 적절한 타이밍에 전송 벨트(4)로 이송되도록 해제된다. 한편, 잠상은 도시되지 않은 기록 장치 또는 컴퓨터의 (도시되지 않은) 출력 장치로부터 송신된 화상 형성 데이터를 반영하는 신호에 의해 각각의 감광 드럼(11Y, 11M, 11C 및 11K) 상에 형성된다.
정합 롤러(3)에 의해 해제된 후에, 기록 용지는 전송 벨트(4)에 정전기적으로 접합되고, 전송 벨트(4)에 의해 이송되어 화상 형성 스테이션(10Y, 10M, 10C 및 10K)의 하부를 통과한다.
화상 형성 스테이션(10Y, 10M, 10C 및 10K) 내에, LED 헤드(12Y, 12M, 12C 및 12K), 현상 장치(13Y, 13M, 13C 및 13K), 및 대전 장치(14Y, 14M, 14C 및 14K)가 감광 드럼(11Y, 11M, 11C 및 11K)의 외주연면을 둘러싸도록 대응하는 방식으로 배치되고, 황색, 마젠타색, 남색 및 흑색 토너 화상이 감광 드럼(10Y, 10M, 10C 및 10K)의 외주연면 상에 전자 사진 공정을 통해 형성된다. 이들 토너 화상은 전사 수단(5Y, 5M, 5C 및 5K)의 작용에 의해 기록 용지 상으로 연속적으로 전사된다. 전사 스테이션에서 전송 벨트(4)는 감광 드럼(11Y, 11M, 11C 및 11K)과 실제로 접촉 상태에 있게 된다.
4색 토너 화상이 기록 용지 상으로 전사된 후에, 전사 용지는 기록 용지의탄성과 전송 벨트(4)의 곡률에 기초하여 전송 벨트로부터 분리되고, 토너 화상이 열과 압력의 인가에 의해 기록 용지 상에 정착되는 정착 스테이션(6)으로 이송된다. 그 후에, 기록 용지는 분배 트레이(7) 내부로 배출되어 복사 작동의 단일 주기를 마친다.
다음으로, 도14 및 도15를 참조하여 프로세스 카트리지(21)가 설명될 것이다. 도15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와 이의 구동 트레인의 구조를 도시하기 위한 대략적인 단면도이다.
프로세스 카트리지(21)는 도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스 카트리지(21)의 측면판(22, 23)에 의해 일체로 지지되는 감광 드럼(11), 현상 장치(13) 및 분사식 대전 장치(14)를 포함한다. 이러한 화상 형성 장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21)가 화상 형성 장치의 전후 방향으로 화상 형성 장치의 주조립체 내에 제거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도록, 바꿔 말하면 프로세스 카트리지 내에 배치된 구성 요소의 모두, 하나 또는 일부가 화상 형성 장치를 유지하기 위하여 대체 또는 유지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측벽(22, 23)에 대한 감광 드럼(11)의 위치는 고정되지 않는다. 프로세스 카트리지(21)가 장치 주조립체 내에 장착될 때 감광 드럼(11)이 드럼 샤프트(51)에 끼워 맞춰짐에 따라 고정되게 된다. 이와는 달리, 측면판(22, 23)에 대한 현상 장치(13) 및 분사식 대전 장치(14)의 위치는 고정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드럼 샤프트(51)를 측면판(22, 23)의 베어링부(24, 25)에 각각 끼워 맞춘 후, 측면판(23)으로부터 돌출된 핀(23a)을 주조립체측의 측면판(52)의 긴 구멍(52a)의 일 단부(직경이 더 작은 부분) 내에 끼춰 맞추면, 측면판(22, 23)과 현상 장치(13) 사이의 위치 관계 및 측면판(22, 23)과 분사식 대전 장치(14)의 위치 관계가 고정된다.
현상 장치(13)의 현상 슬리브(13a)와 분사식 대전 장치(14)의 분사 슬리브(14a)에 대해, 지지부(24, 25)로부터의 이들의 거리는 이들이 측면판(22, 23)에 부착된 때에 정확하게 조절된다. 그러므로, 현상 슬리브(13a)와 드럼 샤프트(51) 사이 및 분사 슬리브(14a)와 드럼 샤프트(51) 사이의 감광 드럼(11)의 반경 방향에 관한 위치 관계는 프로세스 카트리지(21)가 장치 주조립체 내부에 장착됨에 따라 매우 정확하게 고정된다. 또한, 감광 드럼(11)의 위치가 드럼 샤프트에 대해서도 고정되기 때문에, 현상 슬리브(13a)와 감광 드럼(11)의 외주연면들 사이의 간극(SD 간극)과 감광 드럼(11)과 분사 슬리브(14a)의 외주연면들 사이의 간극(SC 간극)은 매우 정확하게 설정된다.
도15를 참조하면, 구동 샤프트(81, 91)는 현상 슬리브(13a)와 분사 슬리브(14a)를 각각 구동시킨다. 이들은 프로세스 카트리지(21)가 장치 주조립체 내부에 장착됨에 따라 현상 슬리브(13a)와 분사 슬리브(14a)의 회전축과 직선으로 연결되도록 배치된다. 구동 샤프트(81, 91)에는 전자기 클러치(83, 93)가 각각 설치되어, 구동 샤프트들은 샤프트 자체의 예비 설정된 타이밍으로 회전될 수 있다. 현상 슬리브(13a)와 분사 슬리브(14a)는 클러치측 상에 있고 구동 샤프트(81, 91)로부터 각각 구동력이 현상 슬리브(13a)와 분사 슬리브(14a)에 전달되는 커플링(61, 71)과 결합된다.
다음으로 구동력 전달부가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1은 평면 D-D(도14의 선 D-D)에서의 현상 슬리브와 구동 샤프트의 단면도이다. 도2는 도1의 선 A-A(도14의 선 E-E)에서의 현상 슬리브와 구동 샤프트의 단면도이다. 분사식 대전 장치(14)의 구조는 구동력 수용부의 구조에 있어서는 현상 장치(13)와 동일하기 때문에, 현상 장치(13)의 구동력 전달부의 구조만이 설명될 것이다.
구동 샤프트(81) 및 현상 슬리브(13a)의 슬리브 샤프트(31)에는 구동 샤프트(81)와 슬리브 샤프트(31)의 외주연면들로부터 각각 돌출하는 핀(82, 32)이 제공된다. 커플링(61)에는 그 위치가 핀(82, 32) 각각의 위치에 대응하는 홈(61a)과 구멍(61b)이 제공된다. 구동력은 핀(81)과 홈(61a) 사이와 핀(32)과 구멍(61b) 사이의 결합에 의해 전달된다. 커플링(61)의 구멍(61b)이 슬리브 샤프트(31)측 상에 위치되고 샤프트(81)를 향해 개방되는 커플링(61)의 홈(61a)이 구동 샤프트(81)측 상에 위치되어야 하는 이유는 커플링(61)이 슬리브 샤프트(31)에 영구적으로 부착되어야 하고 구동 샤프트(81)에 연결되거나 구동 샤프트로부터 분리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커플링(61)에는 구동 샤프트(81)와 슬리브 샤프트(31)의 단부들이 각각 그 중공부 내부로 삽입되는 원통형 부분(61c, 61d)이 제공된다. 구동 샤프트(81)의 외부 직경(d1)은 6mm이고, 커플링(61)의 원통형 부분(61c)의 내부 직경(D1)은 7mm이다. 또한, 슬리브 샤프트(31)의 외부 직경(d2)은 8mm이고, 커플링(61)의 원통형 부분(61d)의 내부 직경(D2)은 8.5mm이다. 그러므로, 구동 샤프트(81)와커플링(61)의 내부면 사이와 슬리브 샤프트(31)와 커플링(61)의 내부면 사이에 이들의 반경 방향에 대한 비교적 큰 양의 작동 여유가 있다. 구동 샤프트(81)를 관통하여 삽입되는 핀(82)은 슬리브 샤프트(31)를 관통하여 삽입되는 핀(32)과 동일한 직경을 가지며, 그 직경은 2mm이다.
작동 여유는 핀(82)과 홈(61a)의 하부 사이와, 핀(32)과 구멍(61b)의 벽 사이에도 커플링(61)의 축방향에 대해 제공된다. 구동 샤프트(81)와 홈(61a)의 하부 사이의 커플링(61)의 축방향에 대한 작동 여유(δz1)는 2mm이다. 커플링(61)의 추력(thrust) 방향에 대한 슬리브 샤프트(31)의 핀(32)의 치수(z2), 즉 핀(32)의 직경은 2mm이고, 커플링(61)의 추력 방향에 대한 구멍(61b)의 치수(z2), 즉 구멍(61b)의 장축의 길이는 3mm이다. 그러므로, 커플링(61)의 추력 방향에 대한 구멍(61b)의 각각의 단부와 핀(32) 사이에 0.5mm의 작동 여유가 있다. 이러한 작동 여유에 관한 표준은 핀(32)의 각각의 측면 상에서 100㎛이상 또는 전체 200㎛이상이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소정량의 작동 여유(play)가 커플링(61)의 반경 방향에 대해 커플링(61)의 내부면과 구동 샤프트(81) 사이에 제공되고, 소정량의 작동 여유가 커플링(61)의 반경 방향에 대해 커플링(61)의 내부면과 슬리브 샤프트(31) 사이에 제공된다. 또한, 소정량의 작동 여유가 커플링(61)의 축방향에 대해 홈(61a)의 하부와 구동 샤프트(81) 사이에 제공되고, 소정량의 작동 여유가 커플링(61)의 축방향에 대해 구멍(61b)의 대향 단부들과 슬리브 샤프트(31)의 핀(32) 사이에 제공된다. 그러므로, 커플링(61)은 구동 샤프트(81)와 슬리브 샤프트(31)에 대해 요동되는 것이 허용된다.
