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1489B1 - 상수도용 배관 플랜지구조 - Google Patents

상수도용 배관 플랜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1489B1
KR102131489B1 KR1020170100460A KR20170100460A KR102131489B1 KR 102131489 B1 KR102131489 B1 KR 102131489B1 KR 1020170100460 A KR1020170100460 A KR 1020170100460A KR 20170100460 A KR20170100460 A KR 20170100460A KR 102131489 B1 KR102131489 B1 KR 1021314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nge
fixing
pipes
coupling
engaging proj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04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16641A (ko
Inventor
김성환
신희정
Original Assignee
(주)동명기술공단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동명기술공단종합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동명기술공단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1701004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1489B1/ko
Publication of KR201900166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66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14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14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2Public or like main pipe system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4Domestic or like local pipe systems

Abstract

본 발명은 배관용 플랜지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연결되기 위한 두 개의 배관 중 어느 하나의 단부에 형성된 제1플랜지, 상기 제1플랜지와 접하도록 상기 두 개의 배관 중 다른 하나의 단부에 형성되는 제2플랜지, 상기 제1플랜지와 제2플랜지를 결합시키되, 상호 대응되는 형상으로 끼워지는 결합수단, 상기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되는 상기 제1플랜지와 제2플랜지 사이에 구비되는 패킹, 및 상기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된 상기 제1플랜지와 제2플랜지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재,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어느 하나의 설치된 배관의 플랜지와 설치하고자 하는 배관의 플랜지를 수직방향으로 결합시킬 수 있어 종래 배관 설치를 위해 배관 주변을 더 굴착하는 과정을 생략할 수 있어 공사시간과 비용을 절감시킴은 물론,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상수도용 배관 플랜지구조{Flange structure for water supply pipe}
본 발명은 플랜지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두 배관을 연결하도록 각 플랜지를 고정시키되, 필요 이상으로 굴착하여 시공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용이하고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게 하여 공사시간과 비용을 절감시킴은 물론,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상수도용 배관 플랜지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관은 일정 길이로 제작된 다수 개를 연결하여 형성되는 것으로, 각 배관의 단부에는 플랜지 등이 형성되어 고정볼트와 너트로 고정되어 연결된다.
이러한 배관의 연결부위는 견고함을 더하기 위해 용접을 하기도 한다.
종래 등록특허 10-1045662호에서 개진된 바와 같이, 일측 배관의 이음 단부에 다수개의 결합공이 형성된 플랜지가 용접에 의하여 결합되고, 타측 배관 역시 이음 단부에 플랜지가 용접에 의하여 결합된다.
플랜지를 상호 맞닿는 형태로 배치한 이후에, 볼트를 플랜지에 형성된 결합공에 삽입하고, 너트로 체결하는 것에 의하여 배관이 상호 연결된다.
배관 내부를 흐르는 액체 또는 기체가 플랜지의 결합부분을 통해 누설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체결되는 한 쌍의 플랜지 사이에는 합성수지, 우레탄, 가죽 등으로 제조된 패킹이 부착된다.
이러한 플랜지를 사용하여 배관을 연결하는 경우에, 연결된 배관의 이음 단부에 플랜지를 각각 용접한 이후에, 맞닿는 양 플랜지의 결합공을 일치시키고, 볼트와 너트로 체결하므로, 플랜지에 각각 형성된 결합공을 상호 맞추는 작업이 상당히 번거롭다.
