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1584B1 - 배관용 분배기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배관용 분배기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1584B1
KR101521584B1 KR1020130091674A KR20130091674A KR101521584B1 KR 101521584 B1 KR101521584 B1 KR 101521584B1 KR 1020130091674 A KR1020130091674 A KR 1020130091674A KR 20130091674 A KR20130091674 A KR 20130091674A KR 101521584 B1 KR101521584 B1 KR 1015215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er
supply
recovery
housing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16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15805A (ko
Inventor
정창호
이용운
김동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건축과 환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건축과 환경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건축과 환경
Priority to KR10201300916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1584B1/ko
Publication of KR201500158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58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15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15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0Feed-line arrangements, e.g. providing for heat-accumulator tanks, expansion tanks ; Hydraulic components of a central heating system
    • F24D3/1058Feed-line arrangements, e.g. providing for heat-accumulator tanks, expansion tanks ; Hydraulic components of a central heating system disposition of pipes and pipe connections
    • F24D3/1066Distributors for heating liqui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9/00Joints or fittings for double-walled or multi-channel pipes or pipe assembl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04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Branch Pipes, Bend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수나 온수 등의 유체를 유동시키기 위한 배관의 중간에 설치되어 배관을 구성하는 파이프를 연결하는데 사용되는 배관용 분배기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배관용 분배기 어셈블리는, 함체와, 헤더 고정체와, 공급 헤더와, 회수 헤더 및 누수 센서를 포함한다. 함체는, 수용실과, 공급 헤더 연결구멍과, 회수 헤더 연결구멍과, 관통구멍을 갖는다. 헤더 고정체는 수용실에 배치되고, 공급 헤더 결합면과 회수 헤더 결합면을 갖는다. 공급 헤더는, 헤더 고정체에 고정되어 수용실에 배치되고, 공급 헤더 연결구멍을 통해 공급 배관과 연결되고, 관통구멍을 통해 복수의 배관용 파이프의 유입부와 연결된다. 회수 헤더는, 헤더 고정체에 고정되어 수용실에 배치되고, 회수 헤더 연결구멍을 통해 회수 배관과 연결되고, 관통구멍을 통해 복수의 배관용 파이프의 배출부와 연결된다. 누수 센서는 수용실로 누출되는 유체를 검출하기 위해 수용실 하부에 설치된다.

Description

배관용 분배기 어셈블리{Distributer assembly for piping}
본 발명은 배관용 분배기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복사 냉난방시스템 등에서 냉수나 온수 등의 유체를 유동시키기 위한 배관망 내에서 배관의 연결 및 분기지점에 사용되는 배관용 분배기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최근 대류가 아닌 복사의 원리로 온도 변화를 주는 복사 냉난방시스템이 주목받고 있으며, 전체 냉난방시스템 중 복사 냉난방시스템의 시장 점유율도 꾸준하게 증가하고 있다.
에어컨이나 온풍기 등 대류식 냉난방시스템은 실내의 공기를 차갑게 하거나 가열한 후 대류 현상으로 실내 전체 온도를 조절하는 원리를 이용하는 것인데 반해, 복사 냉난방시스템은 냉수나 온수를 순환시켜 실내 공기를 간접적으로 냉각시키거나 가열하는 원리를 이용하는 것이다.
대류식 냉난방 시스템은 냉난방을 위해 공기 순환을 위한 덕트가 마련되어야 하고, 환기 적용에 따른 외기 도입량이 증가되어 이에 따른 에너지 비용이 증가하고, 온도분포가 불균일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과도한 기류에 따른 사용자의 불쾌감이 발생하고, 먼지의 비산 등 실내의 생활 환경을 악화시키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다.
이에 반해, 복사 냉난방시스템은 공기보다 열용량이 큰 물을 열매체로 사용하므로 유지비 면에서 유리하다. 즉, 기존의 에어컨이나 온풍기에 비해 열수송 에너지가 적고, 동일한 쾌적도를 유지하기 위해 실내 온도를 상대적으로 낮거나 높게 유지할 수 있어 에너지 절감에 큰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소음이 적고 공기 중 미세 먼지나 세균의 부유물이 적어 실내 공기의 질을 향상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어 아이부터 성인, 노인에 이르기까지 생활하기에 쾌적한 실내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이 밖에도, 복사 냉난방시스템은 기존의 공조기기가 가지고 있는 소음 및 기류감 문제가 없기 때문에 주택뿐만 아니라 병원, 도서관, 연구실, 박물관, 문화예술시설, 레스토랑 등 공공시설에 적용하기가 유리하다.
이러한 복사 냉난방시스템은, 복사패널을 통해 냉난방이 이루어지는 냉난방시스템으로, 벽체나 천장에 설치되는 복사패널과, 온수 공급을 위한 보일러와, 냉수 공급을 위한 냉동기 및 냉난방 제어기를 포함한다. 복사패널은 연속적인 행렬을 이루도록 벽체 또는 천장에 설치되고 내부에 열매체의 유동을 위한 파이프가 구비된다. 보일러는 공급 파이프를 통해 복사패널에 온수를 공급하고, 냉동기는 공급 파이프를 통해 복사패널에 냉수를 공급하며, 냉난방 제어기는 공급 파이프를 통해 복사패널에 냉수 또는 온수가 선택적으로 공급되도록 보일러 및 냉동기의 작동을 제어한다.
이러한 복사 냉난방시스템이 시장에서 성공하기 위해서는 복사패널 등 시스템 구성 요소들의 시공 및 유지 관리 성능을 개선해야 한다. 복사 냉난방시스템에 있어서 배관을 구성하는 파이프는 그 길이가 길고 설치 면적을 많이 차지하므로, 파이프를 고르게 정렬하여 배치하는 것이 시공 및 유지 관리에 유리하다. 복수의 파이프를 연결하여 배관을 구성함에 있어서 유체를 복수의 파이프에 분배해줄 수 있는 분배기 어셈블리를 이용하면 복수의 파이프를 고르게 정렬하여 설치하는데 유리하다.
이러한 배관용 분배기 어셈블리는 다양한 종류의 것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일예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0742352호(2007. 07. 18 등록),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0751728호(2007. 08. 17 등록),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405423호(2006. 01. 02 등록),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430683호(2006. 11. 02 등록) 등에 다양한 구조의 분배기 어셈블리가 개시되어 있다.
