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04329A - 시공이 간편한 층간소음방지 온수난방시스템 - Google Patents

시공이 간편한 층간소음방지 온수난방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04329A
KR20150104329A KR1020140025918A KR20140025918A KR20150104329A KR 20150104329 A KR20150104329 A KR 20150104329A KR 1020140025918 A KR1020140025918 A KR 1020140025918A KR 20140025918 A KR20140025918 A KR 20140025918A KR 20150104329 A KR20150104329 A KR 201501043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se
hot water
groove
heating system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59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53534B1 (ko
Inventor
이병철
Original Assignee
이병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병철 filed Critical 이병철
Priority to KR10201400259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3534B1/ko
Publication of KR201501043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43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35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35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2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eam Or 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공이 간편한 층간소음방지 온수난방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매우 간소화된 공정을 통해 온수난방시스템을 초간편으로 구현하면서도 층간소음방지, 단열성 향상, 연료비의 대폭 절감을 구현하는 신개념의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호스설치용 소음재에 형성된 호스설치홈을 따라 온수호스를 지그재그로 설치한 후 상기 호스설치용 소음재의 상단에는 바닥 마감패널을 안착 설치하되 상기 바닥 마감패널에 일체화 조립된 열전도 캡을 온수호스의 상부에 씌움 설치하는 공정의 간단화를 통해 열효율이 우수한 온수난방시스템을 초간편으로 시공할 수 있도록 함을 발명의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시공이 간편한 층간소음방지 온수난방시스템{Hot water heating system for interlayer noise prevention with easy construction}
본 발명은 매우 간소화된 공정을 통해 온수난방시스템을 초간편으로 구현하면서도 층간소음방지, 단열성 향상, 연료비의 대폭 절감을 구현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바닥난방의 형태는 온수를 바닥에 공급한 후 순환시켜 온기로 난방을 시행한다. 이러한 온수난방의 경우 별도로 바닥에 온수를 공급하는 온수관을 설치한 후, 시멘트 등을 이용하여 마감하는 형태가 주로 사용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시공의 경우 난방을 위한 바닥의 일부분을 굴착한 후 온수관을 매설하기 때문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전열장치가 내장된 조립식 바닥재를 이용하여, 바닥 난방을 하는 기술이 개발되었으나, 난방에 따른 전력소모에 의해 운영비가 많이 드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온수를 순환시켜 난방을 하는 종래의 마룻바닥 판넬의 경우 한번 설치하게 되면, 부분파손으로 인한 보수시 마룻바닥 전체를 교체해야 하는 단점이 있었으며, 설치시 접착제를 이용하거나, 반영구적으로 접착하는 방법이 이용되기 때문에, 교환 및 교체시 완전히 파손해야 하기 때문에 재사용이 어려운 단점이 있으며, 외부 충격이 가해지면 파손되거나, 파손이 되지 않더라도 충격과 소음을 흡수할 수 없어서, 층간소음을 감소시키기 난해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선행기술로써 「특허등록 제1039317호, 명칭/ 온수순환마루용 패널」이 제안되고 있다.
상기의 선행기술은 상판에 다수개의 공간을 내포하고 있으며, 상판과 결합되는 하판의 일측에도 공간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판과 하판을 결합한 후 보온 및 흡음의 역할을 할 수 있으며, 각각 다수개의 상판과 하판이 서로 결속되어 있어서, 쉽게 이탈되지 않는 온수순환마루용 패널을 제공한다.
그러나 상기한 선행기술은 온수순환호스가 등간격으로 설치됨으로써 상기 온수순환호스가 지나가는 부분만 집중적으로 난방이 이루어지고, 상기 온수순환호스 사이사이의 공간에는 난방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마루의 전체영역을 고르게 난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야기된다.