특히, 설치하고자 하는 배관의 플랜지를 기 설치된 배관의 플랜지와 일치시키도록 새로운 배관을 상하좌우 등으로 이동시켜야 됨에 따라, 필요한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굴착공간을 넓게 형성해야 되어 불필요한 작업공정과 비용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연결되기 위한 두 개의 배관 중 어느 하나의 단부에 형성된 제1플랜지, 상기 제1플랜지와 접하도록 상기 두 개의 배관 중 다른 하나의 단부에 형성되는 제2플랜지, 상기 제1플랜지와 제2플랜지를 결합시키되, 상호 대응되는 형상으로 끼워지는 결합수단, 상기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되는 상기 제1플랜지와 제2플랜지 사이에 구비되는 패킹, 및 상기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된 상기 제1플랜지와 제2플랜지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어느 하나의 설치된 배관의 플랜지와 설치하고자 하는 배관의 플랜지를 수직방향으로 결합시킬 수 있어 종래 배관 설치를 위해 배관 주변을 더 굴착하는 과정을 생략할 수 있어 공사시간과 비용을 절감시킴은 물론,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상수도용 배관 플랜지구조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연결되기 위한 두 개의 배관 중 어느 하나의 단부에 형성된 제1플랜지, 상기 제1플랜지와 접하도록 상기 두 개의 배관 중 다른 하나의 단부에 형성되는 제2플랜지, 상기 제1플랜지와 제2플랜지를 결합시키되, 상호 대응되는 형상으로 끼워지는 결합수단, 상기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되는 상기 제1플랜지와 제2플랜지 사이에 구비되는 패킹, 및 상기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된 상기 제1플랜지와 제2플랜지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재,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제1플랜지와 제2플랜지 중 어느 하나에 다수 개 형성되는 결합돌기, 및 상기 결합돌기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1플랜지와 제2플랜지 중 다른 하나에 다수 개 형성되는 결합홈,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결합돌기와 결합홈은, 수직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수평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복수 개 형성된다.
또한, 상기 결합돌기는 양측면 중 어느 하나 이상이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은 결합돌기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결합돌기는 양측면 중 어느 하나 이상이 굴곡지게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은 결합돌기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결합돌기는 상단부에서 하단부로 갈수록 경사지게 돌출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은 결합돌기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결합돌기는 상단부에서 하단부로 갈수록 굴곡지게 돌출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은 결합돌기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패킹은, 상기 결합돌기와 결합홈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결합돌기와 결합홈 사이에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제1플랜지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다수 개 형성된 제1고정공, 상기 제1고정공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2플랜지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다수 개 형성된 제2고정공, 일직선상에 위치된 상기 제1고정공과 제2고정공에 관통 삽입되기 위한 고정볼트, 및 상기 제1고정공과 제2고정공을 통과한 고정볼트의 단부에 나사결합되어 제1플랜지와 제2플랜지를 고정시킴에 따라, 결합된 상기 결합돌기와 결합홈이 가압된 상태를 유지하는 고정너트,를 포함한다.
또한, 결합된 상기 결합돌기와 결합홈을 수평방향으로 관통되어 상기 제1플랜지와 제2플랜지가 수직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수직유동방지부,가 더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수직유동방지부는, 결합된 상기 결합돌기와 결합홈을 수평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수직삽입공, 및 상기 수직삽입공에 끼워지기 위한 수직삽입편,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수직유동방지부는, 연결된 두 개의 배관을 기준으로, 상측으로 위치된 상기 제1플랜지와 제2플랜지 부분에 구비된 제1수직유동방지부, 및 연결된 두 개의 배관을 기준으로, 하측으로 위치된 상기 제1플랜지와 제2플랜지 부분에 구비된 제2수직유동방지부,를 포함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상수도용 배관 플랜지구조에 의하면, 어느 하나의 설치된 배관의 플랜지와 설치하고자 하는 배관의 플랜지를 수직방향으로 결합시킬 수 있어 종래 배관 설치를 위해 배관 주변을 더 굴착하는 과정을 생략할 수 있어 공사시간과 비용을 절감시킴은 물론,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하는 매우 유용하고 효과적인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관용 플랜지구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관용 플랜지구조의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결합돌기의 측면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결합수단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결합수단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결합수단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결합수단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서 구체적 세부사항을 포함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이러한 구체적 세부사항 없이도 실시될 수 있음을 안다.