도3 및 도4(도3의 선B-B에 따른 단면도)를 참조하면, 커플링(61)이 요동하는 것을 허용하는 방식의 개략적인 설명이 주어진다. 도3을 참조하면, 이 도면의 평면에 직각인 축은 참조 부호 x로 나타낸다. 이 도면에서 수직 방향은 참조 부호 y로 나타내고, 이 도면에서 수평 방향은 참조 부호 z로 나타낸다. 커플링(61)은 x축 주위에서 슬리브 샤프트(31)에 대하여 피봇되는 것이 허용된다. 도4를 참조하면, 커플링(61)은 y축 주위에서 슬리브 샤프트(31)에 대하여 피봇되는 것이 허용된다. x축과 y축은 서로 직각이기 때문에, 커플링(61)은 슬리브 샤프트(31)의 축선과 슬리브 샤프트(31)의 핀(32)의 축선 사이의 교차점(O2) 주위에서 요동하는 것이 허용된다. 유사하게, 커플링(61)은 구동 샤프트(81)의 축선과 구동 샤프트(81)의 핀(82)의 축선 사이의 교차점(O1) 주위에서 요동하는 것이 허용된다.
도5는 커플링(61)이 개재된 상태에서 구동 샤프트(81)와 슬리브 샤프트(31) 사이의 위치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여기서 두 샤프트들의 축선은 직선 상에 있지 않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슬리브 샤프트(31)는 구동 샤프트(81)와 일직선으로 정렬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슬리브 샤프트(31)는 슬리브 샤프트(31)와 구동 샤프트(81) 사이에 개재된 부품들의 공차의 합과 등가인 양만큼 구동 샤프트(81)로부터 오정렬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도5에 도시된 슬리브 샤프트(31)와 구동 샤프트(81) 사이의 위치적인 관계의 경우에는 두 샤프트들 사이의 오정렬의 양(e)은 0.5 mm이다.
또한, 구동력 전달 수단의 축선과 구동 샤프트 또는 피동 샤프트 사이의 각도 θ(θ<180도)는 약 2.2 도이다. 구동력 전달 수단의 피봇의 범위는 이의 반경 방향에 대한 각으로 약 2.4 도이고, 구동력 전달 수단의 요동 범위는 이의 축선에 대한 각으로 약 4.8 도이다. 앞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구동력 전달 수단의 요동 각도의 범위가 구동력 전달 수단의 축선과 구동 샤프트 또는 피동 샤프트의 축선 사이의 각보다 크기 때문에 구동력 전달 수단은 두개의 샤프트의 운동에 의해 간섭없이 작동하는 것이 허용된다.
다시 말해, 이 실시예에서 구동 샤프트(81) 및 슬리브 샤프트(31)는 요동하는 것이 허용되는 커플링(61)의 개재로 서로에 대해 직선이 아니게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구동 샤프트(81)와 슬리브 샤프트(31)가 서로 정렬되어 있지 않아도 구동력은 구동 샤프트(81)로부터 커플링(61)을 통해서 슬리브 샤프트(31)로 매끄럽게 전달된다. 따라서, 구동될 유닛인 프로세스 카트리지(21)는 구동력이 거기에 전달될 때 진동하지 않는다. 다음으로, 구동 샤프트(81)와 슬리브 샤프트(31)가 서로 정렬되어 있지 않아도 프로세스 카트리지(21)가 진동하지 않는 이유가 더 자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5를 참조하면, 구동 샤프트(81)가 슬리브 샤프트(31)와 정렬되지 않은 때, 커플링(61)은 기울어진다. 이 상태에서, 커플링(61)의 축선은 구동 샤프트(81)와 핀(82)의 축선들의 교차점(O1), 및 슬리브 샤프트(31)와 핀(32)의 축선들의 교차점(O2) 모두와 교차한다.
따라서, 커플링(61)은 전술된 x축과 y축 주위를 도3 및 도4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구동 샤프트(81)에 대하여 피봇되는 것이 허용된다. 커플링(61)과슬리브 샤프트(31) 사이의 관계는 커플링(61)과 구동 샤프트(81) 사이의 관계와 동일하다.
이 구조적 배열에서, 구동 샤프트(81)의 축선은 구동력 전달이 일어나는 지점(핀(82)과 홈(61a)의 벽 사이의 접촉 지점)에서 커플링(61)의 축선(L)과 교차하고, 슬리브 샤프트(31)의 축선은 구동력 전달이 일어나는 지점(핀(32)과 구멍(61b) 사이의 접촉점)에서 커플링(61)의 축선(L)과 교차한다. 따라서, 동일한 원통형 평면상에 있고 구동력이 전달되는 핀(82)과 홈(61)의 벽 사이 및 핀(32)과 구멍(61b)의 벽 사이의 다수의 접촉점은 전달될 구동력의 양에서 동등해진다. 구동력은 전달됨에 따라서 다수의 구동력 전달 지점들 사이에 균일하게 분배된다. 결과적으로, 구동력 또는 토오크는 원하지 않은 힘 또는 진동을 일으키는 힘으로 부분적으로 변환되지 않고 단순하게 토오크로써 전달된다. 따라서, 진동은 발생하지 않는다. 앞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이 실시예는 구동력이 전달되면서 진동을 일으키는 힘으로 부분적으로 변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따라서 피동 유닛이 진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 실시예에서, 커플링(61)의 구멍(61b)과 홈(61a)은 회전 위상에서 각각에 대하여 90도로 엇갈려있다. 다음으로, 이에 대한 이유가 설명될 것이다.
도3 및 도4를 참조하면, 슬리브 샤프트(31)와 커플링(61)의 서로에 대한 운동에 대하여 설명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플링(61)은 x축과 y 축 주위를 슬리브 샤프트(31)에 대하여 피봇가능하다. 그러나, x축에 대한 커플링(61)의 피봇 운동은 y축 주위의 커플링(61)의 피봇 운동과는 역학 관계에서 상이하다. 더욱 상세히는, 도3에 도시된 슬리브 샤프트(31)에 대한 커플링(61)의 피봇 운동은 핀(32)과 구멍(61b)의 서로에 대한 운동을 수반하고, 반면에 도4에 도시된 슬리브 샤프트(31)에 대하여 커플링(61)의 피봇 운동은 도3에 도시된 핀(32)과 구멍(61b)의 운동을 수반하지 않는다. 특히, 전자는 핀(32)의 주연 표면과 구멍(61b)의 벽은 커플링(61)의 축방향으로 서로에 대항하여 활주하게 하는 반면에, 후자는 핀(32)의 주연 표면과 구멍(61b)의 벽을 핀(32)의 주연 방향으로 서로에 대항하여 활주하게 한다. 따라서, 전자는 후자보다 활주 저항(마찰 저항)에 있어서 크다.
커플링(61)과 슬리브 샤프트(31)가 서로에 대하여 오정렬되어 있는 상태로 회전함에 따라, 도3에 도시된 상태와 도4에 도시된 상태가 번갈아 일어나서, 활주 저항(마찰 저항)량이 주기적으로 변동하도록 한다.
도6 및 도7(도6의 선C-C에서의 단면도)에 도시된 구동력 전달 수단의 경우에, 홈(61a)과 구멍(61b)은 회전 위상이 일치하게 되고, 이는 도3 및 도4에 도시된 구조적 배열과는 상이하다. 도6에 도시된 상태에서, 슬리브 샤프트(31)와 구동 샤프트(81)는 활주 저항(마찰 저항)이 둘다 비교적 작은 반면에, 도7에 도시된 상태에서는 이들의 활주 저항(마찰 저항)이 둘다 비교적 크다. 다시 말해, 도6 및 도7에 도시된 구조의 경우에, 회전에 의해서 일어나는 샤프트(31)와 커플링(61) 사이의 활주 저항(마찰 저항)의 주기적인 변동과, 구동 샤프트(81)와 커플링(61) 사이에 이들의 회전에 의해서 발생하는 활주 저항(마찰 저항)의 주기적인 변동은 상에서 동일하게 된다. 따라서, 커플링(61)의 전체 활주 저항(마찰 저항)의 주기적인 변동의 크기는 구동 샤프트측 상의 활주 저항(마찰 저항)과 슬리브 샤프트측 상의활주 저항(마찰 저항)의 단순한 합, 즉 일측 상의 활주 저항(마찰 저항)의 사실상 두배이다. 다시 말해, 크기는 상당히 크다. 만일 활주 저항(마찰 저항)의 주기적인 변동의 크기의 변화가 전술한 것과 같은 크기라면 변화는 때때로 회전 부하의 변화를 일으키고, 이는 바람직하지 못한 현상을 초래한다. 예를 들면, 회전 부하의 변화는 피동 샤프트가 불규칙적으로 회전하도록 하거나 그리고/또는 구동 샤프트의 상류측 상의 구동부가 진동하도록 한다(화상 형성 장치의 경우 화상 밀도의 불규칙성은 회전 불규칙성에 의해서 유발된다).
