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78740B1 - 억세스플로어시스템 - Google Patents

억세스플로어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78740B1
KR100378740B1 KR1019960706319A KR19960706319A KR100378740B1 KR 100378740 B1 KR100378740 B1 KR 100378740B1 KR 1019960706319 A KR1019960706319 A KR 1019960706319A KR 19960706319 A KR19960706319 A KR 19960706319A KR 100378740 B1 KR100378740 B1 KR 1003787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cover
block
access floor
wi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7063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702953A (ko
Inventor
도꾸조 고바야시
다까아끼 아까기
마나부 간자끼
Original Assignee
오엠 기끼 가부시키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엠 기끼 가부시키 가이샤 filed Critical 오엠 기끼 가부시키 가이샤
Publication of KR9707029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7029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87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8740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4Sectional false floors, e.g. computer fl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4Sectional false floors, e.g. computer floors
    • E04F15/02405Floor panels
    • E04F15/02411Floor panels with integrated fee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providing line outlets
    • H02G3/185Floor outlets and access cu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loor Finish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상세한 설명의 요약]
본 발명의 목적은 배선홈상의 플로어 패널과 리드 패널이 견고하게 결합되어 서로 적소에 유지되며, 소음이 없고, 높은 구성 효율을 가지며, 단가가 낮은 어세스 플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패널 유니트로 구성되고 구조용 플로어상의 정사각형들내에 위치되는 복수의 패널 블록들 사이에 배선용 홈이 성되어, 리드 패널에 의해 덮혀져 있는 홈 구조를 갖는 어세스 플로어 시스템을 제공하고, 패널 블록은 평평한 상부면과, 측벽 및 측벽 중간부에 형성되어 리드 패널의 수직벽이 삽입되는 U자 형상의 슬롯형 삽입부를 가지며, 리드 패널은 수평벽과 수평벽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 수직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억세스 플로어 시스템
억세스 플로어링 구조에는 패널 구조와 홈 구조의 2가지가 있다. 일반적인 플로어를 억세스 플로어로 개조할 때, 홈 구조가 보다 많이 채택되는 것에 의하여, 배선용 공간이 패널 구조보다 낮게 플로어에 고정될 수 있다. 홈 구조를 갖는 억세스 플로어의 예로서, 일본국 실용신안등록 공개 평3-29641호는 배선 공간이 삼각형상의 패널 유닛으로 구성되는 정방형 패널 블록들 사이에 제공되어, 평평한 리드 플레이트에 의해 덮여지는 장치를 개시한다. 일본국 실용신안등록 공개 소 63-192537호는 하나 또는 2개의 배선 홈이 정방형 패널의 내측에 형성되고, 이러한 홈이 평평한 리드 플레이트에 의해 덮여지는 장치를 개시한다.
앞의 종래 기술에 따르면, 다리들이 패널의 각 유닛의 모서리의 후면에 형성되며, 인접한 다리들은 자체 중량을 가지는 구조용 플로어의 불규칙성에 따라 굽혀질 수 있는 홀더 플레이트에 의해 결합된다. 패널의 상부 부분은 패널들이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도록 단지 직사각형 커버 플레이트의 4개의 모서리에 제공되는 결합 부재에 의하여 결합된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홀더 플레이트는 운반 및 다른조작동안 변형되기 쉬우며, 패널을 포함하는 유닛의 상대 위치가 적절하게 고정될 수 없다. 더욱이, 커버 플레이트가 형상을 변화시킬 수 없음으로써, 패널의 부분적으로 결합된 부분은 홀더 플레이트 부분의 변형에 쉽게 분리된다. 이와 같이, 취급의 어려움과 종종 소음의 발생을 유발하는 정방형 패널을 유지하는 것이 어렵다. 약하고 불충분한 연결은 지진이나 다른 흔들림 동안 변위를 이끈다. 이러한 연결은 평평한 커버 플레이트의 부분을 절단하여, 상호 위치를 임시로 결정하도록 패널의 각 유닛에 그 부분을 고정하는 것에 의하여 개선될 수도 있지만, 이러한 개선은 상기된 문제를 모두 해결하기에는 불충분하다.
나중의 종래 기술에 따르면, 배선 홈의 바닥은 얇고 유연하게 만들어져서, 홈이 플로어의 불규칙성 구조에 일치하도록 만들어질 수 있다. 이러한 것은 홈들의 상호 위치가 고정되지 않음으로써 플로어의 용이한 변형을 유발한다. 커버 플레이트가 배치되고 넓은 플로어가 구성될 때조차도, 홈들은 서로 연결되지 않고, 지진이나 다른 흔들림 동안 소음을 발생시키거나 쉽게 빠지게 된다.
본 발명은 플로어 패널들 사이에서 길이 및 폭 방향으로 배선되는 홈 구조(groove structure)를 가지는 억세스 플로어(access floor)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패널 블록과 덮개 패널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패널 블록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패널 블록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덮개 패널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억세스 플로어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중앙 덮개와 덮개 패널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중앙 덮개와 덮개 패널의 연결부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패널 블록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패널 블록을 형성하는 패널 유닛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패널 블록을 형성하는 패널 유닛의 측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패널 블록, 2개의 덮개 패널 및 록킹 부재/중앙 플레이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패널 블록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패널 블록, 덮개 패널 및 록킹 부재/중앙 플레이트사이의 관계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선 A - A를 따른 확대 단면도이다.
