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08723B1 -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파워-업 신호 발생장치 - Google Patents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파워-업 신호 발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8723B1
KR100408723B1 KR10-2001-0082255A KR20010082255A KR100408723B1 KR 100408723 B1 KR100408723 B1 KR 100408723B1 KR 20010082255 A KR20010082255 A KR 20010082255A KR 100408723 B1 KR100408723 B1 KR 1004087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ignal
deep
down mode
supply vol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822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52362A (ko
Inventor
이강설
이재진
박기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to KR10-2001-00822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08723B1/ko
Priority to US10/255,999 priority patent/US6885605B2/en
Priority to TW091122533A priority patent/TW567506B/zh
Priority to JP2002293460A priority patent/JP4277133B2/ja
Priority to DE10251670A priority patent/DE10251670B4/de
Publication of KR200300523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523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87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8723B1/ko
Priority to US11/040,966 priority patent/US20050135174A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2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 G11C11/34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 G11C11/4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 G11C11/40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forming cells needing refreshing or charge regeneration, i.e. dynamic cells
    • G11C11/4063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 G11C11/407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for memory cells of the field-effect type
    • G11C11/4074Power supply or voltage generation circuits, e.g. bias voltage generators, substrate voltage generators, back-up power, power control circui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2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 G11C11/34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 G11C11/4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 G11C11/40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forming cells needing refreshing or charge regeneration, i.e. dynamic cells
    • G11C11/4063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 G11C11/407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for memory cells of the field-effect type
    • G11C11/4072Circuits for initialization, powering up or down, clearing memory or presett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20Memory cell initialisation circuits, e.g. when powering up or down, memory clear, latent image memory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2207/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2207/22Control and timing of internal memory operations
    • G11C2207/2227Standby or low power m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Dram (AREA)
  •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s (AREA)
  • Logic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파워-업 신호 발생장치에 관한 것으로, 딥 파워 다운 모드시에도 동작대기상태로 있어야 하는 반도체 소자들에 대해서는 항상 인에이블된 상태로 존재하는 상기 딥 파워 다운 파워-업 신호를 사용하고 내부전원전압이 생성된 후에 동작하는 반도체 소자들에 대해서는 딥 파워 다운 모드일 때는 디스에이블되고 딥 파워 다운 모드가 아닐 때는 인에이블되는 파워-업 신호를 사용해서 딥 파워 다운 모드시의 오동작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외부전원전압을 이용해서 파워-업 검출신호를 발생시키는 파워-업 검출기; 상기 파워-업 검출신호에 응답하여 딥 파워 다운 파워-업 신호를 발생시키는 딥 파워 다운 파워-업 신호 발생기; 상기 파워-업 검출신호에 응답하여 파워-업 신호를 발생시키는 파워-업 신호 발생기; 및 딥 파워 다운 모드 시에 상기 파워-업 신호의 인에이블 여부를 결정하는 파워-업 제어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파워-업 신호 발생장치{Power-up signal generator of semiconductor memory device}
본 발명은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파워-업 신호 발생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딥 파워 다운 모드시(deep power down entry)에는 디스에이블되고 딥 파워 다운 모드가 아닐 때(deep power down exit)는 내부전원전압에 의해 인에이블되는 파워-업 신호를 발생시키는 파워-업 신호 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딥 파워 다운 모드(deep power down entry)란 일정시간동안 디램을 사용하지 않는 상태일 때, 스탠바이 전류를 줄이기 위해 내부에서 사용되는 모든 내부전원전압을 오프시킨 상태를 의미한다.
파워-업 신호(power up signal)는 칩이 정상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는 것을 알려주는 신호인데, 이러한 파워-업 신호가 하이레벨로 인에이블되었을 때 칩이 정상적으로 동작할 수 있게 된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파워-업 신호 발생장치로서, 이것은 외부전원전압 Vext를 분배하는 전압 디바이더(11), 분배된 전압 A를 풀-업시키는 풀-업부(12), 분배된 전압 A를 입력받아, 파워-업 신호 PWRUP의 인에이블 시점을 결정하기 위한 파워-업 검출신호 DET를 발생시키는 구동부(16), 파워-업 검출신호 DET를 입력받아 파워-업 신호 PWRUP를 발생시키는 구동부(15)로 구성되고, 상기 구동부(16)는 상기 파워-업 검출신호 DET를 풀-업시키는 풀-업부(14)와 상기 파워-업 검출신호 DET를 풀-다운시키는 풀-다운부(13)로 구성된다.
여기서, 전압 디바이더(11)는 외부전원전압 Vext와 접지전압 Vss 사이에 직렬 접속된 저항 R1, R2로 구성되고, 풀-업부(12)는 외부전원전압 Vext와 노드 SN1 사이에 접속되고 게이트로 분배된 전압 A를 인가받는 NMOS 트랜지스터 N1로 구성된다. 풀-다운부(13)는 노드 SN2와 접지전압 Vss 사이에 접속되고 게이트로 분배된 전압 A를 인가받는 NMOS 트랜지스터 N2로 구성되고, 풀-업부(14)는 외부전원전압 Vext와 출력노드 SN2 사이에 접속된 저항 R3으로 구성된다. 구동부(15)는 외부전원전압 Vext와 접지전압 Vss 사이에 접속되고 파워-업 검출신호 DET를 반전시켜 파워-업 신호 PWRUP를 출력하는 인버터 IV1로 구성된다.
도 2에 나타낸 파워-업 신호 발생장치는 도 1에서 풀-업부(14)의 저항 R3 대신에 PMOS 트랜지스터 P1을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는 도 2에 나타낸 구성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구성 설명은 생략한다.
이러한 종래의 파워-업 신호 발생장치에 있어서, 파워-업 신호 PWRUP는 외부전원전압 Vext에 의해 만들진 내부전원전압이 안정적인 레벨에 도달할 때까지는 로우레벨로 디스에이블되어 있다가, 저항 R3(도 2에서는 PMOS 트랜지스터 P1)에 흐르는 전류가 NMOS 트랜지스터 N2에 흐르는 전류보다 많게 될 때 하이레벨로 인에이블된다.
이러한 파워-업 신호 PWRUP는 딥 파워 다운 모드일 때와 딥 파워 다운 모드가 아닐 때(deep power down exit)에 항상 하이레벨로 인에이블되어 있다. 이렇게 파워-업 신호 PWRUP가 딥 파워 다운 모드가 아닐 때에도 하이레벨로 인에이블되어 있는 이유는 딥 파워 다운 모드시에도 동작상태로 있어야 하는 반도체 소자들(클럭 버퍼, 모드 레지스트 세트 등)때문이다.
