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19863A - 난방패널 연접수단 및 그의 연접편 - Google Patents

난방패널 연접수단 및 그의 연접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19863A
KR20110119863A KR1020100039256A KR20100039256A KR20110119863A KR 20110119863 A KR20110119863 A KR 20110119863A KR 1020100039256 A KR1020100039256 A KR 1020100039256A KR 20100039256 A KR20100039256 A KR 20100039256A KR 20110119863 A KR20110119863 A KR 201101198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panel
heat storage
layer
storage plate
h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92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09423B1 (ko
Inventor
두 년 김
Original Assignee
천열에너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천열에너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천열에너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392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9423B1/ko
Publication of KR201101198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98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94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94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2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 F24D3/122Details
    • F24D3/127Mechanical connections between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4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 E04C2/5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with special adaptations for auxiliary purposes, e.g.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 E04C2/521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with special adaptations for auxiliary purposes, e.g.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for ventilating, heating or cooling
    • E04C2/525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with special adaptations for auxiliary purposes, e.g.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for ventilating, heating or cooling for heating or cool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eam Or 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난방패널의 연접수단 및 연접편에 관한 것으로 방습층(A)과, 단열층(B)과, 열전도판(M)이 내장된 축열층(T)이 일체로 적층되고 축열층(T)의 표면에 온수관(P)을 배관하는 배관홈(G)이 일정한 간격으로 구비된 것에 있어서. 난방패널(1)의 직각의 2변에는 돌출부(2)가 구비되고 난방패널(1)의 다른 직각의 2변에는 상기 돌출부가 결합되는 요입부(3)가 구비되며, 상기 요입부(3)에는 요입부의 상하 폭을 확보 유지하는 연접편(4)이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어 난방패널(1)의 돌출부(2)와 요입부(3)의 결합에 의해 평면적으로 연접시공하게 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들뜸 현상이 없이 난방패널을 평면적으로 용이하게 연접시공이 가능하다.

