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1757Y1 - 온수 순환구조를 갖는 조립식 마루 - Google Patents

온수 순환구조를 갖는 조립식 마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1757Y1
KR200451757Y1 KR2020080009804U KR20080009804U KR200451757Y1 KR 200451757 Y1 KR200451757 Y1 KR 200451757Y1 KR 2020080009804 U KR2020080009804 U KR 2020080009804U KR 20080009804 U KR20080009804 U KR 20080009804U KR 200451757 Y1 KR200451757 Y1 KR 20045175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water
water flow
main body
assembly block
fl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980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1096U (ko
Inventor
박용자
신대용
Original Assignee
신대용
박용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대용, 박용자 filed Critical 신대용
Priority to KR202008000980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1757Y1/ko
Publication of KR2010000109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109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175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175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2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 F24D3/14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incorporated in a ceiling, wall or floor
    • F24D3/141Tube mounting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F24D3/142Tube mountings specially adapted therefor integrated in prefab construction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4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 E04C2/5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with special adaptations for auxiliary purposes, e.g.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2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 F24D3/122Details
    • F24D3/127Mechanical connections between panels

Abstract

본 고안은 온수 순환구조를 갖는 조립식 마루에 관한 것으로서, 정사각 형체의 본체(111) 상부에 상판(112)이 일치되어 고주파로서 융착 부착되는 한편, 본체(111) 저면에는 지면으로부터 받쳐지는 다수개의 리브(11)가 배열 형성되고, 리브(11)가 형성되는 상부측 바닥면(12) 상부에는 본체(111)의 상면과 동일한 높이를 갖는 일자형 온수유로편(13)과 온수방향을 구획하는 구획편(14)이 평행하게 배열되어 온수유로(17)를 형성하며, 상기 온수유로편(13)이 형성된 길이방향 양측의 본체 측면상에는 오-링(O)이 외측둘레에 구비된 연결구(15)가 연장 형성되며, 연결구(15)가 형성된 반대측에는 연결공(16)이 외부로부터 함몰 형성된 직선조립블럭(110)과; 정사각 형체의 본체(121) 상부에 상판(122)이 일치되어 고주파로서 융착 부착되는 한편, 본체(121) 저면에는 지면으로부터 받쳐지는 다수개의 리브(21)가 배열 형성되고, 리브(21)가 형성되는 상부측 바닥면(22) 상부에는 본체(121)의 상면과 동일한 높이를 갖는 ㄱ자형 온수유로편(23) 및 온수방향을 구획하는 구획편(24)이 배열되어 온수유로(27)를 형성하며, 상기 온수유로편(23)이 형성된 외부측으로 오-링(O)이 외측둘레에 구비된 연결구(25)가 연장형성되며, 연결구(25)가 형성된 측면과 직각되는 본체(121)의 