도 15는 록킹 부재/중심 플레이트 및 덮개 패널 사이의 관계를 도시한 전개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패널 블록, 덮개 패널 및 록킹 부재/중앙 플레이트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선 B - B를 따른 단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패널 블록 모서리의 주요부를 도시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본 발명은, 플로어의 구조적 불규칙성에 따라서 배치될 수 있으며, 충분한 강도로 서로 연결되는 홈을 구비하는 것에 의하여, 비견고성을 제거하고, 지진 및 다른 흔들림에 내성을 가지는 능력을 향상시키며, 저렴하고 용이하게 취급 및 조립될 수 있는 억세스 플로어를 제공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패널 유닛으로 구성되고 구조용플로어 상에 정방형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패널 블록들 사이에 배선용 홈이 형성되어 덮개 패널에 의하여 덮여지는 홈 구조를 구비한 억세스 플로어에 있어서, 패널 블록은 평평한 상부면, 측벽, 및 측벽 중간부에 형성되어 덮개 패널의 수직벽이 삽입되는 U자 형상의 슬롯 삽입부를 가지며, 덮개 패널은 수평벽과, 수평벽으로부터 하향하는 수직벽을구비하고, 상기 덮개 패널의 집격 장소에 형성된 개방 공간은 고정 중앙 플레이트에 의하여 덮여지며, 이러한 고정 중앙 플레이트는 회전 작용으로 상부 및 바닥으로부터 가압하는 것에 의하여 패널 블록들과 덮개 패널들을 하나의 조립 유닛으로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억세스 플로어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러한 구성을 취하는 것에 의하여, 덮개 패널의 수직벽이 패널 블록의 슬롯 삽입부에 의해 유지됨으로써, 소음이 제거되고, 지진 및 다른 흔들림에 대한 저항 능력이 강화된다. 또한, 패널 블록과 덮개 패널이 서로 연결되기 때문에, 조립동안 일탈현상이 발생되지 않는다. 더욱이, 패널 블록과 덮개 패널의 상대 위치가 고정되어, 플로어 상에 라인을 그리거나 패널 블록을 먼저 밑에 위치시킬 필요가 없다. 패널 블록과 덮개 패널을 교대로 조립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액세스 플로어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2는 패널 블록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정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억세스 플로어는 패널 블록(10)들 사이에 홈을 제공하며, 홈은 덮개 패널(12)에 의해 덮여진다. 패널 블록(10)과 덮개 패널(12)은 동일 표면을 구성하도록 만들어진다. 여기서 언급되는 정방형 패널 블록은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정방형의 하나의 패널 유닛으로 구성되는 것과, 정사각형을 형성하는 패널 유닛 조립체로 구성되는 것과, 정사각형을 형성하는 2개의 삼각 패널로 구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패널 블록은 패널 유닛으로부터 조립될 때 정사각형일 것이 필요하다. 다수의 패널 유닛을 조합할때, 패널 유닛들은 어떤 수단에 의해 연결되어야 된다. 이러한 패널 유닛들의 연결은 각각의 유닛에 적절한 수단을 제공하여 패널 유닛들을 직접 연결하거나, 또는 시트나 다른 기재에 패널 유닛을 부가하여 패널 유닛들을 간접적으로 연결하는 것으로 행해질 수 있다. 후자의 경우에, 패널 유닛들 사이에 틈새가 제공되면, 이러한 틈새들은 배선 홈으로서 사용될 수 있으며, 또한 대각선 방향으로의 배선이 가능하게 된다.
패널 블록(10)은 평평한 상부면(14)과, 상부면(14)으로부터 연장하는 측벽(16)을 가진다. 측벽(16)의 중간 부분에, 덮개 패널(12)의 수직벽이 삽입되어 유지되는 U자 형상의 슬롯 삽입부(18)가 제공된다. 상술된 측벽(16)의 중간 부분은패널 블록(10)의 두께 내에 있는 어떠한 지점을 의미한다. 패널 블록(10)의 크기는 플로어의 구조적 불규칙성을 흡수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한쪽 측면이 300mm 이하인 크기여야 한다. 그러나, 삼각형의 패널 유닛으로 구성된 패널 블록들이 3개의 지지점으로 불규칙성을 흡수함으로써, 이러한 패널 블록은 300mm 이상이 될 수도 있다. 측벽(16)의 높이와 동일하며 또한 배선홈의 깊이에 일치하는 패널 블록(10)의 두께는 배선의 부피 또는 테이블 탭의 크기, 마개들 및 사용되는 다른 장비에 따라서 약 30mm 내지 50mm 사이인 것이 바람직하다.
슬롯 삽입부(18)는 측벽(16)을 계단 형상으로 구부리고, 측벽(16)을 따르는 계단의 가장자리로부터 상향벽(20)을 제공하는 것에 의하여 U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덮개 패널(12)의 수직벽은 U자 형상의 슬롯 삽입부에 삽입되고 수직벽의 단부가 슬롯 삽입부의 하부에 위치되어서, 바닥은 수직벽을 위한 탑재 플로어(22)를 구성한다. 탑재 플로어(22)를 수직벽의 길이에 대응하여 상부면(14)으로부터 10mm 내지 패널 블록(10)의 절반 정도 낮게 만들도록 슬롯 삽입부(18)의 위치를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향벽(20)의 높이는 슬롯 삽입부(18)의 높이 보다 약 2 내지 3mm 짧게 되어서, 덮개 패널(12)과의 간섭이 방지될 있다. 슬롯 삽입부가 너무 낮은 위치에 만들어지면, 배선이 탑재 플로어(22)상에 잘못 위치되어, 덮개 패널의 수직벽에 의해 뭉개질 위험이 증가한다. 슬롯 삽입부의 위치가 너무 높으면, 덮개 패널(12)의 수직벽은 짧게 만들어져야만 되어, 구조가 약해지거나 또는 덮개 패널이 벗겨지게 된다. 측벽(16)의 전체 길이를 따라 슬롯 삽입부(18)를 형성할 필요는 없으며, 부분적으로만 형성하는 것으로 충분하다. 유사하게, 탑재 플로어도 부분적으로 측벽을 따라서 제공될 수도 있다.
