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9423B1 - 난방패널의 연접수단 및 그의 연접편 - Google Patents

난방패널의 연접수단 및 그의 연접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9423B1
KR101209423B1 KR1020100039256A KR20100039256A KR101209423B1 KR 101209423 B1 KR101209423 B1 KR 101209423B1 KR 1020100039256 A KR1020100039256 A KR 1020100039256A KR 20100039256 A KR20100039256 A KR 20100039256A KR 101209423 B1 KR101209423 B1 KR 1012094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panel
heat storage
layer
storage plate
conca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92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19863A (ko
Inventor
두 년 김
Original Assignee
천열에너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천열에너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천열에너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392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9423B1/ko
Publication of KR201101198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98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94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94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2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 F24D3/122Details
    • F24D3/127Mechanical connections between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4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 E04C2/5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with special adaptations for auxiliary purposes, e.g.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 E04C2/521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with special adaptations for auxiliary purposes, e.g.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for ventilating, heating or cooling
    • E04C2/525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with special adaptations for auxiliary purposes, e.g.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for ventilating, heating or cooling for heating or cool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team Or 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난방패널의 연접수단 및 그의 연접편에 관한 것으로
방습층(A)과 단열층(S)과 열전도판(M)이 내장된 축열층(T)이 일체로 적층되고 축열층(T)의 표면에 온수관(P)을 배관하는 배관홈(G)이 일정한 간격으로 구비된 것에 있어서,
난방패널(1)의 직각으로 접한 2변에는 하부 축열판(t1)에 의한 돌출부(2)가 구비되고 상기 난방패널(1)의 나머지 직각으로 접한 2변에는 하부 축열판(t1)에 의한 요입부(3)가 구비되며 상기 요입부(3)에는 요입부(3)의 상하 폭(w)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여러 개의 연접편(4)이 난방패널의 주연부를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어 난방패널의 돌출부(2)와 요입부(3)의 결합에 의해 평면적으로 시공할 수 있게 구성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난방패널의 돌출부와 요입부의 용이한 결합에 의해 연접부분에 들뜸 현상이 없이 난방패널을 평면적으로 용이하게 연접하여 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난방패널의 연접수단 및 그의 연접편{A MEANS OF FLOORING THE HEATING PANEL AND IT'S GRIPS}
본 발명은 난방패널의 연접수단 및 그의 연접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난방용 온수관이 배관되는 난방패널의 직각으로 접한 2변에는 외 측방으로 돌출된 결합용 돌출부가 구비되고 난방패널의 다른 직각으로 접한 2 변에는 내 측방으로 요입된 결합용 요입부가 구비되며 상기 요입부에는 난방패널의 가장자리를 따라 요입부의 상하 폭을 유지하는 연접편이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어 난방패널에 구비된 돌출부와 요입부의 결합에 의해 난방패널을 평면적으로 간편하게 시공할 수 있게 된 것이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기술인 특허등록 제10-0936709호(2010.01.13.공고) "난방패널의 연결방법 및 그 연결편"은 방습층, 단열층, 열전도판이 내장된 축열층이 일체로 적층되고 축열층에는 온수관을 배관하는 배관홈이 일정한 간격으로 구비된 난방패널을 난방영역에 평면적으로 연접 시공할 때, 난방패널의 연접부에 연결편을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하여 서로 연접된 난방패널의 연접부에 연결편이 끼워져서 난방패널 주연부의 들뜸 현상을 방지하게 되어 있다.
