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7797B1 - 댐 형성부 교체가 가능한 스나우트 장치 - Google Patents

댐 형성부 교체가 가능한 스나우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7797B1
KR102407797B1 KR1020200138640A KR20200138640A KR102407797B1 KR 102407797 B1 KR102407797 B1 KR 102407797B1 KR 1020200138640 A KR1020200138640 A KR 1020200138640A KR 20200138640 A KR20200138640 A KR 20200138640A KR 102407797 B1 KR102407797 B1 KR 1024077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norkel
dam
snout
forming part
h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86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54111A (ko
Inventor
문병원
Original Assignee
(주)스텝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스텝이엔지 filed Critical (주)스텝이엔지
Priority to KR10202001386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7797B1/ko
Publication of KR202200541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41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77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77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003Apparatus
    • C23C2/0032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batch coating of substrate
    • C23C2/00322Details of mechanisms for immersing or removing substrate from molten liquid bath, e.g. basket or lifting mechanism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003Apparatu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003Apparatus
    • C23C2/0038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pre-treatment chambers located immediately upstream of the bath or occurring locally before the dipping process
    • C23C2/004Snout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04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material
    • C23C2/06Zinc or cadmium or alloys based thereon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34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material to be treated
    • C23C2/36Elongated material
    • C23C2/40Plates; Strip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10/00Technologies related to metal processing
    • Y02P10/20Recycl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ating With Molten Me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댐 형성부 교체가 가능한 스나우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스노클 중 용융아연에 의해 변형된 댐 형성부 분리가 가능하여 교체 및 수리가 용이한 댐 형성부 교체가 가능한 스나우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댐형성부 교체가 가능한 스나우트 장치는 용융아연에 의해 침식과 열변형이 발생 시 댐형성부만 교체가 가능하여 정비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댐형성부 변형 시 신속하게 교체할 수 있어 용융아연도금강판 제조공정의 안정화 및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댐 형성부 교체가 가능한 스나우트 장치{Snout device that can replace dam part}
본 발명은 댐 형성부 교체가 가능한 스나우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스노클 중 용융아연에 의해 변형된 댐 형성부 분리가 가능하여 교체 및 수리가 용이한 댐 형성부 교체가 가능한 스나우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용융아연도금강판은 우수한 내식성을 바탕으로 일반 건축용 자재를 비롯하여 엄격한 품질 관리가 필요한 자동차용 외판재까지 사용범위가 확대되고 있다.
특히, 근래에 사용량이 증대되는 자동차용 외판재의 경우, 내식성 못지않게 표면 특성이 매우 중요하게 여겨지고 있기 때문에 엄격한 표면 품질관리가 요구된다.
한편, 냉간압연 된 코일의 도금강판이 페이오프릴(미도시)과 용접기(미도시)를 통하여 연속 통판되면서, 잔류응력을 제거 하도록 가열로(소둔로)에서 열처리 되고, 도금강판은 아연도금을 위한 적절한 온도를 유지한 상태에서, 도금액 즉, 용융아연이 충진 된 용융아연도금조로 유입된다.
용융아연도금조의 온도는 대략 460℃를 유지하게 되는데, 아연의 융점이 420℃로서 용융아연도금조 내에서 아연은 항상 용융상태에 있게 되므로 상부로 아연 흄이 계속적으로 증발한다.
용융아연도금을 위해서 강판은 스나우트의 내부를 통해서 용융아연도금조 내로 연속적으로 공급되어 싱크롤을 감아 돌아 나오면서 아연도금이 행해진 후, 에어나이프에 의해 도금량이 제어되거나, 도금층의 합금화를 위하여 상기 에어나이프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있는 합금화로에 진입되어 합금화 열처리가 된다. 그리고 연속적으로 에어 냉각대에서 냉각되어 탑롤을 향해 전진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스나우트 내부에서 측정한 아연 증발량은 시간당 1-2ℓ정도로서, 상당히 많은 양의 증발이 일어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아연 증발물인 애쉬(ash, 이하 '이물질'이라 함)는 스나우트 상부까지 확산됨으로써 스나우트의 내면에 부착되고, 자중에 의해 스나우트 내의 탕면을 향해 낙하 하게 된다.