그러나, 이러한 파워-업 신호 PWRUP가 딥 파워 다운 모드시에도 하이레벨로 인에이블되어 있으면, 내부전원전압이 아직 생성되지 못한 상태에서 칩이 동작하게 되어, 내부전원전압에 의해서 동작하는 반도체 소자들이 내부전원전압 Vint를 공급받지 못해 오동작을 일으키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에 착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딥 파워 다운 모드시에도 동작대기상태로 있어야 하는 반도체 소자들에 대해서는 항상 인에이블된 상태로 존재하는 상기 딥 파워 다운 파워-업 신호를 사용하고 내부전원전압이 생성된 후에 동작하는 반도체 소자들에 대해서는 딥 파워 다운 모드일 때는 디스에이블되고 딥 파워 다운 모드가 아닐 때는 인에이블되는 파워-업 신호를 사용해서 딥 파워 다운 모드시의 오동작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파워-업 신호 발생장치의 회로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파워-업 신호 발생장치의 회로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파워-업 신호 발생장치의 회로도.
도 7a 내지 도 7c는 도 5 및 도 6의 파워-업 제어기의 회로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파워-업 신호 발생장치의회로도.
도 10은 본 발명의 파워-업 신호 발생장치의 타이밍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210 : 파워-업 검출기
120, 220, 310 : 딥 파워 다운 파워-업 신호 발생기
130, 240, 320 : 파워-업 신호 발생기
140, 230, 330 : 파워-업 제어기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1 관점에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파워-업 신호 발생장치는, 외부전원전압을 이용해서 파워-업 검출신호를 발생시키는 파워-업 검출기; 상기 파워-업 검출신호에 응답하여 딥 파워 다운 파워-업 신호를 발생시키는 딥 파워 다운 파워-업 신호 발생기; 상기 파워-업 검출신호에 응답하여 파워-업 신호를 발생시키는 파워-업 신호 발생기; 및 딥 파워 다운 모드 시에 상기 파워-업 신호의 인에이블 여부를 결정하는 파워-업 제어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관점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파워-업 신호 발생장치는, 외부전원전압을 이용해서 파워-업 검출신호를 발생시키는 파워-업 검출기; 상기 파워-업 검출신호를 입력받아 딥 파워 다운 파워-업 신호를 발생시키는 딥 파워 다운 파워-업 신호 발생기; 상기 파워-업 검출신호와 딥 파워 다운 모드 신호를 입력받아 파워-업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파워-업 제어기; 및 상기 파워-업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인에이블 여부가 결정되는 파워-업 신호를 발생시키는 파워-업 신호 발생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3 관점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파워-업 신호 발생장치는, 외부전원전압을 이용해서 딥 파워 다운 파워-업 신호를 발생시키는 딥 파워 다운 파워-업 신호 발생기; 내부전원전압을 이용해서 파워-업 신호를 발생시키는 파워-업 신호 발생기; 및 딥 파워 다운 모드시에 상기 파워-업 신호의 인에이블 여부를 결정하는 파워-업 제어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파워-업 신호 발생장치를 나타낸 블록도로서, 이것은 파워-업 검출기(110), 딥 파워 다운 파워-업 신호 발생기(120), 파워-업 신호 발생기(130) 및 파워-업 제어기(140)로 구성된다.
여기서, 파워-업 검출기(110)는 외부전원전압 Vext를 분배된 전압 디바이더(111), 분배된 전압 A를 풀-업시키는 풀-업부(112), 및 분배된 전압 A를 입력받아 딥 파워 다운 파워-업 신호 DPD-PWRUP와 파워-업 신호 PWRUP가 인에이블되는 시점을 결정하기 위한 파워-업 검출신호 DET를 발생시키는 구동부(115)로 구성된다. 구동부(115)는 파워-업 검출신호 DET를 풀-업시키는 풀-업부(114)와 파워-업 검출신호 DET를 풀-다운시키는 풀-다운부(113)로 구성된다.
상술한 전압 디바이더(111)는 외부전원전압 Vext와 접지전압 Vss 사이에 직렬 접속된 저항 R11, R12로 구성되고, 풀-업부(112)는 소스 및 드레인이 외부전원전압 Vext와 노드 SN11에 각각 접속되고 게이트로 분배된 전압 A를 인가받는 NMOS 트랜지스터 N11로 구성된다. 풀-다운부(113)는 드레인 및 소스가 출력노드 SN12와 접지전압 Vss에 각각 접속되고 게이트로 분배된 전압 A를 인가받는 NMOS 트랜지스터 N12로 구성되고, 풀-업부(114)는 외부전원전압 Vext와 출력노드 SN12 사이에 접속된 저항 R13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파워-업 검출기(110)는 저항 R13과 NMOS 트랜지스터 N12의 전류비에 따라 파워-업 검출신호 DET를 출력하고, 이 파워-업 검출신호 DET에 따라 딥 파워 다운 파워-업 신호 DPD-PWRUP와 파워-업 신호 PWRUP가 인에이블되는 시점을 결정한다. 즉, 저항 R13(도 4에서는 PMOS 트랜지스터 P12)에 흐르는 전류가 NMOS 트랜지스터 N12에 흐르는 전류보다 많게 될 때, 파워-업 검출신호 DET를 로우레벨로 출력하여 딥 파워-다운 파워-업 신호 DPD-PWRUP와 파워-업 신호 PWRUP을 하이레벨로 인에이블시킨다.
다음에, 딥 파워 다운 파워-업 신호 발생기(120)는 외부전원전압 Vext와 접지전압 Vss 사이에 접속되고, 인버터 IV11의 출력신호를 반전시켜 딥 파워 다운 파워-업 신호 DPD_PWRUP를 발생시키는 인버터 IV12, IV13으로 구성된다. 인버터 IV11은 파워-업 검출신호 DET를 반전시킨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딥 파워 다운 파워-업 신호 발생기(120)는 딥 파워 다운모드일 때와 딥 파워 다운 모드가 아닐 때에 항상 하이레벨로 인에이블되어 있는 딥 파워 다운 파워-업 신호 DPD_PWRUP를 발생시킨다.
파워-업 신호 발생기(130)는 내부전원전압 Vint와 접지전압 Vss 사이에 접속되고, 인버터 IV11의 출력신호를 반전시켜 파워-업 신호 PWRUP를 발생시키는 인버터 IV14 및 IV15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파워-업 신호 발생기(130)는 딥 파워 다운 모드시에는 로우레벨로 디스에이블되고 딥 파워 다운 모드가 아닐 때는 내부전원전압 Vint에 의해 하이레벨로 인에이블되는 파워-업 신호 PWRUP를 발생시킨다.
