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6968B1 - 난방용 온돌패널 - Google Patents

난방용 온돌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6968B1
KR101406968B1 KR1020120101243A KR20120101243A KR101406968B1 KR 101406968 B1 KR101406968 B1 KR 101406968B1 KR 1020120101243 A KR1020120101243 A KR 1020120101243A KR 20120101243 A KR20120101243 A KR 20120101243A KR 101406968 B1 KR101406968 B1 KR 1014069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storage
heat
plate
hot water
storag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12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20175A (ko
Inventor
두 년 김
Original Assignee
천열에너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천열에너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천열에너지 주식회사
Priority to CN201280073749.8A priority Critical patent/CN104334973A/zh
Priority to PCT/KR2012/007333 priority patent/WO2013183815A1/ko
Publication of KR201400201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01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69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69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2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 F24D3/14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incorporated in a ceiling, wall or floor
    • F24D3/141Tube mounting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F24D3/142Tube mountings specially adapted therefor integrated in prefab construction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4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 E04C2/5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with special adaptations for auxiliary purposes, e.g.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 E04C2/521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with special adaptations for auxiliary purposes, e.g.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for ventilating, heating or cooling
    • E04C2/525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with special adaptations for auxiliary purposes, e.g.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for ventilating, heating or cooling for heating or coo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1/00Central heating systems using heat accumulated in storage masses
    • F24D11/002Central heating systems using heat accumulated in storage masses water heating system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2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ccommodating service installations or utility lines, e.g. heating conduits, electrical lines, lighting devices or service outlets
    • E04F2290/023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ccommodating service installations or utility lines, e.g. heating conduits, electrical lines, lighting devices or service outlets for hea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rchitectur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team Or 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난방용 온돌패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열전도판을 일체로 내장하여 축열기능과 열전도 기능을 동시에 가지는 난방용 온돌패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 난방용 온돌패널은, 온수관이 안착되도록 안착부가 형성되고, 온수관에서 방출되는 열이 저장되는 축열판; 및 축열판 성형시 축열판 내에 일체로 내장되어 온수관에서 방출되는 열을 축열판에 전달하는 열전도판;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난방용 온돌패널{HEATING PANEL FOR HEATING ROOM}
본 발명은 난방용 온돌패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열전도판을 일체로 내장하여 축열기능과 열전도 기능을 동시에 가지는 난방용 온돌패널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난방용 패널의 시공은 단열재의 상면에 축열판과 열전도판을 적층하고, 열전도판에 형성된 요홈에 온수관을 배설한 다음, 그 상부에 마감재를 시공하는 순서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형태를 갖는 종래의 난방용 패널에 대한 기술이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432475호(이하, ‘선행문헌1’이라 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0929969호(이하, ‘선행문헌2’라 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0936709호(이하, ‘선행문헌3’이라 한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03-194354호(이하, ‘선행문헌4’라 한다), 및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평11-21111호(이하, ‘선행문헌5’라 한다)에 개시되어 있다.
선행문헌들에 따른 난방용 패널에 의하면 축열판과 열전도판이 적층되어 있기 때문에 온수관에서 방출되는 열을 저장하는 축열기능과 열전도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열전도기능을 동시에 가지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선행문헌들에 따른 난방용 패널의 경우 다음과 같은 문제점들이 있다.
첫째, 축열판과 열전도판이 밀착되지 못하면 열전달율이 떨어지게 된다. 즉, 축열판의 표면에 적층되는 열전도판과 마감판이 밀착되지 못하여 들뜸 현상이 생기면 그 부분에서는 열전달이 불량하게 된다.
둘째, 서로 분리되어 있는 패널들을 연접하여 시공할 때 이웃하는 패널들의 열전도판이 긴밀하게 연접되기 어렵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축열판 내부에 열전도판을 일체로 내장하여 축열판이 축열기능과 열전도 기능을 동시에 가짐으로써 열전달율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난방용 온돌패널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 난방용 온돌패널은, 온수관이 안착되도록 안착부가 형성되고, 온수관에서 방출되는 열이 저장되는 축열판; 및 축열판 성형시 축열판 내에 일체로 내장되어 온수관에서 방출되는 열을 축열판에 전달하는 열전도판;을 포함한다.
열전도판은 망 형태로 형성되고, 복수 개가 축열판 내에서 상하로 이격되게 내장된다.
축열판은 복수 개로 분할되어 시공시 조립되도록 이루어진다.