상술한 것과 같이, 현재 다양한 종류의 분배기 어셈블리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지만, 사용 편의성을 높이고 설치가 용이한 분배기 어셈블리를 개발하려는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조립 및 설치가 용이하고, 사용 편의성이 향상된 새로운 구조의 배관용 분배기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배관의 연결 및 분기지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여 시스템 운전 중 발생할 수 있는 누수 문제 등을 신속하게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배관용 분배기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배관용 분배기 어셈블리는, 함체와, 헤더 고정체와, 공급 헤더와, 회수 헤더 및 누수 센서를 포함한다. 상기 함체는, 수용실과, 상기 수용실과 연결되는 공급 헤더 연결구멍과, 상기 공급 헤더 연결구멍과 이격되어 상기 수용실과 연결되는 회수 헤더 연결구멍과, 상기 수용실과 연결되되 상기 공급 헤더 연결구멍 및 상기 회수 헤더 연결구멍과 이격되어 배치되는 관통구멍을 갖는다. 상기 헤더 고정체는 상기 함체에 결합되어 상기 수용실에 배치되고, 공급 헤더 결합면과 회수 헤더 결합면을 갖는다. 상기 공급 헤더는, 유체 공급을 위한 공급 배관을 통해 공급되는 유체를 복수의 배관용 파이프로 분배하기 위해 외면이 상기 공급 헤더 결합면에 접하도록 상기 헤더 고정체에 고정되어 상기 수용실에 배치되고, 상기 공급 헤더 연결구멍을 통해 상기 공급 배관과 연결되고, 상기 관통구멍을 통해 상기 복수의 배관용 파이프의 유입부와 연결된다. 상기 회수 헤더는, 상기 복수의 배관용 파이프에서 배출되는 유체를 모아 유체 회수를 위한 회수 배관으로 회수하기 위해 외면이 상기 회수 헤더 결합면에 접하도록 상기 헤더 고정체에 고정되어 상기 수용실에 배치되고, 상기 회수 헤더 연결구멍을 통해 상기 회수 배관과 연결되고, 상기 관통구멍을 통해 상기 복수의 배관용 파이프의 배출부와 연결된다. 상기 누수 센서는 상기 수용실로 누출되는 유체를 검출하기 위해 상기 수용실 하부에 설치된다.
상기 함체는 양쪽 단부가 개방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일면을 덮기 위해 상기 하우징의 일단에 결합되는 제 1 커버와,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다른 일면을 덮기 위해 상기 하우징의 다른 일단에 결합되는 제 2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공급 헤더 연결구멍과, 상기 회수 헤더 연결구멍과, 상기 복수의 관통구멍은 상기 하우징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 1 커버는 상기 공급 헤더 연결구멍을 부분적으로 차폐할 수 있도록 상기 공급 헤더 연결구멍 쪽으로 돌출된 제 1 차폐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커버는 상기 회수 헤더 연결구멍을 부분적으로 차폐할 수 있도록 상기 회수 헤더 연결구멍 쪽으로 돌출된 제 2 차폐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차폐부재는 상기 공급 헤더의 외면에 접하여 상기 공급 헤더를 상기 공급 헤더 결합면 쪽으로 가압하는 제 1 가압면을 구비하고, 상기 제 2 차폐부재는 상기 회수 헤더의 외면에 접하여 상기 회수 헤더를 상기 회수 헤더 결합면 쪽으로 가압하는 제 2 가압면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 1 커버와 상기 제 2 커버는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 1 커버와 상기 제 2 커버 중 어느 하나 이상에는 외부 구조물과의 결합을 위한 연결부재가 삽입 결합되는 연결구멍이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배관용 분배기 어셈블리는 상기 연결구멍에 끼움 결합되어 상기 연결구멍을 막는 마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배관용 분배기 어셈블리는 상기 관통구멍에 끼움 결합되어 상기 관통구멍을 막는 마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함체는 상기 수용실의 최하부에 배치되는 바닥면과, 상기 공급 헤더의 연결부나 상기 회수 헤더의 연결부에서 떨어지는 유체를 상기 바닥면으로 가이드하기 위해 상기 바닥면 쪽으로 하향 경사지게 배치되는 가이드 경사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헤더 고정체는 상기 공급 헤더의 외면에 접하여 상기 공급 헤더를 상기 공급 헤더 결합면에서 벗어나지 못하게 막는 제 1 스토퍼와, 상기 회수 헤더의 외면에 접하여 상기 회수 헤더를 상기 회수 헤더 결합면에서 벗어나지 못하게 막는 제 2 스토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배관용 분배기 어셈블리는, 함체와, 헤더 고정체와, 공급 헤더와, 회수 헤더 및 누수 센서를 포함한다. 상기 함체는, 수용실과, 상기 수용실을 사이에 두고 상호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제 1 공급 헤더 연결구멍 및 제 2 공급 헤더 연결구멍과, 상기 수용실을 사이에 두고 상호 마주하되 상기 제 1 공급 헤더 연결구멍 및 상기 제 2 공급 헤더 연결구멍과는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 1 회수 헤더 연결구멍 및 제 2 회수 헤더 연결구멍과, 상기 한 쌍의 공급 헤더 연결구멍과 상기 한 쌍의 회수 헤더 연결구멍과 이격되어 상기 수용실과 연결되도록 배치되는 관통구멍을 갖는다. 상기 헤더 고정체는, 상기 함체에 결합되어 상기 수용실에 배치되고, 공급 헤더 결합면과 회수 헤더 결합면을 갖는다. 상기 공급 헤더는, 유체 공급을 위한 공급 배관의 중간에 설치되어 상기 공급 배관을 통해 공급되는 유체를 복수의 배관용 파이프로 분배하기 위해 외면이 상기 공급 헤더 결합면에 접하도록 상기 헤더 고정체에 고정되어 상기 수용실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공급 헤더 연결구멍을 통해 상기 공급 배관의 일단과 연결되고, 상기 제 2 공급 헤더 연결구멍을 통해 상기 공급 배관의 타단과 연결되며, 상기 관통구멍을 통해 상기 복수의 배관용 파이프의 유입부와 연결된다. 상기 회수 헤더는, 유체 회수를 위한 회수 배관의 중간에 설치되어 상기 복수의 배관용 파이프에서 배출되는 유체를 모아 상기 회수 배관으로 회수하기 위해 외면이 상기 회수 헤더 결합면에 접하도록 상기 헤더 고정체에 고정되어 상기 수용실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회수 헤더 연결구멍을 통해 상기 회수 배관의 일단과 연결되고, 상기 제 2 회수 헤더 연결구멍을 통해 상기 회수 배관의 타단과 연결되며, 상기 관통구멍을 통해 상기 복수의 배관용 파이프의 배출부와 연결된다. 상기 누수 센서는 상기 수용실로 누출되는 유체를 검출하기 위해 상기 수용실 하부에 설치된다.
본 발명에 의한 분배기 어셈블리는 유체 공급을 위한 공급 배관과 배관용 파이프의 연결 및 유체 회수를 위한 회수 배관과 배관용 파이프의 연결이 쉽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배관을 구성하는 배관용 파이프를 고르게 정렬할 수 있도록 해준다. 그리고 배관용 파이프와 공급 배관의 연결 구조 및 배관용 파이프와 공급 배관의 연결 구조 등 다양한 유체 시스템의 배관 설치 구조를 단순화시켜 준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분배기 어셈블리는 하나의 함체 내부의 수용실에 공급 헤더와 공급 배관의 연결부, 공급 헤더와 배관용 파이프의 연결부, 회수 헤더와 회수 배관의 연결부, 회수 헤더와 배관용 파이프의 연결부가 모두 수용되고, 수용실 하부에 누수 센서가 설치되므로, 복수의 연결부에서 발생하는 누수를 감지하기 용이하다. 즉, 공급 헤더와 공급 배관의 연결부, 공급 헤더와 배관용 파이프의 연결부, 회수 헤더와 회수 배관의 연결부, 회수 헤더와 배관용 파이프의 연결부 중 어느 하나의 연결부 또는 복수의 연결부에서 누수가 발생하면, 누출되는 유체는 모두 수용실 하부의 누수 센서 쪽으로 모이므로, 하나의 누수 센서로 복수의 연결부에서 발생하는 누수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분배기 어셈블리는 조립 및 분해가 쉬워, 설치가 용이하고 유지 보수가 편리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배관용 분배기 어셈블리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배관용 분배기 어셈블리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배관용 분배기 어셈블리를 나타낸 정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배관용 분배기 어셈블리가 복사 냉난방시스템에 적용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배관용 분배기 어셈블리를 나타낸 정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배관용 분배기 어셈블리가 냉난방시스템에 적용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배관용 분배기 어셈블리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를 위해 과장되거나 단순화되어 나타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은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배관용 분배기 어셈블리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배관용 분배기 어셈블리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배관용 분배기 어셈블리를 나타낸 정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배관용 분배기 어셈블리(10)는, 수용실(12)을 갖는 함체(11)와, 함체(11)에 결합되어 수용실(12)에 배치되는 헤더 고정체(35)와, 유체 공급을 위한 공급 배관(70)을 통해 공급되는 유체를 복수의 배관용 파이프(75)로 분배하기 위해 헤더 고정체(35)에 고정 설치되는 공급 헤더(45)와, 복수의 배관용 파이프(75)에서 배출되는 유체를 모아 회수 배관(80)으로 회수하기 위해 헤더 고정체(35)에 고정 설치되는 회수 헤더(55)와, 유체의 누출을 검출하기 위해 수용실(12)의 하부에 설치되는 누수 센서(65)를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한 분배기 어셈블리(10)는 각종 유체가 유동하는 배관 시스템에 적용되어 배관을 구성하는 파이프의 연결을 용이하게 하고, 복수의 파이프를 고르게 정렬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해준다.