비교하면, 도3 및 도4에 도시된 구조적인 배열의 경우에 홈(61a)은 구멍(61b)에서부터 회전 위상이 90도만큼 차이난다. 따라서, 회전에 의해서 일어나는 슬리브 샤프트(31)측 상의 활주 저항(마찰 저항)의 주기적인 변동은 회전 위상서 구동 샤프트(81)측 상에 것과 90도만큼 차이난다. 따라서, 일측 상의 활주 저항이 클때, 타측 상의 활주 저항은 작다. 결과적으로, 커플링(61)을 포함하는 전체적인 활주 저항(마찰 저항), 또는 슬리브 샤프트(31)측 및 구동 샤프트(81)측 상의 활주 저항의 합은 슬리브 샤프트(31)측의 활주 저항 및 구동 샤프트(81)상의 활주 저항의 각각보다 작아져서, 회전 부하가 심하게 변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전술된 바와 같이, 커플링(61)의 구멍(61b)으로부터 회전 위상이 90도만큼 커플링(61)의 홈(61a)을 차이나게 하는 것은 회전 부하가 심하게 변동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불규칙적인 회전과 같은 문제점을 방지한다.
다음으로, 커플링(61)이 프로세스 카트리지(21)가 화상 형성 장치 본체 내로 삽입됨으로써 구동 샤프트(81)와 결합되는 방법이 설명될 것이다.
도9를 참조하면, 프로세스 카트리지(21)가 장치 본체 내로 장착되기 전에 커플링(61)은 슬리브 샤프트(31) 상에 안착되고 구동 샤프트(81)측 상에 하향으로 기울어진다. 구동 샤프트(81)의 핀(82)과 커플링(61)의 홈(61a)은 회전 위상에서 특정한 관계에 있지는 않다.
도8은 커플링(61)과 그 인접부 상태를 도시하고, 여기서 핀(82)은 홈(61a)으로부터 회전 위상이 90°만큼 차이난다. 핀(82)과 홈(61a)을 정렬시킬 때 도8에 도시된 것처럼 [커플링(61)의 축방향으로 서로에 대해 정렬되어 있지 않으며] 회전 위상의 관점에서 임의의 관계에 있는 구동 샤프트(81)의 핀(82)과 커플링(61)의 홈(61a) 사이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커플링(61)은 경사 표면(61e, 61f, 61g, 61h)을 갖는 몇몇 테이퍼부를 구비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21)가 장치 주조립체 내로 삽입되면, 구동 샤프트(81)의 핀(82)이 경사 표면(61e, 61f, 61g, 61h)과 접촉하게 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21)가 장치 주조립체 내로 더욱 삽입되면, 구동 샤프트(81) 또는 슬리브 샤프트(31)가 경사 표면과 구동 샤프트(81) 사이의 접촉에 의하여 회전하게 된다. 결국, 핀(82)과 홈(61a)이 커플링(61)의 축방향으로 정렬되고, 핀(82)이 홈(61a) 내로 결합되어 커플링(61)과 구동 샤프트(81) 사이의 결합을 완료한다.
이러한 구성에서, 전자기 클러치(도15 참조)가 구동 샤프트(81)와 기계식 동력원 사이에 제공된다. 그러므로, 장치의 아이들링 중에 구동 샤프트(81)에 의해 작용된 부하는 50 내지 100 gf/cm의 범위 내에 있다. 비교하자면, 현상 슬리브(13a)에 의해 작용된 부하와 분사식 슬리브(injection type sleeve, 14a)에의해 작용된 부하는 각각 700 내지 2000 gf/cm의 범위 내에 있다. 그러므로, 부하가 더 작은 구동 샤프트(81)측이 회전한다. 더욱이, 경사 표면(61e, 61f, 61g, 61h)의 정점들이 홈(61a)으로부터 회전 위상이 90°만큼 차이난다. 그러므로, 구동 샤프트(81)의 핀(82)이 홈(61b) 내로 결합하도록 만들어져야 하는 구동 샤프트(81)의 최대 회전량이 90°이다.
도8을 참조하면, 커플링(61)은 단부 구동 샤프트(81)측 상으로 하방으로 기울어져 있다. 그러므로, 테이퍼부의 정점(61i, 61j)들이 커플링(61)의 축방향으로 높이가 동일하게 되면, 핀(82)은 경사 표면(61e, 61g), 즉 상부측의 경사 표면과 하나씩 접촉하게 되어, 구동 샤프트(81)를 회전시킬 수 없다. 커플링(81)이 구동 샤프트(81)의 회전을 방해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테이퍼부의 정점(61i, 61j)들은 도8에 도시된 것처럼 높이가 다르다. 이러한 구조적 배열을 제공함으로써, 커플링(81)이 구동 샤프트(81)를 향해 이동되면, 핀(82)의 일단부가 경사 표면(61e)과 접촉하게 되어, 구동 샤프트(81)를 회전시킨다. 그 다음, 커플링(61)이 더욱 전진함으로써 구동 샤프트(81)가 회전된 후에, 핀(82)의 타단부가 경사 표면(61h)과 접촉하게 된다. 그러므로, 핀(82)과 홈(61b) 사이의 전술한 결합 실패가 회피될 수 있다.
다음으로, 카트리지 삽입 방향에서의 커플링(61)의 선단부와 커플링(61)측 상의 구동 샤프트(81)의 단부 표면 사이의 정면 충돌을 회피하는 것이 설명된다.
도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커플링(61)의 원통형 부분(61c)이 내경이 다른 부분에 제공되고, 따라서 내경이 다른 두 부분들 사이에 단차부가 있다. 도9의이점 쇄선은 축방향으로 내경(D1)이 균일한 원통형 부분(61c)을 갖는 커플링을 나타낸다. 이러한 경우에, 지점(61k)의 위치, 즉 커플링(61)의 원통형 부분(61c)의 테이퍼부의 정점(61i)과 커플링(61)의 원통형 부분(61c)의 내부 표면 사이의 교차부의 위치는 커플링(61)측 상에서 구동 샤프트(81)의 단부 표면(81a)의 최고점(81k)보다 낮다. 그러므로, 프로세스 카트리지(21)가 장치 주조립체 내로 삽입되면, 커플링(61)의 선단부(61i)는 커플링(61)측 상에서 구동 샤프트(81)의 단부 표면(81a)과 충돌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커플링(61)과 구동 샤프트(81) 사이의 이러한 정면 충돌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커플링(61)의 원통형 부분(61c)의 구동 샤프트(81)측은 선단부(61i)의 내측 단부(61k)의 위치 또는 커플링(61)의 테이퍼부의 정점(61i)의 내측 단부의 위치를 상승시키도록 내경이 커진다. 명확하게는, 커플링(61)의 원통형 부분(61c)의 구동 샤프트(81)측의 내경이 원통형 부분(61c)의 내측면의 내측 표면과 원통형 부분(61c)의 구동 샤프트(81)측의 내측 표면 사이에서, 1 mm 상승된 단차부를 생성하기에 충분하게 증가된다. 결과적으로, 수직 방향에서 구동 샤프트(81)의 단부 표면(81a)의 최고점(81k)과 커플링(61)의 선단부(61k) 사이의 위치 관계가 역전되어, 전술한 결합 실패의 발생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일정량의 작동 여유가 커플링(61)의 축방향에서, 핀(82)과 홈(61a)의 바닥부 사이에 그리고 핀(32)과 구멍(61b)의 벽 사이에 제공된다. 그러나, 커플링(61)의 주연 방향에서는, 위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효과가 커플링(61)의 주연 방향으로의 작동 여유를 제공하지 않고서도 얻어질 수 있으므로 작동 여유가 불필요하다.
위에서 설명된 것처럼, 위에서 설명된 작동 여유가 커플링의 주연 방향에서 제공되지 않더라도, 샤프트와 커플링은 회전 시에 서로에 대해 기울어지도록 허용된다. 그러므로, 회전 구동력이 매끄럽게 전달되고, 회전 구동력이 진동을 일으키지 않고 전달된다. 또한, 작동 여유가 주연 방향으로 제공되는 구성의 경우에, 샤프트와 커플링은 서로에 대해 기울어지도록 허용되고, 따라서 위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효과가 실현되며, 이는 명확한 것이다.
다음으로, 도10을 참조하면, 작동 여유가 주연 방향으로 제공된 구성이 작동 여유와 관련된 구성 요소의 형태 및 크기에 관련되어 명확하게 설명된다.
구동 샤프트(81)의 핀(82)이 끼워져 있는 홈(61a)은 U형상 단면을 갖고, 그의 폭(B1)은 예를 들어 3 내지 3.5 mm의 범위 내에 있고, 핀(82) 또는 홈(61a)의 대응물의 폭(b1)은 2 mm이다. 그러므로, 주연 방향에서 핀(82)과 홈(61a)의 측벽 사이에 넉넉한 작동 여유량이 있다.
도11의 (a) 및 도11의 (b)는 슬리브 샤프트(31)의 핀(32)이 끼워져 있는 구멍(61b) 형태의 예시를 도시한다. 구멍(61b)은 단면이 원형 또는 사각형이다. 구멍(61b)의 폭(B2)은 예를 들어 3 mm의 범위 내에 있고, 핀(32) 또는 구멍(61b)의 대응물의 폭(b1)은 2 mm이다. 그러므로, 주연 방향에서 핀(32)과 구멍(61b)의 벽 사이에 넉넉한 작동 여유량이 있다.
주연 방향으로의 작동 여유의 제공은 구동 샤프트(81)측 상에서, 유닛이 장치 주조립체 내로 매끄럽게 삽입되거나 그로부터 매끄럽게 제거되는 것을 가능케한다. 주연 방향으로의 작동 여유의 제공은 슬리프 샤프트(31)측 상에서, 구동력 전달부를 조립할 때 구멍(61b)을 통해 핀(32)을 넣는 것을 쉽게 하며, 이는 이러한 작동 여유를 제공하는 것이 구멍(61b)의 직경을 크게 하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핀을 샤프트에 부착하는 몇몇 방법이 설명된다.
