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12194A - 압출식 온수패널 조립체 - Google Patents

압출식 온수패널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12194A
KR20110112194A KR1020110020064A KR20110020064A KR20110112194A KR 20110112194 A KR20110112194 A KR 20110112194A KR 1020110020064 A KR1020110020064 A KR 1020110020064A KR 20110020064 A KR20110020064 A KR 20110020064A KR 20110112194 A KR20110112194 A KR 201101121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water
panel
extrusion
extrusion panel
b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00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국
이상수
Original Assignee
(주) 대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대양 filed Critical (주) 대양
Publication of KR201101121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219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2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 F24D3/14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incorporated in a ceiling, wall or floor
    • F24D3/141Tube mounting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F24D3/142Tube mountings specially adapted therefor integrated in prefab construction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07Flat, e.g. pa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09Articles with cross-sections having partially or fully enclosed cavities, e.g. pipes or channels
    • B29C48/11Articles with cross-sections having partially or fully enclosed cavities, e.g. pipes or channels comprising two or more partially or fully enclosed cavities, e.g. honeycomb-shap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4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 E04C2/5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with special adaptations for auxiliary purposes, e.g.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 E04C2/521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with special adaptations for auxiliary purposes, e.g.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for ventilating, heating or cooling
    • E04C2/525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with special adaptations for auxiliary purposes, e.g.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for ventilating, heating or cooling for heating or coo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0002Means for connecting central heating radiators to circulation pipes
    • F24D19/0017Connections between supply and inlet or outlet of central heating radiators
    • F24D19/0024Connections for plate radi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0Feed-line arrangements, e.g. providing for heat-accumulator tanks, expansion tanks ; Hydraulic components of a central heating system
    • F24D3/1058Feed-line arrangements, e.g. providing for heat-accumulator tanks, expansion tanks ; Hydraulic components of a central heating system disposition of pipes and pipe conne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2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 F24D3/122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20Heat consumers
    • F24D2220/2081Floor or wall heating pa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rchitectur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team Or 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압출식 온수패널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해 일체로 압출 성형 되며,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의 유로가 형성되는 압출패널;과, 압출 성형으로 인해 개방된 압출패널의 일단과 타단에 결합되는 다수의 막음판; 및 수밀을 위해 상기 압출패널과 막음판의 사이에 개재되는 패킹;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막음판은 보일러의 유/출입배관과 연결될 수 있도록 측부에 연결구가 돌출 형성되는 제 1,2막음판과, 상기 제 1막음판의 연결구를 통해 공급되는 온수가 제 2막음판의 연결구를 통해 배출될 수 있도록 공급되는 온수의 방향을 반대방향으로 반전시켜 압출패널의 유로로 재진입 되게 안내하는 제 3막음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압출식 온수패널 조립체{HOT-WATER PANNEL ASSEMBLY FOR PRESSING OUT TYPE}
본 발명은 압출식 온수패널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의 유로가 형성된 압출패널로 온열의 응답성이 빠르게 구성하고, 상기 압출패널의 일단과 타단에는 공간부를 갖는 다수의 막음판을 결합하여 제작과, 분해 조립이 매우 간편한 구조의 압출식 온수패널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온돌 방식은 우리나라의 고유한 난방 방법으로서, 우리 민족의 생활 습관과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과거로부터 현재까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온돌 방식의 원리는 열전도를 이용한 것이며, 바닥 아래에 설치된 구들장, 즉 온돌석에 화기를 부여함으로써 온도가 높아진 온돌석으로부터 방출하는 열로 난방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러한 온돌 방식은 현재 개량을 통해 발전되어 왔으며, 일예로 개량된 온돌 방식으로서 방바닥에 온수 파이프를 매설하여 보일러에 의해 가열되는 온수를 온수 파이프에 흐르도록 함으로써 난방을 하는 방식이 있다.