탕면으로 낙하 된 애쉬 즉, 이물질은 부유하면서 도금되는 강판의 표면에 부착되거나 강판 진행 방향으로 간헐적 또는 연속적인 띠를 형성하게 된다. 이로 강판의 아연도금 품질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출원인이 출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148459호에 게시된 바와 같이, 스나우트에 강판 용융아연도금 공정에서의 탕면 이물질을 원활하게 제거할 수 있는 용융아연 이물질 제거장치가 설치된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스나우트의 스노클은 용융도금조 내의 용융아연에 의한 침식 및 열변형이 발생되는데 대부분 스노클에 댐을 형성하는 부분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 수리 시 전체를 교체하거나 전단해야하므로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비용이 부담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005204호 : 아연재 제거성이 우수한 아연도금라인의 스나우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스노클 중 용융아연에 의해 변형된 댐 형성부 분리가 가능하여 교체 및 수리가 용이한 댐 형성부 교체가 가능한 스나우트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댐 형성부 교체가 가능한 스나우트 장치는 인입롤러와 용융아연도금조에 설치된 인출롤러 사이의 강판을 감싸는 스나우트와; 상기 스나우트로부터 상기 용융아연도금조로 연장된 상기 강판을 감싸고 상부가 상기 스나우트의 하부와 결합되며, 상기 용융아연도금조의 탕면에 잠기는 하부에 변형 발생 시, 변형된 부분만 교체가 가능한 스노클과; 상기 스노클에 결합되어 상기 스노클 내로 유입된 이물질을 상기 스노클 외부로 배출하는 용융아연 배출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스노클은 상기 강판을 감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스나우트와 결합되며 하부가 상기 용융아연도금조에 잠기거나 탕면의 상방에 위치되는 스노클본체와, 상기 용융아연도금조 내의 용융아연에 의한 변형 발생 시 상기 스노클본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스노클본체의 하단을 덮되 상기 강판이 관통되는 강판유입구가 형성되고 상부가 상기 스노클본체 내에서 상기 강판의 둘레에 위치되게 상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스노클본체 내의 탕면으로 떨어진 이물질이 상기 강판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댐형성부를 포함하는 댐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노클본체는 상기 용융아연도금조 내의 용융아연에 하부가 잠기도록 연장되고 하단을 따라 외측으로 돌출된 댐결합플랜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댐 부재는 상기 스노클본체를 관통하여 상기 용융아연도금조로 유입된 상기 강판이 통과하는 상기 강판유입구가 형성되며 가장자리측이 상기 댐결합플랜지부와 결합되는 챔버형성부를 구비하고, 상기 댐형성부는 상기 챔버형성부의 상기 강판유입구의 둘레를 따라 상기 스노클본체 내로 상기 스노클본체의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챔버형성부는 상기 스노클본체의 내주면과 상기 댐형성부 사이 위치에 상기 강판 이동방향으로 관통되어 상기 용융아연배출유닛과 연결되는 배출홀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노클본체는 상기 용융아연도금조 내의 용융아연에 하부가 잠기도록 연장되고, 상기 댐 부재는 상기 스노클본체의 하단을 덮되 상기 강판유입구가 형성되는 판상의 챔버형성부와, 상기 챔버형성부의 가장자리 단부에서 상기 스노클본체의 하단 측부를 덮도록 상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스노클본체와 결합되는 측부커버부를 구비하고, 상기 댐형성부는 상기 챔버형성부에서 상기 강판유입구의 둘레를 따라 상기 스노클 본체 내로 연장되며, 상기 챔버형성부는 상기 스노클 본체의 내주면과 상기 댐형성부 사이 위치에 상기 강판 이동방향으로 관통되어 상기 용융아연배출유닛과 연결되는 배출홀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노클본체는 상기 용융아연도금조의 탕면에 대해 상방에 위치되게 연장되고 하단을 따라 외측으로 돌출된 댐결합플랜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댐 부재는 상기 스노클본체의 하단을 덮되 상기 강판유입구가 형성되는 판상의 챔버형성부와, 상기 챔버형성부의 가장자리 단부를 따라 상방으로 연장되는 하우징부와, 상기 하우징부의 상단에서 측부로 돌출되어 상기 댐결합플랜지부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스노클결합플랜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댐형성부는 상기 챔버형성부에서 상기 강판유입구의 둘레를 따라 상기 스노클본체 내로 연장되며, 상기 하우징부는 상기 댐형성부의 상단보다 낮은 위치의 측부에 관통형성되며 상기 용융아연배출유닛과 연결되어 상기 댐형성부의 상단으로 넘어온 용융아연이 배출되는 