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2634B1 - 온수마루 - Google Patents

온수마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2634B1
KR101702634B1 KR1020150116641A KR20150116641A KR101702634B1 KR 101702634 B1 KR101702634 B1 KR 101702634B1 KR 1020150116641 A KR1020150116641 A KR 1020150116641A KR 20150116641 A KR20150116641 A KR 20150116641A KR 101702634 B1 KR101702634 B1 KR 1017026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water
coupling
floor
circulatio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66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래삼
김종렬
Original Assignee
(주)마루누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마루누어 filed Critical (주)마루누어
Priority to KR10201501166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26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26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26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2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 F24D3/122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29C65/08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ultrasonic vibr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2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 F24D3/122Details
    • F24D3/127Mechanical connections between pa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20Heat consumers
    • F24D2220/2081Floor or wall heating pa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온수마루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온수유로가 형성된 바닥재를 이용하여 난방 시공이 간편하며, 열에 의한 변형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높이고, 난방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온수마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온수유로의 단면 형상을 땅콩 형상으로 함으로써 장시간 온수를 사용할 경우 바닥부가 열에 의해 부풀어 올라 울퉁불퉁해지는 현상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격벽융착부를 다수 설치함으로써 온수마루의 방수 능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결합돌기가 형성된 바닥부와 바닥연결부의 슬라이딩 결합을 통해 바닥부를 연결함으로써 온수가 순환되면서 발생하는 인접 바닥부 사이의 온도 및 압력 차이로 인해 나타나는 소음 및 파손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온수마루{HOT-WATER FLOOR}
본 발명은 온수마루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온수유로가 형성된 바닥재를 이용하여 난방 시공이 간편하며, 열에 의한 변형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높이고, 난방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온수마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바닥을 시공하는 방법에는 습식시공과 건식시공 두 가지 방법이 있다.
습식시공은 슬라브 바닥 위에 단열판을 깔고 그 위에 온수파이프를 배관하고 축열재를 덮은 후 그 위에 콘크리트 및 시멘트를 양생하는 방법으로 시공하여 축열 성능이 양호하고 바닥이 견고하지만, 모르타르가 완전히 굳기까지 양생하는 시간이 길어 공사기간이 장기화된다.
또한 바닥의 수평을 맞추는데 많은 애로점이 있어 시공을 위해서는 숙련된 기능공이 필요하며, 온수관의 누수 시에는 타설된 콘크리트 및 모르타르 층을 파괴해야 하고, 현장에서 시공하기 때문에 인건비가 높으며, 시멘트 독성으로 인하여 건강에 해롭고, 건축물 하중이 크며, 바닥의 높이가 높아져 경제성이 떨어지는 등 많은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건식시공을 통한 바닥의 시공이 많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상기 건식시공은 평탄화된 슬라브 등의 바닥 상에 단열재, 온수공급수단을 구비하는 방열체, 상부마감재 및 바닥을 마감하는 플로링보드와 같은 바닥마감재가 적층된 구조를 이룬다.