또한, 상기 온수순환호스가 지나가는 부분은 집중적으로 가해지는 열에 의해 쉽게 경화되어 부분적인 파손이 발생하거나 상부로 튀어나오는 등의 변형발생이 우려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선행기술이 내포하고 있는 제반 문제점을 적극적으로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호스설치용 소음재에 형성된 호스설치홈을 따라 온수호스를 지그재그로 설치한 후 상기 호스설치용 소음재의 상단에는 바닥 마감패널을 안착 설치하되 상기 바닥 마감패널에 일체화 조립된 열전도 캡을 온수호스의 상부에 씌움 설치하는 공정의 간단화를 통해 열효율이 우수한 온수난방시스템을 초간편으로 시공할 수 있도록 함을 발명의 해결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호스설치용 소음재의 상부면에 등간격으로 다수의 직선 호스설치홈을 함몰 형성하고, 상기 직선 호스설치홈을 다수의 유턴 호스설치홈으로 상호 연통하게 연결하는 기술을 강구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바닥 마감패널의 중앙에 하부가 개방된 캡 조립홈을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하고, 상기 캡 조립홈에는 직선 호스설치홈에 설치된 온수호스의 상부를 덮어주는 열전도 캡을 슬라이딩 끼움 조립하는 기술을 강구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열전도 캡을 매개로 온수호스의 열이 바닥 마감패널의 상층부까지 그대로 전달됨으로써 열전도율이 높아 바닥 마감패널의 국부적인 부분 난방을 해소하면서 넓은 영역을 골고루 난방함은 물론 상기 온수호스가 지나가는 부위만 집중적으로 가열됨을 방지하여 경화에 따른 부분적인 파손 및 변형을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체공정의 간단화를 통해 온수난방시스템을 초간편으로 구현함으로써 시공비의 획기적인 절감은 물론 시공시간 및 인력을 감축하여 경제성을 향상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아울러 상기 호스설치용 소음재는 온수호스의 설치에 따른 균일성을 확보하여 열분포를 고르게 유지함은 물론 고무나 스티로폼을 원소재로 성형됨으로써 층간소음을 방지하고, 단열성을 대폭 향상하며, 콘크리트 바닥면에서 올라오는 습기를 차단하고, 열효율이 뛰어나 연료비를 대폭 절감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닥 마감패널은 탄산칼슘(돌가루)을 함유함으로써 온도 및 습도에 의한 수축, 팽창을 방지하고 전통 온돌의 우수성인 열전도율과 단열성능이 뛰어난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바닥 마감패널에는 분리 제작된 열전도 캡을 공장에서 슬라이딩 방식으로 간편하게 끼움 조립함으로써 현장에서 간편하게 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바닥 마감패널의 상부면에 바닥필름이 부착됨으로써 별도의 장판을 시공하는 번거로움 없이 온수난방시스템을 간편 시공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호스설치용 소음재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호스설치용 소음재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 호스설치용 소음재 및 온수호스의 설치상태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 온수난방시스템의 설치상태 종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닥 마감패널 및 열전도 캡의 조립상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호스설치용 소음재, 온수호스, 바닥 마감패널의 분리상태 종단면도
도 7은 본 발명 바닥 마감패널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 열전도 캡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 온수호스의 광폭 및 협폭 설치상태 평면도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의 해결수단을 보다 구체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체적인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호스설치용 소음재(10), 온수호스(20), 바닥 마감패널(30), 열전도 캡(40)의 구성요소로 대분됨을 확인할 수 있다.
이하, 상기 개략적인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을 실시 용이하도록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호스설치용 소음재(10)는 온수호스(20)를 호스설치홈에 삽입하는 매우 간단한 방법으로 정확한 등간격을 유지하는 온수호스(20)의 정밀시공을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 특히 고무나, 스티로폴을 원소재로 하여 성형 제작됨으로써 시공 후 층간소음을 효율적으로 방지함은 물론 단열성을 대폭 향상하고, 습기를 차단하는 특별한 효과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호스설치용 소음재(10)는 상부면에 전후방향으로 직선 호스설치홈(11)이 함몰 형성되고, 이 직선 호스설치홈(11)은 횡방향으로 동일한 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상기 직선 호스설치홈(11)과 상호 연통하는 다수의 유턴 호스설치홈(12)(13)이 횡방향으로 연속하여 함몰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직선 호스설치홈(11)을 따라 온수호스(20)를 설치한 상태에서 상기 유턴 호스설치홈(12)(13)을 따라 유턴하면서 방향을 달리하여 지그재그의 형태로 온수호스(20)를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상기 온수호스(20)가 설치된 직선 호스설치홈(11) 및 유턴 호스설치홈(12)(13)을 제외한 다른 모든 호스설치홈은 공명작용을 하면서 진동을 완화하는 특별한 효과를 제공한다.
