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1170B1 - 건식 온돌 패널 및 건식 온돌 패널이 구성된 바닥 구조 - Google Patents

건식 온돌 패널 및 건식 온돌 패널이 구성된 바닥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1170B1
KR101501170B1 KR20140139351A KR20140139351A KR101501170B1 KR 101501170 B1 KR101501170 B1 KR 101501170B1 KR 20140139351 A KR20140139351 A KR 20140139351A KR 20140139351 A KR20140139351 A KR 20140139351A KR 101501170 B1 KR101501170 B1 KR 1015011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rusion
hose
ondol panel
dry
protrus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1393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대환
Original Assignee
지대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대환 filed Critical 지대환
Priority to KR201401393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11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11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11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2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 F24D3/14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incorporated in a ceiling, wall or floor
    • F24D3/141Tube mounting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F24D3/142Tube mountings specially adapted therefor integrated in prefab construction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4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 E04C2/5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with special adaptations for auxiliary purposes, e.g.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 E04C2/521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with special adaptations for auxiliary purposes, e.g.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for ventilating, heating or cooling
    • E04C2/525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with special adaptations for auxiliary purposes, e.g.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for ventilating, heating or cooling for heating or coo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2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 F24D3/122Details
    • F24D3/127Mechanical connections between pane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건식 온돌 패널(100)은, 평판 모양으로 성형된 바디(110)와, 상기 바디(110)의 상면에 형성된 다수의 돌출부(120)와, 상기 돌출부(120)의 측면에 형성된 삽입홈(12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건식 온돌 패널이 구성된 바닥 구조(90)는, 건물의 층간을 구분하는 슬래브(200)와, 상기 슬래브(200)의 상면에 올려진 상기 건식 온돌 패널(100)과, 상기 건식 온돌 패널(100)의 상면을 덮는 판상의 커버(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삽입홈(123)을 통해서 원활하게 대류 현상이 발생하도록 하여 열효율의 향상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건식 온돌 패널 및 건식 온돌 패널이 구성된 바닥 구조 {Floor structure that is configured dry Ondol panel and dry Ondol panel}
본 발명은 건식 온돌 패널 및 건식 온돌 패널이 구성된 바닥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호스의 장착이 용이하고 대류에 의해서 신속한 열전달이 가능하며, 방음 기능을 가지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온돌 패널 및 건식 온돌 패널이 구성된 바닥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배경기술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배경기술에 의한 건식 온돌 패널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G-G'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3은 배경기술에 의한 건식 온돌 패널을 슬래브 위에 시공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모르타르를 사용하지 않고 슬래브의 바닥면에 안착되어 호스가 장착되는 패널을 건식 온돌 패널이라고 한다.
도 1 및 도 2와 함께 배경기술에 의한 건식 온돌 패널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스티로폼 등의 단열재로써 평판 모양으로 성형된 바디(21)와, 상기 바디(21)의 상면에 돌출되어 호스(25)를 안내할 수 있도록 형성된 돌출부(23)가 구성된다.
상기 건식 온돌 패널(20)에는 돌출부(23) 사이로 끼워지는 호스(25)가 더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건식 온돌 패널(20)이 적용된 바닥 구조(1)를 도 3과 함께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건물의 층과 층 사이에 구성된 슬래브(10)와, 상기 슬래브(10)의 상면에 올려진 상기 건식 온돌 패널(20)과, 상기 건식 온돌 패널(20)의 돌출부(23) 사이에 끼워져 구성된 호스(25)와, 상기 돌출부(23)의 상단에 밀착된 판상의 커버(30)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커버(30)의 상면에는 장판(40)을 깔아서 마감하게 된다.
상기 커버(30)는 열전도성이 우수한 금속재로 구성한다.