상기한 난방패널의 연결방법 및 연결편에 의해 난방패널의 주연부가 부분적으로 들뜸이 없이 평면적으로 연결되어 난방패널의 표면에 마감재를 시공할 때 마감재에 난방패널의 가장자리의 흔적이 나타나지 않고 평활하게 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상기한 선행기술은 다수개의 연결편을 난방패널의 주연부에 배치하고 연결편에 돌출된 뾰족한 절곡편이 난방패널의 주연부에 삽입되게 맞추면서 시공하는데 많은 노력(勞力)이 소요되는 미비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본 발명자가 선발명한 특허등록제10-0936709호의 미비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직사각형으로 된 난방패널의 직각으로 접한 2변에는 외 측방으로 돌출된 돌출부가 구비되고 나머지 직각으로 접한 2변에는 내축방으로 요입된 요입부가 구비되며 상기 요입부에는 난방패널의 가장자리를 따라 요입부의 상하 폭을 유지하는 여러 개의 연접편이 나란히 배치되어 난방패널의 돌출부와 요입부의 상대적인 결합에 의해 들뜸 현상이 없이 난방패널을 간편하게 연접 시공할 수 있는 새로운 난방패널의 연접수단 및 그의 연접편을 개발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난방패널의 연접부가 부분적으로 들뜸 현상 없이 간편하게 평면적으로 연접하여 시공할 수 있는 난방패널의 연접수단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난방패널의 직각으로 접한 2변에는 외 측방으로 돌출된 돌출부가 구비되고 나머지 직각으로 접한 2변에는 상기한 돌출부가 상대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내 측방으로 요입된 요입부가 구비되며 상기 요입부에는 요입부의 상하 폭을 유지하는 연접편이 난방패널의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어 상기 난방패널의 돌출부와 요입부의 결합에 의해 난방패널의 연접부분에 들뜸 현상이 없이 평면적으로 난방패널을 보다 간편하게 시공할 수 있는 난방패널의 연접수단 및 그의 연접편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방습층, 단열층, 열전도판이 내장된 축열충이 일체로 적층되고 축열층의 표면에 온수관을 배관하는 배관홈이 일정한 간격으로 구비된 것에 있어서, 난방패널의 직각으로 접한 2변에는 소정의 폭을 두고 외 측방으로 돌출된 돌출부가 구비되고 난방패널의 나머지 직각으로 접한 2변에는 상기한 돌출부가 상대적으로 삽입되는 상하 폭을 두고 내 측방으로 요입된 요입부가 구비되며 상기 요입부에는 요입부의 상하 폭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절곡편이 난방패널의 주연부를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어 난방패널의 연접수단이 구성된 것이다.
상기 요입부의 상하 폭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연접편은 열전도판과 같은 두께를 가진 금속편으로 요입부의 상하 폭과 상응한 높이로 된 수직부와, 상기 수직부의 상단부에서 일 측방의 직각으로 절곡되어 요입부 내의 하부 축열판과 상부 축열판 사이에 끼워 상기 연접편을 요입부에 고정시키는 절곡편과, 상기 수직부의 하단부에서 상기 절곡편과 반대 방향으로 뻗은 다음 직각으로 절곡되어 요입부의 하부 면을 이루고 있는 유연한 단열재의 외측 모서리부분에 밀착하게 된 절곡부로 구성된 것이다.
본 발명에서 난방패널의 주연부의 2변에 돌출된 돌출부와 난방패널의 나머지 2변에 요입된 요입부는 난방패널을 적층 구성하고 있는 축열층의 하부 축열판이 상부 측열판의 대각선 방향의 일측으로 소정의 폭만큼 변위되게 적층되어 하부 축열판의 직각으로 접한 2변은 상부 축열판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돌출부를 이루고 하부 축열판의 나머지 직각으로 접한 2변은 상부 축열판의 내측으로 몰입(沒入)되어 요입부가 구성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목재판을 연접시공 하기 위해서 목재판의 일축 주연부에 돌출부를 가공하고 반대 측의 주연부에 요입부를 가공하여 각 목재판의 돌출부와 요입부가 맞물리도록 연접하여 인접되는 마루 등을 시공하게 된 것은 알려져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단순히 난방패널의 가장자리를 절삭, 가공에 의해 돌출부와 요입부를 구성하는 것이 아니고 복합소재의 적층으로 구성되는 난방패널의 비교적 단단한 재질로 된 하부 축열판의 적층위치의 변위에 의해 돌출부와 요입부가 구성되는 점에서 종래의 목재판에 돌출부와 요입부를 가공하는 것과 다른 특징이 있다.
또 난방패널의 방습층, 단열층의 적층소재는 유연성이 큰 발포성 합성수지 재질인데 비해 축열층은 유연성이 없고 비교적 단단한 광석입자가 포함된 석고재질로 되어 있기 때문에 난방패널의 돌출부와 요입부의 규격을 일전하게 유지할 수 있다.
