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16116Y1 - 보일러용 온수분배기 - Google Patents

보일러용 온수분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16116Y1
KR0116116Y1 KR2019940030208U KR19940030208U KR0116116Y1 KR 0116116 Y1 KR0116116 Y1 KR 0116116Y1 KR 2019940030208 U KR2019940030208 U KR 2019940030208U KR 19940030208 U KR19940030208 U KR 19940030208U KR 0116116 Y1 KR0116116 Y1 KR 011611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tributor
hot water
boiler
water supply
dr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3020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8262U (ko
Inventor
장재우
강성택
Original Assignee
최훈
삼성건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훈, 삼성건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최훈
Priority to KR2019940030208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16116Y1/ko
Publication of KR96001826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826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1611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16116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0Feed-line arrangements, e.g. providing for heat-accumulator tanks, expansion tanks ; Hydraulic components of a central heating system
    • F24D3/1058Feed-line arrangements, e.g. providing for heat-accumulator tanks, expansion tanks ; Hydraulic components of a central heating system disposition of pipes and pipe connections
    • F24D3/1066Distributors for heating liquids
    • F24D3/1075Built up from modu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02Fluid distribution means
    • F24D2220/0228Branched distribution cond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02Fluid distribution means
    • F24D2220/0271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eam Or 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가정용 보일러에서 공급되는 온수를 여러개의 방으로 분배 급수하는 보일러용 온수분배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급수측 분배기와 배수측 분배기가 서로 형합될 수 있도록 동일형상으로 제작 형성되어, 이들을 서로 끼워 맞춰 조립시키면 분배기가 소형화되어 설치공간을 축소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본 고안은 보일러로부터 공급되는 온수를 공급받아 여러개의 방으로 분배 급수하는 급수측 분배기와, 상기 여러개의 방으로 유입되는 온수가 순환하면서 식어진 물을 모아서 보일러로 내보내는 배수측 분배기로 이루어지는 온수분배기에 있어서, 상기 급수측 분배기(20)와 배수측 분배기(30)가 서로 맞대어 끼워지도록 상호조립부(21)(31)가 파형으로 형성되고, 이 조립부(21)(31)의 볼록부측 저면에는 각각의 방에서 나오고 들어가는 난방(40)과 연결되는 연결관(22)(32)이 각각 하향 돌출되며, 각각의 분배기(20)(30) 일측에는 급수관(23) 및 배수관(33)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보일러용 온수분배기
제1도는 (a)(b)는 종래의 온수분배기를 나타내는 정면도 및 측면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보일러용 온수분배기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3도는 제2도에 도시된 본 고안의 분리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보일러용 온수분배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5도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온수분배기 20 : 급수측 분배기
30 : 배수측 분배기 40 : 난방관
50 : 보일러 21,31 : 조립부
22,32 : 연결관 23 : 급수관
33 : 배수관
기술분야
본 고안은 가정용 보일러에서 공급되는 온수를 여러개의 방으로 분배 급수하는 보일러용 온수분배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급수측 분배기와 배수측 분배기가 서로 형합될 수 있도록 동일형상으로 제작 형성되어, 이들을 서로 끼워 맞춰 조립시키면 분배기가 소형화되어 설치공간을 축소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고안의 배경
종래의 온수분배기는 제1도의 (a)(b)에서 보는 바왁 같이 양측 브라켓트(1)(2)사이의 상하에는 배수측 분배기(3)와 급수측 분배기(4)가 각각 설치되어, 하측 급수측 분배기(4)를 통해 보일러에서 공급되는 온수를 공급받아 여러개의 방으로 온수를 공급시켜 난방을 하고, 난방용 배관을 순환하는 과정에서 식어진 물은 상측 배수측 분배기(3)를 통해 보일러로 유입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온수분배기는 배수측 분배기(3) 하측에 설치되어 있는 다수개의 잠금밸브(5)를 조작시킬 수 있도록 온수분배기의 배수측 분배기(3)와 급수측 분배기(4) 사이를 일정간격(L)만큼 이격시킨 상태로 설치하였기 때문에 온수분배기의 부피가 커지게 되었다.
