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5952B1 - 난방용 온수마루 - Google Patents

난방용 온수마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5952B1
KR101925952B1 KR1020170088176A KR20170088176A KR101925952B1 KR 101925952 B1 KR101925952 B1 KR 101925952B1 KR 1020170088176 A KR1020170088176 A KR 1020170088176A KR 20170088176 A KR20170088176 A KR 20170088176A KR 101925952 B1 KR101925952 B1 KR 1019259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or
hot water
cap member
heating
flow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81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란
Original Assignee
김정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란 filed Critical 김정란
Priority to KR10201700881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59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59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59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2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 F24D3/14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incorporated in a ceiling, wall or floor
    • F24D3/141Tube mounting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F24D3/142Tube mountings specially adapted therefor integrated in prefab construction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9/00Other details of constructional par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19/02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 E04F19/04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for use between floor or ceiling and wall, e.g. skirt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3/00Electric heating systems
    • F24D13/02Electric heating systems solely using resistance heating, e.g. underfloor heating
    • F24D13/022Electric heating systems solely using resistance heating, e.g. underfloor heating resistances incorporated in construction elements
    • F24D13/024Electric heating systems solely using resistance heating, e.g. underfloor heating resistances incorporated in construction elements in walls, floors, ceil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2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 F24D3/122Details
    • F24D3/125Hydraulic pipe conne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2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 F24D3/122Details
    • F24D3/127Mechanical connections between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2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ccommodating service installations or utility lines, e.g. heating conduits, electrical lines, lighting devices or service outlets
    • E04F2290/023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ccommodating service installations or utility lines, e.g. heating conduits, electrical lines, lighting devices or service outlets for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00/00Heat sources or energy sources
    • F24D2200/08Electric he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20Heat consumers
    • F24D2220/2081Floor or wall heating pane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 Steam Or 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로연결관을 연질호스를 구성하여 유로의 연결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탄소분말 또는 탄소섬유로 구성되는 전열부재를 설치하여 열의 전도효율이 향상된 난방용 온수마루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난방용 온수마루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다수의 온수유로가 서로 구획되는 상태로 형성되고 다수개가 이웃하여 배치되는 복수의 마루부재와, 마루부재의 한쪽 끝부분에 결합되고 다수의 온수유로를 서로 연통되는 상태로 연결하는 연통홈이 형성되고 저면에는 한쌍의 연결구가 설치되는 제1캡부재와, 마루부재의 반대쪽 끝부분에 결합되고 다수의 온수유로를 서로 연통되는 상태로 연결하는 연통홈이 형성되는 제2캡부재와, 이웃하여 위치하는 제1캡부재의 연결구에 양쪽 끝부분이 각각 결합되는 유로연결관과, 마루부재의 저면에 설치되는 단열판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난방용 온수마루 {Hot Water Floor for Heating}
본 발명은 난방용 온수마루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유로의 연결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열의 전도효율이 향상된 난방용 온수마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 바닥의 난방을 위해서 온수파이프를 배열하여 콘크리트몰탈로 매립하는 방식과, 마루 내부에 온수 유로를 형성하여 조립하는 방식 등을 사용하고 있다.
콘크리트몰탈을 사용하는 방식의 경우에는 철거 및 보수 작업에 어려움이 많고, 설치시에 콘크리트 양생까지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는 문제가 있다.
최근에는 내부에 온수 유로가 형성되는 온수마루를 조립하는 방식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02634호, 제10-1438490호, 제10-1296606호, 제10-1164871호, 제10-1039317호, 제10-0712826호, 제10-0664463호,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41085호, 제10-2014-0090490호, 제10-2013-0133953호, 제10-2011-0119293호 등에는 다양한 온수마루에 대한 기술이 공개되어 있다.
