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8442B1 - 난방용 온수패널 - Google Patents

난방용 온수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8442B1
KR101708442B1 KR1020160093672A KR20160093672A KR101708442B1 KR 101708442 B1 KR101708442 B1 KR 101708442B1 KR 1020160093672 A KR1020160093672 A KR 1020160093672A KR 20160093672 A KR20160093672 A KR 20160093672A KR 101708442 B1 KR101708442 B1 KR 1017084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water
pipe
heating
water supply
supply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36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보람
Original Assignee
나경인터내셔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경인터내셔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나경인터내셔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936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8442B1/ko
Priority to PCT/KR2016/012876 priority patent/WO2018016681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84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84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2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 F24D3/14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incorporated in a ceiling, wall or flo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02Arrangement of mountings or supports for radi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02Arrangement of mountings or supports for radiators
    • F24D19/0203Types of supporting means
    • F24D19/0213Floor mounted suppor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06Casings, cover lids or ornamental panels, for radi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20Heat consumers
    • F24D2220/2081Floor or wall heating pane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Abstract

본 발명은 바닥 난방을 위해 설치되는 온수패널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난방수가 진행하는 온수관(15)이 안착되도록 상부가 개방되어 일정간격으로 연이어지게 배열되는 온수관지지브라켓(11)으로 이루어진 온수관지지체(10)와, 온수공급장치(B)로부터 가열된 난방수를 온수관으로 공급하도록 온수관지지체의 일 측변 길이방향의 온수관 입구와 연결 설치하여 된 온수공급관(25)과, 상기 온수관 출구로 배출되는 난방수를 온수공급장치로 공급하도록 온수관지지체의 타 측변 온수관 출구와 연결 설치하여 된 온수배출관(35)과, 상기 온수관지지체, 온수공급관 및 온수배출관에서 발생하는 열을 단열하도록 마련된 단열재(50)와, 상기 온수관지지체, 온수공급관, 온수배출관을 덮어 마감하도록 고정 설치되는 열전도판(60)으로 구성된 난방용 온수패널에 있어서,
상기 단열재(50)의 외곽 측변에는 상기 온수관지지체, 온수공급관 및 온수배출관을 수용하며 그 각 온수관지지체, 온수공급관 및 온수배출관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를 유지하는 외형틀체(40)가 설치되고, 상기 단열재(50)는 상기 외형틀체 내부에 수용된 상기 온수관지지체, 온수공급관 및 온수배출관의 상부표면을 제외한 나머지 공간을 모두 메우도록 채워지며, 상기 온수관지지브라켓(11)의 하부에는 온수관지지브라켓의 길이방향을 따라 온수관지지브라켓을 수직방향으로 지지하는 온수관수직지지구(12)가 설치되고 그 온수관수직지지구 사이사이 종·횡방향으로는 온수관수평지지구(13)가 상호 연결 설치되며, 상기 온수공급관(25)은 상기 외형틀체의 가로 측변을 따라 설치되는 종분배관(25a)과 그 종분배관에 관연결구(70)를 매개로 연결되어 상기 외형틀체(40)의 세로 측변을 따라 설치되는 횡분배관(25b)으로 구성되고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상기 온수공급관(25)은 상기 온수관지지체와 동일한 형상으로 마련되어 상기 온수공급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된 온수공급관지지체(20)에 안착되고, 상기 온수배출관(35)은 상기 외형틀체의 가로 측변을 따라 설치되는 종회수관(35a)과, 그 종회수관에 관연결구(70)를 매개로 연결되어 상기 외형틀체의 세로 측변을 따라 설치되는 횡회수관(35b)으로 구성되고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상기 온수배출관(35)은 상기 온수관지지체와 동일한 형상으로 마련되어 상기 온수배출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된 온수배출관지지체(30)에 안착시켜 된 것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난방용 온수패널{Hot water heating panel}
본 발명은 바닥 난방을 위해 설치되는 온수패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온수공급장치로부터 가열된 상태로 공급된 난방수에 의해 난방 대상이 되는 지면의 면적에 관계없이 단열된 상태에서 신속하고 균일하게 난방되도록 할 수 있으면서도, 그 난방수에 의한 열 변형을 방지할 수 있고, 신속하고 간편하며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는 난방용 온수패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거용 건축물의 난방은 바닥면의 콘크리트 슬라브 상면에 난방용 온수관 배치를 한 다음 보일러에서 히팅된 온수가 온수관을 통과하면서 난방을 행하도록 되어있으며, 이러한 시공방법에는 상기 콘크리트 슬라브 상에 일정간격을 갖도록 온수관을 못이나 스크류 또는 와이어등과 같은 고정수단을 사용하여 설치한 다음 그 상부로 마감 몰탈층을 형성시켜 시공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온수관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일일이 작업자가 온수관을 고정시키는 작업공정을 거쳐야 하기 때문에 번거로울뿐만 아니라 작업 시간이 많이 소요되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종래 난방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건축물의 콘크리트 바닥면에 다수의 온수판넬이 연결되도록 깔고, 그 온수판넬의 상면에 형성된 삽입홈에 온수관을 설치하는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난방을 위한 온수관을 설치하기 위해 삽입홈을 가지는 온수판넬로는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165359호의 "온돌바닥용 판넬"과,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61499호의 "온수 난방관 설치부재"와, 한국공개특허 제10-2016-0069169호의 "난방용 온수판넬" 등이 제안되었다.
