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8477B1 - 조립식 난방 패널 및 이를 구비하는 난방 시스템 - Google Patents

조립식 난방 패널 및 이를 구비하는 난방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8477B1
KR101508477B1 KR20140192480A KR20140192480A KR101508477B1 KR 101508477 B1 KR101508477 B1 KR 101508477B1 KR 20140192480 A KR20140192480 A KR 20140192480A KR 20140192480 A KR20140192480 A KR 20140192480A KR 101508477 B1 KR101508477 B1 KR 1015084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panel
heating
insertion portion
fastening
f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1924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덕
조천휘
Original Assignee
(주) 액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액트 filed Critical (주) 액트
Priority to KR201401924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84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84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84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2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 F24D3/14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incorporated in a ceiling, wall or floor
    • F24D3/141Tube mounting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F24D3/142Tube mountings specially adapted therefor integrated in prefab construction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161Floor elements with grooved main surface
    • E04F15/02166Floor elements with grooved main surface wherein the grooves are filled with inse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2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 F24D3/122Details
    • F24D3/127Mechanical connections between panels

Abstract

조립식 난방 패널 및 이를 구비하는 난방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조립식 난방 패널은, 난방 유체가 유동하면서 열을 전달하는 유동부와, 유동부의 일 측에서 돌출 형성되는 제1 삽입부와, 유동부의 타 측에서 함몰 형성되어 제1 삽입부가 삽입 및 분리될 수 있는 제2 삽입부와, 제1 삽입부 측에 형성되는 제1 체결부재와, 제2 삽입부 측에 형성되는 제2 체결부재를 구비하는 체결부를 포함하고, 제1 삽입부 및 제2 삽입부는 유동부와 연통된다.

Description

조립식 난방 패널 및 이를 구비하는 난방 시스템{ASSEMBLY HEATING PANEL AND HEATING SYSTEM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조립식 난방 패널 및 이를 구비하는 난방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열전달량이 많고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한 조립식 난방 패널 및 이를 구비하는 난방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주거용 건축물 등에는 난방을 위해서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슬라브 바닥 상부의 온돌층에 온수가 유동하는 파이프를 매설하는 방법이 이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온수 유동 파이프를 매설하는 방법은 유지 관리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시공 및 철거가 어려운 문제점을 갖는다. 이와 같은 파이프 매설 방식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최근에는 내부에 온수가 유동하는 조립식 난방 패널을 상호 결합해서 난방 시스템을 구성하는 방법이 개발되고 있다.
다수 개의 조립식 난방 패널을 연속적으로 연결함으로써 하나의 온돌식 난방 시스템이 완성되는데, 이와 같은 조립식 난방 패널을 이용한 온돌식 난방 시스템은 내부에서 유동하는 온수로부터 바닥 면으로의 열 전달량이 많을 것이 요구된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291261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서, 내부에서 유동하는 온수로부터 바닥 면으로의 열 전달량이 많은 조립식 난방 패널 및 이를 구비하는 난방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한 조립식 난방 패널 및 이를 구비하는 난방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에 서술되는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조립식 난방 패널은, 난방 유체가 유동하면서 열을 전달하는 유동부와, 유동부의 일 측에서 돌출 형성되는 제1 삽입부와, 유동부의 타 측에서 함몰 형성되어 제1 삽입부가 삽입 및 분리될 수 있는 제2 삽입부와, 제1 삽입부 측에 형성되는 제1 체결부재와, 제2 삽입부 측에 형성되는 제2 체결부재를 구비하는 체결부를 포함하고, 제1 삽입부 및 제2 삽입부는 유동부와 연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난방 패널은 다음과 같은 실시예들을 하나 또는 그 이상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유동부는, 바닥면이 결합하는 상부와, 체결부가 형성되어 있는 하부 사이의 빈 공간에 해당할 수 있다. 그리고 상부, 하부, 제1 삽입부 및 제2 삽입부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체결부 및 제2 체결부는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체결홈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삽입부 및 제2 삽입부의 유동 단면은 유동부의 유동 단면과 동일할 수 있다.