함체(11)는 양쪽 단부가 개방된 하우징(13)과, 하우징(13)의 개방된 일면을 덮기 위한 제 1 커버(14)와, 하우징(13)의 개방된 다른 일면을 덮기 위한 제 2 커버(15)를 포함한다. 수용실(12)은 하우징(13)과 제 1 커버(14) 및 제 2 커버(15)의 안쪽에 마련된다.
하우징(13)은 상하 양쪽 단부가 개방된 사각 박스 형태로 이루어진다. 하우징(13)의 일측면에는 제 1 공급 헤더 연결구멍(16a)과 제 1 회수 헤더 연결구멍(17a)이 마련되고, 이들 제 1 공급 헤더 연결구멍(16a)과 제 1 회수 헤더 연결구멍(17a)이 마련된 일측면과 마주하는 다른 일측면에는 제 2 공급 헤더 연결구멍(16b)과 제 2 회수 헤더 연결구멍(17b)이 마련된다. 공급 헤더 연결구멍(16a)(16b)은 하우징(13) 안쪽의 공급 헤더(45)와 하우징(13) 바깥쪽의 공급 배관(70)의 연결을 위한 것이고, 회수 헤더 연결구멍(17a)(17b)은 하우징(13) 안쪽의 회수 헤더(55)와 하우징(13) 바깥쪽의 회수 배관(80)의 연결을 위한 것이다.
제 1 공급 헤더 연결구멍(16a)과 제 1 회수 헤더 연결구멍(17a)은 상호 이격되도록 배치되는데, 제 1 공급 헤더 연결구멍(16a)은 하우징(13)의 일측면 중간에서 상단부 쪽으로 개방되도록 연장되고, 제 1 회수 헤더 연결구멍(17a)은 하우징(13)의 일측면 중간에서 하단부 쪽으로 개방되도록 연장된다. 이와 마찬가지로, 제 2 공급 헤더 연결구멍(16b)과 제 2 회수 헤더 연결구멍(17b)은 상호 이격되도록 배치되되, 제 2 공급 헤더 연결구멍(16b)은 하우징(13)의 다른 일측면 중간에서 상단부 쪽으로 개방되도록 연장되고, 제 1 회수 헤더 연결구멍(17a)은 하우징(13)의 다른 일측면 중간에서 하단부 쪽으로 개방되도록 연장된다.
한 쌍의 공급 헤더 연결구멍(16a)(16b) 각각의 하부 둘레에는 공급 헤더 결합면(18)이 각각 구비된다. 공급 헤더 결합면(18)은 수용실(12)에 배치되는 공급 헤더(45)의 외면이 접하는 부분이다. 그리고 한 쌍의 회수 헤더 연결구멍(17a)(17b) 각각의 상부 둘레에는 회수 헤더 결합면(19)이 각각 구비된다. 회수 헤더 결합면(19)은 수용실(12)에 배치되는 회수 헤더(55)의 외면이 접하는 부분이다. 공급 헤더(45)가 안정적인 고정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공급 헤더 결합면(18)은 공급 헤더(45)의 외면 형상에 대응하는 곡면으로 이루어지고, 회수 헤더(55)가 안정적인 고정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회수 헤더 결합면(19)은 회수 헤더(55)의 외면 형상에 대응하는 곡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공급 헤더 연결구멍(16a)(16b)과 회수 헤더 연결구멍(17a)(17b)이 형성되지 않은 하우징(13)의 또 다른 두 개의 측면에는 복수의 관통구멍(20)이 마련된다. 복수의 관통구멍(20)은 하우징(13) 내부의 공급 헤더(45)와 하우징(13) 외부의 배관용 파이프(75)의 연결 및 하우징(13) 내부의 회수 헤더(55)와 하우징(13) 외부의 배관용 파이프(75)의 연결을 위한 것이다.
이 밖에, 하우징(13)의 상단부 가장자리와 하단부 가장자리에는 복수의 결합홈(21)이 마련된다. 하우징(13)의 상단부 가장자리에 마련되는 결합홈(21)은 제 1 커버(14)에 구비되는 결합돌기(22)의 끼움 결합을 위한 것이고, 하우징(13)의 하단부 가장자리에 마련되는 결합홈(21)은 제 2 커버(15)에 구비되는 결합돌기(26)의 끼움 결합을 위한 것이다.
제 1 커버(14)는 하우징(13)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하우징(13)의 개방된 상면을 덮는다. 제 1 커버(14)의 하단부 가장자리에는 복수의 결합돌기(22)가 구비된다. 이들 결합돌기(22)는 하우징(13)의 상단부 가장자리에 마련된 복수의 결합홈(21)에 대응하도록 배치되어 복수의 결합홈(21) 각각에 끼움 결합된다. 복수의 결합돌기(22)가 복수의 결합홈(21)에 끼움 결합됨으로써 제 1 커버(14)는 하우징(13)에 단단히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 커버(14)의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측면에는 한 쌍의 제 1 차폐부재(23)가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된다. 제 1 차폐부재(23)는 공급 헤더 연결구멍(16a)(16b) 쪽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되며, 제 1 커버(14)가 하우징(13)에 결합될 때, 하나의 제 1 차폐부재(23)는 제 1 공급 헤더 연결구멍(16a)을 부분적으로 차폐하고, 또 다른 제 1 차폐부재(23)는 제 2 공급 헤더 연결구멍(16b)을 부분적으로 차폐한다. 한 쌍의 제 1 차폐부재(23) 각각의 끝단에는 공급 헤더(45)의 외면에 접하는 제 1 가압면(24)이 마련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 1 커버(14)가 하우징(13)에 결합될 때, 한 쌍의 제 1 차폐부재(23) 각각의 제 1 가압면(24)은 공급 헤더(45)의 외면에 접하여 공급 헤더(45)를 헤더 고정체(35) 쪽으로 가압한다. 이와 같이, 한 쌍의 제 1 차폐부재(23)는 공급 헤더(45)를 헤더 고정체(35) 쪽으로 가압함으로써 공급 헤더(45)가 함체(11) 내에서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이와 동시에 공급 헤더 연결구멍(16a)(16b)을 부분적으로 차폐하여 공급 헤더 연결구멍(16a)(16b)을 통해 함체(11)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막아준다.