핀을 부착하는 방법에 관하여, 억지 끼워맞춤 방법과 삽입 끼워맞춤 방법이 있다. 억지 끼워맞춤 방법에서, 평행 핀 또는 스프링 핀이 샤프트의 구멍 내로 가압된다. 본 실시예의 구성의 경우에, 억지 끼워맞춤 방법이 구동 샤프트(81)측 상에 핀을 부착하기에 적절하다. 그러나, 억지 끼워맞춤 방법은 커플링(61)의 제거 및 결합 효율을 고려해 볼 때, 슬리브 샤프트(31)측 상에 핀을 부착하기에는 적절하지 못하다.
다음으로, 삽입 끼워맞춤 방법이 도12의 (a) 및 도12의 (b)를 참조해서 설명된다. 도12의 (b)는 도12의 (a)의 구동력 전달부의 평면도이다.
핀(32)의 직경은 2 mm이고, 슬리브 샤프트(31)의 구멍(31p)의 직경은 예를 들어 2.1 mm로 핀(32)의 직경보다 약간 더 크게 되어 있다. 커플링(61)이 슬리브 샤프트(31) 둘레에 끼워진 후에 핀(32)이 슬리브 샤프트(31)의 구멍(31p) 내로 삽입된다. 다음으로, 핀(32)이 빠져 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핀 리테이너(pin retainer, 66)가 커플링(61)에 부착되어 핀 리테이너(66)에 의해 커플링(61)의 구멍(61b)을 덮는다. 핀 리테이너(66)는 스냅 포올(pawl, 66a)을 사용하여 커플링(61)에 유지된다. 따라서, 스냅 포올(66a)의 분리는 핀 리테이너(66), 핀(32), 커플링(61)이 순서대로 제거되는 것을 가능케 한다.
위에서 설명된 구조적 배열이 커플링(61)을 슬리브 샤프트(31)에 부착하기 위한 것일지라도, 커플링(61)은 구동 샤프트(81)에 부착되어 위에서 설명된 것과 동일한 기능 및 효과를 갖는 구동력 전달부를 제공할 수 있다.
더욱이, 위에서 설명된 구조적 배열에서, 프로세스 카트리지(21)는 현상 장치(13), 분사식 대전 장치(14), 감광 드럼(11)을 포함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적용가능한 프로세스 카트리지(21)에 대한 구조적 배열은 위에서 설명된 것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바꾸어 말하면, 본 발명은 구동되는 단일 또는 다수의 구동 샤프트를 갖는 임의의 프로세스 카트리지에 적용 가능하다.
다음으로, 도16 내지 도21을 참조해서, 감광 드럼(11; 11C, 11M, 11Y, 11K)의 드럼 실린더(131)를 드럼 샤프트(51)에 고정시키는 구조적 배열이 설명된다.
도16은 드럼 실린더(131)를 드럼 샤프트(51)에 고정하기 위한 구조적 배열을 도시한 감광 드럼(11) 및 그 인접부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17은 드럼 실린더(131)와 드럼 샤프트(51)가 어떻게 서로 고정되는지를 보여주는 감광 드럼(11) 및 그 인접부의 일 단부의 단면도이다. 도18은 드럼 실린더 및 드럼 샤프트의 단면도이고, 분리 상태이나 회전 위상은 일치한다. 도19는 도18의 면 H-H에서 드럼 실린더 및 드럼 샤프트의 단면도이다. 도20은 드럼 실린더 및 드럼 샤프트의 측면도이고, 도21은 드럼 실린더 및 드럼 샤프트의 평면도이다.
도16을 참조하여, 도면 부호 131은 드럼 실린더를 표시한다. 드럼 실린더의 한 단부는 드럼 실린더(131) 내로 억지 끼워맞춤되는 드럼 플랜지(132)에 끼워진다. 도면 부호 51은 핀(134)이 제공되는 드럼 샤프트를 표시한다. 핀(134)은 억지 끼워맞춤에 의해 드럼 샤프트(51)에 부착되고, 핀(134)의 양 단부는 소정의 거리를 두고 드럼 샤프트(51)의 주연 표면으로부터 돌출된다.
드럼 플랜지(132)는 위에서 설명된 핀(134)이 느슨하게 끼워지는 한 쌍의 홈(135)을 가지고 있다. 도18 및 도19를 참조하여, 각 홈(135)의 바닥 단부는 V 형상으로 테이퍼져 있고, V 형 테이퍼부(136)를 구성한다. 이 테이퍼부(136)는, 주연 방향으로의 드럼 플랜지(132)와 드럼 샤프트(51) 사이의 작동 여유를 흡수하도록(take up), 다음에 설명하는 가압 수단에 의해 드럼 샤프트(51)의 핀(134)에 대해 가압 유지된다.
이제, 드럼 실린더(131) 상에 압력을 가하는 수단이 설명된다. 드럼 플랜지(132)는 드럼 플랜지(132)의 전방 단부에 있는 두 개의 돌출부(137)를 가지고 있고, 이들은 드럼 플랜지(132)의 축방향으로 드럼 플랜지(132)를 통해 연장된 관통구멍의 벽부로부터 드럼 플랜지(132)의 반경 방향 내부로 돌출하며, 반면에 드럼 샤프트(51)는 드럼 플랜지(132)의 두 개의 돌출부(137)가 서로 헐겁게 끼워지는 두 개의 슬롯(138)이 제공된다.
다시 도16을 참조하여, 도면 부호 139는 노브를 표시하고, 그 단부(139a)는 나사가공되어 드럼 샤프트(51) 내의 암나사 구멍(133a)으로 나사 체결된다. 도면 부호 140은 노브(139) 주위에 회전식으로 끼워진 안내 부재를 나타낸다. 안내 부재(139)의 외경은 드럼 샤프트(51)의 내경보다 약간 작다. 또한, 안내 부재(140)는 드럼 샤프트(51)의 상기 슬롯(138) 내에 결합된 두 개의 돌출부(140a)를 가지고 있다. 안내 부재(140)의 각 돌출부(140a)의 높이는 돌출부(140a)가 드럼샤프트(51)의 주연 표면 후방에 도달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낮게 만들어진다.
드럼 플랜지(132)의 돌출부(137)가 드럼 실린더(131)의 축방향으로 드럼 샤프트(51)의 슬롯(138)과 정렬될 때, 드럼 샤프트(51)는 V형 테이퍼부가 드럼 샤프트(51)를 통해 억지 끼워진 핀(134)과 접촉할 정도로 깊히 드럼 플랜지(132) 내로 삽입된다.
다음으로, 노브(139)는 안내 부재(140)를 통해 삽입되어, 노브(139)의 나사부(139a)는 드럼 샤프트(51)의 암나사 구멍(133a) 내로 나사 체결된다. 이 공정에 앞서, 안내 부재(140)의 돌출부(140a)는 드럼 실린더(131)의 축방향으로 드럼 샤프트(51)의 슬롯(138)과 정렬된다.
그러므로, 드럼 실린더(131)의 주연 방향으로의 안내 부재(140)의 운동은 드럼 샤프트(51)의 슬롯(138)에 의해 조절되지만, 안내 부재(140) 및 노브(139)는 서로에 대하여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드럼 샤프트(51) 내에서 노브(139)의 나사 체결을 방해되지 않는다. 노브(139)가 드럼 샤프트(51) 내로 나사 체결됨에 따라, 안내 부재(140)는 드럼 샤프트(51)를 향해 점진적으로 움직이게 된다. 결국, 안내 부재(140)의 돌출부(140a)는 드럼 플랜지(132)의 돌출부(137)와 접촉되게 되고, 드럼 플랜지(132)를 드럼 샤프트(51)의 축방향으로 드럼 샤프트(51)의 내부를 향해 가압한다.
다음으로, 회전 상태에서의 드럼 플랜지(132) 및 드럼 샤프트(51)를 결합하는 기구가 설명된다.
도18 및 도19를 참조하여, 드럼 플랜지(132)의 내부 단부는 안내 캠과 같이테이퍼져 있다. 드럼 샤프트(51)가 드럼 플랜지(132) 내로 삽입됨에 따라, 드럼 샤프트(51)로부터 돌출하는 핀(134)은 테이퍼부의 표면(141)에 대하여 가압하고, 드럼 플랜지(132) 및 드럼 샤프트(51)가 회전 상태에서 결합될 때까지, 즉, 드럼 샤프트(51)의 핀(134)이 드럼 실린더(131)의 축방향에서 드럼 플랜지(132)의 홈(135)과 정렬될 때까지 드럼 플랜지(132)가 회전하도록 한다. 핀(134)이 홈(135)에 의해 안내되기 시작하면, 드럼 플랜지(132)의 돌출부(137)는 드럼 샤프트(51)의 슬롯(138) 내로 아직 결합되지 않고 있으나, 드럼 플랜지(132) 및 드럼 샤프트(51)는 회전 위상이 상응하여 드럼 샤프트(51)가 드럼 플랜지(132) 내로 삽입되는 것을 가능하게 만든다. 드럼 샤프트(51)가 드럼 플랜지(132) 내로 삽입됨에 따라, 드럼 샤프트(51)의 핀(134)은 드럼 플랜지(132)의 테이퍼부(136)와 접촉하게 된다.