제1 체결부 및 제2 체결부는 매미 고리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삽입부 및 제2 삽입부는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거나 또는 상호 수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난방 패널은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한 바닥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닥면은 상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고, 상부에는 누수방지홈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바닥면은 상부에 완전히 포개지지 않고 외부로 그 일부가 돌출될 수 있다.
유동부 내부에는 난방 유체의 흐름 방향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내부돌기가 지그재그로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난방 시스템은 상기의 조립식 난방 패널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난방 패널 자체가 난방 유체가 유동하는 파이프 역할을 하는 것으로 온수의 접촉 면적을 최대로 할 수 있기 때문에 열 전달량이 많은 조립식 난방 패널 및 이를 구비하는 난방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난방 패널의 제1 삽입부를 인접하는 난방 패널의 제2 삽입부에 삽입한 후 체결부를 이용하여 체결하기 때문에,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누수 발생을 차단할 수 있는 조립식 난방 패널 및 이를 구비하는 난방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부로 노출되는 바닥면의 교체가 가능하기 때문에 다양한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는 조립식 난방 패널 및 이를 구비하는 난방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체가 난방 패널의 연결 부분 사이로 흘러 내리는 것을 일정 정도 방지할 수 있는 조립식 난방 패널 및 이를 구비하는 난방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난방 패널의 사시도로서 바닥면이 분리된 상태를 예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난방 패널의 사시도로서 바닥면이 제거된 상태를 예시한다.
도 3 및 도 4는 도 2의 AA선 및 BB선에 따른 조립식 난방 패널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 예시된 조립식 난방 패널에서 상부가 제거된 상태를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2에 예시된 조립식 난방 패널의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2에 예시된 조립식 난방 패널의 저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난방 시스템을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9는 조립식 난방 시스템의 결합 부분을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인접하는 두 개의 조립식 난방 패널이 분리된 상태를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인접하는 두 개의 조립식 난방 패널이 정면 결합된 상태를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인접하는 두 개의 조립식 난방 패널이 측면 결합된 상태를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7을 참고하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난방 패널(100)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난방 패널(100)의 사시도로서 바닥면(110)이 분리된 상태를 예시하고, 도 2는 도 1의 조립식 난방 패널(100)에서 바닥면(110)이 제거된 상태를 예시한다. 그리고 도 3 및 도 4는 도 2의 AA선 및 BB선에 따른 조립식 난방 패널(100)의 단면도로서, 바닥면(110)이 제거된 상태를 예시한다. 또한, 도 5는 도 2에 예시된 조립식 난방 패널(100)에서 상부(120)가 제거된 상태를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6 및 도 7은 각각 도 2에 예시된 조립식 난방 패널(100)의 정면도 및 저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난방 패널(100)은 다수 개가 상호 결합해서 조립식 난방 시스템을 형성한다(도 8의 도면부호 200 참조). 조립식 난방 패널(100)의 내부에는 온수와 같은 난방용 작동 유체가 유동하는데, 난방 패널(100) 자체가 하나의 파이프 역할을 하면서 작동 유체의 열 전달 면적을 최대로 할 수 있다. 또한, 조립식 난방 패널(100)은 돌출 형성된 제1 삽입부(136)와 함몰 형성된 제2 삽입부(140)를 구비하는데, 제1 삽입부(136)는 인접하는 난방 패널(100)의 제2 삽입부(140)에 용이하게 결합 및 분리할 수 있는 점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난방 패널(100)은 체결부(146)를 구비하여서 인접하는 난방 패널(100)의 상호 강하게 밀착 시키게 되는데, 이로 인해 작동 유체의 누수를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난방 패널(100)은 바닥면(110), 상부(120), 유동부(130), 제1 삽입부(136), 제2 삽입부(140), 체결부(146) 및 하부(160)를 포함한다.
바닥면(110)은 난방 패널(100)의 상부(12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조립식 난방 시스템에서 외부로 노출되는 면에 해당한다. 바닥면(110)은 교체가 가능하기 때문에 다양한 색상 및 재질(예를 들면, 옥)의 바닥면(110)이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조립식 난방 시스템(200)에 사용되는 바닥면(110)이 모두 동일할 필요는 없으며, 사용되는 부분에 따라서 다양한 형상 및 재질을 갖는 바닥면(110)이 사용될 수 있다.