축열판은, 양측에 온수관이 삽입 안착되는 요입부가 형성된 제1축열판; 제1축열판의 가장자리 중 요입부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에 연접되며, 온수관의 만곡된 부분이 삽입 안착되는 요입부가 형성되고, 시공시 제1축열판과 온수관에 의해 둘러싸이는 제2축열판; 및 온수관의 만곡진 부분이 삽입 안착되는 요입부가 형성되고, 시공시 온수관의 만곡진 부분의 바깥쪽에서 만곡부를 감싸며 설치되는 제3축열판;을 포함한다.
축열판은, 온수관과 접촉되지 않으면서 제1축열판 및 제3축열판에 연접되는 제4축열판;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 난방용 온돌패널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들을 가진다.
첫째, 종래와 달리 축열판과 열전도판이 따로 구비되지 않고 온돌패널을 구성하는 축열판 내에 열전도판이 일체로 내장되기 때문에 온돌패널이 축열기능과 열전도기능을 동시에 갖으며 이들 기능이 향상된다. 즉, 온수관으로부터 방출되는 열은 축열판에 내장된 열전도판에 의해 축열판의 사방으로 단시간에 확산 전도되는 동시에 축열판 자체에서 축열되기 때문에 온수관에 삽입된 전열관의 전열공급이 주기적으로 단속되어도 실내의 온도변화가 거의 없이 난방이 가능하고 난방에 소요되는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다.
둘째, 축열판 내에 열전도판이 내장되어 일체로 구성되므로 축열판의 강도가 증가하여 휨과 비틀림을 방지할 수 있고, 바닥의 전체적인 강성이 증가한다.
셋째, 축열판 내에 열전도판이 일체로 구성되므로 종래에 각각 구성되는 것에 비해 소재의 종류가 줄어들기 때문에 소재의 관리가 용이하고 온돌패널의 시공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넷째, 온돌패널이 복수 개의 축열판으로 분할 구성되어 조립방식에 의해 시공이 이루어지므로 시공이 편리하고 공사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 난방용 온돌패널이 적용된 바닥난방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 난방용 온돌패널의 시공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제1축열판의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제2축열판의 사시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제3축열판의 사시도.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제4축열판의 사시도.
도 7은 축열판에 열전도판이 내장된 일 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축열판에 열전도판이 내장된 다른 예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에서 본 발명 난방용 온돌패널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 난방용 온돌패널이 적용된 바닥난방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난방용 온돌패널의 시공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본 발명 난방용 온돌패널이 적용된 바닥난방구조에 의하면, 난방할 바닥면에 단열재(100)가 시공되고, 단열재(100)의 상부에 온돌패널(200)이 시공되며, 온돌패널(200)의 안착부(210)에 온수관(300)이 삽입 시공되고, 온돌패널(200)의 상부에 마감재(400)가 시공된다.
단열재(100)는 온수관(300)으로부터 방출되는 열이 콘크리트 바닥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여 열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으로, 유연성이 큰 발포성 합성수지로 제작된다. 이러한 단열재(100)는 난방할 콘크리트 바닥에 평면적으로 시공된다.
온돌패널(200)은 축열판 소재로 사용되는 유연성이 없고 비교적 단단한 광석분말과 석고분말을 압착 및 소성하여 판 형태로 형성되는 것으로, 온수관(300)으로부터 방출되는 열을 흡수하여 저장하는 기능 즉, 축열(蓄熱)기능을 한다. 따라서, 온수관(300)의 내부에 삽입되는 전열선(미도시)으로의 전원공급이 주기적으로 단속(斷續)되더라도 실내의 온도변화없이 일정한 온도로 난방할 수 있다.
온돌패널(200)의 상부에는 온수관(300)이 삽입 안착되는 안착부(210)이 온수관(300)의 배열형태에 맞게 형성된다. 온돌패널(200)은 복수개의 축열판(220)(230)(240)(250)과 열전도판(260)으로 구성된다.
축열판(220)(230)(240)(250)은 형태만 다를 뿐 동일한 공정을 통해 성형되고 시공시 서로 연접하여 조립되도록 이루어지므로 온돌패널(200)의 시공 및 해체가 용이하다.
열전도판(260)은 축열판(220)(230)(240)(250) 성형시 축열판(220)(230)(240)(250)의 내부에 상하로 이격되게 내장된다. 따라서, 축열판(220)(230)(240)(250)과 열전도판(260)은 분리될 염려없이 일체화되어 온돌패널(200)을 구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열전도판(260)의 갯수는 2개이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 개가 구비될 수도 있다. 열전도판(260)은 온수관(300)에서 방출되는 열을 단시간에 축열판(220)(230)(240)(250)의 사방으로 전도시키는 기능을 하며, 열전도성이 우수한 금속망으로 제작된다.