따라서, 상기 호스(25)를 통해서 보일러로 가열된 온수를 공급하게 되면 온수가 호스(25)를 순환하면서 상기 커버(30)를 통해서 열전달하게 되므로 실내 난방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건식 온돌 패널(20)은 단열재로 구성되기 때문에 슬래브(10)로 열이 전달되는 현상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배경기술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상기 호스(25)를 상기 돌출부(23) 사이에 삽입해서 U형으로 만곡된 상태가 반복되도록 하는데 이때, 호스(25) 자체의 강성에 의해서 돌출부(23) 상부로 쉽게 튀어나오게 된다. 따라서, 호스(25)를 돌출부(23) 사이로 삽입하면서 일일이 테이프를 돌출부에 발라서 호스(25)가 튀어나오지 않도록 해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둘째, 상기 커버(30)를 덮은 상태가 되면 돌출부(23)와 돌출부(23) 사이에 수용된 공기는 양측의 돌출부(23)와 호스(25)에 갇힌 상태가 되어 원활한 대류가 일어나기 어렵다. 따라서, 열전도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셋째, 축열 수단이 결여되어 있어서 열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넷째, 음파를 상쇄할 수 있는 기능이 결여되어 있어서 층간소음을 해결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특허 공개 제10-2004-0019504호 (2004년 03월 06일)
본 발명에 의한 건식 온돌 패널 및 건식 온돌 패널이 구성된 바닥 구조는 다음 사항을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첫째, 호스를 바디의 상면에 형성된 돌출부 사이에 용이하고 신속하게 장착하여 배관할 수 있도록 한다.
둘째, 원활한 대류 현상이 일어나도록 하여 신속하게 실내 온도를 올릴 수 있도록 한다.
셋째, 축열재가 구성되어 보일러를 끈 상태에서도 보온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넷째, 음파를 상쇄시키므로 층간 소음을 줄일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의한 건식 온돌 패널은,
평판 모양으로 성형된 바디와, 상기 바디의 상면에 형성된 다수의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의 측면에 형성된 외측 삽입홈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돌출부의 상면에 형성되고 측방으로 개방된 개방홈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돌출부의 내측면에 형성된 내측 삽입홈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돌출부의 상면에 관통되지 않게 형성된 홀과, 상기 홀의 바닥면에 형성된 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내측 삽입홈 및 외측 삽입홈 중 어느 하나에 끼워지도록 양 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삽입돌기를 가지는 호스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바디의 양 측면에 대응하도록 형성된 결합홈 및 결합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건식 온돌 패널이 구성된 바닥 구조는,
건물의 층간을 구분하는 슬래브와, 상기 슬래브의 상면에 올려진 건식 온돌 패널과, 상기 건식 온돌 패널의 상면을 덮는 판상의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건식 온돌 패널은, 평판 모양으로 성형된 바디와, 상기 바디의 상면에 형성된 다수의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의 상면에 형성되고 측방으로 개방된 개방홈과, 상기 돌출부의 내측면에 형성된 내측 삽입홈과, 상기 돌출부의 외측면에 형성된 외측 삽입홈과, 상기 내측 삽입홈 및 외측 삽입홈 중 어느 하나에 끼워지도록 양 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불연속적으로 형성된 삽입돌기를 가지는 호스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돌출부의 상면에 관통되지 않게 형성된 홀과, 상기 홀의 바닥면에 형성된 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돌출부 사이 및 상기 개방홈 중 상기 호스가 충전되지 않은 쪽에 충전된 축열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건식 온돌 패널 및 건식 온돌 패널이 구성된 바닥 구조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커버와 바디 사이에서 개방홈을 통해서 원활하게 대류 현상이 일어나므로 신속하게 실내 온도를 올릴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상기 호스의 삽입돌기가 돌출부의 삽입홈에 끼워져서 장착되는 구성에 의해서 배경기술처럼 테이프를 발라서 호스를 바디에 고정시키는 번거로움 없이 용이하고 신속하게 호스를 배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상기 홀 내부에 형성된 돌기에 의해서 음파가 반사되어 상쇄되므로 층간 소음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상기 개방홈에 황토와 같은 축열재가 충전된 경우에는 보일러를 끈 상태에서도 축열재가 열을 저장하고 있으므로 실내 온도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배경기술에 의한 건식 온돌 패널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G-G'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3은 배경기술에 의한 건식 온돌 패널을 슬래브 위에 시공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건식 온돌 패널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건식 온돌 패널에 호스가 지그재그로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건식 온돌 패널에 호스가 회오리 모양으로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도 4의 F-F'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건식 온돌 패널에 사용되는 호스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건식 온돌 패널에 축열재가 충전된 상태를 도시한 국부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건식 온돌 패널이 구성된 바닥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구성과 작용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건식 온돌 패널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건식 온돌 패널에 호스가 지그재그로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건식 온돌 패널에 호스가 회오리 모양으로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도 4의 F-F'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건식 온돌 패널에 사용되는 호스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건식 온돌 패널에 축열재가 충전된 상태를 도시한 국부 사시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모르타르를 사용하지 않고 슬래브(200)의 바닥면에 안착되어 호스(140)가 장착되는 패널을 건식 온돌 패널이라고 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건식 온돌 패널에 테이프 없이도 호스(140)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고, 대류 또는 축열에 의해서 열효율의 향상이 가능하며, 층간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건식 온돌 패널(100)은 다음과 같이 구성한다.
