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8382A - 강판 용융아연도금 공정에서의 스나우트의 내부 이물제거장치 - Google Patents

강판 용융아연도금 공정에서의 스나우트의 내부 이물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8382A
KR20220058382A KR1020210070989A KR20210070989A KR20220058382A KR 20220058382 A KR20220058382 A KR 20220058382A KR 1020210070989 A KR1020210070989 A KR 1020210070989A KR 20210070989 A KR20210070989 A KR 20210070989A KR 20220058382 A KR20220058382 A KR 202200583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dip galvanizing
snout
snorkel
impe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09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22187B1 (ko
Inventor
문병원
Original Assignee
(주)스텝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스텝이엔지 filed Critical (주)스텝이엔지
Priority to PCT/KR2021/013336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2092592A1/ko
Publication of KR202200583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8382A/ko
Priority to KR1020220083452A priority patent/KR1024566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21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21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003Apparatus
    • C23C2/0032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batch coating of substrate
    • C23C2/00322Details of mechanisms for immersing or removing substrate from molten liquid bath, e.g. basket or lifting mechanism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003Apparatu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003Apparatus
    • C23C2/0034Details related to elements immersed in bath
    • C23C2/00342Moving elements, e.g. pumps or mixer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04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material
    • C23C2/06Zinc or cadmium or alloys based thereon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34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material to be treated
    • C23C2/36Elongated material
    • C23C2/40Plates; Strip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ating With Molten Me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강판 용융아연도금 공정에서의 탕면 이물질제거장치는 단부가 용융아연도금조의 탕면에 잠기어 용융아연도금조로 유입되는 강판을 감싸 산화를 방지하기 위한 스노클부와, 상기 스노클부의 단부로부터 상기 강판과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감싸며 용융아연도금조 내의 용융아연도금액이 스노클부의 내주면 측으로 넘치도록 하여 스노클부 내의 탕면으로 떨어진 이물질이 강판에 부착되지 못하도록 하는 댐형성부를 가진 댐유닛을 포함하는 스나우트와; 상기 스노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댐유닛의 댐형성부를 넘친 용융아연도금액과 그 상부에 부유하여 있는 이물질을 스노클부 외부측의 용융아연도금조 내로 배출할 수 있도록 탕면보다 낮은 용융아연도금액의 내부에 위치되며, 댐형성부를 넘친 용융아연을 배출할 있도록 스노클부와 유입구에 의해 연결되고 상부에 구동축 또는 임펠러가 삽입되는 임펠러삽입구가 형성된 유도가이드부와; 상기 유도가이드부의 하부측에 설치되는 펌프하우징과; 상기 펌프하우징의 내부에 위치되며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축의 단부에 설치되는 임펠러와, 상기 유도가이드부에 형성된 임펠러삽입구를 차단하여 상기 임펠러삽입구를 통하여 용융아연도금액과 외기가 펌프하우징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외부유입조절판을 구비한 용융아연배출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강판 용융아연도금 공정에서의 스나우트의 내부 이물제거장치{Internal foreign matter removal apparatus of snout in hot dip galvanizing process}
본 발명은 스나우트의 내부 이물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스노클부 내의 이물질이 아연도금 되는 강판의 표면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여 강판의 아연도금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강판 용융아연도금 공정에서의 스나우트의 내부 이물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용융아연도금공정은 냉간압연공정을 거친 강판을 가열로에서 열처리하여 성형성과 도금 밀착성이 우수한 코일로 만든 후, 페이오프릴(미도시)과 용접기(미도시)를 통하여 연속 통판되면서, 잔류응력을 제거 하도록 가열로(소둔로)에서 열처리 된다. 열처리된 강판은 아연도금에 적당한 온도로 유지되는 상태에서, 도금액 즉, 용융아연이 충진된 용융아연도금조로 유입된다.
용융아연도금조의 온도는 대략 460℃를 유지하게 되는데, 아연의 융점이 420℃로서 용융아연도금조 내에서 아연은 항상 용융상태에 있게 되므로 상부로 아연 흄이 지속적으로 증발한다.
용융아연도금을 위해서 강판은 스나우트의 내부를 통해서 용융아연도금조 내로 연속적으로 공급되어 싱크롤을 감아 돌아 나오면서 아연도금이 행해진 후, 에어나이프에 의해 도금량이 제어되거나, 도금층의 합금화를 위하여 상기 에어나이프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있는 합금화로에 진입되어 합금화 열처리가 된다. 그리고 연속적으로 에어 냉각대에서 냉각되어 탑롤을 향해 전진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스나우트 내부에서 측정한 아연 증발량은 용융아연도금조의 크기에 따라 차이는 있으나 코일상의 강판을 도금하기 위한 용융아연도금조의 경우, 시간당 1-2ℓ정도로서, 상당히 많은 양의 증발이 일어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아연 증발물인 애쉬(ash, 이하 '이물질'이라 함)는 스나우트 상부까지 확산됨으로써 스나우트의 내면에 부착되고, 자중에 의해 스나우트 내의 탕면으로 낙하하게 된다. 탕면으로 낙하 된 애쉬 즉, 이물질은 부유하면서 도금되는 강판의 표면에 부착되거나 강판 진행 방향으로 간헐적 또는 연속적인 띠를 형성하게 되어 강판의 아연도금 품질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상기 스나우트는 끝단이 용융아연도금조에 잠기고, 끝단의 내부에는 강판의 테두리를 따라 사각형태의 높이를 갖는 댐이 설치되며, 댐의 주벽과 스나우트의 끝단 주벽 사이에는 흡입관이 구비되어 강판이 용융아연도금조에 인입할 때 발생하는 이물질을 댐의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스나우트의 측면에 장착된 메탈펌프와 연결된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 1806078호에는 스나우트의 메탈펌프가 게시되어 있으며,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842168호에는 아연도금라인용 드로스 제거장치가 게시되어 있다.
