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29206A - 냉난방용 복사패널 - Google Patents

냉난방용 복사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29206A
KR20150029206A KR20130108060A KR20130108060A KR20150029206A KR 20150029206 A KR20150029206 A KR 20150029206A KR 20130108060 A KR20130108060 A KR 20130108060A KR 20130108060 A KR20130108060 A KR 20130108060A KR 20150029206 A KR20150029206 A KR 201500292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insulating material
heat insulating
heat
medium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080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17589B1 (ko
Inventor
김광우
정창호
이용운
김동우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1080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7589B1/ko
Publication of KR201500292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92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75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75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2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 F24D3/14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incorporated in a ceiling, wall or floor
    • F24D3/141Tube mounting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F24D3/142Tube mountings specially adapted therefor integrated in prefab construction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4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 E04C2/5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with special adaptations for auxiliary purposes, e.g.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 E04C2/521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with special adaptations for auxiliary purposes, e.g.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for ventilating, heating or cooling
    • E04C2/525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with special adaptations for auxiliary purposes, e.g.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for ventilating, heating or cooling for heating or cool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eam Or 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수 또는 온수를 유동시켜 실내를 냉방 또는 난방하는데 이용되는 냉난방용 복사패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냉난방용 복사패널은, 열매체 튜브와, 수용실이 마련된 패널 몸체를 갖는 마감패널과, 패널 몸체의 가장자리 일측에 구비되는 제 1 고정부재와, 제 1 고정부재와 마주하도록 패널 몸체의 가장자리 또 다른 일측에 배치되는 제 2 고정부재와, 수용실에 수용된 열매체 튜브를 덮는 단열재와, 수용실에 배치된 단열재를 덮도록 마감패널에 결합됨으로써 단열재가 수용실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단열재 고정체를 포함한다. 단열재 고정체는 단열재의 일면을 덮는 덮개판과, 제 1 고정부재에 걸릴 수 있도록 덮개판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제 1 고정돌기와, 제 2 고정부재에 걸릴 수 있도록 덮개판의 타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제 2 고정돌기를 갖는다.

Description

냉난방용 복사패널{Radiant panel for heating and cooling}
본 발명은 냉수 또는 온수를 유동시켜 실내를 냉방 또는 난방하는데 이용되는 냉난방용 복사패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조립 및 유지 관리가 용이하고 시공이 간편한 개선된 구조의 냉난방용 복사패널에 관한 것이다.
최근 대류가 아닌 복사의 원리로 온도 변화를 주는 복사 냉난방시스템이 주목받고 있으며, 전체 냉난방시스템 중 복사 냉난방시스템의 시장 점유율도 꾸준하게 증가하고 있다.
에어컨이나 온풍기 등 대류식 냉난방시스템은 실내의 공기를 차갑게 하거나 가열한 후 대류 현상으로 실내 전체 온도를 조절하는 원리를 이용하는 것인데 반해, 복사 냉난방시스템은 냉수나 온수를 순환시켜 실내 공기를 간접적으로 냉각시키거나 가열하는 원리를 이용하는 것이다.
대류식 냉난방 시스템은 냉난방을 위해 공기 순환을 위한 덕트가 마련되어야 하고, 환기 적용에 따른 외기 도입량이 증가되어 이에 따른 에너지 비용이 증가하고, 온도분포가 불균일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과도한 기류에 따른 사용자의 불쾌감이 발생하고, 먼지의 비산 등 실내의 생활 환경을 악화시키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다.
이에 반해, 복사 냉난방시스템은 공기보다 열용량이 큰 물을 열매체로 사용하므로 유지비 면에서 유리하다. 즉, 기존의 에어컨이나 온풍기에 비해 열수송 에너지가 적고, 동일한 쾌적도를 유지하기 위해 실내 온도를 상대적으로 낮거나 높게 유지할 수 있어 에너지 절감에 큰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소음이 적고 공기 중 미세 먼지나 세균의 부유물이 적어 실내 공기의 질을 향상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어 아이부터 성인, 노인에 이르기까지 생활하기에 쾌적한 실내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이 밖에도, 복사 냉난방시스템은 기존의 공조기기가 가지고 있는 소음 및 기류감 문제가 없기 때문에 주택뿐만 아니라 병원, 도서관, 연구실, 박물관, 문화예술시설, 레스토랑 등 공공시설에 적용하기가 유리하다.
이러한 복사 냉난방시스템은, 복사패널을 통해 냉난방이 이루어지는 냉난방시스템으로, 벽체나 천장에 설치되는 복사패널과, 온수 공급을 위한 보일러와, 냉수 공급을 위한 냉동기 및 냉난방 제어기를 포함한다. 복사패널은 연속적인 행렬을 이루도록 벽체 또는 천장에 설치되고 내부에 열매체 튜브가 구비된다. 보일러는 열매체 튜브에 연결되어 온수를 공급하고, 냉동기는 열매체 튜브에 연결되어 냉수를 공급하며, 냉난방 제어기는 열매체 튜브에 냉수 또는 온수가 선택적으로 공급되도록 보일러 및 냉동기의 작동을 제어한다. 이러한 복사 냉난방시스템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78605호(2010. 08. 02 공개) 등에 개시되어 있다.
복사 냉난방시스템을 각종 건축물에 적용함에 있어서 복사패널의 배치와 설치가 중요하다. 실내의 냉난방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복사패널을 벽체나 천장에 일정한 간격으로 연속적으로 배치해야 하며, 이웃하는 복사패널과의 열매체 튜브의 연결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시공이 편리해야 공사 비용과 공사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조립 및 유지 관리가 용이하고 시공이 간편한 개선된 구조의 냉난방용 복사패널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냉난방용 복사패널은, 내부에 열매체가 유동하는 유로가 형성된 열매체 튜브와, 일측이 개방되고 상기 열매체 튜브가 수용되는 수용실이 마련된 패널 몸체를 갖는 마감패널과, 상기 패널 몸체의 가장자리 일측에 상기 수용실의 중간 쪽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는 제 1 고정부재와, 상기 제 1 고정부재와 마주하도록 상기 패널 몸체의 가장자리 또 다른 일측에 상기 수용실의 중간 쪽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는 제 2 고정부재와, 상기 마감패널의 수용실에 배치되어 상기 마감패널의 수용실에 수용된 상기 열매체 튜브를 덮는 단열재와, 상기 수용실에 배치된 상기 단열재를 덮도록 상기 마감패널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단열재가 상기 수용실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단열재 고정체를 포함한다. 상기 단열재 고정체는 상기 단열재의 상기 마감패널의 개방된 일측으로 드러나는 일면을 덮는 덮개판과, 상기 제 1 고정부재에 걸릴 수 있도록 상기 덮개판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제 1 고정돌기와, 상기 제 2 고정부재에 걸릴 수 있도록 상기 덮개판의 타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제 2 고정돌기를 갖는다.
