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2667B1 - 온수패널 조립체 - Google Patents

온수패널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2667B1
KR101432667B1 KR1020140017604A KR20140017604A KR101432667B1 KR 101432667 B1 KR101432667 B1 KR 101432667B1 KR 1020140017604 A KR1020140017604 A KR 1020140017604A KR 20140017604 A KR20140017604 A KR 20140017604A KR 101432667 B1 KR101432667 B1 KR 1014326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water
panel
water panel
plates
fix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76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두성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두성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두성테크
Priority to KR10201400176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26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26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26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4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 E04C2/5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with special adaptations for auxiliary purposes, e.g.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 E04C2/521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with special adaptations for auxiliary purposes, e.g.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for ventilating, heating or cooling
    • E04C2/525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with special adaptations for auxiliary purposes, e.g.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for ventilating, heating or cooling for heating or coo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2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 F24D3/122Details
    • F24D3/125Hydraulic pipe conne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2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ccommodating service installations or utility lines, e.g. heating conduits, electrical lines, lighting devices or service outlets
    • E04F2290/023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ccommodating service installations or utility lines, e.g. heating conduits, electrical lines, lighting devices or service outlets for hea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eam Or 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온수패널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온수패널의 일단과 타단에 결합되는 제 1,2,3막음판을 고정수단을 통해 온수패널에 고정시키되, 상기 고정수단은 온수패널의 결합면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온수패널에 형성된 수로의 내벽면에 가압 밀착되어 고정되도록 구성되며, 이에 따라 온수패널의 내부에 형성된 수로의 통수단면을 확장시킬 수 있어 온열 응답성 및 열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온수패널 조립체{HOT-WATER PANNEL ASSEMBLY}
본 발명은 온수패널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온수패널의 일단과 타단에 결합되는 제1,2,3막음판을 고정수단을 통해 온수패널에 고정시키되, 상기 고정수단은 온수패널의 결합면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온수패널에 형성된 수로의 내벽면에 가압밀착되어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온수패널의 내부에 형성된 수로의 통수단면을 확장시킬 수 있어 온열 응답성 및 열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온수패널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온돌 방식은 우리나라의 고유한 난방 방법으로서, 우리 민족의 생활 습관과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과거로부터 현재까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온돌 방식의 원리는 열전도를 이용한 것이며, 바닥 아래에 설치된 구들장, 즉 온돌석에 화기를 부여함으로써 온도가 높아진 온돌석으로부터 방출하는 열로 난방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러한 온돌 방식은 현재 개량을 통해 발전되어 왔으며, 일예로 개량된 온돌 방식으로서 방바닥에 온수 파이프를 매설하여 보일러에 의해 가열되는 온수를 온수 파이프에 흐르도록 함으로써 난방을 하는 방식이 있다.
이와 같은 개량식 온돌 방식은 통상적으로 시멘트 몰탈을 사용하게 되는데, 이러한 시멘트 몰탈을 이용한 난방공사는 시멘트의 양생에 소요되는 기간이 길어서 다른 공사와의 간섭이 클 뿐만 아니라, 추운 동절기에는 공사가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로 인하여 최근에는 방바닥에 하부패널을 설치하고, 그 상단으로 온수배관을 설치한 후, 온수배관 상부에 다시 상부패널을 설치하여 상기 하부패널과 상부패널을 고정시킨 온수패널을 구성하고, 그 상단에 장판 등의 마감재를 이용하여 난방을 행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온수패널은 온수배관의 사이 공간이 너무 넓어 열손실이 매우 큰 단점이 있으며, 아울러 온수배관이 원형인 관계로 상부패널의 밀착 면적이 작아 온열의 응답성이 매우 느린 단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온수패널에 설치되는 온수배관은 금속재질로 이루어져 시간이 경과되면 온수배관의 내부가 산화되어 열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온수패널은 하부패널과, 상부패널과, 온수패관으로 구성되어 열손실이 매우 크고, 또한 시공이 매우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상술된 문제점을 감안하여 "압출식 온수패널 조립체(공개특허 2011-0112194)"출원된 바 있다.
