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24581A - 에너지 절약형 온수패널과 이의 배치구조 - Google Patents

에너지 절약형 온수패널과 이의 배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24581A
KR20140124581A KR1020130042289A KR20130042289A KR20140124581A KR 20140124581 A KR20140124581 A KR 20140124581A KR 1020130042289 A KR1020130042289 A KR 1020130042289A KR 20130042289 A KR20130042289 A KR 20130042289A KR 20140124581 A KR20140124581 A KR 201401245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water
panel
water main
pipe
k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22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환철
Original Assignee
신환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환철 filed Critical 신환철
Priority to KR10201300422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24581A/ko
Publication of KR201401245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458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2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 F24D3/14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incorporated in a ceiling, wall or floor
    • F24D3/141Tube mounting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F24D3/142Tube mountings specially adapted therefor integrated in prefab construction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4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 E04C2/5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with special adaptations for auxiliary purposes, e.g.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 E04C2/521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with special adaptations for auxiliary purposes, e.g.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for ventilating, heating or cooling
    • E04C2/525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with special adaptations for auxiliary purposes, e.g.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for ventilating, heating or cooling for heating or cool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2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ccommodating service installations or utility lines, e.g. heating conduits, electrical lines, lighting devices or service outlets
    • E04F2290/023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ccommodating service installations or utility lines, e.g. heating conduits, electrical lines, lighting devices or service outlets for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team Or 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의 바닥난방에 사용되는 온수패널과 이의 배치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부피형단열재로 이루어지고 사방으로 골이 형성되어 있는 판형의 패널본체와, 상기 골의 내측면에 부착되는 알루미늄박과, 골의 내부공간에 놓여지는 온수지관과, 골의 내측면과 온수지관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켜주는 간격재와, 패널본체의 상부로 덮이되 그 하면이 온수지관과 간격을 갖도록 덮이는 전열철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알루미늄박은 일종의 반사단열재로서 온수에 의해 전달된 열이 온수패널의 하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해주며, 사방으로 형성되어 있는 골 및 전열철판에 이해 열이 고르게 분산된다.

Description

에너지 절약형 온수패널과 이의 배치구조{Energy saving floor-heat panel and its arrangement structure}
본 발명은 건축물의 바닥난방에 사용되는 온수패널과 이의 배치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반사형 단열재에 의한 단열 효과가 최대한으로 발휘되도록 하고 공기의 대류 및 전도에 의해 열이 필요한 방향으로 전달되도록 하여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으면서도 신속한 난방이 이루어질 수 있는, 에너지 절약형 온수패널과 이의 배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온돌은 우리나라 고유의 난방방식으로서 이를 적용한 실내의 하부는 따뜻하고 상부는 시원하여 쾌적성이 좋은 난방방식이다. 현대화가 이루어지면서 주거의 형태는 많이 변하였으나 온돌에 의한 난방의 원리는 유지되고 있다.
최근에는 자원고갈문제와 환경문제로 인하여 에너지 효율적인 온돌 난방방식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이와 관련된 기술 또한 다양하다. 관련 기술들 중 하나로, 등록번호 10-0709344의 '온수온돌구조'가 있다. 도 1에는 상기 종래기술의 사시도 및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종래기술에 의한 온수온돌구조는, 콘크리트바닥면(10) 위에 아래에서부터 차례대로 열반사지(20), 차음재(30), 단열재(40), 온수온돌판넬(50)이 적층되고, 온수온돌판넬(50)의 고정핀(53)들 사이에 다시 열반사지(60)가 덮여진 후 열반사지(60) 사이로 온수파이프(70)가 들어가며, 온수파이프(70)가 삽입되어 있는 온수온돌판넬(50) 위로 상판(80)이 적층되어 형성된다.
상기 온수온돌구조는, 다공성의 단열재(40)와 열반사지(20, 60)를 이용하여 콘크리트바닥면(10)으로의 열손실을 방지하고, 차음부재(30)를 이용하여 콘크리트바닥면(10) 하부, 즉 아래층으로의 소음 확산을 방지하고자 하고 있으나, 열반사지(20, 60)가 배치된 위치에 의하여 열반사지에 의한 단열효과는 미미하다.