게시된 스나우트 메탈펌프는 스나우트의 하부에 배출관이 구비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상단에 모터가 장치되어 하우징 내부를 밀폐하도록 결합되며, 하우징 내부의 모터의 구동축에 스크류회전축이 연결되고, 스크류회전축의 끝단에 스크류가 장치되어 배출관 내에 배치되는 스크류뭉치를 구비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메탈펌프는 하우징이 탕면의 상부측으로 노출되어 있으므로 외기가 유입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유입된 외기는 용탕내부의 산화 및 기포가 스나우트의 내부로 들어가 강판의 산화 및 애쉬 등과 같은 이물질의 발생을 증가시키게 된다.
본원 발명인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스나우트 내부의 탕면 이물질 제거장치를 출원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0831061호로 등록 받았다.
그리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53197호에는 강판도금라인의 스나우트 장치가 게시되어 있다. 게시된 스나우트 장치는 가열로와 도금액이 충진된 도금조 사이에 연계되고 내부에 도금강판이 통과하는 스나우트 본체, 상기 스나우트 본체의 도금조 쪽 단부에 도금강판을 기준으로 양쪽에 스나우트 본체와 독립적으로 설치된 제1댐장치 및 제2 댐장치 및 스나우트 본체 외측의 상기 제1 댐장치 및 제2 댐장치와 인접한 위치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메탈펌프를 포함한 구성을 가진다.
이러한 메탈펌프는 일부가 탕면으로 노출되어 있으므로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없다. 특히, 도금액이 제 1,2댐장치를 월류해 메탈펌프에 의해 펌핑될 때 펌프실 내부가 지속적으로 흡입력(진공)이 발생되어 도금액의 수위가 낮아지면, 펌프실과 댐장치를 연결하는 연결부가 개방된다. 이어서 펌프실의 흡인력에 의해 탕면에 노출된 임펠러축수부의 틈새를 통하여 외기가 펌프실을 경유하여 스나우트 내부로 역류하여 강판을 산화시키거나 다량의 아연증발물이 스나우트 내부로 유입하여 강판표면에 치명적인 결함을 유발하는 원인이 된다. 또한 유입된 일부의 외기가 도금액과 함께 용융아연도금조 내로 펌핑되어 용탕의 산화 및 미세 기포에 포함된 이물질에 의한 오염을 일으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482319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403921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461739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53197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강판 용융아연도금 공정 시 스나우트(snout) 내의 탕면에 부상된 이물질이 스나우트 내에서 강판으로 이동되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강판 용융아연도금 공정에서의 스나우트의 내부 이물제거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용융아연배출유닛에 의해 외기가 스나우트 내부로 유입되어 발생시키는 강판의 산화 및 오염을 방지하고 또한 용융아연도금조의 내부로 유입되어 용탕의 산화를 방지하고, 용융아연도금액과 함께 유입되는 기포 주변의 이물질이 도금조를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는 강판 용융아연도금 공정에서의 스나우트의 내부 이물제거장치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강판 용융아연도금 공정에서의 스나우트의 내부 이물제거장치는 단부가 용융아연도금조의 탕면에 잠기어 용융아연도금조로 유입되는 강판을 감싸 산화를 방지하기 위한 스노클부와, 상기 스노클부의 단부로부터 상기 강판과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감싸며 용융아연도금조 내의 용융아연도금액이 스노클부의 내주면 측으로 넘치도록 하여 스노클부 내의 탕면으로 떨어진 이물질이 강판에 부착되지 못하도록 하는 댐형성부를 가진 댐유닛을 포함하는 스나우트와;
상기 스노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댐유닛의 댐형성부를 넘친 용융아연도금액과 그 상부에 부유하여 있는 이물질을 스노클부 외부측의 용융아연도금조 내로 배출할 수 있도록 탕면보다 낮은 용탕의 내부에 위치되며, 댐형성부를 넘친 용융아연을 배출할 있도록 스노클부와 유입구에 의해 연결되고 상부에 구동축 또는 임펠러가 삽입되는 임펠러삽입구가 형성된 유도가이드부와; 상기 유도가이드부의 하부측에 설치되는 펌프하우징과;
상기 펌프하우징의 내부에 위치되며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축의 단부에 설치되는 임펠러와, 상기 유도가이드부에 형성된 임펠러삽입구를 차단하여 상기 임펠러삽입구를 통하여 용융아연도금액과 외기가 펌프하우징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외부유입조절판을 구비한 용융아연배출유닛;을 포함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외부유입조절판은 펌프하우징의 임펠러삽입구를 차단할 수 있도록 중앙부에 상기 구동축이 삽입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임펠러삽입구를 차단하며, 하면에는 상기 펌프하우징과 결합되는 위치결합부를 더 구비한다.
상기 외부유입조절판의 상부측의 구동축에 구동축과 임펠러의 회전에 의해 소용돌이가 발생되어 외기가 펌프하우징 측으로 유입되어 용융아연도금액과 구동축의 산화 및 침식을 방지하는 소용돌이방지부재가 설치된다.