하지만 이러한 압출식 온수패널 조립체는 도 7 및 도 8과 같이, 제 1,2,3막음판(2,3)에 체결공(8)을 형성시키고, 장볼트(6)를 통해 제 1,2,3막음판(2,3)을 온수패널(1)의 내부에 형성된 격벽(5)에 체결시켜 고정하였다.
때문에 격벽(5)의 두께가 두꺼워지고, 또한 수로(4)의 통수단면이 작아지기 때문에 온수의 순환이 잘되지 않고, 온수패널(1)의 열응답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수밀을 위한 패킹(7)과 제 1,2,3막음판(2,3)을 온수패널(1)에 가(假) 결합시킬 수 없어 각 부품의 정확한 위치를 잡기 어렵고, 이에 따라 시공성이 매우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제 1목적은, 온수패널의 일단과 타단에 결합되는 제1,2,3막음판을 고정수단을 통해 온수패널에 고정시키되, 상기 고정수단은 온수패널의 결합면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온수패널에 형성된 수로의 내벽면에 가압 밀착되어 고정되도록 구성되며, 이에 따라 온수패널의 내부에 형성된 수로의 통수단면을 확장시킬 수 있어 온열 응답성 및 열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온수패널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 2목적은, 제 1,2,3막음판과, 패킹을 온수패널에 고정시키기 앞서, 미리 제 1,2,3막음판과, 패킹을 온수패널에 가(假) 결합시켜 조립이 매우 간편한 구조의 온수패널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제 1발명은 온수패널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해 일체로 압출 성형 되며, 일정간격을 두고 내부가 구획된 다수의 수로(11)가 형성되는 온수패널(10);과, 압출 성형으로 인해 개방된 온수패널(10)의 일단 양측에 결합되어 온수를 유출입시키는 제 1막음판(20a) 및 제 2막음판(20b);과, 상기 온수패널(10)의 타단에 다수 결합되고, 상기 온수패널(10)의 일단에 결합된 제 1막음판(20a) 및 제 2막음판(20b)의 사이에 결합되어 온수의 방향을 반전시켜 순환시키는 제 3막음판(30);과, 수밀을 위해 제 1,2,3막음판(20a,20b,30)의 결합면에 개재되는 패킹(40);과, 상기 제 1,2,3막음판(20a,20b,30)을 상기 온수패널(10)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고정수단(50)은 온수패널(10)의 결합면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온수패널(10)에 형성된 수로(11)의 내벽면을 가압하여 제 1,2,3막음판(20a,20b,30)이 고정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1,2,3막음판(20a,20b,30)은 상기 온수패널(10)의 일단과 타단에 가(假) 결합될 수 있도록 상부면에 온수패널(10)의 결합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판(P)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2발명은, 제 1발명에서, 상기 고정수단(50)은 제 1,2,3막음판(20a,20b,30)에 삽입되어 온수패널(10)의 수로(11)까지 연장되는 장볼트(51)와, 상기 장볼트(51)에 삽입되어 수로 상에 배치되는 탄성편(52)과, 상기 장볼트(51)의 체결되어 장볼트(51)의 회전방향에 따라 수로(11) 상에서 이동되는 가압블럭(53)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가압블럭(53)은 장볼트(51)의 회전에 의해 탄성편(52)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탄성편(52)을 확장시키고, 확장되는 탄성편(52)이 수로의 내벽면을 가압하여 상기 제 1,2,3막음판(20a,20b,30)이 상기 온수패널(10)의 일단과 타단에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3발명은, 제 2발명에서, 상기 가압블럭(53)은 "
Figure 112014014924368-pat00001
"의 형상을 취하고, 상기 탄성편(52)은 "
Figure 112014014924368-pat00002
"의 형상을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4발명은, 제 2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 1,2막음판(20a,20b)은 온수패널(10)에 형성된 2개의 수로(11)와 연통되는 내부공간부(S)와, 상기 내부공간부(S)의 양측에 형성되어 상기 온수패널(10)의 수로에 각각 개별적으로 삽입되는 2개의 제 1삽입돌기(21)와, 상기 고정수단(50)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2막음판(20a,20b)의 일단 양측에 형성되는 제 1가이드공(22)과, 상기 제 1,2막음판(20a,20b)의 일단 중앙에 형성되어 보일러(200)의 유/출입배관(210,220)과 연결되고 