도 4에서처럼, 평판 모양으로 형성된 바디(110)가 구성되고, 상기 바디(110)의 상면에 상방으로 튀어나온 다수의 돌출부(120)가 형성되며, 상기 바디(110) 둘레의 측면(112, 113)에는 다른 바디(110)와 결합이 가능하도록 결합홈(118) 및 결합돌기(119)가 형성된다. 상기 결합홈(118)은 내측을 향하여 확장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결합돌기(119)는 외측방을 향하여 확장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일측 바디(110)의 결합돌기(119)가 상대측 바디(110)의 결합홈(118)의 상방에서 끼워지게 되면 측방으로 인장되어도 상호 이탈하지 않게 구성된다. 또한, 상기 결합돌기(119)는 바디(110)에서 서로 인접하는 양 측면(112)에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118)은 결합돌기(119)가 형성된 측면(112)에 대향하는 측면(113)에 형성되므로 상하좌우 결합홈(118)과 결합돌기(119)가 대응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열효율의 향상을 위해 상기 각 구성이 압축 스티로폼 등의 단열재에 의해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120)는 상면이 평평한 판상의 것으로서 공기의 소통이 가능하고 호스(140)가 통과할 수 있도록 상방 및 전후좌우 측방으로 개방된 개방홈(130)이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120)는 일례로서 호스(140)를 용이하게 배관할 수 있도록 격자 모양으로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돌출부(120)의 내측, 즉, 개방홈(130)을 향하는 내측면에는 내측 삽입홈(123)이 형성되고, 돌출부(120)의 외측면에는 외측 삽입홈(124)이 형성되므로 후술하는 호스(140)의 장착이 가능하도록 구성한다. 또한, 상기 돌출부(120) 사이의 간격도 호스(140)가 통과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9에서처럼 상기 돌출부(120)의 사이 또는 상기 개방홈(130)에는 축열 기능이 가능하도록 황토 모르타르 등의 축열재(150)를 충전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층간 소음을 감쇄시킬 수 있도록 상기 돌출부(120)의 상면에 관통되지 않게 형성된 홀(115)이 형성되고, 상기 홀(115)의 바닥면에 형성된 돌기(117)가 구성된다. 상기 돌기(117)는 일례로 원뿔형 또는 계란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음파가 진행하다가 상기 홀(115)을 통과할 때 돌기(117)에 의해서 상쇄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원리는 계란판처럼 돌기가 형성된 통상적인 차음재의 구조로부터 쉽게 알 수 있는 것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돌출부(120)의 상면에 돌기(117)를 형성할 경우, 상면이 평평한 바닥재로 사용될 수 없으므로 홀(115) 내부에 수용되어 바닥재로서 밟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내측 삽입홈(123) 또는 외측 삽입홈(124)에 끼워지도록 도 8에서처럼, 양 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불연속적으로 형성된 삽입돌기(147)를 가지는 호스(140)가 구성된다. 상기 호스(140)는 측방으로 만곡이 용이하도록 상기 삽입돌기(147)를 불연속적으로 형성한다. 따라서, 호스(140)는 개방홈(130)에 개재되거나 돌출부(120) 사이에 끼워진 상태에서 양측 삽입돌기(147)가 각각 양측에 대응하는 내측 삽입홈(123) 또는 외측 삽입홈(124)에 삽입되어 조합된다.
