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7410B1 - 건축용 패널 - Google Patents

건축용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7410B1
KR101117410B1 KR1020100010223A KR20100010223A KR101117410B1 KR 101117410 B1 KR101117410 B1 KR 101117410B1 KR 1020100010223 A KR1020100010223 A KR 1020100010223A KR 20100010223 A KR20100010223 A KR 20100010223A KR 101117410 B1 KR101117410 B1 KR 1011174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pipe
reinforcing plate
connection
female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02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90449A (ko
Inventor
박성덕
박현준
Original Assignee
박현준
박성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현준, 박성덕 filed Critical 박현준
Priority to KR10201000102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7410B1/ko
Priority to RU2012133519/03A priority patent/RU2507348C1/ru
Priority to BR112012019491A priority patent/BR112012019491A2/pt
Priority to US13/575,049 priority patent/US20120291375A1/en
Priority to PCT/KR2010/008221 priority patent/WO2011096635A2/ko
Publication of KR201100904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04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74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74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61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slab-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each other
    • E04B1/610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slab-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each other the frontal surfaces of the slabs connected together
    • E04B1/612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slab-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each other the frontal surfaces of the slabs connected together by means between frontal surfaces
    • E04B1/6125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slab-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each other the frontal surfaces of the slabs connected together by means between frontal surfaces with protrusions on the one frontal surface co-operating with recesses in the other frontal surface
    • E04B1/6129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slab-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each other the frontal surfaces of the slabs connected together by means between frontal surfaces with protrusions on the one frontal surface co-operating with recesses in the other frontal surface the connection made by expans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1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of wood, fibres, chips, vegetable stems, or the like; of plastics; of foamed products
    • E04C2/2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of wood, fibres, chips, vegetable stems, or the like; of plastics; of foamed products of plastic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3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 E04C2/3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composed of two or more spaced sheet-like parts
    • E04C2/3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composed of two or more spaced sheet-like parts spaced apart by transversely-placed strip material, e.g. honeycomb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54Slab-like translucent elements
    • E04C2/543Hollow multi-walled panels with integrated web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inishing Walls (AREA)
  • Bulkheads Adapted To Foundation Construction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 Panels For Use In Building Construction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Roof Covering Using Slabs Or Stiff She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용 패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자세하게는 복수 개의 패널을 연결할 경우, 씰링부재에 의해 패널 연결부와 보강판 사이의 방수효과가 우수한 건축용 패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Description

건축용 패널{A Panel for building}
본 발명은 건축용 패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복수 개의 패널을 연결할 경우, 씰링부재에 의해 패널 연결부와 보강판 사이의 방수효과가 우수한 건축용 패널에 관한 것이다.
건축용 패널은 복수 개의 패널을 서로 연접하게 설치하며, 연결부에는 보강판이 설치되는데, 각각의 패널의 연결을 용이하게 하도록 패널의 양측에는 각각 파이프와 같은 삽입관과, 이러한 삽입관이 용이하게 끼워지도록 절개부가 형성되는 파이프가 각각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삽입관과 상기 삽입관이 용이하게 끼워지도록 절개부가 형성된 파이프가 서로 결합하는 부분에는 보강판을 설치하여, 복수 개의 패널들의 결합강도를 보강한다.
본 출원인의 등록번호 20-0344628호에 의하면, 복수 개의 패널을 서로 연접하여 설치되고, 패널이 연결된 부분에 보강판이 용이하게 결합되는 구조를 갖는 건축용 패널을 제안한 바 있으며, 이에 의해, 패널들이 어떠한 각도로 경사지게 연결되더라도 패널 사이의 연결부와 보강판을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패널이 연결된 부분에 형성되는 걸림돌조와 상기 걸림돌조에 체결하는 보강판의 내향절곡부에 의해 건축용 패널을 용이하게 시공하는 장점이 있었다.