상기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165359호에 의하면, 판넬의 바닥면에는 공기층(40)이 형성되도록 다리(14)를 형성하고, 상면에는 일정 간격으로 반원형의 파이프 삽입홈(11)이 상호 교차되게 형성하여, 단열성 및 차음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이 제안되었다.
또한,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61499호의 "온수 난방관 설치부재"에 의하면, 발포수지로 구비된 판넬본체의 상면에 온수관을 삽입하여 배치될 수 있도록 하는 삽입홈부를 형성시켜 형태안정성 및 난방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한국공개특허 제10-2016-0069169호에 의하면, 질석판넬로 이루어진 상,하판 사이에 압출 발포 폴리스틸렌 단열보드를 부착하여 주판넬을 구성하고, 단열보드의 상면에 등간격으로 상향개구된 온수관 삽입홈을 형성시켜 완충, 방음, 보온성 및 경량성을 갖도록 하는 방안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의 종래 기술들은 건축물의 콘크리트 바닥면에 다수의 온수판넬이 연결되도록 깔고 그 온수판넬 내부에 단열을 위해 설치되는 발포수지의 상면에 형성된 삽입홈에 온수관을 설치하게 되는바, 무게를 경량화하여 운반 등이 용이하면서 간편하게 시공을 할 수 장점이 있다.
하지만, 발포수지는 발포 폴리에틸렌, 네오폴 등의 재질로 이루어진 것이기 때문에, 난방시 보일러로부터 가열된 온수가 온수관에 공급되면 온수관이 설치되는 삽입홈에 온수의 열이 그대로 전달됨에 따라, 열에 의한 발포수지의 형태 변형이 쉽게 일어나게 되었고, 온수관과 접촉된 상태의 삽입홈은 열에 의한 변형이 더욱 쉽게 일어나게 되어 삽입홈의 열 변형에 의한 온수관의 위치가 임의로 변경되는 것은 물론, 이로 인한 온수의 원활한 흐름이 방해되는 요인으로 작용하게 되었으며, 이는 결국 난방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를 야기하게 되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165359호(1999.10.18.등록, 온돌바닥용 판넬)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61499호(2012.07.10.등록, 온수 난방관 설치부재) 한국공개특허 제10-2016-0069169호(2016.06.16.공개, 난방용 온수판넬)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온수공급장치로부터 가열된 상태로 공급된 난방수에 의해 난방 대상이 되는 지면의 면적에 관계없이 단열된 상태에서 신속하고 균일하게 난방되도록 할 수 있으면서도, 그 난방수에 의한 열 변형을 방지할 수 있고, 신속하고 간편하며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는 난방용 온수패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 그 구성은, 난방수가 진행하는 온수관(15)이 안착되도록 상부가 개방되어 일정간격으로 연이어지게 배열되는 온수관지지브라켓(11)으로 이루어진 온수관지지체(10)와, 온수공급장치(B)로부터 가열된 난방수를 온수관으로 공급하도록 온수관지지체의 일 측변 길이방향의 온수관 입구와 연결 설치하여 된 온수공급관(25)과, 상기 온수관 출구로 배출되는 난방수를 온수공급장치로 공급하도록 온수관지지체의 타 측변 온수관 출구와 연결 설치하여 된 온수배출관(35)과, 상기 온수관지지체, 온수공급관 및 온수배출관에서 발생하는 열을 단열하도록 마련된 단열재(50)와, 상기 온수관지지체, 온수공급관, 온수배출관을 덮어 마감하도록 고정 설치되는 열전도판(60)으로 구성된 난방용 온수패널에 있어서,
상기 단열재(50)의 외곽 측변에는 상기 온수관지지체, 온수공급관 및 온수배출관을 수용하며 그 각 온수관지지체, 온수공급관 및 온수배출관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를 유지하는 외형틀체(40)가 설치되고, 상기 단열재(50)는 상기 외형틀체 내부에 수용된 상기 온수관지지체, 온수공급관 및 온수배출관의 상부표면을 제외한 나머지 공간을 모두 메우도록 채워지며, 상기 온수관지지브라켓(11)의 하부에는 온수관지지브라켓의 길이방향을 따라 온수관지지브라켓을 수직방향으로 지지하는 온수관수직지지구(12)가 설치되고 그 온수관수직지지구 사이사이 종·횡방향으로는 온수관수평지지구(13)가 상호 연결 설치되며, 상기 온수공급관(25)은 상기 외형틀체의 가로 측변을 따라 설치되는 종분배관(25a)과 그 종분배관에 관연결구(70)를 매개로 연결되어 상기 외형틀체(40)의 세로 측변을 따라 설치되는 횡분배관(25b)으로 구성되고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상기 온수공급관(25)은 상기 온수관지지체와 동일한 형상으로 마련되어 상기 온수공급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된 온수공급관지지체(20)에 안착되고, 상기 온수배출관(35)은 상기 외형틀체의 가로 측변을 따라 설치되는 종회수관(35a)과, 그 종회수관에 관연결구(70)를 매개로 연결되어 상기 외형틀체의 세로 측변을 따라 설치되는 횡회수관(35b)으로 구성되고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상기 온수배출관(35)은 상기 온수관지지체와 동일한 형상으로 마련되어 상기 온수배출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된 온수배출관지지체(30)에 안착시켜 된 것으로 이루어진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난방용 온수패널은 온수공급장치로부터 가열된 상태로 공급된 난방수에 의해 난방 대상이 되는 지면의 면적에 관계없이 단열된 상태에서 신속하고 균일하게 