이때, 호스(140)는 상기 바디(110)의 상면에서 이격되도록 하고 돌출부(120)의 상면보다 낮게 형성하므로, 개방홈(130)의 상하방으로 공기가 용이하게 소통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도 5에서처럼, 호스(140)는 온수가 각각 유입 배출되는 양측의 단부(Q, R)가 최대한 근접하도록 구성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호스(140)는 돌출부(120)의 개방홈(130) 사이를 통과하면서 지그재그로 만곡된 상태로 배관된다. 즉, 호스(140)가 각 개방홈(130)을 통과한 후 지그재그로 만곡을 반복하면서 역방향으로 나오도록 배관된다.
또는, 도 6에서처럼, 호스(140)는 온수가 각각 유입 배출되는 양측의 단부(Q, R)가 최대한 근접하도록 하고, 돌출부(120)의 개방홈(130) 사이를 통과하면서 회오리 모양으로 배관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호스(140)의 삽입돌기(147)는 양측에 배치된 내측 삽입홈(123)에 끼워져서 구성되고 황토 등의 축열재(150)는 돌출부(120) 사이에 충전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호스(140)는 돌출부(120) 사이를 통과하도록 배관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때 호스(140)의 삽입돌기(147)는 양측에 배치된 외측 삽입홈(124)에 끼워져서 구성된다. 이때, 황토 등의 축열재(150)는 개방홈(130)에 충전되어 구성된다.
이처럼, 호스(140)의 양측 단부(Q, R)가 근접하고 호스(140)가 유입된 상태에서 지그재그 또는 회오리 모양으로 만곡된 상태로 역방향으로 돌아나오기 때문에, 유입된 온수가 역방향으로 흘러서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고르게 실내 바닥을 데울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만약, 호스(140)의 단부(Q, R)가 많이 동떨어져 있을수록 호스(140)가 역방향으로 돌아나오는 구조가 아니므로, 온수가 유입되는 쪽의 단부(Q)에서 배출되는 쪽의 단부(R) 쪽으로 갈수록 온도가 저하되어 실내를 고르게 데울 수 없게 된다.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건식 온돌 패널이 구성된 바닥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본 발명에 의한 건식 온돌 패널이 구성된 바닥 구조(90)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건물의 층간을 구분하는 슬래브(200)가 구성되고, 상기 슬래브(200)의 상면에 상기 기재한 건식 온돌 패널(100)이 안착된다. 이때, 다수의 건식 온돌 패널(100)이 상호 결합돌기(119)와 결합홈(118)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건식 온돌 패널(100)의 상면을 덮는 판상의 커버(300)가 구성되는데 열전달이 용이하도록 금속재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커버(300)의 상면을 장판(400) 등을 덮어서 마감한다.
상기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작용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축열재(150)가 없는 경우를 살펴보면, 상기 호스(140)를 통해서 보일러에 의해 가열된 온수가 유입되면 호스(140)를 따라 이동한 후 배출된다. 이때, 호스(140)를 통해서 온수의 열이 커버(300)를 통해서 전달되므로 실내 난방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바디(110)는 단열재이므로 슬래브(200)로 열이 유실되는 현상이 방지된다. 그리고, 상기 개방홈(130)은 도 5에서처럼, 좌우 측방으로 연결되므로 공기의 흐름이 가능하다. 호스(140)가 개방홈(130) 내지는 돌출부(120) 사이에 끼워진다고 하더라도 상기 호스(140)는 바디(110)의 상면에서 이격되고 돌출부(120)의 상면보다 낮기 때문에 호스(140)의 상하방으로 용이하게 공기가 소통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커버(300)와 바디(110) 사이에서 개방홈(130)을 통해서 원활하게 대류 현상이 일어나므로 신속하게 실내 온도를 올릴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호스(140)의 삽입돌기(147)가 돌출부(120)의 내측 삽입홈(123) 또는 외측 삽입홈(124)에 끼워져서 장착되는 구성에 의해서 호스(140)가 상방으로 튀어나와서 분리되는 현상이 방지된다. 따라서, 배경기술처럼 테이프를 발라서 호스(140)를 바디(110)에 고정시키는 번거로움 없이 용이하고 신속하게 호스(140)를 배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홀(115) 내부에 형성된 돌기(117)에 의해서 음파가 반사되어 상쇄되므로 층간 소음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러한 원리는 방음재로서 계란판을 사용하는 것과 같다. 즉, 상기 돌기(117)가 계란판의 돌기와 동일한 기능을 하므로 층간 소음을 상쇄시키는 기능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개방홈(130) 또는 돌출부(120) 사이에 황토와 같은 축열재(150)가 충전된 경우에는 보일러를 끈 상태에서도 축열재(150)가 열을 저장하고 있으므로 실내 온도를 유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례와 구체적인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90: 건식 온돌 패널이 구성된 바닥 구조 100: 건식 온돌 패널
