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3197B1 - 강판 도금라인의 스나우트 장치 - Google Patents

강판 도금라인의 스나우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3197B1
KR101353197B1 KR1020110109368A KR20110109368A KR101353197B1 KR 101353197 B1 KR101353197 B1 KR 101353197B1 KR 1020110109368 A KR1020110109368 A KR 1020110109368A KR 20110109368 A KR20110109368 A KR 20110109368A KR 101353197 B1 KR101353197 B1 KR 1013531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nout
dam device
dam
plating
zin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93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44972A (ko
Inventor
김태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101093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3197B1/ko
Publication of KR201300449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49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31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31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003Apparatus
    • C23C2/0034Details related to elements immersed in bath
    • C23C2/00342Moving elements, e.g. pumps or mixer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003Apparatus
    • C23C2/0038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pre-treatment chambers located immediately upstream of the bath or occurring locally before the dipping process
    • C23C2/004Snout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04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material
    • C23C2/06Zinc or cadmium or alloys based thereon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325Processes or devices for cleaning the bath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34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material to be treated
    • C23C2/36Elongated material
    • C23C2/40Plates; Strip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ating With Molten Me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강판 도금라인의 스나우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가열로와 도금액이 충진된 도금조 사이에 연계되고, 내부에 도금강판이 통과하는 스나우트 본체; 및 스나우트 본체의 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바깥면은 스나우트 본체의 외측에 배치되며, 중립상태에서 도금액의 표면보다 높게 형성되는 댐장치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댐장치는 그 자체가 구동원에 의하여 스나우트 내부에서 회전됨으로써 낙하한 아연재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으며, 아연재가 낙하한 반대쪽은 댐의 높이를 일정하게 유지함으로써 아연증기의 증발을 억제하는 기 형성된 산화층을 제거하지 않고도 아연재의 제거가 가능하다.

Description

강판 도금라인의 스나우트 장치{Snout apparatus for strip galvanizing Line}
본 발명은 강판 도금라인의 스나우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나우트 내부에 낙하한 아연재를 보다 쉽게 제거하도록 하여 결함정도를 약하게 하며, 탕면의 불안정성을 최소화하여 아연증기의 증발을 억제할 수 있는 강판 도금라인의 스나우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금강판, 특히 용융아연도금강판은 우수한 내식성을 바탕으로 일반 건축용 자재를 비롯하여 엄격한 품질 관리가 필요한 자동차용 외판재까지 사용범위가 확대되고 있다.
특히, 근래에 사용량이 증대되는 자동차용 외판재의 경우, 내식성 못지않게 표면 특성이 매우 중요하게 여겨지고 있기 때문에 엄격한 표면 품질관리가 요구된다.
한편,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용융아연도금 장치를 보인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를 참조하면, 냉간압연된 코일의 도금강판(100)이 페이오프릴(미도시)과 용접기(미도시)를 통하여 연속 통판되면서, 잔류응력을 제거하도록 가열로(110)에서 열처리 되고, 가열된 도금강판(100)은 아연도금에 적당한 온도로 유지되는 상태에서, 도금액(140a) 즉, 용융아연이 충진된 도금조(140)으로 인입된다.
이때, 가열로(110)와 도금조(140) 사이에 연계되는 설비는 고온으로 열처리된 강판이 대기에 노출됨에 따른 표면 산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스나우트(120)(Snout)이다. 스나우트(120)의 내부에는 표면 산화에 의한 강판의 도금불량을 방지하기 위하여 불활성 가스가 충진될 수 있다.
그리고, 가열로(110), 스나우트(120) 및 도금조(140)의 싱크롤(142)과 스테빌라이징롤(144)을 통과한 도금강판(100)은 도금조(140) 직상부에 배치되는 에어나이프(150)에서 요구하는 도금량으로 조정된다.
이후, 도금량이 조정된 도금강판(100)은 조질압연기(미도시)를 거치고, 적정한 표면 조도 부여 및 형상 교정을 거쳐 절단기(미도시)에서 절단된 후, 텐션릴(미도시)에서 권취되어 최종 도금코일 제품으로 생산되는 것이다.