난방되도록 할 수 있어 난방 효율성이 증대되고, 그 난방수에 의한 열 변형을 방지할 수 있어 제품 안정성이 증대되며, 신속하고 간편하며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어, 시공 편의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난방용 온수패널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온수관지지체를 나타낸 저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온수관, 온수공급관 및 온수배출관이 상호 연결된 상태를 발췌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온수공급관지지체 및 온수배출관지지체를 나타낸 저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외형틀체 내에 온수관지지체, 온수공급관지지체 및 온수배출관지지체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외형틀체 내부에 단열재를 메워서 채워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단열재를 나타낸 저면사시도,
도 8은 도 6에서 외형틀체의 상측에 방열판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도 5에 대한 A-A 단면도,
도 10은 도 5에 대한 B-B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난방용 온수패널이 복수개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라 복수개 설치된 난방용 온수패널에 난방수가 이동하는 방향을 나타낸 개략도,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온수공급관지지체 및 온수배출관지지체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온수관지지브라켓, 공급관지지브라켓, 배출관지지브라켓 및 온수관의 폭방향 단면 형상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따른 난방용 온수패널은 난방 대상이 되는 지면에 설치되고, 그 난방용 온수패널에 공급되어 이동되는 난방수의 열에 의해 난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으로, 도 1과 같이 크게 온수관지지체(10), 온수관(15), 온수공급관(25), 온수배출관(35), 외형틀체(40), 단열재(50) 및 열전도판(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삭제
삭제
먼저, 도 2와 같이 온수관지지체(10)는 온수관지지브라켓(11) 및 온수관수직지지구(12)를 구비하여 된 것으로, 이러한 온수관지지브라켓(11)은 난방수가 진행하는 온수관(15)이 안착되도록 상부가 개방되어 일정 간격으로 연이어지게 배열되고, 온수관수직지지구(12)는 온수관지지브라켓(11)의 길이방향을 따라 그 온수관지지브라켓(11)의 하부에 수직하게 설치된다.
여기서, 온수관지지체(10)는 온수관수직지지구(12) 사이를 종·횡방향으로 상호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온수관수평지지구(13)가 더 구비될 수 있는 것으로, 이러한 온수관수평지지구(13)는 온수관수직지지구(12)의 견고한 설치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면서도 일정 간격으로 배열된 온수관지지브라켓(11)이 그 배열된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때, 온수관지지체(10)는 열전도율이 낮으면서도, 난방수의 열에 의해 쉽게 변형되지 않을 수 있는 재질로 형성함이 바람직하고, 또 온수관지지체(10)는 단열재(50)에 의해 열 변형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온수관지지체(10)의 바람직한 일예로는 ABS 수지(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resin)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ABS 수지는 아크리로니트릴(A), 브타디엔(B), 스티렌(S)의 세 가지 성분으로 이루어진 스타이렌수지인 것으로, 내충격성, 내약품성, 내열성 등이 뛰어나고, 사출 또는 압출 성형등의 2차 가공성이 우수하여, 자동차부품이나 전기기기부품 등의 공업용품에 금속 대용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삭제
온수공급관(25)은 온수관지지체(10)의 일 측변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어 온수공급장치(B)로부터 가열된 난방수를 공급받아 온수관(15)의 입구로 난방수가 공급되도록 하는 것으로, 이러한 온수공급관(25)은 관연결구(70)를 매개로 온수관(15)의 입구와 연결 설치된다.
이러한 온수공급관(25)은 외형틀체(40)의 가로 측변을 따라 설치되는 종분배관(25a)과, 종분배관(25a)에 관연결구(70)를 매개로 연결되어 외형틀체(40)의 세로 측변을 따라 설치되는 횡분배관(25b)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온수공급장치(B)는 난방수를 가열하기 위한 히팅수단과, 온수공급장치(B)에서 공급된 난방수가 온수공급관(25), 온수관(15) 및 온수배출관(35)을 순환한 이후 다시 온수공급장치(B)로 회귀되도록 하기 위한 순환펌프가 구비된 것이다.
온수배출관(35)은 온수관지지체(10)의 타 측변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어 온수관(15)의 출구에서 배출되는 난방수를 받아 온수공급장치(B)로 공급되도록 하는 것으로, 이러한 온수배출관(35)은 관연결구(70)를 매개로 온수관(15)의 출구와 연결 설치된다.