상기 내부공간부(S)와 상통하는 연결구(23)를 포함하여 구성되되,상기 제 1가이드공(22)은 상기 고정수단(50)을 온수패널(10)의 수로(11)까지 가이드할 수 있도록 상기 각 제 1삽입돌기(21)의 내부를 관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5발명은, 제 4발명에서, 상기 제 3막음판(30)은 온수패널(10)에 형성된 2개의 수로(11)와 각각 개별적으로 연통되는 2개의 내부공간부(S)와, 상기 각 내부공간부(S)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온수패널(10)의 수로(11)에 각각 개별적으로 삽입되는 4개의 제 2삽입돌기(31)와, 상기 고정수단(50)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2막음판(20a,20b)의 일단에 형성되는 제 2가이드공(32)과, 온수패널(10)에 형성된 2개의 수로(11)로 공급되어 온수의 방향을 반대방향으로 반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각 내부공간부(S)와 상통되는 내부수로(331)를 갖는 결합블록(33)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제 2가이드공(32)은 상기 고정수단(50)을 온수패널(10)의 수로(11)까지 가이드할 수 있도록 상기 각 제 2삽입돌기(31)의 내부를 관통하고, 상기 결합블록(33)은 상기 제 3막음판(30)의 상부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내부수로(331)의 양단부가 상기 각 내부공간부(S)와 상통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6발명은, 제 5발명에서, 상기 패킹(40)은 각 내부공간부(S)와, 각 삽입돌기(21,31)에 대응되는 절개부(41)가 형성되되, 상기 절개부(41)의 테두리에는 상기 제 1,2,3막음판(20a,20b,30)의 각 내부공간부(S)에 삽입되어 가(假) 결합될 수 있도록 돌출테(42)가 연장되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온수패널 조립체에 따르면, 제 1,2,3막음판과, 패킹을 온수패널에 고정시키기 앞서, 미리 제 1,2,3막음판과, 패킹을 온수패널에 가(假) 결합시켜 조립이 매우 간편한 효과가 있다.
또한 온수패널의 결합면 손상을 방지할 수 있어 온수패널의 내부에 형성된 수로의 통수단면을 확장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온열 응답성 및 열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온수패널 조립체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단면도,
도 4는 도 2에서 발췌된 제 1,2,3막음판의 부분 단면 사시도,
도 5는 도 3에서 요부를 확대한 고정수단의 작동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온수패널 조립체의 설치 단면도,
도 7은 종래의 온수패널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
도 8은 종래의 온수패널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온수패널 조립체에 관하여 첨부되어진 도면과 함께 더불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온수패널 조립체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에서 발췌된 제 1,2,3막음판의 부분 단면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3에서 요부를 확대한 고정수단의 작동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온수패널(10)의 일단과 타단에 결합되는 제 1,2,3막음판(20a,20b,30)을 고정수단(50)을 통해 온수패널(10)에 고정시키되, 상기 고정수단(50)은 온수패널(10)의 결합면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온수패널(10)에 형성된 수로(11)의 내벽면에 가압 밀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이에 따라 온수패널(10)의 내부에 형성된 수로(11)의 통수단면을 확장시킬 수 있어 온열 응답성 및 열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온수패널 조립체(100)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온수패널 조립체(100)는 크게 4부분으로 구성되는데, 이는 온수패널(10)과, 패킹(40)과, 제 1,2,3막음판(20a,20b,30)과, 고정수단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온수패널(10)은 일정 간격을 두고 내부에 다수의 수로(11)가 형성되는 구조이다.
이러한 온수패널(10)은 플라스틱수지재(ABS,PP,PE)를 모재로 하여 흑운모분발을 첨가시키고, 이를 용융시켜 압출기에 투입한 후, 가압에 의해 압출 성형되는 구조이다.