그러나, 건축용 패널이 시공된 장소가 실외인 경우에는 패널 사이의 연결부와 이러한 연결부에 결합하는 보강판 사이에 존재하는 틈에 빗물이나 기타 유체에 의한 침투가 발생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20-0344628호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패널 사이의 연결부와 이러한 연결부에 결합하는 보강판 사이의 틈에 빗물이나 기타 유체에의 침투를 방지할 수 있는 등 우수한 방수효과가 있는 건축용 패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건축용 패널은,
패널;
상기 패널의 일측에 위치하는 제1파이프;
상기 패널의 일측과 상기 제1파이프를 연결하는 제1연결부;
상기 패널의 타측에 위치하고 절개부가 형성된 제2파이프;
상기 패널의 타측과 상기 제2파이프를 연결하는 제2연결부;
상기 제1파이프와 상기 제2파이프를 연결하는 경우, 상기 제1연결부 및 상기 제2연결부에 결합하는 보강판을 포함하되;
상기 제1연결부 및 상기 제2연결부와 상기 보강판은 암결합부 및 수결합부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암결합부는 상기 제1연결부 및 제2연결부 또는 상기 보강판 중의 어는 하나에 형성되고, 상기 수결합부는 나머지 하나에 형성되며, 상기 암결합부에는 씰링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패널은,
패널;
상기 패널의 일측에 위치하는 제1파이프;
상기 패널의 일측과 상기 제1파이프를 연결하는 제1연결부;
상기 패널의 타측에 위치하고 절개부가 형성된 제2파이프;
상기 패널의 타측과 상기 제2파이프를 연결하는 제2연결부;
상기 제1연결부 및 제2연결부에는 씰링부재가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홈이 구성된 암결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보강판은,
제1패널의 일측과 제2패널의 타측을 연결하는 경우 상기 제1패널 및 상기 제2패널에 결합하여 연결부를 보강하는 보강판에 있어서, 상기 보강판의 양측에는 씰링부재가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홈이 구성된 암결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건축용 패널은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1) 씰링부재가 설치된 보강판 또는 패널을 사용함으로써, 패널 간의 연결부와 보강판 사이에 빗물과 같은 유체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2) 또한, 방수효과가 우수하므로, 본 발명에 의한 건축용 패널과 보강판을 이용하여, 액체저장용 탱크/용기의 설치도 가능하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건축용 패널의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a는 본 발명에 의한 건축용 패널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2b는 본 발명에 의한 건축용 패널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패널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패널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5a는 본 발명에 의한 보강판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분리 단면도.
도 5b는 본 발명에 의한 보강판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분리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보강판의 확대 단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건축용 패널의 바람직한 실시례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건축용 패널(1)의 전체적인 형상에 대해서 자세하게 설명한다.
패널(10)에는 두개의 판재(11) 사이에 다수 개의 보강대(12)가 수직으로 설치된다.
상기 판재(11) 사이에 설치된 다수 개의 보강대(12)에 의해 역시 다수 개의 중공부(13)가 형성된다.
상기 패널의 일측(20)에는 제1파이프(30)가 위치한다.
한편, 상기 패널의 일측(20)과 상기 제1파이프(30)를 연결하기 위한 제1연결부(40)가 형성되며, 상기 제1연결부(40)에는 암결합부 또는 수결합부가 형성된다.
상기 제1연결부(40)에 형성되는 암결합부 또는 수결합부는 후술하기로 한다.
마찬가지로 상기 패널의 타측(25)에는 제2파이프(35)가 위치한다.
한편, 상기 패널의 타측(25)과 상기 제2파이프(35)를 연결하기 위한 제2연결부(60)가 형성되며, 상기 제2연결부(60)에는 암결합부 또는 수결합부가 형성된다.
상기 패널의 타측(25)에 위치한 상기 제2파이프(35)는 절개부(37)가 외측에 형성되며, 상기 제2파이프(35)의 직경은 상기 제1파이프(30)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패널의 타측(25)에 위치한 제2파이프(35)의 직경을 상기 제1파이프(30)의 직경보다 크게 함으로써, 복수 개의 패널(10)을 연결할 경우, 상기 제1파이프(30)가 상기 제2파이프(35)에 끼워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파이프(35)에 형성된 절개부(37)는 파이프(25,35) 간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패널의 일측(20)에 위치한 제1파이프(30)와 패널의 타측(25)에 위치한 제2파이프(35)를 연결하는 방식으로, 상기 패널(10)을 복수 개로 연접하여 설치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패널의 제1연결부(40)와 제2연결부(60)에 대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상기 패널의 제1연결부(40)는 상기 패널의 일측(20)과 상기 제1파이프(30)를 연결한다.