이러한 온수배출관(35)은 외형틀체(40)의 가로 측변을 따라 설치되는 종회수관(35a)과, 종회수관(35a)에 관연결구(70)를 매개로 연결되어 외형틀체(40)의 세로 측변을 따라 설치되는 횡회수관(35b)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한 온수관(15), 온수공급관(25) 및 온수배출관(35)은 열전도율이 높으면서도 난방수에 의한 열에 의해 쉽게 변형되지 않는 재질의 것이 바람직하며, 그 예로 고무, 엑셀관과 같은 수지재질은 물론 알루미늄(Al)과 같은 금속재질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관연결구(70)는 도 3과 같이 온수관(15)과 온수공급관(25), 온수관(15)과 온수배출관(35), 종분배관(25a)과 횡분배관(25b), 그리고 종회수관(35a)과 횡회수관(35b)이 상호 연결되는 끝단에 긴밀히 끼워져 난방수가 누출되지 않도록 결합되는 것으로, 그 결합되는 측의 형상은 '─'자, 'ㄱ'자, '┬'자, '⊃' 자 형상으로 다양하게 형성되어 상호 결합되는 위치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온수공급관(25)은 종분배관(25a) 및 횡분배관(25b)으로 형성되고, 온수배출관(35)은 종회수관(35a) 및 횡회수관(35b)으로 형성된 것으로 설명하나, 이와는 달리 도 13의 (a)와 같이 횡분배관(25b) 및 횡회수관(35b)으로 형성되거나, (b)와 같이 종분배관(25a)과 횡분배관(25b) 및 횡회수관(35b)으로 형성되거나, (c)와 같이 횡분배관(25b)과 종회수관(35a) 및 횡회수관(35b)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온수공급관(25) 및 온수배출관(35)은 온수관(15)의 설치방향에 따라 종·횡방향이 변경되거나, 온수공급관(25) 및 온수배출관(35)의 설치방향이 서로 반대가 될 수도 있는 것이다.
이때, 온수공급관(25) 및 온수배출관(35)은 온수관지지체(10)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된 온수공급관지지체(20) 및 온수배출관지지체(30)에 의해 각각 지지된 상태로 그 상측에 안착되도록 설치될 수 있는 것으로, 온수공급관지지체(20)는 온수공급관(25)을 따라 설치되어 그 상측에는 온수공급관(25)이 안착되는 것이고, 온수배출관지지체(30)는 온수배출관(35)을 따라 설치되어 그 상측에는 온수배출관(35)이 안착되는 것이다.
다시 말해, 도 4와 같이, 온수공급관지지체(20)는 온수공급관(25)이 안착되도록 상부가 개구된 공급관지지브라켓(21)과, 공급관지지브라켓(21)의 하부에 공급관지지브라켓(21)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공급관수직지지구(22)와, 공급관수직지지구(22)를 상호 연결하는 공급관수평지지구(23)로 형성되고, 온수배출관지지체(30)는 온수배출관(35)이 안착되도록 상부가 개구된 배출관지지브라켓(31)과, 배출관지지브라켓(31)의 하부에 배출관지지브라켓(31)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배출관수직지지구(32)와, 배출관수직지지구(32)를 상호 연결하는 배출관수평지지구(33)로 형성된다.
이러한 온수공급관지지체(20) 및 온수배출관지지체(30)는 온수관지지체(10)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져, 난방수의 열이 단열재(50)로 전도되는 것을 효율적으로 차단하면서도 그 난방수의 열에 의해 쉽게 변형되지 않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외형틀체(40)는 도 5와 같이 온수관지지체(10), 온수공급관(25) 및 온수배출관(35)의 외곽 측변에 설치되어, 이 외곽 측변에 의해 형성된 내부 수용공간(S)에 온수관지지체(10), 온수공급관(25) 및 온수배출관(35)이 수용되도록 한 것으로, 본 제1실시예에 따른 외형틀체(40)는 상면과 하면이 모두 개방된 것으로 설명하나, 이와는 달리 하면이 폐쇄된 것일 수도 있으며, 이와 같은 외형틀체(40)의 하면을 개방시킨 이유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이때, 외형틀체(40) 내부의 수용공간(S)에 온수공급관지지체(20) 및 온수배출관지지체(30)를 배열함에 있어서, 이들 온수공급관지지체(20) 및 온수배출관지지체(30)와 온수관지지체(10)의 이격거리는 온수관지지브라켓(11) 사이의 이격거리와 동일한 간격으로 설치하는 것이 후술할 열전도판에 난방수의 열이 균일한 간격으로 전도되어 난방되도록 할 수 있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난방 대상이 되는 지면에 복수개의 외형틀체(40)가 설치되어야 하는 경우에도 난방수의 열이 균일한 간격으로 전도되어 난방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외형틀체(40)와 온수공급관지지체(20) 및 온수배출관지지체(30) 사이의 이격거리를 온수공급관지지체(20) 및 온수배출관지지체(30)와 온수관지지체(10) 사이의 이격거리보다 짧은 간격 즉, 어느 하나의 외형틀체(40) 내부 수용공간(S)에 설치된 온수공급관지지체(20)와 다른 하나의 외형틀체(40) 내부 수용공간(S)에 설치된 온수배출관지지체(30)의 간격이 각각의 외형틀체(40) 내부 수용공간(S)에 설치된 온수공급관지지체(20) 및 온수배출관지지체(30)와 온수관지지체(10) 사이의 이격거리와 동일한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열재(50)는 도 6과 같이 외형틀체(40) 내부의 수용공간(S)으로 수용된 온수관지지체(10), 온수공급관(25) 및 온수배출관(35)의 상부표면을 제외한 나머지 공간을 메우도록 외형틀체(40)의 내부의 수용공간(S)에 채워지는 것이다.