상기 단열재 고정체는 상기 단열재의 가장자리 둘레를 감싸기 위해 상기 덮개판의 둘레에 돌출 구비되는 펜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단열재는 상기 덮개판과 상기 펜스에 의해 구획 형성되는 장착실에 수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냉난방용 복사패널은, 상기 패널 몸체의 내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단열재 고정체가 상기 패널 몸체 안쪽으로 진입할 때 상기 단열재 고정체의 펜스에 접하여 탄성 변형됨으로써, 상기 단열재 고정체를 상기 패널 몸체의 제 1 고정부재가 배치된 가장자리나, 상기 패널 몸체의 제 2 고정부재가 배치된 가장자리 쪽으로 미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냉난방용 복사패널은, 상기 단열재 고정체의 펜스 외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단열재 고정체가 상기 패널 몸체 안쪽으로 진입할 때 상기 패널 몸체의 내측면에 접하여 탄성 변형됨으로써, 상기 단열재 고정체를 상기 패널 몸체의 제 1 고정부재가 배치된 가장자리나, 상기 패널 몸체의 제 2 고정부재가 배치된 가장자리 쪽으로 미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열재 고정체는 상기 덮개판의 강도 보강을 위해 상기 덮개판의 상기 단열재가 접하지 않는 일면에 마련되는 보강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강부재는 상호 평행하게 제 1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 1 보강 리브와, 상호 평행하게 상기 제 1 방향과 교차하는 제 2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 2 보강 리브를 포함하여 격자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덮개판의 상기 복수의 제 1 보강 리브와 상기 복수의 제 2 보강 리브에 의해 구획되는 영역 내에는 상기 덮개판을 관통하는 개구부가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냉난방용 복사패널은, 건축물에 설치되는 격자형 고정 프레임의 일측 가로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패널 몸체의 외측면 일측에 구비되는 고정홈과, 상기 고정 프레임의 상기 일측 가로대와 마주하는 일부분에 접하여 탄성 변형됨으로써 상기 패널 몸체를 상기 고정 프레임의 일측 가로대 쪽으로 가압하기 위해 상기 패널 몸체의 외측면 다른 일측에 구비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매체 튜브는 일단에 제 1 커플러가 구비되고, 타단에 제 2 커플러가 구비되며, 상기 제 1 커플러가 상기 마감패널과 이웃하는 다른 마감패널에 설치된 열매체 튜브의 제 2 커플러와 결합되고, 상기 제 2 커플러가 상기 마감패널과 이웃하는 또 다른 마감패널에 설치된 열매체 튜브의 제 1 커플러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열매체 튜브는 상기 마감패널의 수용실 내에 복수 회 굽어지도록 배치되되, 그 일단과 타단이 다른 부분에 비해 상대적으로 상기 수용실의 중간에 배치되어 상기 마감패널의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열매체 튜브는 상기 마감패널의 수용실에 복수 회 굽어지도록 배치되고, 상기 단열재의 일면에는 상기 열매체 튜브가 삽입될 수 있도록 복수 회 굽어진 형태의 튜브 삽입홈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열매체 튜브는 상기 마감패널의 수용실 내에 복수 회 굽어지도록 배치되되, 그 일단과 타단이 다른 부분에 비해 상대적으로 상기 수용실의 서로 다른 가장자리에 배치되어 상기 마감패널의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열매체 튜브는 상기 마감패널의 수용실과 상기 마감패널과 이웃하게 배치되는 다른 마감패널의 수용실에 동시에 수용될 수 있는 길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냉난방용 복사패널은, 건축물에 설치되는 격자형 고정 프레임의 일측 가로대 위에 얹힐 수 있도록 상기 패널 몸체의 외측면 일측에 돌출 구비되는 걸림돌기와, 상기 고정 프레임의 상기 일측 가로대와 마주하는 일부분에 접하여 탄성 변형됨으로써 상기 패널 몸체를 상기 고정 프레임의 일측 가로대 쪽으로 가압하기 위해 상기 패널 몸체의 외측면 다른 일측에 구비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냉난방용 복사패널은, 상기 열매체 튜브와 결합되도록 상기 마감패널의 수용실에 배치되어 상기 열매체 튜브의 내부를 따라 유동하는 열매체의 열을 상기 마감패널 전체에 균일하게 전달하는 열전도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매체 튜브는 상기 마감패널의 수용실 내에 복수 회 굽어지도록 배치되고, 상기 열전도판의 일면에는 상기 열매체 튜브가 삽입될 수 있도록 복수 회 굽어진 형태의 튜브 삽입홈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열전도판은 그라파이트(graphite)와 합성수지를 포함하는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열전도판에는 상기 단열재에 삽입 결합되는 복수의 결합돌기가 돌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냉난방용 복사패널은 열매체 튜브, 마감패널, 단열재, 열전도판 및 단열재 고정체가 단순한 조립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다. 따라서 사용 중 이상이 생긴 부품을 손쉽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어 유지 관리가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냉난방용 복사패널은 열매체 튜브를 덮도록 마감패널 내에 수용된 단열재를 마감패널에 결합되는 단열재 고정체가 덮어 마감패널에 고정한다. 따라서 단열재가 마감패널의 개방된 상부로 들뜨지 않고, 단열재의 하부에 놓이는 열매체 튜브와 열전도판이 복사판에 안정적으로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열매체 튜브로 공급되는 열매체의 열이 복사판 전체에 고르게 전달될 수 있고, 냉난방 효율이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냉난방용 복사패널은 열매체 튜브를 덮는 단열재를 단열재 고정체에 결합한 후, 단열재 고정체를 마감패널 내에 삽입함으로써, 단열재를 단열재 고정체와 함께 마감패널에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단열재를 마감패널 내에 손쉽게 설치할 수 있고, 단열재를 마감패널 내에 설치할 때 단열재가 파손되는 위험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냉난방용 복사패널은 건축물에 설치되는 고정 프레임에 쉽게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지고, 열매체 튜브의 단부를 많이 굽히지 않고 다른 열매체 튜브와 연결할 수 있어 시공이 간편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냉난방용 복사패널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냉난방용 복사패널의 단열재와 단열재 고정체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냉난방용 복사패널의 단열재가 결합된 단열재 고정체를 마감패널에 결합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4는 및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냉난방용 복사패널을 건축물의 고정 프레임에 결합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냉난방용 복사패널을 건축물의 고정 프레임에 연속적으로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냉난방용 복사패널의 단열재가 결합된 단열재 고정체를 마감패널에 결합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의한 냉난방용 복사패널의 단열재가 결합된 단열재 고정체를 마감패널에 결합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의한 냉난방용 복사패널을 건축물의 고정 프레임에 연속적으로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의한 냉난방용 복사패널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의한 냉난방용 복사패널을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의한 냉난방용 복사패널이 건축물의 고정 프레임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의한 냉난방용 복사패널이 건축물의 고정 프레임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의한 냉난방용 복사패널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의한 냉난방용 복사패널을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냉난방용 복사패널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를 위해 과장되거나 단순화되어 나타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은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냉난방용 복사패널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냉난방용 복사패널의 단열재와 단열재 고정체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냉난방용 복사패널의 단열재가 결합된 단열재 고정체를 마감패널에 결합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고, 도 4는 및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냉난방용 복사패널을 건축물의 고정 프레임에 결합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냉난방용 복사패널을 건축물의 고정 프레임에 연속적으로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냉난방용 복사패널(10)은 내부에 열매체가 유동하는 유로가 형성된 열매체 튜브(12)와, 열매체 튜브(12)가 수용되는 수용실(22)이 마련된 패널 몸체(21)를 갖는 마감패널(20)과, 마감패널(20)의 수용실(22)에 수용된 열매체 튜브(12)를 덮기 위한 단열재(30)와, 마감패널(20)의 수용실(22)에 배치되어 열매체 튜브(12)를 따라 유동하는 열매체의 열을 마감패널(20) 전체에 균일하게 전달하는 열전도판(34)과, 수용실(22)에 배치된 단열재(30)를 덮도록 마감패널(20)에 결합됨으로써 단열재(30)가 수용실(22)에서 이탈하는 것을 막는 단열재 고정체(35)를 포함한다. 이러한 냉난방용 복사패널(10)은 건축물에 설치된 고정 프레임(5)에 복수가 연속적인 행렬을 이루도록 설치되며, 열매체 튜브(12)를 따라 유동하는 열매체의 열을 마감패널(20)의 복사판(23)을 통해 건축물의 실내에 제공함으로써 건축물의 실내를 복사 냉난방할 수 있다.