상기 제1연결부(40)는 상기 패널의 일측(20)으로부터 상기 제1파이프(30)를 향해 수평으로 형성된 제1직선부(41)와 상기 제1직선부의 끝단(42)으로부터 우측하향으로 형성된 경사부(45), 상기 경사부의 끝단(46)으로부터 다시 수평으로 상기 제1파이프(30)를 향해 형성된 제2직선부(48)를 포함한다.
상기 제2직선부의 끝단(49)은 상기 제1파이프(30)의 일측과 연결된다.
상기 패널의 제1연결부(40)에 위치하는 수결합부(50)는 상기 제1직선부의 끝단(42)과 상기 경사부(45)가 접하는 부분으로부터 상기 패널의 일측(20)을 향해 돌출형성된다.
이와 같은 수결합부(50)는 상기 패널의 단면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했을 때 대칭으로 형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패널의 제2연결부(60)는 상기 패널의 타측(25)과 상기 제2파이프(35)를 연결한다.
상기 제2연결부(60)는 상기 패널의 타측(25)에서 상기 제2파이프(35)를 향해 수평으로 형성된 제1직선부(61)를 포함하며, 상기 제1직선부의 끝단(62)은 상기 제2파이프(35)의 일측과 연결된다.
상기 제1직선부(61)에는 상기 패널의 타측(25)을 향해 돌출된 수결합부(70)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수결합부(70)는 상기 패널의 단면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대칭형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파이프(30)를 상기 제2파이프(35)에 끼우는 방식으로 복수 개의 패널(10)을 연결한다.
다만, 상기 제1파이프(30)와 상기 제2파이프(35)만을 연결하는 방식으로는 복수 개의 패널 사이의 결합강도가 취약하므로, 패널 사이의 결합강도를 보강하며, 패널 연결부(90)를 은폐시켜 마감을 좋게 하는 보강판(100)이 필요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보강판(100)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보강판(100)은 상기 패널 연결부(90)를 은폐하여 마감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보강판(100)의 전체적인 형상은 상면(101)은 평평한 면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하면(102)에는 후술할 암결합부(103)가 형성된다.
상기 보강판(100)은 패널 연결부(90)를 은폐시킬 수 있을 정도의 단면 폭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강판의 암결합부(103)는 상기 보강판의 양측(105)에 형성된 절곡부(110)와, 상기 절곡부의 안쪽에 형성된 리브(120)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절곡부(110)와 상기 리브(120)는 상기 보강판(10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절곡부(110)는 제1절곡부(111)와 상기 제1절곡부의 끝단으로부터 외향으로 절곡된 제2절곡부(113)로 형성된다.
상기 제1절곡부(111)는 상기 리브(120)와 평행하게 형성되며, 외향으로 절곡된 제2절곡부(113)는 상기 제1절곡부(111)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된다.
전체적으로 상기 보강판(100)의 길이방향 중심선을 기준으로 봤을 때 상기 보강판의 양측(105)에 형성된 절곡부(110)는 상기 보강판(100)의 중심선을 향해 절곡된 형상을 갖는다.
상기 절곡부(110)의 안쪽에 형성된 리브(120)는 상기 절곡부(110)의 길이보다는 작은 길이로 형성하여, 상기 보강판(100)과 상기 패널 연결부(90)와의 연결을 용이하게 한다.
상기 절곡부(110)와, 상기 절곡부의 안쪽에 형성된 리브(120) 사이에는 씰링부재(150)를 설치한다.
상기 씰링부재(150)는 탄성을 지닌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암결합부(103)에 씰링부재(150)가 설치된 상기 보강판(100)과 상기 패널 연결부(90)와의 연결은 다음과 같다.
상기 제1연결부(40) 및 상기 제2연결부(60)에 외측으로 돌출형성된 수결합부(50,70)가 상기 보강판의 암결합부(103)에 끼워지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보강판의 암결합부(103)는 상기 절곡부(110)와 상기 리브(120)를 포함하여 형성되므로, 상기 수결합부(50,70)는 상기 절곡부(110)와 상기 리브(120) 사이의 공간(125)에 끼워지게 된다.