상기 외부유입조절판의 구동축에 고정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유도가이드부의 상면에는 유도가이드 내의 기체를 외부로 방출하는 것으로, 배출구가 상기 용탕의 내부에 위치되는 기체배출부재가 더 구비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강판 용융아연도금 공정에서의 스나우트의 내부 이물제거장치는 단부가 용융아연도금조의 탕면에 잠기어 용융아연도금조로 유입되는 강판을 감싸 산화를 방지하기 위한 스노클부와, 상기 스노클부의 단부로부터 상기 강판과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감싸며 용융아연도금조 내의 용융아연도금액이 스노클부의 내주면 측으로 넘치도록 하여 스노클부 내의 탕면으로 떨어진 이물질이 강판에 부착되지 못하도록 하는 댐형성부를 가진 댐유닛을 포함하는 스나우트와;
상기 스노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댐유닛의 댐형성부를 넘친 용융아연도금액을 스노클부 외부측의 용융아연도금조 내로 펌핑하여 댐형성부를 넘친 용융아연도금액에 포함된 이물질이 상기 용융아연도금액의 내부로 펌핑할 수 있도록 탕면보다 낮은 용탕의 내부에 위치되며, 댐형성부를 넘친 용융아연을 배출할 있도록 스노클부와 유입구가 연결되고 상부에 구동축 또는 임펠러가 삽입되는 임펠러삽입구가 형성된 유도가이드부와;
상기 유도가이드부의 하부측에 형성된 관통공에 설치되는 펌프하우징과;
상기 펌프하우징에 지지되는 서포트부재와, 상기 서포트부재의 단부에 설치된 모터와,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축의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는 임펠러를 포함하는 펌프를 구비하는 용융아연배출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강판 용융아연도금 공정에서의 스나우트의 내부 이물제거장치는 스노클부로 유입되는 용융아연도금액 및 이물질을 스노클부 용융아연도금조의 용탕으로 펌핑 시 임펠러 축수부를 통하여 외기가 스나우트 내부 및 도금조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강판 용융아연도금 공정에서의 탕면 이물질제거장치는유도가이드부의 상부에 형성된 임펠러삽입구를 통하여 임펠러의 결합 및 분리할 수 있으므로 용융아연배출유닛의 유지보수가 용이하다. 또한 구동축의 회전으로 구동축과 용탕의 접촉부위 소용돌이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용융아연도금액이 구동축을 따라 상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강판 용융아연도금 공정에서의 스나우트의 내부 이물제거장치를 나타내 보인 측단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강판 용융아연도금 공정에서의 탕면 이물질제거장치의 단면도,
도 3 도 4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용융아연배출유닛을 발췌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5은 본 발명에 따른 용융아연배출유닛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6 내지 9은 용융아연배출유닛의 배출부를 통하여 배출되는 배출방향을 가변시키기 위한 용융아연유도배출부들을 발췌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10은 용융아연 배출유닛의 ?? 다른 실시예를 나태내 보인 단면도,
도 11 내지 도 13은 용융아연배출유닛의 외부유입조절판이 구동축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 보인 단면도,
도 14 본 발명의 소용돌이방지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 보인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강판 용융아연도금 공정에서의 스나우트의 내부 이물제거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 보인 측단면도.
도 16 내지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용융아연배출유닛의 또 다른 실시예들을 나타내 보인 단면도.
본 발명에 따른 강판 용융아연도금 공정에서의 스나우트의 내부 이물제거장치의 실시예를 도 1 내지 도 5에 나타내 보였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강판 용융아연도금 공정에서의 스나우트의 내부 이물제거장치(10)는 용융아연도금조(150)에 설치되어 고온으로 열처리된 강판(200)이 대기에 노출됨에 따른 표면 산화를 방지한다. 또한 용융아연도금액의 증기가 응축되어 형성된 애쉬(Ash)가 강판(200)의 표면에 이물질로서 부착되어 표면결함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강판 용융아연도금 공정에서의 스나우트의 내부 이물제거장치(10)는 단부가 용융아연도금조(150)의 탕면(1)에 잠기어 용융아연도금조(150)로 유입되는 강판(200)을 감싸서 산화를 방지하기 위한 스나우트(40)를 구비한다. 상기 스나우트(40)를 이루는 것으로, 스나우트의 하부측에는 용융아연도금조(150)에 그 하단부가 잠기는 스노클부(20)가 구비된다. 상기 스노클부(20)는 이의 하단부로부터 스노클부(20)를 통과하는 강판(200)의 외주면과 인접되도록 내측 상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스노클부(20) 내의 탕면으로 떨어진 이물질이 강판에 부착되지 못하도록 하는 댐유닛(30)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스노클부(20)에 설치되어 상기 댐유닛(30)의 댐형성부(32)을 넘친 용융아연도금액을 용융아연도금조(150) 내로 펌핑하여 상기 스노클부(20)의 내부에 부상된 이물질이 강판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용융아연배출유닛(50)을 구비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강판 용융아연도금 공정에서의 스나우트의 내부 이물제거장치(10)를 구성요소별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스나우트(40)를 이루는 스노클부(20)는 열처리로(미도시)와 상기 용융아연도금조(150)의 사이의 용융아연도금조(150) 측에 설치되어 열처리를 위하여 가열된 강판(200)이 공기와 접촉되어 산화되는 방지할 수 있도록 롤러들에 의해 가이드 되어 용융아연도금조(150)로 유입되는 강판(200)을 감싸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스나우트(40)는 사각관의 각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단위부재들과 스노클부(20)가 결합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나우트(40)는 단부의 스노클부(20)의 일부가 용융아연도금조(150)에 잠기거나 들릴 수 있도록 회동시키는 별도의 액튜에이터(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댐유닛(30)은 스노클부(20)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도로 제작되어 결합될 수 있다. 이 댐유닛(3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노클부(20)의 내부 즉, 스노클부(20)의 내부공간을 통하여 용융아연도금조(150)로 유입된 강판이 통과하는 강판유입구(31)를 형성하는 댐형성부(32)와, 상기 댐형성부(32)의 하단부와 스노클부(20)의 하단부를 연결하여 상기 강판유입구(31)를 통하여 넘친 용융아연의 저장공간(34)을 형성하는 챔버형성부(33)를 구비한다.
상기 댐유닛(30)의 댐형성부(32)의 상단부는 상기 스노클부(20)가 용융아연도금조(150)에 잠긴 상태에서 스노클부(20) 내의 탕면(1)과 그 높이가 일치되거나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에 위치된다.
따라서 용융아연도금조(150) 내의 용융된 용융아연도금액(2)이 강판(200)이 통과하는 강판유입구(31)를 통하여 유입되어 댐형성부(32)를 넘쳐 상기 챔버형성부(33)에 의해 형성된 저장공간(34)에 저장된다.
상기 댐유닛(30)은 상술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상기 스노클부(20)의 내의 에쉬를 포함하는 부유물 또는 이물질이 상기 강판유입구(31)를 통과하는 강판(200)의 표면에 부착되지 않도록 강판유입구(31)를 통과하는 용융아연도금액이 도금되는 강판(200)의 표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도록 하는 구조이면 가능하다.