열반사지와 같은 반사형 단열재는 열원에서 발산되는 복사열을 반사함으로써 열의 확산을 막는데, 복사열을 대부분 반사한다는 특징을 갖는 동시에 전도가 매우 잘 일어난다는 특징 또한 갖기 때문에, 반사형 단열재에 의한 단열 효과가 제대로 발휘되기 위해서는 전도가 일어나지 않도록 열원과 반사형 단열재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어 있어야 한다. 그러나, 상기 온수온돌구조의 열반사지(60)는 열원인 온수파이프(70)와 접촉하고 있으며, 온수파이프(70)와 간격을 두고 형성된 열반사지(20)는 표면이 울퉁불퉁하고 염기성인 콘크리트와 접촉하고 있어 물리적 손상 또는 화학적 부식이 발생할 수 있어 단열의 효과가 제대로 발휘될 수 없다.
한편, 일반적인 온수온돌의 경우 하나의 긴 온수관을 구불구불하게 형성시켜 하나의 실(room)을 난방하게 되는데, 온수가 긴 온수관을 통과하면서 점차 차가워지게 되므로 난방이 불균일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선행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반사형 단열재에 의한 단열효과가 최대한 발휘되도록 하여 난방하고자 하는 곳 이외의 곳으로의 열 확산을 막을 수 있고, 복사, 대류, 전도 현상을 모두 이용하여 적은 에너지로 신속한 난방을 할 수 있는, 에너지 절약형 온돌패널과 이의 배치구조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부피형단열재로 이루어지고 사방으로 골이 형성되어 있는 판형의 패널본체와, 상기 골의 내측면에 부착되는 알루미늄박과, 골의 내부공간에 놓여지는 온수지관과, 골의 내측면과 온수지관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켜주는 간격재와, 패널본체의 상부로 덮이되 그 하면이 온수지관과 간격을 갖도록 덮이는 전열철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간격재는, 짧은 길이를 갖는 경질의 합성수지 부재 다수 개가 골의 길이방향 상에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이루어지거나, 골의 길이를 따라 형성된 연질의 발포수지 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절약형 온수패널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온수패널 다수 개가 열을 지어 형성되는 2 이상의 온수지관부와, 상기 온수지관부 사이에 위치하며 온수본관용 패널이 놓여지는 온수본관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온수패널은, 부피형단열재로 이루어지고 사방으로 골이 형성되어 있는 판형의 패널본체와, 상기 골의 내측면에 부착되는 알루미늄박과, 골의 내부공간에 놓여지는 온수지관과, 골의 내측면과 온수지관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켜주는 간격재와, 패널본체의 상부로 덮이되 그 하면이 온수지관과 간격을 갖도록 덮이는 전열철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온수본관용 패널은, 부피형단열재로 이루어지고 입수용골과 출수용골이 형성되어 있는 긴 판형의 온수본관용 패널본체와, 상기 입수용골의 내측면에 부착되는 알루미늄박과, 입수용골 및 출수용골의 내부공간에 놓여지는 온수본관과, 입수용골의 내측면과 온수본관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켜주는 간격재와, 상기 온수본관용 패널본체의 상부로 덮이되 그 하면이 온수본관과 간격을 갖도록 덮이는 온수본관용 전열철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입수용골을 지나는 온수본관은 온수지관의 시작부분과 연결되며, 출수용골을 지나는 온수본관은 온수지관의 끝부분과 연결되고; 상기 온수패널의 전열철판 단부에는 요홈이 형성되어 있고 온수본관용 패널의 온수본관용 전열철판 단부에는 돌기가 형성되어 있어, 요홈과 돌기가 맞물림으로써 온수패널의 전열철판과 온수본관용 패널의 온수본관용 전열철판이 결합되며; 상기 간격재는, 짧은 길이를 갖는 경질의 합성수지 부재 다수 개가 골 및 입수용골의 길이방향 상에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이루어지거나, 골 및 입수용골의 길이를 따라 형성된 연질의 발포수지 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절약형 온수패널의 배치구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은, 반사형 단열재인 알루미늄박에 의해 전도가 일어나지 않도록 하여 알루미늄박에 의한 단열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온수패널에 사방으로 골을 형성시켜, 골의 내부 공간을 통해 열이 대류에 의해 신속하고 고르게 분산될 수 있다. 