파워-업 제어기(140)는 소스가 외부전원전압 Vext에 접속되고 게이트로 딥 파워 다운 모드 신호 DPD를 인가받는 PMOS 트랜지스터 P11로 구성된다.
이러한 파워-업 제어기(140)는 딥 파워 다운 모드일 때는 딥 파워 다운 모드 신호 DPD가 하이레벨이므로 턴-오프되어 파워-업 신호 발생기(130)에 외부전원전압 Vext을 인가하지 않고, 딥 파워 다운 모드가 아닐 때는 딥 파워 다운 모드 신호 DPD가 로우레벨이므로 턴-온되어 외부전원전압 Vext를 내부전원전압 Vint로 만들어 파워-업 신호 발생기(130)에 인가한다.
한편, 한편 도 4에 나타낸 파워-업 신호 발생장치는 도 3에 나타낸 파워-업 검출기(210) 내의 저항 R13 대신에 PMOS 트랜지스터 P12를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는 도 3에 나타낸 구성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구성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파워-업 신호 발생장치의 동작을 간략히 설명한다.
먼저, 딥 파워 다운 파워-업 신호 DPD_PWRUP는 딥 파워 다운 모드에서도 동작대기상태로 있어야 하는 클럭 인에이블 버퍼, 모드 레지스터 세트 등에 사용되고, 파워-업 신호 PWRUP는 디램의 나머지 반도체 소자들의 내부전원전압에 의한 초기화를 위해 사용된다.
여기서, 저항 R13(도 4에서는 PMOS 트랜지스터 P12)에 흐르는 전류가 NMOS 트랜지스터 N12에 흐르는 전류보다 많게 되면 파워-업 검출신호 DET가 로우레벨로 되고, 딥 파워 다운 파워-업 신호 DPD_PWRUP와 파워-업 신호 PWRUP는 로우레벨의 파워-업 검출신호 DET에 의해 하이레벨로 인에이블된다.
이때, 딥 파워 다운 파워-업 신호 DPD_PWRUP는 딥 파워 다운 모드일 때나 딥 파워 다운 모드가 아닐 때나 항상 하이레벨로 인에이블되어 있다.
반면에, 파워-업 신호 PWRUP는 딥 파워 다운 모드일 때는 로우레벨로 디스에이블되고, 딥 파워 다운 모드가 아닐 때는 내부전원전압 Vint에 의해 하이레벨로 인에이블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딥 파워 다운 모드일 때는 딥 파워 다운 모드 신호 DPD가 하이레벨이므로 PMOS 트랜지스터 P11을 턴-오프시키고 외부전원전압 Vext를 인가하지 않기 때문에 파워-업 신호 PWRUP가 로우레벨로 디스에이블된다. 딥 파워 다운 모드가 아닐 때는 딥 파워 다운신호 DPD가 로우레벨이므로 PMOS 트랜지스터 P11을 턴-온시키고 외부전원전압 Vext를 내부전원전압 Vint로 만들어서 파워-업 신호 발생기(130)에 인가하기 때문에, 파워-업 신호 PWRUP가 내부전원전압 Vint에 의해 하이레벨로 인에이블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의하면, 딥 파워 다운 파워-업 신호 DPD_PWRUP를 딥 파워 다운 모드시 및 딥 파워 다운 모드가 아닐 때에 항상 하이레벨로 인에이블시키고, 파워-업 신호 PWRUP를 딥 파워 다운 모드시에 로우레벨로 디스에이블시키고 딥 파워 다운 모드가 아닐 때에는 하이레벨로 인에이블시킴으로써 딥 파워 다운 모드시의 칩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파워-업 신호 발생장치를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파워-업 신호 발생장치를 나타낸 블록도로서, 이것은 파워-업 검출기(210), 딥 파워 다운 파워-업 신호 발생기(220), 파워-업 제어기(230) 및 파워-업 신호 발생기(240)로 구성된다.
여기서, 파워-업 검출기(210)는 외부전원전압 Vext를 분배하는 전압 디바이더(211), 분배된 전압 A를 풀-업시키는 풀-업부(212), 및 분배된 전압 A를 입력받아 딥 파워 다운 파워-업 신호 DPD-PWRUP와 파워-업 신호 PWRUP가 인에이블되는 시점을 결정하기 위한 파워-업 검출신호 DET를 발생시키는 구동부(215)로 구성된다. 구동부(215)는 파워-업 검출신호 DET를 풀-다운시키는 풀-다운부(213)와 파워-업 검출신호 DET를 풀-업시키는 풀-업부(214)로 구성된다.
상술한 전압 디바이더(211)는 외부전원전압 Vext와 접지전압 Vss 사이에 직렬 접속된 저항 R21, R22로 구성되고, 풀-업부(212)는 소스 및 드레인이 외부전원전압 Vext와 노드 SN21에 각각 접속되고 게이트로 분배된 전압 A를 인가받는 NMOS 트랜지스터 N21로 구성된다. 풀-다운부(213)는 드레인 및 소스가 노드 SN22와 접지전압 Vss에 각각 접속되고 게이트로 분배된 전압 A를 인가받는 NMOS 트랜지스터 N22로 구성되고, 풀-업부(214)는 외부전원전압 Vext와 출력노드 SN22 사이에 접속된 저항 R23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파워-업 검출기(210)는 저항 R23과 NMOS 트랜지스터 N22의 전류비에 따라 파워-업 검출신호 DET를 출력하고, 이 파워-업 검출신호 DET에 따라 딥 파워 다운 파워-업 신호 DPD-PWRUP와 파워-업 신호 PWRUP가 인에이블되는 시점을 결정한다. 즉, 저항 R23(도 6에서는 PMOS 트랜지스터 P21)에 흐르는 전류가 NMOS 트랜지스터 N22에 흐르는 전류보다 많게 될 때 파워-업 검출신호 DET가 로우레벨로 출력되고, 이 로우레벨로 출력된 파워-업 검출신호 DETDP 의해 딥 파워 다운 파워-업 신호 DPD-PWRUP와 파워-업 신호 PWRUP가 하이레벨로 인에이블된다.
다음에, 딥 파워 다운 파워-업 신호 발생기(220)는 외부전원전압 Vext와 접지전압 Vss 사이에 접속되고 파워-업 검출신호 DET를 반전시켜 딥 파워 다운 파워-업 신호 DPD_PWRUP를 발생시키는 인버터 IV21, IV22, IV23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딥 파워 다운 파워-업 신호 발생기(220)는 딥 파워 다운 모드일 때와 딥 파워 다운 모드가 아닐 때에 항상 하이레벨로 인에이블되어 있는 딥 파워 다운 파워-업 신호 DPD_PWRUP를 발생시킨다.