건식용 온돌구조에 있어서 일정간격을 유지한 채 병렬구조를 이루고 있는 온수공급수단은 원형의 온수파이프가 상호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병렬구조를 이루고 있으며, 이로 인해 상측으로 열원이 공급되어야 할 바닥마감재에서는 국부요소에만 열전달이 증가되는 냉점이 발생하거나 공급되는 열이 상부마감재와 바닥마감재에 의해 손실되고 바닥의 높이가 높아지는 등 문제점이 여전히 존재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바닥에 설치되는 바닥마감재인 플로링보드와 같은 패널 자체에 온수를 순환시키는 유로를 형성하여 난방을 함으로써 열손실을 최소화하는 마루가 개발되었지만, 유로를 막지 못해 물의 유출을 제대로 방지하지 못하고, 각 패널 간의 연결이나 각 패널 간의 유로의 연결, 유로와 온수의 공급원과의 연결이 복잡하여 적극적으로 사용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장기간 사용시 온수의 열로 인해 바닥의 일부가 부풀어 오르는 등의 변형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438490호, 한국등록특허 제10-0712826호 및 한국등록특허 제10-1164871호는 바닥 난방용 온수 순환마루를 개시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438490호 한국등록특허 제10-0712826호 한국등록특허 제10-1164871호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온수유로가 형성된 바닥재 간의 순환유로를 초음파 융착 및 끼움결합에 의한 단순한 시공으로 난방 시공이 간편하고, 상부 바닥과 인접하게 온수 유로가 형성되어 난방 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열에 의한 변형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높인 온수마루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수마루는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관통된 다수의 온수유로(110)가 땅콩 형상으로 형성되어 수평하게 배열되며, 상기 온수유로(110)의 최 외곽 양측으로 결합홀(120)이 상기 온수유로(110)와 평행하도록 형성되고, 각각의 상기 결합홀(120)의 외측으로 하부가 개방된 연결홈(130)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바닥부(100); 일측이 개구되어 개구된 측이 상기 바닥부(100)의 전면 및 후면에 결합된 마감부(200); 및 상기 마감부(200)의 하측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바닥부(100)의 온수유로(110)에 온수를 유입 또는 상기 바닥부(100)의 온수유로(110)로부터 온수를 유출시키는 순환결정부(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마감부(200)는 상기 온수유로(110) 및 결합홀(120)의 격벽에 초음파융착으로 결합되는 다수의 격벽융착부(211); 상기 온수유로(110) 및 결합홀(120)의 외곽에 초음파융착으로 결합되는 외곽융착부(210); 및 상기 바닥부(100)의 결합홀(120)에 삽입되는 결합돌출부(2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격벽융착부(211)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일측이 관통된 격벽관통홀(211a);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마감부(200)는 상기 바닥부(100)의 연결홈(130) 상측 면과 초음파융착으로 결합되는 마감날개부(2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순환결정부(300)는 상기 마감부(200)의 내측과 관통된 순환관통홀(301) 및 상기 순환관통홀(301)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통되는 순환유로(302)가 형성된 순환배관(310); 및 상기 순환배관(310)의 양 측으로 상기 순환유로(302)가 연장 형성되며, 호스(321) 또는 마개(322)와 연결되는 유로연결부(3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순환배관(310)은 상기 순환배관(310)의 양측 끝단 외주면을 따라 돌출 형성된 제1보강부(311); 및 상기 제1보강부(311) 사이에 외주면을 따라 돌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2보강부(31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온수마루는 서로 다른 바닥부(100)의 인접한 연결홈(130)에 결합되어 바닥부(100)를 서로 연결시키는 바닥연결부(4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바닥연결부(400)는 상부가 개구되며 내측으로 일정각도 경사진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부로 돌출 형성되며, 상부 내측 길이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제1결합돌기(411)가 형성된 두 개의 결합부(410); 및 상기 두 개의 결합부(410)를 연결시키며 일체로 형성된 결합연결부(420);를 포함하며, 상기 바닥부(100)의 연결홈(130)은 상기 제1결합돌기(411)와 대응되어 상기 제1결합돌기(411)의 슬라이딩 결합이 가능하도록, 상기 연결홈(130)의 외측면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제2결합돌기(13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바닥연결부(400)는 상기 결합연결부(420)의 양 측으로 평행하게 돌출 연장 형성된 결합날개부(430);를 포함하며, 상기 바닥부(100)의 하면은 양 측 길이방향으로 상기 결합날개부(430)와 대응되어, 상기 결합날개부(430)의 두께만큼 상측으로 함몰 형성된 단차부(13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수마루에 의하면, 온수유로의 단면 형상을 땅콩 형상으로 함으로써, 장시간 온수를 사용할 경우 바닥부가 열에 의해 부풀어 올라 울퉁불퉁해지는 현상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격벽융착부를 다수 설치함으로써 온수마루의 방수 능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격벽관통홀을 형성함으로써 격벽융착부를 더 많이 설치 가능하여 온수마루의 방수 능력을 더욱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마감날개부를 형성함으로써 바닥에 틈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고, 온수마루의 방수 능력을 더욱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순환배관에 보강부를 형성함으로써 제조단가를 낮추면서도 내구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결합돌기가 형성된 바닥부와 바닥연결부의 슬라이딩 결합을 통해 바닥부를 연결함으로써 온수가 순환되면서 발생하는 인접 바닥부 사이의 온도 차이로 인해 나타나는 소음 및 파손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바닥연결부에 결합날개부를 형성함으로써, 바닥부 간의 연결 시 뒤틀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수마루의 일측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수마루의 타측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마감부의 수평 단면도.