몇몇 경우, 본 발명의 개념이 모호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공지의 구조 및 장치는 생략되거나, 각 구조 및 장치의 핵심기능을 중심으로 한 블록도 형식으로 도시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comprising 또는 including)"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한다. 또한, "일(a 또는 an)", "하나(one)", "그(the)" 및 유사 관련어는 본 발명을 기술하는 문맥에 있어서(특히, 이하의 청구항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달리 지시되거나 문맥에 의해 분명하게 반박되지 않는 한, 단수 및 복수 모두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관용 플랜지구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관용 플랜지구조의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결합돌기의 측면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결합수단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결합수단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결합수단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결합수단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수도용 배관 플랜지구조(10)는 제1플랜지(100)와 제2플랜지(200), 결합수단(300), 패킹(400) 및 고정부재(500)로 구성된다.
제1플랜지(100)는 연결되기 위한 두 개의 배관(1, 2) 중 어느 하나의 단부에 형성되고, 제2플랜지(200)는 제1플랜지(100)와 접하도록 두 개의 배관 중 다른 하나의 단부에 형성된다.
그리고 결합수단(300)은 제1플랜지(100)와 제2플랜지(200)를 결합시키되, 상호 대응되는 형상으로 끼워진다.
패킹(400)은 결합수단(300)에 의해 결합되는 제1플랜지(100)와 제2플랜지(200) 사이에 구비된다.
또한 고정부재(500)는 결합수단(300)에 의해 결합된 제1플랜지(100)와 제2플랜지(200)를 고정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여기서, 결합수단(300)은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결합돌기(310)와 결합홈(320)으로 구성된다.
결합돌기(310)는 제1플랜지(100)와 제2플랜지(200) 중 어느 하나에 다수 개 형성되고, 결합홈(320)은 결합돌기(310)에 대응되도록 제1플랜지(100)와 제2플랜지(200) 중 다른 하나에 다수 개 형성된다.
이러한 결합돌기(310)와 결합홈(320)은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직방향으로 형성되고, 수평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다수 개 형성된다.
그리고 결합돌기(310)는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양 측면 중 어느 하나 이상이 경사지게 형성되고, 결합홈(320)은 결합돌기(310)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다시 말해, 결합돌기(310)와 결합홈(320)의 어느 한 측면이 돌출된 방향으로 갈수록 외측으로 경사지거나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또한 양 측면이 돌출된 방향으로 갈수록 외측으로 경사지거나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한편,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결합돌기(310)는 양측면 중 어느 하나 이상이 굴곡지게 형성되고, 결합홈(320)은 결합돌기(310)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다시 말해, 결합돌기(310)와 결합홈(320)의 어느 한 측면이 돌출된 방향으로 갈수록 외측으로 굴곡지거나 내측으로 굴곡지게 형성된다.
또한 양 측면이 돌출된 방향으로 갈수록 외측으로 굴곡지거나 내측으로 굴곡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결합돌기(310)는 상단부에서 하단부로 갈수록 경사지게 형성되고, 결합홈(320)은 결합돌기(310)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다시 말해, 결합돌기(310)와 결합홈(320)은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외측으로 경사지거나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또한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외측으로 경사지거나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결합돌기(310)는 상단부에서 하단부로 갈수록 굴곡지게 형성되고, 결합홈(320)은 결합돌기(310)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다시 말해, 결합돌기(310)와 결합홈(320)은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외측으로 굴곡지거나 내측으로 굴곡지게 형성된다.
또한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외측으로 굴곡지거나 내측으로 굴곡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패킹(400)은 결합돌기(310)와 결합홈(320)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결합돌기(310)와 결합홈(320) 사이에 위치된다.
또한 고정부재(500)는 제1고정공(510)과 제2고정공(520), 고정볼트(530) 및 고정너트(540)로 구성된다.
제1고정공(510)은 제1플랜지(100)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다수 개 형성되고, 제2고정공(520)은 제1고정공(510)에 대응되도록 제2플랜지(200)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다수 개 형성된다.
그리고 고정볼트(530)는 일직선상에 위치된 제1고정공(510)과 제2고정공(520)에 관통 삽입되기 위해 구비된다.