파워-업 제어기(230)는 파워-업 검출신호 DET와 딥 파워 다운 모드 신호 DPD를 입력받아 파워-업 신호 PWRUP의 인에이블 여부를 제어하기 위한 파워-업 제어신호 PWRUPZ를 발생시킨다.
이러한 파워-업 제어기(230)는 도 7a 내지 도 7c에 나타낸 것과 같은 구성을갖는다.
먼저, 도 7a에 나타낸 파워-업 제어기(230)는 외부전원전압 Vext와 접지전압 Vss 사이에 접속되어 파워-업 검출신호 DET를 반전시키는 인버터 IV27, 외부전원전압 Vext와 접지전압 Vss 사이에 접속되어 딥 파워 다운신호 DPD를 반전시키는 인버터 IV28, 및 외부전원전압 Vext와 접지전압 Vss 사이에 접속되어 인버터 IV27, IV28의 출력신호들을 낸드 조합하여 파워 업 제어신호 PWRUPZ를 발생시키는 낸드 게이트 ND1로 구성된다.
도 7b에 나타낸 파워-업 제어기(230)는 외부전원전압 Vext와 접지전압 Vss 사이에 접속되고 파워-업 검출신호 DET와 딥 파워 다운 모드 신호 DPD를 노아 조합하는 노어 게이트 NR1 및 외부전원전압 Vext와 접지전압 Vss 사이에 접속되고 노어 게이트 NR1의 출력신호를 반전시켜 파워-업 제어신호 PWRUPZ를 출력하는 인버터 IV29로 구성된다.
도 7c에 나타낸 파워-업 제어기(230)는 외부전원전압 Vext와 접지전압 Vss 사이에 접속되어 딥 파워 다운 모드 신호 DPD를 반전시키는 인버터 IV30, 소스 및 드레인이 외부전원전압 Vext와 출력단에 각각 접속되고 게이트로 인버터 IV30의 출력신호를 인가받는 PMOS 트랜지스터 P22 및 딥 파워 다운 모드 신호 DPD와 인버터 IV30의 출력신호의 제어하에 파워-업 검출신호 DET를 입력받아 파워-업 제어신호 PWRUPZ를 발생시키는 전달 게이트 T1로 구성된다.
이어서, 파워-업 신호 발생기(240)는 외부전원전압 Vext와 접지전압 Vss 사이에 접속되고 파워-업 제어신호 PWRUPZ를 반전시켜 파워-업 신호 PWRUP를 발생시키는 인버터 IV24, IV25, IV26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파워-업 신호 발생기(240)는 딥 파워 다운 모드시에는 로우레벨로 디스에이블되고 딥 파워 다운 모드가 아닐 때는 하이레벨로 인에이블되는 파워-업 신호 PWRUP를 발생시킨다.
한편 도 6에 나타낸 파워-업 신호 발생장치는 도 5에 나타낸 파워-업 검출기(210) 내의 저항 R23 대신에 PMOS 트랜지스터 P21을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는 도 5에 나타낸 구성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구성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파워-업 신호 발생장치의 동작을 간략히 설명한다.
우선, 딥 파워 다운 파워-업 신호 DPD_PWRUP는 딥 파워 다운 모드일 때나 딥 파워 다운 모드가 아닐 때나 항상 하이레벨로 인에이블되어 있다.
반면에, 파워-업 신호 PWRUP는 딥 파워 다운 모드일 때 로우레벨로 디스에이블되고, 딥 파워 다운 모드가 아닐 때는 하이레벨로 인에이블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딥 파워 다운 모드일 때는 딥 파워 다운신호 DPD가 하이레벨이므로 파워-업 제어신호 PWRUPZ이 하이레벨로 되어 파워-업 신호 PWRUP가 로우레벨로 디스에이블되고, 딥 파워 다운 모드가 아닐 때는 딥 파워 다운 모드 신호 DPD가 로우레벨이므로 파워-업 제어신호 PWRUPZ가 로우레벨로 되어 파워-업 신호 PWRUP가 하이레벨로 인에이블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의하면, 딥 파워 다운 파워-업 신호 DPD_PWRUP를 딥 파워 다운 모드시와 딥 파워 다운 모드가 아닐 때에 항상 하이레벨로 인에이블시키고, 파워-업 신호 PWRUP를 파워-업 제어신호 PWRUPZ에 의해 딥파워 다운 모드시에는 로우레벨로 디스에이블시키고 딥 파워 다운 모드가 아닐 때에는 하이레벨로 인에이블시킴으로써, 딥 파워 다운 모드시의 칩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 실시예에 따른 파워-업 신호 발생장치를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 실시예에 따른 파워-업 신호 발생장치를 나타낸 블록도로서, 이것은 딥 파워 다운 파워-업 신호 발생기(310), 파워-업 신호 발생기(320) 및 파워-업 제어기(330)로 구성된다.
여기서, 딥 파워 다운 파워-업 신호 발생기(310)는 외부전원전압 Vext를 분배하는 전압 디바이더(311), 분배된 전압 A를 풀-업시키는 풀-업부(312), 분배된 전압 A을 입력받아 파워-업 검출신호 DET를 발생시키는 구동부(315) 및 파워-업 검출신호 DET를 입력받아 딥 파워 다운 파워-업신호 DPD-PWRUP를 발생시키는 구동부(316)로 구성된다. 구동부(315)는 파워-업 검출신호 DET를 풀-업시키는 풀-업부(314)와 파워-업 검출신호를 풀-다운시키는 풀-다운부(313)로 구성된다.
상술한 전압 디바이더(311)는 외부전원전압 Vext와 접지전압 Vss 사이에 직렬 접속된 저항 R31, R32로 구성되고, 풀-업부(312)는 소스 및 드레인이 외부전원전압 Vext와 노드 SN31에 각각 접속되고 게이트로 분배된 전압 A를 인가받는 NMOS 트랜지스터 N31로 구성된다. 풀-다운부(313)는 드레인 및 소스가 노드 SN32와 접지전압 Vss에 각각 접속되고 게이트로 분배된 전압 A를 인가받는 NMOS 트랜지스터 N32로 구성되고, 풀-업부(314)는 외부전원전압 Vext와 출력노드 SN32 사이에 접속된 저항 R33으로 구성된다. 구동부(316)는 외부전원전압 Vext와 접지전압 Vss 사이에 접속되고 파워-업 검출신호 DET를 반전시켜 딥 파워 다운 파워-업 신호 DPD_PWRUP를 발생시키는 인버터 IV31, IV32, IV33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딥 파워 다운 파워-업 신호 발생기(310)는 딥 파워 다운 모드일 때와 딥 파워 다운 모드가 아닐 때에 항상 하이레벨로 인에이블되어 있는 딥 파워 다운 파워-업 신호 DPD_PWRUP를 발생시킨다.