이와 같은 개량식 온돌 방식은 통상적으로 시멘트 몰탈을 사용하게 되는데, 이러한 시멘트 몰탈을 이용한 난방공사는 시멘트의 양생에 소요되는 기간이 길어서 다른 공사와의 간섭이 클 뿐만 아니라, 추운 동절기에는 공사가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로 인하여 최근에는 방바닥에 하부패널을 설치하고, 그 상단으로 온수배관을 설치한 후, 온수배관 상부에 다시 상부패널을 설치하여 상기 하부패널과 상부패널을 고정시킨 온수패널을 구성하고, 그 상단에 장판 등의 마감재를 이용하여 난방을 행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온수패널은 온수배관의 사이 공간이 너무 넓어 열손실이 매우 큰 단점이 있으며, 아울러 온수배관이 원형인 관계로 상부패널의 밀착 면적이 작아 온열의 응답성이 매우 느린 단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온수패널에 설치되는 온수배관은 금속재질로 이루어져 시간이 경과되면 온수배관의 내부가 산화되어 열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온수패널은 하부패널과, 상부패널과, 온수패관으로 구성되어 열손실이 매우 크고, 또한 시공이 매우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제 1목적은, 압출패널을 압출 성형함으로써, 생산성이 매우 뛰어난 구조의 압출식 온수패널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 2목적은, 다수의 유로가 형성된 압출패널을 통해 온열의 응답성이 빠르게 구성하고, 상기 압출패널의 일단과 타단에는 공간부를 갖는 다수의 막음판을 결합하여 제작과, 분해 조립이 매우 간편한 구조의 압출식 온수패널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 3목적은, 작은 량의 온수가 순환하면서 열손실에 따른 온열효과가 감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많은 량의 온수를 순환경로를 짧게 하여 공급함으로써 열손실은 최소화하고 열전달은 증대시킬 수 있는 압출식 온수패널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제 1발명은 압출식 온수패널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일체로 압출 성형 되며,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의 유로가 형성되는 압출패널;과, 압출 성형으로 인해 개방된 압출패널의 일단과 타단에 결합되는 다수의 막음판; 및 수밀을 위해 상기 압출패널과 막음판의 사이에 개재되는 패킹;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막음판은 보일러의 유/출입배관과 연결될 수 있도록 측부에 연결구가 돌출 형성되는 제 1,2막음판과, 상기 제 1막음판의 연결구를 통해 공급되는 온수가 제 2막음판의 연결구를 통해 배출될 수 있도록 공급되는 온수의 방향을 반대방향으로 반전시켜 압출패널의 유로로 재진입 되게 안내하는 제 3막음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2발명은, 제 1발명에서, 상기 각 막음판은 내부에 압출패널의 유로와 상통되는 공간부를 형성하고, 압출패널과 체결될 수 있도록 전/후면을 관통하는 다수의 체결공 및 상기 압출패널의 유로와 연통되는 다수의 관통구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3발명은, 제 2발명에서, 상기 제 1,2막음판의 관통구는 온수의 순환경로를 짧게 하여 열손실은 최소화하고 열전달은 증대시킬 수 있도록 압출패널에 형성된 2개의 유로와 연통될 수 있도록 2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4발명은, 제 2발명에서, 상기 제 3막음판은 4개의 관통구를 갖되, 압출패널에 형성된 2개의 유로로 공급되는 온수의 방향을 반대방향으로 반전시킬 수 있도록 압출패널의 유로에 삽입되는 단일의 제 1끼움돌기부 기점으로 양측에 각각 2개의 관통구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5발명은, 제 2발명에서, 상기 각 막음판은 인접한 막음판과 연설될 수 있도록 제 1끼움돌기부의 반분된 크기의 제 2보조끼움돌기부가 각각 형성되며, 이에 따라 2개의 막음판이 압출패널에 형성된 단일의 유로에 동시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압출식 온수패널 조립체에 따르면, 압출패널을 압출 성형함으로써, 온열의 응답성이 빠르고, 또한 규격화된 압출패널과 막음판을 통해 생산성 높고, 시공 및 분해 조립이 매우 간편한 효과가 있다.