측면에는 외부로부터 연결공(26)이 함몰 형성된 코너조립블럭(120)과; 정사각 형체의 본체(131) 상부에 상판(132)이 일치되어 고주파로서 융착 부착되는 한편, 본체(131) 저면에는 지면으로부터 받쳐지는 다수개의 리브(31)가 배열 형성되고, 리브가 형성되는 상부측 바닥면(32) 상부에는 본 체(131)의 상면과 동일한 높이를 갖는 ㄷ자형 온수유로편(33) 및 온수방향을 유도하는 구획편(34)이 중앙에 형성된 격벽(35)을 기준으로 점차 확장되는 형태로 배열되어 온수유로(37)를 형성하며, 상기 온수유로편(33)이 형성된 외부측으로 온수유로(37)를 유통시키기 위한 연결공(36)이 함몰 형성된 중앙조립블럭(130);으로 구성되며, 상기 중앙조립블럭(130)으로부터 직선조립블럭(110), 코너조립블럭(120)을 퍼즐형태로 연결 조합하여 난방 온수의 순환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바,
마루는 작업성이 좋은 조립이 간단한 구조로서 블럭화하여 설치작업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구조를 갖고, 각각의 조립되는 블럭 내부에 온수가 유입되는 온수유로 및 순환되어 나오는 온수 유로를 복수개 구비하되, 온수유로편과 상판의 열융착 접착에 의한 유로는 6mm~8mm로 형성시켜 온수의 순환속도를 빠르게 진행시켜 신속한 난방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각 블럭을 설치하는 지면으로부터 직선 및 직각형태로 조합하여 나선방향으로 온수가 이동되고, 또 다시 중앙에서 마루의 가장자리측으로 난방수가 순환되는 구조로서 열 전달되므로 효율적인 바닥난방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마루, 온수, 조립, 블럭, 난방

Description

온수 순환구조를 갖는 조립식 마루{Fabricated floor having circulation structure of hot-water}
본 고안은 온수 순환구조를 갖는 조립식 마루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조립식 마루에 있어, 마루를 형성하기 위한 단위 블럭 내부에 온수가 유통될 수 유로를 형성하여 다수개의 온수난방이 가능하도록 하며, 조립에 따른 설치시간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반면, 용이한 유지보수와 함께 온수의 순환은 마루의 중앙으로 점차 유도되고, 중앙으로부터 다시 가장자리로 돌아서 나가는 순환구조를 갖도록 하여 효율적인 바닥 난방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 및 기타 공공장소의 실내바닥에 시공되는 마루는 목재 또는 목재 질감을 갖으면서 표면이 하드한 물질로 코팅처리된 문양판(부착식 마루판넬)을 부착하는 타입으로 마루가 시공된다.
보통 마루의 바닥난방구조를 갖추기 위해서는 바닥면으로부터 단열층을 형성시키고, 그 위에는 일정 두께로 시멘트를 이용하여 바닥시공을 하면서 동파이프, 난방호스 등을 이용하여 배관을 지그재그 타입으로 시공한 다음, 그 상부에 다시 시멘트층을 형성하고, 시멘트층의 상부에는 조립식 마루판넬을 부착 조합하여 마루를 시공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시멘트를 이용한 바닥시공이 이루어진 상태에서는 마루판넬과 매우 근접하는 이유에서 시멘트 독성을 피할 수 없게 되는 단점이 있기 때문에, 마루판넬의 시공 및 건물의 시공에 따른 공기도 자연적으로 지연된다.
또한, 난방배관은 지그재그 형식으로 시공됨에 있어, 온수가 유입되어 최종적으로 배출되는 구조는 난방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있고, 단순히 순환하는 구조가 바닥의 일측에서부터 지그재그로 이동되고, 바닥면적의 반대측에서 다시 리턴되어 지그재그방식으로 배관을 통해 순환되어 오기 때문에 초기 난방수의 유입이 이루어져 정상적인 바닥온도에 이르기까지 열전도율이 높지 않은 편이다.
상기와 같은 지그재그타입의 난방배관의 시공은 특히 난방배관에 에어가 발생하였을 때 온수순환이 더욱 매끄럽지 못하며, 바닥의 온도차이에 편차가 심하게 나타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기와 같이 시공된 종래의 마루 바닥층의 난방구조는 배관으로부터 누수가 발생되는 상태라면, 부착된 마루판넬을 모두 떼어내어야 하는 폐단이 있었고, 상기 난방배관이 매입된 시멘트층을 깨뜨려 난방배관을 부분 또는 전반적인 교체하는 대공사로 이어지는 폐단이 있었다. 이러한 폐단으로 하여금 새로운 자재 및 인건비가 많이 들어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보통 마루판넬은 고가의 자재로서 상기와 같은 이유에서 모두 떼어내어야 하 는 상황에서는 재시공에 따른 비용에 부담감이 커지게 된다.