종래 온수마루의 경우 유로의 연결 작업이 복잡하게 이루어지고, 마루의 재질에 따라 열의 전도 효율이 저하된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에 조감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유로연결관을 연질호스를 구성하여 유로의 연결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탄소분말 또는 탄소섬유로 구성되는 전열부재를 설치하여 열의 전도효율이 향상된 난방용 온수마루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난방용 온수마루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다수의 온수유로가 서로 구획되는 상태로 형성되고 다수개가 이웃하여 배치되는 복수의 마루부재와, 상기 마루부재의 한쪽 끝부분에 결합되고 다수의 온수유로를 서로 연통되는 상태로 연결하는 연통홈이 형성되고 저면에는 한쌍의 연결구가 설치되는 제1캡부재와, 상기 마루부재의 반대쪽 끝부분에 결합되고 다수의 온수유로를 서로 연통되는 상태로 연결하는 연통홈이 형성되는 제2캡부재와, 이웃하여 위치하는 상기 제1캡부재의 연결구에 양쪽 끝부분이 각각 결합되는 유로연결관과, 상기 마루부재의 저면에 설치되는 단열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마루부재의 상면부분에는 탄소분말 또는 탄소섬유로 이루어지는 전열부재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마루부재의 끝단과 건물의 벽체 사이에 설치되는 "T"형상의 걸레받이와, 상기 걸레받이의 건물의 바닥쪽 부위에 한쪽 끝부분이 결합되고 상기 마루부재의 저면과 건물의 바닥면 사이에 설치되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1캡부재에는 연통홈을 2부분으로 나누도록 구획판이 설치되고, 한쌍의 상기 연결구는 2부분으로 나뉘는 연통홈의 양쪽에 각각 배치되어 설치한다.
상기 제1캡부재 및 제2캡부재에는 조립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마루부재에는 상기 조립돌기가 삽입되는 조립홈이 형성된다.
상기 유로연결관은 실리콘이나 연질 합성수지 재질의 연질호스로 형성한다.
상기 유로연결관은 "ㄷ"형상으로 형성하고, 이웃하여 위치하는 상기 제1캡부재의 양쪽 연결구에 양쪽 끝부분이 각각 결합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단열판은 스티로폼 등을 이용하여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고, 다양한 색상을 갖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난방용 온수마루에 의하면, 연질호스로 형성되는 유로연결관을 이용하여 제1캡부재의 유로를 서로 연결하므로, 연결하는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연결구조가 간단하게 구성되어 제작이 용이하고 원가를 절감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난방용 온수마루에 의하면, 탄소분말 또는 탄소섬유로 이루어지는 전열부재를 상기 마루부재의 상면부분에 설치하므로, 열의 전도효율을 크게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난방용 온수마루에 의하면,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걸레받이를 설치하므로, 걸레받이의 설치 및 고정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며, 미려하고 견고하게 걸레받이를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난방용 온수마루에 의하면, 마루부재의 저면에 단열판을 설치하므로, 건물의 바닥면으로의 열전달을 차단하는 단열효과와 소음의 전달을 차단하는 층간소음 방지효과을 얻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난방용 온수마루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난방용 온수마루에 있어서, 제1캡부재와 유로연결관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난방용 온수마루에 있어서, 제2캡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난방용 온수마루에 있어서, 마루부재의 일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난방용 온수마루에 있어서, 마루부재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난방용 온수마루에 있어서, 걸레받이와 고정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난방용 온수마루에 있어서, 걸레받이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난방용 온수마루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가지 다양한 형태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본 발명과 밀접한 관계가 없는 부분은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였으며, 발명의 설명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고, 반복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난방용 온수마루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의 마루부재(10)와, 제1캡부재(20)와, 제2캡부재(30)와, 유로연결관(40)과, 단열판(5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마루부재(10)에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다수의 온수유로(12)가 서로 구획되는 상태로 형성된다.
상기 마루부재(10)는 다수개가 이웃하여 배치된다.
그리고,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마루부재(10)의 양쪽 모서리쪽에는 이음홈(14)을 형성하고, 이웃하여 위치하는 마루부재(10)의 이음홈(14) 사이에 "U"형상의 이음구(80)를 삽입 설치하여 복수의 마루부재(10)를 일체로 조립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마루부재(10)의 한쪽 끝부분에는 제1캡부재(20)가 결합되고, 반대쪽 끝부분에는 제2캡부재(30)가 결합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1캡부재(20)에는 상기 마루부재(10)에 형성되는 다수의 온수유로(12)를 서로 연통되는 상태로 연결하는 연통홈(22)이 형성된다.
상기 제1캡부재(20)의 저면에는 한쌍의 연결구(28)가 설치된다.
상기 제1캡부재(20)에는 연통홈(22)을 2부분으로 나누도록 구획판(21)이 설치되고, 한쌍의 상기 연결구(28)는 2부분으로 나뉘는 연통홈(22)의 양쪽에 각각 배치되어 설치한다.