또한 작은 량의 온수가 순환하면서 열손실에 따른 온열효과가 감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많은 량의 온수를 순환경로를 짧게 하여 공급함으로써 열손실은 최소화하고 열전달은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압출식 온수패널 조립체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평면도,
도 4는 도 1에서 발췌된 제 1,2,3마감판의 부분 단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압출식 온수패널 조립체의 설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압출식 온수패널 조립체의 다양한 실시예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압출식 온수패널 조립체에 관하여 첨부되어진 도면과 함께 더불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압출식 온수패널 조립체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평면도이며, 도 4는 도 1에서 발췌된 제 1,2,3마감판의 부분 단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다수의 유로가 형성된 압출패널을 통해 온열의 응답성이 빠르게 구성하고, 상기 압출패널의 일단과 타단에는 공간부를 갖는 다수의 막음판을 결합하여 제작과, 분해 조립이 매우 간편한 구조의 압출식 온수패널 조립체(100)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압출식 온수패널 조립체(100)는 크게 3부분으로 구성되는데, 이는 압출패널(10)과, 패킹(30)과, 막음판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압출패널(10)은 일정 간격을 두고 내부에 다수의 유로(11)가 형성되는 구조이다.
이러한 압출패널(10)은 플라스틱수지재(ABS,PP,PE)를 모재로 하여 이를 용융시켜 압출기에 투입한 후, 가압에 의해 압출 성형되는 구조이다.
이러한 압출 성형 구조는 압출패널(10)의 길이를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어 시공하고자 하는 장소에 따라 압출패널(10)의 길이를 선 제작할 수 있어 시공성이 매우 뛰어난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압출패널(10)의 구조는 내부에 열전달매체인 온수가 흐를 수 있도록 내부 유로(11)를 형성한 것으로, 별로의 온수파이프가 필요치 않으며, 압출패널(10) 내부 자체로 온수가 흐르게 하여 압출패널(10)의 상부로 직접적으로 온수의 열이 전달될 수 있도록 하여 열손실을 최소화하면서 온열의 응답성을 매우 빠르게 한 구조이다.
예를 들어 상기 압출패널(10)은 40℃의 온수을 순환시켜도 상부로 방사되는 열온도를 35℃까지 상승시킬 수 있어 적은 열량으로 최대의 온열효과를 가질 수 있는 구조이다.
아울러 상기 압출패널(10)은 압출성형하여 내부 유로를 형성함으로써 유로(11)를 실링하기 위한 별도의 실링제가 필요치 않으며, 일체형으로 내구성이 매우 뛰어난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패킹(30)은 수밀을 위해 상기 압출패널(10)과 막음판(20a,20b,40) 사이에 개재되는 구성이다.
그리고 상기 막음판(20a,20b,40)은 압출 성형으로 인해 유로가 개방된 압출패널(10)의 일단과 타단에 다수 결합되는 규격화된 제 1,2,3막음판(20a,20b,40)으로 구성되며, 압출패널(10)의 크기에 따라 각 막음판(20a,20b 40)을 조합시켜 결합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각 막음판(20a,20b 40)은 내부에 압출패널(10)의 유로(11)와 상통되는 공간부(S)를 형성하고, 압출패널(10)과 체결될 수 있도록 전/후면을 관통하는 다수의 체결공(P2) 및 상기 압출패널(10)의 유로(11)와 연통되는 다수의 관통구(P1)를 갖는 구조이다.(도 4에 도시)
즉, 상기 각 막음판(20a,20b 40)은 볼트와 같은 체결수단을 체결공(P2)에 삽입시켜 압출패널(10)과 강제 체결하여 결합시키고, 결합시 압출패널(10)의 유로(11)와 공간부(S)가 상통될 수 있도록 관통구(P1)를 갖는 구조이다.