또한, 바닥의 재시공을 위해 상술한 바와 같이 시멘트층의 재형성 및 새로운 배관의 재시공은 시멘트층이 완전경화되어 독성이 어느 정도 빠져나간 상태까지 기다려야 하고, 일일이 마루판넬을 정사각 또는 직사각형태로 조합해 나가야 함으로써, 마루판넬의 부착작업의 번거로움이 있고, 이는 공기가 길어지는 폐단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조립식 마루에 있어, 마루를 형성하기 위한 단위 블럭 내부에 온수가 유통될 수 유로를 형성하여 다수개의 온수난방이 가능하도록 하며, 조립에 따른 설치시간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반면, 용이한 유지보수와 함께 온수의 순환은 마루의 중앙으로 점차 유도되고, 중앙으로부터 다시 가장자리로 돌아서 나가는 순환구조를 갖도록 하여 효율적인 바닥 난방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하면, 조립식 마루에 있어서, 상기 조립식 마루는 정사각 형체의 본체 상부에 상판이 일치되어 고주파로서 융착 부착되는 한편, 본체 저면에는 지면으로부터 받쳐지는 다수개의 리브가 배열 형성되고, 리브가 형성되는 상부측 바닥면 상부에는 본체의 상면과 동일한 높이를 갖는 일자형 온수유로편과 온수방향을 구획하는 구획편이 평행하게 배열되어 온수유로를 형성하며, 상기 온수유로편이 형성된 길이방향 양측의 본체 측면상에는 오-링이 외측둘레에 구비된 연결구가 연장 형성되며, 연결구가 형성된 반대측에는 연결공이 외부로부터 함몰 형성된 직선조립블럭과; 정사각 형체의 본체 상부에 상판이 일치되어 고주파로서 융착 부착되는 한편, 본체 저면에는 지면으로부터 받쳐지는 다수개의 리브가 배열 형성되고, 리브가 형성되는 상부측 바닥면 상부에는 본체의 상면과 동일한 높이를 갖는 ㄱ자형 온수유로편 및 온수방향을 구획하는 구획편이 배열되어 온수유로를 형성하며, 상기 온수유로편이 형성된 외부측으로 오-링이 외측둘레에 구비된 연결구가 연장형성되며, 연결구가 형성된 측면과 직각되는 본체의 측면에는 외부로부터 연결공이 함몰 형성된 코너조립블럭과; 정사각 형체의 본체 상부에 상판이 일치되어 고주파로서 융착 부착되는 한편, 본체 저면에는 지면으로부터 받쳐지는 다수개의 리브가 배열 형성되고, 리브가 형성되는 상부측 바닥면 상부에는 본체의 상면과 동일한 높이를 갖는 ㄷ자형 온수유로편 및 온수방향을 유도하는 구획편이 중앙에 형성된 격벽을 기준으로 점차 확장되는 형태로 배열되어 온수유로를 형성하며, 상기 온수유로편이 형성된 외부측으로 온수유로를 유통시키기 위한 연결공이 함몰 형성된 중앙조립블럭;으로 구성되며, 상기 중앙조립블럭으로부터 직선조립블럭, 코너조립블럭을 퍼즐형태로 연결 조합하여 난방 온수의 순환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마루는 작업성이 좋은 조립이 간단한 구조로서 블럭화하여 설치작업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구조를 갖고, 각각의 조립되는 블럭 내부에 온수가 유입되는 온수유로와 순환되어 나오는 온수유로 두가지를 갖추되, 이를 직선 및 직각형태로 조합하여 나선방향으로 온수가 이동되고, 또 다시 중앙에서 마루의 가장자리측으로 난방수가 순환시켜 열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효율적인 바닥난방을 구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마루 전체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마루를 구성하는 직선조립블럭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마루를 구성하는 코너조립블럭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마루를 구성하는 중앙조립블럭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립블럭을 절개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또한, 첨부된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각기 조립블럭의 가장자리가 결합되는 상태를 예시한 평면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각기 조립블럭의 상판을 제외한 상태에서 연결구 및 연결공이 결합되는 상태를 예시한 평면도이며, 도 8은 도 7에서 각기 조립블럭을 조합한 전체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본 고안에 의한, 상기 조립식 마루(100)는 동일한 크기의 직선조립블럭(110), 코너조립블럭(120), 중앙조립블럭(130)으로 크게 나뉘어 구성된다.