상기 제1캡부재(20)의 저면에는 상기 연결구(28)와 연결되는 연결구멍(29)이 형성된다.
상기에서 연결구(28)와 구획판(21)은 상기 제1캡부재(20)에 일체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별개의 부품으로 형성하여 조립되는 구조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유로연결관(40)은 이웃하여 위치하는 상기 제1캡부재(20)의 연결구(28)에 양쪽 끝부분을 각각 결합하여 설치한다.
상기 유로연결관(40)은 실리콘이나 연질 합성수지 재질의 연질호스로 형성한다.
상기 유로연결관(40)은 "ㄷ"형상으로 형성하고, 이웃하여 위치하는 상기 제1캡부재의 양쪽 연결구에 양쪽 끝부분이 각각 결합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유로연결관(40)은 상기 연결구(28)에 삽입한 다음, 원터치방식의 호스클램프(50)를 사용하여 강고하게 고정 설치한다.
상기 연결구(28)의 외주면에는 상기 유로연결관(40)과의 밀착도 및 기밀성을 높이도록 둘레를 따라 복수의 돌기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유로연결관(40)을 실리콘이나 연질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하므로, 유로연결관(40)이 부드러워 연결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수축과 팽창이 가능하여 동파에 비교적 강하고, 동결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크랙의 발생이 최소화된다.
그리고, "ㄷ"형상으로 유로연결관(40)을 형성하여 설치하므로, 유속이 빠르게 이루어진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2캡부재(30)에는 상기 마루부재(10)에 형성되는 다수의 온수유로(12)를 서로 연통되는 상태로 연결하는 연통홈(32)이 형성된다.
도 2 내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1캡부재(20) 및 제2캡부재(30)에는 조립돌기(26), (36)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마루부재(10)에는 상기 조립돌기(26), (36)가 삽입되는 조립홈(16)이 형성된다.
상기 조립돌기(26), (36)와 조립홈(16)은 쉽게 분해되지 않도록 억지끼워맞춤이 이루어지는 치수로 설정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제1캡부재(20)와 제2캡부재(30)를 마루부재(10)의 양쪽 끝단에 조립한 다음, 실리콘이나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맞닿은 부위를 밀봉 처리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단열판(54)은 상기 마루부재(10)의 저면에 설치된다.
상기 단열판(54)은 스티로폼, 아이소핑크, 층간소음방지 매트 등을을 이용하여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고, 다양한 색상을 갖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마루부재(10)의 양쪽 끝단쪽 저면에는 상기 단열판(54)과 같은 높이로 단열막대(52)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단열막대(52)는 단열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중공형상의 파이프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단열막대(52)를 설치하면, 스티로폼, 아이소핑크, 층간소음방지 매트 등을으로 이루어지는 단열판(54)이 파손되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단열막대(52)와 단열판(54)을 설치하면, 상기 마루부재(10)의 열이 건물의 바닥쪽으로 방출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고, 온수가 상기 온수유로(12)의 내부를 흐르는 소음을 차단하여 층간소음의 발생을 최소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마루부재(10)의 상면에는 탄소분말로 이루어지는 전열부재(92)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전열부재(92)는 상기 마루부재(10)의 상면에 탄소분말로 코팅처리하여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마루부재(10)의 상면 부분에는 탄소섬유로 이루어지는 전열부재(94)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전열부재(92), (94)는 상기 마루부재(10)를 형성하는 성분에 탄소분말 또는 탄소섬유를 일정 비율로 혼합하여 고르게 교반한 다음, 핫프레스(hot press)를 이용하여 성형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의 표 1에는 탄소섬유의 함량 변화에 따른 열전도도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다.
구분 탄소섬유 함량(wt%) 열전도도(W/mK)
마루부재 0 0.210
측정용 샘플1 0.5 0.215
측정용 샘플2 1.0 0.225
측정용 샘플3 2.0 0.263
측정용 샘플4 5.0 0.335
상기 표 1의 측정용 샘플에는 T700급, 12K, 세절길이 1인치, 섬유길이 약 100㎛인 탄소섬유를 사용하고, 마루부재(10)의 원료 AR-Resin에 탄소섬유를 각각 0.5wT%, 1.0, 2.0, 5.0를 혼합하여 30분 정도 고르게 교반하고, 핫프레스를 이용하여 성형하고, 성형된 샘플은 가로 2cm*세로 2cm*높이 0.2cm의 크기로 절단하여 사용한다.