한편, 축열판(220)(230)(240)(250)은 제1축열판(220), 제2축열판(230), 제3축열판(240) 및 제4축열판(250)으로 구성된다.
제1축열판(220)은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되고 복수 개가 구비되어, 시공시 제1축열판(220)의 측면끼리 서로 연접된다. 이웃하는 제1축열판(220) 사이에 온수관(300)이 안착되되, 이 구간에서는 온수관(300)이 직선경로를 형성한다. 이러한 제1축열판(220)은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길이가 긴 양측부가 온수관(300)과 접촉된다.
제2축열판(230)은 반원형으로 형성되어 시공시 직선으로 형성된 면이 제1축열판(220)의 전,후면 중 어느 한 면에 연접된다. 제2축열판(230)의 원호부분에는 반원형으로 굴곡진 온수관(300)의 굴곡진 부분이 안착된다. 따라서, 제2축열판(230)은 시공시 제1축열판(220)과 온수관(300)에 의해 둘러싸인다.
제3축열판(240)은 온수관(300)의 만곡진 부분의 바깥쪽에서 온수관(300)의 만곡부를 감싸면서 제2축열판(230)의 원호부분에 연접된다. 서로 연접된 두 개의 제3축열판(240)이 온수관(300)의 만곡부를 감싸면서 제2축열판(230)에 연접된다.
제4축열판(250)은 온수관(300)이 시공되지 않는 부분에 설치되는 것으로, 제1축열판의 전,후면 중 제2축열판(230)이 접촉되지 않는 면과 접촉된다. 또한, 제4축열판(250)은 제3축열판(240) 사이에도 위치되어 제3축열판(240)과도 접촉된다.
온수관(300)은 내부에 열매체(물+증기)와 전열선을 넣어 온수의 가열 및 순환을 위한 별도의 장치를 구비하지 않고도 온수관 자체가 가열과 방열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도록 이루어진다. 온수관(300)의 단부에는 밀폐장치가 각각 구비되며,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라인이 밀폐장치를 통해 전열선과 연결된다. 이러한 온수관(300)은 지그재그로 굴곡되게 배치된다.
마감재(400)는 온돌패널(200)을 커버하고 미감을 위해 온돌패널(200)의 상부에 평면적으로 시공된다. 이러한 마감재(400)는 접착제로 온돌패널(200)의 상부에 부착되는 형태가 아니라 온돌패널(200)의 상부에서 서로 연접된 상태에서 별도의 고정부재를 이용해 온돌패널(200)에 고정되는 형태이므로 시공과 보수가 용이하다. 즉, 시공 후 고정부재(500)의 고정상태만 해제하면 마감재(400)의 파손없이 마감재(400)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기 때문에 온수관(300)의 보수가 용이하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제1축열판의 사시도이다.
제1축열판(220)은 직사각형의 판 형태로 형성되는 것으로 길이가 긴 양측면에 온수관(300)이 안착되는 요입부(221)가 형성된다. 서로 연접되는 두 제1축열판(220)의 요입부(221)가 합쳐져 하나의 온전한 안착부(210)을 형성한다. 길이가 짧은 전,후면(t1)(t2)은 수직의 평면 형태로 형성되어 제2축열판(230) 및 제4축열판(250)가 밀착되면서 연접된다.
제1축열판(220)에는 상하로 한 쌍의 열전도판(260)이 이격되게 내장된다. 열전도판(260)의 네 가장자리는 제1축열판(220)의 측면으로 노출된다.
한편, 제1축열판(220)의 좌우폭은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되는 온수관(300)의 간격과 대응되는 폭(W)으로 형성된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제2축열판의 사시도이다.
제2축열판(230)은 반원형으로 형성되되, 원호부에 온수관(300)의 만곡부가 안착되는 요입부(231)가 형성된다. 제2축열판(230)의 요입부(231)는 후술할 제3축열판(240)의 요입부(241)와 합쳐져 온전한 하나의 안착부(210)을 형성한다. 제2축열판(230)의 직선면은 수직인 면으로 형성되어 제1축열판(220)의 길이가 짧은 전,후면 중 어느 한 면에 밀착되면서 연접된다. 따라서, 제2축열판(230)은 제1축열판(220) 및 온수관(300)의 만곡부에 의해 둘러싸인다.
한편, 제2축열판(230)에는 상하로 한 쌍의 열전도판(260)이 이격되게 내장된다. 열전도판(260)의 가장자리는 제2축열판(230)의 측면으로 노출된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제3축열판의 사시도이다.