온수패널 위를 덮는 전열철판은 이러한 열을 전도에 의해 더 고르게 분산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온수패널은 하나의 실(room) 내에 다수 개가 열을 지어 배치되는데, 이 다수 개의 온수패널로 거의 동시에 온수가 공급되므로 난방이 매우 신속하고 균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로서 '온수온돌구조'의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온수패널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온수패널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온수패널을 구성하는 간격재의 두 가지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온수패널을 적용한 배치구조의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온수본관용 패널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을 이루는 온수본관과 온수지관이 교차되는 부분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을 이루는 전열철판 및 온수본관용 전열철판을 일체화시키는 방법과 관련된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공지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함으로 인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흐리게 하거나 불명료하게 하는 경우에는 위 공지의 구성에 관하여는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온수패널(100)의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발명에 의한 온수패널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온수패널(100)은, 부피형단열재로 이루어지고 사방으로 골(111)이 형성되어 있는 판형의 패널본체(110)와, 상기 골(111)의 내측면에 부착되는 알루미늄박(120)과, 골(111)의 내부공간에 놓여지는 온수지관(130)과, 골(111)의 내측면과 온수지관(130)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켜주는 간격재(140)와, 패널본체(110)의 상부로 덮이되 그 하면이 온수지관(130)과 간격을 갖도록 덮이는 전열철판(1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패널본체(110)는, 본 발명에 의한 온수패널(100)의 전체적인 형태를 형성하는 동시에 EPS(Expanded PolyStyrene)와 같은 부피형단열재로 이루어져 있어 난방이 필요한 온수패널 상부 이외의 곳으로 열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해준다. 또한, 부피형단열재가 갖는 다공성의 특징에 의해 온수패널 하부로 소음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해줄 수 있어, 최근 사회적으로 문제가 되고 있는 공동주택의 층간소음 문제에도 대응할 수 있다.
패널본체(110)의 상부면에는 수직방향과 수평방향으로 다수개의 골(111)이 형성되어 있고 그 내부 공간에 온수지관(130)이 배치된다. 각 골(111)들은 직각으로 만나 격자무늬를 형성하지만, 온수지관(130)이 꺾이는 부분에서는 온수지관(130)이 완만하게 꺾일 수 있도록 반원형의 골(111)을 형성시켜 준다. 온수지관(130)은 수평방향 또는 수직방향 중 일방향의 골(111)들만을 지나도록 배치되지만, 각 골(111)의 내부 공간은 모두 연결되어 있어 공기의 대류에 의해 온수지관(130)이 배치되어 있지 않은 골(111)로도 열이 신속하게 전달되므로 난방이 전체면에 걸쳐 고르게 이루어지게 된다.
열원인 온수지관(130)에서 발생되는 열 중 상당량은 복사의 형태로 전달되는데, 이러한 형태의 열 전달은 저방사율을 갖는 반사형 단열재로 막을 수 있다. 상기 골(111)의 내측면에는 반사형 단열재의 일종인 알루미늄박(120)이 부착되어, 온수지관(130)에서 발생된 열이 골(111)의 개구측, 즉 온수패널의 상부로만 전달될 수 있도록 해준다.
온수지관(130)의 하부에는 간격재(140)가 위치하여 골(111)의 내측면과 온수지관(130)이 맞닿지 않도록 해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알루미늄박(120)은 복사 형태의 열을 반사하여 알루미늄박(120) 너머로 전달되는 것을 막을 수 있지만, 전도성이 매우 좋은 재질로서 열원과 맞닿아 형성되는 경우에는 전도에 의해 열손실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간격재(140)를 사용하여 온수지관(130)과 간격을 두고 형성될 수 있도록 해준다.
도 4에는, 상기 간격재(140)의 두 가지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4의 (a)에 도시되어 있는 제1실시예의 간격재(140)는, 짧은 길이를 갖는 경질의 합성수지 부재 다수 개가 골(111)의 길이방향 상에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그리고 도 4의 (b)에 도시되어 있는 제2실시예의 간격재(140)는, 골(111)의 길이를 따라 형성된 연질의 발포수지 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간격재(140)들은 알루미늄박(120)과 온수지관(130)이 직접 접촉하지 않도록 그 사이에 공기층을 형성시켜주어 열반사가 효율적으로 일어나도록 해줌에 따라 열이 난방이 필요한 곳 외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해준다.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간격재(140)는 예시적인 형태로서 온수지관(130)을 골(111)의 내측면과 맞닿지 않게 할 수 있는 기능을 갖고 열전도율이 낮은 재료로 이루어진 것이라면 어떤 형태로 이루어져도 무방하다.