상기에서 열전도도는 상온(298K) 조건에서 핫디스크(hot disk) 방법을 사용하여 수평열전도도를 측정하였다.
상기 표 1로부터 탄소섬유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열전도도가 향상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탄소분말 또는 탄소섬유로 이루어지는 상기 전열부재(92), (94)를 상기 마루부재(10)의 상면 부분에 설치하면, 열전도도가 크게 향상되고, 열효율이 높은 온수마루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난방용 온수마루는 상기 마루부재(10)의 끝단과 건물의 벽체 사이에 설치되고, 벽면을 향하는 "T"형상이고, 건물의 바닥쪽 부위 방향으로는 양 갈래로 갈라져 결합돌기가 삽입되는 결합홈을 형성하는 걸레받이(60)와, 상기 걸레받이(60)의 양 갈래로 갈라진 부분에 역 "ㄴ"자 형의 한쪽 끝부분이 수직으로 세워진 쐐기형상의 결합돌기로 상기 결합홈과 결합되고 상기 마루부재(10)의 저면과 건물의 바닥면 사이에 설치되는 고정부재(70)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부재(70)의 건물의 벽면쪽 끝부분에는 수직으로 세워져 결합돌기(74)가 형성되고, 상기 걸레받이(60)의 건물의 바닥쪽 부분에는 상기 결합돌기(74)가 삽입되는 결합홈(64)을 형성한다.
상기 결합돌기(74)는 결합된 다음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쐐기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걸레받이(60)와 고정부재(70)에 의하여 형성되는 대략 "ㄷ"형상의 홈에 상기 마루부재(10)와 단열판(54)이 삽입되는 상태로 설치가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걸레받이(60)를 구성하여 설치하면, 마루부재(10)와 맞는 미려한 문양으로 시공하는 것도 가능하고, 매우 견고한 상태로 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난방용 온수마루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와 발명의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 - 마루부재, 12 - 온수유로, 14 - 이음홈, 16 - 조립홈, 20 - 제1캡부재
21 - 구획판, 22 - 연통홈, 26 - 조립돌기, 28 - 연결구, 29 - 연결구멍
30 - 제2캡부재, 32 - 연통홈, 36 - 조립돌기, 40 - 유로연결관
50 - 호스클램프, 52 - 단열막대, 54 - 단열판, 60 - 걸레받이, 64 - 결합홈
70 - 고정부재, 74 - 결합돌기, 80 - 이음구, 92,94 - 전열부재

Claims (7)

  1. 길이방향으로 길게 다수의 온수유로가 서로 구획되는 상태로 형성되고 다수개가 이웃하여 배치되는 복수의 마루부재와,
    상기 마루부재의 한쪽 끝부분에 결합되고 다수의 온수유로를 서로 연통되는 상태로 연결하는 연통홈이 형성되고 저면에는 한쌍의 연결구가 설치되는 제1캡부재와,
    상기 마루부재의 반대쪽 끝부분에 결합되고 다수의 온수유로를 서로 연통되는 상태로 연결하는 연통홈이 형성되는 제2캡부재와,
    이웃하여 위치하는 상기 제1캡부재의 연결구에 양쪽 끝부분이 각각 결합되는 유로연결관과,
    상기 마루부재의 저면에 설치되는 단열판과,
    상기 마루부재의 끝단과 건물의 벽체 사이에 설치되고, 벽면을 향하는 "T"형상이고, 건물의 바닥쪽 부위 방향으로는 양 갈래로 갈라져 결합돌기가 삽입되는 결합홈을 형성하는 걸레받이와, 상기 걸레받이의 양 갈래로 갈라진 부분에 역 "ㄴ"자 형의 한쪽 끝부분이 수직으로 세워진 쐐기형상의 결합돌기로 상기 결합홈과 결합되고 상기 마루부재의 저면과 건물의 바닥면 사이에 설치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난방용 온수마루.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마루부재의 상면부분에는 탄소분말 또는 탄소섬유로 이루어지는 전열부재를 설치하는 난방용 온수마루.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캡부재에는 연통홈을 2부분으로 나누도록 구획판이 설치되고, 한쌍의 상기 연결구는 2부분으로 나뉘는 연통홈의 양쪽에 각각 배치되어 설치하는 난방용 온수마루.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캡부재 및 제2캡부재에는 조립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마루부재에는 상기 조립돌기가 삽입되는 조립홈이 형성되는 난방용 온수마루.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로연결관은 실리콘이나 연질 합성수지 재질의 연질호스로 형성하고,
    상기 유로연결관은 "ㄷ"형상으로 형성하고, 이웃하여 위치하는 상기 제1캡부재의 양쪽 연결구에 양쪽 끝부분이 각각 결합되도록 구성하는 난방용 온수마루.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열판은 스티로폼, 아이소핑크, 층간소음방지 매트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구성하는 난방용 온수마루.
