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5109B1 - 바닥 냉난방용 냉난방 장치 - Google Patents
바닥 냉난방용 냉난방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85109B1 KR102185109B1 KR1020190018085A KR20190018085A KR102185109B1 KR 102185109 B1 KR102185109 B1 KR 102185109B1 KR 1020190018085 A KR1020190018085 A KR 1020190018085A KR 20190018085 A KR20190018085 A KR 20190018085A KR 102185109 B1 KR102185109 B1 KR 10218510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ld
- water pipe
- hot
- hot water
- heat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2—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 F24D3/14—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incorporated in a ceiling, wall or floor
- F24D3/148—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incorporated in a ceiling, wall or floor with heat spreading plat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2—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 F24D3/122—Details
- F24D3/125—Hydraulic pipe connec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5/00—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 F24F5/0003—Exclusively-fluid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team Or 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난방 대상인 바닥을 새로 시공하지 않고 기존 바닥에 추가로 설치 가능하며, 특히 탁월한 열전도성을 통해 신속한 냉난방이 가능하고, 바닥 전체에 걸쳐 균등한 냉난방을 제공하며, 전자파 노출 우려가 없고, 배관의 결합 유연성 확보를 통한 설치 용이성을 갖는 바닥 냉난방용 냉난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알루미늄(Al) 재질로 구성되고, 냉온수가 흐르는 냉온수관 및 상기 냉온수관 상부에 상기 냉온수관과 일체로 연결된 방열부재를 포함하고, 냉난방 대상인 바닥 전체 면적에 소정 간격으로 평행 배치된 복수의 방열 플레이트, 그리고 일단에 구비되고 상기 냉온수가 투입되는 투입부, 타단에 구비되고 상기 냉온수가 배출되는 배출부 및 상기 방열 플레이트의 각 냉온수관에 연결되는 복수의 공급부를 포함하는 공급 파이프, 그리고 상기 냉온수관과 상기 공급부를 결합시키는 결합수단을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알루미늄(Al) 재질로 구성되고, 냉온수가 흐르는 냉온수관 및 상기 냉온수관 상부에 상기 냉온수관과 일체로 연결된 방열부재를 포함하고, 냉난방 대상인 바닥 전체 면적에 소정 간격으로 평행 배치된 복수의 방열 플레이트, 그리고 일단에 구비되고 상기 냉온수가 투입되는 투입부, 타단에 구비되고 상기 냉온수가 배출되는 배출부 및 상기 방열 플레이트의 각 냉온수관에 연결되는 복수의 공급부를 포함하는 공급 파이프, 그리고 상기 냉온수관과 상기 공급부를 결합시키는 결합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바닥 냉난방용 냉난방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냉난방 대상인 바닥을 새로 시공하지 않고 기존 바닥에 추가로 설치 가능하며, 특히 탁월한 열전도성을 통해 신속한 냉난방이 가능하고, 바닥 전체에 걸쳐 균등한 냉난방을 제공하며, 전자파 노출 우려가 없고, 배관의 결합 유연성 확보를 통한 설치 용이성을 갖는 바닥 냉난방용 냉난방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온수보일러를 이용한 실내의 난방시공은 시공대상의 실내 바닥에 열매체가 지나는 배관을 지그재그 형태로 시공하고, 배관 위에 열교환을 이루기 위한 세골재를 깔고, 그 위에 시멘트 몰탈을 공급하여 상면이 평탄해지도록 미장한 다음, 평탄한 시멘트 몰탈면에 장판지 또는 장식판재를 덮는 상태로 시공을 하였다.