110: 바디 115: 홀
117: 돌기 118: 결합홈
119: 결합돌기 120: 돌출부
123: 내측 삽입홈 124: 외측 삽입홈
130: 개방홈 140: 호스 147: 삽입돌기 150: 축열재 200: 슬래브 300: 커버 400: 장판

Claims (10)

  1. 평판 모양으로 성형된 바디(110)와,
    상기 바디(110)의 상면에 형성된 다수의 돌출부(120)와,
    상기 돌출부(120)의 외측면에 형성된 외측 삽입홈(124)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온돌 패널.
  2. 평판 모양으로 성형된 바디(110)와,
    상기 바디(110)의 상면에 형성된 다수의 돌출부(120)와,
    상기 돌출부(120)의 상면에 형성되고 측방으로 개방된 개방홈(130)을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120)의 내측면에 형성된 내측 삽입홈(123)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온돌 패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120)의 상면에 형성되고 측방으로 개방된 개방홈(13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온돌 패널.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120)의 내측면에 형성된 내측 삽입홈(123)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온돌 패널.
  5. 제1항에서 제4항까지의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120)의 상면에 관통되지 않게 형성된 홀(115)과,
    상기 홀(115)의 바닥면에 형성된 돌기(117)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온돌 패널.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삽입홈(123) 및 외측 삽입홈(124) 중 어느 하나에 끼워지도록 양 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삽입돌기(147)를 가지는 호스(14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온돌 패널.
  7. 제1항에서 제4항까지의 항 및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110)의 양 측면에 대응하도록 형성된 결합홈(118) 및 결합돌기(119)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온돌 패널.
  8. 건물의 층간을 구분하는 슬래브(200)와,
    상기 슬래브(200)의 상면에 올려진 건식 온돌 패널(100)과,
    상기 건식 온돌 패널(100)의 상면을 덮는 판상의 커버(300)를 포함하고,
    상기 건식 온돌 패널(100)은, 평판 모양으로 성형된 바디(110)와,
    상기 바디(110)의 상면에 형성된 다수의 돌출부(120)와,
    상기 돌출부(120)의 상면에 형성되고 측방으로 개방된 개방홈(130)과,
    상기 돌출부(120)의 내측면에 형성된 내측 삽입홈(123)과,
    상기 돌출부(120)의 외측면에 형성된 외측 삽입홈(124)과,
    상기 내측 삽입홈(123) 및 외측 삽입홈(124) 중 어느 하나에 끼워지도록 양 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불연속적으로 형성된 삽입돌기(147)를 가지는 호스(14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온돌 패널이 구성된 바닥 구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120)의 상면에 관통되지 않게 형성된 홀(115)과,
    상기 홀(115)의 바닥면에 형성된 돌기(117)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온돌 패널이 구성된 바닥 구조.
  10. 제8항 및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120) 사이 및 상기 개방홈(130) 중 상기 호스(140)가 충전되지 않은 쪽에 충전된 축열재(15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온돌 패널이 구성된 바닥 구조.