상기 내향절곡부와 상기 리브 사이의 공간(125)에는 씰링부재(150)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보강판(100)을 약간의 힘을 가하면서, 상기 패널 연결부(90)에 끼워 넣는 과정에서 상기 수결합부(50,70)는 상기 암결합부(103)에 설치된 씰링부재(150)와 밀착 접촉하게 된다.
상기 씰링부재(150)는 탄성을 가진 재료를 사용하므로, 상기 수결합부(50,70)의 밀착력에 의해 상기 씰링부재(150)에는 약간의 변형이 발생하며, 상기 수결합부(50,70)와 상기 암결합부(103)는 밀착 결합한다.
결과적으로, 상기 수결합부(50,70)와 상기 암결합부(103)와, 상기 암결합부에 설치된 씰링부재(150)가 서로 밀착됨으로써, 상기 패널 연결부(90)와 이에 결합하는 상기 보강판(100)사이에 틈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패널 연결부(90)와 이에 결합하는 상기 보강판(100)사이의 틈으로부터 빗물이나 기타 액체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례는 상기 보강판(100)에 형성된 암결합부(103)에 상기 씰링부재(150)가 설치되고, 상기 수결합부(50,70)는 상기 패널의 제1연결부(40) 및 제2연결부(60)에 형성된 경우를 기준으로 설명한 것이며, 이와 반대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수결합부(50,70)가 상기 보강판(100)에 설치되며, 상기 씰링부재(150)가 설치되는 상기 암결합부(103)가 상기 패널의 제1연결부(40) 및 제2연결부(60)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패널(10)에 상기 씰링부재(15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홈(160)이 구성된 암결합부(200a,200b)를 갖는 패널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의한 패널(10)의 구성 가운데, 상기 패널의 일측(20)에 위치하는 제1파이프(30)와, 상기 패널의 일측(20)과 상기 제1파이프(30)를 연결하는 제1연결부(40)와, 상기 패널의 타측(25)에 위치하며 절개부(37)가 형성된 제2파이프(35)와, 상기 패널의 타측(25)과 상기 제2파이프(25)를 연결하는 제2연결부(60)에 대해서는 전술한 바 같으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며, 이하에서는 상기 제1연결부(40) 및 제2연결부(60)에 상기 씰링부재(15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홈(160)이 구성된 암결합부(200a,200b) 위주로 도면을 참고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상기 제1연결부(40)에 형성된 암결합부(200a)에 대해 자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제1연결부의 암결합부(200a)는 상기 제1연결부(40)의 제1직선부의 끝단(42)으로부터 우측상향으로 형성된 제1리브(205)와 상기 제1리브(205)의 바깥쪽에 평행하게 형성된 제2리브(210)로 형성된다.
상기 제1리브(205)와 상기 제2리브(210)도 상기 보강판(100)의 길이방향으로 연속하여 형성된다.
상기 제1리브(205)와 상기 제2리브(210)의 사이에는 삽입홈(160)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홈(160)에는 씰링부재가 삽입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2연결부에 형성된 암결합부(200b)에 대해 자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제2연결부의 암결합부(200b)는 상기 제2연결부의 제1직선부(61)의 끝단(62)으로부터 좌측상향으로 형성되는 제1리브(215)와 상기 제1리브(215)의 바깥쪽에 위치하며, 상기 제1리브(215)와 평행하게 형성되는 제2리브(220)로 형성된다.
상기 제1리브(215)와 상기 제2리브(220)도 상기 보강판(100)의 길이방향으로 연속하여 형성된다.
상기 제1리브(215)와 상기 제2리브(220)의 사이에는 삽입홈(160)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홈(160)에는 씰링부재가 삽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패널의 제1연결부(40)와 제2연결부(60)에 상기 암결합부(200a,200b)가 형성된 경우, 상기 패널 연결부(90)와 연결되는 상기 보강판(100)에는 수결합부(104)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보강판의 바람직한 실시례를 도면을 참고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제1패널의 일측(20)과 제2패널의 타측(25)을 연결하는 경우 상기 제1패널 및 상기 제2패널에 결합하여 연결부(90)를 보강하는 보강판(100)에 있어서, 상기 보강판의 양측(105)에는 씰링부재(15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홈(170)이 구성된 암결합부(103)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보강판의 양측(105)에는 암결합부(103)가 형성된다.