예컨대, 상기 댐형성부는 스노클부의 내의 중앙부에 독립된 사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강판의 전면 및 배면과 대응되는 측에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댐형성부(32)의 상단부측에는 이물질이 강판유입구(31)를 통하여 유입되는 용융아연도금액(2)에 편승된 이물질이 상기 저장공간으로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유도배출홈(32a)이 형성될 수 있다.(도 5참조)
상기 용융아연배출유닛(50)은 상기 댐유닛(30)의 댐형성부(32)를 넘쳐 챔버형성부(33)에 의해 형성되는 저장공간(34)에 저장된 용융아연도금액(2)을 스노클부(20) 외부의 상기 용융아연도금조(150)로 배출하여 용융아연도금조(150) 내의 용융아연도금액(2)이 지속적으로 상기 강판유입구(31)를 통하여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용융아연배출유닛(50)은 상기 스노클부(20)에 설치되어 상기 댐유닛(30)의 댐형성부(32)를 넘쳐 저장공간(34)에 저장된 용융아연을 배출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유입부(51)와 내부공간(56)을 가지며 탕면으로부터 소정깊이의 용탕내부에 위치되도록 설치되는 유도가이드부(55)를 구비한다. 상기 유도가이드부재(55)는 상기 댐유닛(30)의 댐형성부(32) 상면의 높이보다 낮은 위치의 스노클부(20)에 설치된다. 이는 유도가이드부(55)의 임펠러삽입구(52)를 통하여 외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함이다.
상기 유도가이드부(55)의 상면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구동축(63) 또는 임펠러(64)가 삽입되는 임펠러삽입구(52)가 형성되고, 유도가이드부(55)의 하면에는 펌프하우징(61)이 설치된다. 상기 임펠러삽입구(52)는 상기 펌프하우징(61)과 동일한 직경을 가지거나 더 큰 직경을 가질 수 있고, 또한 상기 임펠러삽입구(52)는 구동축(63)보다 더 큰 직경을 가질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펌프하우징(61)의 배출부(61a)는 실질적으로 임펠러삽입구(52)의 직경과 동일한 원통형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그리고 상기 펌프하우징(61)에 설치되는 임펠러(64)는 상기 유입부(51) 상단측의 높이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에 설치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펌프하우징(61)의 배출부(61a)에는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펌프하우징(61)의 배출구(61a)로부터 배출되는 용융아연도금액(2)을 용융아연도금조(150)의 측면 또는 탕면측으로 유도하는 용융아연유도배출부(69)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펌프하우징(61)의 배출구(61a) 단부측 외주면에는 반원, 사각, 마름모 형태의 개방부(61c)가 형성되어 용융아연도금액(2)의 배출방향을 다양화 할 수 있으며, 배출저항을 줄일 수 있다.
그리고 펌프하우징(61)에는 상기 임펠러삽입구를 통하여 펌프하우징(61)의 내부에 위치되며 스나우트의 측면에 설치되는 모터(62)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축(63)에 설치된 임펠러(64)가 설치된다. 상기 유도가이드부(55)에는 상기 임펠러삽입구(52)를 차단하여 상기 임펠러삽입구(52)를 통하여 외기와 스나우트 외부측의 용융아연도금액(2)이 유도가이드부(55)의 내부공간(56)과 펌프하우징(61)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외부유입조절판(66)이 설치된다. 상기 구동축을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62)는 스노클부(20) 또는 상기 외부유입조절판(66) 또는 유도가이드부(55)의 상면에 설치된 서포트부재(62a)들에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용융아연배출유닛(50)에 있어서, 상기 용융아연도금조(150)의 용탕내부에 설치되는 유도가이드부(55)의 내부공간(56)은 임펠러삽입구(52)를 통하여 유입된 외기가 스나우트(4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과, 상기 댐유닛(30)의 저장공간(34)을 연결하는 유입부(51)을 통하여 유입되는 용융아연도금액(2)에 포함된 기포가 상부측으로 유동되도록 하여 포집 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유입부(51)을 통하여 배출되는 용융아연도금의 배출속도가 빨라 상기 저장공간(34)의 용융아연도금액(2)의 수위가 낮아지는 짐으로써 유입부(51)로 유입되는 기포가 유도가이드부(55)의 내부공간 상부로 유동되어 포짐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한데, 이를 위하여 상기 유입부(51)는 상기 유도가이드부(55) 내의 하부측에 위치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유도가이드부(55)의 상면측에는 상기 유도가이드부(55)의 내부공간에 포집된 공기를 용융아연도금의 내부 또는 탕면의 밖으로 배출하기 위한 관상의 기체배출유닛(57)을 더 구비한다.