플라스틱 물질로 만들어진 완충 부재(24)가 플로어 구조의 불규칙성에 의하여 야기되는 소음을 제거하기 위하여 패널 블록(10)의 측벽(16)의 하부에 부착될 수 있다. 완충 부재(24)는 사용되지 않을 수도 있으며, 구조용 플로어 상에 놓여지는 완충 시트로 대체될 수 있다. 또한, 배선 윈도우 부분(26)은 구부려 잘라내는 것에 의하여 제거될 수도 있는 패널 블록(10)의 측벽(16)상에 각인될 수도 있다. 배선 윈도우 부분의 프레임은 슬릿(50)과 절단부(51)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슬릿과 절단부 사이를 연결하는 가교부(52)는 쉽게 제거될 수 있도록 얇고 가늘게 형성된다. 배선 윈도우 부분(26)의 형상 및 크기는 자유롭게 결정될 수 있지만, 보조 배선 공간으로서 약 30mm의 폭과 15mm의 높이면 충분하다. 완충 부재(24)가 배선 윈도우 부분이 개방되는 위치에 부착되면, 그 부분의 완충 부재를 제거하는 것이 필요하다. 패널 블록(10)과 덮개 패널(12)이 강철판으로 만들어지면, 프레스 공정은 높은 생산성을 가지는 내화성 제품을 생산하게 된다. 상향벽(20)은 탑재 플로어(22)의 일부를 절단하여 상향으로 구부리는 것에 의하여 제공될 수도 있다.
도 4는 수평벽(28)과 수평벽(28)의 양쪽 측면에서 하향 연장하는 수직벽(30)을 가지는 덮개 패널(12)의 사시도이다. 덮개 패널(12)이 중앙 플레이트와 연결될 때, 짧은 하부 계단부(32)가 수평벽의 양쪽 단부에 형성된다. 수평벽(28)의 폭은 배선홈을 덮고 배선홈 내의 배선 설비를 하우징할 필요성을 고려하여 약 50mm 내지 100mm 사이에서 적절하게 될 수 있다. 수직벽(30)의 높이는 덮개 패널의 강도를 전체적으로 고려하여 약 10mm에서 패널 블록의 절반 두께 정도까지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수평벽(28)과 상향벽(20) 사이의 간섭을 피하기 위한 관점에서 상향벽(20)보다 약 2 내지 3mm 길어야만 된다. 패널 블록(10)의 상부면(14)과 덮개 패널(12)의 수평벽(28)은 동일한 표면의 부품들을 구성하도록 만들어진다. 충분한 깊이로 수직벽(30)을 슬롯 삽입부(18)에 삽입하는 것에 의하여, 두 부재들은 적소에서 견고하게 유지되어, 일정한 강도의 흔들림에서조차도 분리되지 않게 된다.
덮개 패널(12)의 길이는 통상적으로 패널 블록(10)의 한쪽 측면과 동일한 길이로 형성되지만, 보다 길거나 짧을 수도 있다. 그러나, 패널 블록(10)의 한쪽 측면과 동일한 길이의 틈새가 패널 블록들 사이에 형성됨으로써, 패널 블록(10)의 한쪽 측면과 동일한 길이를 가지는 덮개 패널이 또한 요구된다. 덮개 패널(12)이 패널 블록(10)에 적절하게 끼워지기 위하여, 덮개 패널 상에 100 내지 150mm의 간격을 갖는 구멍(34)들을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구멍(34)들은 덮개 패널 양쪽 측면상의 수직벽(30) 하부로부터 시작되어, 필요할 때마다 덮개 패널들을 일정한 범위까지 구부리는 것이 가능하도록 수평벽(28)의 일부분까지 연장되어야 한다. 이러한 사항들을 고려하여, 덮개 패널(12)은 약 500mm의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상술된 패널 블록(10)과 덮개 패널(12)로 구성된 억세스 플로어의 평면도이다. 이러한 플로어를 조립하기 위하여, 덮개 패널(12)의 수직벽(30)은 패널 블록(10)의 슬롯 삽입부(18)에 삽입된다. U자 형상의 슬롯 삽입부(18)는 수직벽(30)의 파지부를 붙잡게 된다. 그러므로, 패널 블록(10)과 덮개 패널(12)의 상호 위치는 함께 결정되는 것에 의하여, 어떠한 흔들림이 가해질 때조차도 분리되거나 떨어져 나가는 것이 방지된다. 더욱이, 덮개 패널(12)이 보다 잘 끼워지고,소음이 억제된다. 완충 물질(36)을 덮개 패널(12)의 수직벽(30)에 부착하여 슬롯 삽입부에 보다 밀착시켜 완충 물질(36)의 파지부를 붙잡는 것에 의하여(도 1 참조), 분리 및 소음 방지에 있어서 보다 효과적인 것이 예상된다.