바닥면(110)은 직사각 형상을 갖고 그 하부에는 결합돌기(112)가 돌출되어 있다. 결합돌기(112)는 상부(120)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홈(124)에 분리 가능하게 삽입된다. 그리고 바닥면(110)은 상부(120)에 완전히 포개지도록 결합될 수 있지만, 바닥면(110)으로 떨어지는 유체 등과 같은 이물질(도시하지 않음)이 난방 패널(100)의 상호 결합 부분 사이로 흘러 내리는 것을 일정 정도 방지하기 위해서 다소 어긋나도록 상부(120)와 결합할 수도 있다(도 12 참조). 이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바닥면(110)의 양 단부에는 단부돌기(118)가 하향 돌출되어 있다. 단부돌기(118)는 상부(120)에 형성되어 있는 누수방지홈(126)에 삽입되는데, 이로 인해 바닥면(110)에 떨어진 이물질이 난방 패널(100)의 아래로 흘러내리는 것을 일정 정도 방지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바닥면(110)을 상부(120)에 용이하게 위치 설정할 수 있다(도 12 참조).
본 실시예에 따른 난방 패널(100)은 상부(120)에 바닥면(110)이 결합되는 것으로 예시하였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난방 패널은 별도의 바닥면(100)을 구비하지 않고 상부(도면부호 120에 대응)가 바닥면(100)의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상부(120)는 하부(160) 및 측면(128)과 함께 작동 유체가 흐르는 유동부(130)를 형성한다. 상부(120)의 상면에는 결합홈(124)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데, 결합홈(124)에는 바닥면(110)의 결합돌기(112)가 결합된다. 그리고 상부(120)에는 그 길이 방향으로 하나의 누수방지홈(126)이 형성되어 있다. 누수방지홈(126)은 작은 폭과 깊이를 갖는 홈으로서, 그 수직 상부에는 바닥면(110)과 바닥면(110)의 접합 부분(도 12의 도면부호 116 참조)이 위치하게 된다(도 12 참조). 따라서 바닥면(110)과 바닥면(110)의 접합 부분 사이로 침투한 이물질(커피와 같은 액체 또는 미세한 입자 등)은 누수방지홈(126)에 유입되어서 난방 패널(100)을 타고 설치 공간의 바닥면 또는 벽면으로 쉽게 흘러 내릴 수 없게 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부(120)는 하부(160)에 대해 일정 간격을 갖고 그 상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상부(120) 및 하부(160)는 상호 평행하게 배치된다. 상부(120)는 두 개의 측면(128) 및 유동부(130)에 형성된 내부돌기(132)에 의해서 하부(160)에 대해서 일정 높이로 지지된다.
하부(160)는 난방 패널(100)의 베이스(base)에 해당하는 것으로 직사각 형상의 단면을 갖는다. 도 7을 참고하면, 직사각 형상을 갖는 하부(160)의 네 개의 모서리에는 정사각 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체결홈(162)이 형성되어 있다. 네 개의 체결홈(162)에서 전방 두 개의 체결홈(162)에는 제1 체결부재(148)가 구비되어 있고 후방 두 개의 체결홈(162)에는 제2 체결부재(152)가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1 체결부재(148) 및 제2 체결부재(152)가 오목하게 형성된 체결홈(162)에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추후 체결이 용이하게 될 뿐만 아니라 제1 체결부재(148) 및 제2 체결부재(152)가 난방 패널(100)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아서 난방 패널(100)을 상호 밀착시켜서 결합할 수 있다(도 9 참조).