이러한 난방시설 공사는 지그재그로 설치되는 온수관의 설치간격이 소정의 폭으로 균일하고, 온수관을 덮어 고정하는 시멘트의 두께가 균일해야 하는 조건을 만족시켜야 바닥면 전체에서 열교환이 안정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러한 바닥 난방에 관한 종래의 기술로, 등록특허 제10-1672048호(2016년10월27일)(이하 종래기술)가 있는데, 종래기술은 바닥 난방에 사용되는 XL파이프나 동파이프 등의 온수 순환난방배관에 열수송매체를 일정량 채운 자켓(Jacket) 구조를 가진 히트파이프(Heat pipe) 방열유니트를 설치함으로써 난방효율을 극대화함과 아울러 제조단가 및 설치비용의 절감 효과를 도모할 수 있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을 포함하는 종래의 기술들은 바닥 난방을 위해 난방 대상인 바닥을 뜯어서 새로 시공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그 소재의 열전도성 한계가 있어 난방 효율이 떨어지며, 그 설치 및 관리 전반에 관한 시공이 번거롭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냉난방 대상인 바닥을 새로 시공하지 않고 기존 바닥에 추가로 설치 가능하며, 특히 탁월한 열전도성을 통해 신속한 냉난방이 가능하고, 바닥 전체에 걸쳐 균등한 냉난방을 제공하며, 전자파 노출 우려가 없고, 배관의 결합 유연성 확보를 통한 설치 용이성을 갖는 바닥 냉난방용 냉난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을 목적으로 하는 본 발명은 다음의 구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은 알루미늄(Al) 재질로 구성되고, 냉온수가 흐르는 온수관 및 상기 온수관 상부에 상기 온수관과 일체로 연결된 방열부재를 포함하고, 냉난방 대상인 바닥 전체 면적에 소정 간격으로 평행 배치된 복수의 방열 플레이트, 그리고 일단에 구비되고 상기 냉온수가 투입되는 투입부, 타단에 구비되고 상기 냉온수가 배출되는 배출부 및 상기 방열 플레이트의 각 온수관에 연결되는 복수의 공급부를 포함하는 공급 파이프, 그리고 상기 온수관과 상기 공급부를 결합시키는 결합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소정 간격으로 평행 배치된 복수의 방열 플레이트를 배치하고 결합수단을 통해 공급 파이프와 연결하는 방식으로 시공되기 때문에 냉난방 대상인 바닥을 새로 시공하지 않고 기존 바닥에 추가로 설치가 가능하다.
또한 일반적인 강철보다 탁월한 열전도성을 갖는 알루미늄 재질로 방열 플레이트를 구성하여 신속한 냉난방이 가능하다.
또한 복수가 평행하게 배치된 방열 플레이트의 배치 구조, 그리고 부분적으로 열전도율을 저하시킴과 동시에 냉난방열의 지속 시간을 늘림으로써, 바닥 전체에 걸쳐 균등한 냉난방을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전기를 사용하지 않아 전자파 노출 우려가 없고, 고유의 결합수단을 이용하여 배관의 결합 유연성 확보를 통한 설치 용이성을 제공한다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냉난방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냉난방 장치의 부분 상세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냉난방 장치의 부분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냉난방 장치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냉난방 장치의 부분 상세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냉난방 장치의 부분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냉난방 장치의 결합수단에 관한 실시예.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냉난방 장치의 부분 상세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냉난방 장치의 부분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냉난방 장치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냉난방 장치의 부분 상세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냉난방 장치의 부분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냉난방 장치의 결합수단에 관한 실시예.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은 냉난방 대상인 바닥을 새로 시공하지 않고 기존 바닥에 추가로 설치 가능하며, 특히 탁월한 열전도성을 통해 신속한 냉난방이 가능하고, 바닥 전체에 걸쳐 균등한 냉난방을 제공하며, 전자파 노출 우려가 없고, 배관의 결합 유연성 확보를 통한 설치 용이성을 갖는 바닥 냉난방용 냉난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닥 냉난방용 냉난방 장치(이하 본 장치)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 본 장치는 냉온수관에 냉수를 흐르게 함으로써 냉수의 냉기를 활용한 냉방이 가능하고, 냉온수관에 온수를 흐르게 함으로써 온수의 열을 활용한 난방이 가능하다. 이에 본 장치는 냉방장치이자, 난방장치로 활용될 수 있는 바, 이하에서 냉방장치 또는 난방장치로 특정되어 있는 설명은 냉수와 온수를 치환 실시함으로써 변경이 가능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고,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포함하는 냉방장치 또는 난방장치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해당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상기에 따라 본 발명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냉온수'라는 표현은 '냉수 또는 온수'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관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장치는 크게 열전도를 통해 냉난방을 제공하는 방열 플레이트(1), 냉기 또는 난방열 확보를 위한 냉온수가 흐르는 공급 파이프(2) 및 방열 플레이트(1)와 공급 파이프(2)를 결합시키는 결합수단(3)을 포함한다.