그 다음에,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안내 부재(140)를 통해 삽입된 노브(139)는 드럼 플랜지(132) 및 드럼 샤프트(51)가 서로에게 끼워지기 위한 공정을 완료하도록 드럼 샤프트(51)의 암나사 구멍(133a) 내로 나사 체결된다.
상기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진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서로를 향해 드럼 플랜지(132) 및 드럼 샤프트(51)를 가압하기 위한 힘과, 드럼 실린더(131)의 축방향으로 이들이 서로에게 가압되게 유지하는 힘은 드럼 샤프트(51)의 가상의 연장에 의해 얻어지는 이론적 공간만을 통하여 드럼 플랜지(132) 및 드럼 샤프트(51)로 전달된다. 그러므로, 내경이 드럼 샤프트(51)의 외경과 동일한 통상의 베어링은, 드럼 플랜지(132)의 외측에, 드럼 샤프트(51)를 지지하고 정확하게 위치설정하기 위한 정렬판(114)에 정된 베어링(114a)으로써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드럼 실린더(131) 및 드럼 샤프트(51)는 정렬판(114)의 외부 측면으로부터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실시예 2)
다음으로, 도22 내지 도2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22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구동력 전달 장치의 제2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서, 도1에서와 동일한 부품 및 부분은 도1에서와 동일한 도면 부호가 주어져 있고, 그들의 설명은 생략된다.
본 실시예의 구조에서, 구동 샤프트(81) 및 슬리브 샤프트(31)는 각각 커플링(62, 63)에 끼워진다.
커플링(62)은 구동력을 전달하는 부분으로써 홈(62a) 및 한 쌍의 포올(62b)을 가지고 있다. 홈(62a) 내로, 구동 샤프트(81)의 핀(82)이 끼워진다. 포올(62b)은 구동력을 전달하도록 슬리브 샤프트(31) 상의 커플링(63)의 포올(63b)과 결합한다.
커플링(63)은 외경이 d1인 구동 샤프트(81)의 주위에 끼워지는 실린더부(62c)를 가지고 있고, 그들의 반경 방향으로 작동 여유가 마련되어, 이로써 구동 샤프트(81)에 의해 지지된다. 더 구체적으로, 구동 샤프트(81)의 외경(d1)은 8 mm인 반면, 커플링(62)의 내경(D1)은 8.5 mm이다.
커플링(62)은 핀(82) 및 E 형상의 리테이너 링(84)을 사용하여 구동 샤프트(81)에 헐겁게 끼워진다. 핀(82)과 홈(62a)의 벽부 사이에 작동여유량(δz1)은 0.5 mm이다.
반경 및 축 양 방향에서의 작동 여유가 제공됨으로써 커플링(62)이 도22의 평면에 수직인 x축 및 도면에서 직각인 방향에 평행한 y축 모두에 대하여 피봇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이로써 커플링(62) 및 구동 샤프트(81)가 서로에 대하여 피봇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더 구체적으로, 회전함에 따라, 커플링(62)은 핀(82)의 축선 및 지렛대와 같이 기능하는 구동 샤프트(81)의 축선 사이의 교차점(O1)을 갖고, 구동 샤프트(81)에 대해 흔들리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본 실시예에서, 핀(82)의 폭(b1) 및 홈(62a)의 폭(B1)은 제1 실시예에서와 같이 조립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핀(82)과 홈(62a)의 벽부 사이의 특정한 작동 여유량을 제공하도록 각각 2 mm 및 3 mm로 만들어진다.
한편, 슬리브 샤프트(31) 측면 상의 커플링(63)은, 구동 샤프트(81) 측면 상의 커플링(62)과 같이, 슬리브 샤프트(31) 주위에 끼워지고, 핀(32)의 반경 방향 및 슬리브 샤프트(31)의 축 방향 모두에서 핀(32)과 홈(63a)의 벽부 사이의 작동 여유를 갖는다. 커플링(63)의 슬리브 샤프트(31)의 외경(d2)은 8 mm인 반면, 실린더부(63c)의 내경(D2)은 8.5 mm이다. 핀(32)과 홈(63a)의 벽부 사이의 작동 여유(δz2)는 0.5 mm이다. 그러므로, 커플링(63)은 핀(82)의 축선 및 지렛대와 같이 기능하는 구동 샤프트(81)의 축선 사이의 교차점(O2)을 갖고, 슬리브 샤프트(31)에 대하여 흔들거리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위에서 설명한 구조적 배열의 제공됨으로써, 두 개의 커플링(62, 63)은 서로 확실하게 연결되고 단일 커플링과 같이 회전하거나, 또는 그들의 축선들 사이의 정렬에 관해서 특정한 범위를 제공하면서 헐겁게 서로 연결되고 회전한다. 앞의 경우에 있어서, 본 실시예에서의 구동력 전달부는 제1 실시예에서의 구동력 전달부와 같이 기능하고, 반면에 후자의 경우에 있어서, 본 실시예의 구동력 전달부는 그들의 축선들 사이의 배열에 관해서 더 높은 수준의 범위를 제공한다.
양 경우에 있어서, 구동 샤프트(81) 및 슬리브 샤프트(31)가 서로 정렬되어 있지 않으면, 구동 샤프트(81) 및 커플링(62)의 축선은 구동력이 전달되는 점[핀(32)과 홈(63a)의 벽부 사이의 접촉점]에서 교차되고, 슬리브 샤프트(31) 및 커플링(63)의 축선도 그렇게 된다. 그러므로, 구동력이 전달되고, 동일한 원통형 평면 상에 있는 다수의 접촉점은 전달되는 구동력의 양에 있어서 동일하게 되고, 전달됨에 따라, 구동력은 다수의 구동력 전달점들 사이에서 고르게 분포된다. 결과적으로, 구동력 또는 토오크는, 전달됨에 따라 원하지 않는 힘 또는 진동 발생력으로의 부분적인 변경없이, 토오크로서 간단하게 전달된다. 그러므로, 진동은 발생하지 않는다. 위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진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구동력이 전달됨에 따라 진동 발생력으로 부분적인 변경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고, 이로써 진동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프로세스 카트리지(21)가 장착됨에 따라 커플링(62, 63)이 서로 결합되는 공정이 설명된다.
커플링(63)은 그 축방향으로 슬리브 샤프트(31)를 향해 활주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스프링(33)은 커플링(63)이 도22에서 왼쪽으로 이동함에 따라 커플링(63) 상에 오른쪽으로의 압력을 가하기 위한 압축 스프링이다. 커플링(63)이 도22에서도시된 바와 같이 표준 위치에 있을 때, 그것은 자연 상태에 있고, 커플링(63) 상에 아무런 압력도 가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스프링(33)이 제공되어 작동 여유(δz2)를 제거하지 않으며, 작동 여유(δz2)가 존재하도록 보장한다.
도23은 화살표에 의해 지정된 방향으로 F-F 평면으로부터 바라본 구동력 전달부의 평면도이다. 커플링(63)의 단부 표면에는 한 쌍의 포올(63b)이 제공된다 (도22는 단면도이므로 그 포올의 쌍 중 하나만을 도시한다). 커플링(63)의 단부 표면(63d)은 평평하고 커플링(63)의 축선에 수직이다. 구동력 전달 표면(63e)은 커플링(63)의 반경 방향으로 커플링(63)의 축선과 정렬한다.
포올(63b)에 단일점 대신 평평한 단부가 부여된 이유는 커플링들(62, 63)이 상호 부적절하게 정렬(포올들(62b, 63b) 사이의 오정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커플링들(62, 63)이 상호 적절히 정렬될 때, 커플링(62)의 포올(62b)과 커플링(63)의 포올(63b)은 두 개의 커플링의 주연 방향으로 교대로 위치한다. 그러나, 포올들(62b, 63b)의 단부가 점이라면, 포올들(62b, 63b)은 때때로 두 개의 커플링의 주연 방향으로 교대로 위치하지 못하게된다. 이러한 문제점은 커플링들(62, 63)의 중심이 두 개의 커플링의 축방향으로 교대로 상호 정렬하지 못할 때 커플링들(62, 63)의 축선 사이의 오정렬 및/또는 구동 샤프트(81) 및 슬리브 샤프트(31)의 축선 각각에 대한 커플링들(62, 63)의 경사로 인해 일어난다.
포올들(62b, 63b)의 단부 표면을 평평하게 제작하는 것은 커플링들(62, 63) 사이의 전술한 오정렬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포올(62, 63)의 각각의 단부(62d, 63d)의 상호 정면 충돌을 유발할 수도 있다. 이것이 본 실시예에서 커플링(63)이 축방향으로 후퇴할 수 있는 이유이다. 이러한 구조적 배열을 제공함으로써, 두 개의 커플링이 정면 충돌할 때, 커플링(63)은 스프링(33)에 대해 압력을 가하면서 후퇴한다. 다음으로, 구동 샤프트(81)의 회전에 의해 두 개의 커플링이 회전 위상이 일치하게 될 때, 커플링(63)이 스프링(33)의 탄성에 의해 정상 위치로 복귀하면서 포올들(62b, 63b)은 적절히 상호 결합한다.
전술한 바로부터 명백하듯이, 본 발명은 두 개의 샤프트가 상호 상대적으로 회전하도록 허용되지 않은 구동열(drive train)에도 적용될 수 있다.