이 때 상기 제 1,2막음판(20a,20b)은 제 3막음판(40) 보다는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로 구성되고, 보일러(200)의 유/출입배관(210,220)과 연결될 수 있도록 측부에 연결구(21)가 더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 1막음판(20a)에 형성된 연결구(21)로 보일러(200)의 유출배관(210)이 연결되고, 제 2막음판(20b)에 형성된 연결구(21)에는 보일러(200)의 유입배관(220)이 연결되는 구성이다. 즉, 제 1막음판(20a)과 제 2막음판(20b)은 규격화된 동일 형태로 구성되며, 보일러의 유/출입배관(210.220)과의 연결되는 상태에 따라 그 기능이 달리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2막음판(20a,20b)의 각 관통구(P1)는 순환경로를 짧게 하고 많은 량의 온수를 공급하여 열손실은 최소화하고 열전달은 증대시킬 수 있도록 압출패널(10)에 형성된 2개의 유로(11)와 연통될 수 있도록 2개가 형성된다.(도 4의 (A))
이에 반해 상기 제 3막음판(40)은 4개의 관통구(P1)를 갖되, 압출패널(10)에 형성된 2개의 유로(11)로 공급되는 온수의 방향을 반대방향으로 반전시킬 수 있도록 압출패널(10)의 유로(11)에 삽입되는 단일의 제 1끼움돌기부(41) 기점으로 양측에 각각 2개의 관통구(P1)를 갖는 구조이다.(도 4의 (A),(B))
즉, 상기 제 3막음판(40)은 압출패널(10)에 체결시 제 1끼움돌기부(41)가 압출패널(10)의 유로에 삽입되어 유로를 폐쇄하는 구성이며, 이에 따라 폐쇄된 유로를 기점으로 온수의 방향을 반전시키는 구조이다.
따라서 상기 제 3막음판(40)의 길이는 4개의 관통구(P1)가 형성되어 있어 2개의 관통구(P1)를 갖는 상기 제 1,2막음판(20a,20b)의 길이 보다는 2배의 크기를 갖는 규격화된 구조이다.
한편 상기 각 막음판(20a,20b 40)은 인접한 막음판(20a,20b,40)과 연설될 수 있도록 제 1끼움돌기부(41)의 반분된 크기의 제 2보조끼움돌기부(22,42)가 각각 형성되며, 이에 따라 2개의 막음판이 압출패널(10)에 형성된 단일의 유로에 동시 삽입되는 구조이다.(도 5에 도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압출패널(10)의 일단에 제 3막음판(40)을 중심으로 양측으로 각각 제 1막음판(20a)과, 제 2막음판(20b)이 배치되고, 압출패널(10)의 타단에는 2개의 제 3막음판(40)이 배치되는 구조이다.
따라서 제 1,2막음판(20a,20b)의 사이에 배치된 제 3막음판(40)의 양측에는 제 2보조끼움돌기부(42)가 형성되고, 제 3막음판(40)과 대면하는 제 1막음판(20a)의 측부와 제 2막음판(20b)의 측부에도 제 2보조끼움돌기부(22)가 형성된다. 그리고 압출패널(10)의 타단에 결합되는 2개의 제 3막음판(40)은 서로 대면하는 측부에만 제 2보조끼움돌기부(42)가 형성된다.(도 3에 도시)
결과적으로 압출패널(10)의 일단에 결합되는 제 3막음판(40)에는 양측으로 제 1막음판(20a)과 제 2막음판(20b)이 연설되므로, 2개의 제 2보조끼움돌기부(42)를 형성하고, 압출패널(10)의 타단에 결합되는 2개의 제 3막음판(40)은 서로 대면하는 면에 각각 1개의 제 2보조끼움돌기부(42)가 형성되는 구조이다.(도 4의 (B),(C))
이로써, 각각의 제 1,2,3막음판(20a,20b,40)은 제 2보조끼움돌기부(22,42)를 통해 압출패널(10)의 양단에 각각 상호 연설될 수 있는 구조를 마련한다.
여기서 제 2보조끼움돌기부(22,42) 역시 압출패널(10)의 유로(11)에 삽입되어 유로(11)를 폐쇄함으로 폐쇄된 유로를 기점으로 온수의 방향을 반전시킬 수 있어 온수를 순환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도 5에 도시)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압출식 온수패널 조립체의 작동에 관하여 간단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압출식 온수패널 조립체의 설치 단면도이다.
도 5와 같이, 펌프(300)의 가동으로 보일러(200)의 유출배관(210)을 통해 유출되는 온수는 먼저 제 1막음판(20a)의 연결구(21)를 통해 제 1막음판(20a)의 공간부(S)로 유입된다.
제 1막음판(20a)의 공간부(S)로 유입된 온수는 수압에 의해 2개의 관통구(P1)를 거쳐 압출패널(10)의 유로로 공급된다.