KR1020170088176A 2017-07-12 2017-07-12 난방용 온수마루 KR1019259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8176A KR101925952B1 (ko) 2017-07-12 2017-07-12 난방용 온수마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8176A KR101925952B1 (ko) 2017-07-12 2017-07-12 난방용 온수마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5952B1 true KR101925952B1 (ko) 2018-12-06

Family

ID=646715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8176A KR101925952B1 (ko) 2017-07-12 2017-07-12 난방용 온수마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595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4390A (ko) 2019-04-24 2020-11-03 박용범 난방용 온수마루
WO2021037888A1 (en) 2019-08-29 2021-03-04 Hazendonk Techniek B.V. Modular floor heating system
CN112484132A (zh) * 2019-09-12 2021-03-12 李祖州 一种铝发热地暖
KR20210037151A (ko) 2019-09-27 2021-04-06 김정란 난방용 온수마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98009A (ja) * 2002-12-17 2004-07-15 Ehimeken Shinrin Kumiai Rengokai 床暖房用パネル及び床暖房構造
JP2009264075A (ja) * 2008-04-30 2009-11-12 Osaka Gas Co Ltd 床暖房装置の床構造
KR101702634B1 (ko) * 2015-08-19 2017-02-03 (주)마루누어 온수마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98009A (ja) * 2002-12-17 2004-07-15 Ehimeken Shinrin Kumiai Rengokai 床暖房用パネル及び床暖房構造
JP2009264075A (ja) * 2008-04-30 2009-11-12 Osaka Gas Co Ltd 床暖房装置の床構造
KR101702634B1 (ko) * 2015-08-19 2017-02-03 (주)마루누어 온수마루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4390A (ko) 2019-04-24 2020-11-03 박용범 난방용 온수마루
WO2021037888A1 (en) 2019-08-29 2021-03-04 Hazendonk Techniek B.V. Modular floor heating system
NL2023726B1 (en) * 2019-08-29 2021-05-11 Hazendonk Techniek B V Modular floor heating system
CN112484132A (zh) * 2019-09-12 2021-03-12 李祖州 一种铝发热地暖
KR20210037151A (ko) 2019-09-27 2021-04-06 김정란 난방용 온수마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5952B1 (ko) 난방용 온수마루
KR102019258B1 (ko) 난방용 온수마루
US9938719B2 (en) Structural insulated panels with hidden dovetail joints
KR101432668B1 (ko) 스테인리스 단열 창호 프레임
KR101877200B1 (ko) 단열성이 향상된 창호 프레임
KR100698848B1 (ko) 바닥패널
KR101296606B1 (ko) 바닥 난방용 온수 순환마루
CN218205041U (zh) 一种装配式保温墙板
KR101477214B1 (ko) 수평조절받침대를 이용한 조립식 단위벽체틀 및 이의 시공방법
KR100455607B1 (ko) 난방을 위한 조립식 바닥재
CN109881863B (zh) 一种操房用自发热式地板及其铺设方法
KR100423008B1 (ko) 난방을 위한 조립식 바닥재
KR200152632Y1 (ko) 난방파이프 배관용 바닥판넬
CN207974408U (zh) 整体阳角
KR20080039220A (ko) 바닥재 보드
KR200259077Y1 (ko) 건축바닥용 흡음판
CN216195584U (zh) 一种装配式绿色节能硅藻复合保温板
KR102467271B1 (ko) 조립식 난방용 바닥재
KR101702634B1 (ko) 온수마루
KR101170414B1 (ko) 개량형 히트파이프를 이용한 열 전달매체용 분배 공급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온돌장치
KR20020060915A (ko) 난방배관용 방음 판넬
KR200398407Y1 (ko) 바닥패널
KR200373630Y1 (ko) 발포폴리스티렌을 이용한 건축물바닥재
CN112962900A (zh) 大型单元装配式夹芯装饰板
JPH10152900A (ja) ジョイント部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