상기 직선조립블럭(110)은, 정사각 형체의 본체(111) 상부에 상판(112)이 일치되어 고주파로서 융착 부착되는 한편, 본체(111) 저면에는 지면으로부터 받쳐지는 다수개의 리브(11)가 배열 형성되고, 리브(11)가 형성되는 상부측 바닥면(12) 상부에는 본체(111)의 상면과 동일한 높이를 갖는 일자형 온수유로편(13)과 온수방향을 구획하는 구획편(14)이 평행하게 배열되어 온수유로를 형성하며, 상기 온수유로편(13)이 형성된 길이방향 양측의 본체 측면상에는 오-링(O)이 외측둘레에 구비된 연결구(15)가 연장 형성되며, 연결구(15)가 형성된 반대측에는 연결공(16)이 외부로부터 함몰 형성된 구조이다.
상기 코너조립블럭(120)은, 정사각 형체의 본체(121) 상부에 상판(122)이 일치되어 고주파로서 융착 부착되는 한편, 본체(121) 저면에는 지면으로부터 받쳐지는 다수개의 리브(21)가 배열 형성되고, 리브(21)가 형성되는 상부측 바닥면(22) 상부에는 본체(121)의 상면과 동일한 높이를 갖는 ㄱ자형 온수유로편(23) 및 온수방향을 구획하는 구획편(24)이 배열되어 온수유로를 형성하며, 상기 온수유로편(23)이 형성된 외부측으로 오-링(O)이 외측둘레에 구비된 연결구(25)가 연장형성되며, 연결구(25)가 형성된 측면과 직각되는 본체(121)의 측면에는 외부로부터 연결공(26)이 함몰 형성된 구조이다.
상기 중앙조립블럭(130)은, 정사각 형체의 본체(131) 상부에 상판(132)이 일치되어 고주파로서 융착 부착되는 한편, 본체(131) 저면에는 지면으로부터 받쳐지 는 다수개의 리브(31)가 배열 형성되고, 상기 리브(31)가 형성되는 상부측 바닥면(32) 상부에는 본체(131)의 상면과 동일한 높이를 갖는 ㄷ자형 온수유로편(33) 및 온수방향을 유도하는 구획편(34)이 중앙에 형성된 격벽(35)을 기준으로 점차 확장되는 형태로 배열되어 온수유로를 형성하며, 상기 온수유로편(33)이 형성된 외부측으로 온수유로를 유통시키기 위한 연결공(36)이 함몰 형성된 구조이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자면, 상기 리브(11,12,13)들 사이사이에는 보온을 위하여 단열재를 충진할 수 있다.
상기 직선조립블럭(110), 코너조립블럭(120), 중앙조립블럭(130)에 부착되는 상판(112,122,132)의 가장자리에는 상호 직각되게 조합되도록 조립돌부(112a,122a,132a)와 조립홈턱(112b,122b,132b)이 형성되고, 상판의 저면에는 본체(111,121,131)에 안내되어 조립되기 위한 ㄴ자형의 결합돌부(112c,122c,132c)가 형성된다.
상기 직선조립블럭(110), 코너조립블럭(120), 중앙조립블럭(130)에 형성된 일자형 온수유로편(13), ㄱ자형 온수유로편(23), ㄷ자형 온수유로편(33) 및 각기 구획편(14,24,34)의 높이는 바닥면(12,22,32)으로부터 6mm~8mm로 형성되어 유로를 형성하도록 한다.