덮개 패널(12)이 패널 블록(10)과 동일한 길이를 가질 때, 패널 블록의 모서리에서의 정방형 공간부가 만들어진다. 이러한 정사각형의 공간부는 중앙 플레이트(38)에 의해 덮여진다. 도 6은 중앙 플레이트(38)의 가장자리가 덮개 패널(12)의 하부 계단부(32)에 위치되고 중앙 플레이트(38)가 상부로부터 록킹 부재(42)에 의해 지지 스탠드(40)에 고정되는 부분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렇게 하는 것에 의하여, 전체 구조가 서로 견고하게 연결되어, 흔들림에 대한 저항력이 증가한다. 지지 스탠트(40)는 알루미늄 다이 캐스팅이나 유사한 재료로 만들어질 수도 있으며, 양면 접착 테이프 또는 다른 수단에 의해 플로어 구조물에 고정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록킹 수단은 나사 결합에 의한 것이지만, 캠(cam) 시스템은 보다 빠른 고정을 실현할 수도 있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것과 상이한 물질로 만들어지는 완충 물질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 실시예에서, 완충 물질(60)은 상향벽(20)의 상부 부분까지 덮는 것에 의하여, 상향벽(20)의 상부는 덮개 패널(12)을 위한 탑재 플로어를 구성하도록 만들어진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상향벽(20)의 상부가 일정한 폭을 가지면, 보다 안정하게 될 수 있다.
도 7은 하부 계단부 대신에, U자 형상의 홈(44)이 덮개 패널(12)의 단부에 형성되고, 수직벽(46)이 홈(44)으로 삽입되는 중앙 플레이트(38)의 단부에 형성되므로, 결합이 강하게 되는 중앙 플레이트(38)와 덮개 패널(12) 사이의 관계를 도시한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상술된 구성의 완성으로, 배선은 덮개 패널(12) 아래쪽의 홈을 이용하는 것에 의하여 만들어진다. 배선이 패널 블록(10)의 탑재 플로어(22)상에 위치되면, 덮개 패널(12)이 조립될 때, 배선이 손상될 수도 있는 위험이 있다. 이러한 위험을 방지하기 위하여, 채널과 같은 배선 보호구가 덮개 패널(12) 아래의 공간부(도시되지 않음)에 위치될 수도 있다. 이러한 설비가 제공되지 않을 때에도, 슬롯 삽입부(18)의 상향벽(20)은 배선을 통상의 위치로 안내시키는 가이드의 롤러를 유격시키고, 배선을 충분히 보호한다.
도 11은 패널 블록(10), 덮개 패널(12) 및 중앙 플레이트(38)의 설계가 상술된 실시예와는 약간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이 실시예는 패널 블록(10)의 상향벽(20)의 중간부에 노치(80)를 제공하고, 덮개 패널(12)의 대응하는 위치에 함몰부(82)를 제공하는 것에 의하여, 패널 블록과 덮개 패널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연결은 길이 방향에 있어서 덮개 패널(12)의 정확한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양쪽 패널의 적절한 지점에서 조정 마크(84)를 새기는 것에 의하여, 덮개 패널(12)의 조립이 보다 용이하게 된다. 패널 블록(10)의 후면에, 보강판(86)이 나사 결합 또는 점 용접에 의해 부착된다(도 12 참조). 이러한 경우에, 함몰부(88)가 패널 블록(10)의 하부면상에 제공되어, 보강판(86)상에 제공된 구멍에 고정되는 것에 의하여, 상호 위치를 결정한다. 보강판(86)을 사용할 때, 패널 블록(10)의 두께는 감소될 수도 있다.
패널 블록(10)의 측벽(16)의 중앙 부분은 움푹 패인 부분(17)을 형성하도록 패널 블록의 중심부를 향하여 내부로 들어가게 된다. 이러한 패인 부분(17)의 깊이는 측벽(16)이 패널 블록(10) 상부면(14)의 외부 가장자리와 동일한 라인 상에서 또는 외부 내측에 유지되도록 형성되는 것에 의하여, 측벽(16)이 상부로부터의 하중에 견딜 수 있으며, 측벽(16)의 외향 개방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측벽(16)의 절취부는 각 모서리에서만 존재하는 것은 아니고, 모서리를 분리하도록 형성된다. 도 18은 하나의 측벽(16)의 단부가 직각으로 모서리를 지나 연장하고, 이웃하는 측벽의 단부가 이웃하는 측벽의 단부 앞에서 내측으로 향하여 직각으로 굽혀지는 패널 블록(10)의 모서리 부분의 부분 단면도이다. 내측으로 구부러진 측벽(16)의 단부는 상부면(14)의 외부 가장자리와 같은 라인 또는 이러한 라인의 안쪽에 도달하도록 만들어진다. 이것은 상술된 패인 부분(17)의 경우에서와 같이 상부로부터의 하중에 저항하여 측벽(16)의 외향 개방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측벽(16)의 모서리에서, 후술되는 바와 같이 삽입되는 록킹 부재/중앙 플레이트(90, 이후, 록킹 부재라 칭함)의 일부분을 위한 개구(92)가 제공된다. 아울러, 모서리상의 측벽(16) 하부에, 완충 부재(24)가 상술된 실시예에서와 같이 부착된다. 도 12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완충 부재(24)의 내부는 탑재 플로어(22)를 지지하도록 상방으로 연장한다. 완충 부재(24)는 또한 보강판(86)에 부착되며, 보강판(86)의 가장자리는 하부 계단부(87)를 형성하도록 일정한 지점들에서 구부러진다. 연장된 완충 부재(24)는 하나의 단위 공간당 하중을 감소시키도록 하부 계단부(87)의 하부면을 지지하여 변형을 최소화한다. 완충 부재(24)에 돌출부를 제공하여 측벽(16)상에 제공된 구멍(도시되지 않음)에 돌출부를 고정하는 것에 의하여, 연결부의 균일성이 강화될 수 있다.