상기 패널본체(110)의 상부로는 전열철판(150)이 덮인다. 격자형의 골(111)을 따라 분산된 열은 열전도성이 좋은 전열철판(150)을 따라 더 고르게 분산된다. 전열철판(150)의 하면은 온수지관(130) 상부와 간격을 갖도록 형성되는데, 전열철판(150)과 온수지관(130)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서 일어나는 대류에 의해 온수지관(130)에서 발생한 열이 전열철판(150)으로 전달되므로 열이 신속하게 전달되면서도 온수지관(130)의 높은 온도가 전열철판(150)에까지 그대로 전달되지는 않으므로 쾌적한 난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전열철판(150)은 상기와 같이 열을 골고루 분산시켜주는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온수패널의 상부에서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시켜주어 다공성인 패널본체(110)가 집중하중에 의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해주는 역할 또한 한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온수패널(100)이 사용될 때에는, 다수 개가 함께 사용된다. 도 5에는, 본 발명에 의한 온수패널(100)을 적용한 온수패널의 배치구조에 대하여 하나의 실(room)을 예시로 한 개념도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온수패널(100)의 배치구조는, 실 양단의 온수지관부(T)와, 상기 온수지관부(T) 사이의 온수본관부(M)로 이루어지는데, 실의 규모에 따라 온수지관부(T) 및 온수본관부(M)의 수는 늘어날 수 있다.
온수지관부(T)에는 위에서 설명한 온수패널(100) 다수 개가 열을 지어 위치하게 되고, 온수본관부(M)에는 온수본관용 패널(200)이 놓이게 된다.
도 6에는, 상기 온수본관용 패널(200)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온수본관용 패널(200)은, 부피형단열재로 이루어지고 입수용골(211)과 출수용골(212)이 형성되어 있는 긴 판형의 온수본관용 패널본체(210)와, 상기 입수용골(211)의 내측면에 부착되는 알루미늄박(220)과, 입수용골(211) 및 출수용골(212)의 내부공간에 놓여지는 온수본관(230)과, 입수용골(211)의 내측면과 온수본관(230)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켜주는 간격재(240)와, 상기 온수본관용 패널본체(210)의 상부로 덮이되 그 하면이 온수본관(230)과 간격을 갖도록 덮이는 온수본관용 전열철판(2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온수본관용 패널(200)의 구성은 상기 온수패널(100)의 구성과 동일한 부분이 많으므로, 다른 특징을 갖는 구성을 위주로 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온수본관용 패널(200)의 몸체를 이루는 온수본관용 패널본체(210)는, 전술한 온수패널(100)의 패널본체(110)와 같은 재료로 이루어지되, 그 형태를 달리한다. 온수본관용 패널본체(210)의 상면으로는 보일러에서 데워진 물이 들어오는 온수본관(230)이 놓여지는 입수용골(211)과, 온수패널(100)에서 열을 방출하고 식은 물이 나가는 출수용골(212)이 형성된다. 입수용골(211)을 지나는 온수본관(230)은 다수의 온수지관(130) 시작부분과 연결되고 출수용골(212)은 지나는 온수본관(230)은 다수의 온수지관(130) 끝부분과 연결되어 온수지관(130)에서보다 많은 양의 물이 흐르게 되므로, 온수지관(130)의 직경보다 더 큰 직경을 가지며, 이에 따라 입수용골(211)과 출수용골(212)의 단면은 온수패널(100)의 골(111) 단면보다 더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온수본관(230)과 온수지관(130)이 연결되는 부분에는,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일반적인 분기관이 형성될 수 있으며, 분기관에 밸브(미도시)를 더 형성시킬 수도 있다.
입수용골(211)을 지나는 온수본관(230)은 온수지관(130)으로 온수를 분배해주는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열원으로서의 역할도 하기 때문에 온수패널(100)의 골(111)과 마찬가지로 그 내측면에 알루미늄박(220)을 부착하고, 내측면과 온수본관(230)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켜주는 간격재(240)를 놓는다. 그리고 온수본관(230)에서 방출되는 열이 분산될 수 있도록 평면상에서 보았을 때, 큰 줄기에서 가지가 뻗어나와 있는 것과 같은 형태로 형성시켜준다.