여기서 흑운모분말가루는 온수패널의 열변형량을 최소화시키며, 또한 황토와 맥반석 보다 약 3배 이상 원적외선 방사율(94%)이 높고, 게르마늄 함유량이 36ppm이 포함되어 인체의 신진대사를 활발하게 하는 기능을 한다.
여기서 상기 온수패널(10)은 압출 성형되어, 길이를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고, 또한 시공하고자 하는 장소에 따라 온수패널(10)의 길이를 선 제작할 수 있어 시공성이 매우 뛰어난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온수패널(10)의 구조는 내부에 열전달매체인 온수가 흐를 수 있도록 내부 수로(11)를 형성한 것으로, 별로의 온수파이프가 필요치 않으며, 온수패널(10) 내부 자체로 온수가 흐르게 하여 온수패널(10)의 상부로 직접적으로 온수의 열이 전달될 수 있도록 하여 열손실을 최소화하면서 온열의 응답성을 매우 빠르게 한 구조이다.
예를 들어 상기 온수패널(10)은 40℃의 온수을 순환시켜도 상부로 방사되는 열온도를 35℃까지 상승시킬 수 있어 적은 열량으로 최대의 온열효과를 가질 수 있는 구조이다.
아울러 상기 온수패널(10)은 압출성형하여 내부 수로를 형성함으로써 수로(11)를 실링하기 위한 별도의 실링제가 필요치 않으며, 일체형으로 내구성이 매우 뛰어난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온수패널(10)은 양측면에 오목레일(13)과, 볼록레일(14)을 형성하여 온수패널(10)의 너비를 선택적으로 확장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제 1,2,3막음판(20a,20b,30)은 압출 성형으로 인해 수로(11)가 개방된 온수패널(10)의 일단과 타단에 다수 결합되는 구조이다.
이러한 상기 제 1,2,3막음판(20a,20b,30)은 규격화되어 구성되며, 온수패널(10)의 너비에 따라 상기 제 1,2,3막음판(20a,20b,30)을 조합시켜 결합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 1,2막음판(20a,20b)은 동일 구조로, 압출 성형으로 인해 개방된 온수패널(10)의 일단 양측에 결합되어 온수를 유출입시키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상기 제 1,2막음판(20a,20b)은 도 4의 (a)와 같이, 온수패널(10)에 형성된 2개의 수로(11)와 연통되는 내부공간부(S)와, 상기 내부공간부(S)의 양측에 형성되어 상기 온수패널(10)의 수로에 각각 개별적으로 삽입되는 2개의 제 1삽입돌기(21)와, 상기 고정수단(50)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2막음판(20a,20b)의 일단 양측에 형성되는 제 1가이드공(22)과, 상기 제 1,2막음판(20a,20b)의 일단 중앙에 형성되어 보일러(200)의 유/출입배관(210,220)과 연결되고 상기 내부공간부(S)와 상통하는 연결구(2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 1가이드공(22)은 상기 고정수단(50)을 온수패널(10)의 수로(11)까지 가이드할 수 있도록 상기 각 제 1삽입돌기(21)의 내부를 관통하는 구조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 1막음판(20a)에 형성된 연결구(23)로 보일러(200)의 유출배관(210)이 연결되고, 제 2막음판(20b)에 형성된 연결구(23)에는 보일러(200)의 유입배관(220)이 연결되는 구성이다. 즉, 제 1막음판(20a)과 제 2막음판(20b)은 규격화된 동일 형태로 구성되며, 보일러(200)의 유출/입배관(210.220)과의 연결되는 상태에 따라 그 기능이 달리 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막음판(20a)은 보일러(200)의 온수가 유출배관(210)을 통해 연결구(23)로 유입되면, 내부공간부(S)를 거쳐 온수패널(10)의 수로(11)로 배출시키는 기능을 한다.
또한 제 2막음판(20b)은 온수패널(10)의 내부로 순환된 온수를 내부공간부(S)와 연결구(23)를 거쳐 보일러(200)의 유입배관(220)으로 배출시키는 기능을 한다.
