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8366Y1 - 엘보관용 단열재 - Google Patents

엘보관용 단열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8366Y1
KR200238366Y1 KR2020010006410U KR20010006410U KR200238366Y1 KR 200238366 Y1 KR200238366 Y1 KR 200238366Y1 KR 2020010006410 U KR2020010006410 U KR 2020010006410U KR 20010006410 U KR20010006410 U KR 20010006410U KR 200238366 Y1 KR200238366 Y1 KR 20023836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bow
insulation
present
insulating material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641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대영
Original Assignee
최대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대영 filed Critical 최대영
Priority to KR202001000641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836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836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8366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엘보관 외주면에 설치되어 관의 열 누출을 효과적으로 차단시킬 수 있는 엘보관용 단열재에 관한것이다.
본 고안은 불연소재로 된 단열재를 엘보관 형태로 형성하고 길이방향으로 양분한 다음, 상기 단열재(30)(30')를 상호 대응되게 양측면에 2단으로 된

Description

엘보관용 단열재{Heat insulator of elbow tube}
본 고안은 엘보관용 단열재에 관한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엘보관부위의열의 누출을 더욱더 효과적으로 차단시킬수 있는 엘보관용 단열재에 관한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스나 냉온수와 같은 유체를 이송 하는 유체관은 이송중에 열의 손실을 막기위해 관의 외주부에 단열재가 설치되며, 유체의 흐름을 변경하기 위한 직관(1)과 직관(1) 사이의 굴곡부에는엘보관(2)이 설치되는데, 지금까지는 상기 엘보관(2) 외주부에는 직관(1)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단열재를 적용할수가 없어 직관 상태의 단열재를 여러조각으로 절단하여 엘보관(2)의 외주부에 결합하고, 비닐과 같은 테이프를 감아 엘보관을 단열재로 감쌌다.
그러나, 종래와 같이 단열재(3)를 여러조각으로 절단하여 엘보관(2)의 외주부에 접촉 시킬시에는 조각난 단열재(3) 사이사이에 틈이 생겨서 열의 누출이 극심할 뿐만 아니라, 단열재 외부에 테이프를 감았다 하더라도 테이프의 표면이 울퉁불퉁하여 미관상 미려하지 않으며, 조각된 단열재(3)를 엘보관(2) 주변에 일일이 붙인 다음 테이프로 작업하는 시간이 길어져 그 작업성이 매우 저조하다는 등의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인출된 것으로서 엘보관 외주부에 조각난 단열재 대신 엘보관 형태의 단열재를 엘보관 형태로 형성하고 길이방향으로 양분한 다음, 상기 단열재를 상호 대응하여 접촉되는 양측면에 2단으로 형태의 굴곡면을 형성하여, 상기 단열재를 상호 결합 하므로서 단열재의 결합이 용이하고 열의 누출을 효과적으로 차단할수있으며 그 설치 작업이 매우 간편하고 신속하여 시공비가 크게 절감되는 엘보관용 단열재를 만드는데 고안의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엘보관에 설치되는 단열재를 테이프 등으로 고정한 것을 보인 일부 절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단열재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단열재를 엘보관에 설치한상태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고안 단열재를 엘보관에 설치한 상태도,
도 5은 도 4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직관 20:엘보관
30,30':단열재 30a,30a':형태의 굴곡면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불연소재로 된 단열재를 엘보관 형태로 형성하고 길이 방향으로 양분한 다음, 상기 단열재를 상호 대응되게 양측면에 2단으로된형태의 굴곡면을 형성 한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라 단열재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 단열재를 엘보관에 설치한 상태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단열재를 엘보관에 설치한 상태도이며, 도 5는 도 4의 단면도 이다.
직관(10)과 직관(10) 사이의 굴곡부의 엘보관(20) 외주부에 단열재가 설치되는데, 이 단열재는 엘보관 형태의 단열재(30)(30')를 길이방향으로 양분한 다음, 상호 대응하는 양측면에 2단으로된형태의 굴곡면(30a)(30a')을 형성하여 이루어진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을 엘보관에 설치하는 설치 방법은 엘보관(20)외면에 두 조각의 단열재(30)(30')를 서로 결합 하는데 이때형태의 굴곡면(30)(30')이 서로 맞닿아 결착되게 하므로서 완료된다.
엘보관(20)에 본 고안의 단열재가 결합되면 도 5와 같은 단면 형태가 되며 단열재 외부에 별도의 테이프등의 결착수단이 필요없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엘보관을 단열재로 시공 하는데 있어 두 조각의 단열재(30)(30')을 엘보관 외주면에 맞대어 결착만하면 시공이 완료 되므로 시공이 간편하고 엘보관 내의 열 방산이 거의 없는 효과가 있는 고안이다.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 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Claims (1)

  1. 불연 소재의 단열재를 엘보관 형태로 형성하고 단열재 중심부를 서로 양분한 다음 각각의 단열재(30)(30')가 서로 맞닺는 부분을형태의 굴곡면(30a)(30a')으로 형성한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보관용 단열재.
KR2020010006410U 2001-03-09 2001-03-09 엘보관용 단열재 KR20023836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6410U KR200238366Y1 (ko) 2001-03-09 2001-03-09 엘보관용 단열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6410U KR200238366Y1 (ko) 2001-03-09 2001-03-09 엘보관용 단열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8366Y1 true KR200238366Y1 (ko) 2001-10-06

Family

ID=730540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6410U KR200238366Y1 (ko) 2001-03-09 2001-03-09 엘보관용 단열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836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3634B1 (ko) 2019-01-02 2019-12-09 두성단열(주) 신속하고 대량생산이 가능한 대형 엘보관용 단열재 제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3634B1 (ko) 2019-01-02 2019-12-09 두성단열(주) 신속하고 대량생산이 가능한 대형 엘보관용 단열재 제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11375A (ko) 팽창밸브 부착부재
KR200238366Y1 (ko) 엘보관용 단열재
CA1047063A (en) Electrically insulating pipe coupling
DE29806128U1 (de) Dämmelement für Flächenheizungsrohre, insbesondere Fußbodenheizungsrohre
US5040753A (en) Pipe support
CA2444838A1 (en) Nuclear fuel body including tungsten network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N1936409A (zh) 金属真空隔热套管
MXPA01013353A (es) Empaque y metodo para fabricacion y uso con tubo corrugado.
KR200327571Y1 (ko) 단열용 파이프
US20190380173A1 (en) System for heating kerosene
BR0113370B1 (pt) revestimento isolante térmico e flexìvel para tubos e método de produção do mesmo.
WO2000000778A3 (en) Radiating elements for heat exchanger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uch heat exchangers
DK1225283T3 (da) Byggeelement til varmeisolering
KR200349613Y1 (ko) 배관 파이프 단열용 커버
KR970075817A (ko) 냉매호스연결구를 구비한 오일쿨러 및 그 제조방법
JP2007100960A (ja) 圧力導管
JPH01214626A (ja) 真空二重管
KR200235065Y1 (ko) 엘보관용 단열재 카바
KR200364091Y1 (ko) 시공이 용이한 스티로폴 배관보온커버
JP2007003130A (ja) スターリングサイクル機関
KR102197060B1 (ko) 파이프 커버 및 그 제조 방법
CN206290911U (zh) 带有保温结构的管道
KR100535707B1 (ko) 고온, 고압용 이중배관
CN219954690U (zh) 一种t型管道预制保温套
CN210800469U (zh) 金属保温弯管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70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