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9613Y1 - 배관 파이프 단열용 커버 - Google Patents

배관 파이프 단열용 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9613Y1
KR200349613Y1 KR20-2003-0039282U KR20030039282U KR200349613Y1 KR 200349613 Y1 KR200349613 Y1 KR 200349613Y1 KR 20030039282 U KR20030039282 U KR 20030039282U KR 200349613 Y1 KR200349613 Y1 KR 20034961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insulating
cover
insulating material
pipe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928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도민고
Original Assignee
성도민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도민고 filed Critical 성도민고
Priority to KR20-2003-003928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961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961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9613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0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2Shape or form of insulating materials, with or without coverings integral with the insulating materials
    • F16L59/028Composition or method of fixing a thermally insulating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0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2Shape or form of insulating materials, with or without coverings integral with the insulating materials
    • F16L59/021Shape or form of insulating materials, with or without coverings integral with the insulating materials comprising a single piece or sleeve, e.g. split sleeve, two half sleeves
    • F16L59/024Shape or form of insulating materials, with or without coverings integral with the insulating materials comprising a single piece or sleeve, e.g. split sleeve, two half sleeves composed of two half slee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배관용 파이프의 둘레에 씌워져 보냉·보온용으로 사용되는 단열용 커버에 관한 것으로서, 길이방향의 양끝단 중 일측으로 계단 형태로 홈부와 돌출부가 형성되게 되며, 이 때 내측에 돌출부가 형성되면, 동일한 단열재 커버의 길이방향의 타단측의 내측 단부에도 계단형의 홈부와 돌출부가 형성되고, 내측에는 홈부가 형성된 단열재 커버와, 상기 단열재 커버와 대응하도록 계단 형태로 홈부와 돌출부가 형성되게 되며, 상기 홈부는 상기 단열재 커버의 내측에 있는 돌출부와 대응하여 결합하도록 내측에 형성되고, 대응 단열재 커버의 길이방향의 일측의 내측 단부에도 계단형의 홈부와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단열재 커버의 홈부와 대응하여 결합하도록 내측에 형성된 대응 단열재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따라서, 단열재 커버를 배관 파이프 둘레에 설치함에 있어 반원형으로 이등분한 양 절단면의 결합이 지그재그형상으로 맞물려져 에너지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배관 파이프 단열용 커버{KEEPING WARM COVER FOR PIPE LAYING}
본 고안은 배관 파이프 단열용 커버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건축물의 냉난방 혹은 상하수도용 배관 파이프 둘레를 커버하도록 씌워 배관 파이프를 보온·보냉하기 위한 단열용 커버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내부에는 냉방과 난방을 위한 냉, 난방용 파이프 및 급수와 배수를 위한 급, 배수 파이프, 가스 배관 파이프 등의 각종 파이프들이 용도에 맞게 배관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파이프의 외측에는 단열재 커버를 씌워 냉, 난방용 파이프의 경우 냉에너지 혹은 열에너지의 손실을 최소화시키고, 동절기에는 파이프내의 물이 얼면 부피가 팽창하여 파이프가 동파된다.
건축물 내부에 배관되는 파이프의 외측에 씌워지는 단열재 커버는 통상적으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열소재 재질로 형성된 단열재 커버(12) 중앙에 중공부에 마련하여 단열재 커버(12)의 절단부(14)를 배관파이프(10)의 외경과 같은 형상으로 구성하여 배관 파이프(10)의 둘레를 커버하도록 씌운 뒤 단열재 커버(12)의 둘레를 비닐필름(11)으로 밴딩하여 마감한다.