배출홀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노클은 상기 스노클본체에 상기 댐 부재 결합 시 상기 댐 부재의 위치고정이 가능한 유동방지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유동방지수단은 상기 댐결합플랜지부의 폭 방향 일측과 상기 챔버형성부의 가장자리에 상호 치합될 수 있도록 각각 돌출되거나 인입 형성된 위치조정인입부와 위치조정돌출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댐형성부 교체가 가능한 스나우트 장치는 용융아연에 의해 침식과 열변형이 발생 시 댐형성부만 교체가 가능하여 정비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댐형성부 변형 시 신속하게 교체할 수 있어 용융아연도금강판 제조공정의 안정화 및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댐형성부 교체가 가능한 스나우트장치에 대한 일부 절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스나우트장치에 대한 일부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댐형성부 교체가 가능한 스나우트장치에 대한 일부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댐형성부 교체가 가능한 스나우트장치에 대한 일부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댐형성부 교체가 가능한 스나우트 장치에 대한 일부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 예에 따른 댐형성부 교체가 가능한 스나우트 장치에 대한 일부 단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댐형성부 분리가 가능한 스나우트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2에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댐 형성부 분리가 가능한 스나우트 장치(10)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댐형성부 분리가 가능한 스나우트 장치(10)는 용융아연도금조(6)의 용융아연에 의해 침식되거나 열변형된 스노클(40)의 단부의 교체 및 정비가 가능한 구조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스나우트장치(10)는 용융아연도금조(6)의 내부에 설치되는 인출롤러(13)와, 상기 인출롤러(13)의 상방에 설치되어 스트립 상의 강판(1)을 인출롤러(13) 측으로 안내하는 인입롤러(미도시)와, 인출롤러(13)와 인입롤러의 사이에 설치되어 강판(1)을 감싸며 용융아연도금조(6)의 상방에 위치되는 스나우트(20)를 구비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스나우트장치(10)는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용융아연도금조(6)의 상방에서 스나우트(20)를 사이에 두고 수평하게 나란하게 연장되어 강판(1)의 폭 방향의 스나우트(20) 양측을 축 지지하는 복수의 수평프레임(미도시)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스나우트장치(10)는 상단이 스나우트(20)의 하단과 결합되며 하부가 용융아연도금조(150)에 잠기는 스노클(40)과, 스노클(40)에 결합되어 스노클(40) 내로 유입된 이물질을 스노클(40) 외부로 배출하는 용융아연 배출유닛(80)을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나우트장치(10)는 스노클(40)의 일부가 용융아연도금조(20)에 잠기거나 들릴 수 있도록, 강판(200)의 폭 방향 양측이 복수의 수평프레임에 축지지된 스나우트(20)를 회동시키는 별도의 액튜에이터(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스나우트(20)와 스노클(40)은 열처리를 위한 가열로(미도시)와 용융아연도금조(6)의 사이에서 용유아연도금조(6) 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어 열처리를 위하여 가열된 강판(1)이 공기와 접촉되어 산화되는 방지할 수 있도록 인입롤러 및 인출롤러(13)에 의해 가이드 되어 용융아연도금조(6)로 유입되는 강판(1)을 감싸는 구조를 가진다.
스나우트(20)는 사각관 형상으로 강판(1)이 통과하는 내부공간(22)이 형성되는 스나우트본체(21)와, 스나우트본체(21)의 하단에 후술되는 스노클(40)과 결합을 위한 스노클결합플랜지(23)를 구비한다.
스노클(40)은 상단이 스나우트(20)와 결합되고 하부가 용융아연도금조(6)에 잠기는 스노클본체(41)와, 스노클본체(41)의 하단을 덮되 강판이 관통되는 강판유입구(52)가 형성되며 상부가 스노클본체(41)의 내에서 강판(1)의 둘레에 위치되게 상방으로 연장되어 스노클본체(41) 내의 탕면으로 떨어진 이물질이 강판에 부착되지 못하도록 하는 댐 부재(50)와, 스노클본체(41)와 댐 부재(50)가 결합되는 측에 설치되는 실링부재(58)를 구비한다. 도시된 바와 다르게, 스노클(40)은 실링부재(58) 없이 스노클본체(41)와, 댐 부재(50)만 구비될 수 있다.
스노클본체(41)는 내부공간(43)을 갖는 사각관 형상으로 형성된 몸체부(42)와, 몸체부(42)의 상단으로부터 몸체부(42)에 멀어지게 돌출되며 스노클결합플랜지(23)와 결합되는 스나우트본체결합플랜지부(45)와, 몸체부(42)의 하단으로부터 몸체부(42)에 멀어지게 돌출되는 댐 결합플랜지부(44)를 구비한다.