도 4는 도 2의 마감부 및 순환결정부의 수직 단면도.
도 5는 도 2의 마감부에 격벽융착부가 2개 추가로 형성된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및 수직수평 단면도.
도 6은 도 2의 마감부에 격벽융착부가 4개 추가로 형성된 예를 보여주는 사 시도 및 수직수평 단면도.
도 7은 도 1의 바닥부 간의 연결을 바닥연결부로 연결하는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8은 도 7의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수마루를 시공한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공정,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공정,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또한,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수마루의 일측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수마루의 타측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마감부의 수평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마감부 및 순환결정부의 수직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2의 마감부에 격벽융착부가 2개 추가로 형성된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및 수직수평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2의 마감부에 격벽융착부가 4개 추가로 형성된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및 수직수평 단면도이며, 도 7은 도 1의 바닥부 간의 연결을 바닥연결부로 연결하는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정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수마루를 시공한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수마루는 바닥부(100), 마감부(200) 및 순환결정부(300);를 포함한다.
바닥부(100)는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관통된 다수의 온수유로(110)가 땅콩 형상으로 형성되어 수평하게 배열되며, 상기 온수유로(110)의 최 외곽 양측으로 결합홀(120)이 상기 온수유로(110)와 평행하도록 형성되고, 각각의 상기 결합홀(120)의 외측으로 하부가 개방된 연결홈(130)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바닥부(100)는 플로링보드(flooring board) 등을 이용할 수 있으며, 이해를 돕기 위해 플로링보드로 설명하면, 플로링보드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땅콩형상의 온수유로(110)가 중앙으로부터 양측 방향으로 다수 형성되고, 가장 좌측에 있는 온수유로(110)의 좌측 및 가장 우측에 있는 온수유로(110) 우측에 온수유로(110)와 평행하도록 형성된 결합홀(120)이 형성되며, 좌측 결합홀의 좌측 및 우측 결합홀의 우측에 결합홀(120)과 평행하도록 형성된 연결홈(130)이 형성된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온수유로(110)의 단면 형상을 땅콩 형상으로 형성한다는 것이다. 온수유로의 단면 형상을 원형, 타원형 또는 상하부가 평행한 형태로 형성하게 되면 장시간 온수를 사용할 경우, 열에 의해 부풀어 오르는 현상이 발생되어 바닥이 울퉁불퉁해지는 문제가 발생된다. 따라서 이를 보완하기 위해 온수유로(110)의 단면 형상을 땅콩 형상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온수유로(110)와 평행하도록 결합홀(120)을 형성하는 것은 시공 시 바닥부(100)의 어느 지점을 절단하더라도 결합홀(120)이 생성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아울러 바닥부(100)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외부 양 측면이 내부로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는 바닥부(100) 간의 접촉면을 줄여 바닥부(100) 간의 마찰에 의한 소음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마감부(200)는 일측이 개구되어 개구된 측이 상기 바닥부(100)의 전면 및 후면에 결합된다.
이때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마감부(200)는 격벽융착부(211), 외곽융착부(210) 및 결합돌출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격벽융착부(211)는 상기 온수유로(110) 및 결합홀(120)의 격벽에 초음파융착으로 결합되며 다수개가 구비된다.