그러나, 배관파이프(10)에 단열재 커버(12)가 씌워져 있기는 하나 반원형으로 절단된 절단부위의 작은 틈새로 에너지가 손실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에너지 손실은 단열재 커버들의 연결부부위에서 보다 심하게 발생됨으로 그 연결부위의 길이가 길수록 더 많아짐으로 더욱 더 에너지 손실을 최소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배관파이프를 커버하는 단열재 커버의 절단부를 서로 교호적으로 돌부와 홈부를 마련하여 서로 맞물림에 의한 실링효과를 제공하도록 함으로서 단열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배관 파이프 단열용 커버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서 해결한 기술적 특징으로는;
배관파이프의 보온·보냉을 위해 내부에 파이프를 수용하는 중공부를 구비하고, 소정의 길이를 지니고 배관파이프의 둘레에 씌워지는 반원형상의 단열재 커버에 있어서,길이방향의 양끝단 중 일측으로 계단 형태로 홈부와 돌출부가 형성되게 되며, 이 때 내측에 돌출부가 형성되면, 동일한 단열재 커버의 길이방향의 타단측의 내측 단부에도 계단형의 홈부와 돌출부가 형성되고, 내측에는 홈부가 형성된 단열재 커버와, 상기 단열재 커버와 대응하도록 계단 형태로 홈부와 돌출부가 형성되게 되며, 상기 홈부는 상기 단열재 커버의 내측에 있는 돌출부와 대응하여 결합하도록 내측에 형성되고, 대응 단열재 커버의 길이방향의 일측의 내측 단부에도 계단형의 홈부와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단열재 커버의 홈부와 대응하여 결합하도록 내측에 형성된 대응 단열재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외에도 단열커버의 길이방향으로 연이어 설치되는 다른 단열재 커버의 연결부위에도 상기한 바와 같이 돌부와 홈부를 각각 마련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그 결합부가 지그재그형태로 연결되도록 함으로서 절단부에서 손실되는 에너지를 최소화시킬 수 있어 기준의 단열재 커버에 비하여 매우 우수한 단열효과를 기대할 수있다.
도 1은 종래의 단열재 커버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A-A선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단열재의 설치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단열재 커버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3의 B-B선 단면도,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단열재 커버의 분해상태의 종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열재 커버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단열재 커버의 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횡단면도,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단열재 커버를 연이어 설치되는 상태의 횡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배관 파이프
22, 22a, 24:단열재 커버
26, 27a, 29:돌출부
26a,27, 29a:홈부29 : 종돌출부29a : 종홈부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배관파이프 단열용 커버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도 3에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배관 파이프 단열용 커버의 설치상태를 예시한 사시도이고, 도 4에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배관 파이프 단열용 커버의 분해사시도가 예시되어 있다.
본 고안은 2개로 분할된 단열재 커버를 파이프의 둘레에 결합함에 있어 일측의 단열재 커버(22)의 길이방향 일측 단부의 내측으로 제1 돌출부(26)를 구성하고, 길이방향의 타측 단부에의 내측으로는 제1 홈부(26a)를 구성한다. 또한, 단열재 커버(22)와 결합하는 대응 단열재 커버(24)에는 제1 돌출부(26)와 결합하도록 길이방향 내측으로 제2 홈부(27)를 구성하고, 대응 단열재 커버(24)의 타측에는 제2 홈부(26a)와 결합하도록 길이방향 내측으로 제2 돌출부(27a)를 구성한다.배관 파이프(10)를 단열재 커버(22)와 대응 단열재 커버(24)가 상호 요철모양으로 결합하는 형상이 되어 결합이 견고해 진다.
따라서, 본 고안은 단열재 커버를 파이프(10)둘레에 설치함에 있어 단열재 커버(22)(24)들간의 연결부위로 에너지가 손실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보다 더 확실한 단열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그로 인해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게 된다.또한 각각의 돌출부(26)(27a)와 홈부(26a)(27)가 서로 맞물려 조립되어질 때 파이프(10)의 외경이 커버의 중공부지름보다 다소 크더라도 상기 각각의 돌출부(26)(27a)와 홈부(26a)(27)의 조립에 따른 길이를 확보하고 있기 때문에 배관 파이프의 외경의 변화에 대응하여 단열재 커버(22)(24)를 배관 파이프(10)둘레에 씌울 수 있고, 그 연결부위에서 손실되는 에너지를 최소화시켜 에너지절감 효과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단열재 커버의 종단면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각각의 돌출부(26)(27a)와 홈부(26a)(27)를 서로 맞물려 결합되면 지그재그형식으로 결합되어져 그 틈새 사이로 열이 손실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그리고, 아울러, 전술한 돌출부(26)(27a)와 홈부(26a)(27)는 반원형으로 형성된 단열재 커버(22)(24)의 절단면, 즉 길이방향으로 각각 대칭되어지게 양측에 형성하여 두개의 단열재 커버(22)(24)가 상호 요철(凹凸)을 포함하기 때문에 결합이 견고하게 된다.