댐 부재(50)는 몸체부(42)의 내부공간(43)을 통하여 용융아연도금조(6)로 유입된 강판이 통과하는 사각형상으로 관통된 강판유입구(52)가 형성되며 가장자리 측이 스노클본체(41)의 댐결합플랜지부(44)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판상의 챔버형성부(51)와, 챔버형성부(51)의 강판유입구(52)의 둘레를 따라 몸체부(42) 내로 몸체부(42)의 연장방향에 나란하게 상방으로 연장된 사각관 형상의 댐형성부(54)를 구비한다.
챔버형성부(51)는 댐형성부(54)의 하단과 몸체부(42)의 하단을 연결하여, 강판유입구(52)를 통하여 댐형성부(54)의 상단으로 넘쳐 댐형성부(54)와 몸체부(42) 사이의 용융 아연이 저장되는 저장공간(46)을 형성한다.
챔버형성부(51)는 가장자리 측이 몸체부(42)에 대해 돌출되어 댐결합플랜지부(44)와 마주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댐형성부(54)는 상단이 스노클본체(41)가 용융아연도금조(6)에 잠긴 상태에서 스노클본체(41) 내의 탕면(7)과 그 높이가 일치되거나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에 위치되도록 연장형성된다. 따라서 용융아연도금조(6) 내의 용융된 용융아연도금액(8)이 강판(1)이 통과하는 강판유입구(52)를 통하여 유입되어 댐형성부(54)를 넘쳐 저장공간(46)에 저장된다.
댐 부재(50)는 상술한 실시 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스노클본체(41)의 내의 애쉬를 포함하는 부유물 또는 이물질이 강판유입구(52)를 통과하는 강판(1)의 표면에 부착되지 않도록 강판유입구(52)를 통과하는 용융아연이 도금되는 강판(1)의 표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도록 하는 구조이면 가능하다
챔버형성부(51)는 몸체부(42)와 댐형성부(54) 사이의 위치에 강판(1) 이동방향으로 관통되어 후술되는 용융아연배출유닛(80)의 배출연결부(81)와 연통되는 배출홀(53)이 형성된다.
실링부재(58)는 댐결합플랜지부(44)의 하면을 덮도록 형성되어, 댐결합플랜지부(44)와 챔버형성부(51)의 가장자리 측 사이에 위치된다. 실링부재(58)는 용융아연도금조(6) 내의 열을 견딜 수 있는 소재로 형성된 고열용 가스켓이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흑연가루와 접착제가 혼합된 혼합물로 형성된 것이 적용될 수 있다.
용융아연배출유닛(80)은 스노클(40)의 저장공간(46)에 저장된 용융아연도금액을 용융아연도금조(6)의 탕면(7) 측으로 배출하여 용융아연도금조(6) 내의 용융아연도금액(8)이 지속적으로 상기 강판유입구(52)를 통하여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용융아연배출유닛(80)은 챔버형성부(51)의 배출홀(53)에 연통되게 설치되어, 댐형성부(53)를 넘쳐 저장공간(46)에 저장된 용융아연을 배출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관 형상의 배출연결부(81)와, 배출연결부(81)의 출구 측과 연결되어 저장공간(46)에서 배출연결부(81)로 유입된 용융아연을 스노클(40) 외부의 용융아연도금조(6)의 탕면 측으로 배출하는 펌핑유닛(90)을 구비한다.
배출연결부(81)는 챔버형성부(51)의 하면과 연통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배출홀(53)이 몸체부(42)의 측면에 형성되고, 배출연결부(81)가 몸체부(42)에 설치되어 저장공간(46)과 연통되도록 설치될 수도 있으며, 또는 용융아연배출유닛(80)은 배출연결부(81)를 생략하고 후술되는 펌핑유닛(90)의 하우징부재(91)가 직접 몸체부(42)에 연결될 수도 있다. 배출연결부(81)는 챔버형성부(51) 또는 몸체부(42)에 볼트 결합되어 고정되거나 용접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펌핑유닛(90)은 챔버형성부(51)에 설치된 배출연결부(51)와 연결된 것으로, 상부측이 개방되고 하부측이 밀폐된 하우징부재(91)와, 하우징부재(91)의 상부 측의 스노클본체(42)에 고정된 지지브라켓(92)에 설치되는 구동부(93)를 구비한다. 그리고 구동부(93)의 구동축(94)은 하우징부재(91)의 내부로 연장되는 회전축(95)과 연결되며, 회전축(95)에는 배출연결부(81)를 통하여 하우징부재(91) 내부로 유입된 용융아연도금액을 하우징부재(91)의 상부측의 개방부를 통하여 용융아연도금조(6)의 탕면(7) 측으로 배출하는 임펠러(96)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부재(91)는 상부측이 개방되고 하부측이 밀폐된 원통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하우징부재(91)의 직경은 임펠러(96)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된다.