Description

난방패널 연접수단 및 그의 연접편{A MEANS OF FLOORING THE HEATING PANEL AND IT'S GRIPS}
본 발명은 난방용 온수관이 배관되는 난방패널의 주연부에 돌출부와 요입부를 형성하고 요입부에 연접편을 배치하여, 돌출부와 요입부의 결합으로 난방패널을 평면적으로 연접하여 시공하는 난방패널의 연접수단 및 그 연접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기술인 특허등록제10-0936709호(2010. 01. 13.공고) "난방패널의 연결방법 및 그 연결편"은 방습층, 단열층, 열전도판이 내장된 축열층이 일체로 적층되고 축열층에는 온수관을 배관하는 배관홈이 일정한 간격으로 구비된 난방패널을 난방영역에 평면적으로 연접 시공할 때. 난방패널의 주연부에 연결편을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하여 서로 연접된 난방패널의 연접부에 연결편이 끼워져서 난방패널 주연주의 들뜸 현상을 방지하게 되어 있다.
상기한 난방패널의 연결방법 및 연결편에 의해 난방패널의 주연부가 부분적으로 들뜸이 없이 평면적으로 연결되어 난방패널의 표면에 시공하는 마감재가 난방패널의 가장자리의 흔적이 나타나지 않고 평활하게 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상기한 선행기술은 다수개의 연결편을 난방패널의 주연부에 배치하고 연결편에 돌출된 뾰족한 절곡편이 난방패널의 주연부에 삽입되게 맞추면서 시공하는데 많은 노력이 소요되는 미비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시정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가 선발명한 상기 특허등록제10-0936709호의 미비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난방패널의 직각의 2변에는 돌출부를 구비하고 그 반대측의 직각의 2변에는 요입부를 구비하며 요입부에는 요입부의 폭을 확보하는 여러 개의 연접편을 배치하여 난방패널의 돌출부와 요입부의 결합에 의해 들뜸현상 없이 난방패널을 간편하게 연접시공하는 새로운 난방패널의 연접수단 및 그의 연접편을 개발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난방패널의 연접부가 부분적으로 들뜸 현상 없이 간편하게 평면적으로 연접하여 시공할 수 있는 난방패널의 연접수단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난방패널의 직각의 2변에는 돌출부를 구비하고 반대측의 직각의 2변에는 상기 돌출부가 상대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요입부를 구비하며, 요입부에 연접편을 배치하여 돌출부와 요입부의 결합에 의해 난방패널이 들뜸 현상이 없이 평면적으로 간편하게 연접시공하는 난방패널의 연접수단 및 그의 연접편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방습층, 단열층, 열전도판이 내장된 축열층이 일체로 적층되고 축열층의 표면에 온수관을 배관하는 배관홈이 일정한 간격으로 구비된 것에 있어서. 난방패널의 직각의 2변에는 소정의 폭을 가진 돌출부를 구비하고 난방패널의 다른 직각의 2변에는 상기 돌출부가 삽입하여 결합되는 요입부를 구비하며 상기 요입부에는 요입부의 폭을 확보하는 연접편을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하여 난방패널의 돌출부와 요입부의 결합에 의해 들뜸 현상이 없이 간편하게 평면적으로 연접시공할 수 있게 구성된 것이다.
본 발명에서 난방패널의 주연부에 구비되는 돌출부와 요입부는 단열층과, 축열층을 이루는 상부 축열판 사이에서 하부 축열판이 적층위치를 일측으로 변위되게 적층함으로서 하부 축열판의 직각의 2변은 상부 축열판과 단열층 사이의 외측으로 돌출되고 동 하부 축열판의 다른 직각의 2변은 상부 축열판과 단열층 사이로 몰입되어 돌출부와 요입부가 구성된 것이다.
일반적인 목재판을 연접하기 위해서 목재판의 일측 주연부에는 돌출부를 가공하고 반대측의 주연부에는 요입부를 가공하여 돌출부와 요입부가 맞물리도록 연접하여 마루 등을 시공하게 된 것은 알려져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단순히 난방패널의 가장자리를 절삭, 가공에 의해 돌출부와 요입부를 구성하는 것이 아니고 복합소재의 적층으로 구성되는 난방패널에 있어, 비교적 단단한 재질로 된 하부 축열판의 적층위치의 변위(變位)에 의해 돌출부와 요입부가 구성되는 점에서 상기 목판의 돌출부와 요입부의 가공과는 다른 특징이 있다.