또한 제 1,2막음판(20a,20b)의 제 1삽입돌기(21)는 온수패널(10)의 수로(11)에 삽입되어 제 1,2막음판(20a,20b)을 온수패널(10)에 가 결합시키고, 제 1,2가이드공(22,32)은 고정수단(50)이 제 1삽입돌기(21)를 거쳐 수로(11) 상에 위치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기능을 한다.
한편 상기 제 3막음판(30)은 상기 온수패널(10)의 타단에 다수 결합되고, 상기 온수패널(10)의 일단에 결합된 제 1막음판(20a) 및 제 2막음판(20b)의 사이에 결합된다.
이러한 상기 제 3막음판(30)은 실시예로 2개의 내부공간부(S)를 갖는데, 이는 온수패널(10)에 형성된 2개의 수로(11)로 공급되는 온수의 방향을 반대방향으로 반전시킬 수 있도록 한 구성이다.
여기서 제 3막음판(30)은 도 4의 (b),(c),(d)와 같이, 온수패널(10)에 형성된 2개의 수로(11)와 각각 개별적으로 연통되는 2개의 내부공간부(S)와, 상기 각 내부공간부(S)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온수패널(10)의 수로(11)에 각각 개별적으로 삽입되는 4개의 제 2삽입돌기(31)와, 상기 고정수단(50)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2막음판(20a,20b)의 일단에 형성되는 제 2가이드공(32)과, 온수패널(10)에 형성된 2개의 수로(11)로 공급되어 온수의 방향을 반대방향으로 반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각 내부공간부(S)와 상통되는 내부수로(331)를 갖는 결합블록(3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때 상기 제 2가이드공(32)은 상기 고정수단(50)을 온수패널(10)의 수로(11)까지 가이드할 수 있도록 상기 각 제 2삽입돌기(31)의 내부를 관통하여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결합블록(33)은 상기 제 3막음판(30)의 상부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내부수로(331)의 양단부가 상기 각 내부공간부(S)와 상통되도록 구성되어 온수의 방향을 반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제 1,2,3막음판(20a,20b,30)은 상기 온수패널(10)의 일단과 타단에 가(假) 결합될 수 있도록 상부면에 온수패널(10)의 결합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판(P)을 더 포함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지지판(P)은 고정수단(50)을 통해 제 1,2,3막음판(20a,20b,30)을 고정시키기 앞서, 온수패널(10)의 상부면에 밀착시켜 수로(11)에 삽입되는 상기 제 1,2삽입돌기(21,31)와 함께 제 1,2,3막음판(20a,20b,30)이 온수패널(1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기능한다. 때문에 제 1,2,3막음판(20a,20b,30)의 위치를 정확한 위치에 배치시킬 수 있어 시공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패킹(40)은 수밀을 위해 제 1,2,3막음판(20a,20b,30)의 결합면에 개별적으로 개재되는 구조이다.
이러한 상기 패킹(4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내부공간부(S)와, 각 삽입돌기(21,31)에 대응되는 절개부(41)가 형성되되, 상기 절개부(41)의 테두리에는 상기 제 1,2,3막음판(20a,20b,30)의 각 내부공간부(S)에 삽입되어 가(假) 결합될 수 있도록 돌출테(42)가 연장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구조의 패킹(40)은 상기 제 1,2,3막음판(20a,20b,30)의 결합면에 미리 가(假) 결합시켜 시공성이 향상시킬 수 있는 구조를 마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고정수단(50)은 상기 제 1,2,3막음판(20a,20b,30)을 상기 온수패널(10)에 고정시키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상기 고정수단(50)은 온수패널(10)의 결합면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온수패널(10)에 형성된 수로(11)의 내벽면을 가압하여 제 1,2,3막음판(20a,20b,30)이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수단(50)은 장볼트(51)와, 탄성편(52) 및 가압블럭(5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장볼트(51)는 제 1,2,3막음판(20a,20b,30)의 제 1,2가이드공(22,32)에 삽입되어 온수패널(10)의 수로(11)까지 연장되는 구조이다.