제 2 커버(15)는 하우징(13)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하우징(13)의 개방된 하면을 덮는다. 제 2 커버(15)의 상단부 가장자리에는 복수의 결합돌기(26)가 구비된다. 이들 결합돌기(26)는 하우징(13)의 하단부 가장자리에 마련된 복수의 결합홈(21)에 대응하도록 배치되어 복수의 결합홈(21) 각각에 끼움 결합된다. 복수의 결합돌기(26)가 복수의 결합홈(21)에 끼움 결합됨으로써 제 2 커버(15)는 하우징(13)에 단단히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제 2 커버(15)의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측면에는 한 쌍의 제 2 차폐부재(27)가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된다. 제 2 차폐부재(27)는 회수 헤더 연결구멍(17a)(17b) 쪽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되며, 제 2 커버(15)가 하우징(13)에 결합될 때, 하나의 제 2 차폐부재(27)는 제 1 회수 헤더 연결구멍(17a)을 부분적으로 차폐하고, 또 다른 제 2 차폐부재(27)는 제 2 회수 헤더 연결구멍(17b)을 부분적으로 차폐한다. 한 쌍의 제 2 차폐부재(27) 각각의 끝단에는 회수 헤더(55)의 외면에 접하는 제 2 가압면(28)이 마련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 2 커버(15)가 하우징(13)에 결합될 때, 한 쌍의 제 2 차폐부재(27) 각각의 제 2 가압면(28)은 회수 헤더(55)의 외면에 접하여 회수 헤더(55)를 헤더 고정체(35) 쪽으로 가압한다. 이와 같이, 한 쌍의 제 2 차폐부재(27)는 회수 헤더(55)를 헤더 고정체(35) 쪽으로 가압함으로써 회수 헤더(55)가 함체(11) 내에서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이와 동시에 회수 헤더 연결구멍(17a)(17b)을 부분적으로 차폐하여 회수 헤더 연결구멍(17a)(17b)을 통해 함체(11)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막아준다.
또한 제 2 커버(15)에는 안쪽 최하부에 배치되는 바닥면(29)과, 바닥면(29) 쪽으로 하향 경사지게 배치되는 복수의 가이드 경사면(30)이 구비된다. 복수의 가이드 경사면(30)은 공급 헤더(45)와 공급 배관(70)의 연결부나, 공급 헤더(45)와 배관용 파이프(75)의 연결부 등 공급 헤더(45)의 연결부, 또는 회수 헤더(55)와 회수 배관(80)의 연결부나, 회수 헤더(55)와 배관용 파이프(75)의 연결부 등 회수 헤더(55)의 연결부에서 떨어지는 유체를 바닥면(29)으로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공급 헤더(45)의 연결부나, 회수 헤더(55)의 연결부에서 유체가 누출되는 경우, 누출되는 유체는 제 2 커버(15)의 바닥면(29)으로 모이게 된다.
바닥면(29)에는 누수 센서(65)가 설치된다. 누수 센서(65)는 공급 헤더(45)의 연결부나, 회수 헤더(55)의 연결부에서 유체가 누출되어 바닥면(29)에 유체가 고이는 경우, 이를 검출하고 그 검출 신호를 외부로 전송한다. 누수 센서(65)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누수 센서(65)의 검출 신호를 외부로 전송하기 위해 누수 센서(65)에 연결되는 케이블(66)은 제 2 커버(15)의 일측면에 마련되는 관통구멍(31)을 통해 함체(11) 외부로 연장될 수 있다. 누수 센서(65)로는 각종 유체를 감지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것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함체(11)를 구성하는 하우징(13)과, 제 1 커버(14) 및 제 2 커버(15)의 구체적인 구조는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그리고 하우징(13)과 제 1 커버(14)의 결합 구조나, 하우징(13)과 제 2 커버(15)의 결합 구조도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예컨대, 하우징(13)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 복수의 결합돌기가 돌출 구비되고, 제 1 커버(14) 및 제 2 커버(15)에는 하우징(13)의 결합돌기에 대응하는 결합홈이 마련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제 1 커버(14)와 제 2 커버(15)는 하우징(13)에 착탈식으로 결합되지 않고 하우징(13)에 일체로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제 2 커버(15)에 구비되는 가이드 경사면(30)은 도시된 것과 같이 평면형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곡면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설치 개수도 네 개 이외의 다양한 개수로 구비될 수 있다.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헤더 고정체(35)는 하우징(13)의 안쪽 중앙에 배치되어 공급 헤더(45)와 회수 헤더(55)를 수용실(12)의 정해진 위치에 고정한다. 헤더 고정체(35)는 하우징(13)의 공급 헤더 연결구멍(16a)(16b)과 회수 헤더 연결구멍(17a)(17b)이 형성된 한 쌍의 측면에 결합되어 수용실(12)에 고정되는 한 쌍의 고정대(36)와, 한 쌍의 고정대(36) 사이에 상호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헤더 지지부재(37)를 포함한다. 헤더 지지부재(37)의 양쪽 단부에는 공급 헤더 결합면(38)과 회수 헤더 결합면(39)이 각각 마련된다. 공급 헤더(45) 및 회수 헤더(55)가 헤더 고정체(35)에 각각 고정될 때 공급 헤더(45)의 외면은 공급 헤더 결합면(38)에 접하고, 회수 헤더(55)의 외면은 회수 헤더 결합면(39)에 접한다. 공급 헤더(45)가 안정적인 고정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공급 헤더 결합면(38)은 공급 헤더(45)의 외면 형상에 대응하는 곡면으로 이루어지고, 회수 헤더(55)가 안정적인 고정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회수 헤더 결합면(39)은 회수 헤더(55)의 외면 형상에 대응하는 곡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한 쌍의 고정대(36) 각각의 상단부에는 제 1 스토퍼(40)가 구비되고, 한 쌍의 고정대(36) 각각의 하단부에는 제 2 스토퍼(41)가 구비된다. 제 1 스토퍼(40)는 공급 헤더(45)가 헤더 지지부재(37)의 공급 헤더 결합면(38)에 놓일 때 공급 헤더(45)의 외면에 접함으로써 공급 헤더(45)를 공급 헤더 결합면(38)에서 벗어나지 못하게 막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제 2 스토퍼(41)는 회수 헤더(55)가 헤더 지지부재(37)의 회수 헤더 결합면(39)에 놓일 때 회수 헤더(55)의 외면에 접함으로써 회수 헤더(55)를 회수 헤더 결합면(39)에서 벗어나지 못하게 막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헤더 고정체(35)의 구체적인 구조는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공급 헤더(45)와 회수 헤더(55)가 결합될 수 있도록 함체(11)에 고정되어 공급 헤더(45)와 회수 헤더(55)를 수용실(12)의 정해진 위치에 고정할 수 있는 다양한 다른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 그리고 도면에는 헤더 고정체(35)가 공급 헤더(45)와 회수 헤더(55)를 모두 고정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것으로 나타냈으나, 헤더 고정체(35)는 공급 헤더(45)를 고정할 수 있는 것과 회수 헤더(55)를 고정할 수 있는 것으로 구분되어 수용실(12)에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제 1 스토퍼(40)나 제 2 스토퍼(41)의 구조도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공급 헤더(45)의 외면 또는 회수 헤더(55)의 외면에 접하여 공급 헤더(45) 또는 회수 헤더(55)를 움직이지 못하게 막는 다양한 다른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공급 헤더(45)는 유체 공급을 위한 공급 배관(70)의 중간에 설치되어 공급 배관(70)을 통해 공급되는 유체를 복수의 배관용 파이프(75)로 분배하기 위한 것으로, 내부에 공급 유로(46)가 마련된 중공관 형태로 이루어진다. 공급 헤더(45)의 일단에는 공급 배관(70)의 일단이 연결되는 제 1 공급 배관 연결구멍(47a)이 마련되고, 공급 헤더(45)의 타단에는 공급 배관(70)의 타단이 연결되는 제 2 공급 배관 연결구멍(47b)이 마련된다. 공급되는 유체는 공급 배관(70)에서 제 1 공급 배관 연결구멍(47a)을 통해 공급 유로(46)로 유입되고, 공급 유로(46)를 통과한 유체는 제 2 공급 배관 연결구멍(47b)을 통해 이에 연결된 공급 배관(70)으로 유입되어 이를 따라 유동하게 된다. 제 1 공급 배관 연결구멍(47a)이 형성된 공급 헤더(45)의 일단 및 제 2 공급 배관 연결구멍(47b)이 형성된 공급 헤더(45)의 타단에는 공급 배관(70)의 결합을 위한 커넥터(48)가 구비된다.
