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3137B1 - 온수패널 조립체 - Google Patents

온수패널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3137B1
KR101773137B1 KR1020150121675A KR20150121675A KR101773137B1 KR 101773137 B1 KR101773137 B1 KR 101773137B1 KR 1020150121675 A KR1020150121675 A KR 1020150121675A KR 20150121675 A KR20150121675 A KR 20150121675A KR 101773137 B1 KR101773137 B1 KR 1017731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water
panel
water channel
water
chan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16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25338A (ko
Inventor
박종원
Original Assignee
박종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원 filed Critical 박종원
Priority to KR10201501216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3137B1/ko
Publication of KR201700253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53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31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31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2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 F24D3/122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2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 F24D3/122Details
    • F24D3/125Hydraulic pipe conne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2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 F24D3/122Details
    • F24D3/127Mechanical connections between pa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20Heat consumers
    • F24D2220/2081Floor or wall heating pa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eam Or 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별도의 고정수단 없으면서도 누수 없이 온수패널(10)에 형성된 수로(13) 간을 상호 연결할 수 있고, 온수패널(10)의 수로(13) 사이의 공간에 공기층을 형성하여 난방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온수패널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상판(11)과 하판(12), 상기 상판(11)과 하판(12) 사이에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수로(13), 및 상기 상판(11)과 하판(12)을 지지하면서 상기 수로(13) 사이에 공기층을 형성하는 격판(14)으로 구성되는 온수패널(10); 및 상기 인접한 수로(13)가 연통하도록 상기 인접한 수로(13)에 각각 삽입되는 제1삽입부(21)와 상기 제1삽입부(21) 간을 연결하는 제1연결부(25)로 구성되는 수로간 연결유닛(20);을 포함하고, 상기 제1삽입부(21)에는 하나 이상의 패킹(30)이 삽입될 수 있도록 함몰된 제1장착홈(22)과, 상기 제1삽입부(21)가 상기 수로(13) 내에 결합되도록 접착제를 수용하는 제1수용부(23)가 구비된다.

Description

온수패널 조립체{HOT-WATER PANNEL ASSEMBLY}
본 발명은 온수패널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별도의 고정수단 없으면서도 누수 없이 온수패널에 형성된 수로 간을 상호 연결할 수 있고, 온수패널의 수로 사이의 공간에 공기층을 형성하여 난방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온수패널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온돌 방식은 우리나라의 고유한 난방 방법으로서, 우리 민족의 생활 습관과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과거로부터 현재까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온돌 방식의 원리는 열전도를 이용한 것이며, 바닥 아래에 설치된 구들장, 즉 온돌석에 화기를 부여함으로써 온도가 높아진 온돌석으로부터 방출하는 열로 난방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러한 온돌 방식은 현재 개량을 통해 발전되어 왔으며, 예를 들면, 개량된 온돌 방식으로서 방바닥에 온수 파이프를 매설하여 보일러에 의해 가열되는 온수를 온수 파이프에 흐르도록 함으로써 난방을 하는 방식이 있다.
이와 같은 개량식 온돌 방식은 통상적으로 시멘트 몰탈을 사용하게 되는데, 이러한 시멘트 몰탈을 이용한 난방공사는 시멘트의 양생에 소요되는 기간이 길어서 다른 공사와의 간섭이 클 뿐만 아니라, 추운 동절기에는 공사가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로 인하여 최근에는 방바닥에 하부패널을 설치하고, 그 상단으로 온수배관을 설치한 후, 온수배관 상부에 다시 상부패널을 설치하여 상기 하부패널과 상부패널을 고정시킨 온수패널을 구성하고, 그 상단에 장판 등의 마감재를 이용하여 난방을 행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온수패널은 온수배관의 사이 공간이 너무 넓어 열손실이 매우 큰 단점이 있으며, 아울러 온수배관이 원형인 관계로 상부패널의 밀착 면적이 작아 온열의 응답성이 매우 느린 단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온수패널에 설치되는 온수배관은 금속재질로 이루어져 시간이 경과되면 온수배관의 내부가 산화되어 열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온수패널은 하부패널과, 상부패널과, 온수배관으로 구성되어 열손실이 매우 크고, 또한 시공이 매우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상술된 문제점을 감안하여 "압출식 온수패널 조립체(공개특허 제2011-0112194호)"가 출원된 바 있다.