이러한 단열재(50)는 온수관지지체(10), 온수공급관(25) 및 온수배출관(35)을 따라 이동하는 난방수의 열이 단열되도록 함은 물론, 온수관지지체(10), 온수공급관(25) 및 온수배출관(35)을 받쳐 지지함으로써 그 설치상태가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단열재(50)는 발포수지인 것으로 설명한다.
이때, 도 7과 같이 단열재(50)의 하면에는 요철형상의 방음부(51)가 형성될 수 있는데, 이는 실내의 소음이 외부에 흘러나가지 않도록 하고, 반대로 외부의 소음이 실내에 유입되지 못하도록 함은 물론, 충격 및 진동의 전달을 보다 효과적으로 차단하기 위한 것이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외형틀체(40)의 하면을 개방시킨 이유는 단열재(50)의 하면에 방음부(51)가 마련되기 때문인 것으로, 외형틀체(40)의 하면을 폐쇄시킨 경우에는 그 폐쇄된 하면에 의해 방음, 차음, 흡음 및 진동 전달 방지 등의 기능이 저하되기 때문에, 외형틀체(40)의 하면은 개방되도록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한 단열재(50)가 발포수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 외에도 수용공간(S)을 고루 메워 난방수의 열이 단열되도록 하면서도 온수관지지체(10), 온수공급관(25) 및 온수배출관(35)을 받쳐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는 공지의 구성이 사용될 수도 있다.
열전도판(60)은 도 8과 같이 외형틀체(40) 내부에 수용된 온수관지지체(10), 온수공급관(25), 온수배출관(35) 및 단열재(50)의 상측을 덮어 마감하도록 외형틀체(40)의 상측에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 이러한 열전도판(60)은 온수관(15)을 따라 이동하는 난방수의 열이 신속히 전달되도록 열 전도율이 높은 알루미늄(Al), 구리(Cu)와 같은 금속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열전도판(60)을 금속재질로 형성하는 경우, 대기중의 산소와 결합해 산화되거나, 결로현상에 의해 온수관(15)의 외면에 수분 또는 습기 등에 의해 부식되는 등의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열전도판(60)의 외면은 코팅처리 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코팅처리시에는 천연광물질 또는 한지와 같이 환경오염을 유발하는 유해물질을 줄인 친환경 재질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온수공급관지지체(20) 및 온수배출관지지체(30)는 온수관지지체(10)와 서로 동일한 높이를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각각의 상측에 안착되는 온수공급관(25), 온수배출관(35) 및 온수관(15)의 설치 높이를 동일하게 위치시켜, 난방수의 열이 열전도판(60)에 균일하게 전도되도록 함으로써, 열전도판(60) 전체가 고른 온도를 유지한 상태에서 난방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수용공간(S)에 채워지는 단열재(50)는 온수관지지체(10), 온수공급관(25) 및 온수배출관(35)의 상단과 동일한 높이로 채워지되, 외형틀체(40)와 열전도판(60)의 견고한 결합을 위해 외형틀체(40)의 상단을 초과하는 높이로 채워져서는 아니될 것이다.
더불어, 도 9 및 10과 같이 온수관지지체(10), 온수공급관지지체(20) 및 온수배출관지지체(30)는 외형틀체(40)의 높이와 서로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와 같이 서로 동일한 높이로 설치시 수용공간(S)에 채워진 단열재(50)에 의해 견고하게 지지된 상태로 열전도판(60)의 하부를 지지함에 따라, 열전도판(60)에 가해지는 하중에 의한 외형틀체(40), 온수관지지체(10), 온수공급관지지체(20) 및 온수배출관지지체(30)의 변형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온수관(15), 온수공급관(25) 및 온수배출관(35)에 열전도판(60)에 보다 인접되게 설치됨에 따라 난방수에 의한 열전도가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난방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물론 이때의 단열재(50)는 수용공간(S)에 외형틀체(40)의 상단에 준하는 높이로 메워지는 것이다.
이에 더해, 본 제1실시예에 따른 온수관지지체(10), 온수공급관지지체(20) 및 온수배출관지지체(30)는 폭 방향 단면 형상이 모두 '
Figure 112016109728323-pat00001
'으로 형성되고, 온수관(15), 온수공급관(25) 및 온수배출관(35)은 폭 방향 단면 형상이 모두 '◎' 형상인 것으로, 이는 난방수가 이동하는 온수관(15)과 온수관지지브라켓(11), 온수공급관(25)과 공급관지지브라켓(21), 온수배출관(35)과 배출관지지브라켓(31)의 접촉 면적을 줄여 열손실을 최소하면서도 열전도판(60)에는 신속한 열전달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인 것이다.