열매체 튜브(12)는 내부에 냉수 또는 온수가 유동할 수 있는 유로를 가지며, 내부를 따라 유동하는 열매체의 열을 외부로 원활하게 발산할 수 있는 합성수지나 금속 등 다양한 소재로 이루어진다. 열매체 튜브(12)의 일단에는 다른 열매체 튜브(12)와의 연결을 위한 제 1 커플러(14)가 구비되고, 열매체 튜브(12)의 타단에는 또 다른 열매체 튜브(12)와의 연결을 위한 제 2 커플러(16)가 구비된다.
제 1 커플러(14)에는 열매체 튜브(12)와 연결된 제 1 연결관(15)이 구비되고, 제 2 커플러(16)에는 열매체 튜브(12)와 연결되고 제 1 연결관(15)이 삽입 결합될 수 있는 제 2 연결관(17)이 구비된다. 따라서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열매체 튜브(12)는 제 1 연결관(15)이 이웃하게 배치되는 다른 냉난방용 복사패널(10)에 구비된 열매체 튜브(12)의 제 2 연결관(17)과 끼움 결합됨으로써 다른 열매체 튜브(12)와 열매체의 유동이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고, 제 2 연결관(17)이 이웃하게 배치되는 또 다른 냉난방용 복사패널(10)에 구비된 열매체 튜브(12)의 제 1 연결관(15)과 끼움 결합됨으로써 또 다른 열매체 튜브(12)와 열매체의 유동이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냉난방용 복사패널(10)의 열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열매체 튜브(12)의 유로를 따라 유동하는 열매체의 열이 마감패널(20)의 복사판(23)에 전체적으로 고르게 전달되는 것이 좋다. 이를 위해 열매체 튜브(12)는 마감패널(20)의 수용실(22) 내에 복수 회 굽어지도록 배치된다. 열매체 튜브(12)를 수용실(22) 내에 복수 회 굽어지도록 배치하되, 열매체 튜브(12)의 인접하는 부분의 간격을 가능한 일정하게 하면서 수용실(22)에 넓게 펼쳐 놓으면 열매체 튜브(12)를 따라 유동하는 열매체의 열을 복사판(23) 전체에 최대한 고르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열매체 튜브(12)는 제 1 커플러(14)가 구비된 일단과 제 2 커플러(16)가 구비된 타단이 다른 부분에 비해 상대적으로 수용실(22)의 중간에 배치되어 마감패널(20)의 외측으로 연장된다. 이것은 복수의 냉난방용 복사패널(10)을 건축물에 연속적인 행렬을 이루도록 설치할 때, 각 냉난방용 복사패널(10)에 구비된 열매체 튜브(12)의 연결 작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즉,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복수의 냉난방용 복사패널(10)이 가능한 좁은 간격으로 건축물에 연속적인 행렬을 이루도록 설치될 때, 냉난방용 복사패널(10) 각각의 열매체 튜브(12)는 이웃하는 다른 냉난방용 복사패널(10)의 열매체 튜브(12)와 연결된다. 열매체 튜브(12)는 합성수지나 금속 등 굽힘 변형은 가능하나 어느 정도의 강성이 있는 소재로 이루어지므로, 어느 하나의 냉난방용 복사패널(10)에 구비된 열매체 튜브(12)를 이웃하는 다른 냉난방용 복사패널(10)의 열매체 튜브(12)와 연결할 때 열매체 튜브(12)를 굽혀야 한다.
만약, 열매체 튜브(12)의 제 1 커플러(14)가 구비된 일단이나 제 2 커플러(16)가 구비된 타단이 수용실(22)의 측면 쪽에 배치되면, 이웃하는 두 냉난방용 복사패널(10)에 각각 구비된 열매체 튜브(12)를 연결하기 위해서는 열매체 튜브(12)의 단부를 작은 곡률을 갖도록 많이 굽혀야 하므로 연결 작업이 어려워진다. 반면, 열매체 튜브(12)의 제 1 커플러(14)가 구비된 일단이나 제 2 커플러(16)가 구비된 타단이 수용실(22)의 중간 쪽에 배치되면,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이웃하는 두 냉난방용 복사패널(10)에 각각 구비된 열매체 튜브(12)를 연결하기 위해서 열매체 튜브(12)의 단부를 상대적으로 큰 곡률을 갖도록 굽혀도 두 개의 열매체 튜브(12)를 원활하게 연결할 수 있다.
열매체 튜브(12)의 굽힘 회수나 굽힘 형태는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고, 제 1 커플러(14)나 제 2 커플러(16)의 구체적인 구조는 도시된 것 이외의 다른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열매체 튜브(12)의 단부와 단부 사이의 연결 구조도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그리고 열매체 튜브(12)에서 커플러(14)(16)는 생략될 수도 있고, 열매체 튜브(12)는 이웃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마감패널(20)에 동시에 수용될 수 있는 길이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열매체 튜브(12)의 양쪽 끝단은 복사판(23)의 중간 이외에 복사판(23)의 측면 쪽에서 외측으로 연장될 수도 있다. 냉난방용 복사패널(10)의 설치 시 열매체 튜브(12)는 다른 냉난방용 복사패널(10)의 열매체 튜브(12)와 연결되지 않고, 열매체의 공급이나 회수를 위한 공급 배관이나 회수 배관과 연결될 수도 있다.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마감패널(20)은 열매체 튜브(12), 단열재(30) 및 열전도판(34)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실(22)이 마련된 패널 몸체(21)를 갖는다. 패널 몸체(21)는 복사판(23)과 복사판(23)의 가장자리 둘레에 배치되는 네 개의 측벽(24)을 포함하고, 일측으로 개방된다. 도면에 나타내지는 않았으나 복사판(23)에는 열매체 튜브(12)를 따라 유동하는 열매체의 복사 효율을 높임과 동시에 실내 소음의 흡수를 위해 복수의 관통구멍이 마련될 수 있다.
패널 몸체(21)의 네 측벽(24) 중 두 개의 서로 마주하는 측벽(24)에는 수용실(22)의 중간 쪽으로 연장된 제 1 고정부재(25)와 제 2 고정부재(26)가 구비된다. 한 쌍의 고정부재(25)(26)는 수용실(22)에 수용되어 단열재(30)를 덮는 단열재 고정체(35)와 접함으로써, 수용실(22)에 수용된 단열재(30) 및 단열재 고정체(35)를 수용실(22)에서 이탈하지 못하게 막다.