이러한 호스설치용 소음재(10)는 설치면적에 맞추어 도 3과 같이 다수 개를 사방으로 밀착되게 연결한 후 직선 호스설치홈(11) 및 유턴 호스설치홈(12)(13)을 따라 지그재그로 온수호스(20)를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본 발명은 상기 호스설치용 소음재(10)를 사방으로 연결 설치함에 있어 기술적인 부분이 요구된다.
즉 상기 다수의 호스설치용 소음재(10)은 횡방향으로 연결함에는 아무런 제약이 없으나, 종방향으로 밀착 연결할 때에는 반드시 전후 방향 최외측에 위치하는 한 쌍의 호스설치용 소음재(10)은 도 3과 같이 상기 유턴 호스설치홈(12)의 곡선부가 전후 방향 외측에 각각 위치하도록 상호 대칭을 이루도록 연결하여야만 직선 호스설치홈(11)을 따라 설치된 온수호스(20)가 전후 방향 최외측에 위치한 유턴 호스설치홈(12)을 따라 유턴하여 방향을 바꾸면서 지그재그의 형태로 반복하여 설치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 전후 방향 최외측에 위치하는 한 쌍의 호스설치용 소음재(10)의 사이에 설치되는 다수의 호스설치용 소음재(10)는 유턴 호스설치홈(12)의 방향에 제약을 받지 않고 다만, 직선 호스설치홈(11)이 동일 선상에 위치하도록 밀착 설치하기만 하면 아무런 문제가 없다.
또한, 본 발명의 유턴 호스설치홈(12)(13)은 직경이 서로 다른 2종류의 규격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어느 하나의 유턴 호스설치홈(12)은 도 1 내지 도 2와 같이 3개의 직선 호스설치홈(11)과 상호 연통하도록 횡방향으로 연속하여 형성되고, 상기 횡방향으로 연속하여 형성된 유턴 호스설치홈(12)은 종방향으로 상호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이와 달리 다른 하나의 유턴 호스설치홈(13)은 2개의 직선 호스설치홈(11)과 상호 연통하도록 횡방향으로 연속하여 형성되고, 이 유턴 호스설치홈(13)은 상기 3개의 직선 호스설치홈(11)과 상호 연통하도록 횡방향으로 연속하여 형성된 유턴 호스설치홈(12)과 상호 교대로 반복하여 형성되는 기술이 접목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도 9와 같이 2개의 직선 호스설치홈(11)과 연통하는 유턴 호스설치홈(13)을 따라 설치되는 온수호스(20)는 상기 3개의 직선 호스설치홈(11)과 연통하는 유턴 호스설치홈(12)을 따라 설치되는 온수호스(20)보다 좁은 폭을 유지함으로써 현장여건이나 난방효율을 고려하여 상기 온수호스(20)를 매우 간편한 방법으로 광폭이나 협폭으로 선택하여 설치할 수 있으며, 상기 직선 호스설치홈(11) 및 유턴 호스설치홈(12)(13)이 정밀한 규격화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온수호스(20)의 설치에 따른 균일성을 확보하여 열분포를 고르게 유지하고, 작업의 품질을 향상하는 특별한 효과를 제공한다.
상기 호스설치용 소음재(10)의 상단에는 실내의 바닥면을 이루는 바닥 마감패널(30)이 안착되고, 상기 바닥 마감패널(30)의 중앙 하부에는 캡 조립홈(31)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됨으로써 상기 바닥 마감패널(30)과 열전도 캡(40)을 상호 일체화 조립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캡 조립홈(31)은 도 7과 같이 하부가 개방된 캡 노출로(31a)가 바닥 마감패널(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향으로 함몰되게 형성되고, 상기 캡 노출로(31a)의 상부 양단에는 각각 고정날개 삽입홈(31b)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캡 조립홈(31)에 열전도 캡(40)을 슬라이딩방식으로 끼움 조립하여 일체성을 유지함으로써 시공의 간편함을 제공함은 물론 작업현장에서 별도의 개별품인 상기 열전도 캡(40)을 분실하여 찾아 헤매는 번거로움을 해소한다.