하지만, 도 14의 (a) 내지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온수관지지체(10), 온수공급관지지체(20) 및 온수배출관지지체(30)의 단면 형상과, 온수관(15), 온수공급관(25) 및 온수배출관(35)의 단면 형상은 각각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는 것이며, 이 중에서도 (a) 내지 (c)는 온수관(15), 온수공급관(25) 및 온수배출관(35) 상측의 면적을 넓게 형성하여, 이들 내부를 이동하는 난방수의 열이 보다 신속하게 열전도판(60)에 전도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다만, 제조 및 시공의 편의성은 물론, 관연결구(70)를 통한 긴밀한 결합을 위해서, 온수관지지체(10), 온수공급관지지체(20) 및 온수배출관지지체(30) 각각의 형상과, 온수관(15), 온수공급관(25) 및 온수배출관(35) 각각의 형상은 서로 동일하게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난방용 온수패널은 난방 대상이 되는 면적에 따라 복수개가 설치될 수 있는데, 이때는 각각의 난방용 온수패널을 이루는 외형틀체(40)의 외면이 상호맞닿아 지지된 상태가 되도록 설치된다.
또한, 복수개 설치된 난방용 온수패널에 난방수가 이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각각의 난방용 온수패널에 설치된 온수공급관(25) 및 온수배출관(35)은 관연결구(70)를 통해 긴밀히 결합되어야 할 것이며, 도 11은 이러한 복수개의 난방용 온수패널이 설치될 때 그 각각의 온수공급관(25) 및 온수배출관(35)이 '─'자 형의 관연결구(70)를 통해 상호 긴밀히 끼워져 결합된 상태를 보인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라, 복수개의 난방용 온수패널이 설치될 때, 난방수가 고루 공급되어 전체적으로 균일한 온도를 유지하며 난방될 수 있는 바람직한 설치 상태를 보인 것이다.
이때, 난방 대상이 되는 지면의 최상측에 설치된 각각의 난방용 온수패널에는 횡분배관(25b)이 설치되어 '─'자 형의 관연결구(70)를 통해 상호 연결되고, 최하측에 설치된 난방용 온수패널에는 각각 횡회수관(35b)이 설치되어 '─'자 형의 관연결구(70)를 통해 상호 연결된다.
또한, 최좌측에 설치된 온수패널 중 최상측에 설치된 난방용 온수패널에 설치되는 횡분배관(25b)은 온수공급장치(B)로부터 가열된 난방수가 공급될 수 있도록 연결되고, 최하측에 설치된 난방용 온수패널에 설치되는 횡회수관(35b)은 배출된 난방수가 다시 온수공급장치(B)로 회귀(回歸)될 수 있도록 연결되며, 최우측에 설치된 횡분배관(25b)의 끝단에는 밀폐마개(80)가 긴밀히 끼워져 결합된 상태이다.
더불어, 최상측의 난방용 온수패널에는 그 각각에 설치된 종분배관(25a)이 관연결구(70)를 통해 '┬'자 형태로 횡분배관(25b)과 상호 연결되고, 최하측의 난방용 온수패널에는 그 각각에 설치된 종회수관(35a)이 관연결구(70)를 통해 '┴'자 형태로 횡회수관(35b)과 상호 연결되는데, 최하측에 설치된 난방용 온수패널 중에서도 최우측에 위치한 난방용 온수패널에는 종회수관(35a)과 횡회수관(35b)이 관연결구(70)를 통해 '┘'자 형태로 연결된다.
이에 더해, 최상측의 난방용 온수패널에는 각각 종회수관(35a)의 끝단이 밀폐마개(80)에 의해 폐쇄된 상태로 설치되고, 최하측의 난방용 온수패널에는 종분배관(25a)의 끝단이 밀폐마개(80)에 의해 폐쇄된 상태로 설치되며, 최상측과 최하측 사이에 설치되는 난방용 온수패널에는 종분배관(25a) 및 종회수관(35a)이 설치되어 최상측과 최하측에 설치된 각각의 종분배관(25a) 및 종회수관(35a)과 관연결구(70)를 통해 '│'자 형태로 연결된다.
여기서, 복수개의 난방용 온수패널에 각각 설치되는 온수관(15)의 입구는 관연결구(70)를 통해 '├'자 형태로 횡분배관(25b)과 연결되고, 온수관(15)의 출구는 관연결구(70)를 통해 '┤'자 형태로 횡회수관(35b)과 연결된다.
이에 따른 난방수의 이동과정을 살펴보면, 온수공급장치(B)에 의해 가열된 난방수는 최상측에 설치된 횡분배관(25b)을 따라 이동하며 각각의 종분배관(25a)에 분배되고, 이 각각의 종분배관(25a)으로 분배된 난방수는 각각의 온수관(15) 입구로 공급되며, 이 온수관(15)으로 공급된 난방수는 'S'자가 반복된 형태로 설치된 온수관(15)을 따라 온수관(15) 출구로 이동하게 된다.