한 쌍의 고정부재(25)(26) 각각에는 고정홈(27)이 마련된다. 고정홈(27)은 마감패널(20)을 건축물에 설치되는 고정 프레임(5)에 결합하기 위한 것으로, 고정홈(27)에 고정 프레임(5)의 가로대(6) 측단부가 삽입됨으로써 마감패널(20)이 고정 프레임(5)에 고정될 수 있다. 제 2 고정부재(26)의 외측면에는 탄성부재(28)가 구비된다. 탄성부재(28)는 건축물의 천장에 고정되는 고정 프레임(5)의 일측 지주대(7)에 접하여 탄성 변형됨으로써 패널 몸체(21)를 고정 프레임(5)의 일측 가로대(6) 쪽으로 가압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작업자는 마감패널(20)의 탄성부재(28)가 배치된 일단에 마련된 고정홈(27)에 고정 프레임(5)의 일측 가로대(6) 측단부를 삽입하여 마감패널(20)의 일단을 고정 프레임(5)에 결합한다. 이때, 제 2 고정부재(26) 쪽에 구비된 탄성부재(28)가 고정 프레임(5)의 일측 지주대(7)에 접하여 압축된다. 이 상태에서 마감패널(20)을 지지하면서 탄성부재(28)를 압축시켰던 외력을 제거하면 탄성부재(28)가 탄성 복원되면서 마감패널(20)을 맞은 편 가로대(6) 쪽으로 이동시킨다. 이에 의해, 제 1 고정부재(25)에 구비된 고정홈(27)에 맞은 편 가로대(6)가 삽입된다. 이때, 제 1 고정부재(25)의 고정홈(27) 및 제 2 고정부재(26)의 고정홈(27)에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가로대(6)가 모두 삽입된 상태가 되어 마감패널(20)이 고정 프레임(5)에 고정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고정부재(25)(26)의 설치 개수나 구조 및 배치 구조는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제 2 고정부재(26) 쪽에 구비되는 탄성부재(28)는 생략될 수도 있다. 그리고 마감패널(20)의 고정 프레임(5) 결합 구조는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고, 고정홈(27)이나 탄성부재(28)는 마감패널(20)의 측벽(24)에 마련될 수도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단열재(30)는 마감패널(20)의 수용실(22)에 배치되어 수용실(22)에 수용된 열매체 튜브(12)를 덮음으로써 열매체 튜브(12)의 열이 마감패널(20)의 개방된 부위로 발산되는 것을 막는다. 단열재(30)는 발포 스타이렌 수지 등 단열성을 갖는 다양한 소재로 이루어진다. 마감패널(20)의 복사판(23)과 마주하는 단열재(30)의 일면에는 열매체 튜브(12)가 삽입되는 튜브 삽입홈(31)이 마련되고, 단열재(30)의 중간 부분에는 열매체 튜브(12)의 양쪽 끝단을 마감패널(20)의 외부로 가이드하기 위해 튜브 삽입홈(31)과 연결되는 튜브 가이드 홈(32)이 마련된다.
열매체 튜브(12)의 제 1 커플러(14)가 구비된 일단 및 제 2 커플러(16)가 구비된 타단은 한 쌍의 튜브 가이드 홈(32)을 통해 마감패널(20)의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튜브 삽입홈(31)은 열매체 튜브(12)의 폭에 대응하는 폭으로 복수 회 굽은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이에 열매체 튜브(12)가 삽입됨으로써 열매체 튜브(12)는 복수 회 굽은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열전도판(34)은 열매체 튜브(12)와 접하도록 단열재(30)의 일면에 결합되어 열매체 튜브(12)의 내부를 따라 유동하는 열매체의 열을 마감패널(20)의 복사판(23) 전체에 균일하게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열전도판(34)은 금속 박판이나 그라파이트(graphite) 등의 열전도성 물질이 혼합되어 이루어진 판재 등 열전도성을 갖는 다양한 소재로 이루어지며, 단열재(30)의 튜브 삽입홈(31)에 삽입된 열매체 튜브(12)를 덮도록 단열재(30)의 일면에 결합된다. 이러한 열전도판(34)은 열매체 튜브(12) 및 단열재(30)와 함께 마감패널(20)의 수용실(22)에 수용되어 복사판(23)에 밀착된다. 열매체 튜브(12)의 유로를 따라 유동하는 열매체의 열은 열매체 튜브(12)에 접하는 열전도판(34) 전체에 고르게 전달되고, 열전도판(34)에서 마감패널(20)의 복사판(23) 전체에 고르게 전달된다. 열전도판(34)은 접착제에 의한 접착이나 결합기구에 의한 기구적 결합, 자석을 이용한 방법 등 다양한 방법으로 단열재(30)에 결합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단열재 고정체(35)는 수용실(22)에 배치되는 단열재(30)를 덮도록 마감패널(20)에 결합됨으로써 단열재(30)가 수용실(22)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덮개판(36)과, 펜스(37)와, 제 1 고정돌기(39)와, 제 2 고정돌기(40)와, 보강부재(41)를 포함한다. 펜스(37)는 덮개판(36)의 둘레에 덮개판(36)의 하부 쪽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되고, 덮개판(36)과 펜스(37)에 의해 둘러싸이는 부분에는 단열재(30)가 수용될 수 있는 장착실(38)이 마련된다. 단열재(30)가 장착실(38)에 수용될 때 덮개판(36)은 단열재(30)의 일면을 덮고, 펜스(37)는 단열재(30)의 가장자리 둘레를 감싼다.
제 1 고정돌기(39)는 마감패널(20)의 제 1 고정부재(25)에 걸릴 수 있도록 덮개판(36)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고, 제 2 고정돌기(40)는 마감패널(20)의 제 2 고정부재(26)에 걸릴 수 있도록 덮개판(36)의 타단으로부터 연장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열매체 튜브(12)가 결합된 단열재(30)를 단열재 고정체(35)에 결합하고, 단열재 고정체(35)를 수용실(22)에 수용하면 열매체 튜브(12)와 단열재(30) 및 단열재 고정체(35)를 동시에 마감패널(20)에 결합할 수 있다. 단열재 고정체(35)의 길이, 즉, 제 1 고정돌기(39)의 끝단에서 제 2 고정돌기(40)의 끝단까지의 길이는 마감패널(20)의 제 1 고정부재(25)와 제 2 고정부재(26) 사이의 간격보다 길다.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단열재 고정체(35)를 한쪽으로 기울여 제 1 고정돌기(39)를 먼저 제 1 고정부재(25)가 배치된 수용실(22)의 가장자리로 진입시킨 후, 단열재 고정체(35)를 마감패널(20)과 평행하게 하여 제 2 고정돌기(40)를 수용실(22)로 진입시키면, 단열재 고정체(35)를 수용실(22)에 삽입할 수 있다.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수용실(22)에 수용된 단열재 고정체(35)를 제 2 고정부재(26) 쪽으로 밀면 제 2 고정돌기(40)가 제 2 고정부재(26) 하부로 진입하여, 제 1 고정돌기(39)는 제 1 고정부재(25)에 걸리고, 제 2 고정돌기(40)는 제 2 고정부재(26)에 걸리게 된다. 따라서 단열재 고정체(35)는 마감패널(20)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보강부재(41)는 덮개판(36)의 단열재(30)가 접하지 않는 일면에 마련되어 덮개판(36)의 강도를 보강해준다. 이러한 보강부재(41)는 제 1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 1 보강 리브(42)와, 제 1 방향과 교차하는 제 2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 2 보강 리브(43)를 포함하여 격자 형태로 마련된다. 복수의 제 1 보강 리브(42)는 일정한 간격으로 상호 평행하게 배치되고, 복수의 제 2 보강 리브(43)는 일정한 간격으로 상호 평행하게 배치된다.