또한, 상기 바닥 마감패널(30)은 캡 조립홈(31)의 양측에 각각 다수의 살빼기홀(33)이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됨으로써 바닥 마감패널(30)의 무게를 경량화 함은 물론 소재의 사용량을 줄여 제조원가를 절감하고, 양단에는 각각 상향으로 꺾인 상향 연결돌기(34) 및 하향으로 꺾인 하향 연결돌기(35)가 일체로 돌출 형성됨으로써 상기 상향 연결돌기(34) 및 하향 연결돌기(35)를 이용하여 다수의 바닥 마감패널(30)을 연속적으로 연결하여 일체화된 결속력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하향 연결돌기(35)의 하측에는 삽입지지돌기(36)가 추가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상향 연결돌기(34)의 하측에는 삽입지지홈(37)이 추가로 함몰 형성됨으로써 상기 삽입지지돌기(36) 및 삽입지지홈(37)은 인접된 다른 바닥 마감패널(30)의 삽입지지홈(37) 및 삽입지지돌기(36)와 각각 결합됨으로써 상기 바닥 마감패널(30) 상호 간의 연결부위가 상부로 들뜨면서 튀어오르는 등의 하자발생을 억제하여 시공의 품질을 개선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바닥 마감패널(30)은 탄산칼슘(돌가루)이 함유된 합성수지를 원소재로 하여 성형됨으로써 온도 및 습도에 의한 수축, 팽창을 방지하고 전통 온돌의 우수성인 열전도율과 단열효과가 매우 뛰어나다.
그리고 상기 바닥 마감패널(30)의 상부면에는 실제의 원목과 같은 재질의 바닥필름(38)이 일체로 부착됨으로써 별도의 장판을 시공하지 않고 상기 바닥 마감패널(30)을 시공하는 것만으로 온수난방시스템을 완성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캡 조립홈(31)에 일체로 슬라이딩 끼움 조립되는 열전도 캡(40)은 상기 온수호스(20)의 상부를 덮어줌과 동시에 온수호스(20)의 열을 바닥 마감패널(30)의 상층부까지 골고루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바닥난방의 열효율을 높여 연료비를 대폭 절감하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으로, 도 4 및 도 6과 같이 온수호스(20)의 상부를 덮어주도록 직선 호스설치홈(11)의 상단에 끼움 설치된다.
이를 위한 열전도 캡(40)은 전도성이 우수한 알루미늄을 원소재로 하여 제작되고, 상기 직선 호스설치홈(11)에 끼워짐과 동시에 온수호스(20)와 접촉하는 한 쌍의 수직 전도판(41)이 이격 설치되고, 상기 수직 전도판(41)의 상단에는 양측으로 돌출된 고정날개(42)가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온수호스(20)의 열이 열전도 캡(40)으로 원활하게 전달된다.