그런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나우트(120)의 내벽(내면)에서는 증발한 아연증기(화살표)가 에쉬(Ash)로 발전하여 응축되는 아연재(A)가 발생되는데, 이와 같은 증발된 아연(입자)이 응축된 아연재(A)는 스나우트(120)의 내벽에 부착 누적되면서 그 크기가 임계수준을 넘어서면, 도금액(140a)의 탕면에 떨어져 부유하다가 도금강판(100)의 표면에 부착되면서 표면결함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여기에서 아연재(A)는, 아연의 증발 및 응축과 스나우트(120) 내부 분위기 가스의 정체, 용융아연의 파동 등과 같은 여러 요인으로 인한 아연증발로 발생되는데, 이와 같은 아연재(A)는 통상 아연(Zn) 및 산화아연(ZnO) 화합물들이다.
따라서, 아연재(A)는 강판 표면에 선상결함 및 미도금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고급 아연도금제품에 있어서 치명적인 결함요인이 되는 것이다.
한편, 이와 같은 스나우트(120) 내부에서의 아연재(A)의 발생을 억제하는 종래의 관련기술들은 아연의 증발을 근본적으로 억제하는 방법이나, 스나우트(120) 내부의 용융아연 탕면의 면적을 감소시키는 방법 또는 가스를 주입하거나 아연재(A)나 아연증기를 제거하는 필터링 방법 등이다.
이러한 방법 중 스나우트(120) 내부의 용융아연 탕면의 면적을 감소시키는 방법으로 댐에 의한 유동 용융아연탕면의 감소방법의 경우 아연증기의 생성을 막는 것은 효과적이나 생성된 아연재(A)가 낙하할 시 댐이 없는 기존의 방법과 비교할 때 아연재(A)의 제거가 쉽지 않은 단점이 있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스나우트 자체를 틸팅시키는 방법이 있으나 이를 위한 장비의 크기가 커지고, 작동 시 진동으로 인하여 오히려 아연재의 낙하를 유발하는 문제가 있었다.
한국공개특허 제2012-0115238호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스나우트 내부에 낙하한 아연재를 보다 쉽게 제거하도록 하여 결함정도를 약하게 하며, 탕면의 불안정성을 최소화하여 아연증기의 증발을 억제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강판 도금라인의 스나우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가열로와 도금액이 충진된 도금조 사이에 연계되고, 내부에 도금강판이 통과하는 스나우트 본체; 및 상기 스나우트 본체의 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바깥면은 상기 스나우트 본체의 외측에 배치되며, 중립상태에서 상기 도금액의 표면보다 높게 형성되는 댐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댐장치는 상기 스나우트 본체를 중심으로 전방 및 후방에 각각 배치되는 제1 댐 및 제2 댐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 댐 및 제2 댐은 회전시에 어느 하나는 도금액에 잠기고, 다른 하나는 도금액에 잠기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댐장치는 상기 스나우트 본체를 중심으로 전방 및 후방에 각각 배치되는 제1 댐 및 제2 댐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 댐 및 제2 댐은 회전시에 도금액에 잠기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댐장치는 별도의 구동원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스나우트 본체와는 독립적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동원은 상기 스나우트 본체의 외측에 설치된 모터이고, 상기 댐장치는 상기 모터와 연결된 스크류잭을 통해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나우트 본체의 외측에는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메탈펌프가 설치되고, 상기 메탈펌프는 상기 스나우트 본체 내부에서 낙하한 아연재를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나우트 본체에는, 내부를 관찰할 수 있는 관측창; 및 원격으로 조정되어 상기 관측창을 통해 내부를 관찰할 수 있는 카메라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독립형 개방 댐장치는 그 자체가 구동원에 의하여 스나우트 내부에서 회동됨으로써 낙하한 아연재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으며, 아연재가 낙하한 반대쪽은 댐의 높이를 일정하게 유지함으로써 아연증기의 증발을 억제하는 기 형성된 산화층을 제거하지 않고도 아연재의 제거가 가능하다.
또한, 기존의 장치는 메탈펌프의 구성위치가 일정 위치에 고정되어 아연재가 메탈펌프의 흡입구에서 멀리 떨어져 있을 경우 제거가 쉽지 않았고 아연증기의 증발을 억제하는 산화층 또한 아연재가 제거될 때까지 지속적으로 부득이 제거하는 수 밖에 없었으나, 구동원에 의하여 전후로 이동하는 메탈펌프를 이용하여 이를 더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어 아연증기의 증발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스나우트 장치를 보인 구성도.