다시 말해 상기 격벽융착부(211)는 외곽 테두리(외곽융착부(210)) 안쪽으로 수직하게 형성된다. 이는 외곽융착부(210)의 융착으로 접착된 부위만으로는 내부 압력에 의해 파손될 우려가 있기 때문에 접착력을 높여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이때 최 외곽 양측에 형성된 격벽융착부(211)는 온수유로(110)와 결합홀(120) 사이의 격벽과 융착되어 온수유로(110)를 밀폐시킨다.
외곽융착부(210)는 상기 온수유로(110) 및 결합홀(120)의 외곽에 초음파융착으로 결합된다.
다시 말해 상기 외곽융착부(210)는 상기 마감부(200)의 테두리 역할을 하며, 바닥부(100)와 마감부(200)를 융착시키되 온수유로(110)를 밀폐시킨다.
즉, 상기 외곽융착부(210)의 상측 및 하측과 격벽융착부(211)의 좌측 및 우측 끝의 사각형 형상이 온수유로(110)를 밀폐시킨다.
상기 결합돌출부(220)는 상기 바닥부(100)의 결합홀(120)에 삽입된다.
상기 결합돌출부(220)는 상기 바닥부(100)와 마감부(200)의 초음파 융착 시 발생되는 미세 진동에 의해 상기 바닥부(100)와 마감부(200)의 융착 위치가 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초음파 융착 동안 상기 바닥부(100)와 마감부(200)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격벽융착부(211)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일측이 관통된 격벽관통홀(211a)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는 마감부(200)로 유입된 온수가 마감부(200)의 양측 끝단에 있는 온수유로(110)까지 유출되거나, 마감부(200)의 양측 끝단에 있는 온수유로(110)로 유입된 온수가 마감부(200)로 유출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다시 말해, 하나의 바닥부(100)에 형성된 모든 온수유로에 온수가 흐르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마감부(200)는 상기 바닥부(100)의 연결홈(130) 상측 면과 초음파융착으로 결합되는 마감날개부(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연결홈(130)으로 온수가 누수되는 것을 막기 위해 상기 외곽융착부(210)의 상측 및 하측과 격벽융착부(211)의 좌측 및 우측 끝의 사각형 형상이 온수유로(110)를 밀폐시는 구조로 융착되면, 상기 바닥부(100)와 마감부(200)가 밀착되는 부위에서 연결홈(130)측 부분에 공간이 발생된다. 때문에 이러한 공간을 막고 바닥부(100)와 마감부(200)의 결합력을 높이기 위해 연결홈(130) 상측 면과 초음파융착으로 결합되는 마감날개부(23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순환결정부(300)는 상기 마감부(200)의 하측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바닥부(100)의 온수유로(110)에 온수를 유입 또는 상기 바닥부(100)의 온수유로(110)로부터 온수를 유출시킨다.
이때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순환결정부(300)는 순환배관(310) 및 유로연결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순환배관(310)은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마감부(200)의 내측과 관통된 순환관통홀(301) 및 상기 순환관통홀(301)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통되는 순환유로(302)가 형성된다.
상기 순환관통홀(301)은 순환배관(310)으로 유입된 온수가 마감부(200)로 유출되거나, 마감부(200)로 유입된 온수가 순환배관(310)으로 유출되도록 하는 통로 역할을 한다.
유로연결부(32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순환배관(310)의 양 측으로 상기 순환유로(302)가 연장 형성되며, 호스(321) 또는 마개(322)와 연결된다.
즉, 유로연결부(320)에 연결된 호스(321) 또는 마개(322)에 따라 유체의 진행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순환배관(310)은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보강부(311) 및 제2보강부(3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보강부(311)는 상기 순환배관(310)의 양측 끝단 외주면을 따라 돌출 형성된다.
제2보강부(312)는 상기 제1보강부(311) 사이에 외주면을 따라 돌출 형성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된다.