반대로 출수용골(212)을 지나는 온수본관(230)으로는 열을 모두 방출하여 차가워진 물이 흐르므로, 출수용골(212)에는 알루미늄박 및 간격재를 두지 않는다. 그리고 출수용골(212)의 냉기가 주위로 전달되지 않도록 가능한 한 짧은 길이로 형성시키고, 입수용골(211)과는 서로 격리될 수 있도록 한다. 출수용골(212) 내부의 공기는 차가운 물이 하부로 흐르므로 대류가 잘 일어나지 않으므로 냉기가 온수본관용 패널(200)의 상부로 잘 전달되지는 않지만, 온수본관(230) 상부로 스티로폼과 같은 단열재를 두어 출수용골(212)을 폐쇄시킴으로써 냉기가 주변으로 전달되는 것을 더 완전하게 차단할 수 있다.
온수본관용 패널본체(210) 내에서는, 온수패널(100)이 다수 개 형성됨에 따라 온수본관(230)과 온수지관(130)이 교차되기도 하는데,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교차부분에서 찬물이 지나가는 출수용골(212)의 깊이를 더 깊게 만들고 찬물이 지나가는 온수지관(130) 또는 온수본관(230)이 뜨거운 물이 지나가는 온수지관(130) 또는 온수본관(230)의 아래로 배치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교차되는 관들 사이에 간격재(240)를 두어 뜨거운 물이 가진 열이 찬물 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해준다.
온수본관용 패널본체(210)의 상부로는 온수본관용 전열철판(250)이 덮이는데, 온수패널(100)에서와 마찬가지로 그 하면이 온수본관(230)과 간격을 갖도록 덮인다. 온수패널(100)의 전열철판(150) 및 온수본관용 패널(200)의 온수본관용 전열철판(250)은 각각 분리되어 형성되므로 서로 일체화가 될 수 있도록,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온수패널(100)의 전열철판(150) 단부에는 요홈(151)을 형성시키고 온수본관용 패널(200)의 온수본관용 전열철판(250) 단부에는 돌기(251)를 형성시켜 상기 요홈(151)과 돌기(251)가 맞물리도록 한다. 상기 요홈(151)과 돌기(251)의 위치는 서로 반대가 되어도 무방하다.
그리고 온수패널(100)의 전열철판(150)끼리 연결할 때에도 위와 같은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온수패널(100)의 배치구조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온수본관(230)과 온수지관(130)이 병렬적으로 연결되므로 균일하고 신속한 난방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온수에서 방출되는 열이 난방이 필요한 방향으로 열손실 없이 전달될 수 있어 적은 양의 물로도 난방이 가능하므로 물을 데우는 데 필요한 연료를 절약할 수 있고, 빠르게 물의 온도를 올릴 수 있으므로 난방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상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이해하기 쉽도록 하기 위한 예시에 불과한 것이므로,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이를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임은 자명한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 예들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 온수패널 110 : 패널본체
111 : 골 120, 220 : 알루미늄박
130 : 온수지관 140, 240 : 간격재
150 : 전열철판 151 : 요홈
200 : 온수본관용 패널 210 : 온수본관용 패널본체
211 : 입수용골 212 : 출수용골
230 : 온수본관 250 : 온수본관용 전열철판
251 : 돌기
M : 온수본관부 T : 온수지관부

Claims (2)

  1. 부피형단열재로 이루어지고 사방으로 골(111)이 형성되어 있는 판형의 패널본체(110)와, 상기 골(111)의 내측면에 부착되는 알루미늄박(120)과, 골(111)의 내부공간에 놓여지는 온수지관(130)과, 골(111)의 내측면과 온수지관(130)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켜주는 간격재(140)와, 패널본체(110)의 상부로 덮이되 그 하면이 온수지관(130)과 간격을 갖도록 덮이는 전열철판(1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간격재(140)는, 짧은 길이를 갖는 경질의 합성수지 부재 다수 개가 골(111)의 길이방향 상에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이루어지거나, 골(111)의 길이를 따라 형성된 연질의 발포수지 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절약형 온수패널.