하부(160)의 일 측면에는 돌출 형성된 측면결합돌기(164)가 형성되어 있고, 타 측면에는 오목하게 형성된 측면결합홈(166)이 형성되어 있다. 측면결합돌기(164)는 인접 배치된 난방 패널(100)의 측면결합홈(166)에 삽입되는데, 이로 인해 인접하는 하부(160)의 상호 접합 부분(도 12의 도면부호 161 참조) 사이로 침투한 이물질 등이 설치 공간의 바닥면으로 흘러 내리는 것을 일정 정도 방지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고하면, 상부(120), 하부(160) 및 두 개의 측면(128)에 의해서 작동유체가 유동하는 빈 공간에 해당하는 유동부(130)가 형성된다. 유동부(130)는 제1 삽입부(136)를 통해 유입된 작동 유체가 통과하는 공간으로서, 작동 유체로부터 상부(120) 및 하부(160) 그리고 측면(128)으로 열전달이 이루어진다. 유동부(130)는 난방 패널(100) 넓이의 대부분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는 도 3에서 두 개의 측면(128)을 제외한 부분이 유동부(130)의 유동 단면에 해당하고, 도 4에서 제2 삽입부(140)를 제외한 난방 패널(100)의 길이 전체가 유동부에 해당한다. 이와 같이, 작동 유체가 흐르는 유동부(130)의 접촉 면적이 넓기 때문에 열 전달량이 많게 된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유동부(130)의 내부에는 내부돌기(132)가 형성되어 있다. 내부돌기(132)는 하부(160)에서 상향 돌출되어 상부(120)를 지지하는데, 이로 인해 상부(120)에 가해지는 하중을 견딜 수 있게 된다. 또한, 내부돌기(132)는 작동 유체가 난류(turbulence)를 형성하도록 하는데, 이로 인해 작동 유체의 열 전달 효율이 높아진다.
내부돌기(132)는 작동 유체의 진행 방향(도 5의 화살표)에 수직한 방향으로 지그재그(zigzag) 형상으로 배열되어 있는데, 이로 인해 작동 유체가 난류(turbulence)를 형성하여 열 전달 효율이 높아진다. 그리고 내부돌기(132)는 작동 유체의 진행 방향에 대해서는 일렬로 배치되어 있다. 물론, 내부돌기(132)의 배치 구조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는 것으로 본 발명은 내부돌기(132)의 배치 구조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제1 삽입부(136)는 유동부(130)의 일 측에서 돌출 형성된 것으로 유동부(130)와 연통된다. 제1 삽입부(136)는 인접하는 난방 패널(100)의 제2 삽입부(140)에 억지 끼워 맞춤(press fitting)에 의해서 삽입되는데, 이로 인해 인접하는 두 개의 난방 패널(100)이 상호 연결되어 작동 유체가 하나의 난방 패널(100)에서 인접하는 난방 패널(100)로 순환할 수 있게 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제1 삽입부(136)에서 유체가 유동하는 유동 단면은 유동부(130)의 유동 단면과 동일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제1 삽입부(136)를 통해서 작동 유체가 유동부(130)의 내부로 유입되는 과정에서 유동 단면이 축소되지 않기 때문에 원활한 유동이 가능하게 된다.
제2 삽입부(140)는 유동부(130)의 타 측에서 함몰 형성된 것으로 유동부(130)와 연통된다. 제2 삽입부(140)에는 인접하는 난방 패널(100)의 제1 삽입부(136)가 억지 끼워 맞춤에 의해서 삽입되는데, 이로 인해 인접하는 두 개의 난방 패널(100)이 상호 연결되어 작동 유체가 하나의 난방 패널(100)에서 인접하는 난방 패널(100)로 순환할 수 있게 된다.
제2 삽입부(140)의 내부에는 실링부재(142)가 삽입되어서 작동 유체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제2 삽입부(140)에서 유체가 유동하는 유동 단면은 유동부(130)의 유동 단면과 동일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제1 삽입부(136), 유동부(130) 및 제2 삽입부(140)의 유동 단면은 모두 동일하게 되는데, 이로 인해 작동 유체가 원활하게 유동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난방 패널(100)을 상호 연결하기 위해서는 제1 삽입부(136)를 인접하는 난방 패널(100)의 제2 삽입부(140)에 삽입하면 되기 때문에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본 실시예에 따른 난방 패널(100)의 제1 삽입부(136) 및 제2 삽입부(140)는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어 작동 유체가 직선 방향(도 5의 화살표 참조)으로 유동하게 된다. 물론,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난방 패널은 제1 삽입부(136) 및 제2 삽입부(140)가 일직선 상에 위치하지 않고 상호 수직이 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삽입부 및 제2 삽입부가 상호 수직으로 배치된 것은 작동 유체의 방향을 변경하기 위한 것으로, 이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도 8을 참조하면서 설명하기로 한다.