다음에, 파워-업 신호 발생기(320)는 내부전원전압 Vint를 분배하는 전압 디바이더(331), 분배된 전압 A를 풀-업시키는 풀-업부(332), 분배된 전압 A를 입력받아 파워-업 검출신호 DET를 발생시키는 구동부(335) 및 파워-업 검출신호 DET를 입력받아 파워-업신호 PWRUP를 발생시키는 구동부(226)으로 구성되고, 구동부(335)는 파워-업 검출신호 DET를 풀-업시키는 풀-업부(334)와 파워-업 검출신호 DET를 풀-다운시키는 풀-다운부(333)로 구성된다.
여기서, 전압 디바이더(331)는 내부전원전압 Vint와 접지전압 Vss 사이에 직렬 접속된 저항 R34, R35로 구성되고, 풀-업부(332)는 내부전원전압 Vint와 노드 SN33 사이에 접속되고 게이트로 분배된 전압 A를 인가받는 NMOS 트랜지스터 N33으로 구성된다. 풀-다운부(333)는 드레인 및 소스가 출력노드 SN34와 접지전압 Vss에 각각 접속되고 게이트로 분배된 전압 A를 인가받는 NMOS 트랜지스터 N34로 구성되고, 풀-업부(334)는 내부전원전압 Vint와 출력노드 SN34 사이에 접속된 저항 R36으로 구성된다. 구동부(336)는 내부전원전압 Vint와 접지전압 Vss 사이에 접속되고 제2 파워-업 검출신호 DET를 반전시켜 파워-업 신호 PWRUP를 발생시키는 인버터IV34, IV35, IV36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파워-업 신호 발생기(320)는 딥 파워 다운 모드시에는 로우레벨로 디스에이블되고, 딥 파워 다운 모드가 아닐 때는 하이레벨로 인에이블되는 파워-업 신호 PWRUP를 발생시킨다.
파워-업 제어기(330)는 소스가 외부전원전압 Vext에 접속되고 게이트로 딥 파워 다운 모드 신호 DPD를 인가받는 PMOS 트랜지스터 P31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파워-업 제어기(350)는 딥 파워 다운 모드일 때는 딥 파워 다운 모드 신호 DPD가 하이레벨이므로 PMOS 트랜지스터 P31을 턴-오프시키고 외부전원전압 Vext를 인가하지 않는다. 딥 파워 다운 모드가 아닐 때는 딥 파워 다운 모드 신호 DPD가 로우레벨이므로 PMOS 트랜지스터 P31을 턴-온시키고 외부전원전압 Vext를 내부전원전압 Vint로 만들어서 파워-업 신호 발생기(320)에 인가한다.
한편, 도 9에 나타낸 파워-업 신호 발생장치는 도 8에 나타낸 딥 파워 다운 파워-업 신호 발생기(310)과 파워-업 신호 발생기(320) 내의 저항 R33 및 저항 R36 대신에 PMOS 트랜지스터 P32 및 P33을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는 도 8에 나타낸 구성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구성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 실시예에 따른 파워-업 신호 발생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우선, 딥 파워 다운 파워-업 신호 DPD_PWRUP는 딥 파워 다운 모드일 때나 딥 파워 다운 모드가 아닐 때가 항상 하이레벨로 인에이블되어 있다.
반면에, 파워-업 신호 PWRUP는 딥 파워 다운 모드일 때는, 로우레벨로 디스에이블되고, 딥 파워 다운 모드가 아닐 때는 하이레벨로 인에이블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딥 파워 다운 모드일 때는 파워 다운 신호 DPD가 하이레벨이므로 PMOS 트랜지스터 P31을 턴-오프시키고 외부전원전압 Vext를 인가하지 않기 때문에 딥 파워-업 신호 PWRUP가 로우레벨로 디스에이블된다. 딥 파워 다운 모드가 아닐 때는 딥 파워 다운신호 DPD가 로우레벨이므로 PMOS 트랜지스터 P31이 턴-온시키고 외부전원전압 Vext를 내부전원전압 Vint로 만들어서 파워-업 신호 발생기(130)에 인가하기 때문에, 딥 파워-업 신호 PWRUP가 내부전원전압 Vint에 의해 하이레벨로 인에이블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 실시예에 따르면, 딥 파워 다운 파워-업 신호 DPD_PWRUP를 딥 파워 다운 모드시 및 딥 파워 다운 모드가 아닐 때에 항상 하이레벨로 인에이블시키고, 파워-업 신호 PWRUP를 딥 파워 다운 모드시에는 로우레벨로 디스에이블시키고 딥 파워 다운 모드가 아닐 때에는 하이레베로 인에이블시킴으로써 딥 파워 다운 모드시의 칩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10은 딥 파워 다운 모드 신호 DPD에 따른 딥 파워 다운 파워-업 신호 DPD_PWRUP 및 파워-업 신호 PWRUP의 동작을 파형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을 보면, 딥 파워 다운 파워-업 신호DPD_PWRUP는 계속해서 하이레벨로 인에이블되어 있고, 파워-업 신호 PWRUP는 딥 파워 다운 모드시에 로우레벨로 디스에이블되어 내부전원전압 Vint가 공급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딥 파워 다운 모드일 때나 딥 파워 다운 모드가 아닐 때가 항상 인에이블 상태로 있는 딥 파워 다운 파워-업 신호와 딥 파워 다운 모드일 때는 디스에이블되고 딥 파워 다운 모드가 아닐 때는 인에이블되는 파워-업 신호를 만들어서 디램을 동작시킴으로써, 딥 파워 다운 모드시의 칩의 오동작을 제거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칩이 안정적인 동작을 수행하게 되어 칩의 신뢰성이 향상되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로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고, 이러한 수정 및 변경 등은 이하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Claims (23)

  1. 외부전원전압을 이용해서 파워-업 검출신호를 발생시키는 파워-업 검출수단;
    상기 파워-업 검출신호에 응답하여 딥 파워 다운 파워-업 신호를 발생시키는 딥 파워 다운 파워-업 신호 발생수단;
    상기 파워-업 검출신호에 응답하여 파워-업 신호를 발생시키는 파워-업 신호 발생수단; 및
    딥 파워 다운 모드시에 상기 파워-업 신호의 인에이블 여부를 결정하는 파워-업 제어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파워-업 신호 발생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딥 파워 다운 파워-업 신호 발생수단은,
    외부전원전압를 이용해서 딥 파워 다운 모드일 때와 딥 파워 다운 모드가 아닐 때에 항상 인에이블되어 있는 상기 딥 파워 다운 파워-업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파워-업 신호 발생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딥 파워 다운 파워-업 신호 발생수단은,
    외부전원전압과 접지전압 사이에 접속되어 상기 파워-업 검출신호의 반전신호를 우수로 반전시켜 상기 딥 파워 다운 파워-업 신호를 발생시키는 복수의 인버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파워-업 신호 발생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워-업 신호 발생수단은,
    딥 파워 다운 모드일 때는 디스에이블되고 딥 파워 다운 모드가 아닐 때는 내부전원전압에 의해 인에이블되는 상기 파워-업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파워-업 신호 발생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워-업 신호 발생수단은,
    내부전원전압과 접지전압 사이에 접속되어 상기 파워-업 검출신호의 반전신호를 우수로 반전시켜 상기 파워-업 신호를 발생시키는 복수의 인버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파워-업 신호 발생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워-업 제어수단은,
    딥 파워 다운 모드일 때는 외부전원전압을 차단하고, 딥 파워 다운 모드가 아닐 때 외부전원전압을 내부전원전압으로 만들어 상기 파워-업 신호 발생수단에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파워-업 신호 발생장치.