도 2는 용융아연도금 시의 아연증발 메커니즘을 보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판 도금라인의 스나우트 장치를 보인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판 도금라인의 스나우트 장치의 중립 상태를 보인 구성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판 도금라인의 스나우트 장치의 댐 스나우트가 회전된 상태를 보인 구성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강판 도금라인의 스나우트 장치의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판 도금라인의 스나우트 장치를 보인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판 도금라인의 스나우트 장치의 중립 상태를 보인 구성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에 의한 강판 도금라인의 스나우트 장치는 가열로(10)와 도금액(40a)이 충진된 도금조(40) 사이에 연계되고, 내부에 도금강판(1)이 통과하는 스나우트 본체(20); 및 상기 스나우트 본체(20)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바깥면은 상기 스나우트 본체(20)의 외부에 배치되며, 중립상태에서 상기 도금액(40a)의 표면보다 높게 형성되는 댐장치(30)를 포함한다.
냉간압연된 코일의 도금강판(1)은 잔류응력을 제거하도록 가열로(10)에서 열처리되고, 가열된 도금강판(1)은 아연도금에 적당한 온도로 유지되는 상태에서 도금액(40a) 즉, 용융아연이 충진된 도금조(40)로 유입된다.
이때, 가열로(10)와 도금조(40) 사이에 연계되는 스나우트 본체(20)는 고온으로 열처리된 도금강판(1)이 대기에 노출됨에 따른 산화를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스나우트 본체(20)의 내부에는 표면 산화에 의한 강판의 도금불량을 방지하기 위해 불활성 가스가 충진될 수 있다.
스나우트 본체(20)의 단부에는 댐장치(30)가 회전가능하게 댐장치(30)가 설치된다. 댐장치(30)는 스나우트 본체(20)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스나우트 본체(20)와는 독립적으로 회전되게 설치된다. 댐장치(30)는 스나우트 본체(20)의 내부를 중심으로 회전되고, 일부는 스나우트 본체(20)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 댐장치(30)는 스나우트 본체(20)를 중심으로 전방에 위치한 제1 댐(31)과 후방에 위치한 제2 댐(32)으로 구성된다. 도 3에서 댐장치(30)의 전방은 스나우트 본체(20)를 중심으로 우측방향을 나타내고, 후방은 좌측방향을 나타낸다. 제1 댐(31) 및 제2 댐(32)은 바깥면이 스나우트 본체(20)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며, 서로 상대 회전되면서 탕면에서의 오버플로우를 가능하게 한다. 즉, 댐장치(30)는 제1 댐(31) 및 제2 댐(32)에 낙하한 아연재를 용융아연을 스나우트 본체(20)의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회전된다. 한편, 댐장치(30)는 중립상태(도 3 및 도 4의 상태)에서 도금액(40a)의 표면보다 높게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1 댐(31) 또는 제2 댐(32)으로 아연재가 낙하하면 이를 다시 스나우트 본체(20)의 외부로 배출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댐장치(30)를 일방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예를 들어, 제1 댐(31)에 아연재가 유입되면 도 5에서와 같이 댐장치(30)를 회전시킨다. 그러면, 제1 댐(31)이 도금액(40a)에 잠기게 되면서 아연재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2 댐(32)으로 아연재가 유입되면 도 6에서와 같이 반대방향으로 댐장치(30)를 회전시킨다. 그러면, 제2 댐(32)이 도금액(40a)에 잠기게 되면 아연재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댐장치(30)가 스나우트 본체(20)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필요에 따라 댐(31,32)의 내부로 유입된 아연재를 효과적으로 배출시킬 수 있다. 그리고, 댐(31,32) 중에서 어느 하나가 도금액(40a)에 잠기면 반대쪽의 댐은 도금액(40a)에 잠기지 않고 높이를 일정하게 유지함으로써 아연증기의 증발을 억제하는 기 형성된 산화층을 제거하지 않고도 아연재의 제거가 가능하다. 물론, 댐(31,32)은 상술한 바와 같이 양자 중에 어느 하나가 회전되면 반대쪽은 잠기도록 구성할 수도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일반적인 댐장치와 같이 댐(31,32)이 함께 도금액(40a)에 잠기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댐(31,32)이 도 5 및 도 6에서와 같이 좌우방향으로 회전되지 않고 함께 상하방향으로 회전되게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댐장치(30)는 별도의 구동원(미도시)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스나우트 본체(20)와는 독립적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구동원은 예를 들어, 스나우트 본체(20)의 외측에 설치된 모터이고, 댐장치(30)는 모터와 연결된 스크류잭을 통해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스나우트 본체(20)의 전후방 외측에는 각각 메탈펌프(35)가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메탈펌프(35)는 제1 댐(31) 및 제2 댐(32)에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설치된다. 메탈펌프(35)는 스나우트 본체(20)의 전후방으로 이동하면서 아연재를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즉, 메탈펌프(35)가 일정한 장소에 고정되어 있지 않고 스나우트 본체(20)의 전후방으로 이동되기 때문에 아연재가 낙하한 부분만을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아연재의 제거로 인한 아연증기의 증발 억제층(산화층)의 제거를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메탈펌프(35) 또한 별도의 구동원(미도시)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이동되게 설치된다.