이는 난방 온수를 보다 신속하게 순환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보일로로부터 순환 공급되는 난방 온수의 순환이 일반적인 온수배관 보다 작고, 상기한 상기 직선조립블럭(110), 코너조립블럭(120), 중앙조립블럭(130)에 각각 다수개씩 형성된 일자형 온수유로편(13), ㄱ자형 온수유로편(23), ㄷ자형 온수유로편(33) 은 온수의 순환량 대비 속도를 상승시켜 신속한 실내 마루 바닥의 난방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상판(112,122,132)의 상면에는 원적외선 방사를 위한 바이오 세라믹 분말을 혼합된 표면코팅제가 도포처리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바이오 세라믹 분말은 원적외선 방사 효과 외에도 마루 바닥의 표면 질감을 높이고, 오염물질방지 및 스크래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마루(100)는, 중앙조립블럭(130)으로부터 각각의 직선조립블럭(110), 코너조립블럭(120)을 직선 및 직각형태로 연결 조합하여 난방수의 온수순환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즉, 상기 중앙조립블럭(130)을 기준으로 직선조립블럭(110), 코너조립블럭(120)을 직각되는 나선형태가 되도록 연결 조합하여 난방수의 온수순환이 마루(100)의 가장자리에서 중앙으로 점차 회오리형태로 돌아가면서 이동되고, 다시 중앙에서 마루의 가장자리측으로 돌아나오는 형태로 순환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가장자리에 중앙으로 돌아서 들어가고, 다시 중앙에서 회오리 형태로 돌아나오는 온수의 순환구조는 기존의 지그재그방식의 난방배관에 비해 현저히 열전도율을 높일 수 있는 이유에서 효율적으로 바닥난방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각 블럭의 연결은 상판(112,122,132)에 형성된 조립돌부(112a,122a,132a)와 조립홈턱(112b,122b,132b)을 상호 대응되게 조립하되, 각 블럭의 일측에 형성된 연결구(15,25,35)는 대응되는 블럭의 연결공(16,26,36)에 삽입시켜 결합한다. 여기 서 상기 각각의 연결구(15,25,35)에는 오-링(O)이 외측둘레에 복수개 장착한 것으로 상기 연결공에 삽입시 누수를 방지한다.
상기와 같이 연결 조합되는 블럭의 조합은 마루의 전반적인 형상이 도면에서 정사각 형태를 이루고 있지만 직사각형태로 제작된 블럭과 정사각 형태로 된블럭의 조합이 가능할 것이다.
각 조합된 블럭은 누수와 같은 이상부분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각 위치되어 세팅된 마루에 있어, 해당하는 위치의 블럭을 간단히 교체함으로써 기존과 같이 재시공되는 불필요한 지출경비를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간단하게 블럭으로 조합되는 본 고안의 조립식 마루의 특징은, 기존의 난방배관 해체 및 재시공에 필요로 하는 시멘트 타설과 바닥 단열판 시공 등을 모두 생략할 수 있기 때문에 제품에 대한 시공성 및 유지보수에 대한 높은 품질 및 경쟁력이 갖출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마루 전체를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마루를 구성하는 직선조립블럭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마루를 구성하는 코너조립블럭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마루를 구성하는 중앙조립블럭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립블럭을 절개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각기 조립블럭의 가장자리가 결합되는 상태를 예시한 평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각기 조립블럭의 상판을 제외한 상태에서 연결구 및 연결공이 결합되는 상태를 예시한 평면도,