덮개 패널(12)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작은 배선을 위한 구멍(94)이 제공되고, 일반적인 배선을 위한 윈도우 부분(98)이 덮여진다. 이러한 윈도우 부분은 하방으로 구부리거나 또는 슬릿 또는 구멍(96)에서 윈도우 부분의 판 조각을 제거하는 것에 의하여 개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하중이 덮개 패널의 단부에 위치될 때, 수직벽이 단부까지 연장되어 있지 않으면, 덮개 패널이 상승할 수도 있기 때문에, 덮개 패널(12)의 수직벽(30)은 패널의 단부까지 완전히 연장한다. 수직벽이 양쪽 단부까지 연장하는 것은 하중이 패널의 단부에 작용됨으로써 패널의 상승을 방지한다. 덮개 패널(12)의 단부들에 있는 하부 계단부(32)는 록킹 부재(90)에 관계하여 반원형으로 형성된다. 슬릿(100)은 덮개 패널의 너비 방향 측면을 따라 하부 계단부(32)에 제공되며, 슬릿(100)의 외측면은 굽힘 부분(102)을 구성한다. 굽힘 부분(102)은 최하부(102a), 중간부(102b), 및 최상부(102c)로 구성된다. 이러한 형태의 이유는 나중에 설명된다.
록킹 부재(90)는 원형으로 형성되며, 덮개 패널(12)의 하부 계단부(32)에 위치되고, 원주 주위에 4개의 스토퍼 텅을 가진다. 록킹 부재는 회전되고, 스토퍼 텅은 패널 블록(10)에 있는 개구(92)로 삽입된다. 도 13은 록킹 부재(90), 패널 블록(10), 및 덮개 패널(12) 사이의 관계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선 A - A를 따른 확대 단면도이다. 록킹 부재(90)를 덮개 패널(12)의 하부 계단부(32)상의 적소에 위치시켜 회전시킴으로써, 스토퍼 텅(104)이 개구(92) 내로들어가는 것에 의하여, 패널 블록(10)과 덮개 패널(12)은 상부 및 하부로부터 가압되어, 하나의 유닛을 결합된다. 2개의 구멍(106)들이 록킹 부재의 상부면의 중심선을 따라서 제공되며, 특별화된 공구가 록킹 부재를 회전시키도록 구멍들에 삽입된다. 록킹 부재(90)의 중심부에, 다른 록킹 부재(90)의 원주의 일부가 삽입 또는 적용되는 슬롯 홈(108)을 제공하는 것에 의하여, 록킹 부재는 다른 록킹 부재를 회전시키는 공구로서 사용될 수 있다.
도 15는 록킹 부재(90)와 덮개 패널(12)의 하부 계단부(32) 사이의 접촉을 도시한 전개 단면도이다. 록킹 부재(90)는 록킹 부재(20)의 회전에 따라 굽힘부(102)상에서 최하부(102a)로부터 최상부(102c)에 걸쳐서 중간부(102b)까지 활주하도록 형성된 함몰부(110)를 구비한다. 굽힘 부분(102)은 록킹 부재가 최상부(102c)위를 활주할 때 최대한으로 굽혀져야만 되며, 중간부(102b)에서 적절하게 굽혀지므로, 록킹 부재(90)는 최상부(102c)에 의해 이완되는 것이 방지되어, 중간부(102b)에서 확실하게 록킹된다. 완전 록킹은 덮개 패널(12)과 록킹 부재(90)상에 조정 마크(112)를 제공하는 것에 의해 확인될 수 있다. 록킹 부재(90)의 스토퍼 텅(104)이 특정 수직 두께로 형성됨으로써, 패널이 록킹 전에 플로어 상에 시험적으로 위치되는 동안 충격을 받을 때, 스토퍼 텅(104)은 패널들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스토퍼 텅(104)의 강도를 증가시킨다. 비록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록킹 부재(90)의 중심에 구멍을 제공하여 플로어의 전기 출구를 직접 설치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패널 유닛들을 패널 블록에 연결하기 위한 다른 수단은 패널 유닛을 적절한 플라스틱 시트 상에 위치시키는 것에 의한 것이며, 플라스틱 시트는 보강 물질 및 완충 물질로서의 기능을 한다. 도 16은 상술된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17은 도 16의 선 B-B를 따른 단면도이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4개의 패널 블록(정확하게는 "패널 유닛"이라는 용어를 사용해야 하지만, 그 구조 및 외형이 부분적으로 패널 블록과 같기 때문에, 여기서는 "패널 블록"이라는 용어를 사용하며, "덮개 패널"과 "록킹 부재"의 용어 또한 같은 의미로 사용된다.)과 4개의 덮개 패널은 플라스틱 시트(14)상에서 하나의 패널 블록(10)을 구성한다. 직사각형의 돌출부(116)들이 플라스틱 시트(114)상에 제공되며, 패널 블록 4측면의 중심부에 하나, 패널 블록의 각각의 네 변에 2개씩 제공된다. 패널 블록(10)은 비록 크기는 작을지라도 그 형상에 있어서 이전의 실시예에서 기술된 패널 블록과 유사하다. 단지 약간의 차이는 슬롯 삽입부(18)의 상향벽(20)이 측벽에서 절단되고 슬롯 삽입부의 바닥이 슬릿으로 구성된다는 점이다.