그러나 요입부의 하부 면은 단열층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에 단열층의 재질적인 변형에 의해 요입부의 상하 폭이 변형되거나 유착될 우려가 있다. 이에 난방패널의 주연부를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요입부에 연접편을 배치하여 연접편의 절곡편을 요입부 내의 하부 축열판과 상부 축열판 사이에 끼워 연접편의 수직부가 요입부의 내 측면에 밀착되게 고정하고 연접편의 하부 측에 직각으로 절곡된 절곡부가 요입부의 하부측 단열층의 외측 모서리 부분에 결합되어 유연한 재질의 단열층의 모서리 부분이 요입부 내측으로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요입부의 상하 폭을 일정하게 유지하게 된 것이다.
따라서 난방패널의 난방 시공 시에 난방패널의 돌출부가 상대의 요입부에 용이하게 삽입, 결합되어 난방패널의 연접부분에 들뜸 현상이 없이 평면적으로 간편하게 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방습층과 단열층 및 열전도판이 내장된 축열층과 축열층에 온수관을 배관하는 배관홈이 구비된 난방패널에 있어서 난방패널의 직각으로 접한 2변에는 외 측방으로 돌출된 돌출부가 구비되고 다른 직각으로 접한 2변에는 내 측방으로 요입된 요입부가 구비되며 각 요입부에는 요입부의 상하 폭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연접편이 배치되어 구성되었기 때문에 난방패널을 평면적으로 시공할 때 난방패널의 돌출부와 요입부의 용이한 결합에 의해 난방패널의 연접부분이 들뜸 현상이 없이 간편하게 연접하여 시공할 수 있고 평활하고 아름답게 마감재로 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난방패널의 예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연접편의 사시도
도3은 도2의 연접편의 측면도
도4는 본 발명의 난방패널의 연접 전의 단면 예시도
도5는 본 발명의 난방패널의 연접된 단면 예시도
도6은 도5의 원으로 표시된 부분의 확대도
도7은 본 발명의 난방패널의 연접된 일부 평면도
본 발명의 난방패널의 연접수단은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즉 도1 및 도4에 표시된 바와 같이, 방습층(A)과 단열충(S) 및 열전도판(M)이 내장된 하부 축열판(t1)과 상부 축열판(t2)이 적층된 축열층(T)으로 적층되고 축열층(T)의 상면에 온수관(P)을 배관하는 배관홈(G)이 구비된 난방패널(1)에 있어서, 난방패널(1)의 축열층(T)을 이루는 하부 축열판(t1)이 상부 축열판(t2)의 대각선 방향의 일 측으로 변위되게 적층하여 된 것이다. 따라서 하부 축열판(t1)의 직각으로 접한 2변의 주연부(a)(b)는 상부 축열판(t2)과 단열층(S) 사이에서 외측방으로 약 1~1.5cm 정도 돌출되어 돌출부(2)가 구비되고 상기 하부 축열판(t1)의 직각으로 접한 2변의 주연부(c)(d)는 상부 축열판(t2)과 단열층(S) 사이에서 내 측방으로 몰입되어 상기 돌출부(2)가 상대적으로 결합되는 요입부(3)가 구비된다. 도7에 표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요입부(3)에는 요입부(3)의 상하 폭(w)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여러 개의 연접편(4)이 난방패널(1)의 주연부를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어 구성된 것이다.