이와 같은 열전도 캡(40)은 공장에서 바닥 마감패널(30)과 일체로 조립됨으로써 하부로 이동하지 못하고 항상 정위치를 유지하면서 온수호스(20)의 눌림을 방지하여 온수의 순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열전도 캡(40)은 수직 전도판(41)의 사이에 상향으로 만곡진 열전도 확장면(43)이 추가로 형성되고, 상기 열전도 확장면(43)은 상기 온수호스(20)의 상부를 밀착상태로 감싸면서 열접촉면을 더욱 확장하여 상기 바닥 마감패널(30)의 상층부까지 전달하는 열전도의 효율성을 높여 바닥난방시 실내온도를 단시간에 높여주면서도 연료의 소비량을 줄여주는 효과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수직 전도판(41)의 외면 하단에는 쐐기형의 압지돌기(45)가 추가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압지돌기(45)는 직선 호스설치홈(11)의 양측 내면을 파고 들면서 견고한 결합력을 유지함으로써 상기 바닥 마감패널(30)이 들뜨거나 상하로 유동하면서 발생하는 소음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10: 호스설치용 소음재 11: 직선 호스설치홈
12, 13: 유턴 호스설치홈 20: 온수호스
30: 바닥 마감패널 31: 캡 조립홈
31a: 캡 노출부 31b: 고정날개 삽입홈
34: 상향 연결돌기 35: 하향 연결돌기
36: 삽입지지돌기 37: 삽입지지홈
38: 바닥필름 40: 열전도 캡
41: 수직 전도판 42: 고정날개
43: 열전도 확장면 45: 압지돌기

Claims (10)

  1. 상부면에 등간격으로 다수의 직선 호스설치홈(11)이 함몰 형성되고, 상기 직선 호스설치홈(11)과 상호 연통하도록 횡방향으로 연속하여 유턴 호스설치홈(12)(13)이 함몰 형성된 다수의 호스설치용 소음재(10)와;
    상기 다수의 호스설치용 소음재(10)가 사방으로 밀착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직선 호스설치홈(11) 및 유턴 호스설치홈(12)(13)을 따라 지그재그로 반복하여 삽입 설치되는 온수호스(20)와;
    상기 호스설치용 소음재(10)의 상단에 안착되고, 중앙에 하부가 개방된 캡 조립홈(31)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바닥 마감패널(30)과;
    상기 캡 조립홈(31)에 일체로 슬라이딩 끼움 조립되고, 상기 직선 호스설치홈(11)의 상단에 끼움 설치되어 상기 온수호스(20)의 상부를 덮어주는 열전도 캡(4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이 간편한 층간소음방지 온수난방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유턴 호스설치홈(12)은 3개의 직선 호스설치홈(11)과 상호 연통하도록 횡방향으로 연속하여 형성되고, 종방향으로 상호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한편;
    상기 다른 하나의 유턴 호스설치홈(13)은 2개의 직선 호스설치홈(11)과 상호 연통하도록 횡방향으로 연속하여 형성되고, 상기 유턴 호스설치홈(12)과 종방향으로 상호 교대로 반복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이 간편한 층간소음방지 온수난방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2개의 직선 호스설치홈(11)과 연통하는 유턴 호스설치홈(13)을 따라 설치되는 온수호스(20)는 상기 3개의 직선 호스설치홈(11)과 연통하는 유턴 호스설치홈(12)을 따라 설치되는 온수호스(20)보다 좁은 폭을 유지하여 상기 온수호스(20)를 광폭이나 협폭으로 선택하여 설치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이 간편한 층간소음방지 온수난방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바닥 마감패널(30)은 상기 캡 조립홈(31)의 양측에 각각 살빼기홀(33)이 길이방향으로 관통 형성되고, 양단에는 각각 상향 연결돌기(34) 및 하향 연결돌기(35)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이 간편한 층간소음방지 온수난방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하향 연결돌기(35)의 하측에는 삽입지지돌기(36)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상향 연결돌기(34)의 하측에는 삽입지지홈(37)이 추가로 함몰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이 간편한 층간소음방지 온수난방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바닥 마감패널(30)은 탄산칼슘(돌가루)이 함유된 합성수지로 성형되고, 상부면에는 바닥필름(38)이 일체로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이 간편한 층간소음방지 온수난방시스템.
  7. 제 1항에 있어서,
    캡 조립홈(31)은 하부가 개방된 캡 노출로(31a)가 상향으로 함몰 형성되고, 상기 캡 노출로(31a)의 상부 양단에는 각각 고정날개 삽입홈(31b)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이 간편한 층간소음방지 온수난방시스템.
  8. 제 1항에 있어서,
    열전도 캡(40)은 직선 호스설치홈(11)에 끼워지는 한 쌍의 이격된 수직 전도판(41)의 상단에 양측으로 돌출된 고정날개(42)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이 간편한 층간소음방지 온수난방시스템.
  9. 제 8항에 있어서,
    수직 전도판(41)의 사이에는 상기 온수호스(20)의 상부를 밀착상태로 감싸는 열전도 확장면(43)이 추가로 일체화 연결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이 간편한 층간소음방지 온수난방시스템.