펌핑유닛(90)은 하우징부재(91)가 상방으로 개방되어 배출홀(53)을 통해 유입된 용융아연이 상방으로 배출하는 것을 예로 들고 있으나, 도시된 바와 다르게, 하우징부재(91)가 하방으로 개방되어 융융아연이 하방으로 배출되는 구조도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댐형성부 교체가 가능한 스나우트 장치(10)는 용융아연에 의해 침식과 열변형 발생 시 스노클본체(41)로부터 댐 부재(50)를 분리하여 교체가 가능하므로 정비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댐 부재(50) 변형 시, 신속하게 교체할 수 있어 용융아연도금강판 제조공정의 안정화 및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도 3에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댐형성부 교체가 가능한 스나우트 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는 동일참조부호로 표기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댐형성부 교체가 가능한 스나우트 장치는 스노클(140)을 제외하고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댐형성부 교체가 가능한 스나우트 장치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스노클(140)은 몸체부(42)와, 몸체부(42)의 상단에 스나우트본체 결합플랜지부(45)를 구비하는 스노클본체(141)와; 스노클본체(141)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댐 부재(150)와, 스노클본체(141)와 댐 부재(150)가 결합되는 측에 설치되는 실링부재(158)를 구비한다.
댐 부재(150)는 몸체부(42)의 하단을 덮되 강판(1)이 관통되는 강판유입구(52)가 형성되는 판상의 챔버형성부(151)와, 챔버형성부(151)의 강판유입구(52)의 둘레를 따라 몸체부(42) 내로 몸체부(42)의 연장방향에 나란하게 상방으로 연장된 사각관 형상의 댐형성부(54)와, 챔버형성부(151)의 가장자리 단부에서 몸체부(42)의 하단 측부를 덮도록 상방으로 연장되며 스노클본체(141)의 몸체부(42) 측부에 볼트 결합되는 측부커버부(155)를 구비한다. 측부커버부(155)는 도시된 바와 다르게, 탕면의 상방까지 연장되어 탕면의 상방 측이 스노클본체(141)에 볼트 결합될 수도 있다.
실링부재(158)는 측부커버부(155)와 몸체부(42)의 측부 하단 사이에 위치되게 폐궤도 띠 형상으로 형성된다.
한편, 도 4에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댐형성부 교체가 가능한 스나우트 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댐형성부 교체가 가능한 스나우트 장치는 댐 부재(450)를 제외하고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댐형성부 교체가 가능한 스나우트장치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댐 부재(450)는 챔버형성부(151)와, 댐형성부(54)와, 챔버형성부(151)의 가장자리 단부에서 몸체부(42)의 하단 측부를 덮도록 상방으로 연장된 측부커버부(155)와, 측부커버부(155)의 상단에서 탕면의 상방으로 연장된 복수의 결합바(457)를 구비한다. 복수의 결합바(457)는 탕면의 상방으로 연장된 상부가 스노클본체(141)의 몸체부(42) 측부에 볼트결합된다. 복수의 결합바(457)는 도 4를 참고하면, 강판(1)의 폭 방향의 측부커버부(155)의 양측 상단에서 상방으로 각각 형성되어 있으나, 강판(1)의 폭 방향에 교차하는 측부커버부의 양측에서 상방으로 연장되게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도 5에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댐형성부 교체가 가능한 스나우트 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댐형성부 교체가 가능한 스나우트 장치는 스노클(240)과, 용융아연배출유닛(280)을 제외하고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댐형성부 교체가 가능한 스나우트 장치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스노클(240)은 상단에 스나우트본체(21)와 결합을 위한 스나우트본체 결합플랜지부(45)와 하단에 댐결합플랜지부(44)가 연결되며 용융아연도금조(6)의 탕면에 대해 상방에 위치하는 몸체부(242)를 포함하는 스노클본체(241)와; 스노클본체(241)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댐 부재(250)와, 실링부재(58)를 구비한다.