각 구성 별로, 방열 플레이트(1)는 열전도를 통해 냉수의 냉기 또는 온수의 열을 활용하여 냉난방을 제공하는 구성으로,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온수가 흐르는 냉온수관(11) 및 냉온수관(11) 상부에 냉온수관(11)과 일체로 연결된 방열부재(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방열 플레이트(1)는 열전도율이 우수한 알루미늄(Al) 재질로 구성되며, 보다 한정적으로 상기한 냉온수관(11) 및 방열부재(12)가 알루미늄 재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방열 플레이트(1)를 열전도율이 우수한 알루미늄 재질로 구성함에 따라 냉난방 효율이 우수하고 신속한 냉난방을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열부재(12)는 냉온수관(11)의 상부에 구비된 중공부(121) 및 중공부(121)의 상부에 구비된 방열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중공부(121) 측에서는 상대적으로 열전도율이 낮아져, 냉온수관(11) 내의 냉온수로부터 전도된 냉기 또는 열이 중공부(121)에 의하여 양 측으로 분산되어 방열부(122)의 전체 면적에 걸쳐 고른 방열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보다 구체적인 실시로,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열부(122)는 냉난방 대상인 바닥에 접하는 접촉면(122a) 및 접촉면(122a)에 소정 간격으로 형성된 다수의 요홈(122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접촉면(122a)과 요홈(122b)으로 구성된 방열부(122)는 요홈(122b)과 접촉면(122a) 간의 단차로 인해 요홈(122b) 내에서 바닥과 이격된 공간을 형성하고, 요홈(122b)에 의한 공간에서는 열전도가 낮아지는데, 이 공간으로 인해 과도한 가열 또는 냉각이 조절되는 것은 물론, 온도 조절 및 냉온수 공급 차단 등과 같이 냉방 온도 상승 또는 난방 온도 저감 시에 방열부(122)의 높은 열전도에 의해 빠르게 가열 또는 냉각되는 것을 완화할 수 있다.
또한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열 플레이트(1)는 냉난방 대상인 바닥 전체 면적에 대하여 복수가 소정 간격으로 평행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이를 통해 냉난방 대상인 바닥 전체에 걸쳐 균등한 냉난방을 제공한다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열 플레이트(1)는 냉온수관(11) 하부에 구비되어 냉온수관(11)을 설치면으로부터 이격시키는 이격수단(13)을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이러한 이격수단(13)은 냉온수관(11) 하부로 연결된 수직부(131) 및 수직부(131)에서 양측으로 연결된 수평부(132)를 포함하며, 냉온수관(11) 및 방열부재(12)를 설치면으로부터 이격시켜 냉난방 효율을 증대는 물론 본 장치가 구조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게 한다.
다음으로, 공급 파이프(2)는 온수의 열이 열전도를 통해 방열 플레이트(1)로 전달될 수 있도록 온수를 순환시키는 구성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에 구비된 투입부(21)와 타단에 구비된 배출부(22), 그리고 방열 플레이트(1)의 각 냉온수관(11)에 연결되는 복수의 공급부(23)를 포함한다. 각 부 별로, 투입부(21)는 냉온수가 투입되는 부분이고, 배출부(22)는 냉온수가 배출되는 부분이며, 공급부(23)는 방열 플레이트(1) 측으로 냉온수가 공급되는 부분이다. 여기에서, 공급 파이프(2)의 일단과 타단은 냉온수의 순환 경로에 관한 표현이며, 반드시 두 위치가 대칭되는 위치에 구비되는 것은 아니고, 배출부(22)로 배출된 냉온수는 재냉각 또는 재가열되어 투입부(21)로 투입된다.