도 8은 도 7에서 각기 조립블럭을 조합한 전체를 보여주는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100: 마루 110: 직선조립블럭
120: 코너조립블럭 130: 중앙조립블럭
11, 21, 31: 리브 13: 일자형 온수유로편
23: ㄱ자형 온수유로편 33: ㄷ자형 온수유로편
14, 24, 34: 구획편 17, 27, 37: 온수유로

Claims (4)

  1. 조립식 마루에 있어서,
    상기 조립식 마루(100)는 정사각 형체의 본체(111) 상부에 상판(112)이 일치되어 고주파로서 융착 부착되는 한편, 본체(111) 저면에는 지면으로부터 받쳐지는 다수개의 리브(11)가 배열 형성되고, 리브(11)가 형성되는 상부측 바닥면(12) 상부에는 본체(111)의 상면과 동일한 높이를 갖는 일자형 온수유로편(13)과 온수방향을 구획하는 구획편(14)이 평행하게 배열되어 온수유로(17)를 형성하며, 상기 온수유로편(13)이 형성된 길이방향 양측의 본체 측면상에는 오-링(O)이 외측둘레에 구비된 연결구(15)가 연장 형성되며, 연결구(15)가 형성된 반대측에는 연결공(16)이 외부로부터 함몰 형성된 직선조립블럭(110)과;
    정사각 형체의 본체(121) 상부에 상판(122)이 일치되어 고주파로서 융착 부착되는 한편, 본체(121) 저면에는 지면으로부터 받쳐지는 다수개의 리브(21)가 배열 형성되고, 리브(21)가 형성되는 상부측 바닥면(22) 상부에는 본체(121)의 상면과 동일한 높이를 갖는 ㄱ자형 온수유로편(23) 및 온수방향을 구획하는 구획편(24)이 배열되어 온수유로(27)를 형성하며, 상기 온수유로편(23)이 형성된 외부측으로 오-링(O)이 외측둘레에 구비된 연결구(25)가 연장형성되며, 연결구(25)가 형성된 측면과 직각되는 본체(121)의 측면에는 외부로부터 연결공(26)이 함몰 형성된 코너조립블럭(120)과;
    정사각 형체의 본체(131) 상부에 상판(132)이 일치되어 고주파로서 융착 부 착되는 한편, 본체(131) 저면에는 지면으로부터 받쳐지는 다수개의 리브(31)가 배열 형성되고, 리브가 형성되는 상부측 바닥면(32) 상부에는 본체(131)의 상면과 동일한 높이를 갖는 ㄷ자형 온수유로편(33) 및 온수방향을 유도하는 구획편(34)이 중앙에 형성된 격벽(35)을 기준으로 점차 확장되는 형태로 배열되어 온수유로(37)를 형성하며, 상기 온수유로편(33)이 형성된 외부측으로 온수유로(37)를 유통시키기 위한 연결공(36)이 함몰 형성된 중앙조립블럭(130);으로 구성되며, 상기 중앙조립블럭(130)으로부터 직선조립블럭(110), 코너조립블럭(120)을 퍼즐형태로 연결 조합하여 난방 온수의 순환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 순환구조를 갖는 조립식 마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조립블럭(130)을 기준으로 직선조립블럭(110), 코너조립블럭(120)을 직각되는 나선형태가 되도록 연결 조합하여 난방수의 온수순환이 마루(100)의 가장자리에서 중앙으로 점차 회오리형태로 돌아가면서 이동되고, 다시 중앙에서 마루의 가장자리측으로 돌아나오는 형태로 순환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 순환구조를 갖는 조립식 마루.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직선조립블럭(110), 코너조립블럭(120), 중앙조립블럭(130)에 부착되는 상판(112,122,132)의 가장자리에는 상호 직각되게 조합되도록 조립돌부(112a,122a,132a)와 조립홈턱(112b,122b,132b)이 형성되고, 상판의 저면에는 본체(111,121,131)에 안내되어 조립되기 위한 ㄴ자형의 결합돌부(112c,122c,132c)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 순환구조를 갖는 조립식 마루.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직선조립블럭(110), 코너조립블럭(120), 중앙조립블럭(130)에 형성된 일자형 온수유로편(13), ㄱ자형 온수유로편(23), ㄷ자형 온수유로편(33) 및 각기 구획편(14,24,34)의 높이는 바닥면(12,22,32)으로부터 6mm~8mm로 형성되어 유로를 형성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 순환구조를 갖는 조립식 마루.