제1 실시예에서 구동열은 두 개의 샤프트가 상호 상대적으로 회전하도록 허용된 구동열이다. 두 개의 샤프트가 상호 상대적으로 회전하도록 허용되지 않은 구동열에 단일 커플링이 제공되어도,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이 그 커플링을 축방향으로 활주하게 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후속하여 기술되는 작동 효과는 부품의 모양(위상)을 구체화함으로써 실현될 수 있다. 도23을 참조하면, 커플링(63)의 구동력 전달 표면(63e) 및 홈(63a)은 회전 위상이 45°차이가 난다. 또한, 커플링들(62, 63)은 공통 부품이 사용될 수 있도록 가능한 많은 부품에서 동일하게 된다.
도24는 화살표에 의해 지시된 방향에서 바라본 바와 같이, 선 F-F에 의해 지시된 구동력 전달부의 일부의 평면도이고, 커플링(63) 및 슬리브 샤프트(31)를 도시한다. 도2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슬리브 샤프트(31)의 핀(32)은 커플링(63)의 구동력 전달 표면(63e)으로부터 반시계 방향으로 45°만큼 이격된다.
도25는 화살표에 의해 지시된 방향으로부터, 도22의 선 G-G에 의해 지시된부분으로부터 바라본 바와 같이 커플링들(62, 63)의 가상 평면도이고, 두 개의 커플링들(62, 63) 및 두 개의 핀들(32, 82)을 도시한다. 화살표(Q)는 구동력 전달부의 회전 방향을 지시한다. 구동 샤프트(81)의 핀(82)은 두 개의 커플링들(62, 63) 각각의 구동력 전달 표면(62e, 63e)으로부터 45°만큼 시계방향으로 이격한다. 따라서, 구동 샤프트(81)의 핀(82)과 슬리브 샤프트(31)의 핀(32)은 회전 위상(두 개의 핀(82, 32)은 상호 수직)으로 90°(45°+ 45°)만큼 차이가 난다.
핀들(32, 82)이 회전 위상으로 90°만큼 차이가 나므로(상호 수직), 제1 실시예에서 전술한 기구와 동일한 기구가 회전 부하가 요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불규칙한 회전과 같은 문제는 일어나지 않는다. 또한, 이러한 실시예에서는 구동 샤프트측과 슬리브 샤프트측에 대해 공통 부품을 사용하는 반면, 제1 실시예에서 실현된 것과 동일한 기능적 효과가 실현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러한 실시예에서는 화상 노출을 받는 감광 부재의 회전 속도가 요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감광 부재의 슬리브 샤프트는 슬리브 샤프트와 구동 샤프트의 회전 중심이 일치하도록 장치의 주조립체측 상의 구동 샤프트에 정확히 연결될 수 있도록 된다.
또한, 대전 슬리브와 현상 슬리브 사이의 주연 속도의 미세한 차이가 화상의 질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따라서, 구동력 전달부는 구동력이 구동 샤프트로부터 구동 샤프트와 회전축이 일치하지 않는 피동 샤프트로 전달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감광 슬리브, 대전 슬리브 또는 현상 슬리브가 대응하는 구동 샤프트로부터 약간 오정렬되더라도, 진동은 일어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적용예는 특별한 언급이 없다면 전술한 치수, 재료, 모양 및 위치 관계를 갖는 화상 형성 장치의 구성 부품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이 본원에서 개시된 구조를 참조하여 기술되었지만, 본 발명은 제시된 상세한 설명에 제한되지 않으며 본 출원은 개선의 목적 또는 후속하는 청구항의 범주 내의 개조예 또는 변형예를 포함하도록 의도된 것이다.
본원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프로세스 카트리지 내의 다수의 부품의 샤프트들이 화상 형성 장치의 주조립체 내에 제거식으로 장착될 때에도, 장치 주조립체측 상의 대응 구동 샤프트와 완벽하게 정렬되지 않아, 구동력이 구동 샤프트 또는 주조립체측 상의 구동 샤프트로부터 진동이 발생되지 않으면서 구동되는 샤프트 또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측 상의 샤프트로 전달되는 화상 형성 장치가 제공된다.

Claims (44)

  1. 정전 화상을 보유하는 화상 보유 부재와 상기 화상 보유 부재 상에서 작용가능하고 회전 샤프트를 갖는 프로세스 수단을 포함하고 화상 형성 장치의 주조립체에 착탈식으로 장착가능한 프로세스 카트리지와,
    상기 회전 샤프트와 실질적으로 동축이고 상기 회전 샤프트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 샤프트와,
    상기 구동 샤프트 및 상기 회전 샤프트와 결합되고 상기 구동 샤프트로부터 상기 회전 샤프트로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구동 전달 부재와,
    화상 보유 부재 회전 샤프트를 포함하고,
    상기 화상 보유 부재는 상기 화상 보유 부재 회전 샤프트와 실질적으로 작동 여유 없이 결합되고,
    상기 구동 전달 부재는 상기 구동 샤프트와 작동 여유를 갖고 결합되고 상기 회전 샤프트와 작동 여유를 갖고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상기 회전 샤프트를 각각 갖는 복수개의 상기 프로세스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스 수단의 각각에 대해 상기 구동 전달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스 수단은 상기 화상 보유 부재를 전기적으로 대전하는 대전 수단과 상기 화상 보유 부재상에 정전 화상을 현상하는 현상 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스 수단은 화상 보유 부재와 다른 주연 속도로 회전되는 회전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전달 부재는 상기 구동 샤프트의 축상의 지점과 상기 회전 샤프트의 축상의 지점의 주위에서 피봇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전달 부재가 상기 구동 샤프트와 상기 회전 샤프트의 각각에 대해 피봇가능한 각도는 상기 구동 전달 부재와 상기 구동 샤프트의 사이에 형성된 켤레각 및 상기 구동 전달 부재와 상기 회전 샤프트의 사이에 형성된 켤레각의 작은 것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8. 정전 화상을 보유하는 화상 보유 부재와 상기 화상 보유 부재 상에서 작용가능하고 회전 샤프트를 갖는 프로세스 수단을 포함하고 화상 형성 장치의 주조립체에 착탈식으로 장착 가능한 프로세스 카트리지와,
    상기 회전 샤프트와 실질적으로 동축이고 상기 회전 샤프트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 샤프트와,
    상기 구동 샤프트 및 상기 회전 샤프트와 결합되고 상기 구동 샤프트로부터 상기 회전 샤프트로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구동 전달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 전달 부재는 상기 구동 샤프트와 작동 여유를 갖고 결합되고 상기 회전 샤프트와 작동 여유를 갖고 결합되고,
    상기 작동 여유는 상기 구동 전달 부재와 상기 구동 샤프트가 서로 결합되는 부분 및 상기 구동 전달 부재와 상기 회전 샤프트가 서로 결합되는 부분에서 200 ㎛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전달 부재에는 상기 구동 샤프트와 상기 회전 샤프트와 결합되는 홈들이 각각 제공되고, 상기 구동 샤프트와 상기 회전 샤프트에는 상기 홈들과 결합되는 돌출부들이 각각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샤프트와 결합가능한 상기 구동 전달 부재의 상기 홈과 상기 회전 샤프트와 결합가능한 상기 구동 전달 부재의 상기 홈은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들은 서로 직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2. 정전 화상을 보유하는 화상 보유 부재와 상기 화상 보유 부재 상에서 작용가능하고 회전 샤프트를 갖는 프로세스 수단을 포함하고 화상 형성 장치의 주조립체에 착탈식으로 장착 가능한 프로세스 카트리지와,
    상기 회전 샤프트와 실질적으로 동축이고 상기 회전 샤프트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 샤프트와,
    상기 구동 샤프트 및 상기 회전 샤프트와 결합되고 상기 구동 샤프트로부터 상기 회전 샤프트로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구동 전달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 전달 부재는 상기 구동 샤프트와 작동 여유를 갖고 결합되고 상기 회전 샤프트와 작동 여유를 갖고 결합되고,
    상기 구동 전달 부재는 상기 구동 샤프트 및 상기 회전 샤프트와 결합되는 홈들을 각각 구비하고, 상기 구동 샤프트 및 상기 회전 샤프트는 상기 홈들과 결합되는 돌출부들을 각각 구비하며,
    상기 구동 전달 부재는 상기 돌출부들 중 하나가 상기 홈들 중 하나에 결합되는 것을 안내하기 위한 테이퍼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전달 부재에는 상기 구동 샤프트나 상기 회전 샤프트가 상기 구동 전달 부재에 맞닿는 것을 방지하는 단차부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전달 부재는 상기 구동 샤프트와 상기 회전 샤프트 중의 하나와 커플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전달 부재는 상기 구동 전달 부재가 장착되는 상기 구동 샤프트나 상기 회전 샤프트로부터 탈착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전달 부재는 서로를 향해 및 서로로부터 멀리 이동가능한 2개의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2개의 부재들은 상기 구동 샤프트와 상기 회전 샤프트와 각각 커플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부재들은 동일한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전달 부재에는 상기 구동 샤프트에 대한 상기 회전 샤프트의 회전에 의해 상기 구동 샤프트와 결합되게 되는 홈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홈은 상기 구동 샤프트 또는 상기 회전 샤프트의 축에서 봤을 때 상기 구동 전달 부재의 구동력 전달면으로부터 약 45°로 떨어져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전달 부재는 상기 테이퍼부의 높이와 상이한 높이를 갖는 다른 테이퍼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26. 화상 형성 장치에 착탈식으로 장착 가능한 프로세스 카트리지로서,
    정전 화상을 보유하기 위한 화상 보유 부재와,
    상기 화상 보유 부재 상에 작용 가능하고 회전 샤프트를 포함하는 프로세스 수단과,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에 제공된 구동 샤프트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기 위한 구동 전달 부재와,
    화상 보유 부재 회전 샤프트를 포함하고,
    상기 화상 보유 부재는 상기 화상 보유 부재 회전 샤프트와 실질적으로 작동 여유 없이 결합되고,
    상기 구동 전달 부재는 상기 구동 샤프트와 작동 여유를 갖고 결합되고 상기 회전 샤프트와 작동 여유를 갖고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상기 회전 샤프트를 각각 갖는 복수개의 상기 프로세스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스 수단 각각을 위한 상기 구동 전달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스 수단은 상기 화상 보유 부재를 전기적으로 대전시키기 위한 대전 수단 및 상기 화상 보유 부재에 정전 화상을 현상하기 위한 현상 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29.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스 수단은 상기 화상 보유 부재와는 다른 원주 속도로 회전되는 회전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30.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전달 부재는 상기 구동 샤프트의 축 상의 지점 및 상기 회전 샤프트의 축 상의 지점 주위에서 피봇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전달 부재가 상기 구동 샤프트와 상기 회전 샤프트의 각각에 대해 피봇가능한 각도는 상기 구동 전달 부재와 상기 구동 샤프트의 사이에 형성된 켤레각 및 상기 구동 전달 부재와 상기 회전 샤프트의 사이에 형성된 켤레각의 작은 것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32.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전달 부재는 상기 구동 샤프트 및 상기 회전 샤프트와 결합되는 홈들을 각각 구비하고, 상기 구동 샤프트 및 상기 회전 샤프트는 상기 홈들과 결합되는 돌출부들을 각각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샤프트와 결합가능한 상기 구동 전달 부재의 상기 홈과 상기 회전 샤프트와 결합가능한 상기 구동 전달 부재의 상기 홈은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들은 서로 직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35.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전달 부재는 상기 구동 샤프트나 상기 회전 샤프트가 상기 구동 전달 부재에 맞닿는 것을 방지하는 단차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36.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전달 부재는 상기 구동 샤프트와 상기 회전 샤프트 중의 하나와 커플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37.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전달 부재는 상기 구동 전달 부재가 장착되는 상기 구동 샤프트나 상기 회전 샤프트로부터 탈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38.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전달 부재는 서로를 향해, 그리고 서로로부터 이동 가능한 2개의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2개의 부재들은 상기 구동 샤프트 및 상기 회전 샤프트와 각각 커플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39.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부재들은 동일한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40.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전달 부재는 상기 구동 샤프트에 대한 상기 회전 샤프트의 회전에 의해 상기 구동 샤프트에 결합되는 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41.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홈은 상기 구동 샤프트 또는 상기 회전 샤프트의 축에서 볼 경우 상기 구동 전달 부재의 구동력 전달면으로부터 약 45°로 떨어져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42. 화상 형성 장치의 주조립체에 착탈식으로 장착가능한 프로세스 카트리지로서,