상기 기체배출유닛(57)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도가이드부(55)의 상면측에는 상기 유도가이드부(55)의 내부공간에 포집된 공기를 용융아연도금의 내부 또는 탕면의 밖으로 배출하기 위한 기체배출관(57a)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유입부(51)는 도 4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댐유닛(30)의 챔버형성부(33)의 하면과 유도가이드부(55)의 측면 또는 하면을 연결하는 다른 형태의 유도배출관(58)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유도가이드부(55)와 댐유닛(30)의 저장공간(34)를 연결하는 유입부(51)는 챔버형성부(33)와 유도가이드부(55)의 하면을 연결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외부유입조절판(66)은 펌프하우징(61)의 임펠러삽입구(52)를 차단할 수 있도록 중앙부에 상기 구동축(63)이 삽입되는 관통공(66a)이 형성되고 임펠러삽입구(52)를 차단할 수 있도록 임펠러삽입구(52)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진다. 그리고 상기 외부유입조절판(66)의 하면과 유도가이드부(55)에는 상기 유도가이드부(55)와 결합되는 위치를 한정하기 위한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위치결합부(67)가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위치결합부(67)는 상기 외부유입조절판(66)의 하면에 적어도 하나의 위치결합돌기(67a)가 형성되고, 상기 유도가이드부(55)에는 위치결합돌기(67a)와 결합되는 위치결합홈(67b)이 형성된다. 또한 외부유입조절판(66)의 형태는 판형, 마름모, 삼각형 등 다양한 형태를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외부유입조절판(66)은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축(63)에 설치되어 구동축(63)과 같이 회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유도가이드부(55)의 임펠러삽입구(52)로 용융아연도금조(150) 내의 용융아연도금액(2)이 임펠러삽입구(52)를 통하여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도 11 내지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펠러삽입구(52)의 가장자리 또는 외부유입조절판(66)의 가장자리는 소정폭의 스커트부(66b)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외부유입조절판(66)의 상부측 구동축(63)에는 구동축(63)과 임펠러(64)의 회전에 의해 용융아연도금액(2)이 펌핑되면서 소용돌이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며 소용돌이의 발생 시 외기가 유도가이드부(55)의 내부공간(56)으로의 기포 유입과 구동축(63)의 산화 및 침식을 방지하는 소용돌이방지부재(70)가 더 구비된다. 상기 소용돌이방지부재(70)는 구동축(63)에 끼워지는 튜브형, 디스크형, 절두원추형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지 않고 소용돌이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예컨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62)에 지지된 원통형의 커버(75)가 구동축(63)을 감싸며 그 단부가 탕면에 잠기는 구조 혹은 탕면에서 약간 이격되어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에는 표시하지 않았지만 커버(75) 내부에 질소와 같은 불활성 가스를 공급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소용돌이방지부재(70) 및 커버(75)는 용융된 아연이 부착되지 않은 카본, 세라믹 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용융아연배출유닛(50)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 14에 나타내 보였다.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가리킨다.
상기 유도가이드부(55)는 댐유닛(30)의 댐형성부(32)를 넘친 용융아연도금액(2)을 스노클부(20) 외부측의 용융아연도금조(150) 내로 펌핑하여 댐형성부(32)를 넘친 용융아연도금액에 포함된 이물질이 상기 용융아연도금조(150)의 내부로 펌핑할 수 있도록 탕면보다 낮은 용탕의 내부에 위치되며 댐유닛(30)의 저장공간(34)과 유입부(51)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유도가이드부(55)의 하면에는 지지공(91)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유도가이드부(55)에는 외부유입조절판(66)과 하우징(61)이 모터(62)와 구동축(63)과 임펠러(64)가 일체형으로 구성된 펌프(90)이 설치된다.
상기 펌프(90)의 펌프하우징(92)은 원통형의 형상을 가지며 그 상부에 플랜지부(93)가 형성되어 상기 지지공(91)의 가장자리에 지지된다. 상기 펌프하우징(92)의 플랜지부(93)에는 서포트부재(94)가 설치된다. 상기 서포트부재(94)는 유도가이드부(55)의 상면에 형성된 임펠러삽입구(52)를 통하여 탕면의 상부로 연장되어 모터(62)를 지지한다. 그리고 상기 서포트부재(94)에는 상기 외부유입조절판(66)이 지지된다. 상기 모터(62)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축(63)의 단부에는 펌프하우징(92)의 내부에 설치되는 임펠러(64)가 설치된다.
한편, 상기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유도가이드부(55)을 연결하는 유입부(51)는 댐형성부(32)의 상단부 보다 낮은 위치에 위치된다. 또한 상기 구동축(63)과 모터(62)의 회전축은 커플러(97)에 의해 연결되는데, 상기 커플러(97)에는 구동축(63)으로부터의 열이 상기 모터(62)의 회전축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단열재(98) 설치될 수 있다.
도 16 내지 18에는 본 발명에 따른 용융아연배출유닛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 보였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가리킨다.
본 발명에 따른 유도가이드부(55)는 댐유닛(30)의 댐형성부(32)를 넘친 용융아연도금액(2)을 스노클부(20) 외부측의 용융아연도금조(150) 내로 펌핑하여 댐형성부(32)를 넘친 용융아연도금액에 포함된 이물질이 상기 용융아연도금조(150)의 내부로 펌핑할 수 있도록 탕면보다 낮은 용탕의 내부에 위치되며 댐유닛(30)의 저장공간(34)과 유입부(51)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유도가이드부(55)의 하면에는 펌프하우징(61)이 형성되고, 상기 펌프(62)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축(63)의 단부에는 상기 펌프하우징(61)에 위치되어 유압부(51)를 통하여 유도가이드부(55)의 내부로 유입되는 용융아연도금액(2)을 배출부(61)을 통하여 배출하기 위한 임펠러(64)가 설치된다.
그리고 펌프하우징(61)와 대응되는 상기 임펠러삽입구(52)에는 유도가이드부(55)를 통하여 유입되는 용유아연도금액(2)을 상부로 배출하기 위한 상부펌핑부(80)가 구비된다. 상기 상부펌핑부(80)는 상기 펌프하우징(61)과 대응되는 유도가이드부(55)의 상면에 상부펌프하우징(81)이 설치된다. 상기 상부펌프하우징(81)은 원통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단측에는 반경방향으로 지지플렌지부(82)가 형성된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펌프하우징(61)의 직경과 상부펌프하우징(81)의 직경은 상호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펌프하우징(81)에는 상기 구동축(63)에 의해 회전되는 상부임펠러(83)가 설치되어 상기 유도가이드부(55) 내의 용융아연도금액(2)를 용융아연도금조(150) 내의 탕면측으로 펌핑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임펠러(83)와 임펠러(64)는 동일한 구동축(63)에 고정되어 동시에 회전되지만, 배출방향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배출하도록 임펠러들의 배출방향이 다르게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41
한편, 상기 상부임펠러(83)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임펠러(64)의 직경보다 상부펌프하우징(81) 및 상부임펠러(83)의 직경을 작게하여 펌프하우징(61)의 배출구(61a)를 통하여 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펌프하우징(81)의 직경과 상부임펠러(83)의 직경을 유도가이드부(55)의 하부측에 위치되는 펌프하우징(61)과 임펠러(64)의 직경보다 크게 하여 상부펌핑부(80)를 통하여 유도가이드부(55) 내의 용융아연도금액(2)을 주 배출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강판 용융아연도금 공정에서의 스나우트의 내부 이물제거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노클부(20)의 단부가 탕면(1) 수위보다 낮은 위치에 위치하도록 스노클부(20)의 하부를 용융아연도금조(150)의 용탕 내에 일정 부분 침지시키면, 용융아연도금조(150) 내의 용융아연도금액(2)이 댐형성부(32)를 월류하여 챔버형성부(33)에 의해 구획된 저장공간(34)에 저장된다. 이때에 상기 스노클부(20)에 형성된 유도가이드부(55)와 임펠러(64)가 설치된 펌프하우징(61)은 용융아연도금조(150)의 탕면으로부터 소정의 깊이 인입된 용융아연도금액(2)에 잠기게 된다.