도2 및 도3에 표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요입부(3)의 상하 폭(w)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연접편(4)은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즉 난방패널(1)의 열전도판(M)과 같은 두께(0.2~0.4mm) 의 금속편으로 된 연접편(4)은 난방패널(1)의 요입부(3)의 상하 폭(w)과 상응한 높이(h)를 가진 수직부(4a)가 요입부(3)의 내측면에 수직으로 밀착될 수 있게 형성 되어 있고 상기 수직부(4a)의 상단부에는 일 측방의 직각으로 절곡된 절곡편(4b)이 요입부(3) 내의 하부 축열판(t1)과 상부 축열판(t2)사이에 끼워져 연접편(4)을 요입부(3) 내에 고정될 수 있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접편(4)의 수직부(4a)의 하단부에서 상기 절곡편(4b)의 반대방향의 연장된 다음 직각으로 절곡된 '
Figure 112012502790718-pat00008
' 자형의 절곡부(4c)가 난방패널(1)의 요입부(3)의 하부 면을 이루고 있는 단열층(S)의 표면과 외측 모서리 부분에 밀착될 수 있게 구성된 것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된 본 발명의 난방패널(1)을 평면적으로 시공할 때, 도4 및 도7에 표시된 바와 같이 난방패널(1)의 요입부(3)에 여러 개의 연접편(4)을 난방패널(1)의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한다. 즉 난방패널(1)의 요입부(3)의 내 측면에 연접편(4)의 수직부(4a)가 밀착되도록 연접편(4)의 상부 절곡편(4a)을 요입부(3) 내의 하부 축열판(t1)과 상부 축열판(t2) 사이에 끼워 연접편(4)이 요입부(3) 내에서 고정되게 한다. 따라서 연접편(4)의 하부 절곡부(4c)는 요입부(3)의 하부 면을 이루는 단열층(S)의 표면과 외측 모서리 부분에 직각으로 밀착되어 단열층(S)의 모서리 부분이 요입부(3)의 내부로 벌어지는 일이 없이 요입부(3)의 상하 폭(w)을 일정하게 유지되게 한다.
따라서 도5, 도6 에 표시된 바와 같이, 일 측 난방패널(1)의 돌출부(2)를 타 측 난방패널(1)의 요입부(3)에 삽입하면 돌출부(2)와 요입부(3) 사이에 연접편(4)이 중간에 개재(介在)된 상태로 결합되어 난방패널을 평면적으로 시공하게 된다. 이때 요입부(3)의 내 측면에 연접편(4)의 수직부(4a)가 밀착되어 있고 연접편(4)의 절곡부(4c)가 요입부(3)의 하부 측 단열층(S)의 외부 모서리 부분에 밀착되어 있어, 유연한 재질의 단열층(S)의 모서리 부분이 요입부(3)측으로 벌어지는 것이 억제되고 요입부(3)의 상부 면은 경질(硬質)인 상부 축열판(t2)의 하부 면으로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에 요입부(3)의 상하 폭(w)이 일정하게 유지된다. 따라서 난방패널(1)의 돌출부(2)와 요입부(3)의 결합이 용이하게 되며 난방패널(1)의 연접부분에 들뜸 현상이 없이 평활하게 시공할 수 있고 난방패널(1)의 상부 측에 마감재(f)를 시공하면 평활하고 미려하게 마감하게 된다.
1 : 난방패널 2 : 돌출부 3 : 요입부 4 : 연접편
4a : 수직부 4b : 절곡편 4c : 절곡부

Claims (3)

  1. 방습층(A)과 단열층(S)과 열전도판(M)이 내장된 축열층(T)이 일체로 적층되고 축열층(T)의 표면에 온수관(P)을 배관하는 배관홈(G)이 일정한 간격으로 구비된 것에 있어서,
    난방패널(1)의 직각으로 접한 2변에는 하부 축열판(t1)에 의한 돌출부(2)가 구비되고 상기 난방패널(1)의 나머지 직각으로 접한 2변에는 하부 축열판(t1)에 의한 요입부(3)가 구비되며 상기 요입부(3)에는 요입부(3)의 상하 폭(w)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여러 개의 연접편(4)이 난방패널의 주연부를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어 난방패널의 돌출부(2)와 요입부(3)의 결합에 의해 평면적으로 시공할 수 있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패널의 연접수단,
  2. 제1항에 있어서,
    난방패널(1)의 돌출부(2)는 하부 축열판(t1)이 열전도판(M)이 중간에 개재되어 적층된 상부 축열판(t2)에 대하여 대각선 방향의 일측으로 변위되게 적층되어 상기 하부 축열판(t1)의 직각으로 접한 2변의 주연부(a)(b)가 단열층(S)과 상부 축열판(t2) 사이의 일측으로 돌출되어 구비되고 난방패널(1)의 요입부(3)는 하부 축열판(t1)의 다른 직각으로 접한 2변의 주연부(c)(d)가 단열층(S)과 상부 축열판(t2) 사이의 일 측으로 몰입되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패널의 연접수단.