몸체부(242)는 댐결합플랜지부(44)가 탕면에 대해 상방에 위치되게,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스노클본체(42) 보다 상하방향으로 짧은 길이로 연장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댐 부재(250)는 몸체부(242)의 하단을 덮되 강판(1)이 관통되는 강판유입구(52)가 형성되는 판상의 챔버형성부(251)와, 챔버형성부(251)의 강판유입구(52)의 둘레를 따라 몸체부(242) 내로 몸체부(242)의 연장방향에 나란하게 상방으로 연장된 사각관 형상의 댐형성부(54)와, 챔버형성부(251)의 가장자리 단부를 따라 상방으로 연장되되 상단이 댐형성부(54)의 상단보다 상방에 위치되게 연장되는 하우징부(255)와, 하우징부(255)의 상단에서 측부로 돌출되어 스노클본체(241)의 댐결합플랜지부(44)에 탈착가능하게 볼트 결합되는 스노클결합플랜지부(257)를 구비한다.
하우징부(255)는 댐형성부(54)의 상단보다 낮은 위치의 양측부에 저장공간(46)과 연통되는 배출홀(253)이 각각 형성된다. 실링부재(58)는 댐결합플랜지부(44)의 하면을 덮도록 형성되어, 댐결합플랜지부(44)와 스노클결합플랜지부(257) 사이에 위치된다.
용융아연배출유닛(280)은 하우징부(255)의 배출홀(253)에 연통되게 설치되어, 하우징부(255)에 대해 측방향으로 돌출되는 관 형상의 배출연결부(281)와, 배출연결부(281)의 출구 측과 연결되 펌핑유닛(90)을 구비한다.
배출연결부(281)는 펌핑유닛(90)의 하우징부재(91)의 측부로 연장되어 하우징부재(91)의 내부공간과 연통된다.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스노클본체(241)의 댐형성부(54) 교체가 가능한 스나우트 장치는 스노클본체(241)가 용융아연도금조(6)의 상방에 위치하여 용융아연도금조(6)의 용융아연에 의한 변형이 방지되므로 댐 부재(250) 만 교체하여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도 6에는 본 발명의 제5실시 예에 따른 댐형성부 교체가 가능한 스나우트 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 5 실시 예에 따른 댐형성부 교체가 가능한 스나우트 장치는 스노클본체(341)에 댐 부재(350) 결합 시 위치고정이 용이하도록 하는 유동방지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제외하고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댐형성부 교체가 가능한 스나우트 장치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유동방지수단은 댐결합플랜지부(344)와, 챔버형성부(351)에 형성되는 위치조정 돌출부(351a)와 위치조정인입부(344a)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 5 실시 예에 따른 스나우트(320)는 스나우트본체(21)와, 스노클본체(341), 댐 부재(350)와 실링부재(58)를 포함하는 스노클(340)을 구비한다.
스노클본체(341)는 몸체부(42)와, 몸체부(42)의 상단에 외측으로 돌출된 스노틀본체 결합플랜지부(45)와, 몸체부(42)의 하단에 외측으로 돌출된 댐결합플랜지부(344)를 구비한다. 댐결합플랜지부(344)는 폭 중심측에 하방으로 개방된 위치조정인입부(344a)가 형성된다. 댐결합플랜지부(344)는 도시된 바와 같이, 하면 측에 위치조정인입부(344a)가 형성되게 폭 중심측이 상방으로 절곡될 수 있다.
댐 부재(350)는 중심측에 강판유입구(52)가 형성되며 가장자리를 따라 상방으로 돌출된 위치조정돌출부(351a)가 형성된 챔버형성부(351)와, 댐형성부(54)를 구비한다. 위치조절돌출부(351a)는 위치조절인입부(344a)에 대응되게 돌출되어 연장된다. 챔버형성부(351)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 측에 위치조절돌출부(351a)가 형성되게 가장자리 측이 상방으로 절곡될 수 있다.