다음으로, 결합수단(3)은 냉온수관(11)과 공급부(23)를 결합시키는 구성으로, 나사 결합, 후크 결합, 억지 끼움 결합, 스냅식 착탈 결합 등 다양한 방식이 활용될 수 있으며, 본 장치의 설치 상태에서의 분리 용이성을 위해 결합/해제가 가능한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 및 특징을 갖는 본 장치는 종래의 냉난방 장치와 비교하였을 때, 방열 플레이트(1)를 바닥 하부에 소정 간격으로 설치하기만 하면 되므로 냉난방 대상인 바닥을 새로 시공하지 않고 기존 바닥에 추가로 설치 가능하며, 알루미늄 재질로 구성되어 탁월한 열전도성을 갖기 때문에 신속하고 고효율의 냉난방이 가능하고, 복수로 평행 배치되는 방열 플레이트(1)의 배치 구조에 의하여 바닥 전체에 걸쳐 균등한 냉난방을 제공하며, 전기를 사용하지 않고 온수를 사용하는 방식을 채택함에 따라 전자파 노출 우려가 없다는 장점을 갖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보다 구체적인 실시예를 소개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각 구성들 중 제1실시예와 제2실시예에서 차이를 보이는 구성들은 각각 제1, 제2로 구분하여 명명하기로 한다.(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에서는 난방에 관한 사항으로 특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인 제1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실시예에 따른 중공부(121), 즉 제1중공부(121A)는 냉온수관(11) 상부에 구비되는데, 냉온수관(11)의 외경과 일치하는 폭을 가질 수 있다. 제1중공부(121A)의 폭은 냉온수관(11)으로부터 상부로 전도되는 열을 모두 커버하여 열전도율을 낮추기 위하여 냉온수관(11)의 외경과 동일하게 구성된다.
또한 제1중공부(121A)는 빈 공간으로 구성될 수 있는데, 공기의 열전도율이 상당히 낮다는 점, 그리고 별도의 추가 재료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는 점 등이 제1중공부(121A)를 공기로 채우는 것의 장점이 된다.
다음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실시예에 따른 방열부(122), 즉 제1방열부(122A)는 수평으로 배치된 베이스(1221), 이 베이스(1221)의 상부에 소정 간격으로 구비되고 상부로 돌출된 다수의 상부돌기(1222), 베이스(1221)의 하부에 소정 간격으로 구비되고 하부로 돌출된 다수의 하부돌기(1223), 인접한 두 상부돌기(1222) 사이에 형성된 상부 이격홈(1224) 및 인접한 두 하부돌기(1223) 사이에 형성된 하부 이격홈(1225)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접촉면(122a)은 상부돌기(1222)의 상면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요홈(122b)은 상부 이격홈(1224)에 의해 형성된다. 제1방열부(122A)는 일반적인 방열부(122)에 비하여 요홈(122b)의 깊이가 깊고 접촉면(122a)까지의 전도 거리가 길어 열전도율 저하 및 가열 분산 효과가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하부돌기(1223) 및 하부 이격홈(1225)은 전도되는 열의 일부를 하부로 방출하여 열전도율 저하 및 가열 분산 효과를 더욱 향상시킨다.
다음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실시예에 따른 방열 플레이트, 즉 제1방열 플레이트(1A)는 냉온수관(11) 인접 위치에 구비되고 양 측으로 돌출된 날개부(14)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날개부(14)는 냉온수관(11)으로부터 전도되는 열을 측방으로도 분산시킴으로써, 급속한 가열을 막고 가열된 상태가 상대적으로 오래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특히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날개부(14)는 제1방열 플레이트(1A)의 수직 길이에 걸쳐 소정 간격으로 구비된 다수의 날개를 포함할 수 있고, 더하여 이 복수의 날개들은 상부에 배치된 날개의 측방 돌출 폭이 점증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에 도시된 예를 참고하면, 수직부(131) 상에서 측방향으로 돌출 구비된 제1날개(141), 냉온수관(11)의 하단에서 측방향으로 돌출 구비된 제2날개(142), 그리고 냉온수관(11)의 중단에서 측방향으로 돌출된 제3날개(143) 중, 제1날개(141)의 돌출 폭보다 제2날개(142)의 돌출 폭이, 제2날개(142)의 돌출 폭보다 제3날개(143)의 돌출 폭이 크게 형성된다는 것이다.