공급 유로(46)로 유입된 유체는 공급 유로(46)와 연결되도록 공급 헤더(45)의 측면에 마련된 복수의 파이프 연결구멍(49)을 통해 복수의 배관용 파이프(75)로 분배된다. 복수의 배관용 파이프(75)에는 배관용 파이프(75)의 유입부(75a)가 연결되고, 공급 유로(46)의 유체는 파이프 연결구멍(49)을 통해 배관용 파이프(75)로 유입된다. 공급 헤더(45) 측면의 복수의 파이프 연결구멍(49)이 형성된 부분에는 배관용 파이프(75)의 결합을 위한 커넥터(50)가 복수의 파이프 연결구멍(49)이 일대일로 대응하도록 구비된다.
공급 헤더(45)의 측면에는 한 쌍의 걸림돌기(51)가 외측으로 돌출 구비된다.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공급 헤더(45)가 헤더 고정체(35)의 공급 헤더 결합면(38)에 놓일 때 헤더 고정체(35)에 구비된 한 쌍의 제 1 스토퍼(40)가 공급 헤더(45)의 한 쌍의 걸림돌기(51)에 각각 접하여 공급 헤더(45)를 공급 헤더 결합면(38) 쪽으로 가압한다. 따라서 공급 헤더(45)는 헤더 고정체(35)의 공급 헤더 결합면(38)에 밀착되어 안정적인 고정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공급 헤더(45)가 헤더 고정체(35)에 고정되어 수용실(12)에 배치될 때, 공급 헤더(45) 일단에 마련된 제 1 공급 배관 연결구멍(47a)은 함체(11)의 제 1 공급 헤더 연결구멍(16a)을 통해 함체(11) 외부로 노출되고, 공급 헤더(45) 타단에 마련된 제 2 공급 배관 연결구멍(47b)은 함체(11)의 제 2 공급 헤더 연결구멍(16b)을 통해 함체(11) 외부로 노출된다. 따라서 함체(11) 외부에 배치되는 공급 배관(70)은 제 1 공급 헤더 연결구멍(16a)과 제 2 공급 헤더 연결구멍(16b)을 통해 공급 헤더(45)의 제 1 공급 배관 연결구멍(47a) 및 제 2 공급 배관 연결구멍(47b)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공급 헤더(45)가 수용실(12)에 배치된 후, 배관용 파이프(75)의 유입부(75a) 쪽 일단이 함체(11)의 관통구멍(20)을 통해 수용실(12)로 진입하여 공급 헤더(45)의 파이프 연결구멍(49)에 연결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회수 헤더(55)는 유체의 회수를 위한 회수 배관(80)의 중간에 설치되어 복수의 배관용 파이프(75)에서 배출되는 유체를 모아 회수 배관(80)으로 회수시키기 위한 것으로, 내부에 회수 유로(56)가 마련된 중공관 형태로 이루어진다. 회수 헤더(55)의 일단에는 회수 배관(80)의 일단이 연결되는 제 1 회수 배관 연결구멍(57a)이 마련되고, 회수 헤더(55)의 타단에는 회수 배관(80)의 타단이 연결되는 제 2 회수 배관 연결구멍(57b)이 마련된다. 제 1 회수 배관 연결구멍(57a)이 형성된 회수 헤더(55)의 일단 및 제 2 회수 배관 연결구멍(57b)이 형성된 회수 헤더(55)의 타단에는 회수 배관(80)의 결합을 위한 커넥터(58)가 구비된다.
회수 헤더(55)의 측면에는 회수 유로(56)와 연결되는 복수의 파이프 연결구멍(59)이 마련된다. 회수 헤더(55)의 파이프 연결구멍(59)에는 배관용 파이프(75)의 배출부(75b)가 연결된다. 배관용 파이프(75)에서 배출되는 유체는 회수 헤더(55)의 파이프 연결구멍(59)을 통해 회수 유로(56)로 유입된 후, 회수 유로(56)를 따라 이동하여 제 1 회수 배관 연결구멍(57a) 또는 제 2 회수 배관 연결구멍(57b)을 통해 회수 배관(80)으로 유입된다. 회수 유로(56) 내에서 유체는 한쪽 방향으로 유동하는 것이 좋다. 예컨대, 복수의 파이프 연결구멍(59)을 통해 회수 유로(56)로 유입되는 유체는 제 2 회수 배관 연결구멍(57b) 쪽에서 제 1 회수 배관 연결구멍(57a) 쪽으로 유동하여 제 1 회수 배관 연결구멍(57a)에 연결된 회수 배관(80)으로 빠져나갈 수 있다. 이 경우, 제 2 회수 배관 연결구멍(57b)을 통해서는 다른 배관용 파이프(75)에서 회수되는 유체가 회수 배관(80)을 통해 회수 유로(56)로 유입될 수 있다.