압출패널(10)의 2개 유로(11)로 공급되는 온수는 제 3막음판(40)의 공간부(S)로 저장되고, 제 3막음판(40)의 공간부(S)에 저장된 온수는 제 1끼움돌기부(41)로 인해 폐쇄된 유로를 기점으로 온수의 방향이 반전되어 압출패널(10)의 일단에 결합된 제 3막음판(40)으로 공급된다.
압출패널(10)의 일단에 결합된 제 3막음판(40) 역시 공급되는 온수의 방향을 반전시켜 압출패널(10)의 타단에 결합된 제 3막음판(40)으로 공급하고, 마지막으로 제 2막음판(20b)의 공간부(S)를 거쳐 연결구(21)에 연결된 보일러(200)의 유입배관(220)으로 공급시킨다.
이 후 보일러(200)로 공급되는 온수는 재차 가열되어 펌프(300)를 통해 다시 순환된다.
즉, 본원 발명은 작은 량의 온수가 순환하면서 열손실에 따른 온열효과가 감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많은 량의 온수를 순환경로를 짧게 하여 공급함으로써 열손실은 최소화하고 열전달은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압출식 온수패널 조립체의 시공에 관하여 간단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설치하고 하는 장소의 면적을 측정한다.
그리고 이에 맞게 너비가 길게 압출성형된 압출패널(10)을 길이방향으로 절개하고, 상기 압출패널(10)의 너비에 따른 제 3막음판(40)의 갯수를 결정한다.
이 후 설치하고자 하는 장소에 압출패널(10)을 설치하고, 압출패널(10)의 일단 및 타단에 패킹(30)을 개재한 다음 제 1막음판(20a)과, 제 2막음판(20b)과, 제 3막음판(40)을 조합하여 체결한다.
마지막으로 보일러(200)의 유출배관(210)을 제 1막음판(20a)의 연결구(21)에 연결시키고, 보일러(200)의 유입배관(220)을 제 2막음판(20b)의 연결구(21)에 연결시켜 완성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압출식 온수패널 조립체는 제 1,2막음판(20a,20b)은 규격화된 동일 형태로 제작한 상태에서, 설치되는 장소에 따라 너비가 길게 압출성형된 압출패널(10)을 길이방향으로 절개하고, 상기 압출패널(10)의 너비에 따라 제 3막음판(40)의 갯수를 선택할 수 있기 때문에 도 6의 (A)와, (B)와, (C)와 같이 다양하게 조립할 수 있어 시공이 매우 편리하고 조립이 매우 간편한 하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야 한다.
10: 압출패널 11: 유로
20a: 제 1막음판 21: 연결구 22: 제 2끼움돌기부
20b: 제 2막음판
30: 패킹
40: 제 3막음판 41: 제 1끼움돌기부 42: 제 2끼움돌기부
S: 공간부 P1:관통구 P2:체결공
100: 압출식 온수패널 조립체
200: 보일러 210: 유출배관 220: 유입배관
300: 펌프

Claims (5)

  1. 일체로 압출 성형 되며, 일정간격을 두고 내부를 다수의 유로가 형성되는 압출패널;
    압출 성형으로 인해 개방된 압출패널의 일단과 타단에 결합되는 다수의 막음판; 및
    수밀을 위해 상기 압출패널과 막음판의 사이에 개재되는 패킹;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막음판은 보일러의 유/출입배관과 연결될 수 있도록 측부에 연결구가 돌출 형성되는 제 1,2막음판과, 상기 제 1막음판의 연결구를 통해 공급되는 온수가 제 2막음판의 연결구를 통해 배출될 수 있도록 공급되는 온수의 방향을 반대방향으로 반전시켜 압출패널의 유로로 재진입 되게 안내하는 제 3막음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식 온수패널 조립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 막음판은 내부에 압출패널의 유로와 상통되는 공간부를 형성하고, 압출패널과 체결될 수 있도록 전/후면을 관통하는 다수의 체결공 및 상기 압출패널의 유로와 연통되는 다수의 관통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식 온수패널 조립체.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2막음판의 관통구는 온수의 순환경로를 짧게 하여 열손실은 최소화하고 열전달은 증대시킬 수 있도록 압출패널에 형성된 2개의 유로와 연통될 수 있도록 2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식 온수패널 조립체.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3막음판은 4개의 관통구를 갖되, 압출패널에 형성된 2개의 유로로 공급되는 온수의 방향을 반대방향으로 반전시킬 수 있도록 압출패널의 유로에 삽입되는 단일의 제 1끼움돌기부 기점으로 양측에 각각 2개의 관통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식 온수패널 조립체.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각 막음판은 인접한 막음판과 연설될 수 있도록 제 1끼움돌기부의 반분된 크기의 제 2보조끼움돌기부가 각각 형성되며, 이에 따라 2개의 막음판이 압출패널에 형성된 단일의 유로에 동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식 온수패널 조립체.