  7. 제 1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파워-업 제어수단은,
    소스가 외부전원전압에 접속되고 게이트로 딥 파워 다운 모드 신호를 게이트로 인가받는 PMOS 트랜지스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파워-업 신호 발생장치.
  8. 외부전원전압을 이용해서 파워-업 검출신호를 발생시키는 파워-업 검출수단;
    상기 파워-업 검출신호에 응답하여 딥 파워 다운 파워-업 신호를 발생시키는 딥 파워 다운 파워-업 신호 발생수단;
    딥 파워 다운 모드시에 상기 파워-업 검출신호에 응답하여 파워-업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파워-업 제어수단; 및
    상기 파워-업 제어신호에 의해 인에이블 여부가 결정되는 파워-업 신호를 발생시키는 파워-업 신호 발생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파워-업 신호 발생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딥 파워 다운 파워-업 신호 발생수단은,
    외부전원전압를 이용해서 딥 파워 다운 모드일 때와 딥 파워 다운 모드가 아닐 때에 항상 인에이블된 상태로 있는 상기 딥 파워 다운 파워-업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파워-업 신호 발생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딥 파워 다운 파워-업 신호 발생수단은,
    외부전원전압과 접지전압 사이에 접속되고 상기 파워-업 검출신호를 기수로 반전시켜 상기 딥 파워 다운 파워-업 신호를 발생시키는 복수의 인버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파워-업 신호 발생장치.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파워-업 제어수단은,
    딥 파워 다운 모드일 때는 디스에이블되고 딥 파워 다운 모드가 아닐 때는 인에이블되는 상기 파워-업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파워-업 신호 발생장치.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파워-업 제어수단은,
    상기 파워-업 검출신호의 반전신호와 딥 파워 다운 모드 신호의 반전신호를 낸드 조합하여 상기 파워-업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낸드 게이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파워-업 신호 발생장치.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파워-업 제어수단은,
    상기 파워-업 검출신호와 딥 파워 다운 모드 신호를 노아 조합하는 노아 게이트와, 상기 노아 게이트의 출력신호를 반전시켜 상기 파워-업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인버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파워-업 신호 발생장치.
  14.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파워-업 제어수단은,
    소스가 외부전원전압에 접속되고 딥 파워 다운 모드 신호의 반전신호를 게이트로 입력받는 PMOS 트랜지스터와, 상기 딥 파워 다운 모드 신호와 상기 딥 파워 다운 모드 신호의 반전신호의 제어하에 상기 파워-업 검출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파워-업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전달 게이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파워-업 신호 발생장치.
  15.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파워-업 신호 발생수단은,
    상기 파워-업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딥 파워 다운 모드일 때는 디스에이블되고 딥 파워 다운 모드가 아닐 때는 인에이블되는 상기 파워-업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파워-업 신호 발생장치.
  16.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파워-업 신호 발생수단은,
    외부전원전압과 접지전압 사이에 접속되고 상기 파워-업 제어신호를 기수로 반전시켜 상기 파워-업 신호를 발생시키는 복수의 인버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파워-업 신호 발생장치.
  17. 외부전원전압을 이용해서 딥 파워 다운 파워-업 신호를 발생시키는 딥 파워 다운 파워-업 신호 발생수단;
    내부전원전압을 이용해서 파워-업 신호를 발생시키는 파워-업 신호 발생수단; 및
    딥 파워 다운 모드시에 상기 파워-업 신호의 인에이블 여부를 결정하는 파워-업 제어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파워-업 신호 발생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딥 파워 다운 파워-업 신호 발생수단은,
    외부전원전압을 이용해서 딥 파워 다운 모드일 때와 딥 파워 다운 모드가 아닐 때에 항상 인에이블되어 있는 상기 딥 파워 다운 파워-업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파워-업 신호 발생장치.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딥 파워 다운 파워-업 신호 발생수단은
    외부전원전압을 분배하는 디바이더;
    상기 분배된 전압을 풀-업시키는 풀-업부;
    상기 분배된 전압을 이용해서 상기 파워-업 검출신호를 발생시키는 제1 구동부; 및
    상기 파워-업 검출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딥 파워 다운 파워-업신호를 발생시키는 제2 구동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파워-업 신호 발생장치.
  20.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파워-업 신호 발생수단은,
    딥 파워 다운 모드일 때는 디스에이블되고 딥 파워 다운 모드가 아닐 때는 내부전원전압에 의해 인에이블되는 상기 파워-업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파워-업 신호 발생장치.
  21.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파워-업 신호 발생수단은,
    내부전원전압을 분배하는 디바이더;
    상기 분배된 전압을 풀-업시키는 풀-업부;
    상기 분배된 전압을 인가받아 상기 파워-업 검출신호를 발생시키는 제1 구동부; 및
    상기 파워-업 검출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파워-업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2 구동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파워-업 신호 발생장치.
  22.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파워-업 제어수단은,
    딥 파워 다운 모드시에는 외부전원전압을 차단하고, 딥 파워 다운 모드가 아닐 때 외부전원전압을 내부전원전압으로 만들어 상기 파워-업 신호 발생수단에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파워-업 신호 발생장치.
  23.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파워-업 제어수단은 소스가 외부전원전압에 접속되고 게이트로 딥 파워 다운 모드 신호를 인가받는 PMOS 트랜지스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파워-업 신호 발생장치.