회수 헤더(55) 측면의 복수의 파이프 연결구멍(59)이 형성된 부분에는 배관용 파이프(75)의 결합을 위한 커넥터(60)가 복수의 파이프 연결구멍(59)이 일대일로 대응하도록 구비되고, 회수 헤더(55)의 측면에는 한 쌍의 걸림돌기(61)가 외측으로 돌출 구비된다.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회수 헤더(55)가 헤더 고정체(35)의 회수 헤더 결합면(39)에 놓일 때 헤더 고정체(35)에 구비된 한 쌍의 제 2 스토퍼(41)가 회수 헤더(55)의 한 쌍의 걸림돌기(61)에 각각 접하여 회수 헤더(55)를 회수 헤더 결합면(39) 쪽으로 가압한다. 따라서 회수 헤더(55)는 헤더 고정체(35)의 회수 헤더 결합면(39)에 밀착되어 안정적인 고정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회수 헤더(55)가 헤더 고정체(35)에 고정되어 수용실(12)에 배치될 때, 회수 헤더(55) 일단에 마련된 제 1 회수 배관 연결구멍(57a)은 함체(11)의 제 1 회수 헤더 연결구멍(17a)을 통해 함체(11) 외부로 노출되고, 회수 헤더(55) 타단에 마련된 제 2 회수 배관 연결구멍(57b)은 함체(11)의 제 2 회수 헤더 연결구멍(17b)을 통해 함체(11) 외부로 노출된다. 따라서 함체(11) 외부에 배치되는 회수 배관(80)은 제 1 회수 헤더 연결구멍(17a)과 제 2 회수 헤더 연결구멍(17b)을 통해 회수 헤더(55)의 제 1 회수 배관 연결구멍(57a) 및 제 2 회수 배관 연결구멍(57b)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회수 헤더(55)가 수용실(12)에 배치된 후, 배관용 파이프(75)의 배출부(75b) 쪽 일단이 함체(11)의 관통구멍(20)을 통해 수용실(12)로 진입하여 회수 헤더(55)의 파이프 연결구멍(59)에 연결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배관용 분배기 어셈블리(10)가 냉난방시스템에 적용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잘 알려진 것과 같이, 복사 냉난방시스템은 복수의 복사패널(90)과, 온수 공급을 위한 보일러와, 냉수 공급을 위한 냉동기 및 냉난방 제어기를 포함한다. 도시된 것과 같이, 복사패널(90)은 연속적인 행렬을 이루도록 천장의 프레임(95)에 고정 설치된다. 복사패널(90)은 내부에 열매체가 유동하는 유로가 형성된 배관용 파이프(75)와, 배관용 파이프(75)가 수용되는 마감패널(91)과, 마감패널(91)에 수용되어 배관용 파이프(75)를 덮는 단열재(92)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배관용 분배기 어셈블리(10)는 열매체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 배관(70)과, 열매체를 회수하기 위한 회수 배관(80)과 연결되도록 프레임(95)의 일측에 고정 설치된다. 함체(11) 내부에 배치되는 공급 헤더(45)는 공급 배관(70)과 연결되고, 회수 헤더(55)는 회수 배관(80)과 연결된다. 공급 헤더(45)에는 복사패널(90)에 구비된 배관용 파이프(75)의 유입부(75a)가 함체(11)의 관통구멍(20)을 통해 연결되고, 회수 헤더(55)에는 복사패널(90)에 구비된 배관용 파이프(75)의 배출부(75b)가 함체(11)의 관통구멍(20)을 통해 연결된다. 각 복사패널(90)은 공급 헤더(45)와 회수 헤더(55)에 직접 연결되거나, 복수의 복사패널(90)이 상호 연결되고 그 중 하나의 복사패널(90)만이 공급 헤더(45)와 회수 헤더(55)에 직접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분배기 어셈블리(10)는 연속적인 행렬을 이루도록 프레임(95)에 고정 설치되는 복수의 복사패널(90) 중간중간에 복수가 설치됨으로써, 공급 배관(70)을 통해 공급되는 열매체를 복수의 복사패널(90)로 분배하여 공급함과 동시에, 복수의 복사패널(90)을 통과한 열매체를 모아 회수 배관(80)을 통해 회수시킬 수 있다. 따라서 배관용 파이프(75)와 공급 배관(70)의 연결 구조 및 배관용 파이프(75)와 회수 배관(80)의 연결 구조를 단순화시킬 수 있다.
상술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분배기 어셈블리(10)는 유체 공급을 위한 공급 배관(70)과 배관용 파이프(75)의 연결 및 유체 회수를 위한 회수 배관(80)과 배관용 파이프(75)의 연결이 쉽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배관을 구성하는 배관용 파이프(75)를 고르게 정렬할 수 있도록 해준다. 그리고 배관용 파이프(75)와 공급 배관(70)의 연결 구조 및 배관용 파이프(75)와 회수 배관(80)의 연결 구조 등 다양한 유체 시스템의 배관 설치 구조를 단순화시켜 준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분배기 어셈블리(10)는 함체(11) 내부의 수용실(12)에 공급 헤더(45)와 공급 배관(70)의 연결부, 공급 헤더(45)와 배관용 파이프(75)의 연결부, 회수 헤더(55)와 회수 배관(80)의 연결부, 회수 헤더(55)와 배관용 파이프(75)의 연결부가 모두 수용되고, 수용실(12) 하부에 누수 센서(65)가 설치되므로, 복수의 연결부에서 발생하는 누수를 감지하기 용이하다. 즉, 공급 헤더(45)와 공급 배관(70)의 연결부, 공급 헤더(45)와 배관용 파이프(75)의 연결부, 회수 헤더(55)와 회수 배관(80)의 연결부, 회수 헤더(55)와 배관용 파이프(75)의 연결부 중 어느 하나의 연결부 또는 복수의 연결부에서 누수가 발생하면, 누출되는 유체는 모두 수용실(12) 하부의 누수 센서(65) 쪽으로 모이므로, 하나의 누수 센서(65)가 복수의 연결부에서 발생하는 누수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분배기 어셈블리(10)는 조립 및 분해가 쉬워, 설치가 용이하고 유지 보수가 편리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하나의 함체(11) 내부에 수용되는 공급 헤더(45)나 회수 헤더(55)의 개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그리고 하나의 공급 헤더(45)에 연결될 수 있는 배관용 파이프(75)의 개수나, 하나의 회수 헤더(55)에 연결될 수 있는 배관용 파이프(75)의 개수도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함체(11)에는 함체(11) 외부에 위치하는 복수의 배관용 파이프(75)를 함체(11) 내부로 진입시키기 위해 관통구멍(20)이 하나만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공급 헤더(45)의 경우 공급 배관 연결구멍이 하나만 마련되어 공급 헤더(45)에 공급 배관(70)의 한쪽 끝단만 연결될 수 있다. 회수 헤더(55)의 경우도 회수 배관 연결구멍이 하나만 마련되어 회수 헤더(55)에 회수 배관(80)의 한쪽 끝단만 연결될 수도 있다.