상기 순환배관(310)이 열에 의해 상승된 압력을 충분히 견딜 수 있을 만큼 두껍게 만들게 되면 부피도 커지고 제조 단가도 상승하기 때문에 제조단가를 낮추면서도 내구성을 보강할 수 있도록 상기 제1보강부(311) 및 제2보강부(312)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 상기 제2보강부(312)를 다수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수마루는 서로 다른 바닥부(100)의 인접한 연결홈(130)에 결합되어 바닥부(100)를 서로 연결시키는 바닥연결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혀쪽매, 딴혀족매 또는 맞댄쪽매 등의 쪽매에 의한 바닥부의 연결은 온수가 순환되면서 발생하는 온도 및 압력의 차이로 나타나는 마찰로 인해 소음 및 파손의 우려가 있어, 별도의 결합부재를 이용하여 유지보수가 편리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닥연결부(400)는 두 개의 결합부(410) 및 결합연결부(420)를 포함하고, 상기 바닥부(100)의 연결홈(130)은 제2결합돌기(131)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부(410)는 상부가 개구되며 내측으로 일정각도 경사진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부로 돌출 형성되며, 상부 내측 길이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제1결합돌기(411)가 형성된다.
결합연결부(420)는 상기 두 개의 결합부(410)를 연결시키며 일체로 형성된다.
제2결합돌기(131)는 상기 제1결합돌기(411)와 대응되어 상기 제1결합돌기(411)의 슬라이딩 결합이 가능하도록, 상기 연결홈(130)의 외측면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다시 말해 결합부(410)에 형성된 제1결합돌기(411)중 하나는 서로 다른 바닥부(100)의 인접한 연결홈(130) 중 하나에 결합되며, 제1결합돌기(411)중 다른 하나는 서로 다른 바닥부(100)의 인접한 연결홈(130) 중 다른 하나에 결합된다. 즉, 결합부(410)에 의해 인접한 바닥부(100)를 서로 연결할 수 있다.
이때 바닥연결부(400)의 결합부(410)와 바닥부(100)의 연결홈(130)은 제1결합돌기(411)와 제2결합돌기(131)에 의해 이탈 없이 슬라이딩 결합이 가능하며, 연결홈(130)과 결합부(410) 간에 충분한 유격을 둠으로써 온수가 순환되면서 발생하는 온도 및 압력의 차이로 인해 나타나는 마찰로 인한 소음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충분한 유격이란 결합부(410)의 두께가 연결홈(130) 두께의 30~70%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며, 이때 제1결합돌기(411)와 제2결합돌기(131)의 돌출된 길이는 결합부(410) 두께의 30~70%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닥연결부(400)는 결합날개부(430)를 포함(도 7 내지 도 8 참조)하며, 상기 바닥부(100)의 하면은 단차부(132)를 포함(도 1 참조)할 수 있다.
결합날개부(430)는 상기 결합연결부(200)의 양 측으로 평행하게 돌출 연장 형성된다.
상기 결합날개부(430)는 바닥부(100) 간의 연결 시 뒤틀림을 방지하는 보강역할을 할 수 있다.
단차부(132)는 양 측 길이방향으로 상기 결합날개부(430)와 대응되어, 상기 결합날개부(430)의 두께만큼 상측으로 함몰 형성된다.