이 상태에서, 용융아연배출유닛(50)의 모터(62)가 작동되면, 임펠러(64)가 회전되면서 저장공간(34) 내의 용융아연도금액(2)이 유도가이드부(55)의 내부공간(56)으로 유입된 후, 펌프하우징(61)의 내부에 설치된 임펠러(64)에 펌프하우징(61)의 배출부(61a)를 통하여 상기 용융아연도금조(150) 내의 용융아연도금액(2)으로 배출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상기 댐유닛(30)의 강판유입구(31)을 통하여 유입된 후 저장공간(34)로 흐르는 용융아연도금액(2)은 스나우트 내부의 애쉬를 포함한 기체와 상기 유입구(51)을 통하여 유도가이드부(55)의 내부공간(56)으로 유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유도가이드부(55)의 내부공간으로 유입된 용융아연도금액(2)에 포함된 기체(기포)는 분리되어 상부로 이동되고, 용융아연도금액(2)은 배출부(61a)를 통하여 배출된다. 따라서 임펠러에 의해 펌핑되는 용융아연도금액(2)에 스나우트의 내부의 기체가 편승되어 상기 용융아연도금조(150) 내의 용탕 즉, 용융아연도금액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외기의 유입은 근본적으로는 유도가이드부(55)가 탕면에 잠기게 구성되어 있고 소용돌이방지부재(70) 등이 구비되어 있어 외기의 유입을 방지하지만 혹시 임펠러삽입구(52) 혹은 관통공(66a)을 통하여 유입될 수 있는 외부기체는 상기 유도가이드부(55)의 내부공간의 상부에 위치되는 관상의 기체배출부재(57)를 통하여 탕면측으로 배출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펌핑되는 용융아연도금액(2)에 편승된 공기 즉, 기포에 의해 강판 혹은 용융아연도금액의 산화를 방지할 수 있으며, 이 기포 가 상기 스노클부(20)로 유입되어 도금되는 강판(200)의 표면에 부착되어 결합을 유발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상기 탕면과 접촉되는 부위의 구동축(63)에는 도 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용돌이방지부재(70)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일부의 용융아연도금액(2)이 관통공(66a)을 통하여 유도가이드부(55)의 내부공간(56)으로 일부 유입 되는 것을 차단함과 아울러 구동축(63)의 회전에 의한 소용돌이 현상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용융아연도금액(2)이 상기 구동축(63)를 따라 상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용융아연배출유닛(50)을 수리하기 위해서는 펌프하우징(61)과 유도가이드부(55)를 스노클부(20)으로부터 분리하지 않고, 유도가이드부(55)와 외부유입조절판(66)을 분리하여 구동축과 같이 펌프하우징(61)에 삽입된 임펠러를 임펠러삽입구(52)를 통하여 분리 할 수 있다. 따라서 용융아연 배출유닛의 유지보수가 용이하다.
한편, 도 16 내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도가이드부(55)의 상면측에 상부펌핑부(80)가 형성되고, 하부측에 배출을 위한 임펠러하우징(61)와 모터의 구동축에 임펠러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유입부(51)를 통하여 유도가이드부(55) 내로 유입된 용융아연도금액(2)은 유도가이드부(55)의 상하부측으로 배출된다. 따라서 유도가이드부(55) 내의 용융아연도금액(2)의 배출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유도가이드부(55)의 상면측으로부터 내부공간(56)으로 외기의 유입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상술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강판 용융아연도금 공정에서의 스나우트의 내부 이물제거장치는 용융아연도금배출유닛에 의해 댐유닛의 저장공간으로 유입되는 용융아연도금액의 펌핑 시, 기존의 임펠러 축수부측이 외기와 통하도록 구성되어 발생되는 외기의 스나우트 내부 유입에 의한 강판 결함 발생과 용융아연도금액과 함께 같이 외기 즉, 기포형태의 외기가 용융아연도금조(150) 내로 유입되어 도금액이 산화되는 것과 기포주변에 포함된 이물질이 도금되는 강판의 표면에 부착되어 결함을 유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강판 용융아연도금 공정에서의 스나우트의 내부 이물제거장치는 강판 용융아연도금 공정에서의 탕면 이물질제거장치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7)

  1. 단부가 용융아연도금조의 탕면에 잠기어 용융아연도금조로 유입되는 강판을 감싸 산화를 방지하기 위한 스노클부와, 상기 스노클부의 단부로부터 상기 강판과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감싸며 용융아연도금조 내의 용융아연도금액이 스노클부의 내주면 측으로 넘치도록 하여 스노클부 내의 탕면으로 떨어진 이물질이 강판에 부착되지 못하도록 하는 댐형성부를 가진 댐유닛을 포함하는 스나우트와;
    상기 스노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댐유닛의 댐형성부를 넘친 용융아연도금액과 그 상부에 부유하여 있는 이물질을 스노클부 외부측의 용융아연도금조 내로 배출할 수 있도록 탕면보다 낮은 용융아연도금액의 내부에 위치되며, 댐형성부를 넘친 용융아연을 배출할 있도록 스노클부와 유입구에 의해 연결되고 상부에 구동축 또는 임펠러가 삽입되는 임펠러삽입구가 형성된 유도가이드부와;
    상기 유도가이드부의 하부측에 설치되는 펌프하우징과;
    상기 펌프하우징의 내부에 위치되며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축의 단부에 설치되는 임펠러와, 상기 유도가이드부에 형성된 임펠러삽입구를 차단하여 상기 임펠러삽입구를 통하여 용융아연도금액과 외기가 펌프하우징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의 차단을 조절하는 외부유입조절판을 구비한 용융아연배출유닛;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 용융아연도금 공정에서의 스나우트의 내부 이물제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유입조절판은 펌프하우징의 임펠러삽입구을 차단할 수 있도록 중앙부에 상기 구동축이 삽입되는 관통공이 형성되며 하면에는 유도가이드부재와 결합되는 위치결합부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 강판 용융아연도금 공정에서의 스나우트의 내부 이물제거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임펠러삽입구와 배출부의 직경이 상기 임펠러의 직경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 용융아연도금 공정에서의 스나우트의 내부 이물제거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유입조절판의 상부 구동축 부분에 구동축과 임펠러의 회전에 의해 소용돌이가 발생되어 외기가 펌프하우징 측으로 유입과 구동축의 산화 및 침식을 방지하는 소용돌이방지부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 