하지만 이러한 압출식 온수패널 조립체는 도 8 및 도 9와 같이, 제 1,2,3막음판(2,3)에 체결공(8)을 형성시키고, 장볼트(6)를 통해 제 1,2,3막음판(2,3)을 온수패널(1)의 내부에 형성된 격벽(5)에 체결시켜 고정하였다.
때문에 격벽(5)의 두께가 두꺼워지고, 또한 수로(4)의 통수단면이 작아지기 때문에 온수의 순환이 잘되지 않고, 온수패널(1)의 열응답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수밀을 위한 패킹(7)과 제 1,2,3막음판(2,3)을 온수패널(1)에 가(假) 결합시킬 수 없어 각 부품의 정확한 위치를 잡기 어렵고, 이에 따라 시공성이 매우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별도의 고정수단 없으면서도 누수 없이 온수패널에 형성된 수로 간을 상호 연결할 수 있는 온수패널 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온수패널의 수로 사이의 공간에 공기층을 형성하여 난방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온수패널 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온수패널 상부에 전자파 차단 및 살균 기능뿐 아니라 열전도율도 우수한 온수패널 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온수패널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상판과 하판, 상기 상판과 하판 사이에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수로, 및 상기 상판과 하판을 지지하면서 상기 수로 사이에 공기층을 형성하는 격판으로 구성되는 온수패널; 및 상기 인접한 수로가 연통하도록 상기 인접한 수로에 각각 삽입되는 제1삽입부와 상기 제1삽입부 간을 연결하는 제1연결부로 구성되는 수로간 연결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삽입부에는 하나 이상의 패킹이 삽입될 수 있도록 함몰된 제1장착홈과, 상기 제1삽입부가 상기 수로 내에 결합되도록 접착제를 수용하는 제1수용부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수로의 내경은 상기 제1삽입부의 내경과 동일하고 상기 수로의 관 두께는 상기 제1삽입부의 관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되어 상기 수로의 내부는 상기 제1삽입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가공 처리된다.
또한 상기 제1수용부는 상기 제1삽입부의 삽입방향 후방으로 경사지며 돌출되는 복수개의 돌기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수용부는 상기 제1삽입부에서 함몰되는 복수개의 홈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온수패널을 길이방향으로 연결하도록 길이방향으로 대응되는 수로에 각각 삽입되는 복수개의 제2삽입부와, 동일 선상의 제2삽입부 간을 연통시키는 제2연결부, 및 상기 제2연결부 간을 밀폐 상태로 연결하는 브릿지로 구성되는 패널간 연결유닛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삽입부에는 하나 이상의 패킹이 삽입될 수 있도록 함몰된 제2장착홈과, 상기 제2삽입부가 상기 수로 내에 결합되도록 접착제를 수용하는 제2수용부가 구비된다.