상기 탄성편(52)은 "
Figure 112014014924368-pat00003
"의 형상을 취하며, 상기 장볼트(51)에 삽입되어 수로(11) 상에 배치되는 구조이다.
그리고 상기 가압블럭(53)은 "
Figure 112014014924368-pat00004
"의 형상을 취하고, 상기 장볼트(51)의 체결되어 장볼트(51)의 회전방향에 따라 수로(11) 상에서 이동되는 구조이다.
여기서 상기 가압블럭(53)은 도 5의 (b)와 같이, 같이, 장볼트(51)의 회전에 의해 탄성편(52)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탄성편(52)을 확장시키고, 확장되는 탄성편(52)이 수로의 내벽면을 가압하여 상기 제 1,2,3막음판(20a,20b,30)이 상기 온수패널(10)의 일단과 타단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반대로, 도 5의 (a)와 같이, 상기 가압블럭(53)은 장볼트(51)의 역방향 회전에 의해 탄성편(52)과 반대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탄성편(52)을 탄성 복귀시켜 수로(11)의 내벽면에서 이탈시켜 결과적으로 제 1,2,3막음판(20a,20b,30)이 상기 온수패널(10)에서 분리될 수 있도록 한다.
상술된 상기 고정수단(50)은 탄성편(52)이 수로(11)의 내벽면에 가압되거나 이탈되도록 하여 결과적으로 온수패널(10)의 결합면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때문에 온수패널(10)의 수로(11)를 구획하는 격벽(12)의 두께를 얇게 압출 성형하여 온수가 흐르는 통수단면을 최대한 확장시킬 수 있기 때문에 온열 응답성 및 열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온수패널 조립체의 작동에 관하여 간단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온수패널 조립체의 설치 단면도이다.
도 6과 같이, 펌프(300)의 가동으로 보일러(200)의 유출배관(210)을 통해 유출되는 온수는 먼저 제 1막음판(20a)의 연결구(23)를 통해 제 1막음판(20a)의 내부공간부(S)로 유입된다.
제 1막음판(20a)의 내부공간부(S)로 유입된 온수는 수압에 의해 온수패널(10)의 수로로 공급된다.
온수패널(10)의 수로(11)로 공급되는 온수는 온수패널(10)의 타단에 결합된 제 3막음판(30)의 내부공간부(S)로 유입된다.
이 때 상기 내부공간부(S)로 유입된 온수는 결합블록(33)의 내부수로(331)를 거쳐 인접한 내부공간부(S)를 거쳐 온수의 진행방향이 반대방향으로 반전되어 온수패널(10)의 일단에 결합된 제 3막음판(30)으로 공급된다.
온수패널(10)의 일단에 결합된 제 3막음판(30) 역시 공급되는 온수의 방향을 반전시켜 온수패널(10)의 타단에 결합된 제 3막음판(30)으로 공급하고, 마지막으로 제 2막음판(20b)의 내부공간부(S)를 거쳐 연결구(23)에 연결된 보일러(200)의 유입배관(220)으로 공급시킨다.
이 후 보일러(200)로 공급되는 온수는 재차 가열되어 펌프(300)를 통해 다시 순환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야 한다.