  10. 제 8항에 있어서,
    수직 전도판(41)의 외면 하단에는 직선 호스설치홈(11)의 내면을 파고 들면서 견고한 결합력을 유지하는 압지돌기(45)가 추가로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이 간편한 층간소음방지 온수난방시스템.
KR1020140025918A 2014-03-05 2014-03-05 시공이 간편한 층간소음방지 온수난방시스템 KR1015535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5918A KR101553534B1 (ko) 2014-03-05 2014-03-05 시공이 간편한 층간소음방지 온수난방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5918A KR101553534B1 (ko) 2014-03-05 2014-03-05 시공이 간편한 층간소음방지 온수난방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4329A true KR20150104329A (ko) 2015-09-15
KR101553534B1 KR101553534B1 (ko) 2015-09-16

Family

ID=542440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5918A KR101553534B1 (ko) 2014-03-05 2014-03-05 시공이 간편한 층간소음방지 온수난방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353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29792A (zh) * 2018-11-30 2019-04-16 林旭清 一种城市建筑用新型地暖模块
KR20210019197A (ko) 2019-08-12 2021-02-22 정승훈 온수 난방용 열전도 프로파일 및 이를 적용한 조립식 온수 난방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3255B1 (ko) 2015-09-15 2015-12-01 (주)원양건축사사무소 건축물 및 공동주택의 난방 바닥재
CN109629791B (zh) * 2018-11-30 2021-07-09 江苏玖柒环境建设工程有限公司 一种城市建筑用新型地暖模块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3008B1 (ko) * 2001-06-01 2004-03-12 태 선 김 난방을 위한 조립식 바닥재
KR200371779Y1 (ko) * 2004-10-04 2005-01-15 주식회사 매트릭스 온돌 패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29792A (zh) * 2018-11-30 2019-04-16 林旭清 一种城市建筑用新型地暖模块
KR20210019197A (ko) 2019-08-12 2021-02-22 정승훈 온수 난방용 열전도 프로파일 및 이를 적용한 조립식 온수 난방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3534B1 (ko) 2015-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6923B1 (ko) 층간소음방지 온수난방시스템
KR101553534B1 (ko) 시공이 간편한 층간소음방지 온수난방시스템
KR100712826B1 (ko) 플로링보드를 이용한 바닥 난방용 온수 순환마루
KR100656921B1 (ko) 조립식 난방패널
KR101039317B1 (ko) 온수순환마루용 패널
KR101371142B1 (ko) 조립식 난방용 층간소음 저감형 바닥재
KR101469663B1 (ko) 간소화된 구조의 조립식 난방용 층간소음 바닥재
KR102306399B1 (ko) 전열 케이블을 이용한 건식 바닥난방 구조
KR200394352Y1 (ko) 완충, 소음 온수온돌판
KR100571671B1 (ko) 온돌패널용 방열보드
KR101556526B1 (ko) 시공이 용이한 층간소음방지 온수난방장치
KR101501170B1 (ko) 건식 온돌 패널 및 건식 온돌 패널이 구성된 바닥 구조
CN104633808A (zh) 一种冷暖两用的地暖模块
KR101336643B1 (ko) 조립식 난방용 층간소음 바닥재
KR101627110B1 (ko) 난방 성능이 개선된 강화마루
KR101824198B1 (ko) 조립식 난방 패널
CN203821782U (zh) 基于空气隔热的储热型地暖地板
JP3182126B2 (ja) 床暖房された建物床の構造
KR102185109B1 (ko) 바닥 냉난방용 냉난방 장치
KR200484577Y1 (ko) 방열특성이 향상된 온수패널
KR20140130809A (ko) 온돌난방 바닥재
KR200429084Y1 (ko) 플로링보드를 이용한 바닥 난방용 온수 순환마루
KR101534323B1 (ko) 건식온돌 시스템 및 시공방법
KR101170414B1 (ko) 개량형 히트파이프를 이용한 열 전달매체용 분배 공급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온돌장치
KR102013339B1 (ko) 건식 온돌 바닥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