다음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실시예에 따른 이격수단(13), 즉 제1이격수단(13A)은 상기한 수직부(131) 및 수평부(132) 외에, 수평부(132) 하부에서 하측으로 돌출 구비된 설치돌기(133) 및 수평부(132)의 중심에 구비된 중앙공(134)을 더 포함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설치돌기(133)는 수평부(132)에서 하측으로 돌출되고 수직 배치된 구성으로, 이와 연계하여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실시예에 따른 본 장치(A1)는 제1방열 플레이트(1A) 하부에 제1방열 플레이트(1A)와 직교 배치되고, 소정 간격으로 다수 구비된 설치 플레이트(4)를 더 포함하고, 이 설치 플레이트(4)에는 상기한 설치돌기(133)가 삽입 및 고정되는 설치홈(41)을 포함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 플레이트(4)는 저면과 한 쌍의 측면을 구비한 'ㄷ'자 형상의 프레임으로, 각 측면에 소정 간격으로 설치홈(41)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1방열 플레이트(1A)는 이 설치홈(41)들에 설치돌기(133)가 삽입되는 형태로 설치 플레이트(4)와 결합된다.
그리고 중앙공(134)은 수직부(131)와 수평부(132)의 교점 상에 형성되는데, 이 중앙공(134)은 내부가 빈 공간으로 구성되며, 하방 및 측방으로의 열전도성을 저하시켜 과도한 열손실을 방지한다.
추가로, 제1실시예에 따른 본 장치(A1)는 인접한 두 제1방열 플레이트(1A)에 사이에 황토(5)가 채워질 수 있는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황토(5)는 반고체 상태로 제1방열 플레이트(1A)들의 사이에 채워지고, 소정의 건조 과정을 거쳐 경화되며, 이러한 황토(5)의 구비를 통해 냉난방열의 지속 시간을 증대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또 다른 실시예인 제2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실시예에 따른 본 장치(A2)는 중공부(121), 즉 제2중공부(121B)가 제2방열부(122B)의 폭과 일치하도록 구성되고, 다수의 구획으로 구분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제2중공부(121B)는 냉온수관(11)으로부터 상부로 전도되는 열의 열전도율을 낮추는데, 특히 제2실시예의 경우, 제1실시예와는 달리 방열부(122)가 돌기의 형태로 구성되지 않고 제2중공부(121B)를 구비한 바디와 바디 상면에 형성된 요홈(122b)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열전도율을 낮추는 효과가 적은 바, 이를 보완하기 위해 중공부(121)의 크기를 최대한 크게 구성한 것이다.
추가로, 제2실시예에서는 인접한 두 방열 플레이트(1), 즉 인접한 두 제2방열 플레이트(1B) 사이에 황토(5)를 채우지 않고, 제2중공부(121B) 내에 황토(5)가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제2중공부(121B)의 면적이 충분히 확보될 수 있기 때문에 제2중공부(121B) 내에 황토(5)를 채움으로써 황토(5)를 통한 냉난방열의 지속 시간 유지 효과를 누림과 동시에 황토(5) 구비에 따른 미감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실시예에 따른 제2방열 플레이트(1B)는 바디의 측면에 돌출되게끔 구비되고, 바디의 상면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된 단턱부(15)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도 6을 참고하면, 이러한 단턱부(15)는 상부 제1단턱(151) 및 하부 제2단턱(152)을 포함할 수 있는데, 제1단턱(151)은 바디의 상면의 양 단부에서 하측으로 수직 연장된 벽체의 하단에서 수평으로 연장되고, 다시 제2단턱(152)은 제1단턱(151)의 양 단부에서 하측으로 수직 연장된 벽체의 하단에서 수평으로 연장되어, 단턱부(15)는 전체적으로 계단 형상을 갖는다.