1: 온수패널 2: 제 1,2막음판 3: 제 3막음판
4: 수로 5: 격벽 6: 장볼트
7: 패킹 8: 체결공
10: 온수패널 11: 수로 12: 격벽
13: 오목레일 14: 볼록레일
20a: 제 1막음판 20b: 제 2막음판 21: 제 1삽입돌기
22: 제 1가이드공 23: 연결구
30: 제 3막음판 31: 제 2삽입돌기 32: 제 2가이드공
33: 결합블록 331: 내부수로
40: 패킹 41: 절개부 42: 돌출테
50: 고정수단 51: 장볼트 52: 탄성편
53: 가압블럭
S: 내부공간부 P: 지지판
100: 온수패널 조립체
200: 보일러 210: 유출배관 220: 유입배관
300: 펌프

Claims (6)

  1. 일체로 압출 성형 되며, 일정간격을 두고 내부가 구획된 다수의 수로(11)가 형성되는 온수패널(10);
    압출 성형으로 인해 개방된 온수패널(10)의 일단 양측에 결합되어 온수를 유출입시키는 제 1막음판(20a) 및 제 2막음판(20b);
    상기 온수패널(10)의 타단에 다수 결합되고, 상기 온수패널(10)의 일단에 결합된 제 1막음판(20a) 및 제 2막음판(20b)의 사이에 결합되어 온수의 방향을 반전시켜 순환시키는 제 3막음판(30);
    수밀을 위해 제 1,2,3막음판(20a,20b,30)의 결합면에 개재되는 패킹(40);
    상기 제 1,2,3막음판(20a,20b,30)을 상기 온수패널(10)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고정수단(50)은 온수패널(10)의 결합면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온수패널(10)에 형성된 수로(11)의 내벽면을 가압하여 제 1,2,3막음판(20a,20b,30)이 고정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1,2,3막음판(20a,20b,30)은 상기 온수패널(10)의 일단과 타단에 가(假) 결합될 수 있도록 상부면에 온수패널(10)의 결합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판(P)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패널 조립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50)은 제 1,2,3막음판(20a,20b,30)에 삽입되어 온수패널(10)의 수로(11)까지 연장되는 장볼트(51)와, 상기 장볼트(51)에 삽입되어 수로 상에 배치되는 탄성편(52)과, 상기 장볼트(51)의 체결되어 장볼트(51)의 회전방향에 따라 수로(11) 상에서 이동되는 가압블럭(53)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가압블럭(53)은 장볼트(51)의 회전에 의해 탄성편(52)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탄성편(52)을 확장시키고, 확장되는 탄성편(52)이 수로의 내벽면을 가압하여 상기 제 1,2,3막음판(20a,20b,30)이 상기 온수패널(10)의 일단과 타단에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패널 조립체.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블럭(53)은 "
    Figure 112014014924368-pat00005
    "의 형상을 취하고,
    상기 탄성편(52)은 "
    Figure 112014014924368-pat00006
    "의 형상을 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패널 조립체.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2막음판(20a,20b)은 온수패널(10)에 형성된 2개의 수로(11)와 연통되는 내부공간부(S)와, 상기 내부공간부(S)의 양측에 형성되어 상기 온수패널(10)의 수로에 각각 개별적으로 삽입되는 2개의 제 1삽입돌기(21)와, 상기 고정수단(50)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2막음판(20a,20b)의 일단 양측에 형성되는 제 1가이드공(22)과, 상기 제 1,2막음판(20a,20b)의 일단 중앙에 형성되어 보일러(200)의 유/출입배관(210,220)과 연결되고 상기 내부공간부(S)와 상통하는 연결구(23)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제 1가이드공(22)은 상기 고정수단(50)을 온수패널(10)의 수로(11)까지 가이드할 수 있도록 상기 각 제 1삽입돌기(21)의 내부를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패널 조립체.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3막음판(30)은 온수패널(10)에 형성된 2개의 수로(11)와 각각 개별적으로 연통되는 2개의 내부공간부(S)와, 상기 각 내부공간부(S)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온수패널(10)의 수로(11)에 각각 개별적으로 삽입되는 4개의 제 2삽입돌기(31)와, 상기 고정수단(50)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2막음판(20a,20b)의 일단에 형성되는 제 2가이드공(32)과, 온수패널(10)에 형성된 2개의 수로(11)로 공급되어 온수의 방향을 반대방향으로 반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각 내부공간부(S)와 상통되는 내부수로(331)를 갖는 결합블록(33)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제 2가이드공(32)은 상기 고정수단(50)을 온수패널(10)의 수로(11)까지 가이드할 수 있도록 상기 각 제 2삽입돌기(31)의 내부를 관통하고,
    상기 결합블록(33)은 상기 제 3막음판(30)의 상부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내부수로(331)의 양단부가 상기 각 내부공간부(S)와 상통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패널 조립체.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40)은 각 내부공간부(S)와, 각 삽입돌기(21,31)에 대응되는 절개부(41)가 형성되되, 상기 절개부(41)의 테두리에는 상기 제 1,2,3막음판(20a,20b,30)의 각 내부공간부(S)에 삽입되어 가(假) 결합될 수 있도록 돌출테(42)가 연장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패널 조립체.