상기 단차부(132)는 결합날개부(430)가 바닥부(100) 하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0: 바닥부 110: 온수유로
120: 결합홀 130: 연결홈
131: 제2결합돌기 132: 단차부
200: 마감부 210: 외곽융착부
211: 격벽융착부 211a: 격벽관통홀
220: 결합돌출부 230: 마감날개부
300: 순환결정부 301: 순환관통홀
302: 순환유로 310: 순환배관
311: 제1보강부 312: 제2보강부
320: 유로연결부 321: 호스
322: 마개 400: 바닥연결부
410: 결합부 411: 제1결합돌기
420: 결합연결부 430: 결합날개부

Claims (9)

  1.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관통된 다수의 온수유로(110)가 땅콩 형상으로 형성되어 수평하게 배열되며, 상기 온수유로(110)의 최 외곽 양측으로 결합홀(120)이 상기 온수유로(110)와 평행하도록 형성되고, 각각의 상기 결합홀(120)의 외측으로 하부가 개방된 연결홈(130)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홈(130)의 외측면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제2결합돌기(131)가 형성되는 바닥부(100);
    일측이 개구되어 개구된 측이 상기 바닥부(100)의 전면 및 후면에 결합되며, 상기 온수유로(110) 및 결합홀(120)의 격벽에 초음파융착으로 결합되는 다수의 격벽융착부(211), 상기 온수유로(110) 및 결합홀(120)의 외곽에 초음파융착으로 결합되는 외곽융착부(210), 상기 바닥부(100)의 결합홀(120)에 삽입되는 결합돌출부(220) 및 상기 바닥부(100)의 연결홈(130) 상측 면과 초음파융착으로 결합되는 마감날개부(230)를 포함하는 마감부(200); 및
    상기 마감부(200)의 하측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바닥부(100)의 온수유로(110)에 온수를 유입 또는 상기 바닥부(100)의 온수유로(110)로부터 온수를 유출시키며, 상기 마감부(200)의 내측과 관통된 순환관통홀(301) 및 상기 순환관통홀(301)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통되는 순환유로(302)가 형성된 순환배관(310) 및 상기 순환배관(310)의 양 측으로 상기 순환유로(302)가 연장 형성되며, 호스(321) 또는 마개(322)와 연결되는 유로연결부(320)를 포함하는 순환결정부(300); 및
    서로 다른 바닥부(100)의 인접한 연결홈(130)에 결합되어 바닥부(100)를 서로 연결시키며, 상부가 개구되며 내측으로 일정각도 경사진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부로 돌출 형성되고, 상부 내측 길이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제1결합돌기(411)가 형성된 두 개의 결합부(410) 및 상기 두 개의 결합부(410)를 연결시키며 일체로 형성된 결합연결부(420)를 포함하는 바닥연결부(400)를 포함하며,
    상기 순환결정부(300)의 일 측에 호스(321) 또는 마개(322)를 연결하고 타측에 호스(321) 또는 마개(322)를 연결하여 순환유로를 형성하고,
    상기 땅콩 형상의 온수유로(110)는 장시간 온수를 사용할 경우 열에 의해 바닥부가 부풀어 올라 바닥이 울퉁불퉁해지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바닥부(100)는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외부 양 측면이 내부로 경사지도록 형성함으로써 바닥부(100) 간의 접촉면을 줄여 바닥부(100) 간의 마찰에 의한 소음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고,
    상기 바닥연결부(400)의 결합부(410)와 바닥부(100)의 연결홈(130)은 제1결합돌기(411)와 제2결합돌기(131)를 통해 슬라이딩 결합이 가능하며, 상기 연결홈(130)과 결합부(410) 간에 충분한 유격을 두어 온수가 순환되면서 발생하는 온도와 압력의 차이에 의한 소음 및 파손의 발생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마루.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융착부(211)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일측이 관통된 격벽관통홀(211a)을 포함하는 온수마루.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배관(310)은 상기 순환배관(310)의 양측 끝단 외주면을 따라 돌출 형성된 제1보강부(311); 및
    상기 제1보강부(311) 사이에 외주면을 따라 돌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2보강부(312)를 포함하는 온수마루.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연결부(400)는 상기 결합연결부(420)의 양 측으로 평행하게 돌출 연장 형성된 결합날개부(430)를 포함하며,
    상기 바닥부(100)의 하면은 양 측 길이방향으로 상기 결합날개부(430)와 대응되어, 상기 결합날개부(430)의 두께만큼 상측으로 함몰 형성된 단차부(132)를 포함하는 온수마루.