복수의 제 1 보강 리브(42) 중에서 한쪽 최외측에 배치되는 제 1 보강 리브(42)의 중간에는 한 쌍의 튜브 가이드 홈(44)이 형성된다. 열매체 튜브(12)의 제 1 커플러(14)가 구비된 일단 및 제 2 커플러(16)가 구비된 타단은 다른 열매체 튜브(12) 또는 공급 배관이나 회수 배관과 연결될 수 있도록 이들 튜브 가이드 홈(44)에 삽입되어 마감패널(20)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덮개판(36)의 상부에는 복수의 제 1 보강 리브(42)와 복수의 제 2 보강 리브(43)에 의해 둘러싸여 구획되는 복수의 사각 영역이 마련되고, 덮개판(36)의 이들 사각 영역 내에는 개구부(45)가 마련된다. 개구부(45)는 덮개판(36)을 관통하도록 마련되며, 덮개판(36) 하부에 위치하는 열매체 튜브(12)의 양쪽 단부는 개구부(45)를 통과하여 덮개판(36)의 위쪽에 놓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덮개판(36)에 복수의 개구부(45)를 마련하면, 이를 통해 장착실(38)에 수용된 열매체 튜브(12)를 덮개판(36) 위쪽으로 빼낼 수 있고, 단열재 고정체(35)의 무게를 줄이며, 단열재 고정체(35)의 제조 시 재료비를 줄일 수 있다.
상술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냉난방용 복사패널(10)은 열매체 튜브(12), 마감패널(20), 단열재(30), 열전도판(34) 및 단열재 고정체(35)가 단순한 조립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다. 따라서 사용 중 이상이 생긴 부품을 손쉽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어 유지 관리가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냉난방용 복사패널(10)은 열매체 튜브(12)를 덮도록 마감패널(20) 내에 수용된 단열재(30)를 마감패널(20)에 결합되는 단열재 고정체(35)가 덮어 마감패널(20)에 고정한다. 따라서 단열재(30)가 마감패널(20)의 개방된 상부로 들뜨지 않고, 단열재(30)의 하부에 놓이는 열매체 튜브(12)와 열전도판(34)이 복사판(23)에 안정적으로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열매체 튜브(12)로 공급되는 열매체의 열이 복사판(23) 전체에 고르게 전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냉난방용 복사패널(10)은 건축물에 설치되는 고정 프레임(5)에 쉽게 끼움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지고, 열매체 튜브(12)의 단부를 많이 굽히지 않고 다른 열매체 튜브(12)와 연결할 수 있어 시공이 간편하다.
한편,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냉난방용 복사패널의 단열재가 결합된 단열재 고정체를 마감패널에 결합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냉난방용 복사패널(50)은 상술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냉난방용 복사패널(10)과 비교하여, 마감패널(51)의 구조가 다소 변경된 것으로, 나머지 대부분의 구성은 상술한 제 1 실시예에 의한 냉난방용 복사패널(10)과 같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냉난방용 복사패널(50)은 열매체 튜브(12)와, 마감패널(51)과, 단열재(30)와, 열전도판(34)과, 단열재 고정체(35)를 포함하며, 마감패널(51)은 복사판(23)과 네 개의 측벽(24)을 갖는 패널 몸체(21)와, 두 개의 서로 마주하는 측벽(24) 가장자리에 수용실(22)의 중간 쪽으로 연장되도록 마련되는 제 1 고정부재(25)와 제 2 고정부재(26)를 포함한다.
패널 몸체(21)의 제 1 고정부재(25)가 구비된 내측면 일측에는 탄성부재(52)가 구비된다. 탄성부재(52)는 단열재 고정체(35)가 패널 몸체(21) 안쪽으로 진입할 때 단열재 고정체(35)의 펜스(37)에 접하여 탄성 변형됨으로써, 단열재 고정체(35)를 패널 몸체(21)의 제 2 고정부재(26)가 배치된 가장자리 쪽으로 민다.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 1 고정돌기(39)가 구비된 단열재 고정체(35)의 일단을 기울여 먼저 수용실(22)의 제 1 고정부재(25) 쪽에 진입시키면서 탄성부재(52)를 압축시키고, 탄성부재(52)를 압축시킨 상태에서 단열재 고정체(35)를 마감패널(51)과 평행함으로써 제 2 고정돌기(40)가 구비된 단열재 고정체(35)의 타단도 수용실(22)에 삽입할 수 있다. 그리고 이렇게 수용실(22)에 삽입된 단열재 고정체(35)를 놓으면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탄성부재(52)가 탄성 복원되면서 단열재 고정체(35)를 마감패널(51)의 제 2 고정부재(26)가 구비된 내측 가장자리 쪽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제 1 고정돌기(39)는 제 1 고정부재(25)에 걸리고, 제 2 고정돌기(40)는 제 2 고정부재(26)에 걸리게 되어, 단열재 고정체(35)는 마감패널(51)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의한 냉난방용 복사패널의 단열재가 결합된 단열재 고정체를 마감패널에 결합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의한 냉난방용 복사패널(55)은 상술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냉난방용 복사패널(10)과 비교하여, 단열재 고정체(56)의 구조가 다소 변경된 것으로, 나머지 대부분의 구성은 상술한 제 1 실시예에 의한 냉난방용 복사패널(10)과 같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의한 냉난방용 복사패널(55)은 열매체 튜브(12)와, 마감패널(20)과, 단열재(30)와, 열전도판(34)과, 단열재 고정체(56)를 포함하며, 단열재 고정체(56)는 덮개판(36)과, 펜스(37)와, 제 1 고정돌기(39)와, 제 2 고정돌기(40)와, 보강부재(41)를 포함한다. 펜스(37)의 제 1 고정돌기(39)가 배치된 외측면에는 탄성부재(57)가 구비된다.
이러한 탄성부재(57)는 제 2 실시예에 의한 냉난방용 복사패널(50)의 마감패널(51)에 구비된 탄성부재(52)와 같은 역할을 한다. 즉, 탄성부재(57)는 단열재 고정체(56)가 패널 몸체(21) 안쪽으로 진입할 때 패널 몸체(21)의 내측면에 접하여 탄성 변형됨으로써, 단열재 고정체(56)를 패널 몸체(21)의 제 2 고정부재(26)가 배치된 가장자리 쪽으로 민다. 이에 의해 단열재 고정체(56)의 제 1 고정돌기(39)가 마감패널(20)의 제 1 고정부재(25) 하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단열재 고정체(56)의 제 2 고정돌기(40)가 마감패널(20)의 제 2 고정부재(26) 하부에 위치하게 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의한 냉난방용 복사패널을 건축물의 고정 프레임에 연속적으로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의한 냉난방용 복사패널(60)은 열매체 튜브(61)와, 마감패널(20;도 1참조)과, 단열재(62)와, 열전도판(34;도 1참조)과, 단열재 고정체(35)를 포함하는 것으로, 제 1 실시예에 의한 냉난방용 복사패널(10)과 비교하여 열매체 튜브(61)와 단열재(62)만 차이가 있을 뿐, 나머지 구성은 제 1 실시예에 의한 냉난방용 복사패널(10)과 같다. 단열재(62)의 양쪽 측면에는 튜브 가이드 홈(63)이 마련된다. 단열재(62)에 의해 덮이는 열매체 튜브(61)는 튜브 가이드 홈(63)을 통해 단열재(62)의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냉난방용 복사패널(60)은 길이가 긴 열매체 튜브(61)를 구성 요소로 하여, 건축물에 설치된 고정 프레임(5)에 복수가 연속적인 행렬을 이루도록 설치될 수 있다. 냉난방용 복사패널(60)의 시공 시, 열매체 튜브(61)는 적절한 길이로 이루어진 것을 사용하고, 다른 열매체 튜브(61)나, 공급 배관 또는 회수 배관에 연결될 수 있다.