이러한 지그재그 결합방식은 이와 같이 단열재 커버(22)와 대응 단열재 커퍼(24)의 셋트로 다수개 길이방향으로 연이어 설치되는 다른 세트의 단열재 커버와의 결합시에도 적용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도 5에는 도 3의 B-B선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단열재 커버의 분해상태의 종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단열재 커버(22)는 그 길이방향의 양끝단 중 일측으로 계단 형태로 홈부와 제1 돌출부(26)가 형성되게 되며, 이 때 내측에 제1 돌출부(26)가 형성되면, 동일한 단열재 커버(22)의 길이방향의 타단측의 내측 단부에도 계단형의 제2 홈부(27)와 돌출부가 형성되며, 내측에는 제2 홈부(27)가 단열재 커버(22)의 내측에 있는 제1 돌출부(26)와 대응하여 결합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대응 단열재 커버(24)의 길이방향의 일측의 내측 단부에도 계단형의 홈부와 제2 돌출부(27a)가 형성된다. 또한, 대응 단열재 커버(24)의 길이방향의 타단측의 내측 단부에도 계단형의 홈부와 제2 돌출부(27a)가 형성되며, 제2 돌출부(27a)는 내측에는 단열재 커버(22)의 제1 홈부(26a)와 대응하여 결합한다.2개의 반원형의 단열재 커버들(22)(24)이 상호 결합하면, 각각의 돌출부(26)(27a)와 홈부(26a)(27)가 서로 맞물려 지면서 배관 파이프가 실링작용을 제공한다. 이 때, 실링이 더욱 견고해 지도록 하기 위하여 상호 결합된 단열재 커버(22)와 대응 단열재 커버(24)의 외측으로 선택적으로 테이핑하여 단열재 커버(22)와 대응 단열재 커버(24)가 상호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따라서, 배관 파이프(10)로부터 손실되는 열에너지를 보다 확실히 단열시키는 작용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단열재 커버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횡단면도이며,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단열재 커버를 연이어 설치되는 상태의 횡단면도이다.도 3, 도 4,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된 단열재 커버(22)(24)의 종단부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종돌출부(28)와 종홈부(28a)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 9를 참조하여 보면, 결합된 단열재 커버(22)(24)와 또 다른 단열재 커버를 결합하는 경우, 종돌출부(28)와 종홈부(28a)를 통해 연이어 결합되는 또 다른 단열재 커버의 연결 결합시 종돌출부(28)와 종홈부(28a)에 의해 상호 대응하여 맞물리므로 종단부의 연결부위에서 에너지가 손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결합된 단열재 커버(22)(24)의 일측 단부에는 그 길이방향 외측으로 연장되고, 외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종돌출부(28)를 마련하고, 그 반내쪽은 상기 종돌출부(28)위를 커버하는 종홈부(28a)을 마련하여 단열재 커버(22)(24)를 연이어 설치시 종돌출부(28)와 종홈부(28a)를 대응하는 종돌출부와 종홈부를 연이어 연결하여 배관 파이프(10)의 필요한 부분까지 단열재 커버들을 다수개 결합하여 연결한다.전술한 바와 같이 횡으로 단열재 커버(22)(24)가 돌출부(26)(27a)와 홈부(26a)(27)에 의해 대응하여 견고하게 결합되며, 또한, 종돌출부(28)와 종홈부(28a)를 포함하는 단열재 커버(22)(24)와 연결되는 다른 단열재 커버를 종돌출부(28)와 대응하는 종홈부를 연결하고, 또한, 또 다른 단열재 커버는 종홉부(28a)와 결합되는 종돌출부를 연결하여 종으로 종 및 횡으로 결합하여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구성함으로써, 테이핑이 필요 없도록 구성한다. 그러나, 외부에 설치되거나, 혹은 보다 견고한 내구성이 필요한 곳에는 필요에 따라 테이핑하여 보다 견고하게 구성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열재 커버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단부위를 단열재의 일부분만을 길이방향으로 절단하고, 그 절단된 면에 전술한 바와 같은 돌출부(29)와 홈부(29a)를 마련하여도 동일한 작용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 경우 절단된 면을 좌우로 벌려 단열재 커버(22a)를 배관 파이프(10)둘레에 씌운 뒤 다시 오므리면 재질의 탄성 또는 이미지 복원성에 의해 절단면 이외의 부분은 파이프(10)의 둘레에 씌워져 있고, 또 단열재 커버의 절단부위가 돌부(26)와 홈부(26a)에 의해 서로 맞물려 지그재그형태로 결합된다. 또한, 배관 파이프(10)의 단부가 결합되기 전이라면, 개방된 배관 파이프(10)의 단부를 통해 슬라이딩 형태로 단열재 커버(22a)의 중공부가 배관 파이프(10)를 관통하여 결합되도록 결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실시예에서는 단열재 커버(22a)를 테이핑하지 않아도 일정 이상의 내구성을 갖게 되므로 테이핑하지 않아도 무방하다. 그러나, 필요에 따라 테이핑 하여 보다 견고하게 구성할 수도 있다.