제3축열판(240)의 가장자리는 서로 직교하는 두 직선부와, 두 직선부의 단부를 연결하는 원호형상의 요입부(241)로 형성된다. 요입부(241)는 1/4원의 형태로 형성된다. 따라서, 두 개의 제3축열판(240)이 서로 연접되면서 두 요입부(241)가 연결되어 반원형의 요입부(241)를 형성한다. 이 때, 두 제3축열판(240)의 직선부의 단부끼리 연접된다.
두 제3축열판(240)의 요입부(241)와 제2축열판(230)의 요입부(231)가 합쳐져 온수관(300)의 만곡부가 안착되는 온전한 하나의 안착부(210)을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두 개의 제3축열판(240)이 서로 연접되어 온수관(300)의 만곡부를 감싸도록 이루어지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두 개의 제3축열판(240)이 일체로 형성된 상태에서 온수관(300)의 만곡부를 감싸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제3축열판(240)에는 상하로 한 쌍의 열전도판(260)이 이격되게 내장된다. 열전도판(260)의 가장자리는 제3축열판(240)의 측면으로 노출된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제4축열판의 사시도이다.
제4축열판(250)은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의 판 형태로 형성되는 것으로, 그 전후면은 제1축열판(220)의 길이가 짧은 전,후면 중 제2축열판(230)이 연접되지 않는 면과 연접되고, 그 양측면은 제3축열판(240)의 직선부와 연접된다.
한편, 제4축열판(250)에는 상하로 한 쌍의 열전도판(260)이 이격되게 내장된다. 열전도판(260)의 가장자리는 제4축열판(250)의 측면으로 노출된다.
도 7은 축열판에 열전도판이 내장된 일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8은 축열판에 열전도판이 내장된 다른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온수관(300)의 직경이 큰 경우에는 도 7과 같이 축열판의 상측에 내장되는 열전도판(260)이 온수관(300)을 받쳐주는 형태로 형성된다. 온수관(300)의 직경이 작은 경우에는 도 8과 같이 축열판에 내장되는 한 쌍의 열전도판(260)이 온수관(300)을 받쳐주지 않고 별도로 분리되는 형태로 형성되며, 두 열전도판(260)의 단부는 서로 연결되는 형태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난방용 온도패널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기술적 특징들이 있다.
첫째, 종래와 달리 축열판과 열전도판이 따로 구비되지 않고 온돌패널(200)을 구성하는 축열판(220)(230)(240)(250) 내에 열전도판(260)이 일체로 내장되기 때문에 온돌패널(200)이 축열기능과 열전도기능을 동시에 갖으며 이들 기능이 향상된다. 즉, 온수관(300)으로부터 방출되는 열은 축열판(220)(230)(240)(250)에 내장된 열전도판(260)에 의해 축열판(220)(230)(240)(250)의 사방으로 단시간에 확산 전도되는 동시에 축열판(220)(230)(240)(250) 자체에서 축열되기 때문에 온수관(300)에 삽입된 전열관의 전열공급이 주기적으로 단속되어도 실내의 온도변화가 거의 없이 난방이 가능하고 난방에 소요되는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다.
둘째, 축열판(220)(230)(240)(250) 내에 열전도판(260)이 내장되어 일체로 구성되므로 축열판(220)(230)(240)(250)의 강도가 증가하여 휨과 비틀림을 방지할 수 있고, 바닥의 전체적인 강성이 증가한다.
셋째, 축열판(220)(230)(240)(250) 내에 열전도판(260)이 일체로 구성되므로 종래에 각각 구성되는 것에 비해 소재의 종류가 줄어들기 때문에 소재의 관리가 용이하고 온돌패널의 시공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넷째, 온돌패널(200)이 복수 개의 축열판(220)(230)(240)(250)으로 분할 구성되어 조립방식에 의해 시공이 이루어지므로 시공이 편리하고 공사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기초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해당분야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특허청구범위 내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변경할 수 있다.