그리고 공급 헤더(45)와 공급 배관(70)은 도시된 것과 같은 커넥터(48)에 의한 연결 구조 이외의 다른 연결 구조를 가질 수 있고, 공급 헤더(45)와 배관용 파이프(75)도 도시된 것과 같은 커넥터(50)에 의한 연결 구조 이외의 다른 연결 구조를 취할 수 있다. 또한 회수 헤더(55)와 회수 배관(80)은 도시된 것과 같은 커넥터(58)에 의한 연결 구조 이외의 다른 연결 구조를 가질 수 있고, 회수 헤더(55)와 배관용 파이프(75)도 도시된 것과 같은 커넥터(60)에 의한 연결 구조 이외의 다른 연결 구조를 취할 수 있다. 수용실(12)에서의 공급 헤더(45)와 회수 헤더(55)의 위치는 바뀔 수도 있다. 즉, 회수 헤더(55)가 공급 헤더(45)보다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공급 헤더(45)의 양쪽 단부가 함체(11)의 제 1 공급 헤더 연결구멍(16a) 및 제 2 공급 헤더 연결구멍(16b)에 걸치는 것으로 나타냈으나, 공급 헤더(45)는 제 1 공급 헤더 연결구멍(16a)이나 제 2 공급 헤더 연결구멍(16b)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함체(11) 속에 완전히 수용될 수 있다. 이 경우, 공급 배관(70)이 공급 헤더 연결구멍(16a)(16b)을 통해 수용실(12)로 진입하여 공급 헤더(45)에 연결된다. 그리고 회수 헤더(55)는 제 1 회수 헤더 연결구멍(17a)이나 제 2 회수 헤더 연결구멍(17b)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함체(11) 속에 완전히 수용되고, 회수 배관(80)이 회수 헤더 연결구멍(17a)(17b)을 통해 수용실(12)로 진입하여 회수 헤더(55)에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배관용 분배기 어셈블리를 나타낸 정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배관용 분배기 어셈블리(100)는 상술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분배기 어셈블리(10)와 대부분의 구성이 같은 것으로, 이하에서 상술한 것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의한 배관용 분배기 어셈블리(100)는, 수용실(12)을 갖는 함체(110)와, 함체(110)에 결합되어 수용실(12)에 배치되는 헤더 고정체(35)와, 유체 공급을 위한 공급 배관(70;도 1참조)을 통해 공급되는 유체를 복수의 배관용 파이프(75)로 분배하기 위해 헤더 고정체(35)에 고정 설치되는 공급 헤더(45)와, 복수의 배관용 파이프(75)에서 배출되는 유체를 모아 회수 배관(80;도 1참조)으로 회수하기 위해 헤더 고정체(35)에 고정 설치되는 회수 헤더(55)와, 유체의 누출을 검출하기 위해 수용실(12)의 하부에 설치되는 누수 센서(65)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헤더 고정체(35)와, 공급 헤더(45)와, 회수 헤더(55) 및 누수 센서(65)의 구체적인 구조와 작용은 상술한 것과 같다.
함체(110)는 양쪽 단부가 개방된 하우징(13)과, 하우징(13)의 개방된 일면을 덮기 위한 제 1 커버(112)와, 하우징(13)의 개방된 다른 일면을 덮기 위한 제 2 커버(114)를 갖는다. 제 1 커버(112)와 제 2 커버(114)는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들 커버(112)(114)는 대부분의 구성이 상술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배관용 분배기 어셈블리(10)의 제 2 커버(114)와 같다.
즉, 제 1 커버(112)와 제 2 커버(114)는 하우징(13)에 구비된 복수의 결합홈(21)에 대응하는 복수의 결합돌기(26)와, 한 쌍의 차폐부재(27)와, 바닥면(29)과, 복수의 가이드 경사면(30)을 갖는다. 또한 이들 커버(112)(114)의 일측면에는 관통구멍(31)이 마련되고, 바닥면(29)에는 연결구멍(116)이 바닥면(29)을 관통하여 구비된다. 연결구멍(116)은 이에 와이어 등 외부 구조물과의 연결을 위한 연결부재를 결합하기 위한 것으로, 연결부재를 연결구멍(116)을 통해 함체(110)에 연결하면 함체(110)를 연결부재로 매달아 설치할 수 있다. 연결구멍(116)에 연결부재를 연결하지 않는 경우, 연결구멍(116)을 마개(117)로 막아 이를 통해 외부의 이물질이 함체(11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배관용 분배기 어셈블리(100)는 하우징(13)이 대칭형 구조로 이루어지고, 제 1 커버(112)와 제 2 커버(114)가 동일 구조로 이루어지므로, 상하좌우 구분하지 않고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이 밖에, 하우징(13)에 마련되는 관통구멍(20) 중 배관용 파이프(75)가 삽입되지 않는 관통구멍(20)은 마개(118)에 의해 밀폐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배관용 분배기 어셈블리(110)가 냉난방시스템에 적용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배관용 분배기 어셈블리(100)는 열매체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 배관(70)과, 열매체를 회수하기 위한 회수 배관(80;도 4참조)과 연결되도록 프레임(95)의 일측에 고정 설치된다. 함체(110) 내부에 배치되는 공급 헤더(45;도 5참조)는 공급 배관(70)과 연결되고, 회수 헤더(55;도 5참조)는 회수 배관(80)과 연결된다. 공급 헤더(45)에는 복사패널(90)에 구비된 배관용 파이프(75)의 유입부(75a)가 함체(110)의 관통구멍(20;도 5참조)을 통해 연결되고, 회수 헤더(55)에는 복사패널(90)에 구비된 배관용 파이프(75)의 배출부(75b)가 함체(11)의 관통구멍(20)을 통해 연결된다.
프레임(95)에 설치된 복수의 복사패널(90)은 네 개가 하나의 배관용 파이프(75)를 공유하도록 구룹화되어 설치되며, 하나의 복사패널 구룹의 배관용 파이프(75)는 그 일단의 유입부(75a)가 함체(110) 내부의 공급 헤더(45)에 연결되고, 그 타단의 배출부(75b)가 함체(110) 내부의 회수 헤더(55)에 연결된다. 그리고 또 다른 하나의 복사패널 구룹의 배관용 파이프(75)는 그 일단의 유입부(75a)가 함체(110) 내부의 공급 헤더(45)에 연결되고, 그 타단의 배출부(75b)가 함체(110) 내부의 회수 헤더(55)에 연결된다. 배관용 파이프(75)의 유입부(75a)나 배출부(75b)가 삽입되지 않는 함체(110)의 관통구멍(20)에는 마개(118;도 5참조)가 끼움 결합되어 이를 통한 외물 이물질의 유입을 막을 수 있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서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및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10, 100 : 분배기 어셈블리 11, 110 : 함체
12 : 수용실 13 : 하우징
14, 112 : 제 1 커버 15, 114 : 제 2 커버
16a, 16b : 제 1, 2 공급 헤더 연결구멍
17a, 17b : 제 1, 2 회수 헤더 연결구멍
18, 38 : 공급 헤더 결합면 19, 39 : 회수 헤더 결합면
21 : 결합홈 22, 26 : 결합돌기
23, 27 : 제 1, 2 차폐부재 24, 28 : 제 1, 2 가압면
29 : 바닥면 30 : 가이드 경사면
35 : 헤더 고정체 36 : 고정대
37 : 헤더 지지부재 40, 41 : 제 1, 2 스토퍼
45 : 공급 헤더 46 : 공급 유로
47a, 47b : 제 1, 2 공급 배관 연결구멍
48, 50, 58, 60 : 커넥터 49, 59 : 파이프 연결구멍
51, 61 : 걸림돌기 55 : 회수 헤더
56 : 회수 유로
57a, 57b : 제 1, 2 회수 배관 연결구멍
65 : 누수 센서 66 : 케이블
70 : 공급 배관 75 : 배관용 파이프
80 : 회수 배관 90 : 복사패널
95 : 프레임

Claims (11)

  1. 수용실과, 상기 수용실과 연결되는 공급 헤더 연결구멍과, 상기 공급 헤더 연결구멍과 이격되어 상기 수용실과 연결되는 회수 헤더 연결구멍과, 상기 수용실과 연결되되 상기 공급 헤더 연결구멍 및 상기 회수 헤더 연결구멍과 이격되어 배치되는 관통구멍을 갖는 함체;
    상기 함체에 결합되어 상기 수용실에 배치되고, 공급 헤더 결합면과 회수 헤더 결합면을 갖는 헤더 고정체;
    유체 공급을 위한 공급 배관을 통해 공급되는 유체를 복수의 배관용 파이프로 분배하기 위해 외면이 상기 공급 헤더 결합면에 접하도록 상기 헤더 고정체에 고정되어 상기 수용실에 배치되고, 상기 공급 헤더 연결구멍을 통해 상기 공급 배관과 연결되고, 상기 관통구멍을 통해 상기 복수의 배관용 파이프의 유입부와 연결되는 공급 헤더;
    상기 복수의 배관용 파이프에서 배출되는 유체를 모아 유체 회수를 위한 회수 배관으로 회수하기 위해 외면이 상기 회수 헤더 결합면에 접하도록 상기 헤더 고정체에 고정되어 상기 수용실에 배치되고, 상기 회수 헤더 연결구멍을 통해 상기 회수 배관과 연결되고, 상기 관통구멍을 통해 상기 복수의 배관용 파이프의 배출부와 연결되는 회수 헤더; 및