도면에 자세히 나타내지는 않았으나, 단열재 고정체(35)의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제 2 보강 리브(43)에는 하나의 마감패널(20)에서 다른 마감패널(20)로 연결되는 열매체 튜브(61)가 삽입되는 튜브 가이드 홈(44;도 1참조)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의한 냉난방용 복사패널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의한 냉난방용 복사패널을 나타낸 측단면도이며, 도 14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의한 냉난방용 복사패널이 건축물의 고정 프레임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2 내지 도 14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의한 냉난방용 복사패널(65)은 유로와 제 1 커플러(14) 및 제 2 커플러(16)를 갖는 열매체 튜브(12)와, 열매체 튜브(12)가 수용되는 수용실(68)이 마련된 패널 몸체(67)를 갖는 마감패널(66)과, 마감패널(66)의 수용실(68)에 수용된 열매체 튜브(12)를 덮기 위한 단열재(74)와, 마감패널(66)의 수용실(68)에 배치되어 열매체 튜브(12)를 따라 유동하는 열매체의 열을 마감패널(66) 전체에 균일하게 전달하는 열전도판(77)과, 수용실(22)에 배치된 단열재(30)를 덮도록 마감패널(66)에 결합됨으로써 단열재(30)가 수용실(22)에서 이탈하는 것을 막는 단열재 고정체(35)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열매체 튜브(12)와 단열재 고정체(35)의 구체적인 구조는 제 1 실시예에 의한 냉난방용 복사패널(10)과 같다. 열매체 튜브(12)는 마감패널(66)의 수용실(68) 내에 복수 회 굽어지도록 배치되되, 제 1 커플러(14)가 구비된 일단과 제 2 커플러(16)가 구비된 타단이 다른 부분에 비해 상대적으로 수용실(68)의 중간에 배치되어 마감패널(66)의 외측으로 연장된다.
마감패널(66)은 열매체 튜브(12), 단열재(74) 및 열전도판(77)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실(68)이 마련된 패널 몸체(67)를 갖는다. 패널 몸체(67)는 복사판(69)과 복사판(69)의 가장자리 둘레에 배치되는 네 개의 측벽(70)을 포함하고, 일측으로 개방된다. 패널 몸체(67)의 네 측벽(70) 중 두 개의 서로 마주하는 측벽(70)에는 수용실(68)의 중간 쪽으로 연장된 제 1 고정부재(71) 및 제 2 고정부재(72)가 구비된다. 한 쌍의 고정부재(71)(72)는 수용실(68)에 수용되어 단열재(74)를 덮는 단열재 고정체(35)와 접함으로써, 수용실(68)에 수용된 단열재 고정체(35) 및 단열재(74)를 수용실(68)에서 이탈하지 못하게 막는다. 패널 몸체(67)의 네 측벽(70) 중에서 두 개의 측벽(70)의 외측면에는 걸림돌기(73)가 각각 돌출 구비된다.
단열재(74)는 마감패널(66)의 수용실(68)에 수용되어 수용실(68)에 수용된 열매체 튜브(12)를 덮음으로써 열매체 튜브(12)의 열이 마감패널(66)의 개방된 부위로 발산되는 것을 막는다. 마감패널(66)의 복사판(69)과 마주하는 단열재(74)의 일면에는 후술할 열전도판(77)의 융기부(79)에 대응하는 결합홈(75)이 마련된다. 열전도판(77)과 단열재(74)가 결합될 때 열전도판(77)의 융기부(79)가 단열재(74)의 결합홈(75)에 삽입됨으로써 열전도판(77)과 단열재(74)는 틈새 발생없이 안정적으로 밀착될 수 있다. 단열재(74)의 일측에는 열매체 튜브(12)의 양쪽 단부를 외측으로 연장시키기 위한 튜브 가이드 홈(76)이 구비된다.
열전도판(77)은 열매체 튜브(12)와 접하도록 단열재(74)의 일면에 결합되어 열매체 튜브(12)의 내부를 따라 유동하는 열매체의 열을 마감패널(66)의 복사판(69) 전체에 균일하게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열전도판(77)은 금속판이나, 그라파이트(graphite) 등의 열전도성 물질이 혼합된 합성수지판 등의 판 형태로 이루어진다. 마감패널(66)의 복사판(69)과 마주하는 열전도판(77)의 일면에는 열매체 튜브(12)가 삽입될 수 있도록 복수 회 굽어진 형태의 튜브 삽입홈(78)이 구비되고, 열전도판(77)의 타면에는 튜브 삽입홈(78)에 대응하도록 융기부(79)가 돌출 구비된다. 열매체 튜브(12)는 튜브 삽입홈(78)에 탈착 가능하게 끼움 결합됨으로써 복수 회 굽어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열전도판(77)의 일측에는 열매체 튜브(12)의 양쪽 단부를 외측으로 연장시키기 위한 튜브 가이드 홈(80)이 튜브 삽입홈(78)과 연결되도록 구비된다.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열매체 튜브(12)와 열전도판(77) 및 단열재(74)는 단열재 고정체(35)에 결합된 상태로 단열재 고정체(35)와 함께 마감패널(66)에 결합된다. 이때, 단열재 고정체(35)의 제 1 고정돌기(39)는 마감패널(66)의 제 1 고정부재(71)에 걸리고, 단열재 고정체(35)의 제 2 고정돌기(40)는 마감패널(66)의 제 2 고정부재(72)에 걸림으로써, 단열재 고정체(35)는 열매체 튜브(12)와 열전도판(77) 및 단열재(74)를 마감패널(66)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의한 냉난방용 복사패널(65) 역시 열매체 튜브(12), 마감패널(66), 단열재(74), 열전도판(77) 및 단열재 고정체(35)가 단순한 조립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다. 그리고 마감패널(66)의 양쪽 측면(70)에 외측으로 돌출 구비되는 걸림돌기(73)가 건축물에 설치되는 고정 프레임(5)의 가로대(6)에 단순히 얹히는 구조로 고정 프레임(5)에 설치되므로 시공이 간편하다. 고정 프레임(5)에 설치될 때 마감패널(66)의 복사판(69) 하면은 고정 프레임(5)의 가로대(6) 하면과 동일 선상에 배치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의한 냉난방용 복사패널(65)의 마감패널(66)은 제 1 실시예에 의한 냉난방용 복사패널(10)의 마감패널(20)과 같이, 탄성부재(28)를 구비할 수 있다. 즉, 마감패널(66)의 걸림돌기(73)가 마련된 한쪽 측면(70)에 외측으로 돌출된 탄성부재(28)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탄성부재(28)는 상술한 것과 같이, 마감패널(66)이 프레임(5)에 설치될 때 프레임(5)의 일측 지주대(7)에 접하여 탄성 변형됨으로써 마감패널(66)의 또 다른 걸림돌기(73)가 마련된 측단부를 또 다른 일측 지주대(7) 쪽으로 밀어 또 다른 걸림돌기(73)가 가로대(6) 위에 얹히도록 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의한 냉난방용 복사패널이 건축물의 고정 프레임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5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의한 냉난방용 복사패널(82)은, 열매체 튜브(12)와, 마감패널(66)과, 열매체 튜브(12)가 수용된 마감패널(66)의 수용실(68)을 덮기 위한 단열재(83)와, 마감패널(66)의 수용실(68)에 배치되어 열매체 튜브(12)를 따라 유동하는 열매체의 열을 마감패널(66) 전체에 균일하게 전달하는 열전도판(84)과, 마감패널(66)에 결합되어 단열재(83)와 열전도판(84)을 마감패널(66)에서 이탈되지 않게 막는 단열재 고정체(35)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열매체 튜브(12)와 마감패널(66) 및 단열재 고정체(35)는 제 5 실시예에 의한 냉난방용 복사패널(65)과 같다.