체결부(146)는 하부(160)의 네 개의 모서리에 형성된 체결홈(162)에 각각 구비되는 것으로, 제1 체결부재(148) 및 제2 체결부재(152)를 포함한다. 제1 체결부재(148) 및 제2 체결부재(152)는 하나의 매미 고리를 형성하는데, 제1 체결부재(148)는 매미 고리의 걸림고리에 해당할 수 있고 제2 체결부재(152)는 상기 걸림고리가 걸리게 되는 후크에 해당할 수 있다. 걸림고리(제1 체결부재)가 후크(제2 체결부재)에 걸리는 과정에서 인접하는 두 개의 난방 패널(100)이 상호 밀착되어 누수가 방지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난방 패널(100)은 제1 삽입부(136)를 인접하는 난방 패널(100)의 제2 삽입부(140)에 삽입한 후 매미 고리에 해당하는 체결부(146)를 이용하여 상호 체결하면 되기 때문에 결합이 용이한 장점을 갖는다. 특히, 매미 고리에 해당하는 체결부(146)는 난방 패널(100)의 하부 측면에서 오목하게 형성된 체결홈(162)에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결합 과정에서 공간적으로 제한을 받지 않는다.
도 7을 참고하면, 제1 체결부재(148)는 난방 패널(100)에서 제1 삽입부(136)가 형성되어 있는 전방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있고, 제2 체결부재(152)는 난방 패널(100)에서 제2 삽입부(140)가 형성되어 있는 후방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7과 같은 제1 체결부재(148) 및 제2 체결부재(152)의 배치는 난방 패널(100)을 정면 결합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난방 패널(100)을 정면 결합이 아닌 측면 결합을 하기 위해서 제1 체결부재(148) 및 제2 체결부재(152)의 배치 구조를 변경할 수 있다.
상호 결합된 난방 패널(100)을 분리하기 위해서는 매미 고리에 해당하는 체결부(146)를 분리한 후 제1 삽입부(136)를 제2 삽입부(140)에서 빼내면 되는데, 이로 인해 본 실시예에 따른 난방 패널(100)은 분리도 용이한 장점을 갖는다.
본 실시예에 따른 난방 패널(100)은 체결부(146)가 매미 고리인 것으로 예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체결부의 종류 및 형태에 의해서 제한되지 않는다. 체결부는 인접하는 두 개의 난방 패널(100)을 결합 및 분리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도 무방하다. 예를 들어, 체결부는 막대 형상을 갖는 연결부재(도시하지 않음)를 이용하여 양 단부를 나사 체결하거나 밀폐 용기의 잠금 날개(도시하지 않음)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난방 패널(100)은 플라스틱 사출 성형에 의해 일체로 제작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8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방 패널(100)의 결합 구조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방 시스템(200)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난방 시스템(200)을 각각 예시하는 사시도로서, 도 8은 그 상부를 예시하고 도 9는 그 하부를 예시한다. 그리고 도 10은 도 8에서 인접하는 두 개의 조립식 난방 패널(100)이 분리된 상태를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 11은 두 개의 조립식 난방 패널(100, 100)이 정면 결합된 상태를 예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12는 두 개의 조립식 난방 패널(180, 190)이 측면 결합된 상태를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8 내지 도 1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난방 시스템(200)은 다수 개의 난방 패널(100)이 상호 결합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그 내부에는 도 8의 화살표 방향으로 작동 유체가 순환할 수 있다. 작동 유체는 화살표 방향으로 순환하면서 바닥면(110)에 열을 전달하는데, 이와 같은 열전달에 의해서 난방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다수 개의 난방 패널(A, B, C, D, E, F)은 작동 유체의 흐름 방향에 따라서 정면 결합 또는 측면 결합될 수 있다. 도 8에서 난방 패널 A와 B, B와 C는 상호 정면 결합되고, 난방 패널 D와 E 그리고 E와 F도 상호 정면 결합된다. 그리고 난방 패널 C 와 D는 상호 측면 결합된다.