KR10-2001-0082255A 2001-12-21 2001-12-21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파워-업 신호 발생장치 KR1004087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2255A KR100408723B1 (ko) 2001-12-21 2001-12-21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파워-업 신호 발생장치
US10/255,999 US6885605B2 (en) 2001-12-21 2002-09-26 Power-up signal generator for semiconductor memory devices
TW091122533A TW567506B (en) 2001-12-21 2002-09-30 Power-up signal generator for semiconductor memory devices
JP2002293460A JP4277133B2 (ja) 2001-12-21 2002-10-07 半導体メモリ素子のパワーアップ信号発生装置
DE10251670A DE10251670B4 (de) 2001-12-21 2002-11-06 Einschaltsignalgenerator für Halbleiterspeichereinrichtungen
US11/040,966 US20050135174A1 (en) 2001-12-21 2005-01-21 Power-up signal generator for semiconductor memory devic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2255A KR100408723B1 (ko) 2001-12-21 2001-12-21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파워-업 신호 발생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2362A KR20030052362A (ko) 2003-06-27
KR100408723B1 true KR100408723B1 (ko) 2003-12-11

Family

ID=197173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82255A KR100408723B1 (ko) 2001-12-21 2001-12-21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파워-업 신호 발생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6885605B2 (ko)
JP (1) JP4277133B2 (ko)
KR (1) KR100408723B1 (ko)
DE (1) DE10251670B4 (ko)
TW (1) TW567506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51123B2 (en) 2006-08-22 2012-04-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Circuit and method for generating an internal power supply voltag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0235257D1 (de) * 2001-11-27 2010-03-18 Graco Minnesota Inc Dauerdosierung und -korrektur verwendende elektronische dosiervorrichtung
KR100408723B1 (ko) * 2001-12-21 2003-12-11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파워-업 신호 발생장치
US6816994B2 (en) * 2002-06-21 2004-11-09 Micron Technology, Inc. Low power buffer implementation
JP2005135484A (ja) * 2003-10-29 2005-05-26 Renesas Technology Corp 半導体装置
KR100552655B1 (ko) * 2004-09-17 2006-02-20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기억 소자의 파워 업 회로 및 그 보상 방법
KR100560942B1 (ko) * 2004-12-30 2006-03-14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vt 변화에 무관하게 안정적으로 동작하는 파워-업검출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
KR100648857B1 (ko) * 2005-03-31 2006-11-24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파워업 신호 발생 장치 및 그 생성 방법
KR100812936B1 (ko) * 2005-05-03 2008-03-11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스탠바이 모드에서 누설전류가 감소된 내부전원전압발생회로
US10013371B2 (en) 2005-06-24 2018-07-03 Google Llc Configurable memory circuit system and method
US8060774B2 (en) 2005-06-24 2011-11-15 Google Inc. Memory systems and memory modules
US8111566B1 (en) 2007-11-16 2012-02-07 Google, Inc. Optimal channel design for memory devices for providing a high-speed memory interface
US8438328B2 (en) 2008-02-21 2013-05-07 Google Inc. Emulation of abstracted DIMMs using abstracted DRAMs
US8169233B2 (en) 2009-06-09 2012-05-01 Google Inc. Programming of DIMM termination resistance values
US8359187B2 (en) 2005-06-24 2013-01-22 Google Inc. Simulating a different number of memory circuit devices
US8796830B1 (en) 2006-09-01 2014-08-05 Google Inc. Stackable low-profile lead frame package
US7392338B2 (en) * 2006-07-31 2008-06-24 Metaram, Inc. Interface circuit system and method for autonomously performing power management operations in conjunction with a plurality of memory circuits
US8041881B2 (en) 2006-07-31 2011-10-18 Google Inc. Memory device with emulated characteristics
US8055833B2 (en) 2006-10-05 2011-11-08 Google Inc. System and method for increasing capacity, performance, and flexibility of flash storage
US8244971B2 (en) 2006-07-31 2012-08-14 Google Inc. Memory circuit system and method
US9542352B2 (en) 2006-02-09 2017-01-10 Google Inc. System and method for reducing command scheduling constraints of memory circuits
US8090897B2 (en) 2006-07-31 2012-01-03 Google Inc. System and method for simulating an aspect of a memory circuit
US20080028136A1 (en) 2006-07-31 2008-01-31 Schakel Keith R Method and apparatus for refresh management of memory modules
US9171585B2 (en) 2005-06-24 2015-10-27 Google Inc. Configurable memory circuit system and method
US7386656B2 (en) * 2006-07-31 2008-06-10 Metaram, Inc. Interface circuit system and method for performing power management operations in conjunction with only a portion of a memory circuit
US20080082763A1 (en) 2006-10-02 2008-04-03 Metaram,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power management of memory circuits by a system or component thereof
US8089795B2 (en) 2006-02-09 2012-01-03 Google Inc. Memory module with memory stack and interface with enhanced capabilities
US8081474B1 (en) 2007-12-18 2011-12-20 Google Inc. Embossed heat spreader
US8335894B1 (en) 2008-07-25 2012-12-18 Google Inc. Configurable memory system with interface circuit
US8327104B2 (en) 2006-07-31 2012-12-04 Google Inc. Adjusting the timing of signals associated with a memory system
US8619452B2 (en) 2005-09-02 2013-12-31 Google Inc. Methods and apparatus of stacking DRAMs
US9507739B2 (en) 2005-06-24 2016-11-29 Google Inc. Configurable memory circuit system and method
US8130560B1 (en) 2006-11-13 2012-03-06 Google Inc. Multi-rank partial width memory modules
US8397013B1 (en) 2006-10-05 2013-03-12 Google Inc. Hybrid memory module
US8386722B1 (en) 2008-06-23 2013-02-26 Google Inc. Stacked DIMM memory interface
US7472220B2 (en) * 2006-07-31 2008-12-30 Metaram, Inc. Interface circuit system and method for performing power management operations utilizing power management signals
US8077535B2 (en) 2006-07-31 2011-12-13 Google Inc. Memory refresh apparatus and method
KR100815184B1 (ko) * 2005-09-29 2008-03-19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소자의 파워 업 신호 생성장치
KR100799120B1 (ko) * 2005-09-29 2008-01-29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지연회로
US7602222B2 (en) * 2005-09-30 2009-10-13 Mosaid Technologies Incorporated Power up circuit with low power sleep mode operation
GB2434491B (en) * 2006-01-24 2007-12-12 Toumaz Technology Ltd Power control circuit
US9632929B2 (en) 2006-02-09 2017-04-25 Google Inc. Translating an address associated with a command communicated between a system and memory circuits
KR100719150B1 (ko) * 2006-05-31 2007-05-18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소자의 파워업신호 생성장치