    정전 화상을 보유하는 화상 보유 부재와,
    상기 화상 보유 부재에 작용 가능하고 회전 샤프트를 포함하는 프로세스 수단과,
    상기 장치의 주조립체에 제공된 구동 샤프트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기 위한 구동 전달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 전달 부재는 상기 구동 샤프트와 작동 여유를 갖고 결합되고 상기 회전 샤프트와 작동 여유를 갖고 결합되고,
    상기 작동 여유는 상기 구동 전달 부재와 상기 구동 샤프트가 서로 결합되는 부분과 상기 구동 전달 부재와 상기 회전 샤프트가 서로 결합되는 부분에서 200 ㎛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43. 화상 형성 장치의 주조립체에 착탈식으로 장착가능한 프로세스 카트리지로서,
    정전 화상을 보유하는 화상 보유 부재와,
    상기 화상 보유 부재에 작용 가능하고 회전 샤프트를 포함하는 프로세스 수단과,
    상기 장치의 주조립체에 제공된 구동 샤프트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기 위한 구동 전달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 전달 부재는 상기 구동 샤프트와 작동 여유를 갖고 결합되고 상기 회전 샤프트와 작동 여유를 갖고 결합되고,
    상기 구동 전달 부재는 상기 구동 샤프트 및 상기 회전 샤프트와 결합되는 홈들을 각각 구비하고, 상기 구동 샤프트 및 상기 회전 샤프트는 상기 홈들과 결합되는 돌출부들을 각각 구비하며,
    상기 구동 전달 부재는 상기 돌출부들 중 하나가 상기 홈들 중 하나에 결합되는 것을 안내하기 위한 테이퍼부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44.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전달 부재는 상기 테이퍼부의 높이와 상이한 높이를 갖는 다른 테이퍼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KR10-2001-0046706A 2000-08-02 2001-08-02 화상 형성 장치 KR1004181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0-00233915 2000-08-02
JP2000233915A JP4046933B2 (ja) 2000-08-02 2000-08-02 駆動伝達装置及びこれを備える画像形成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1902A KR20020011902A (ko) 2002-02-09
KR100418163B1 true KR100418163B1 (ko) 2004-02-11

Family

ID=187263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6706A KR100418163B1 (ko) 2000-08-02 2001-08-02 화상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574446B2 (ko)
EP (1) EP1178370B1 (ko)
JP (1) JP4046933B2 (ko)
KR (1) KR100418163B1 (ko)
CN (1) CN1158583C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1779B1 (ko) * 2008-08-27 2014-06-24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현상 장치, 현상 카트리지, 회전력 전달 부품 및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26254B2 (ja) * 2003-06-30 2008-07-30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2005090642A (ja) * 2003-09-18 2005-04-07 Ricoh Co Ltd 回転体駆動装置及びこれを用いる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画像形成装置
JP4681833B2 (ja) * 2003-09-19 2011-05-11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5188004B2 (ja) 2004-02-17 2013-04-24 東レ・ダウコーニング株式会社 液状中鎖アルキル変性ポリジメチルシロキサン精製品の製造方法および化粧料
JP4799851B2 (ja) * 2004-11-15 2011-10-26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4643235B2 (ja) * 2004-11-30 2011-03-02 文化シヤッター株式会社 減速機付き開閉装置
JP5049486B2 (ja) * 2004-12-13 2012-10-1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それに適用される像担持ユニット
US7403734B2 (en) * 2005-01-11 2008-07-22 Seiko Epson Corporation Developing device, image forming apparatus, image forming system, and method of assembling developer supplying roller
JP4715349B2 (ja) * 2005-07-14 2011-07-06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4564899B2 (ja) * 2005-08-04 2010-10-20 株式会社リコー 駆動伝達装置、シート搬送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07147881A (ja) * 2005-11-25 2007-06-14 Brother Ind Ltd 現像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4240326B2 (ja) * 2005-12-27 2009-03-18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および現像カートリッジ
JP4280770B2 (ja) 2006-01-11 2009-06-17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4884144B2 (ja) 2006-02-16 2012-02-29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支持装置、画像形成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支持方法
JP4758247B2 (ja) 2006-02-20 2011-08-24 株式会社東芝 駆動伝達機構およ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4987367B2 (ja) * 2006-06-30 2012-07-25 株式会社リコー 連結装置を有する画像形成装置
KR101324184B1 (ko) 2006-11-27 2013-11-06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및 그 동력전달유닛
JP4739446B2 (ja) * 2006-12-11 2011-08-03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4444997B2 (ja) * 2006-12-11 2010-03-31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4948382B2 (ja) 2006-12-22 2012-06-06 キヤノン株式会社 感光ドラム取り付け用カップリング部材
AU2016238959B2 (en) * 2006-12-22 2017-07-13 Canon Kabushiki Kaisha Process cartridge,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and electrophotographic photosensitive drum unit
AU2011250737B2 (en) * 2006-12-22 2014-09-18 Canon Kabushiki Kaisha Rotational force transmitting part
AU2015203129B2 (en) * 2006-12-22 2016-07-07 Canon Kabushiki Kaisha Process cartridge,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and electrophotographic photosensitive drum unit
AU2014208277B2 (en) * 2006-12-22 2015-03-12 Canon Kabushiki Kaisha Process cartridge,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and electrophotographic photosensitive drum unit
AU2011250736B2 (en) * 2006-12-22 2014-05-29 Canon Kabushiki Kaisha Rotational force transmitting part
JP4498407B2 (ja) * 2006-12-22 2010-07-07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及び、電子写真感光体ドラムユニット
AU2012200109B2 (en) * 2006-12-22 2014-05-01 Canon Kabushiki Kaisha Process cartridge,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and electrophotographic photosensitive drum unit
RU2467369C2 (ru) * 2006-12-22 2012-11-20 Кэнон Кабусики Кайся Деталь, передающая вращательное усилие
JP2008233329A (ja) * 2007-03-19 2008-10-02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動力伝達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657064B2 (ja) * 2007-03-23 2015-01-21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及び、現像カートリッジ
JP5311854B2 (ja) 2007-03-23 2013-10-09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現像装置、及び、カップリング部材
JP5153214B2 (ja) * 2007-06-08 2013-02-27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の駆動ジョイント機構
US20080317530A1 (en) * 2007-06-19 2008-12-25 Kabushiki Kaisha Toshiba Fastening structure for rotating member
JP5194919B2 (ja) * 2008-03-24 2013-05-08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駆動力伝達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5328230B2 (ja) * 2008-06-10 2013-10-30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及び、前記カートリッジを用いた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5283986B2 (ja) * 2008-06-20 2013-09-04 キヤノン株式会社 ドラムユニット、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5306050B2 (ja) 2008-06-20 2013-10-02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カップリング部材の取り付け方法、及び、カップリング部材の取り外し方法
JP5159507B2 (ja) * 2008-06-20 2013-03-06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ップリング部材の取り外し方法、カップリング部材の取り付け方法、及び、電子写真感光体ドラムユニット
AU2014277817B2 (en) * 2008-06-20 2017-05-11 Canon Kabushiki Kaisha Process cartridge,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and electrographic photosensitive drum unit
JP5127584B2 (ja) * 2008-06-20 2013-01-23 キヤノン株式会社 ドラムユニット、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5288900B2 (ja) 2008-06-20 2013-09-11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AU2013202125B2 (en) * 2008-08-27 2015-12-03 Canon Kabushiki Kaisha Developing device, developing cartridge, rotational force transmitting part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JP4803267B2 (ja) 2009-02-17 2011-10-26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506236B2 (ja) 2009-04-30 2014-05-28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5029664B2 (ja) * 2009-09-09 2012-09-19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およびカートリッジ
JP5428846B2 (ja) * 2009-12-24 2014-02-26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
JP5041014B2 (ja) * 2010-01-28 2012-10-03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駆動力伝達機構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5683281B2 (ja) * 2010-02-02 2015-03-11 キヤノン株式会社 ドラムユニット
JP4846048B1 (ja) * 2010-08-24 2011-12-28 シャープ株式会社 ローラ装置、画像形成装置、及びローラ製造方法