  9. 삭제
KR1020150116641A 2015-08-19 2015-08-19 온수마루 KR1017026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6641A KR101702634B1 (ko) 2015-08-19 2015-08-19 온수마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6641A KR101702634B1 (ko) 2015-08-19 2015-08-19 온수마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2634B1 true KR101702634B1 (ko) 2017-02-03

Family

ID=581563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6641A KR101702634B1 (ko) 2015-08-19 2015-08-19 온수마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263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5952B1 (ko) * 2017-07-12 2018-12-06 김정란 난방용 온수마루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03730A (ko) * 2006-12-01 2007-01-05 주식회사리치크레이트 온수 순환마루용 연결구
KR20070000196U (ko) * 2006-11-03 2007-02-14 이동일 난방용 온돌패널
KR100712826B1 (ko) 2006-07-28 2007-05-07 주식회사리치크레이트 플로링보드를 이용한 바닥 난방용 온수 순환마루
KR101104013B1 (ko) * 2011-04-22 2012-01-06 박상언 에어포켓형 온수(溫水) 플로링 패널.
KR101164871B1 (ko) 2011-05-20 2012-07-19 윤창우 온수 마루용 보드 및 상기 보드를 구비하는 온수 마루
KR101438490B1 (ko) 2012-04-30 2014-09-12 (주) 모아켐 온수순환마루용 패널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2826B1 (ko) 2006-07-28 2007-05-07 주식회사리치크레이트 플로링보드를 이용한 바닥 난방용 온수 순환마루
KR20070000196U (ko) * 2006-11-03 2007-02-14 이동일 난방용 온돌패널
KR20070003730A (ko) * 2006-12-01 2007-01-05 주식회사리치크레이트 온수 순환마루용 연결구
KR101104013B1 (ko) * 2011-04-22 2012-01-06 박상언 에어포켓형 온수(溫水) 플로링 패널.
KR101164871B1 (ko) 2011-05-20 2012-07-19 윤창우 온수 마루용 보드 및 상기 보드를 구비하는 온수 마루
KR101438490B1 (ko) 2012-04-30 2014-09-12 (주) 모아켐 온수순환마루용 패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5952B1 (ko) * 2017-07-12 2018-12-06 김정란 난방용 온수마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2826B1 (ko) 플로링보드를 이용한 바닥 난방용 온수 순환마루
JP6072828B2 (ja) 床暖房用パネル及び床暖房用パネルアセンブリー
KR101039317B1 (ko) 온수순환마루용 패널
KR101702634B1 (ko) 온수마루
KR101296606B1 (ko) 바닥 난방용 온수 순환마루
KR20200021696A (ko) 난방용 온수 패널 조립체
KR200451757Y1 (ko) 온수 순환구조를 갖는 조립식 마루
KR100917447B1 (ko) 온돌 구조체
KR101432667B1 (ko) 온수패널 조립체
KR101164871B1 (ko) 온수 마루용 보드 및 상기 보드를 구비하는 온수 마루
KR101663466B1 (ko) 에너지 절감형 스틸스터드를 이용한 건축구조용 단열패널
KR100616420B1 (ko) 건식 온돌패널 구조
KR20010026954A (ko) 방수·단열용 복합패널 및 방수/단열시공방법
KR101825504B1 (ko) 배관 패널
KR20170108355A (ko) 난방효율 및 층간소음 저감용 온수난방패널
KR102013339B1 (ko) 건식 온돌 바닥재
KR20050075887A (ko) 난방용 방열판 조립체
KR102005051B1 (ko) 건식 온돌 바닥재
KR101990911B1 (ko) 건축구조물용 마감패널의 결합구조
KR200429084Y1 (ko) 플로링보드를 이용한 바닥 난방용 온수 순환마루
KR100423008B1 (ko) 난방을 위한 조립식 바닥재
KR101803186B1 (ko) 층간소음방지장치
KR200344797Y1 (ko) 난방관 배관용 판넬
KR101438490B1 (ko) 온수순환마루용 패널
KR100664463B1 (ko) 온수 순환마루를 이용한 바닥의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