    상기 수용실로 누출되는 유체를 검출하기 위해 상기 수용실 하부에 설치되는 누수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함체는 상기 수용실의 최하부에 배치되는 바닥면과, 상기 공급 헤더의 연결부나 상기 회수 헤더의 연결부에서 떨어지는 유체를 상기 바닥면으로 가이드하기 위해 상기 바닥면 쪽으로 하향 경사지게 배치되는 가이드 경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누수 센서는 상기 함체의 바닥면에 마련되며,
    상기 헤더 고정체의 상부 및 하부에는 각각 한 쌍의 제 1 스토퍼 및 한 쌍의 제 2 스토퍼가 마련되고, 상기 공급 헤더의 측면에는 한 쌍의 제1 걸림돌기가 외측으로 돌출 구비되며, 상기 회수 헤더의 측면에는 한 쌍의 제2 걸림돌기가 외측으로 돌출 구비되고,
    상기 공급 헤더가 상기 헤더 고정체의 공급 헤더 결합면에 놓일 때 상기 한 쌍의 제 1 스토퍼는 상기 한 쌍의 제1 걸림돌기에 각각 접하여 상기 공급 헤더를 상기 공급 헤더 결합면 쪽으로 가압하고,
    상기 회수 헤더가 상기 헤더 고정체의 회수 헤더 결합면에 놓일 때 상기 한 쌍의 제 2 스토퍼는 상기 한 쌍의 제2 걸림돌기에 각각 접하여 상기 회수 헤더를 상기 회수 헤더 결합면 쪽으로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분배기 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함체는 양쪽 단부가 개방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일면을 덮기 위해 상기 하우징의 일단에 결합되는 제 1 커버와,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다른 일면을 덮기 위해 상기 하우징의 다른 일단에 결합되는 제 2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공급 헤더 연결구멍과, 상기 회수 헤더 연결구멍과, 상기 복수의 관통구멍은 상기 하우징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분배기 어셈블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커버는 상기 공급 헤더 연결구멍을 부분적으로 차폐할 수 있도록 상기 공급 헤더 연결구멍 쪽으로 돌출된 제 1 차폐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커버는 상기 회수 헤더 연결구멍을 부분적으로 차폐할 수 있도록 상기 회수 헤더 연결구멍 쪽으로 돌출된 제 2 차폐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분배기 어셈블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차폐부재는 상기 공급 헤더의 외면에 접하여 상기 공급 헤더를 상기 공급 헤더 결합면 쪽으로 가압하는 제 1 가압면을 구비하고,
    상기 제 2 차폐부재는 상기 회수 헤더의 외면에 접하여 상기 회수 헤더를 상기 회수 헤더 결합면 쪽으로 가압하는 제 2 가압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분배기 어셈블리.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커버와 상기 제 2 커버는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분배기 어셈블리.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커버와 상기 제 2 커버 중 어느 하나 이상에는 외부 구조물과의 결합을 위한 연결부재가 삽입 결합되는 연결구멍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분배기 어셈블리.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멍에 끼움 결합되어 상기 연결구멍을 막는 마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분배기 어셈블리.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구멍에 끼움 결합되어 상기 관통구멍을 막는 마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분배기 어셈블리.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130091674A 2013-08-01 2013-08-01 배관용 분배기 어셈블리 KR1015215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1674A KR101521584B1 (ko) 2013-08-01 2013-08-01 배관용 분배기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1674A KR101521584B1 (ko) 2013-08-01 2013-08-01 배관용 분배기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5805A KR20150015805A (ko) 2015-02-11
KR101521584B1 true KR101521584B1 (ko) 2015-06-01

Family

ID=525729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1674A KR101521584B1 (ko) 2013-08-01 2013-08-01 배관용 분배기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158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7511B1 (ko) * 2020-02-10 2020-11-11 (주)한국첨단시스템 누수 감지 장치
KR102186690B1 (ko) * 2020-04-01 2020-12-04 주식회사 아이엠아이시스템 다기능 온수분배기
KR102661424B1 (ko) * 2021-07-05 2024-04-26 하이리움산업(주) 누설 검출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26355B2 (ja) * 1997-04-02 2002-09-24 三洋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の冷媒分流装置
JP2003301488A (ja) * 2002-04-11 2003-10-24 Sekisui Chem Co Ltd 配管システム
KR200387305Y1 (ko) * 2005-04-06 2005-06-17 이봉효 냉,온수용 분배기박스
KR100742352B1 (ko) * 2006-11-24 2007-07-24 서원기 급수 분배기함 및 이를 이용한 급수 배관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26355B2 (ja) * 1997-04-02 2002-09-24 三洋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の冷媒分流装置
JP2003301488A (ja) * 2002-04-11 2003-10-24 Sekisui Chem Co Ltd 配管システム
KR200387305Y1 (ko) * 2005-04-06 2005-06-17 이봉효 냉,온수용 분배기박스
KR100742352B1 (ko) * 2006-11-24 2007-07-24 서원기 급수 분배기함 및 이를 이용한 급수 배관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5805A (ko) 2015-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7589B1 (ko) 냉난방용 복사패널
US9091497B2 (en) Humidifier with scale collection features
KR101521584B1 (ko) 배관용 분배기 어셈블리
JP4810290B2 (ja) 冷却パネル
JP6800339B2 (ja) 空気調和装置の室内機、空気調和装置および空気調和装置の室内機の設置方法
CN110740615A (zh) 一种机架式空调室内机
EA027467B1 (ru) Дренаж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блока рекуперации тепла
KR101518553B1 (ko) 전자동 시스템 냉풍기
WO2016127339A1 (zh) 一种适用于高热流密度应用的it机柜
KR20140128101A (ko) 냉난방용 복사패널
KR101758012B1 (ko) 전기 온수기 겸용 온풍기
CN109496106A (zh) 一种机柜液冷散热系统
KR100309710B1 (ko) 공기온돌 냉.난방 설비방법
KR102366136B1 (ko) 공기조화기
CN209819726U (zh) 加湿装置和多联式空调系统
CN106821274B (zh) 一种悬挂式组合烘鞋机
CN111623449A (zh) 空调塔机
KR101166574B1 (ko)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분배기
CN111336846B (zh) 用于壁挂炉的板式换热器和壁挂炉
CN219389986U (zh) 一种新风机
CN219083277U (zh) 三集一体除湿机
BR112019017347A2 (pt) Dispositivo de refrigeração radiante montado na parede
KR102023406B1 (ko)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JP5315387B2 (ja) 冷却パネル
KR0116116Y1 (ko) 보일러용 온수분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