한편, 도 4를 참조하면, 스나우트 본체(20)에는 내부를 관찰할 수 있는 관측창(22)과, 원격으로 조정되어 관측창(22)을 통해 내부를 관찰할 수 있는 카메라(24)가 더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가열로(10), 스나우트 본체(20) 및 도금조(40)의 싱크롤(42)과 스테빌라이징롤(44)을 통과한 도금강판(10)은 도금조(40) 직상부에 배치되는 에어나이프(50)에서 요구하는 도금량으로 조정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1 : 도금강판 10 : 가열로
20 : 스나우트 본체 30 : 댐장치
31 : 제1 댐 32 : 제2 댐
35 : 메탈펌프 40 : 도금조
40a : 도금액 42 : 싱크롤
44 : 스테빌라이징롤 50 : 에어나이프

Claims (7)

  1. 가열로와 도금액이 충진된 도금조 사이에 연계되고, 내부에 도금강판이 통과하는 스나우트 본체;
    상기 스나우트 본체의 도금조 쪽 단부에 도금강판을 기준으로 양쪽에 스나우트 본체와 독립적으로 설치된 제1 댐장치 및 제2 댐장치; 및
    스나우트 본체 외측의 상기 제1 댐장치 및 제2 댐장치와 인접한 위치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메탈펌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댐장치 및 제2 댐장치의 각각의 바깥면은 상기 스나우트 본체의 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댐장치 및 제2 댐장치가 회전하지 않은 중립상태에서, 상기 제1 댐장치 및 제2 댐장치의 상단부는 도금액의 표면보다 높게 형성되고,
    상기 제1 댐장치 및 제2 댐장치는 스나우트 본체 내부를 중심으로 좌우방향 또는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메탈펌프는 상기 스나우트 본체 내부에서 낙하한 아연재를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 도금라인의 스나우트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댐장치 및 제2 댐장치 중 어느 하나는, 회전 시에 도금액에 잠기고, 다른 하나는 도금액에 잠기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 도금라인의 스나우트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댐장치 및 제2 댐장치는, 회전 시에 도금액에 잠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 도금라인의 스나우트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댐장치 및 제2 댐장치는, 별도의 구동원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스나우트 본체와는 독립적으로 스나우트 본체 내부를 중심으로 좌우방향 또는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 도금라인의 스나우트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원은 상기 스나우트 본체의 외측에 설치된 모터이고, 상기 제1 댐장치 및 제2 댐장치는 상기 모터와 연결된 스크류잭을 통해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 도금라인의 스나우트 장치.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나우트 본체에는,
    내부를 관찰할 수 있는 관측창; 및
    원격으로 조정되어 상기 관측창을 통해 내부를 관찰할 수 있는 카메라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 도금라인의 스나우트 장치.
KR1020110109368A 2011-10-25 2011-10-25 강판 도금라인의 스나우트 장치 KR1013531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9368A KR101353197B1 (ko) 2011-10-25 2011-10-25 강판 도금라인의 스나우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9368A KR101353197B1 (ko) 2011-10-25 2011-10-25 강판 도금라인의 스나우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4972A KR20130044972A (ko) 2013-05-03
KR101353197B1 true KR101353197B1 (ko) 2014-01-17

Family

ID=486572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9368A KR101353197B1 (ko) 2011-10-25 2011-10-25 강판 도금라인의 스나우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3197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9598B1 (ko) 2020-01-23 2020-07-02 (주)스텝이엔지 전방위 레벨조절 기능을 갖는 스나우트 장치
KR102148459B1 (ko) 2019-05-03 2020-08-26 (주)스텝이엔지 강판 용융아연도금 공정에서의 탕면 이물질제거장치
KR20210112981A (ko) 2020-03-06 2021-09-15 (주)스텝이엔지 레벨조절 기능을 갖는 스나우트 장치
KR20220058382A (ko) 2020-10-30 2022-05-09 (주)스텝이엔지 강판 용융아연도금 공정에서의 스나우트의 내부 이물제거장치