  3. 제1항에 있어서
    연접편(4)은 요입부(3)의 상하 폭(w)과 상응한 높이(h)를 가진 요입부(3)의 내측 면에 밀착되는 수직부(4a)와
    상기 수직부(4a)의 상단부에서 일 측방의 직각으로 절곡되어 요입부(3) 내부의 하부층(t1)과 상부층(t2) 사이 끼워 고정되는 절곡편(4b)과
    상기 수직부(4a)의 하단부에서 상기 절곡편(4b)의 반대방향으로 뻗어 직각으로 절곡되어 요입부(3)의 하부 면을 이루는 단열층(S)의 표면과 외측 모서리 부분에 밀착되는 절곡부(4c)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패널의 연접수단.
KR1020100039256A 2010-04-28 2010-04-28 난방패널의 연접수단 및 그의 연접편 KR1012094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9256A KR101209423B1 (ko) 2010-04-28 2010-04-28 난방패널의 연접수단 및 그의 연접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9256A KR101209423B1 (ko) 2010-04-28 2010-04-28 난방패널의 연접수단 및 그의 연접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9863A KR20110119863A (ko) 2011-11-03
KR101209423B1 true KR101209423B1 (ko) 2012-12-10

Family

ID=453911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9256A KR101209423B1 (ko) 2010-04-28 2010-04-28 난방패널의 연접수단 및 그의 연접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942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6968B1 (ko) * 2012-08-07 2014-06-13 천열에너지 주식회사 난방용 온돌패널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73264A (ja) 1996-09-02 1998-03-17 Mitsubishi Kagaku Sanshi Kk 床暖房用パネル
JP2000320852A (ja) 1999-05-10 2000-11-24 Mitsubishi Kagaku Sanshi Corp 床暖房用パネル
KR200441049Y1 (ko) 2007-12-10 2008-07-18 천열에너지 주식회사 난방용 굽도리 패널의 지지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73264A (ja) 1996-09-02 1998-03-17 Mitsubishi Kagaku Sanshi Kk 床暖房用パネル
JP2000320852A (ja) 1999-05-10 2000-11-24 Mitsubishi Kagaku Sanshi Corp 床暖房用パネル
KR200441049Y1 (ko) 2007-12-10 2008-07-18 천열에너지 주식회사 난방용 굽도리 패널의 지지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9863A (ko) 2011-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60090956A (ko) 플로링보드를 이용한 바닥 난방용 온수 순환마루
KR101209423B1 (ko) 난방패널의 연접수단 및 그의 연접편
KR100936709B1 (ko) 난방패널의 연결방법및 그 연결편
EP3502574A1 (en) Improvements in flooring systems
KR102564620B1 (ko) 열전도율이 높은 틈새 차단 기능을 갖는 공동주택 합성수지 바닥재
KR20190115851A (ko) 난방을 위한 온수관용 바닥판넬
TWI565863B (zh) Waterproof roof ridge device
JP3218338U (ja) 屋根板材
FI12040U1 (fi) Tuulettuva alapohjarakenne
KR20130021140A (ko) 바닥패널
JP2013002202A (ja) 床暖房パネル
KR100797767B1 (ko) 에어닥트
JP6021067B2 (ja) 床暖房パネル
KR20170025466A (ko) 지붕패널
JP3082856U (ja) 床板ユニット
JP2012242050A (ja) 床暖房ユニット
JP2013250011A (ja) 床暖房ユニット
JP2000186823A (ja) 床暖房の施工方法
KR100898747B1 (ko) 바닥 받침대
TR201809637T4 (tr) Isı dönüştürücü panel sistemi.
JPH11311420A (ja) 床暖房パネル
TW201350657A (zh) 拼裝塑膠地磚
KR200429084Y1 (ko) 플로링보드를 이용한 바닥 난방용 온수 순환마루
JP2511767Y2 (ja) 木質床暖房パネル
JP5452384B2 (ja) 温水式床暖房装置の施工法及びその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