100 : 단열재 200 : 온돌패널
210 : 안착부 220 : 제1축열판
230 : 제2축열판 240 : 제3축열판
250 : 제4축열판 260 : 열전도판
300 : 온수관 400 : 마감재

Claims (5)

  1. 분말원료를 압착 및 소성하여 판 형태로 형성되며, 온수관이 안착되도록 안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온수관에서 방출되는 열이 저장되는 축열판; 및
    망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축열판 성형시 복수 개가 축열판 내에서 상하로 이격되게 일체로 내장되어 상기 온수관에서 방출되는 열을 상기 축열판에 전달하는 열전도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용 온돌패널.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축열판은 복수 개로 분할되어 시공시 조립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용 온돌패널.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축열판은,
    양측에 상기 온수관이 삽입 안착되는 요입부가 형성된 제1축열판;
    상기 제1축열판의 가장자리 중 상기 요입부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에 연접되며, 상기 온수관의 만곡된 부분이 삽입 안착되는 요입부가 형성되고, 시공시 상기 제1축열판과 상기 온수관에 의해 둘러싸이는 제2축열판; 및
    상기 온수관의 만곡진 부분이 삽입 안착되는 요입부가 형성되고, 시공시 상기 온수관의 만곡진 부분의 바깥쪽에서 만곡부를 감싸며 설치되는 제3축열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용 온돌패널.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축열판은,
    상기 온수관과 접촉되지 않으면서 상기 제1축열판 및 상기 제3축열판에 연접되는 제4축열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용 온돌패널.
KR1020120101243A 2012-06-08 2012-09-12 난방용 온돌패널 KR1014069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280073749.8A CN104334973A (zh) 2012-06-08 2012-09-13 地面供暖结构及其施工方法
PCT/KR2012/007333 WO2013183815A1 (ko) 2012-06-08 2012-09-13 바닥 난방구조 및 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6033 2012-08-07
KR20120086033 2012-08-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0175A KR20140020175A (ko) 2014-02-18
KR101406968B1 true KR101406968B1 (ko) 2014-06-13

Family

ID=502673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1243A KR101406968B1 (ko) 2012-06-08 2012-09-12 난방용 온돌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696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033123B (zh) * 2021-11-04 2022-07-19 浙江佳适逸宝板材有限公司 膨胀增强板材及其铺装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91965A (ja) 1999-04-05 2000-10-20 Tokyo Gas Co Ltd 温水式床暖房システム
JP2003222345A (ja) * 2001-11-20 2003-08-08 Toshio Iizuka 温水式床暖房パネルと床暖房の施工方法
JP2009074743A (ja) 2007-09-20 2009-04-09 Chubu Electric Power Co Inc ヒートポンプ式床暖房装置及び該装置に用いられる蓄熱容器
KR20110119863A (ko) * 2010-04-28 2011-11-03 천열에너지 주식회사 난방패널 연접수단 및 그의 연접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91965A (ja) 1999-04-05 2000-10-20 Tokyo Gas Co Ltd 温水式床暖房システム
JP2003222345A (ja) * 2001-11-20 2003-08-08 Toshio Iizuka 温水式床暖房パネルと床暖房の施工方法
JP2009074743A (ja) 2007-09-20 2009-04-09 Chubu Electric Power Co Inc ヒートポンプ式床暖房装置及び該装置に用いられる蓄熱容器
KR20110119863A (ko) * 2010-04-28 2011-11-03 천열에너지 주식회사 난방패널 연접수단 및 그의 연접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0175A (ko) 2014-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3532B1 (ko) 전기 에너지를 저장하기 위한 배터리를 포함하는, 가열 장치
CN103822291B (zh) 带有散热通道的电热油汀
JP6198404B2 (ja) 輻射パネル及び冷暖房システム
CN102174851A (zh) 地热地板
KR101406968B1 (ko) 난방용 온돌패널
CN104053255A (zh) Ptc发热器
KR101284739B1 (ko) 온수장판
CN102016433A (zh) 用于形成环境冷却或加热系统的模块化面板
CN210074097U (zh) 电池模组及电池箱
CN212565972U (zh) 电热元件、电热装置及电暖器
KR102230541B1 (ko) 난방용 벽판넬
EP2444746A1 (en) Heating system with improved heat transfer between tubing and plates
US20160377321A1 (en) Fan Device with a Preheat Circulation Channel
KR200484577Y1 (ko) 방열특성이 향상된 온수패널
KR20170034073A (ko) 히팅 파이프 및 이를 포함한 히팅 유닛
KR20160003808U (ko) 평판형 히트파이프를 이용한 목재 침대용 난방장치
CN217441764U (zh) 一种两联供地面调温系统分段式分集水器的支架结构
KR100680878B1 (ko) 조립식 온돌 시스템용 단위 구조물
KR102185109B1 (ko) 바닥 냉난방용 냉난방 장치
CN203385086U (zh) 一种能有效隔热的定位结构
CN215446623U (zh) 散热元件及暖风加热器
KR200457056Y1 (ko) 온돌침대용 목재 온수 판넬
JP6136924B2 (ja) 貯湯式給湯機
CN202559660U (zh) 地热保温板
KR101739071B1 (ko) 바닥 난방용 발열판 및 그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