용융아연도금 공정에서의 스나우트의 내부 이물제거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유입조절판이 구동축에 고정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 용융아연도금 공정에서의 스나우트의 내부 이물제거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가이드부의 상면에 설치되어 유도가이드내의 기체를 외부로 방출하는 것으로, 배출구가 상기 용융아연도금액의 내부에 위치되는 기체배출유닛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 용융아연도금 공정에서의 스나우트의 내부 이물제거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하우징의 배출부에 설치되어 상기 펌프하우징의 배출부로부터 배출되는 용융아연도금액을 측면 또는 상면측으로 유도하는 용융아연유도배출부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 용융아연도금 공정에서의 스나우트의 내부 이물제거장치.
  8. 제 1항, 제 2항, 제 4항 내지 제 7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가이드부와 스노클부를 연결하는 유입부의 위치가 상기 댐형성부의 상단부보다 낮은 측에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 용융아연도금 공정에서의 스나우트의 내부 이물제거장치.
  9. 제 1항, 제 2항, 제 4항 내지 제 7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가이드부는 댐유닛의 댐형성부의 상단부보다 낮은 측에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 용융아연도금 공정에서의 스나우트의 내부 이물제거장치.
  10. 제 1항, 제 2항, 제 4항 내지 제 7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댐형성부의 단부측에 이물질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유도배출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 용융아연도금 공정에서의 스나우트의 내부 이물제거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위치조절판에 모터를 지지하는 서포트부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 용융아연도금 공정에서의 스나우트의 내부 이물제거장치.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임펠러는 유입부의 상부측보다 더 낮은 위치에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 용융아연도금 공정에서의 스나우트의 내부 이물제거장치.
  13. 단부가 용융아연도금조의 탕면에 잠기어 용융아연도금조로 유입되는 강판을 감싸 산화를 방지하기 위한 스노클부와, 상기 스노클부의 단부로부터 상기 강판과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감싸며 용융아연도금조 내의 용융아연도금액이 스노클부의 내주면 측으로 넘치도록 하여 스노클부 내의 탕면으로 떨어진 이물질이 강판에 부착되지 못하도록 하는 댐형성부를 가진 댐유닛을 포함하는 스나우트와;
    상기 스노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댐유닛의 댐형성부를 넘친 용융아연도금액을 스노클부 외부측의 용융아연도금조 내로 펌핑하여 댐형성부를 넘친 용융아연도금액에 포함된 이물질이 상기 용융아연도금재의 내부로 펌핑할 수 있도록 탕면보다 낮은 용탕의 내부에 위치되며, 댐형성부를 넘친 용융아연을 배출할 있도록 스노클부와 유입구가 연결되고 상부에 임펠러 또는 구동축이 삽입될 수 있는 임펠러삽입구가 형성된 유도가이드부와;
    상기 유도가이드부의 하부측에 형성된 관통공에 설치되는 펌프하우징과, 상기 펌프하우징에 지지되는 서포트부재와, 상기 서포트부재의 단부에 설치된 모터와,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축의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는 임펠러를 포함하는 펌프와, 상기 유도가이드부에 형성된 임펠러삽입구를 차단하여 상기 임펠러삽입구를 통하여 용융아연도금액과 외기가 펌프하우징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외부유입조절판을 구비한 용융아연배출유닛;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 용융아연도금 공정에서의 스나우트의 내부 이물제거장치.
  14. 단부가 용융아연도금조의 탕면에 잠기어 용융아연도금조로 유입되는 강판을 감싸 산화를 방지하기 위한 스노클부와, 상기 스노클부의 단부로부터 상기 강판과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감싸며 용융아연도금조 내의 용융아연도금액이 스노클부의 내주면 측으로 넘치도록 하여 스노클부 내의 탕면으로 떨어진 이물질이 강판에 부착되지 못하도록 하는 댐형성부를 가진 댐유닛을 포함하는 스나우트와;
    상기 스노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댐유닛의 댐형성부를 넘친 용융아연도금액을 스노클부 외부측의 용융아연도금조 내로 펌핑하여 댐형성부를 넘친 용융아연도금액에 포함된 이물질이 상기 용융아연도금재의 내부로 펌핑할 수 있도록 탕면보다 낮은 용탕의 내부에 위치되며, 댐형성부를 넘친 용융아연을 배출할 있도록 스노클부와 유입구가 연결되고 상부에 임펠러 또는 구동축이 삽입될 수 있는 임펠러삽입구가 형성된 유도가이드부와;
    상기 유도가이드부의 하부측에 설치되는 펌프하우징과,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축의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펌프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는 임펠러와, 상기 펌프하우징과 대응되는 유도가이드부에 설치되어 유도가이드부 내의 용융아연도금액을 탕면측으로 펌핑하는 상부펌핑부를 포함하는 용융아연배출유닛;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 용융아연도금 공정에서의 스나우트의 내부 이물제거장치.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용융아연배출유닛의 상부펌핑부는 상기 펌프하우징과 대응되는 유도가이드부의 상부측에 설치되는 상부펌프하우징과, 상기 구동축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펌프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는 상부임펠러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 용융아연도금 공정에서의 스나우트의 내부 이물제거장치.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펌프하우징와 상부임펠러의 직경은 상기 임펠러와 펌프하우징의 직경보다 크거나 작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 용융아연도금 공정에서의 스나우트의 내부 이물제거장치.