또 난방패널의 방습층, 단열층의 적층소재는 유연성이 큰 발포성 합성수지재질인데 비해, 축열층은 유연성이 없고 비교적 단단한 광석입자가 포함된 석고재질로 되어 있기 때문에 난방패널의 돌출부와 요입부의 규격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그러나 요입부의 하부축면은 단열층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에 단열층의 재질적인 변형에 의해 요입부의 폭이 변형되거나 유착되지 않도록 요입부에 연접편을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하여 요입부의 폭을 확보유지시킨다.
따라서 난방패널의 돌출부를 요입부에 용이하게 결합하여 나방패널의 들뜸 현상이 없이 평면적으로 간편하게 연접 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방습층과, 방열층, 및 열전도판이 내장된 축열층과, 축열층에 온수관을 배관하는 배관홈이 구비된 난방패널에 있어서, 난방패널의 직각의 2변에는 돌출부가 구비되고 다른 직각의 2변에는 요입부가 구비되며, 각 요입부에는 요입부의 폭을 확보하는 연접편을 배치하여 구성하였기 때문에 난방패널의 돌출부와 요입부의 결합에 의해 난방패널을 들뜸 현상 없이 간편하게 평면적으로 연접시공 할 수 있고 평활하고 아름답게 마감재로 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난방패널의 예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연접편이 사시도
도3은 도2의 연접편의 측면도
도4는 본 발명의 난방패널의 연접 전의 단면 예시도
도5는 본 발명의 난방패널의 연접된 단면 예시도
도6은 도5의 원으로 표시된 부분의 확대도
도7은 본 발명의 난방패널이 연접된 일부 평면도
도1 및 도4에 표시된 바와 같이, 방습층(A)과, 단열층(S)과 열전도판(M)이 내장된 하부 축열판(t1)과 상부 측열판(t2)이 적층된 축열층(T)으로 적층되고 축열층(T)의 상면에 온수관(P)을 배관하는 배관홈(G)이 구비된 난방패널(1)에 있어서, 난방패널(1)의 축열층(T)을 이루는 하부 축열판(t1)의 적층위치를 상부 축열판(t2)의 일측으로 변위되게 적층하여 상기 하부 축열판(t1)의 직각의 2변의 주연부(a)(b)는 단열층(S)과 상부 축열판(t2) 사이의 일측으로 약1∼1.5cm정도 돌출되고 상기 하부 축열판(t2)의 다른 직각의 2변의 주연부(c)(d)는 단열층(S)과 상부 축열판(t2) 사이의 일측으로 몰입되어서, 난방패널(1)의 직각의 2변에는 돌출부(2)가 구비되고 난방패널(1)의 반대측 직각의 2변에는 돌출부(2)가 상대적으로 결합되는 요입부(3)가 구비된다.
또 도2 및 도3에 표시된 바와 같이, 난방패널(1)의 열전도판(M)과 같은 두께(0.2∼ 0.4mm정도) 의 금속편으로 된 연접편(4)은 난방패널(1)의 요입부(3)의 상하 폭(w)과 상응한 높이(h)를 가진 수직부(4a)와, 상기 수직부(4a)의 상단부에 직각으로 절골된 절곡편(4b)과, 상기 수직부(4a)의 하단부에 직각으로 절곡된 절곡부(4c)로 구성되어 있다.
난방영역에 난방패널(1)을 시공할 때, 도4 및 도5에 표시된 바와 같이, 난방패널(1)의 요입부(3)측에 여러 개의 연접편(4)을 배치하여 연접편(4)의 절곡편(4b)은 열전도판(M)이 내장된 가장자리 공극에 끼우고 연접편(4)의 수직편(4a)은 요입부(3)의 내면에 밀착되며, 연접편(4)의 하부 절곡부(4c)가 단열층(S)의 주연부 모서리에 밀착되어 요입부(3)의 폭(w)을 일정하게 확보 유지시킨다.
따라서 난방패널(1)의 돌출부(2)를 상대의 요입부(3)에 차례로 삽입하여 연접하면서 도7과 같이 평면적으로 난방패널을 시공한다. 이때 서로 연접된 두 난방패널(1)은 비교적 단단한 재질의 하부 축열판(t1)으로 된 돌출부(2)와 요입부(3)의 결합에 의해 난방패널이 들뜸 현상이 없이 평활하게 연접되며 그 상부 측에 마감재(f를 시공한면 평활하고 미려하게 마감하게 된다.
1 : 난방패널 2 : 돌출부 3 : 요입부 4 : 연접편