패널 블록(10)의 위치는 직사각형의 돌출부(116)가 슬릿(118)내로 삽입되므로써 결정된다(그러므로, 패널 블록(10)의 측벽(16)의 중심부는 내부를 향해 함몰되지 않는다). 홈(120)이 직사각형의 돌출부(116)의 상부에 형성되며, 덮개 패널(12)의 수직벽(30)은 홈(12)내에 삽입되는 것에 의하여, 직사각형의 돌출부(116)는 완충 물질(36)로서의 작용한다. 또한, 4개의 모서리 상에 있는 직사각형 돌출부의 모서리 부분은 한 단계 낮게 만들어진다. 이러한 낮은 부분은 패널 블록(10)의 상부면의 후면에 있는 평탄부를 지지하는 것에 의하여, 패널 블록의 지지부를 보강한다. 또한, 원기둥형의 돌출부(122)는 패널 블록(10)의 상부면(14)의후면을 지지하기 위해 플라스틱 시트(114)상에 적절한 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에 의하여, 상부면(14)이 매달림을 방지한다. 덮개 패널(12)과 록킹 부재(90)의 구조는 상술된 실시예와 동일하다. 그러므로, 덮개 패널(12)과 패널 블록(10)의 상부 부분은 스크럼을 형성한다. 이러한 스크럼 및 하부 부분에서의 플라스틱 시트(114)에 의한 연결은 패널 블록들과 덮개 패널의 전체적인 결합을 완성하고, 이것은 모듈로서 보다 용이하게 취급될 수 있다.
도 8은 패널 블록(10)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9는 패널 블록(10)을 포함하는 패널 유닛(10a)의 평면도이고, 도 10은 측면도이다. 이 실시예에서, 다수의 패널 유닛(여기에서는 4개의 패널 유닛을 포함하는 패널 블록으로서 도시되어 있지만, 이러한 수는 4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이 하나의 패널 블록(10)을 구성한다. 각각의 패널 유닛(10a)은 위치 결정이 고정되도록 연결되어야 한다. 커넥터 돌출부(70)는 측벽(16a)에서 L자 형상으로 절단되어, 서로 연결된다. 이러한 커넥터 돌출부는 패널 유닛 및 덮개 패널의 연결을 방해하지 않음으로써, 패널 블록은 하나 또는 다수의 패널 유닛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패널 유닛(10a)과 패널 블록(10)은 크기 및 형태가 다를 수도 있다. 각 측벽(16a)에 2개의 커넥터 돌출부(70)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한 측벽(16a)의 커넥터 돌출부들은 내향하여 돌출되고, 측벽(16a)에 인접한 커넥터 돌출부들은 모든 패널 유닛(10a)들이 서로 연결될 수 있도록 외향하여 돌출된다. 더욱이, 구멍(72)이 패널 유닛(10a)의 상부면(14a)의 모서리들에 제공되어서, 패널 유닛을 설치하거나 분리하기 위해 들어 올릴 때, 구멍(72)을 통해 공구가 적용될 수 있다.
배선용 홈은 패널 블록(10)들 사이에 제공되다. 이러한 홈은 다수의 패널 유닛(10a)들로 구성된 패널 블록(10)들 사이, 또는 다수의 패널 유닛으로 구성된 패널 블록(10)들과 하나의 패널 유닛(10a)으로 구성된 패널 블록(10)들 사이에 제공될 수도 있다. 모든 경우에 있어서, 덮개 패널(12)의 크기는 제공된 홈을 덮기 위한 패널 블록(10)의 크기와 일치되어야 한다. 이와 같이, 패널 블록(10)의 공간에 대한 홈 공간의 크기비는 변화될 수 있고, 이것은 배선 볼륨에 따라 필요한 배선 공간을 보장할 수 있음으로써 필요한 효과를 성취한다.
이러한 형태를 더욱 발전시키는 동안, 배선용 홈은 패널 유닛(10a) 또는 패널 블록(10)들 아래의 공간에 고정될 수 있으며, 이것들 자체는 덮개 패널들을 대체할 수 있다. 즉, 홈을 제공함이 없이 패널 유닛(10a) 또는 패널 블록(10)으로 전체 플로어를 덮는 동안, 배선이 배선 윈도우 부분(26)에서 측벽의 조각을 미리 제거하는 것에 의하여 패널 유닛(10a)의 배선 윈도우(215)를 통하여 배열될 수 있다(이와 같이 사용되도록 계획된 패널 유닛(10a)들은 배선 윈도우 부분(26) 대신에 배선 게이트를 구비할 수도 있다). 이러한 형태가 채택될 때, 패널 유닛(10a)들은 커넥터 돌출부(70)에 의해 서로 연결되며, 위치 결정에 문제가 없다. 이러한 작업에 있어서, 덮개 패널은 필요하지 않고, 홈을 제공하기 위한 작업은 생략되며, 이러한 것은 부품수와 단가를 줄일 수 있으며, 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덮개 패널의 수직벽이 패널 볼록의 슬롯 삽입부에 유지되는 본 발명이 설명되었다. 이것은 소음을 없애고, 지진 및 다른 흔들림으로 인하여덮개 패널이 분리되는 것에 대한 저항성을 강화한다. 더욱이, 패널 블록 및 덮개 패널은 상호 결합되어, 서로 분리되지 않도록 상대 위치가 고정된다. 패널 블록과 덮개 패널의 위치가 모두 고정되기 때문에, 사전에 플로어 상에 선을 그리거나 패널 블록만을 먼저 위치시킬 필요가 없다. 대신, 패널 블록과 덮개 패널이 교대로 조립될 수 있음으로써, 높은 구성 효율을 얻게 된다.