이러한 단턱부(15)의 실시를 살펴보면, 도 4와 같이 제1단턱(151)의 상부에는 인접한 두 제2방열 플레이트(1B)를 사이에 구비되는 연결 플레이트(6)가 안착될 수 있다. 제2실시예에서는 미감 향상을 위해 황토(5)를 제2중공부(121B) 내에 구비함에 따라 두 제2방열 플레이트(1B) 사이의 공간이 비게 되어 냉난방 대상인 바닥으로부터의 하중에 취약할 수 있는데, 연결 플레이트(6)는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두 제2방열 플레이트(1B)의 사이 공간을 메워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제2단턱(152)은 그 하면이 설치면에 접촉되는 형태로 본 장치(A2)의 하단을 지지하는데, 이러한 제2단턱(152)은 그 자체로 본 장치(A2)가 거치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한 설치 플레이트(4)의 구비를 생략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설치 용이성 및 시공비용 절감 등의 효과를 제공한다.
한편, 본 장치는 공급 파이프(2)가 상기한 투입부(21), 배출부(22) 및 공급부(23) 외에, 공급 파이프(2)의 전체 길이를 구성하는 배관부(24) 및 배관부(24)와 공급부(23) 간의 결합 부위에 해당하는 분기부(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관부(24)는 분기부(25)를 기점으로 굴곡지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굴곡진 배관부(24)의 굴곡 정도를 조절함에 따라 배관부(24)의 길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방열 플레이트(1) 간의 이격 거리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시공 편의성을 제공한다.
다음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장치는 공급부(23)가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은 소직경부(231) 및 소직경부(231)의 후단에 구비되고 상대적으로 직경이 큰 대직경부(232)를 포함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소직경부(231)의 후단이라 함은 공급부(23)의 결합 상태를 기준으로 하여 방열 플레이트(1) 측에서 먼 쪽을 의미한다. 소직경부(231)는 결합부재(31) 측에 삽입 결합되며, 이 때 대직경부(232)는 소직경부(231)의 과삽입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로서 기능한다.
다음으로, 방열 플레이트(1)와 공급 파이프(2) 간의 결합을 제공하는 결합수단(3)에 관한 구체적인 일 실시예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수단(3)은 일단은 방열 플레이트(1)의 냉온수관(11)에 타단은 공급 파이프(2)의 공급부(23)에 연결되는 결합부재(31), 결합부재(31)에 결합되는 너트부재(34), 결합부재(31)와 너트부재(34) 간의 경계에 구비되는 밀폐링(32) 및 와셔(33)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부재(31)는 몸체부(311), 몸체부(311)의 일단에 구비되고 냉온수관(11)에 결합되는 제1결합부(312), 몸체부(311)의 타단에 구비되고 공급부(23)가 결합되는 제2결합부(313), 제1결합부(312) 내부에 구비되고 냉온수관(11)과 연통되는 제1통공(314) 및 제2결합부(313) 내부에 구비되고 공급부(23)와 연통되는 제2통공(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결합부(312) 및 제2결합부(313)에는 나사산이 구비되어 나사 결합 방식으로 착탈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1결합부(312)에 나사산을 구비하는 경우에 냉온수관(11) 내부에도 제1결합부(312)에 대응되는 위치에 나사산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결합부(313)에 나사산을 구비하는 경우 너트부재(34)의 내측에도 제2결합부(313)에 대응되는 위치에 나사산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밀폐링(32)은 온수의 누수 방지, 와셔(33)는 결합부재(31)와 너트부재(34) 간의 결합력 강화를 제공하며, 도 7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폐링(32)과 와셔(33)는 제2결합부(313)에 후단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밀폐링(32)의 후단에 와셔(33)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통공(314)과 제2통공(미도시) 간의 직경에 관하여, 제1통공(314)의 직경보다 제2통공(미도시)의 직경이 크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제1결합부(312)는 냉온수관(11)의 내측으로 삽입되고, 제2결합부(313)는 공급부(23)의 단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됨에 따른 것이며, 이와 같은 결합 구조가 결합부재(31)를 선(先) 설치한 후, 공급 파이프(2)를 후(後) 연결하면 되기 때문에 시공 상의 편의성이 극대화된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은 통상의 기술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방열 플레이트