US7724589B2 (en) 2006-07-31 2010-05-25 Google Inc. System and method for delaying a signal communicated from a system to at least one of a plurality of memory circuits
KR100845773B1 (ko) * 2006-08-11 2008-07-14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파워 업 신호 트립 포인트 측정 회로 및 이를 이용한 파워 업 신호 트립 포인트 레벨 측정 방법
JP4849994B2 (ja) * 2006-08-22 2012-01-11 新日本無線株式会社 スタンバイ回路
US8209479B2 (en) 2007-07-18 2012-06-26 Google Inc. Memory circuit system and method
US8080874B1 (en) 2007-09-14 2011-12-20 Google Inc. Providing additional space between an integrated circuit and a circuit board for positioning a component therebetween
JP2009098801A (ja) * 2007-10-15 2009-05-07 Toshiba Corp 電源回路及びそれを用いた内部電源電圧発生方法
KR100937948B1 (ko) * 2008-06-04 2010-01-21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파워 업 신호 생성회로와 생성 방법
KR100955683B1 (ko) 2008-06-04 2010-05-06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패드 입력신호 처리 회로
KR100954110B1 (ko) 2008-11-04 2010-04-23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파워업 신호 생성회로 및 그를 이용한 집적회로
KR101003151B1 (ko) * 2009-05-14 2010-12-21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파워 업 신호 생성 회로
CN102298951A (zh) * 2010-06-25 2011-12-28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控制装置及具有控制装置的电子设备
US8570077B2 (en) 2010-12-17 2013-10-29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implementation of low-power power-on control circuits
US8817550B1 (en) * 2011-12-02 2014-08-26 Gsi Technology, Inc. Systems and methods of semiconductor memory devices including features of output buffer initialization circuit(s) and/or multiple power-up detection/handling
US9076510B2 (en) 2012-02-02 2015-07-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wer mixing circuit and semiconductor memor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9105321B1 (en) * 2014-06-06 2015-08-11 Winbond Electronics Corp. Memory device and driving circuit adopted by the memory device
KR102513531B1 (ko) 2016-07-19 2023-03-24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Eos 보호 회로를 구비한 반도체 집적 회로 장치
US10388561B2 (en) 2016-07-19 2019-08-20 SK Hynix Inc.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 having electrostatic discharge protection circuit
JP6792667B2 (ja) * 2019-05-13 2020-11-25 ウィンボンド エレクトロニクス コーポレーション 半導体記憶装置
US11139256B2 (en) 2019-08-21 2021-10-05 Micron Technology, Inc. Tamper-resistant integrated circuits, and related methods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9585A (ja) 1985-07-08 1987-01-17 Toshiba Corp 半導体メモリ
US4801820A (en) * 1986-05-02 1989-01-31 Motorola, Inc. LSI array having power down capability
GB9508931D0 (en) * 1995-05-02 1995-06-21 Xilinx Inc Programmable switch for FPGA input/output signals
US5557579A (en) * 1995-06-26 1996-09-17 Micron Technology, Inc. Power-up circuit responsive to supply voltage transients with signal delay
US5670906A (en) * 1995-07-05 1997-09-23 Micron Quantum Devices, Inc. Integrated circuit operable in a mode having extremely low power consumption
JP3650186B2 (ja) * 1995-11-28 2005-05-18 株式会社ルネサステクノロジ 半導体装置および比較回路
JP3707888B2 (ja) * 1996-02-01 2005-10-1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半導体回路
US5877975A (en) * 1996-08-13 1999-03-02 Nexcom Technology, Inc. Insertable/removable digital memory apparatus and methods of operation thereof
JP3465493B2 (ja) * 1996-09-26 2003-11-10 ヤマハ株式会社 半導体集積回路
US5822246A (en) * 1996-09-30 1998-10-13 Inte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the voltage on the VCC pin
US5880596A (en) * 1996-11-05 1999-03-09 Altera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figuring integrated circuit option bits with different bonding patterns
US5880622A (en) * 1996-12-17 1999-03-09 Inte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charge pump for rapid initialization
KR100224764B1 (ko) * 1997-01-10 1999-10-15 윤종용 로우 어드레스 스트로우브신호 입력버퍼
JPH10228768A (ja) * 1997-02-14 1998-08-25 Mitsubishi Electric Corp 半導体記憶装置
US6081466A (en) * 1998-10-30 2000-06-27 Stmicroelectronics, Inc. Stress test mode entry at power up for low/zero power memories
US6201751B1 (en) * 1999-03-08 2001-03-13 Micron Technology, Inc. Integrated circuit power-up controllers, integrated circuit power-up circuits, and integrated circuit power-up methods
JP4707255B2 (ja) * 2001-04-26 2011-06-22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半導体記憶装置
US6510096B2 (en) * 2001-04-27 2003-01-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wer down voltage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KR100408723B1 (ko) * 2001-12-21 2003-12-11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파워-업 신호 발생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51123B2 (en) 2006-08-22 2012-04-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Circuit and method for generating an internal power supply volta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885605B2 (en) 2005-04-26
TW567506B (en) 2003-12-21
DE10251670A1 (de) 2003-07-17
US20050135174A1 (en) 2005-06-23
DE10251670B4 (de) 2013-07-04
US20030117875A1 (en) 2003-06-26
JP2003203479A (ja) 2003-07-18
KR20030052362A (ko) 2003-06-27
JP4277133B2 (ja) 2009-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08723B1 (ko)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파워-업 신호 발생장치
US7477097B2 (en) Internal voltage generating circuit
JP4353621B2 (ja) 半導体装置
US6954103B2 (en) Semiconductor device having internal voltage generated stably
US6850453B2 (en) Deep power down control circuit
KR100961210B1 (ko) 제어신호생성회로 및 이를 이용하는 센스앰프회로
JP2000151379A5 (ko)
US6996023B2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capable of reducing current consumption in active mode
JP2003258624A (ja) 入力バッファ回路及び半導体記憶装置
JP2007095286A (ja) 電圧発生装置
KR100733420B1 (ko) 동기식 반도체 메모리 장치
KR100706826B1 (ko)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압 발생 장치
JP3308572B2 (ja) 半導体装置
US7706206B2 (e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US20080042730A1 (en) Internal voltage generating circuit and method for generating internal voltage using the same
US6342808B1 (en) High voltage generating circuit
KR100632595B1 (ko) 칼럼 제어신호 펄스 폭 제어 회로
JP2003168300A (ja) 半導体装置
KR100935729B1 (ko) 센스앰프 오버드라이빙 전압 공급 장치
KR100939169B1 (ko) 전압 발생 장치
KR970003713B1 (ko) 반도체 소자의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압 발생회로
KR100642398B1 (ko) 센스엠프 제어장치
KR100427713B1 (ko)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입력장치
KR20080014544A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버퍼 제어 회로
KR100979353B1 (ko)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파워-업 신호 발생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2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