상기와 같이 온수분배기가 커짐에 따라 온수분배기의 설치면적을 많이 차지하게 되어 공간활용이 어려운 문제와, 온수분배기의 설치작업시 상하에 배수측 분배기(3)와 배수측 분배기(4)가 각각 일정간격(L)으로 이격 설치되어 있더라도 배수측 분배기(3)하측에 하향 설치되어 있는 잠금밸브(5)와 여러개의 방에서 나오게 되는 난방관들과의 연결작업이 매우 어렵고 불편한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이 배수측 분배기(3)와 급수측 분배기(4) 사이의 좁은 공간에서 배관작업이 어렵게 이루어지게 되므로 연결작업에서 불량발생률이 높아지게 되는 심각한 문제점을 지니고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모든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급수측 분배기와 배수측 분배기를 끼워 맞춤식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급수측 분배기와 배수측 분배기를 동일형상으로 제작 형성하여 온수분배기를 소형화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급수측 분배기와 배수측 분배기가 종일수평선상에서 형합되어 여러개의 방에서 나오고 들어가는 난방관들과 급수측 분배기 및 배수측 분배기들과 연결부와의 연결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온수분배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고안의 요약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보일러용 온수분배기는, 보일러로부터 공급되는 온수를 공급받아 여러개의 방으로 분배 급수하는 급수측 분배기와, 상기 여러개의 방으로 유입되는 온수가 순환하는 과정에서 식어진 물을 모아서 보일러로 내보내는 배수측 분배기로 이루어지는 온수분배기에 있어서, 상기 급수측 분배기와 배수측 분배기가 서로 맞대어 끼워지도록 상호 조립부가 파형으로 형성되고, 이 조립부중 각각의 블록부측 저면에는 각각의 방에서 나오고 들어가는 난방관들과 연결되는 연결관이 하향 돌출되며, 급수측 분배기와 배수측 분배기의 일측에는 급수관 및 배수관이 각각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온수분배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고안의 구체적 실시예에 대한 설명
제2도 및 제3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분리사시도이고, 제4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저면사시도로서 조립부의 사각기어형상이고 분배기전체형상이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제5도에서는 본 고안에 의한 온수분배기의 설치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용상태도이다.
먼저, 제2도 및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온수분배기(10)는 보일러로부터 온수를 공급받아 여러개의 방으로 분배 급수하는 급수측 분배기(20)와, 급수측 분배기(20)로부터 여러개의 방으로 공급된 온수가 순환하면서 식어진 물을 모아서 보일러로 보내는 분배기(30)로 이루어진다.
상기 각각의 분배기(20)(30)는 상호 맞대어 끼워줄 수 있도록 동일형상으로 형성되며, 맞대어 조립되는 각각의 조립부(21)(31)가 오목부와 볼록부가 등간격으로 배열형성된 형태로서 일실시예에 의한 온수분배기(10)에서는 상기 조립부(21)(31)가 파형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각각 조립부(21)(31)의 볼록부 저면에는 여러개의 나오고 들어가는 난방관(40)의 입구(41) 및 출구(42)와 연결관(22)(32)이 각각 하향 연결되고, 각각의 분배기(20)(30) 일측에는 급수관(23) 및 배수관(33)이 연결되어 있다.
상기 급수관(23)은 보일러(50)로부터 온수를 공급받도록 공급관측과 연결되고, 배수관(33)은 난방을 하고 난 식어진 물이 회수되도록 보일러의 회수관측과 연결된다.
상기 제2도 및 제3도에 도시된 일실시예에 의한 온수분배기(10)의 조립부의 형상이 파형으로 형성되어 유체의 흐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며, 제4도에 도시된 다른 실시예에 의한 온수분배기(10a)는 조립부의 형상이 사각기어(랙크기어) 형태로 형성된 것으로 일실시예에 의한 온수분배기와 기술사상과 그 구조가 동일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2도 내지 제5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보일러(50)에서 공급되는 온수가 보일러(50)의 공급관과 연결된 온수분배기910)의 급수관(23)을 통해 급수측 분배기(20)내로 유입된다.