한편, 도시된 바와 다르게 댐결합플랜지부(344)에 위치조절돌출부(351a)가 형성되고 챔버형성부(351) 가장자리 측에 위치조절인입부(344a)가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 5 실시 예에 따른 댐형성부 교체가 가능한 스나우트 장치는 상호 치합될 수 있는 위치조정돌출부(351a)와 위치조정인입부(344a)가 마련되어 있어, 댐 부재(350)를 스노클본체(341)에 볼트 결합 시 위치고정이 용이하고 실링부재(58)가 위치조정돌출부(351a)와 위치조정인입부(344a) 사이에서 절곡되므로 결합된 부분의 기밀성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 강판 6 : 용융아연도금조
10 : 스나우트 장치 13 : 인출롤러
20 : 스나우트 40 : 스노클
41 : 스노클본체 50 : 댐 부재
51 : 챔버 형성부 52 : 강판유입구
53 : 배출홀 54 : 댐형성부
58 : 실링부재 80 : 용융아연 배출유닛

Claims (5)

  1. 인입롤러와 용융아연도금조에 설치된 인출롤러 사이의 강판을 감싸는 스나우트와;
    상기 스나우트로부터 상기 용융아연도금조로 연장된 상기 강판을 감싸고 상부가 상기 스나우트의 하부와 결합되며, 상기 용융아연도금조의 탕면에 잠기는 하부에 변형 발생 시, 변형된 부분만 교체가 가능한 스노클과;
    상기 스노클에 결합되어 상기 스노클 내로 유입된 이물질을 상기 스노클 외부로 배출하는 용융아연 배출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스노클은
    상기 강판을 감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스나우트와 결합되며 하부가 상기 용융아연도금조에 잠기도록 연장되고 하단을 따라 외측으로 돌출된 댐결합플랜지부를 구비하는 스노클본체와,
    상기 스노클본체의 하단을 덮되 상기 스노클 본체를 관통하여 상기 용융아연도금조로 유입된 상기 강판이 통과하는 강판유입구가 형성되며 가장자리측이 상기 댐결합플랜지부와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챔버형성부와, 상기 스노클본체 내에서 상기 강판유입구의 둘레를 따라 상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스노클본체 내의 탕면으로 떨어진 이물질이 상기 강판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댐형성부를 포함하는 댐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챔버형성부는 상기 스노클본체의 내주면과 상기 댐형성부 사이 위치에 상기 강판 이동방향으로 관통되어 상기 용융아연배출유닛과 연결되는 배출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형성부 교체가 가능한 스나우트 장치.
  2. 삭제
  3. 인입롤러와 용융아연도금조에 설치된 인출롤러 사이의 강판을 감싸는 스나우트와;
    상기 스나우트로부터 상기 용융아연도금조로 연장된 상기 강판을 감싸고 상부가 상기 스나우트의 하부와 결합되며, 상기 용융아연도금조의 탕면에 잠기는 하부에 변형 발생 시, 변형된 부분만 교체가 가능한 스노클과;
    상기 스노클에 결합되어 상기 스노클 내로 유입된 이물질을 상기 스노클 외부로 배출하는 용융아연 배출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스노클은
    상기 강판을 감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스나우트와 결합되며 하부가 상기 용융아연도금조에 잠기도록 연장된 스노클본체와,
    상기 스노클본체의 하단을 덮되 상기 스노클 본체를 관통하여 상기 용융아연도금조로 유입된 상기 강판이 통과하는 강판유입구가 형성되는 판상의 챔버형성부와, 상기 스노클본체 내에서 상기 강판유입구의 둘레를 따라 상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스노클본체 내의 탕면으로 떨어진 이물질이 상기 강판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댐형성부와, 상기 챔버형성부의 가장자리 단부에서 상기 스노클본체의 하단 측부를 덮도록 상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스노클본체와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측부커버부를 포함하는 댐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챔버형성부는 상기 스노클 본체의 내주면과 상기 댐형성부 사이 위치에 상기 강판 이동방향으로 관통되어 상기 용융아연배출유닛과 연결되는 배출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형성부 교체가 가능한 스나우트 장치.