열전도판(84)의 일면에는 열매체 튜브(12)가 삽입될 수 있도록 복수 회 굽어진 형태의 튜브 삽입홈(85)이 구비되고, 열전도판(84)의 타면에는 튜브 삽입홈(85)에 대응하도록 융기부(86)가 돌출 구비된다. 열매체 튜브(12)는 열전도판(84)과 결합된 상태로 마감패널(66)의 수용실(68)에 설치되며, 그 외주면이 마감패널(66)의 복사판(69)에 접한다.
열전도판(84)의 융기부(86)에는 단열재(83)와의 결합을 위한 복수의 결합돌기(87)가 구비된다. 열전도판(84)은 이에 구비된 복수의 결합돌기(87)가 단열재(83)를 파고들어 단열재(83)에 삽입됨으로써 단열재(83)와 결합된다. 단열재(83)가 열전도판(84)과 밀착되지 않더라도 단열재(83)는 수용실(68)에 수용된 열매체 튜브(12) 및 열전도판(84)을 덮음으로써 열매체 튜브(12)의 열이 수용실(68) 외부로 발산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이러한 냉난방용 복사패널(82)은 마감패널(66)의 복사판(69)이 고정 프레임(5)의 가로대(6)에 단순히 얹히는 구조로 고정 프레임(5)에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냉난방용 복사패널(70)에 있어서 열전도판(84)에 구비되는 결합돌기(87)의 구조나 개수 등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단열재(83)가 발포 수지 등 쉽게 뚫릴 수 있는 소재로 이루어지는 경우 결합돌기(87)의 끝단은 단열재(83)를 쉽게 파고들 수 있도록 뾰족한 모양을 가질 수 있다. 경우에 따라 단열재(83)의 일면에는 결합돌기(87)가 끼움 결합될 수 있는 홈이 마련될 수도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의한 냉난방용 복사패널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17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의한 냉난방용 복사패널을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의한 냉난방용 복사패널(90)은 열매체 튜브(12)와, 열매체 튜브(12)가 수용되는 수용실(22)을 갖는 마감패널(20)과, 마감패널(20)의 수용실(22)에 수용된 열매체 튜브(12)를 덮기 위한 단열재(30)와, 마감패널(20)의 수용실(22)에 배치되어 열매체 튜브(12)를 따라 유동하는 열매체의 열을 마감패널(20) 전체에 균일하게 전달하는 열전도판(91)과, 수용실(22)에 배치된 단열재(30)를 덮도록 마감패널(20)에 결합됨으로써 단열재(30)가 수용실(22)에서 이탈하는 것을 막는 단열재 고정체(35)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열전도판(91)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요소는 제 1 실시예에 의한 냉난방용 복사패널(10)과 같다.
열전도판(91)의 상면에는 단열재(30)의 하면에 마련된 튜브 삽입홈(31)에 대응하는 튜브 삽입홈(92)이 구비된다. 열매체 튜브(12)는 단열재(30)의 튜브 삽입홈(31) 및 열전도판(91)의 튜브 삽입홈(82)에 동시에 삽입됨으로써 단열재(30)와 열전도판(91) 사이에 개재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열전도판의 개수는 다양하게 조절될 수 있다. 즉 열전달 성능 개선을 위해 마감패널과 단열재 사이에 다양한 소재로 이루어지는 다양한 구조의 열전도판을 복수로 설치할 수도 있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서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및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10, 50, 55, 60, 65, 82, 90 : 냉난방용 복사패널
12, 61 : 열매체 튜브 14, 16 : 제 1, 2 커플러
20, 51, 66 : 마감패널 21, 67 : 패널 몸체
22, 68 : 수용실 23, 69 : 복사판
25, 71 : 제 1 고정부재 26, 72 : 제 2 고정부재
28, 52, 57 : 탄성부재 30, 62, 74, 83 : 단열재
34, 77, 84, 91 : 열전도판 35, 56 : 단열재 고정체
36 : 덮개판 37 : 펜스
38 : 장착실 39, 40 : 제 1, 2 고정돌기
41 : 보강부재 42, 43 : 제 1, 2 보강 리브
45 : 개구부 73 : 걸림돌기
79, 86 : 융기부 87 : 결합돌기

Claims (17)

  1. 내부에 열매체가 유동하는 유로가 형성된 열매체 튜브;
    일측이 개방되고, 상기 열매체 튜브가 수용되는 수용실이 마련된 패널 몸체를 갖는 마감패널;
    상기 패널 몸체의 가장자리 일측에 상기 수용실의 중간 쪽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는 제 1 고정부재;
    상기 제 1 고정부재와 마주하도록 상기 패널 몸체의 가장자리 또 다른 일측에 상기 수용실의 중간 쪽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는 제 2 고정부재;
    상기 마감패널의 수용실에 배치되어 상기 마감패널의 수용실에 수용된 상기 열매체 튜브를 덮는 단열재; 및
    상기 수용실에 배치된 상기 단열재를 덮도록 상기 마감패널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단열재가 상기 수용실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상기 단열재의 상기 마감패널의 개방된 일측으로 드러나는 일면을 덮는 덮개판과, 상기 제 1 고정부재에 걸릴 수 있도록 상기 덮개판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제 1 고정돌기와, 상기 제 2 고정부재에 걸릴 수 있도록 상기 덮개판의 타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제 2 고정돌기를 갖는 단열재 고정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난방용 복사패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재 고정체는 상기 단열재의 가장자리 둘레를 감싸기 위해 상기 덮개판의 둘레에 돌출 구비되는 펜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단열재는 상기 덮개판과 상기 펜스에 의해 구획 형성되는 장착실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난방용 복사패널.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 몸체의 내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단열재 고정체가 상기 패널 몸체 안쪽으로 진입할 때 상기 단열재 고정체의 펜스에 접하여 탄성 변형됨으로써, 상기 단열재 고정체를 상기 패널 몸체의 제 1 고정부재가 배치된 가장자리나, 상기 패널 몸체의 제 2 고정부재가 배치된 가장자리 쪽으로 미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난방용 복사패널.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재 고정체의 펜스 외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단열재 고정체가 상기 패널 몸체 안쪽으로 진입할 때 상기 패널 몸체의 내측면에 접하여 탄성 변형됨으로써, 상기 단열재 고정체를 상기 패널 몸체의 제 1 고정부재가 배치된 가장자리나, 상기 패널 몸체의 제 2 고정부재가 배치된 가장자리 쪽으로 미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난방용 복사패널.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재 고정체는 상기 덮개판의 강도 보강을 위해 상기 덮개판의 상기 단열재가 접하지 않는 일면에 마련되는 보강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강부재는 상호 평행하게 제 1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 1 보강 리브와, 상호 평행하게 상기 제 1 방향과 교차하는 제 2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 2 보강 리브를 포함하여 격자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난방용 복사패널.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판의 상기 복수의 제 1 보강 리브와 상기 복수의 제 2 보강 리브에 의해 구획되는 영역 내에는 상기 덮개판을 관통하는 개구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난방용 복사패널.