KR20140139351A 2014-10-15 2014-10-15 건식 온돌 패널 및 건식 온돌 패널이 구성된 바닥 구조 KR1015011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39351A KR101501170B1 (ko) 2014-10-15 2014-10-15 건식 온돌 패널 및 건식 온돌 패널이 구성된 바닥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39351A KR101501170B1 (ko) 2014-10-15 2014-10-15 건식 온돌 패널 및 건식 온돌 패널이 구성된 바닥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1170B1 true KR101501170B1 (ko) 2015-03-12

Family

ID=530271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139351A KR101501170B1 (ko) 2014-10-15 2014-10-15 건식 온돌 패널 및 건식 온돌 패널이 구성된 바닥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117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2625B1 (ko) 2020-01-07 2020-08-10 주식회사 한 에너지 시스템 난방배관고정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건물 축열층 시공방법
KR102174495B1 (ko) * 2020-05-20 2020-11-04 정정순 원적외선 방사 및 난방 효율이 향상된 황토 온돌패널
KR20200145910A (ko) 2019-06-20 2020-12-31 주식회사 한돌시스템 난방배관고정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건물 축열층 시공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91247A (ja) * 1999-04-09 2000-10-17 Yoichi Ri 暖房管の配管用断熱ボード
KR200415190Y1 (ko) * 2006-02-06 2006-05-02 박성걸 온돌 난방용 조립식패널
KR20090012957U (ko) * 2008-06-16 2009-12-24 박성걸 조립식 온돌패널
KR101267516B1 (ko) * 2013-03-12 2013-05-27 이영준 온수난방 패널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91247A (ja) * 1999-04-09 2000-10-17 Yoichi Ri 暖房管の配管用断熱ボード
KR200415190Y1 (ko) * 2006-02-06 2006-05-02 박성걸 온돌 난방용 조립식패널
KR20090012957U (ko) * 2008-06-16 2009-12-24 박성걸 조립식 온돌패널
KR101267516B1 (ko) * 2013-03-12 2013-05-27 이영준 온수난방 패널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45910A (ko) 2019-06-20 2020-12-31 주식회사 한돌시스템 난방배관고정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건물 축열층 시공방법
KR102142625B1 (ko) 2020-01-07 2020-08-10 주식회사 한 에너지 시스템 난방배관고정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건물 축열층 시공방법
KR102174495B1 (ko) * 2020-05-20 2020-11-04 정정순 원적외선 방사 및 난방 효율이 향상된 황토 온돌패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72828B2 (ja) 床暖房用パネル及び床暖房用パネルアセンブリー
KR100712826B1 (ko) 플로링보드를 이용한 바닥 난방용 온수 순환마루
KR101501170B1 (ko) 건식 온돌 패널 및 건식 온돌 패널이 구성된 바닥 구조
KR101039317B1 (ko) 온수순환마루용 패널
KR101284739B1 (ko) 온수장판
KR101296606B1 (ko) 바닥 난방용 온수 순환마루
KR20200021696A (ko) 난방용 온수 패널 조립체
KR100985079B1 (ko) 공조형 방수천장
KR20150104329A (ko) 시공이 간편한 층간소음방지 온수난방시스템
KR20110110688A (ko) 층간소음을 차단하는 온돌패널 및 그 조립체
KR101624100B1 (ko) 냉온수 겸용이 가능한 조립식 난방패널장치
KR200351874Y1 (ko) 조립식 온수난방 시스템.
KR20100090183A (ko) 바닥재 어셈블리 및 바닥재의 시공방법
KR102149492B1 (ko) 건식 및 습식 시공이 가능한 온수 온돌 조립체
KR100970871B1 (ko) 바닥재 어셈블리 및 바닥재의 시공방법
KR20120075077A (ko) 외단열 구조 및 외단열재
KR101803186B1 (ko) 층간소음방지장치
JP2006207863A (ja) 床暖房システム用の曲管敷設用補助部材
KR101438490B1 (ko) 온수순환마루용 패널
KR20140124581A (ko) 에너지 절약형 온수패널과 이의 배치구조
KR101536925B1 (ko) 벽체의 결합구조물
KR101773137B1 (ko) 온수패널 조립체
KR101433912B1 (ko) 층간차음기능을 구비한 난방패널
KR200201181Y1 (ko) 실내바닥의 난방장치
KR102013339B1 (ko) 건식 온돌 바닥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