JP5728316B2 (ja) * 2011-07-13 2015-06-0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多軸工作機械
WO2013048740A1 (en) * 2011-09-27 2013-04-04 Eastman Kodak Company Inkjet printing using large particles
KR101848393B1 (ko) * 2011-11-18 2018-04-13 에스프린팅솔루션 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장치의 동력전달구조
KR101709998B1 (ko) 2011-12-06 2017-02-24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감광체 드럼 유닛
US8867970B2 (en) * 2011-12-30 2014-10-21 Lexmark International, Inc. Toner cartridges having positional control features
CN110426937B (zh) 2012-06-15 2022-08-19 佳能株式会社 处理盒
JP5836917B2 (ja) * 2012-11-26 2015-12-24 株式会社東亜機械工事 鋼管杭埋設作業機用の継手体
JP5631443B2 (ja) * 2013-05-27 2014-11-26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RU2612360C2 (ru) * 2013-07-12 2017-03-07 Кэнон Кабусики Кайся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контейнера подачи проявителя, контейнер подачи проявителя, прояво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картридж процесса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формирования изображения
JP5868456B2 (ja) 2013-07-12 2016-02-24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容器、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5889254B2 (ja) * 2013-07-25 2016-03-22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及び、前記カートリッジを用いた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6300083B2 (ja) * 2013-08-23 2018-03-28 株式会社リコー 駆動伝達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6415198B2 (ja) * 2013-09-12 2018-10-31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
JP6287603B2 (ja) 2014-06-06 2018-03-07 三菱ケミカル株式会社 軸受部材、端部部材、感光体ドラムユニット、現像ローラユニット、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軸受部材の製造方法
JP2014206770A (ja) * 2014-08-08 2014-10-30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及び、前記カートリッジを用いた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5868469B2 (ja) * 2014-09-30 2016-02-24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EP3702848A1 (en) * 2014-11-28 2020-09-02 Canon Kabushiki Kaisha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MX2022000100A (es) 2015-02-27 2022-09-02 Canon Kk Unidad de tambor, cartucho y miembro de acoplamiento.
US9341996B1 (en) 2015-04-09 2016-05-17 Lexmark International, Inc. Hub-based drive coupling mechanism for a fuser backup member and methods of using same
JP6187551B2 (ja) * 2015-08-28 2017-08-30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017071B2 (ja) * 2016-01-07 2016-10-26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6074532B2 (ja) * 2016-04-12 2017-02-01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及び、前記カートリッジを用いた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6246311B2 (ja) * 2016-12-27 2017-12-13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及び、前記カートリッジを用いた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6932949B2 (ja) * 2017-03-09 2021-09-08 富士フイルムビジネスイノベーション株式会社 現像剤保持体、現像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6584462B2 (ja) * 2017-09-04 2019-10-02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6494725B2 (ja) * 2017-11-09 2019-04-03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及び、前記カートリッジを用いた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2019090847A (ja) * 2017-11-10 2019-06-13 シャープ株式会社 感光体ドラム、駆動シャフト、感光体ドラムシステム、画像形成装置及び複合機
CN116184783A (zh) * 2017-12-13 2023-05-30 佳能株式会社 盒与图像形成装置
JP7042669B2 (ja) * 2018-03-29 2022-03-28 立川ブラインド工業株式会社 遮蔽装置
JP7071221B2 (ja) * 2018-06-05 2022-05-18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6667697B2 (ja) * 2019-03-07 2020-03-18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及び、前記カートリッジを用いた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6882393B2 (ja) * 2019-09-05 2021-06-02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4057A (ja) * 1990-05-07 1992-01-20 Sharp Corp 複写機の駆動用軸継手
JPH05341589A (ja) * 1992-06-12 1993-12-24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H06161317A (ja) * 1991-12-20 1994-06-07 Fuji Xerox Co Ltd 定着装置の駆動装置
JPH06332285A (ja) * 1993-05-25 1994-12-02 Ricoh Co Ltd 回転型現像装置
JPH09230654A (ja) * 1996-02-21 1997-09-05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JPH11182574A (ja) * 1997-12-19 1999-07-06 Fujitsu Ltd 回転伝達装置並びにそれを用いた用紙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0132056A (ja) * 1998-10-26 2000-05-12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829942A (ko) 1971-08-21 1973-04-20
US3985436A (en) 1974-06-25 1976-10-12 Minolta Camera Kabushiki Kaisha Electrophotographic copying apparatus
US4065941A (en) * 1975-05-16 1978-01-03 Koto Sangyo Kabushiki Kaisha Universal joint
GB2141520B (en) 1983-06-08 1986-08-28 Xerox Corp Drive shaft connector
JPS60249729A (ja) 1984-05-23 1985-12-10 Fuji Xerox Co Ltd 脱着可能な2自由度接手
ATE39552T1 (de) * 1984-06-13 1989-01-15 Hasler Ag Vorrichtung zum kraftschluessigen verbinden zweier wellen.
US4835565A (en) * 1986-06-11 1989-05-30 Ricoh Company, Ltd. Image developing device for electrophotography
JPH02238469A (ja) * 1989-03-10 1990-09-20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H02304459A (ja) * 1989-05-19 1990-12-18 Hitachi Ltd 電子写真プリンタのドラム駆動装置
JP3210175B2 (ja) 1993-06-10 2001-09-17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補給容器及び前記容器の組み立て方法
JP3262691B2 (ja) * 1995-06-28 2002-03-04 富士通株式会社 伝導連結装置及びこの装置を有する画像形成装置
JPH11303883A (ja) * 1998-04-22 1999-11-02 Mita Ind Co Ltd 軸継手、感光体ドラム用動力伝達ユニット及び画像形成装置
JP3673658B2 (ja) 1998-10-28 2005-07-20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4057A (ja) * 1990-05-07 1992-01-20 Sharp Corp 複写機の駆動用軸継手
JPH06161317A (ja) * 1991-12-20 1994-06-07 Fuji Xerox Co Ltd 定着装置の駆動装置
JPH05341589A (ja) * 1992-06-12 1993-12-24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H06332285A (ja) * 1993-05-25 1994-12-02 Ricoh Co Ltd 回転型現像装置
JPH09230654A (ja) * 1996-02-21 1997-09-05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JPH11182574A (ja) * 1997-12-19 1999-07-06 Fujitsu Ltd 回転伝達装置並びにそれを用いた用紙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0132056A (ja) * 1998-10-26 2000-05-12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1779B1 (ko) * 2008-08-27 2014-06-24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현상 장치, 현상 카트리지, 회전력 전달 부품 및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US8874004B2 (en) 2008-08-27 2014-10-28 Canon Kabushiki Kaisha Developing device having movable coupling member for engagement to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178370B1 (en) 2012-10-10
US6574446B2 (en) 2003-06-03
EP1178370A2 (en) 2002-02-06
CN1158583C (zh) 2004-07-21
EP1178370A3 (en) 2007-03-28
JP4046933B2 (ja) 2008-02-13
US20020025191A1 (en) 2002-02-28
CN1346077A (zh) 2002-04-24
KR20020011902A (ko) 2002-02-09
JP2002048148A (ja) 2002-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18163B1 (ko) 화상 형성 장치
JP4604063B2 (ja) 画像形成装置
US9851685B2 (e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developing apparatus, and coupling member
JP4431467B2 (ja) 画像形成装置。
KR20130055408A (ko)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장치의 동력전달구조
JP2008002671A (ja) 回転駆動力連結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EP3032121B1 (en) Drive apparatus and belt unit for image forming apparatus
JP2014034995A (ja) 駆動伝達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KR20060008107A (ko) 동력 커플링장치 및 그것을 갖는 화상형성장치
US11520273B2 (en) Driving force transmitting mechanism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4939865B2 (ja) カップリング装置およびカップリング装置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KR20070039317A (ko) 화상형성장치
JPH06193640A (ja) 駆動力伝達用カップリング
JP3821199B2 (ja) 画像形成装置
JP5451028B2 (ja) 駆動伝達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AU2022200676B2 (e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developing apparatus, and coupling member
AU2017221846B2 (e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developing apparatus, and coupling member
JP4848668B2 (ja) 画像形成装置
AU2012200941B2 (e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developing apparatus, and coupling member
AU2015203402B2 (e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developing apparatus, and coupling memb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7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