온수관(15)의 출구로 이동되어 배출된 난방수는 각각의 종회수관(35a)으로 이동되고, 이 각각의 종회수관(35a)으로 이동된 난방수는 다시 최하측에 설치된 횡회수관(35b)으로 이동되며, 횡회수관(35b)을 따라 이동된 난방수는 최좌측의 난방용 온수패널로부터 배출되어 다시 온수공급장치(B)로 회귀(回歸, return)된다.
이처럼, 온수공급장치(B)에 의해 가열된 난방수의 공급 및 온수공급관(25), 온수관(15) 및 온수배출관(35)을 순환하여 배출된 난방수의 회귀되는 과정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설정된 온도로 신속하게 난방될 수 있음은 물론, 각각의 난방용 온수패널에 의해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난방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각각의 난방용 온수패널에는 횡분배관(25b)과 온수관(15)의 입구가 연결 설치되는 위치, 그리고 횡회수관(35b)과 온수관(15)의 출구가 연결 설치되는 위치에 전자적으로 On/Off 제어될 수 있는 밸브를 설치하여, 각각의 난방용 온수패널마다 선택적으로 난방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불필요한 난방비용의 지출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난방용 온수패널은 난방용 온수패널은 온수공급장치(B)로부터 가열된 상태로 공급된 난방수에 의해 난방 대상이 되는 지면의 면적에 관계없이 단열된 상태에서 신속하고 균일하게 난방되도록 할 수 있어 난방 효율성이 증대되고, 그 난방수에 의한 열 변형을 방지할 수 있어 제품 안정성이 증대되며, 난방 대상이 되는 지면의 면적에 따라 설치개수를 달리하더라도 각각의 난방용 온수패널을 신속하고 간편하며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어, 시공 편의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0 : 온수관지지체 11 : 온수관지지브라켓
12 : 온수관수직지지구 13 : 온수관수평지지구
15 : 온수관
20 : 온수공급관지지체 21 : 공급관지지브라켓
22 : 공급관수직지지구 23 : 공급관수평지지구
25 : 온수공급관 25a : 종분배관
25b : 횡분배관
30 : 온수배출관지지체 31 : 배수관지지브라켓
32 : 배수관수직지지구 33 : 배수관수평지지구
35 : 온수배출관 35a : 종회수관
35b : 횡회수관
40 : 외형틀체
50 : 단열재 51 : 방음부
60 : 열전도판 70 : 관연결구
80 : 밀폐마개
B : 온수공급장치 S : 수용공간

Claims (9)

  1. 난방수가 진행하는 온수관(15)이 안착되도록 상부가 개방되어 일정간격으로 연이어지게 배열되는 온수관지지브라켓(11)으로 이루어진 온수관지지체(10)와, 온수공급장치(B)로부터 가열된 난방수를 온수관으로 공급하도록 온수관지지체의 일 측변 길이방향의 온수관 입구와 연결 설치하여 된 온수공급관(25)과, 상기 온수관 출구로 배출되는 난방수를 온수공급장치로 공급하도록 온수관지지체의 타 측변 온수관 출구와 연결 설치하여 된 온수배출관(35)과, 상기 온수관지지체, 온수공급관 및 온수배출관에서 발생하는 열을 단열하도록 마련된 단열재(50)와, 상기 온수관지지체, 온수공급관, 온수배출관을 덮어 마감하도록 고정 설치되는 열전도판(60)으로 구성된 난방용 온수패널에 있어서,
    상기 단열재(50)의 외곽 측변에는 상기 온수관지지체, 온수공급관 및 온수배출관을 수용하며 그 각 온수관지지체, 온수공급관 및 온수배출관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를 유지하는 외형틀체(40)가 설치되고,
    상기 단열재(50)는 상기 외형틀체 내부에 수용된 상기 온수관지지체, 온수공급관 및 온수배출관의 상부표면을 제외한 나머지 공간을 모두 메우도록 채워지며,
    상기 온수관지지브라켓(11)의 하부에는 온수관지지브라켓의 길이방향을 따라 온수관지지브라켓을 수직방향으로 지지하는 온수관수직지지구(12)가 설치되고 그 온수관수직지지구 사이사이 종·횡방향으로는 온수관수평지지구(13)가 상호 연결 설치되며,
    상기 온수공급관(25)은 상기 외형틀체의 가로 측변을 따라 설치되는 종분배관(25a)과 그 종분배관에 관연결구(70)를 매개로 연결되어 상기 외형틀체(40)의 세로 측변을 따라 설치되는 횡분배관(25b)으로 구성되고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상기 온수공급관(25)은 상기 온수관지지체와 동일한 형상으로 마련되어 상기 온수공급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된 온수공급관지지체(20)에 안착되고,
    상기 온수배출관(35)은 상기 외형틀체의 가로 측변을 따라 설치되는 종회수관(35a)과, 그 종회수관에 관연결구(70)를 매개로 연결되어 상기 외형틀체의 세로 측변을 따라 설치되는 횡회수관(35b)으로 구성되고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상기 온수배출관(35)은 상기 온수관지지체와 동일한 형상으로 마련되어 상기 온수배출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된 온수배출관지지체(30)에 안착시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용 온수패널.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재(50)의 하면에는 요철형상의 방음부(5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용 온수패널.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도판(60)은 열전도율이 높은 금속재질로 형성되고, 그 열전도판(60)은 천연광물질 또는 한지를 이용해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용 온수패널.