KR1020110020064A 2010-04-06 2011-03-07 압출식 온수패널 조립체 KR2011011219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31525 2010-04-06
KR1020100031525 2010-04-0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2194A true KR20110112194A (ko) 2011-10-12

Family

ID=450280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0064A KR20110112194A (ko) 2010-04-06 2011-03-07 압출식 온수패널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12194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2667B1 (ko) * 2014-02-17 2014-09-01 주식회사 두성테크 온수패널 조립체
KR101643745B1 (ko) * 2016-03-24 2016-07-29 에스지디지털주식회사 온수관형 난방패널 조립체
KR20200021696A (ko) 2018-08-21 2020-03-02 김정란 난방용 온수 패널 조립체
KR20200124390A (ko) * 2019-04-24 2020-11-03 박용범 난방용 온수마루
WO2021037888A1 (en) 2019-08-29 2021-03-04 Hazendonk Techniek B.V. Modular floor heating system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2667B1 (ko) * 2014-02-17 2014-09-01 주식회사 두성테크 온수패널 조립체
KR101643745B1 (ko) * 2016-03-24 2016-07-29 에스지디지털주식회사 온수관형 난방패널 조립체
KR20200021696A (ko) 2018-08-21 2020-03-02 김정란 난방용 온수 패널 조립체
KR20200124390A (ko) * 2019-04-24 2020-11-03 박용범 난방용 온수마루
WO2021037888A1 (en) 2019-08-29 2021-03-04 Hazendonk Techniek B.V. Modular floor heating system
NL2023726B1 (en) * 2019-08-29 2021-05-11 Hazendonk Techniek B V Modular floor heating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112194A (ko) 압출식 온수패널 조립체
CN102159894B (zh) 由一对热水移动路径形成的组装式隔热板
JP6072828B2 (ja) 床暖房用パネル及び床暖房用パネルアセンブリー
KR101104013B1 (ko) 에어포켓형 온수(溫水) 플로링 패널.
KR20150142400A (ko) 패널을 이용한 냉난방 순환장치
KR101432667B1 (ko) 온수패널 조립체
KR101296606B1 (ko) 바닥 난방용 온수 순환마루
KR20120062318A (ko) 온수장판
KR200451757Y1 (ko) 온수 순환구조를 갖는 조립식 마루
KR200339260Y1 (ko) 열전도를 향상시킨 방열패널을 이용한 난방시스템
KR100540677B1 (ko) 건축물의 난방시공 패널 조립체
KR101235166B1 (ko) 에어 포켓형 온수 플로링 패널
KR20090094923A (ko) 조립식 난방패널
KR101043091B1 (ko) 온돌 패널 시스템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1089506B1 (ko) 온수판넬의 온수관 배치구조
KR20090132389A (ko) 온수 순환구조를 갖는 조립식 마루
JP2002276959A (ja) 床暖房パネル、そのヘッダー、そのヘッダーとの接続構造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964770B1 (ko) 일체형 튜브식 온수패널
JPS63161327A (ja) 床暖房システム
JP3837198B2 (ja) 流体分岐ブロック
KR100521329B1 (ko) 평탄한 외면을 갖는 히팅 패널
KR20150104753A (ko) 온돌용 온수패널
KR102088087B1 (ko) 난방용 온돌바닥장치
CN108916966B (zh) 一种独立微型水泵分水器以及管中管地热循环系统
JP2001193950A (ja) 暖房システムおよびその施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4 Change of applicant [paten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nd registration of full transfer of righ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