참고로, 도 8 및 도 9에서 난방 패널 C(180)는 제1 삽입부(136) 및 제2 삽입부(140)가 직선 상에 배치되어 있지 않고 상호 직각으로 배치된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난방 패널 D(190)는 제2 삽입부(140)를 구비하지 않고 두 개의 제1 삽입부(136)가 상호 수직으로 배치된 구조를 갖는다. 또한, 난방 패널 A, B, E 및 F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방 패널(100)에 해당하는 것으로 모두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을 참고하면, 정면 결합하는 두 개의 난방 패널(100)은 상호 동일한 형상을 갖고 그 중간에는 실링부재(142)가 전방에 위치하는 난방 패널(100)의 제2 삽입부(140)에 삽입된다. 그리고 후방에 위치하는 난방 패널(100)의 제1 삽입부(136)를 전방에 위치하는 난방 패널(100)의 제2 삽입부(140)에 삽입한 후, 후방에 위치하는 난방 패널(100)의 제2 체결부재(152)를 전방에 위치하는 난방 패널(100)의 제1 체결부재(148)에 걸리게 한 후 다시 원위치로 복귀시켜서 체결을 완료한다. 이로 인해, 상호 정면 결합된 한 쌍의 난방 패널(100)은 견고하게 결합되어서 작동 유체의 누수가 방지된다.
도 11을 참고하면, 인접하는 두 개의 바닥면(110)의 접합 부분(114)은 인접하는 두 개의 상면(110)의 접합 부분(122)과 일직선 상에 있지 않고 다소 어긋나게 배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두 개의 접합 부분(114, 122)을 상호 어긋나게 배치함으로써, 바닥면(110)에 떨어진 액체 등과 같은 이물질이 설치 공간의 바닥면으로 흘러내려가는 것을 일정 정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2를 참고하면, 측면 결합하는 두 개의 난방 패널(C, D)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호 다른 형상을 갖는다. 두 개의 난방 패널(C, D)의 제1 삽입부(136)는 인접하는 다른 난방 패널(B, E)에 각각 삽입된다. 그리고 인접하는 두 개의 바닥면(110)의 접합 부분(116)과, 두 개의 측면의 접합 부분(161) 그리고 측면결합돌기(164) 및 측면결합홈(166)의 접합 부분(168)은 모두 상호 어긋나게 배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는데, 이로 인해 이물질이 설치 공간의 바닥면으로 흘러내려가는 것을 일정 정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난방 시스템(200)에는 보일러 또는 히트 펌프 등이 연결되어서 작동 유체가 순환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난방 시스템(200)은 설치 장소(주택, 공장 등)의 바닥뿐만 아니라 벽면 등에서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조립식 난방 패널
110: 바닥면 120: 상부
130: 유동부 136: 제1 삽입부
140: 제2 삽입부 146: 체결부
160: 하부 200: 조립식 난방 시스템

Claims (13)

  1. 상부, 하부 및 두 개의 측면에 의해서 형성되고, 난방 유체가 유동하면서 열을 전달하는 유동부;
    상기 유동부의 일 측에서 돌출 형성되는 제1 삽입부와, 상기 유동부의 타 측에서 함몰 형성되어 상기 제1 삽입부가 삽입 및 분리될 수 있는 제2 삽입부; 및
    상기 제1 삽입부 측에 형성되는 제1 체결부재와, 상기 제2 삽입부 측에 형성되는 제2 체결부재를 구비하는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삽입부 및 제2 삽입부는 상기 유동부와 연통되며,
    상기 제1 삽입부 및 상기 제2 삽입부의 유동 단면은 상기 유동부의 유동 단면과 동일한 조립식 난방 패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상기 하부, 상기 제1 삽입부 및 상기 제2 삽입부는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난방 패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체결부 및 상기 제2 체결부는 상기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체결홈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난방 패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체결부 및 제2 체결부는 매미 고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난방 패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삽입부 및 상기 제2 삽입부는 상호 대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난방 패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삽입부 및 상기 제2 삽입부는 상호 수직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난방 패널.