따라서, 서로 맞물린 돌부(29)와 홈부(29a)는 단열재 커버(22a)의 서로 맞물림 즉, 실링작용을 제공하여 에너지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단열재 커버를 파이프 둘레에 설치함에 있어 단열재 커버들간의 연결부위에서 에너지가 손실되는 것을 방지하여 보다 더 확실한 단열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또한, 본 고안은 단열재 커버를 종 및 횡으로 요철에 의해 결합하여 견고하게 결합하게 할 수 있으므로, 보다 간편하게 조립하여 테이핑을 하지 않고서도 일정 강도록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배관파이프(10)의 보온·보냉을 위해 배관파이프(10)의 둘레에 씌워지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단열재 커버에 있어서,
    길이방향의 양끝단 중 일측으로 계단 형태로 홈부와 돌출부(26)가 형성되게 되며, 이 때 내측에 돌출부(26)가 형성되면, 동일한 단열재 커버(22)의 길이방향의 타단측의 내측 단부에도 계단형의 홈부(26a)와 돌출부가 형성되고, 내측에는 홈부(26a)가 형성된 단열재 커버(22)와;
    상기 단열재 커버(22)와 대응하도록 계단 형태로 홈부(27)와 돌출부가 형성되게 되며, 상기 홈부(27)는 상기 단열재 커버(22)의 내측에 있는 돌출부(26)와 대응하여 결합하도록 내측에 형성되고, 대응 단열재 커버(24)의 길이방향의 일측의 내측 단부에도 계단형의 홈부와 돌출부(27a)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27a)는 상기 단열재 커버(22)의 홈부(26a)와 대응하여 결합하도록 내측에 형성된 대응 단열재 커버(24)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파이프 단열용 커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원형 단열재 커버(22)(24)의 길이방향의 양 끝단중 일측단에는 외경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지니는 종돌출부(28)를 구성하고, 타측단에는 상기 종돌출부(28)를 수용하는 내경을 갖는 종홈부(28a)가 더 형성하여 상기 단열재 커버(22)(24)의 길이방향으로 연이어 연결되는 다른 단열재 커버의 연결시 상기 종돌출부(28)와 종홈부(28a)에 의해 결합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파이프 단열용 커버.
  3. 배관파이프(10)의 보온·보냉을 위해 배관파이프(10)의 둘레에 씌워지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단열재 커버에 있어서,
    상기 보온커버를 일체형으로 구성하고, 상기 단열재 커버의 길이방향으로 절단면을 형성하되, 상기 절단면의 일측의 단면의 내측에 돌출부(29)를 구성하고, 상기 돌출부(29)와 대응하여 결합하도록 상기 절단면의 타측의 단면의 내측에 상기 돌출부와 대응하여 결합하는 홈부(29)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파이프 단열용 커버.