아울러, 상기 온수패널의 일측에는 선단 방향으로 폭이 점차 증가하도록 돌출되는 끼움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온수패널의 타측에는 상기 끼움돌기가 삽입되어 끼움결합될 수 있는 끼움홈이 구비되되, 상기 끼움홈에는, 상기 끼움돌기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돌기가 돌출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온수패널 조립체에 따르면, 별도의 고정수단 없으면서도 누수 없이 온수패널에 형성된 수로 간을 상호 연결할 수 있으므로, 제작이 쉽고 시공뿐만 아니라 유지보수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온수패널의 수로 사이의 공간에 공기층을 형성하여 난방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난방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온수패널 상부에 그라파이트에 의한 층을 형성하여 전자파 차단 및 살균 기능뿐 아니라 열전도율도 우수하여 난방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온수패널 조립체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로간 연결유닛의 부분 절개도,
도 4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온수패널 조립체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의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패널간 연결유닛의 부분 절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온수패널의 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종래기술에 따른 온수패널 조립체의 분해사시도,
도 9는 종래기술에 따른 온수패널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온수패널 조립체에 관하여 첨부되어진 도면과 함께 더불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온수패널 조립체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로간 연결유닛의 부분 절개도이다. 또한 도 4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온수패널 조립체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패널간 연결유닛의 부분 절개도이다. 아울러,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온수패널의 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온수패널 조립체는 크게 온수패널(10)과 연결유닛으로 구성된다. 상기 온수패널(10)은 일체로 압출 성형되고, 상판(11), 하판(12), 수로(13) 및 격판(14)으로 구성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온수패널(10)은 평판 형태의 상판(11)과 하판(12), 상기 상판(11)과 하판(12) 사이에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수로(13)와, 상기 상판(11)과 하판(12)을 지지하면서 상기 수로(13) 사이에 공기층을 형성하는 격판(14)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수로(13)는 내경 및 관 두께를 확보하면서도 관 내부와 상하판(11, 12) 사이의 거리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그 상부와 하부가 상판(11) 및 하판(12)과 겹쳐지게 형성된다.
또한 격판(14)에는 공기층이 형성되는데, 공기층은 물에 비해 비열이 현저히 작으므로 수로(13)를 통과하는 온수에 의해 쉽게 온도가 상승한다. 따라서 상기 공기층은 온수에 의한 열기가 보다 신속하게 온수패널(10) 전체에 전파되는 것을 돕게 된다.
그리고 온수패널(10)의 일측과 타측에는 온수패널(10)을 측방향으로 확장할 수 있는 결합구조가 마련된다. 즉, 온수패널(10)의 일측에는 선단 방향으로 폭이 점차 증가하도록 돌출되는 끼움돌기(15)가 구비되고, 상기 온수패널(10)의 타측에는 상기 끼움돌기(15)가 삽입되어 끼움결합될 수 있는 끼움홈(16)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끼움홈(16)에는 상기 끼움돌기(15)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돌기(16a)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온수패널(10)에 형성된 수로(13)는 수로(13)간 연결유닛에 의해 연결된다. 즉, 상기 온수패널(10)에 형성된 다수의 수로(13)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온수패널(10)의 선단으로부터 후단으로 관통되어 있다. 이러한 수로(13)가 인접한 수로(13)와 연결되어 온수가 원활하게 흐르도록 하는 것이 수로간 연결유닛(20)이다.
이러한 수로간 연결유닛(20)은 상기 인접한 수로(13)가 서로 연통하도록 상기 인접한 수로(13)에 각각 삽입되는 제1삽입부(21)와, 상기 제1삽입부(21) 간을 연결하는 제1연결부(25)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삽입부(21)에는 하나 이상의 패킹(30)이 삽입될 수 있도록 함몰 형성된 제1장착홈(22)이 구비됨과 아울러, 상기 제1삽입부(21)가 상기 수로(13) 내에 결합되도록 접착제를 수용하는 제1수용부(23)도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2개의 패킹(30)이 병렬 배치된 것으로 예시하였으므로, 상기 제1장착홈(22)도 일정 간격을 두고 2개로 마련된다.
또한 제1수용부(23)는 홈 형태 또는 돌기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두 형태 모두 내측으로 수용공간을 갖는 것은 동일하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제1수용부(23)는 상기 제1삽입부(21)의 삽입방향 후방으로 경사지며 돌출되는 복수개의 돌기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고, 상기 제1삽입부(21)에서 함몰되는 복수개의 홈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다만, 수로간 연결유닛(20)은 합성수지재로 제작되어 외력에 의해 일부 변형될 수 있으므로, 상기 제1삽입부(21)가 수로(13) 내로 삽입될 때 수로(13) 내주연에 의해 압박을 받은 상태에서 제1수용부(23) 내에 수용된 접착제가 접착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 형태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삽입부(21)의 내경은 수로(13)의 내경과 동일한데, 이는 수로(13)와 제1삽입부(21)의 내경을 일치시켜 온수의 흐름에 저항을 발생시키기 않도록 하기 위함이고, 수로(13)의 관 두께는 제1삽입부(21)의 관 두께보다 두꺼운데, 이는 수로(13)의 관 내부를 일부 가공 처리하여 제1삽입부(21)가 수로(13) 내로 삽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로간 연결유닛(20)이 온수패널(10)에 결합할 때 온수패널의 양측단에서 수로간 연결유닛(20)이 돌출될 수 있는데, 이는 측방향으로 온수패널(10)이 결합될 때 측방향으로 연결된 온수패널의 수로(13)에 수로간 연결유닛(20)이 결합될 수 있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만일 온수패널(10)이 측방향으로 결합되지 않는다면, 수로간 연결유닛(20)은 제1삽입부만으로 이루어져 보일러의 배관에 직접 연결될 수 있다.