Claims (8)

  1. 패널 유닛으로 구성되고 구조용 플로어 상에 정방형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패널 블록들 사이에 배선용 홈이 형성되어 덮개 패널에 의하여 덮여지는 홈 구조를 구비한 억세스 플로어에 있어서,
    패널 블록은 평평한 상부면, 측벽, 및 측벽 중간부에 형성되어 덮개 패널의 수직벽이 삽입되는 U자 형상의 슬롯 삽입부를 가지며, 덮개 패널은 수평벽과, 수평벽으로부터 하향하는 수직벽을 구비하고,
    상기 덮개 패널의 집격 장소에 형성된 개방 공간은 고정 중앙 플레이트에 의하여 덮여지며, 이러한 고정 중앙 플레이트는 회전 작용으로 상부 및 바닥으로부터 가압하는 것에 의하여 패널 블록들과 덮개 패널들을 하나의 조립 유닛으로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억세스 플로어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패널 블록은 하나의 패널 유닛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억세스 플로어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패널 블록은 패널 유닛의 측벽에 제공되는 커넥터 돌출부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다수의 패널 유닛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억세스 플로어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패널 블록 측벽에 있는 슬롯 삽입부는 절단되어 상향하여 연장하는 측벽의 일부로 만들어지며, 상기 상향벽은 또한 배선용 보호구로서 기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억세스 플로어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배선 윈도우 부분이 상기 패널 유닛의 측벽에 각인되고, 구부려 잘라내는 것에 의하여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억세스 플로어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 패널의 수직벽이 슬롯 삽입부에 삽입될 때, 완충 물질이 상기 수직벽에 부착되어 적소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억세스 플로어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패널 블록 및 덮개 패널은 강철 플레이트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억세스 플로어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배선 게이트 또는 배선 윈도우 부분은 윈도우 부분들이 구부려 잘라내는 것에 의하여 제거되고 또한 커넥터 돌출부들이 패널 유닛들의 측벽에 제공되며, 인접한 패널 유닛들의 커넥터 돌출부들은 서로 결합될 수 있으며, 배선홈은 패널 유닛 또는 패널 블록들 자체 밑에 고정되며, 그러므로 패널 유닛들 또는 패널 블록들은 덮개 패널을 대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억세스 플로어 시스템.
KR1019960706319A 1995-03-06 1995-12-25 억세스플로어시스템 KR1003787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7444295 1995-03-06
JP95-74442 1995-03-06
JP12941995 1995-04-27
JP95-129419 1995-04-27
JP95-229663 1995-08-14
JP22966395A JP3638679B2 (ja) 1995-03-06 1995-08-14 フリーアクセスフロア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702953A KR970702953A (ko) 1997-06-10
KR100378740B1 true KR100378740B1 (ko) 2003-06-09

Family

ID=273015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706319A KR100378740B1 (ko) 1995-03-06 1995-12-25 억세스플로어시스템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5848506A (ko)
EP (1) EP0758425B1 (ko)
JP (1) JP3638679B2 (ko)
KR (1) KR100378740B1 (ko)
CN (1) CN1087379C (ko)
DE (1) DE69515862T2 (ko)
TW (1) TW338201B (ko)
WO (1) WO199602772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1259B1 (ko) * 2021-06-01 2021-12-17 박태복 판넬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93062B1 (en) * 1999-11-30 2001-09-25 Yao-Chung Chen Incombustible fireproof network elevated floorboard
FR2830885B1 (fr) * 2001-10-12 2004-01-30 Deschamps A & Fils Ets Structure de revetement de sol provisoire bicouche a deploiement rapide
US20040154250A1 (en) * 2003-02-06 2004-08-12 Hatsios Anastasios George Self securing panel for work platform
WO2008056382A1 (en) * 2006-11-08 2008-05-15 Planium S.R.L. Flooring for dry - laying
CN101787750B (zh) * 2009-12-18 2011-04-20 杭州电子科技大学 基于铁电材料的吸声减噪装置
ITVI20110334A1 (it) * 2011-12-23 2013-06-24 C. Dispositivo di ancoraggio per struttura di pavimentazione modulare e struttura di pavimentazione comprendente il dispositivo
USD747502S1 (en) 2014-05-05 2016-01-12 Tate Access Floors Leasing, Inc. Access floor panel
USD747503S1 (en) 2014-05-05 2016-01-12 Tate Access Floors Leasing, Inc. Access floor panel
EP3189194B1 (en) * 2014-09-04 2019-03-13 QLX Pty Ltd. Flooring module
KR101508477B1 (ko) * 2014-12-29 2015-04-07 (주) 액트 조립식 난방 패널 및 이를 구비하는 난방 시스템
TWI631050B (zh) * 2017-04-26 2018-08-01 黃永嘉 Movable equipment base plate structure
CN108951679A (zh) * 2017-05-23 2018-12-07 黄永嘉 活动式基座板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47829U (ko) * 1985-03-07 1986-09-11
JPS61161346U (ko) * 1985-03-28 1986-10-06