KR2020080009804U 2008-07-23 2008-07-23 온수 순환구조를 갖는 조립식 마루 KR20045175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9804U KR200451757Y1 (ko) 2008-07-23 2008-07-23 온수 순환구조를 갖는 조립식 마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9804U KR200451757Y1 (ko) 2008-07-23 2008-07-23 온수 순환구조를 갖는 조립식 마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1096U KR20100001096U (ko) 2010-02-02
KR200451757Y1 true KR200451757Y1 (ko) 2011-01-10

Family

ID=441966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9804U KR200451757Y1 (ko) 2008-07-23 2008-07-23 온수 순환구조를 갖는 조립식 마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175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7696B1 (ko) * 2010-04-01 2012-08-29 조창제 무배관 온돌구조를 가진 층간 차음패널 및 그 조립체
KR101371346B1 (ko) 2013-01-23 2014-03-25 조창제 무배관 온수난방구조를 가진 층간소음 차음패널 및 그 조립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90490A (ko) * 2013-01-09 2014-07-17 정병태 난방용 조립식 마루
JP7106787B2 (ja) * 2018-02-22 2022-07-27 株式会社ダリヤ 染毛剤発泡用折り畳み式容器および染毛剤セット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504929A (ja) 2003-06-23 2006-02-09 エルジ ケミカル リミテッド 円形ないし楕円形の内部流路を有する暖房パネルを含む浮床構造の暖房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504929A (ja) 2003-06-23 2006-02-09 エルジ ケミカル リミテッド 円形ないし楕円形の内部流路を有する暖房パネルを含む浮床構造の暖房システ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7696B1 (ko) * 2010-04-01 2012-08-29 조창제 무배관 온돌구조를 가진 층간 차음패널 및 그 조립체
KR101371346B1 (ko) 2013-01-23 2014-03-25 조창제 무배관 온수난방구조를 가진 층간소음 차음패널 및 그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1096U (ko) 2010-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2826B1 (ko) 플로링보드를 이용한 바닥 난방용 온수 순환마루
RU2499196C2 (ru) Сборная теплоизоляционная панель с двумя каналами для прохода горячей воды
CA2840790C (en) Modular panel for thermal energy transfer
KR200451757Y1 (ko) 온수 순환구조를 갖는 조립식 마루
KR101104013B1 (ko) 에어포켓형 온수(溫水) 플로링 패널.
US8752346B1 (en) Rotable heat transfer tubing retention panels
US20070017656A1 (en) Heating system with heat transmission fluid distributed in finished floor boards
KR101025166B1 (ko) 온수 순환구조를 갖는 조립식 마루
KR101296606B1 (ko) 바닥 난방용 온수 순환마루
KR102074499B1 (ko) 조립식 냉난방 시스템
KR101654126B1 (ko) 건축물 및 공동주택의 난방 바닥재 시공 방법
KR20140090490A (ko) 난방용 조립식 마루
KR101177696B1 (ko) 무배관 온돌구조를 가진 층간 차음패널 및 그 조립체
KR20150142400A (ko) 패널을 이용한 냉난방 순환장치
KR101702634B1 (ko) 온수마루
KR101432667B1 (ko) 온수패널 조립체
KR20180099025A (ko) 단열성 및 보온성을 높인 단위블록 및 이를 이용한 단열 벽체
KR101235166B1 (ko) 에어 포켓형 온수 플로링 패널
KR100540677B1 (ko) 건축물의 난방시공 패널 조립체
KR100423008B1 (ko) 난방을 위한 조립식 바닥재
KR101624100B1 (ko) 냉온수 겸용이 가능한 조립식 난방패널장치
KR20170003751A (ko) 온수패널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온수패널 시공방법
JP3112429U (ja) 組立式オンドル用暖房配管構造
KR101170414B1 (ko) 개량형 히트파이프를 이용한 열 전달매체용 분배 공급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온돌장치
KR200429084Y1 (ko) 플로링보드를 이용한 바닥 난방용 온수 순환마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