아울러, 온수패널(10)은 측방향뿐만 아니라 길이방향으로도 연장될 수 있는데, 이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패널간 연결유닛(30)에 의해 가능하다. 즉, 패널간 연결유닛(30)은, 상기 온수패널(10)을 길이방향으로 연결하도록 길이방향으로 대응되는 수로(13)에 각각 삽입되는 복수개의 제2삽입부(41)와, 동일 선상의 제2삽입부(41) 간을 연통시키는 제2연결부(45), 및 상기 제2연결부(45) 간을 밀폐 상태로 연결하는 브릿지(47, bridge)로 구성된다. 다시 말해, 상기 패널간 연결유닛(30)은 동일 선상에 배치되는 수로(13) 간은 직선상으로 연결하되, 다른 선상에 배치되는 수로(13) 간에는 온수의 이동을 불가능하게 구성된다.
이러한 제2삽입부(41)에도 제1삽입부(21)와 마찬가지로 제2장착홈(42)과 제2수용부(43)가 구비되는데, 그 구체적인 구성은 제1삽입부(21)의 그것과 동일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온수패널(10)은 열전도율의 향상을 위하여 열전도성이 높은 물질이 혼합되어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동, 알루미늄, 구리 또는 그라파이트(graphite)를 합성수지에 혼합하여 온수패널(10)을 제작할 수 있다. 이중에서 그라파이트는 면 전체로 균일하게 열을 확산하므로 층 전체가 고른 온도 분포를 나타낼 수 있고, 기생충을 없애는 살충 효능을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그라파이트를 첨가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는 층 전체를 그라파이트로 제작해도 무방하다.
아울러, 열전도 효율의 향상을 위하여 온수패널(1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로(13) 사이의 공간이 함몰되고 그 위에 그라파이트로 이루어진 열 전달층(50)이 적층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온수패널 11 : 상판 12 : 하판
13 : 수로 14 : 격판
15 : 끼움돌기 16 : 끼움홈
16a : 이탈방지돌기
20 : 수로간 연결유닛 21 : 제1삽입부 22 : 제1장착홈
23 : 제1수용부 25 : 제1연결부
30 : 패킹
40 : 패널간 연결유닛 41 : 제2삽입부 42 : 제2장착홈
43 : 제2수용부 45 : 제2연결부
47 :브릿지
50 : 열 전달층

Claims (7)

  1. 상판(11)과 하판(12), 상기 상판(11)과 하판(12) 사이에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수로(13), 및 상기 상판(11)과 하판(12)을 지지하면서 상기 수로(13) 사이에 공기층을 형성하는 격판(14)으로 구성되며, 일측에는 선단 방향으로 폭이 점차 증가하도록 돌출되는 끼움돌기(15)가 구비되고 타측에는 상기 끼움돌기(15)가 삽입되어 끼움결합될 수 있도록 이탈방지돌기(16a)가 돌출형성된 끼움홈(16)이 구비된 온수패널(10);
    상기 인접한 수로(13)가 연통하도록 상기 인접한 수로(13)에 각각 삽입되는 제1삽입부(21)와 상기 제1삽입부(21) 간을 연결하는 제1연결부(25)로 구성되는 수로간 연결유닛(20);을 포함하고,
    상기 제1삽입부(21)에는 하나 이상의 패킹(30)이 삽입될 수 있도록 함몰된 제1장착홈(22)과, 상기 제1삽입부(21)가 상기 수로(13) 내에 결합되도록 상기 제1삽입부(21)의 삽입방향 후방으로 경사지게 돌출되는 복수개의 돌기에 접착제를 수용하는 제1수용부(23)가 구비하며,
    상기 온수패널(10)의 상단에는 수로(13) 사이의 공간이 함몰되고 그 위에 그라파이트로 이루어진 열 전달층(50)이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패널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로(13)의 내경은 상기 제1삽입부(21)의 내경과 동일하고 상기 수로(13)의 관 두께는 상기 제1삽입부(21)의 관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되어 상기 수로(13)의 내부는 상기 제1삽입부(21)가 삽입될 수 있도록 가공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패널 조립체.