상기 보강판의 암결합부(103)는 상기 보강판의 양측에 형성된 절곡부(110)와, 상기 절곡부(110)의 안쪽에 형성된 리브(120)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절곡부(110)와 상기 리브(120)는 상기 보강판(100)의 길이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절곡부(110)는 상기 보강판(100)의 길이방향 중심선을 향해 절곡된 제1절곡부(111)와 상기 제1절곡부의 끝단으로부터 외향으로 절곡된 제2절곡부(113)로 형성된다.
상기 절곡부(110)의 안쪽에는 리브(120)가 형성된다.
상기 리브(120)는 상기 절곡부의 제1절곡부(111)와 평행하게 형성되므로, 상기 보강판(100)의 길이방향 중심선을 향해 기울어진 형상을 갖는다.
상기 절곡부(110)와, 상기 리브(120)의 사이에는 삽입홈(170)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홈(170)도 상기 보강판(100)의 길이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씰링부재가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 상기 삽입홈(170)에 씰링부재를 삽입할 경우, 탄성을 가진 씰링부재를 사용하는 것이 방수효과의 측면에서 유리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보강판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례를 도면을 참고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마찬가지로, 상기 보강판의 양측(105)에는 암결합부(103)가 형성된다.
다만, 상기 암결합부(103)는 걸림턱을 포함하고 있으며, 2개의 걸림턱이 마주보고 있는 형상을 갖는다.
상기 걸림턱의 사이에는 삽입홈(170)이 형성되며, 마찬가지로 삽입홈(170)에 씰링부재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보강판의 암결합부(103)의 걸림턱의 형상은 다음과 같다.
상기 걸림턱은 상기 보강판의 하면(102)으로부터 상기 패널 연결부(90)를 향해 돌출형성된 수직부(131)와 상기 수직부의 끝단(132)으로부터 수평으로 서로 마주보게 형성되는 수평부(133)으로 형성된다.
상기 수평부(133)에는 턱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약간의 변형이 생기며 상기 패널의 제1연결부(40)와 제2연결부(60)에 형성된 수결합부(50,70)에 걸리게 된다.
이때, 상기 패널의 제1연결부(40)와 제2연결부(60)에 형성된 수결합부(50,70)에는 걸림돌기가 형성된다.
상기 패널의 제1연결부와 제2연결부에 형성된 걸림돌기는 다음과 같다.
상기 패널의 제1연결부(40)와 제2연결부(60)로부터 상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수직부(181)와, 상기 수직부의 끝단(182)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서로 반대쪽으로 돌출형성된 수평부(183)가 포함된다.
상기 보강판(100)과 상기 패널 연결부(90)와의 연결은 다음과 같다.