JPS63117946U (ko) * 1987-01-27 1988-07-30
JPH01133512A (ja) * 1987-11-18 1989-05-25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二重床用ボックス
JPH0318616U (ko) * 1989-06-28 1991-02-25
JPH0540476U (ja) * 1991-11-08 1993-06-01 東洋化学株式会社 床パネルの接合部
JPH06307063A (ja) * 1993-04-20 1994-11-01 Naka Ind Ltd 二重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50575A (en) * 1958-01-13 1960-08-30 Hellwig August Raceway network
US3290884A (en) * 1966-02-02 1966-12-13 James C Rainey Power system
US4656795A (en) * 1983-06-10 1987-04-14 H. H. Robertson Company Floor panel for elevated floor assembly
JPS62284854A (ja) * 1986-05-30 1987-12-10 共同カイテック株式会社 フロアパネル装置
WO1988003207A1 (en) * 1986-10-22 1988-05-05 Michael David Boyd Modular hollow floor panels with integral ducting
DK11887D0 (da) * 1987-01-12 1987-01-12 Eminentplast A S Gulvbeklaedning af elektrisk afledende type
JP2506712B2 (ja) * 1987-01-21 1996-06-12 オ−エム機器株式会社 フリ−アクセス床
JPS63192537A (ja) * 1987-02-05 1988-08-09 Sumitomo Metal Ind Ltd オ−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鋼鋳片の連続鋳造法
CA2001808C (en) * 1988-10-31 1993-03-30 Fumio Takeda Interior panel unit for permitting arrangement of cables and devices on room floor
US5184438A (en) * 1988-10-31 1993-02-09 Kabushiki Kaisha Toshiba Interior panel unit for permitting arrangement of cables and devices on room floor
JP2815905B2 (ja) * 1989-06-26 1998-10-27 株式会社東芝 磁気共鳴イメージング装置
JPH0329641U (ko) * 1989-08-02 1991-03-25
EP0488312B1 (en) * 1990-11-29 1995-01-18 Kabushiki Kaisha Toshiba Method for manufacturing system floor and floor base for system floor
US5434355A (en) * 1993-10-26 1995-07-18 Sho; Jen-Tai Floor board assembly
US5489458A (en) * 1993-12-07 1996-02-06 Mitsubishi Burlington Co., Ltd. Flooring material for wiring
US5630300A (en) * 1996-01-29 1997-05-20 Chen; Yao-Chung Low raised access floor structure for office automation
US5628157A (en) * 1996-01-29 1997-05-13 Chen; Yao-Tzung Elevated metal floor with wire duct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47829U (ko) * 1985-03-07 1986-09-11
JPS61161346U (ko) * 1985-03-28 1986-10-06
JPS63117946U (ko) * 1987-01-27 1988-07-30
JPH01133512A (ja) * 1987-11-18 1989-05-25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二重床用ボックス
JPH0318616U (ko) * 1989-06-28 1991-02-25
JPH0540476U (ja) * 1991-11-08 1993-06-01 東洋化学株式会社 床パネルの接合部
JPH06307063A (ja) * 1993-04-20 1994-11-01 Naka Ind Ltd 二重床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1259B1 (ko) * 2021-06-01 2021-12-17 박태복 판넬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515862D1 (de) 2000-04-27
DE69515862T2 (de) 2000-08-17
CN1087379C (zh) 2002-07-10
EP0758425A1 (en) 1997-02-19
JP3638679B2 (ja) 2005-04-13
WO1996027720A1 (en) 1996-09-12
JPH0913632A (ja) 1997-01-14
CN1148880A (zh) 1997-04-30
TW338201B (en) 1998-08-11
EP0758425B1 (en) 2000-03-22
KR970702953A (ko) 1997-06-10
US5848506A (en) 1998-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78740B1 (ko) 억세스플로어시스템
US5927667A (en) Electrical box mounting bracket
EP0630092B1 (en) Electrical mechanism support device in trays for electrical ducting
US5469681A (en) Vinyl ceiling grid structure
US5682017A (en) Metal outlet box with snap together base and cover
US6142594A (en) Rack with a lower frame and an upper frame made of a continuous section
JP4929718B2 (ja) エレベータのかご室
EP0325051A2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 suspended floor
JPH0716337Y2 (ja) 組立式収納箱
KR100371493B1 (ko) 골판지를 이용한 전동기용 포장박스
JP3460589B2 (ja) 床パネル
JPH0646848Y2 (ja) ブラウン管パネルの収容体
JP2529960Y2 (ja) 金属収納家具への棚板取付構造
CN218464237U (zh) 一种多样式产品包装木箱
JPH01244045A (ja) 天板付の間仕切装置
CN114059743B (zh) 地板面板以及活动地板
JP6556684B2 (ja) 敷板
KR200224944Y1 (ko) 전선 보호용 커버
JPH04189968A (ja) フロアパネル
JPH0882077A (ja) 二重床
JPH0610841Y2 (ja) ラツクにおける棚板と支柱との連結装置
JP2002370766A (ja) ドア枠包装用補助部材及び補助部材を用いたドア枠梱包装置
JPH09238758A (ja) アングル棚
JP3145456B2 (ja) フロアパネル
JPH0617927Y2 (ja) 化粧板の取付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