KR20220101065A (ko) 2020-10-30 2022-07-19 (주)스텝이엔지 강판 용융아연도금 공정에서의 스나우트의 내부 이물제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87225A1 (fr) 2016-04-26 2017-11-02 Arcelormittal Installation de revêtement au trempé à chaud et en continu d'une bande métallique et procédé associé
WO2017187226A1 (fr) * 2016-04-26 2017-11-02 Arcelormittal Installation de revêtement au trempé à chaud et en continu d'une bande métallique et procédé associé
WO2019175623A1 (en) 2018-03-12 2019-09-19 Arcelormittal Method for dip-coating a metal strip
KR102115801B1 (ko) * 2018-07-20 2020-05-27 주식회사 포스코 아연도금설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45462A (ja) * 1993-11-24 1995-06-06 Nippon Steel Corp 溶融金属めっき方法及び装置
JPH0995761A (ja) * 1995-09-29 1997-04-08 Kawasaki Steel Corp 連続溶融金属めっきにおけるスナウト内ドロス付着防止装置およびスナウト内ドロス付着防止方法
JP3779272B2 (ja) * 2000-11-10 2006-05-24 ソラック 金属ストリップの浸漬コーティング装置
JP2010229509A (ja) * 2009-03-27 2010-10-14 Jfe Steel Corp 連続溶融金属めっき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45462A (ja) * 1993-11-24 1995-06-06 Nippon Steel Corp 溶融金属めっき方法及び装置
JPH0995761A (ja) * 1995-09-29 1997-04-08 Kawasaki Steel Corp 連続溶融金属めっきにおけるスナウト内ドロス付着防止装置およびスナウト内ドロス付着防止方法
JP3779272B2 (ja) * 2000-11-10 2006-05-24 ソラック 金属ストリップの浸漬コーティング装置
JP2010229509A (ja) * 2009-03-27 2010-10-14 Jfe Steel Corp 連続溶融金属めっき装置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8459B1 (ko) 2019-05-03 2020-08-26 (주)스텝이엔지 강판 용융아연도금 공정에서의 탕면 이물질제거장치
WO2020226364A1 (ko) 2019-05-03 2020-11-12 (주)스텝이엔지 강판 용융아연도금 공정에서의 탕면 이물질제거장치
KR102129598B1 (ko) 2020-01-23 2020-07-02 (주)스텝이엔지 전방위 레벨조절 기능을 갖는 스나우트 장치
KR20210112981A (ko) 2020-03-06 2021-09-15 (주)스텝이엔지 레벨조절 기능을 갖는 스나우트 장치
KR20220058382A (ko) 2020-10-30 2022-05-09 (주)스텝이엔지 강판 용융아연도금 공정에서의 스나우트의 내부 이물제거장치
KR20220101065A (ko) 2020-10-30 2022-07-19 (주)스텝이엔지 강판 용융아연도금 공정에서의 스나우트의 내부 이물제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4972A (ko) 2013-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3197B1 (ko) 강판 도금라인의 스나우트 장치
US20220106674A1 (en) Device for removing foreign material from molten metal surface in steel sheet hot-dip galvanizing process
RU2764102C1 (ru) Способ нанесения покрытия на металлическую полосу горячим погружением
KR102559707B1 (ko) 금속 스트립을 딥 코팅하기 위한 방법
KR20140085175A (ko) 도금욕조용 스나우트장치
KR100725556B1 (ko) 금속 스트립의 연속식 딥 코팅 방법 및 설비
KR20210021103A (ko) 금속 코팅된 강철 스트립의 제조방법
KR100742915B1 (ko) 아연도금라인의 스나우트용 아연재 제거장치
KR20130122312A (ko) 스나우트 장치
KR102466722B1 (ko) 아연도금조의 드로스 제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용융아연 도금 설비
KR20070005204A (ko) 아연재 제거성이 우수한 아연도금라인의 스나우트
KR101670183B1 (ko) 드로스 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드로스 제거방법
KR100526135B1 (ko) 용융아연도금 강판의 표면품질 향상방법
KR101372705B1 (ko) 도금조 탕면 커버장치
KR20140083217A (ko) 아연도금라인의 스나우트내 이물질 제거장치
KR101359253B1 (ko) 부유증발물 부착방지장치
KR102407797B1 (ko) 댐 형성부 교체가 가능한 스나우트 장치
JP4665646B2 (ja) 溶融亜鉛めっき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溶融亜鉛めっき金属帯の製造方法
KR20230166523A (ko) 스나우트 제어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용융아연 도금 설비
KR20230060878A (ko) 스나우트 제어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용융아연 도금 설비
JPH07252620A (ja) 連続溶融金属めっき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