  7. 제1항에 있어서,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한 바닥면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난방 패널.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은 상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고 그 단부에는 단부돌기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에는 상기 단부돌기가 삽입되는 누수방지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난방 패널.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은 상기 상부에 완전히 포개지지 않고 외부로 그 일부가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난방 패널.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부 내부에는 난방 유체의 흐름 방향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내부돌기가 지그재그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난방 패널.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조립식 난방 패널을 구비하는 난방 시스템.
  12. 삭제
  13. 삭제
KR20140192480A 2014-12-29 2014-12-29 조립식 난방 패널 및 이를 구비하는 난방 시스템 KR1015084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92480A KR101508477B1 (ko) 2014-12-29 2014-12-29 조립식 난방 패널 및 이를 구비하는 난방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92480A KR101508477B1 (ko) 2014-12-29 2014-12-29 조립식 난방 패널 및 이를 구비하는 난방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8477B1 true KR101508477B1 (ko) 2015-04-07

Family

ID=530323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192480A KR101508477B1 (ko) 2014-12-29 2014-12-29 조립식 난방 패널 및 이를 구비하는 난방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847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02000027879A1 (it) * 2020-11-20 2022-05-20 Signum S R L A Socio Unico Struttura di pavimento per un impianto di scambio termico a pavimento del tipo radiant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3632A (ja) * 1995-03-06 1997-01-14 Om Kiki Kk フリーアクセスフロア
KR200271617Y1 (ko) * 2001-12-21 2002-04-12 윤종무 온수용 온돌패널
KR20050033586A (ko) * 2005-03-18 2005-04-12 송재섭 판넬 온수난방 방법
KR100905001B1 (ko) * 2007-08-24 2009-06-26 이양섭 케미컬라이트 삽입공을 가공하기 위한 골프공 지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3632A (ja) * 1995-03-06 1997-01-14 Om Kiki Kk フリーアクセスフロア
KR200271617Y1 (ko) * 2001-12-21 2002-04-12 윤종무 온수용 온돌패널
KR20050033586A (ko) * 2005-03-18 2005-04-12 송재섭 판넬 온수난방 방법
KR100905001B1 (ko) * 2007-08-24 2009-06-26 이양섭 케미컬라이트 삽입공을 가공하기 위한 골프공 지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02000027879A1 (it) * 2020-11-20 2022-05-20 Signum S R L A Socio Unico Struttura di pavimento per un impianto di scambio termico a pavimento del tipo radiant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69601B2 (ja) タイル床を敷設するシステム、タイル床を敷設する方法、並びにタイル床を修繕する方法
KR101588342B1 (ko) 건축용 모듈식 패널 유닛
US8677713B1 (en) Extruded wall panel system and method of forming
AU2002328693B2 (en) Hollow interconnecting panels as lost formwork
AU2004284204A1 (en) Building component for forming a floor or wall coverings
CN104067058A (zh) 地热地板以及地热地板组件
KR101117410B1 (ko) 건축용 패널
US20060119239A1 (en) Modular frame and enclosure system
KR101508477B1 (ko) 조립식 난방 패널 및 이를 구비하는 난방 시스템
KR101223458B1 (ko) 파티션 연결구조
US6095235A (en) Heating element for a floor
US20070017656A1 (en) Heating system with heat transmission fluid distributed in finished floor boards
KR20200021696A (ko) 난방용 온수 패널 조립체
USRE34738E (en) Concealed portable display device fastener
KR101296606B1 (ko) 바닥 난방용 온수 순환마루
KR101477214B1 (ko) 수평조절받침대를 이용한 조립식 단위벽체틀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432667B1 (ko) 온수패널 조립체
KR100455607B1 (ko) 난방을 위한 조립식 바닥재
JP7016132B2 (ja) 連結式建設用ブロック
KR200397739Y1 (ko) 온돌마루용 방열부재
KR102005051B1 (ko) 건식 온돌 바닥재
EP3330454B1 (en) Connection system and method for fitting floor covering modules together
GB2145752A (en) Suspension ceiling grids
KR20110134078A (ko) 난방용 조립식 온돌패널 및 조립방법
KR101702634B1 (ko) 온수마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