  7. 제 1 항에 있어서,
    건축물에 설치되는 격자형 고정 프레임의 일측 가로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패널 몸체의 외측면 일측에 구비되는 고정홈; 및
    상기 고정 프레임의 상기 일측 가로대와 마주하는 일부분에 접하여 탄성 변형됨으로써 상기 패널 몸체를 상기 고정 프레임의 일측 가로대 쪽으로 가압하기 위해 상기 패널 몸체의 외측면 다른 일측에 구비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난방용 복사패널.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매체 튜브는 일단에 제 1 커플러가 구비되고, 타단에 제 2 커플러가 구비되며,
    상기 제 1 커플러가 상기 마감패널과 이웃하는 다른 마감패널에 설치된 열매체 튜브의 제 2 커플러와 결합되고, 상기 제 2 커플러가 상기 마감패널과 이웃하는 또 다른 마감패널에 설치된 열매체 튜브의 제 1 커플러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난방용 복사패널.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매체 튜브는 상기 마감패널의 수용실 내에 복수 회 굽어지도록 배치되되, 그 일단과 타단이 다른 부분에 비해 상대적으로 상기 수용실의 중간에 배치되어 상기 마감패널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난방용 복사패널.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매체 튜브는 상기 마감패널의 수용실에 복수 회 굽어지도록 배치되고,
    상기 단열재의 일면에는 상기 열매체 튜브가 삽입될 수 있도록 복수 회 굽어진 형태의 튜브 삽입홈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난방용 복사패널.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매체 튜브는 상기 마감패널의 수용실 내에 복수 회 굽어지도록 배치되되, 그 일단과 타단이 다른 부분에 비해 상대적으로 상기 수용실의 서로 다른 가장자리에 배치되어 상기 마감패널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난방용 복사패널.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매체 튜브는 상기 마감패널의 수용실과 상기 마감패널과 이웃하게 배치되는 다른 마감패널의 수용실에 동시에 수용될 수 있는 길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난방용 복사패널.
  13. 제 1 항에 있어서,
    건축물에 설치되는 격자형 고정 프레임의 일측 가로대 위에 얹힐 수 있도록 상기 패널 몸체의 외측면 일측에 돌출 구비되는 걸림돌기; 및
    상기 고정 프레임의 상기 일측 가로대와 마주하는 일부분에 접하여 탄성 변형됨으로써 상기 패널 몸체를 상기 고정 프레임의 일측 가로대 쪽으로 가압하기 위해 상기 패널 몸체의 외측면 다른 일측에 구비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난방용 복사패널.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매체 튜브와 결합되도록 상기 마감패널의 수용실에 배치되어 상기 열매체 튜브의 내부를 따라 유동하는 열매체의 열을 상기 마감패널 전체에 균일하게 전달하는 열전도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난방용 복사패널.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열매체 튜브는 상기 마감패널의 수용실 내에 복수 회 굽어지도록 배치되고,
    상기 열전도판의 일면에는 상기 열매체 튜브가 삽입될 수 있도록 복수 회 굽어진 형태의 튜브 삽입홈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난방용 복사패널.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도판은 그라파이트(graphite)와 합성수지를 포함하는 소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난방용 복사패널.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도판에는 상기 단열재에 삽입 결합되는 복수의 결합돌기가 돌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난방용 복사패널.
KR1020130108060A 2013-09-09 2013-09-09 냉난방용 복사패널 KR1015175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8060A KR101517589B1 (ko) 2013-09-09 2013-09-09 냉난방용 복사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8060A KR101517589B1 (ko) 2013-09-09 2013-09-09 냉난방용 복사패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9206A true KR20150029206A (ko) 2015-03-18
KR101517589B1 KR101517589B1 (ko) 2015-05-06

Family

ID=530237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8060A KR101517589B1 (ko) 2013-09-09 2013-09-09 냉난방용 복사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7589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242090A1 (en) * 2016-05-03 2017-11-08 Halton OY Radiant panel element
AT519899A1 (de) * 2017-05-11 2018-11-15 Schludermann Arnold Kühldeckenelement
GB2574783A (en) * 2019-10-10 2019-12-18 Radiana Ltd Temperature-adjustable ceiling panel
KR20200061590A (ko) * 2018-11-26 2020-06-03 정태영 냉온열 기능을 포함하는 선박 hfo 탱크 및 냉난방용 고성능 단열 구조재
CN114608094A (zh) * 2022-04-13 2022-06-10 北京柏穗科技有限公司 一种辐射板及辐射空调系统
AT17934U1 (de) * 2022-03-04 2023-08-15 B M Newtec Gmbh Flächiges Fertigbau-Elemen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6058B1 (ko) 2020-09-23 2023-04-25 김정석 냉난방용 복사패널 및 이를 이용한 냉난방 시스템
KR20230030274A (ko) 2021-08-25 2023-03-06 주식회사 대우경금속 수직형 조립용 냉난방기구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39159A (ja) * 1998-07-24 2000-02-08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床暖房パネル構造
JP3423669B2 (ja) * 2000-06-01 2003-07-07 株式会社トヨックス 天井用輻射パネル
JP3915690B2 (ja) * 2002-12-25 2007-05-16 株式会社ノーリツ 温水暖房機能付き床パネル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242090A1 (en) * 2016-05-03 2017-11-08 Halton OY Radiant panel element
AT519899A1 (de) * 2017-05-11 2018-11-15 Schludermann Arnold Kühldeckenelement
AT519899B1 (de) * 2017-05-11 2024-02-15 Schludermann Arnold Kühldeckenelement
KR20200061590A (ko) * 2018-11-26 2020-06-03 정태영 냉온열 기능을 포함하는 선박 hfo 탱크 및 냉난방용 고성능 단열 구조재
GB2574783A (en) * 2019-10-10 2019-12-18 Radiana Ltd Temperature-adjustable ceiling panel
GB2574783B (en) * 2019-10-10 2020-06-10 Radiana Ltd Temperature-Adjustable Ceiling Panel
WO2021069855A1 (en) * 2019-10-10 2021-04-15 Radiana Limited Temperature-adjustable ceiling, wall or floor panel
AT17934U1 (de) * 2022-03-04 2023-08-15 B M Newtec Gmbh Flächiges Fertigbau-Element
CN114608094A (zh) * 2022-04-13 2022-06-10 北京柏穗科技有限公司 一种辐射板及辐射空调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17589B1 (ko) 2015-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7589B1 (ko) 냉난방용 복사패널
US8474514B2 (en) Carrier structure for partitioning and/or inner partitioning with integrated heating and/or cooling
US9410706B2 (en) Modular heating structure that can be fitted to the interior walls of buildings
JP5043158B2 (ja) 空気熱源ヒートポンプ式空調装置
KR20140128101A (ko) 냉난방용 복사패널
KR20160064927A (ko) 조립식 열원 파이프 및 이를 이용한 습건식 바닥 냉난방 시스템
PL198906B1 (pl) Element podłogowy do wytwarzania pustych komór wewnątrz podłóg dla rur grzejnych i chłodzących oraz płyta złączna dla elementów podłogowych
KR101521584B1 (ko) 배관용 분배기 어셈블리
US7066239B2 (en) Air hypocaust structure for cooling and/or heating
JP2020051080A (ja) 支持部材セット及び冷暖房システム
JP6683210B2 (ja) 輻射パネル、及び空気調和装置
KR20140128103A (ko) 냉난방용 복사패널
JP2002333148A (ja) 床パネル
JP2009019806A (ja) 放射パネル
KR101517590B1 (ko) 복사패널 연결기구
KR101530641B1 (ko) 파이프 고정장치
JP5952790B2 (ja) 冷暖房用パネル及び冷暖房装置
JP6890366B1 (ja) 放射パネル
JP7244935B2 (ja) 輻射パネル
JP2013217562A (ja) 冷暖房システム
KR200142653Y1 (ko) 냉난기공급수단을 지니는 바닥패널
KR100664712B1 (ko) 냉난방장치
JP2006038303A (ja) 熱交換器および冷暖房装置
KR0119603Y1 (ko) 냉, 난방용 파이프 고정판넬
JP6340240B2 (ja) 冷暖房パネル及び天井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