11: 냉온수관 12: 방열부재
121: 중공부 122: 방열부
122a: 접촉면 122b: 요홈
13: 이격수단 131: 수직부
132: 수평부
A1: 제1실시예에 따른 본 장치(냉난방 장치)
1A: 제1방열 플레이트 121A: 제1중공부
122A: 제1방열부 1221: 베이스
1222: 상부돌기 1223: 하부돌기
1224: 상부 이격홈 1225: 하부 이격홈
14: 날개부 13A: 제1이격수단
133: 설치돌기 134: 중앙공
A2: 제2실시예에 따른 본 장치(냉난방 장치)
1B: 제2방열 플레이트 121B: 제2중공부
122B: 제2방열부 15: 단턱부
151: 제1단턱 152: 제2단턱
2: 공급 파이프
21: 투입부 22: 배출부
23: 공급부 24: 배관부
25: 분기부
3: 결합수단
31: 결합부재 32: 밀폐링
33: 와셔 34: 너트부재
4: 설치 플레이트 5: 황토
6: 연결 플레이트
11: 냉온수관 12: 방열부재
121: 중공부 122: 방열부
122a: 접촉면 122b: 요홈
13: 이격수단 131: 수직부
132: 수평부
A1: 제1실시예에 따른 본 장치(냉난방 장치)
1A: 제1방열 플레이트 121A: 제1중공부
122A: 제1방열부 1221: 베이스
1222: 상부돌기 1223: 하부돌기
1224: 상부 이격홈 1225: 하부 이격홈
14: 날개부 13A: 제1이격수단
133: 설치돌기 134: 중앙공
A2: 제2실시예에 따른 본 장치(냉난방 장치)
1B: 제2방열 플레이트 121B: 제2중공부
122B: 제2방열부 15: 단턱부
151: 제1단턱 152: 제2단턱
2: 공급 파이프
21: 투입부 22: 배출부
23: 공급부 24: 배관부
25: 분기부
3: 결합수단
31: 결합부재 32: 밀폐링
33: 와셔 34: 너트부재
4: 설치 플레이트 5: 황토
6: 연결 플레이트
Claims (4)
- 알루미늄(Al) 재질로 구성되고, 냉온수가 흐르는 냉온수관 및 상기 냉온수관 상부에 상기 냉온수관과 일체로 연결된 방열부재를 포함하고, 냉난방 대상인 바닥 전체 면적에 소정 간격으로 평행 배치된 복수의 방열 플레이트;
일단에 구비되고 상기 냉온수가 투입되는 투입부, 타단에 구비되고 상기 냉온수가 배출되는 배출부 및 상기 방열 플레이트의 각 냉온수관에 연결되는 복수의 공급부를 포함하는 공급 파이프; 및
상기 냉온수관과 상기 공급부를 결합시키는 결합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방열 플레이트는 상기 냉온수관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냉온수관을 설치면으로부터 이격시키는 이격수단을 더 포함하되,
상기 이격수단은 상기 냉온수관 하부로 연결된 수직부, 상기 수직부에서 양측으로 연결된 수평부 및 상기 수평부 하부에서 하측으로 돌출 구비된 설치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방열 플레이트 하부에 상기 방열 플레이트와 직교 배치되고, 소정 간격으로 다수 구비된 설치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설치 플레이트는 상기 설치돌기가 삽입 및 고정되는 설치홈을 포함하고,
상기 설치 플레이트는 한 쌍의 측면을 구비하고, 상기 설치홈은 상기 한 쌍의 측면에 모두 구비되되, 상기 설치 플레이트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냉난방용 냉난방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방열부재는 상기 냉온수관의 상부에 구비된 중공부 및 상기 중공부의 상부에 구비된 방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중공부는 상기 냉온수관의 외경과 일치하는 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냉난방용 냉난방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방열플레이트는 상기 냉온수관의 인접 위치에 구비되고 양 측으로 돌출된 날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날개부는 상기 수직부 상에서 측방향으로 돌출 구비된 제1날개, 상기 냉온수관의 하단에서 측방향으로 돌출 구비된 제2날개, 상기 냉온수관의 중단에서 측방향으로 돌출된 제3날개 중, 적어도 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냉난방용 냉난방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일단은 상기 방열 플레이트의 상기 냉온수관에 타단은 상기 공급 파이프의 공급부에 연결되는 결합부재 및 상기 결합부재에 결합되는 너트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재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일단에 구비되고 상기 냉온수관에 결합되는 제1결합부, 상기 몸체부의 타단에 구비되고 상기 공급부가 결합되는 제2결합부, 상기 제1결합부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냉온수관과 연통되는 제1통공 및 상기 제2결합부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공급부와 연통되는 제2통공을 포함하고,