상기 보강판(100)을 상기 패널 연결부(90)에 근접시킨 다음, 상기 보강판(100)에 약간의 힘을 가하게 되면, 상기 보강판에 형성된 걸림턱의 수평부(133)와 상기 패널의 제1연결부(40) 및 제2연결부(60)에 형성된 걸림돌기의 수평부(183)가 끼워 맞춰지는 방식으로 연결이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례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의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 : 건축용 패널 10 : 패널
11 : 판재 12 : 보강대
20 : 패널의 일측 25 : 패널의 타측
30 : 제1파이프 35 : 제2파이프
40 : 제1연결부 50 : 제1연결부의 수결합부
60 : 제2연결부 70 : 제2연결부의 수결합부
90 : 패널 연결부 100 : 보강판
103 : 암결합부 105 : 보강판의 양측
110 : 절곡부 120 : 리브
150 : 씰링부재 160 : 삽입홈
170 : 삽입홈

Claims (3)

  1. 패널;
    상기 패널의 일측에 위치하는 제1파이프;
    상기 패널의 일측과 상기 제1파이프를 연결하는 제1연결부;
    상기 패널의 타측에 위치하고 절개부가 형성된 제2파이프;
    상기 패널의 타측과 상기 제2파이프를 연결하는 제2연결부;
    상기 제1파이프와 상기 제2파이프를 연결하는 경우, 상기 제1연결부 및 상기 제2연결부에 결합하는 보강판을 포함하되;
    상기 제1연결부 및 상기 제2연결부와 상기 보강판은 암결합부 및 수결합부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암결합부는 상기 제1연결부 및 제2연결부 또는 상기 보강판 중의 어느 하나에 형성되고, 상기 수결합부는 나머지 하나에 형성되며, 상기 암결합부에는 씰링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패널
  2. 패널;
    상기 패널의 일측에 위치하는 제1파이프;
    상기 패널의 일측과 상기 제1파이프를 연결하는 제1연결부;
    상기 패널의 타측에 위치하고 절개부가 형성된 제2파이프;
    상기 패널의 타측과 상기 제2파이프를 연결하는 제2연결부;
    상기 제1연결부 및 제2연결부에는 씰링부재가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홈이 구성된 암결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3. 삭제
KR1020100010223A 2010-02-04 2010-02-04 건축용 패널 KR1011174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0223A KR101117410B1 (ko) 2010-02-04 2010-02-04 건축용 패널
RU2012133519/03A RU2507348C1 (ru) 2010-02-04 2010-11-22 Строительная панель и придающая жесткость накладка
BR112012019491A BR112012019491A2 (pt) 2010-02-04 2010-11-22 painel de construção e chapa de reforço
US13/575,049 US20120291375A1 (en) 2010-02-04 2010-11-22 Construction panel and stiffening plate
PCT/KR2010/008221 WO2011096635A2 (ko) 2010-02-04 2010-11-22 건축용 패널과 보강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0223A KR101117410B1 (ko) 2010-02-04 2010-02-04 건축용 패널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9519A Division KR20120013272A (ko) 2011-12-21 2011-12-21 보강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0449A KR20110090449A (ko) 2011-08-10
KR101117410B1 true KR101117410B1 (ko) 2012-02-29

Family

ID=443558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0223A KR101117410B1 (ko) 2010-02-04 2010-02-04 건축용 패널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20291375A1 (ko)
KR (1) KR101117410B1 (ko)
BR (1) BR112012019491A2 (ko)
RU (1) RU2507348C1 (ko)
WO (1) WO2011096635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73313B2 (en) * 2010-03-04 2015-03-10 Michael Bettiol Building envelope member with internal water reservoir
US20130139462A1 (en) * 2010-06-02 2013-06-06 IKAN Building Systems Pty Ltd. Panel Connection Assembly, Building Panel and Building Construction Method Utilising a Panel Connection Assembly
US20130180197A1 (en) * 2012-01-17 2013-07-18 Brion Gompper Panel Fastener
CN106836520A (zh) * 2017-04-26 2017-06-13 荆门创佳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表面无连接螺钉的墙面拐角变形缝
US10744419B2 (en) * 2017-06-09 2020-08-18 Qun Xia Modular panel interlocking and reinforcing mechanism for building enclosures
CN108952000B (zh) * 2018-08-17 2021-03-19 上海金标文化创意股份有限公司 一种渐变色铝蜂窝镜面板模块及其制备工艺
KR102027380B1 (ko) * 2018-09-19 2019-10-01 씨에이치씨윈도우 주식회사 다용도 건축용 패널 조립체 및 이의 시공방법
CN114517526A (zh) * 2022-03-21 2022-05-20 江西中一梦园住宅工业有限公司 一种蒸压轻质混凝土房屋建筑结构
KR102507450B1 (ko) * 2022-05-09 2023-03-08 주식회사 성강 덮개용 조립식 패널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24104U (ko) * 1986-01-30 1987-08-06
JPH11350618A (ja) * 1998-06-03 1999-12-21 Nippon Light Metal Co Ltd パネルの連結構造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068621A (en) * 1964-03-19 1967-05-10 B H Technical Developments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roofs,walls and like structures
DE2139750A1 (de) * 1971-06-04 1972-12-14 VE Bau und Montagekombinat Ingenieur hochbau Berlin, χ 1020 Berlin Umsetzbare Innenwand
JPS5855109U (ja) * 1981-10-09 1983-04-14 文化シヤツタ−株式会社 パネルの接続装置
JPS5989917U (ja) * 1982-12-09 1984-06-18 株式会社ホウトク パネル等の連結構造
GB2155527A (en) * 1984-03-10 1985-09-25 Rolkan Nv A double-walled slat for roller doors or wall cladding
JPH0753772B2 (ja) * 1985-11-25 1995-06-07 東邦チタニウム株式会社 オレフイン類重合用触媒成分の製造方法
US4671038A (en) * 1986-04-30 1987-06-09 Porter William H Roof sandwich panel juncture running with the pitch
NL8802268A (nl) * 1988-09-15 1990-04-02 Johannes Maria Willems Verbindingsmiddel voor isolatiewanden.