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용부(23)는 상기 제1삽입부(21)에서 함몰되는 복수개의 홈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패널 조립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수패널(10)을 길이방향으로 연결하도록 길이방향으로 대응되는 수로(13)에 각각 삽입되는 복수개의 제2삽입부(41)와, 동일 선상의 제2삽입부(41) 간을 연통시키는 제2연결부(45), 및 상기 제2연결부(45) 간을 밀폐 상태로 연결하는 브릿지(47)로 구성되는 패널간 연결유닛(30)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패널 조립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삽입부(41)에는 하나 이상의 패킹이 삽입될 수 있도록 함몰된 제2장착홈(42)과, 상기 제2삽입부(41)가 상기 수로(13) 내에 결합되도록 접착제를 수용하는 제2수용부(43)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패널 조립체.
  7. 삭제
KR1020150121675A 2015-08-28 2015-08-28 온수패널 조립체 KR1017731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1675A KR101773137B1 (ko) 2015-08-28 2015-08-28 온수패널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1675A KR101773137B1 (ko) 2015-08-28 2015-08-28 온수패널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5338A KR20170025338A (ko) 2017-03-08
KR101773137B1 true KR101773137B1 (ko) 2017-09-12

Family

ID=584042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1675A KR101773137B1 (ko) 2015-08-28 2015-08-28 온수패널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313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03448A (ja) * 1999-12-28 2009-05-14 Yamamoto Seisakusho:Kk 温水暖房パネル用の配管接続具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03448A (ja) * 1999-12-28 2009-05-14 Yamamoto Seisakusho:Kk 温水暖房パネル用の配管接続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5338A (ko) 2017-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714746C2 (ru) Строительная панель, предназначенная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обогревающих и/или охлаждающих стен зданий
US5743327A (en) Radiator system
US9834941B1 (en) Thermal break system for wall panels secured to an existing wall
JP2009047375A (ja) 貯湯タンク
KR20150029206A (ko) 냉난방용 복사패널
KR101924112B1 (ko) 배관연결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온수패널
KR101773137B1 (ko) 온수패널 조립체
KR101296606B1 (ko) 바닥 난방용 온수 순환마루
KR101501170B1 (ko) 건식 온돌 패널 및 건식 온돌 패널이 구성된 바닥 구조
KR101708442B1 (ko) 난방용 온수패널
JP5499971B2 (ja) 蓄熱ボード及び温調パネル
CN109237584A (zh) 干式地暖系统及其导热模块
KR20140128101A (ko) 냉난방용 복사패널
KR101536923B1 (ko) 벽체의 코너부 결합구조물
KR200397739Y1 (ko) 온돌마루용 방열부재
KR101702634B1 (ko) 온수마루
JP5861096B2 (ja) 鏡装置
KR101438490B1 (ko) 온수순환마루용 패널
KR200465006Y1 (ko) 방열기
KR100651184B1 (ko) 배관 블록 및 건식 난방 시스템
KR101536925B1 (ko) 벽체의 결합구조물
KR101406968B1 (ko) 난방용 온돌패널
KR20140124581A (ko) 에너지 절약형 온수패널과 이의 배치구조
KR102088087B1 (ko) 난방용 온돌바닥장치
KR940004945Y1 (ko) 조립식 온돌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