  2. 온수패널(100) 다수 개가 열을 지어 형성되는 2 이상의 온수지관부(T)와, 상기 온수지관부(T) 사이에 위치하며 온수본관용 패널(200)이 놓여지는 온수본관부(M)로 이루어지되;
    상기 온수패널(100)은, 부피형단열재로 이루어지고 사방으로 골(111)이 형성되어 있는 판형의 패널본체(110)와, 상기 골(111)의 내측면에 부착되는 알루미늄박(120)과, 골(111)의 내부공간에 놓여지는 온수지관(130)과, 골(111)의 내측면과 온수지관(130)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켜주는 간격재(140)와, 패널본체(110)의 상부로 덮이되 그 하면이 온수지관(130)과 간격을 갖도록 덮이는 전열철판(1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온수본관용 패널(200)은, 부피형단열재로 이루어지고 입수용골(211)과 출수용골(212)이 형성되어 있는 긴 판형의 온수본관용 패널본체(210)와, 상기 입수용골(211)의 내측면에 부착되는 알루미늄박(220)과, 입수용골(211) 및 출수용골(212)의 내부공간에 놓여지는 온수본관(230)과, 입수용골(211)의 내측면과 온수본관(230)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켜주는 간격재(240)와, 상기 온수본관용 패널본체(210)의 상부로 덮이되 그 하면이 온수본관(230)과 간격을 갖도록 덮이는 온수본관용 전열철판(2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입수용골(211)을 지나는 온수본관(230)은 온수지관(130)의 시작부분과 연결되며, 출수용골(212)을 지나는 온수본관(230)은 온수지관(130)의 끝부분과 연결되고;
    상기 온수패널(100)의 전열철판(150) 단부에는 요홈(151)이 형성되어 있고 온수본관용 패널(200)의 온수본관용 전열철판(250) 단부에는 돌기(251)가 형성되어 있어, 요홈(151)과 돌기(251)가 맞물림으로써 온수패널(100)의 전열철판(150)과 온수본관용 패널(200)의 온수본관용 전열철판(250)이 결합되며;
    상기 간격재(140, 240)는, 짧은 길이를 갖는 경질의 합성수지 부재 다수 개가 골(111) 및 입수용골(211)의 길이방향 상에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이루어지거나, 골(111) 및 입수용골(211)의 길이를 따라 형성된 연질의 발포수지 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절약형 온수패널의 배치구조.
KR1020130042289A 2013-04-17 2013-04-17 에너지 절약형 온수패널과 이의 배치구조 KR2014012458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2289A KR20140124581A (ko) 2013-04-17 2013-04-17 에너지 절약형 온수패널과 이의 배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2289A KR20140124581A (ko) 2013-04-17 2013-04-17 에너지 절약형 온수패널과 이의 배치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4581A true KR20140124581A (ko) 2014-10-27

Family

ID=519947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2289A KR20140124581A (ko) 2013-04-17 2013-04-17 에너지 절약형 온수패널과 이의 배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2458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169454U1 (ru) * 2016-02-04 2017-03-17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Автопласт" Плита для системы отопления
CN106871229A (zh) * 2017-02-13 2017-06-20 张谦 铝塑复合供热水暖板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169454U1 (ru) * 2016-02-04 2017-03-17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Автопласт" Плита для системы отопления
CN106871229A (zh) * 2017-02-13 2017-06-20 张谦 铝塑复合供热水暖板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6655B1 (ko) 온수의 이동 경로가 한 쌍으로 이루어진 조립식 보온 패널
EP2994582B1 (en) Panel for floor heating
JP6479300B2 (ja) 床暖房用温水マット
KR101284739B1 (ko) 온수장판
KR20140124581A (ko) 에너지 절약형 온수패널과 이의 배치구조
KR200387296Y1 (ko) 난방 배관용 바닥판
KR101177696B1 (ko) 무배관 온돌구조를 가진 층간 차음패널 및 그 조립체
KR101501170B1 (ko) 건식 온돌 패널 및 건식 온돌 패널이 구성된 바닥 구조
JP6352569B1 (ja) 熱伝達パネル
KR100731302B1 (ko) 난방판넬
JP5861096B2 (ja) 鏡装置
JP5327528B2 (ja) 床暖房用温水マット
JP2005241101A (ja) 床暖房パネル及びこれに用いる保温ブロック
JP2006207863A (ja) 床暖房システム用の曲管敷設用補助部材
JP4499900B2 (ja) 伝熱性床構造材及びこの床構造材を用いた床構造
JP2009008288A (ja) 温水式床暖房装置
KR200271539Y1 (ko) 온돌 난방 시공용 패널 및 그 패널을 이용한 온돌 난방구조
CN212987477U (zh) 拼接式辐射空调末端
JP5181577B2 (ja) 床暖房用温水マットにおける通水管配置用の溝構造
CN212805904U (zh) 低能耗辐射空调末端
JP5887569B2 (ja) 床暖房パネル
JP2008014579A (ja) 床暖房パネル
JPH076614U (ja) 床暖房パネル
KR200188093Y1 (ko) 난방용 온돌패널
CN117387138A (zh) 辐射冷却和/或加热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