KR1020160093672A 2016-07-22 2016-07-22 난방용 온수패널 KR1017084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3672A KR101708442B1 (ko) 2016-07-22 2016-07-22 난방용 온수패널
PCT/KR2016/012876 WO2018016681A1 (ko) 2016-07-22 2016-11-09 난방용 온수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3672A KR101708442B1 (ko) 2016-07-22 2016-07-22 난방용 온수패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8442B1 true KR101708442B1 (ko) 2017-02-21

Family

ID=583139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3672A KR101708442B1 (ko) 2016-07-22 2016-07-22 난방용 온수패널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08442B1 (ko)
WO (1) WO2018016681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9771A (ko) * 2018-06-12 2018-10-08 현웅수 에너지 절약을 위한 온수 난방패널
KR101899143B1 (ko) 2017-03-27 2018-10-29 현웅수 에너지 절약을 위한 온수 난방패널
KR20210082022A (ko) 2019-12-24 2021-07-02 심영옥 난방용 온수패널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5359Y1 (ko) 1997-02-05 2000-01-15 변태성 온돌바닥용 판넬
JP2000303671A (ja) * 1999-04-23 2000-10-31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防音床暖房パネルの配線構造
KR200330519Y1 (ko) * 2003-07-09 2003-10-17 김춘식 시공이 간편한 조립식 난방구조
KR200461499Y1 (ko) 2007-02-08 2012-07-16 (주)화성에너지 온수 난방관 설치부재
KR101465342B1 (ko) * 2013-06-19 2014-11-25 주식회사 케이아이 환수구조를 구비한 배관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온수패널
KR20160069169A (ko) 2014-12-08 2016-06-16 (주)화성에너지 난방용 온수판넬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8814B1 (ko) * 2007-10-19 2008-06-17 이승우 온수보료 및 이를 이용한 침대
KR20160019343A (ko) * 2014-08-11 2016-02-19 윤영환 난방 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5359Y1 (ko) 1997-02-05 2000-01-15 변태성 온돌바닥용 판넬
JP2000303671A (ja) * 1999-04-23 2000-10-31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防音床暖房パネルの配線構造
KR200330519Y1 (ko) * 2003-07-09 2003-10-17 김춘식 시공이 간편한 조립식 난방구조
KR200461499Y1 (ko) 2007-02-08 2012-07-16 (주)화성에너지 온수 난방관 설치부재
KR101465342B1 (ko) * 2013-06-19 2014-11-25 주식회사 케이아이 환수구조를 구비한 배관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온수패널
KR20160069169A (ko) 2014-12-08 2016-06-16 (주)화성에너지 난방용 온수판넬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9143B1 (ko) 2017-03-27 2018-10-29 현웅수 에너지 절약을 위한 온수 난방패널
KR20180109771A (ko) * 2018-06-12 2018-10-08 현웅수 에너지 절약을 위한 온수 난방패널
KR101965444B1 (ko) 2018-06-12 2019-04-03 현웅수 에너지 절약을 위한 온수 난방패널
KR20210082022A (ko) 2019-12-24 2021-07-02 심영옥 난방용 온수패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16681A1 (ko) 2018-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8442B1 (ko) 난방용 온수패널
RU2499196C2 (ru) Сборная теплоизоляционная панель с двумя каналами для прохода горячей воды
RU2433352C1 (ru) Радиатор для циркуляции горячей воды для отопления помещений
US20170227239A1 (en) Heating system
KR101385538B1 (ko) 난방용 잠열 구조체를 이용한 난방 시공방법
KR20160069169A (ko) 난방용 온수판넬
US4607791A (en) Hydronic room heating device
KR20140037701A (ko) 난방용 조립식 열전달패널
KR20160064927A (ko) 조립식 열원 파이프 및 이를 이용한 습건식 바닥 냉난방 시스템
KR100698848B1 (ko) 바닥패널
KR20200021696A (ko) 난방용 온수 패널 조립체
KR101654126B1 (ko) 건축물 및 공동주택의 난방 바닥재 시공 방법
KR101284739B1 (ko) 온수장판
KR102053584B1 (ko) 조립식 온수온돌용 열전도판 및 그 시공방법
KR20100071581A (ko) 마그네슘 방열판, 상기 마그네슘 방열판을 포함하는 온돌 패널 및 상기 온돌 패널을 포함하는 온돌 패널 시스템
KR200339260Y1 (ko) 열전도를 향상시킨 방열패널을 이용한 난방시스템
GB2492146A (en) Composite panel for use in underfloor heating
KR20060121490A (ko) 화장실용 바닥 난방 구조
KR101824198B1 (ko) 조립식 난방 패널
JPH0320536A (ja) 床暖房装置用蓄熱ボード
KR100651184B1 (ko) 배관 블록 및 건식 난방 시스템
KR20020079251A (ko) Pcm을 이용한 축열식 온돌용 패널
CN104964330A (zh) 新型干式地暖系统
RU162885U1 (ru) Панель сборного теплого водяного пола
KR20200022553A (ko) 난방 배관용 파이프 설치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