Claims (3)

  1. 방습층(A)과, 단열층(B)과, 열전도판(M)이 내장된 축열층(T)이 일체로 적층되고 축열층(T)의 표면에 온수관(P)을 배관하는 배관홈(G)이 일정한 간격으로 구비된 것에 있어서. 난방패널(1)의 직각의 2변에는 돌출부(2)가 구비되고 난방패널(1)의 다른 직각의 2변에는 상기 돌출부가 결합되는 요입부(3)가 구비되며, 상기 요입부(3)에는 요입부(3)의 상하 폭을 확보 유지하는 연접편(4)이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어 난방패널(1)의 돌출부(2)와 요입부(3)의 결합에 의해 평면적으로 연접시공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패널의 연접수단.
  2. 제1항에 있어서, 난방패널의 축열층(T)을 이루는 하부 축열판(t1)의 적층위치가 상부 축열판(t2)의 일측으로 변위되게 적층되어 상기 하부 축열판(t1)의 직각의 2변의 주연부(a)(b)는 단열층(S)과 상부 축열판(t2) 사이의 일측으로 돌출되고 하부 축열판(t2)의 다른 직각의 2 변의 주연부(c)(d)는 단열층(S)과 상부 축열판(t2) 사이의 일측으로 몰입되어 난방패널(1)의 돌출부(2)와 요입부(3)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패널의 연접수단.
  3. 연접편(4)은 난방패널(1)의 요입부(3)의 상하 폭(w)과 상응한 높이(h)를 가진 수직부(4a)와, 수직부(4a)의 상단부에 직각으로 절골된 절곡편(4b)과, 수직부(4a)의 하단부에 직각으로 절곡된 절곡부(4c)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패널의 연접수단의 연접편.
KR1020100039256A 2010-04-28 2010-04-28 난방패널의 연접수단 및 그의 연접편 KR1012094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9256A KR101209423B1 (ko) 2010-04-28 2010-04-28 난방패널의 연접수단 및 그의 연접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9256A KR101209423B1 (ko) 2010-04-28 2010-04-28 난방패널의 연접수단 및 그의 연접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9863A true KR20110119863A (ko) 2011-11-03
KR101209423B1 KR101209423B1 (ko) 2012-12-10

Family

ID=453911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9256A KR101209423B1 (ko) 2010-04-28 2010-04-28 난방패널의 연접수단 및 그의 연접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942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6968B1 (ko) * 2012-08-07 2014-06-13 천열에너지 주식회사 난방용 온돌패널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55401B2 (ja) 1996-09-02 2005-06-02 三菱化学産資株式会社 床暖房用パネル
JP2000320852A (ja) 1999-05-10 2000-11-24 Mitsubishi Kagaku Sanshi Corp 床暖房用パネル
KR200441049Y1 (ko) 2007-12-10 2008-07-18 천열에너지 주식회사 난방용 굽도리 패널의 지지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6968B1 (ko) * 2012-08-07 2014-06-13 천열에너지 주식회사 난방용 온돌패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09423B1 (ko) 2012-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7053983A1 (fr) Plaques fixées et raccordées ensemble par une pince
US20160160502A1 (en) Insulating panel with alignment assembly and insulating panel assembly including same
UA107205C2 (uk) Способи і пристрої, пов'язані з формуванням поверхонь будівельних панелей
US20150024168A1 (en) Model of warm stone floor material
JP2006326114A (ja) 風呂蓋
CN105888188A (zh) 一种地板的拼接机构
KR20110119863A (ko) 난방패널 연접수단 및 그의 연접편
CN203821783U (zh) 便于稳固安装的地暖地板
CN203755599U (zh) 一种地暖地板
JP2013104269A (ja) 見切具
KR200464410Y1 (ko) 조립식 내장패널
KR101067442B1 (ko) 휨 방지 기능을 가진 친환경 마루
CN103711280A (zh) 保温装饰一体板的组装结构
EP3502574A1 (en) Improvements in flooring systems
KR100936709B1 (ko) 난방패널의 연결방법및 그 연결편
CN205822695U (zh) 一种实木地板锁扣
JP2013002202A (ja) 床暖房パネル
KR20190115851A (ko) 난방을 위한 온수관용 바닥판넬
KR20130021140A (ko) 바닥패널
CN210195135U (zh) 木板块和木地板
RU140440U1 (ru) Вставка для листового покрытия
CN210659092U (zh) 一种地板拼接结构
FI12040U1 (fi) Tuulettuva alapohjarakenne
JP2012242050A (ja) 床暖房ユニット
JP2013250011A (ja) 床暖房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