KR1020140017604A 2014-02-17 2014-02-17 온수패널 조립체 KR1014326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7604A KR101432667B1 (ko) 2014-02-17 2014-02-17 온수패널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7604A KR101432667B1 (ko) 2014-02-17 2014-02-17 온수패널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32667B1 true KR101432667B1 (ko) 2014-09-01

Family

ID=517587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7604A KR101432667B1 (ko) 2014-02-17 2014-02-17 온수패널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266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20154A (zh) * 2018-12-27 2019-03-26 临沂市水波尔床业有限公司 分体壁挂式水循环散热装置
KR20210037151A (ko) * 2019-09-27 2021-04-06 김정란 난방용 온수마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98699A (ko) * 2007-05-07 2008-11-12 주식회사 대연 행거의 걸이체 체결구조
KR20110112194A (ko) * 2010-04-06 2011-10-12 (주) 대양 압출식 온수패널 조립체
KR101104013B1 (ko) 2011-04-22 2012-01-06 박상언 에어포켓형 온수(溫水) 플로링 패널.
KR101296606B1 (ko) 2012-03-15 2013-08-14 승덕남 바닥 난방용 온수 순환마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98699A (ko) * 2007-05-07 2008-11-12 주식회사 대연 행거의 걸이체 체결구조
KR20110112194A (ko) * 2010-04-06 2011-10-12 (주) 대양 압출식 온수패널 조립체
KR101104013B1 (ko) 2011-04-22 2012-01-06 박상언 에어포켓형 온수(溫水) 플로링 패널.
KR101296606B1 (ko) 2012-03-15 2013-08-14 승덕남 바닥 난방용 온수 순환마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20154A (zh) * 2018-12-27 2019-03-26 临沂市水波尔床业有限公司 分体壁挂式水循环散热装置
KR20210037151A (ko) * 2019-09-27 2021-04-06 김정란 난방용 온수마루
KR102288012B1 (ko) * 2019-09-27 2021-08-09 김정란 난방용 온수마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4013B1 (ko) 에어포켓형 온수(溫水) 플로링 패널.
KR101432667B1 (ko) 온수패널 조립체
KR20170141433A (ko) 탈부착이 용이한 단열커튼월
KR20110112194A (ko) 압출식 온수패널 조립체
KR101924112B1 (ko) 배관연결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온수패널
KR200481336Y1 (ko) 단열성 벽체프레임
KR101296606B1 (ko) 바닥 난방용 온수 순환마루
KR20200021696A (ko) 난방용 온수 패널 조립체
KR200451757Y1 (ko) 온수 순환구조를 갖는 조립식 마루
KR20150142400A (ko) 패널을 이용한 냉난방 순환장치
KR101501170B1 (ko) 건식 온돌 패널 및 건식 온돌 패널이 구성된 바닥 구조
KR101702634B1 (ko) 온수마루
KR20130061789A (ko) 냉난방용 바닥패널
KR101658623B1 (ko) 단열성 벽체프레임
KR101773137B1 (ko) 온수패널 조립체
KR101688330B1 (ko) 온수패널을 이용한 벽면설치형 찜질장치
KR101438490B1 (ko) 온수순환마루용 패널
KR20100090183A (ko) 바닥재 어셈블리 및 바닥재의 시공방법
KR101031303B1 (ko) 온수순환 바닥재의 수로 연결장치
NL2023726B1 (en) Modular floor heating system
KR101624100B1 (ko) 냉온수 겸용이 가능한 조립식 난방패널장치
KR20190009058A (ko) 건식 온돌 바닥재
KR101178598B1 (ko) 조립식 건식패널
KR102604858B1 (ko) 온수패널시스템
KR20130133731A (ko) 난방용 온수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