US5088255A (en) * 1991-01-10 1992-02-18 Lincoln Wood Products, Inc. Window and door glazing system
AU661295B2 (en) * 1991-01-22 1995-07-20 Arnes Plat Ab Building element
CA2070079C (en) * 1992-05-29 1997-06-10 Vittorio De Zen Thermoplastic structural system and components therefor and method of making same
RU2052593C1 (ru) * 1993-10-11 1996-01-20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и конструкторский институт монтажной технологии Стеновая сборка чистых комнат
WO1995014829A1 (en) * 1993-11-26 1995-06-01 Firetech International Ltd. Blast-resistant partition
KR200344628Y1 (ko) * 2003-12-11 2004-03-16 박성덕 건축용 패널
RU2290483C2 (ru) * 2004-02-10 2006-12-27 Алексей Вадимович Асеев Длинномерный конструкционный элемент из композиционного материала (варианты)
RU2271421C2 (ru) * 2004-05-06 2006-03-10 Зао "Наяда" Мобильная составная стеновая конструкция
US8161712B2 (en) * 2009-03-19 2012-04-24 Mackenzie Douglas A Flexible wrap of rotatably interlocking fluted strip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24104U (ko) * 1986-01-30 1987-08-06
JPH11350618A (ja) * 1998-06-03 1999-12-21 Nippon Light Metal Co Ltd パネルの連結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507348C1 (ru) 2014-02-20
BR112012019491A2 (pt) 2016-04-19
US20120291375A1 (en) 2012-11-22
WO2011096635A3 (ko) 2011-11-03
KR20110090449A (ko) 2011-08-10
WO2011096635A2 (ko) 2011-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7410B1 (ko) 건축용 패널
JP6219078B2 (ja) 露回収構造
CN1276514A (zh) U型弯管的间隔定位器
MA34079B1 (fr) Système et procédé pour fixer une paroi à une structure de construction
KR20120013272A (ko) 보강판
KR102131489B1 (ko) 상수도용 배관 플랜지구조
UA100442C2 (uk) З'єднувальна система для двох с-подібних профілів, які перехрещуються
KR101413990B1 (ko) 조립식 유체저장탱크용 단위패널
KR200453858Y1 (ko) 배수관 연결구
KR100630426B1 (ko) 콘크리트 수로관
CN201258674Y (zh) 钢质型材套插组合式窗用防护栏及连接件
CN206916888U (zh) 隐藏水箱和马桶的冲水连接结构
CN208702069U (zh) 一种地板连接结构
CN202659893U (zh) 用于管材穿插连接的单边孔防水密封组件
CN205935520U (zh) 螺钉防水装置
CN2627121Y (zh) 自动锁扣地板
CN204715873U (zh) 玻璃墙连接结构、玻璃墙及篷房
EP2853174A2 (en) Light prefabricated cell structure
JP5148392B2 (ja) 合成樹脂製デッキ材
KR200490323Y1 (ko) 복층패널 이음연결용 프레임
JP2010229730A (ja) コンクリート構造物ヘの可撓継手の取付構造およびこれに用いる可撓継手
KR102386523B1 (ko) 미들조인트부재로 연결된 확장형 단위 메탈판넬
KR101198370B1 (ko) 주방용 패널 및 패널 설치구조
KR102267154B1 (ko) 다중 비닐하우스의 비닐고정구겸용 프래임연결구
CN207568013U (zh) 折线单元幕墙折线处的防水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5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