KR20-2003-0039282U 2003-12-17 2003-12-17 배관 파이프 단열용 커버 KR20034961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9282U KR200349613Y1 (ko) 2003-12-17 2003-12-17 배관 파이프 단열용 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9282U KR200349613Y1 (ko) 2003-12-17 2003-12-17 배관 파이프 단열용 커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9613Y1 true KR200349613Y1 (ko) 2004-05-10

Family

ID=494296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9282U KR200349613Y1 (ko) 2003-12-17 2003-12-17 배관 파이프 단열용 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9613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8424Y1 (ko) 2013-03-27 2013-08-20 주식회사 제이투이앤씨 드레인배관의 동파 방지장치
KR101628679B1 (ko) * 2016-05-02 2016-06-09 최재훈 파이프용 보온커버 제조장치
KR20160129284A (ko) * 2015-04-30 2016-11-09 (주)동인엔지니어링 단열성능이 강화된 배관용 단열장치
WO2020013367A1 (ko) * 2018-07-10 2020-01-16 주식회사 하이낸드 단열 성능저하 방지를 위한 고온 단열재의 체결장치
KR20200022573A (ko) * 2018-08-23 2020-03-04 주식회사 국일인토트 파이프 커버 및 그 제조 방법
KR200497563Y1 (ko) * 2023-05-08 2023-12-20 (주)씽킹메이킹 금속배관용 안전보호커버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8424Y1 (ko) 2013-03-27 2013-08-20 주식회사 제이투이앤씨 드레인배관의 동파 방지장치
KR20160129284A (ko) * 2015-04-30 2016-11-09 (주)동인엔지니어링 단열성능이 강화된 배관용 단열장치
KR101686971B1 (ko) * 2015-04-30 2016-12-16 (주)동인엔지니어링 단열성능이 강화된 배관용 단열장치
KR101628679B1 (ko) * 2016-05-02 2016-06-09 최재훈 파이프용 보온커버 제조장치
WO2020013367A1 (ko) * 2018-07-10 2020-01-16 주식회사 하이낸드 단열 성능저하 방지를 위한 고온 단열재의 체결장치
KR20200022573A (ko) * 2018-08-23 2020-03-04 주식회사 국일인토트 파이프 커버 및 그 제조 방법
KR102197060B1 (ko) * 2018-08-23 2020-12-30 주식회사 국일인토트 파이프 커버 및 그 제조 방법
KR200497563Y1 (ko) * 2023-05-08 2023-12-20 (주)씽킹메이킹 금속배관용 안전보호커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02574B1 (en) Extendable, rollable member
KR100340304B1 (ko) 합성수지제 파형관
JP2007295792A (ja) 防火ホース
KR200349613Y1 (ko) 배관 파이프 단열용 커버
US20230194040A1 (en) Pipe Assembly Insulation and Vapor Barrier
JP4863986B2 (ja) 貫通ダクトとその貫通ダクトを用いた中空壁のダクト構造
KR101289778B1 (ko) 케이블 보호관 연결구
KR200397821Y1 (ko) 샌드위치 패널
JP2002303395A (ja) 断熱被覆管端部シール用キャップ、および断熱被覆管端部のシール方法
KR101428733B1 (ko) 가변성 아치형 샌드위치패널
JPH059590Y2 (ko)
US20070190839A1 (en) Cable end joint assembly
JP3069313B2 (ja) 排水管接続用ソケット
KR20170120457A (ko) 진공단열패널을 이용한 hvac 덕트 및 그 연결체
FR2893101A1 (fr) Dispositif de jonction par embrevement de panneaux sandwich
KR200358803Y1 (ko) 드레인호스 구조
KR200377007Y1 (ko) 배관용 엘보우 덕트커버 연결구조
CN219954690U (zh) 一种t型管道预制保温套
KR101442563B1 (ko) 파이프 보온시트
KR100453541B1 (ko) 드레인호스 구조
KR200238366Y1 (ko) 엘보관용 단열재
FI102853B (fi) Eristetyn ilmanvaihtokanavan liitoksen tiivistämisjärjestely
JP2006029382A (ja) 通水管用の鞘管
KR200359242Y1 (ko) 배관 파이프용 단열재
KR200295269Y1 (ko) 조립식패널의 맞물림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