고정너트(540)는 제1고정공(510)과 제2고정공(520)을 통과한 고정볼트(530)의 단부에 나사결합되어 제1플랜지(100)와 제2플랜지(200)를 고정시킴에 따라, 결합된 결합돌기(310)와 결합홈(320)이 가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결합된 결합돌기(310)와 결합홈(320)을 수평방향으로 관통되어 제1플랜지(100)와 제2플랜지(200)가 수직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수직유동방지부(600)가 더 포함된다.
이 수직유동방지부(600)는 수직삽입공(602)과 수직삽입편(604)으로 구성된다.
수직삽입공(602)은 결합된 결합돌기(310)와 결합홈(320)을 수평방향으로 관통 형성되고, 수직삽입편(604)은 수직삽입공(610)에 끼워지기 위해 구비된다.
이러한 수직유동방지부(600)는 제1수직유동방지부(610)와 제2수직유동방지부(620)로 구성될 수 있다.
제1수직유동방지부(610)는 연결된 두 개의 배관(1, 2)을 기준으로, 상측으로 위치된 제1플랜지(100)와 제2플랜지(200) 부분에 구비된다.
그리고 제2수직유동방지부(620)는 연결된 두 개의 배관(1, 2)을 기준으로, 하측으로 위치된 제1플랜지(100)와 제2플랜지(200) 부분에 구비된다.
물론, 제1수직유동방지부(610)와 제2수직유동방지부(620)는 어느 하나만 구비될 수 있음이 당연하다.
10 : 배관용 플랜지구조 100 : 제1플랜지
200 : 제2플랜지 300 : 결합수단
310 : 결합돌기 320 : 결합홈
400 : 패킹 500 : 고정부재
600 : 수직유동방지부

Claims (7)

  1. 연결되기 위한 두 개의 배관 중 어느 하나의 단부에 형성된 제1플랜지;
    상기 제1플랜지와 접하도록 상기 두 개의 배관 중 다른 하나의 단부에 형성되는 제2플랜지;
    상기 제1플랜지와 제2플랜지를 결합시키되, 상호 대응되는 형상으로 끼워지는 결합수단;
    상기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되는 상기 제1플랜지와 제2플랜지 사이에 구비되는 패킹; 및
    상기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된 상기 제1플랜지와 제2플랜지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제1플랜지와 제2플랜지 중 어느 하나에 다수 개 형성되는 결합돌기; 및
    상기 결합돌기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1플랜지와 제2플랜지 중 다른 하나에 다수 개 형성되는 결합홈;을 포함하며,
    상기 결합돌기와 결합홈은,
    수직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수평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복수 개 형성되되,
    상기 결합돌기는 상단부에서 하단부로 갈수록 경사지게 돌출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은 결합돌기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패킹은,
    상기 결합돌기와 결합홈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결합돌기와 결합홈 사이에 위치되고,
    결합된 상기 결합돌기와 결합홈을 수평방향으로 관통되어 상기 제1플랜지와 제2플랜지가 수직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수직유동방지부,가 포함되며,
    상기 수직유동방지부는,
    연결된 두 개의 배관을 기준으로, 상측으로 위치된 상기 제1플랜지와 제2플랜지 부분에 구비된 제1수직유동방지부; 및
    연결된 두 개의 배관을 기준으로, 하측으로 위치된 상기 제1플랜지와 제2플랜지 부분에 구비된 제2수직유동방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각 수직유동방지부는,
    결합된 상기 결합돌기와 결합홈을 수평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수직삽입공; 및
    상기 수직삽입공에 끼워지기 위한 수직삽입편;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제1플랜지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다수 개 형성된 제1고정공;
    상기 제1고정공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2플랜지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다수 개 형성된 제2고정공;
    일직선상에 위치된 상기 제1고정공과 제2고정공에 관통 삽입되기 위한 고정볼트; 및
    상기 제1고정공과 제2고정공을 통과한 고정볼트의 단부에 나사결합되어 제1플랜지와 제2플랜지를 고정시킴에 따라, 결합된 상기 결합돌기와 결합홈이 가압된 상태를 유지하는 고정너트;를 포함하고,