  4. 인입롤러와 용융아연도금조에 설치된 인출롤러 사이의 강판을 감싸는 스나우트와;
    상기 스나우트로부터 상기 용융아연도금조로 연장된 상기 강판을 감싸고 상부가 상기 스나우트의 하부와 결합되며, 상기 용융아연도금조의 탕면에 잠기는 하부에 변형 발생 시, 변형된 부분만 교체가 가능한 스노클과;
    상기 스노클에 결합되어 상기 스노클 내로 유입된 이물질을 상기 스노클 외부로 배출하는 용융아연 배출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스노클은
    상기 강판을 감싸도록 형성되고 하부가 상기 용융아연도금조 탕면의 상방에 위치되게 연장되고 상단에 상기 스나우트와 결합을 위해 돌출된 스나우트본체 결합플랜지부와, 하단에 외측으로 돌출된 댐결합플랜지부가 형성된 스노클본체와,
    상기 스노클본체의 하단을 덮되 상기 스노클 본체를 관통하여 상기 용융아연도금조로 유입된 상기 강판이 통과하는 강판유입구가 형성되는 판상의 챔버형성부와, 상기 스노클본체 내에서 상기 강판의 둘레를 따라 상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스노클본체 내의 탕면으로 떨어진 이물질이 상기 강판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댐형성부와, 상기 챔버형성부의 가장자리 단부를 따라 상방으로 연장되는 하우징부와, 상기 하우징부의 상단에서 측부로 돌출되어 상기 댐결합플랜지부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스노클결합플랜지부를 포함하는 댐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부는 상기 댐형성부의 상단보다 낮은 위치의 측부에 관통형성되며 상기 용융아연배출유닛과 연결되어 상기 댐형성부의 상단으로 넘어온 용융아연이 배출되는 배출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형성부 교체가 가능한 스나우트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노클은
    상기 스노클본체에 상기 댐 부재 결합 시 상기 댐 부재의 위치고정이 가능한 유동방지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유동방지수단은 상기 댐결합플랜지부의 폭 방향 일측과 상기 챔버형성부의 가장자리에 상호 치합될 수 있도록 각각 돌출되거나 인입 형성된 위치조정인입부와 위치조정돌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형성부 교체가 가능한 스나우트 장치.
KR1020200138640A 2020-10-23 2020-10-23 댐 형성부 교체가 가능한 스나우트 장치 KR1024077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8640A KR102407797B1 (ko) 2020-10-23 2020-10-23 댐 형성부 교체가 가능한 스나우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8640A KR102407797B1 (ko) 2020-10-23 2020-10-23 댐 형성부 교체가 가능한 스나우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4111A KR20220054111A (ko) 2022-05-02
KR102407797B1 true KR102407797B1 (ko) 2022-06-10

Family

ID=815931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8640A KR102407797B1 (ko) 2020-10-23 2020-10-23 댐 형성부 교체가 가능한 스나우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779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1489B1 (ko) 2017-08-08 2020-07-09 (주)동명기술공단종합건축사사무소 상수도용 배관 플랜지구조
KR102148459B1 (ko) * 2019-05-03 2020-08-26 (주)스텝이엔지 강판 용융아연도금 공정에서의 탕면 이물질제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05204A (ko) 2005-07-05 2007-01-10 주식회사 포스코 아연재 제거성이 우수한 아연도금라인의 스나우트
WO2019175623A1 (en) * 2018-03-12 2019-09-19 Arcelormittal Method for dip-coating a metal strip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1489B1 (ko) 2017-08-08 2020-07-09 (주)동명기술공단종합건축사사무소 상수도용 배관 플랜지구조
KR102148459B1 (ko) * 2019-05-03 2020-08-26 (주)스텝이엔지 강판 용융아연도금 공정에서의 탕면 이물질제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4111A (ko) 2022-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926066A1 (en) Device for removing foreign material from molten metal surface in steel sheet hot-dip galvanizing process
KR101353197B1 (ko) 강판 도금라인의 스나우트 장치
RU2764102C1 (ru) Способ нанесения покрытия на металлическую полосу горячим погружением
KR102559707B1 (ko) 금속 스트립을 딥 코팅하기 위한 방법
KR102407797B1 (ko) 댐 형성부 교체가 가능한 스나우트 장치
KR101144757B1 (ko) 금속 스트립의 딥 코팅용 설비
BR0100006B1 (pt) instalação de revestimento à imersão em contìnuo de uma cinta metálica.
KR100725556B1 (ko) 금속 스트립의 연속식 딥 코팅 방법 및 설비
KR100742915B1 (ko) 아연도금라인의 스나우트용 아연재 제거장치
KR20070005204A (ko) 아연재 제거성이 우수한 아연도금라인의 스나우트
JPH08176773A (ja) 連続溶融めっきのスナウト内フューム付着防止法および装置
RU2488644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нанесения покрытия на протяженное изделие
KR102425769B1 (ko) 스나우트 스노클 냉각장치
CN219951176U (zh) 一种镀锌均匀的热镀锌装置
KR101372705B1 (ko) 도금조 탕면 커버장치
KR102422187B1 (ko) 강판 용융아연도금 공정에서의 스나우트의 내부 이물제거장치
KR101620670B1 (ko) 도금 장치 및 도금 방법
WO2024110603A1 (en) A hot dip coating device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reof
RU114958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нанесения покрытия на протяженное изделие
KR20090112294A (ko) 수직형 용융 아연 도금강판의 도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