상기 제1통공의 직경보다 상기 제2통공의 직경이 크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냉난방용 냉난방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18085A KR102185109B1 (ko) | 2019-02-15 | 2019-02-15 | 바닥 냉난방용 냉난방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18085A KR102185109B1 (ko) | 2019-02-15 | 2019-02-15 | 바닥 냉난방용 냉난방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99889A KR20200099889A (ko) | 2020-08-25 |
KR102185109B1 true KR102185109B1 (ko) | 2020-12-01 |
Family
ID=722422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18085A KR102185109B1 (ko) | 2019-02-15 | 2019-02-15 | 바닥 냉난방용 냉난방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85109B1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52638Y1 (ko) | 2004-02-04 | 2004-06-05 | 김금자 | 냉온수 공급파이프 고정용 클램프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890002759Y1 (en) * | 1986-05-06 | 1989-04-29 | Kim Yong Ryol | Assembling heating tube of structure |
KR101014371B1 (ko) * | 2008-04-25 | 2011-02-16 | 최영길 | 히트 파이프 |
KR101242582B1 (ko) * | 2010-12-31 | 2013-03-19 | 이재옥 | 룸레일 |
-
2019
- 2019-02-15 KR KR1020190018085A patent/KR102185109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52638Y1 (ko) | 2004-02-04 | 2004-06-05 | 김금자 | 냉온수 공급파이프 고정용 클램프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99889A (ko) | 2020-08-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185109B1 (ko) | 바닥 냉난방용 냉난방 장치 | |
KR20150110437A (ko) | 온도 조절이 가능한 슬립폼 | |
CN209874358U (zh) | 一种地热取暖地板结构 | |
KR20120062318A (ko) | 온수장판 | |
KR101271714B1 (ko) | 전기 보일러 | |
KR200325138Y1 (ko) | 냉. 난방 공기 온돌구조 | |
CN109237584B (zh) | 干式地暖系统及其导热模块 | |
CN209116429U (zh) | 干式地暖系统及其导热模块 | |
KR20150104329A (ko) | 시공이 간편한 층간소음방지 온수난방시스템 | |
CN203385065U (zh) | 一种循环使用的恒温陶瓷地板集成系统 | |
KR101556526B1 (ko) | 시공이 용이한 층간소음방지 온수난방장치 | |
CN209861404U (zh) | 一种信息系统控制箱体的高效循环散热装置 | |
CN208650458U (zh) | 具有加热功能的木制地暖地板 | |
KR200484577Y1 (ko) | 방열특성이 향상된 온수패널 | |
CN218523629U (zh) | 一种辐射供热供冷用地面加热供冷管均热固定架 | |
CN220035991U (zh) | 一种自发热采暖地砖 | |
KR200475893Y1 (ko) | 하이브리드 방열패널 | |
KR101406968B1 (ko) | 난방용 온돌패널 | |
CN205171754U (zh) | 双平行式辐射管墙面结构 | |
WO2013077769A1 (ru) | Секционный радиатор водяного отопления и секция для него | |
CN109707132A (zh) | 一种纤维覆面基板地暖模块 | |
JP6505471B2 (ja) | 床下温調システム及び建物 | |
RU114756U1 (ru) | Секционный радиатор водяного отопления и секция для него | |
JP6103494B2 (ja) | 床下蓄熱構造 | |
KR200249470Y1 (ko) | 온돌의방열구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