    상기 어느 하나의 설치된 배관의 플랜지와 설치하고자 하는 배관의 플랜지를 수직방향으로 결합시킬 수 있어 종래 배관 설치를 위해 배관 주변을 더 굴착하는 과정을 생략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용 배관 플랜지구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70100460A 2017-08-08 2017-08-08 상수도용 배관 플랜지구조 KR1021314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0460A KR102131489B1 (ko) 2017-08-08 2017-08-08 상수도용 배관 플랜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0460A KR102131489B1 (ko) 2017-08-08 2017-08-08 상수도용 배관 플랜지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6641A KR20190016641A (ko) 2019-02-19
KR102131489B1 true KR102131489B1 (ko) 2020-07-09

Family

ID=655288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0460A KR102131489B1 (ko) 2017-08-08 2017-08-08 상수도용 배관 플랜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148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4111A (ko) * 2020-10-23 2022-05-02 (주)스텝이엔지 댐 형성부 교체가 가능한 스나우트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6835B1 (ko) * 2019-10-09 2021-07-14 (주)동명기술공단종합건축사사무소 하수도관용 플랜지구조
KR102276831B1 (ko) * 2019-10-09 2021-07-14 (주)동명기술공단종합건축사사무소 결합력이 향상된 하수도관용 플랜지구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9303B1 (ko) * 2010-01-25 2010-05-25 (주) 제일산업 상하수도관과 연결구 일체형 플랜지 연결구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1788U (ko) * 1996-12-31 1998-10-07 박병재 연결용 플랜지
KR20100104443A (ko) * 2009-03-18 2010-09-29 워터러브 주식회사 유지 보수가 용이한 관정 보호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9303B1 (ko) * 2010-01-25 2010-05-25 (주) 제일산업 상하수도관과 연결구 일체형 플랜지 연결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4111A (ko) * 2020-10-23 2022-05-02 (주)스텝이엔지 댐 형성부 교체가 가능한 스나우트 장치
KR102407797B1 (ko) 2020-10-23 2022-06-10 (주)스텝이엔지 댐 형성부 교체가 가능한 스나우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6641A (ko) 2019-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31489B1 (ko) 상수도용 배관 플랜지구조
KR101063415B1 (ko) 배관 파이프 지지장치
KR101401676B1 (ko) 입상관 고정구
KR100740590B1 (ko) 배관의 이음구
KR200389191Y1 (ko) 건축용 입상관 고정구
KR20210000431U (ko) 유지보수가 용이한 급수전
KR101663691B1 (ko) 파형 강관을 이용한 도로 측구
KR100982715B1 (ko) 패킹을 이용한 상하수도 편수관 연결구조
KR101992423B1 (ko) 결합력 향상된 상수도 배관용 플랜지구조
KR100726736B1 (ko) 하수관거 연결고정 구조물
KR20160004207U (ko) 소켓부를 갖는 콘크리트 하수관 조인트부의 누수방지 연결구
KR101265302B1 (ko) 상수도 연결장치
KR100985990B1 (ko) 콘크리트 원형 배수로관
KR100868490B1 (ko) 합성수지관의 연결구조
KR102276831B1 (ko) 결합력이 향상된 하수도관용 플랜지구조
KR102276835B1 (ko) 하수도관용 플랜지구조
KR102247270B1 (ko) 상수도관용 플랜지구조
KR100982713B1 (ko) 패킹을 이용한 상하수도관 연결구조
KR100936461B1 (ko) 배관 파이프 지지장치
KR101739398B1 (ko) 세그먼트 아치형 터널 구조물
EP3256694B1 (en) Modular tunnel lining system and method
KR101147515B1 (ko) 상수도관의 이탈방지장치
KR100772820B1 (ko) 나사조임 요크를 이용한 토출구 결합 장치
KR100524394B1 (ko) 콘크리트암거
JP6156977B2 (ja) 可撓性継手の固定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