이렇게 유입된 온수는 여러개의 방으로 공급되는 난방관입구(41)를 통해 방바닥에 배설된 난방관으로 유입되면서 실내공간을 난방하게 되며, 이렇게 난방을 하는 온수는 보일러내의 펌프에 입력으로 관로내를 순환하면서 난방을 하게 되고 이렇게 순환하는 과정에서 상기 온수는 식으면서 난방관출구(42)를 통해 배수측 분배기(30)로 모아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배수측 분배기(30)에 모여진 물은 보일러(50)의 회수관과 연결된 배수측 분배기(30) 일측의 배수관(33)을 통해 보일러(50)로 회수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온수분배기(10)를 설치할 경우에는 제3도에서와 같이 각각의 분배기(20)(30)의 조립부(21)(31)가 서로 형합되도록 조립시키면, 각각의 분배기(20)(30)의 형상이 동일하여 끼워 맞춤식으로 조립이 이루어진다. 이렇게 각각의 분배기(20)(30)가 맞물림식으로 조립되면, 제2도 및 제5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급수측 분배기(20)와 배수측 분배기(30)는 동일수평선상에 위치하게 되어, 각각의 분배기(20)(30) 하측의 연결관(22)(32)과, 여러개의 방에서 나오고 들어가는 난방관의 입구(41) 및 출구(42)와의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특히, 상호형상이 동일하게 형성된 급수측 분배구(20)와 배수측 분배기(30)가 맞물림식으로 형합되어 있어 온수분배기(10)의 크기가 대폭 축소되고, 그에 따라 설치면적 또한 축소되어 공간활용이 용이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고안은 급수측 분배기와 배수측 분배기로 이루어지는 온수분배기를 서로 맞물림식으로 끼워 설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종래에 상하로 일정간격을 이격시켜 설피하던 온수분배기에 비해 크기가 대폭 축소되는 장점과, 온수분배기가 소형화됨에 따라 공간활용이 용이한 장점, 그리고 급수측 분배기와 배수측 분배기가 동일수평선상에 설치되어 배관작업을 편안한 자세에서 용이하게 간편하게 실시할 수 있어 불량발생요인을 제거하는 등의 효과가 있다.
또한, 난방관(파이프)의 연결방향에 따라 온수분배기를 수평,수직으로 다양하게 설치가 가능한 장점을 아울러 지니고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2)

  1. 보일러로부터 공급되는 온수를 공급받아 여러개의 방으로 분배 급수하는 급수측 분배기와, 상기 여러개의 방으로 유입되는 온수가 순환하면서 식어진 물을 모아서 보일러로 내보내는 배수측 분배기로 이루어지는 온수분배기에 있어서, 상기 급수측 분배기(20)와 배수측 분배기(30)가 서로 맞대어 끼워지도록 상호 조립부(21)(31)가 파형으로 형성되고, 이 조립부(21)(31)의 볼록부측 저면에는 각각의 방에서 나오고 들어가는 난방(40)과 연결되는 연결관(22)(32)이 각각 하향 돌출되며, 각각의 분배기(20)(30) 일측에는 급수관(23) 및 배수관(33)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용 온수분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부의 형상이 사각기어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용 온수분배기.
KR2019940030208U 1994-11-15 1994-11-15 보일러용 온수분배기 KR011611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30208U KR0116116Y1 (ko) 1994-11-15 1994-11-15 보일러용 온수분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30208U KR0116116Y1 (ko) 1994-11-15 1994-11-15 보일러용 온수분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8262U KR960018262U (ko) 1996-06-19
KR0116116Y1 true KR0116116Y1 (ko) 1998-04-18

Family

ID=193981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30208U KR0116116Y1 (ko) 1994-11-15 1994-11-15 보일러용 온수분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1611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5181B1 (ko) * 2006-10-23 2009-04-24 김운철 소형 전기 보일러의 난방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5181B1 (ko) * 2006-10-23 2009-04-24 김운철 소형 전기 보일러의 난방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8262U (ko) 1996-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880231A (en) Heat-exchanger and method for its utilization
CN208638880U (zh) 机组模块及其机房空调
GB2342146A (en) Heat exchanger
KR0116116Y1 (ko) 보일러용 온수분배기
EP0647818B1 (de) Dezentralisiertes Heizungssystem in Strömungs-Bustechnik
KR102029825B1 (ko) 열교환기가 구비되는 지역난방용 배관모듈
US10876795B2 (en) Heat exchanger and heat source device
KR200309587Y1 (ko) 폐열회수용 열교환장치
KR100651642B1 (ko) 열병합 발전을 이용한 가정용 보일러의 4유체 판형열교환기의 시스템
US3986666A (en) Distributor for hot water heating systems
WO2019081994A1 (en) COMPRISING THERMOREGULATION UNIT OF THE "HIU" TYPE
US1832147A (en) Heat exchange device
CN217057731U (zh) 分集液器模块、空调室内机和空调机组
KR100512297B1 (ko) 수관식 증기 및 급탕 보일러
CN100374807C (zh) 热交换器
CN216147840U (zh) 净饮机及其转接结构
CN212082085U (zh) 换热器
CN218455415U (zh) 一种不受水量影响且带自清洁功能的冷却塔布水器
KR20020028169A (ko) 폐수열 회수 시스템의 열교환기 구조
CN217490795U (zh) 一种双层蒸发器
EP0675312A1 (en) Double distribution manifold for water heater plants of a standardised type
KR19990079615A (ko) 조립식 온돌판넬
CN208413848U (zh) 一种臭氧冷却专用冷却水系统
CN212320483U (zh) 一种热交换机
KR200231756Y1 (ko) 온수 분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107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