  17. 제 15항에 있어서 동일 회전축에 상부임펠러와 임펠러가 2개 구성되고 각 각의 임펠러들을 배출방향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 용융아연도금 공정에서의 스나우트의 내부 이물제거장치.
















KR1020210070989A 2020-10-30 2021-06-01 강판 용융아연도금 공정에서의 스나우트의 내부 이물제거장치 KR1024221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1/013336 WO2022092592A1 (ko) 2020-10-30 2021-09-29 강판 용융아연도금 공정에서의 스나우트의 내부 이물제거장치
KR1020220083452A KR102456643B1 (ko) 2020-10-30 2022-07-07 강판 용융아연도금 공정에서의 스나우트의 내부 이물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3815 2020-10-30
KR20200143815 2020-10-30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3452A Division KR102456643B1 (ko) 2020-10-30 2022-07-07 강판 용융아연도금 공정에서의 스나우트의 내부 이물제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8382A true KR20220058382A (ko) 2022-05-09
KR102422187B1 KR102422187B1 (ko) 2022-07-18

Family

ID=815820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0989A KR102422187B1 (ko) 2020-10-30 2021-06-01 강판 용융아연도금 공정에서의 스나우트의 내부 이물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2187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76405A (ko) * 2008-12-26 2010-07-06 주식회사 포스코 연속 용융 도금라인의 스나우트 내 이물질 제거장치 및 그 방법
KR20130085135A (ko) * 2012-01-19 2013-07-29 (주)스텝이엔지 스나우트의 이물질 배출 액츄에이터
KR101353197B1 (ko) 2011-10-25 2014-01-17 주식회사 포스코 강판 도금라인의 스나우트 장치
KR20140028047A (ko) * 2011-05-06 2014-03-07 그런포스 매니지먼트 에이/에스 펌프 조립체
KR101461739B1 (ko) 2012-12-21 2014-11-14 주식회사 포스코 도금욕조의 부유 이물질 포집장치
KR101482319B1 (ko) 2012-11-07 2015-01-13 주식회사 포스코 도금욕조의 탕면 이물질 제거장치
KR101806078B1 (ko) * 2017-07-07 2017-12-06 최경철 스나우트의 메탈펌프
KR102148459B1 (ko) * 2019-05-03 2020-08-26 (주)스텝이엔지 강판 용융아연도금 공정에서의 탕면 이물질제거장치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76405A (ko) * 2008-12-26 2010-07-06 주식회사 포스코 연속 용융 도금라인의 스나우트 내 이물질 제거장치 및 그 방법
KR20140028047A (ko) * 2011-05-06 2014-03-07 그런포스 매니지먼트 에이/에스 펌프 조립체
KR101353197B1 (ko) 2011-10-25 2014-01-17 주식회사 포스코 강판 도금라인의 스나우트 장치
KR20130085135A (ko) * 2012-01-19 2013-07-29 (주)스텝이엔지 스나우트의 이물질 배출 액츄에이터
KR101403921B1 (ko) 2012-01-19 2014-06-09 (주)스텝이엔지 스나우트의 이물질 배출 액츄에이터
KR101482319B1 (ko) 2012-11-07 2015-01-13 주식회사 포스코 도금욕조의 탕면 이물질 제거장치
KR101461739B1 (ko) 2012-12-21 2014-11-14 주식회사 포스코 도금욕조의 부유 이물질 포집장치
KR101806078B1 (ko) * 2017-07-07 2017-12-06 최경철 스나우트의 메탈펌프
KR102148459B1 (ko) * 2019-05-03 2020-08-26 (주)스텝이엔지 강판 용융아연도금 공정에서의 탕면 이물질제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2187B1 (ko) 2022-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926066A1 (en) Device for removing foreign material from molten metal surface in steel sheet hot-dip galvanizing process
US567652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hibiting oxidation in pumps for pumping molten metal
US9643247B2 (en) Molten metal transfer and degassing system
US20190270134A1 (en) Transfer Pump Launder System
US8366993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gassing molten metal
US9855600B2 (en) Molten metal transfer system and rotor
JP5505430B2 (ja) 鋼帯の連続焼鈍炉及び連続焼鈍方法
US20200360989A1 (en) Molten metal controlled flow launder
US20140265068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mponent maintenance
US8104424B2 (en) Device for applying coatings to lengthy products
KR20220058382A (ko) 강판 용융아연도금 공정에서의 스나우트의 내부 이물제거장치
KR102456643B1 (ko) 강판 용융아연도금 공정에서의 스나우트의 내부 이물제거장치
WO2014050082A1 (ja) スナウト内異物排出装置
JP4700527B2 (ja) 連続溶融金属めっき設備
KR200438129Y1 (ko) 스나우트 내부의 탕면 보호막 생성장치
US20210095366A1 (en) Tube pump for removing dross during galvanizing
JP5057359B2 (ja) 溶融メッキ浴槽のスナウト内の清浄装置
JP2005264224A (ja) 連続溶融金属めっき設備のスナウト内異物除去装置
JPH0765148B2 (ja) 溶融亜鉛浴槽
GB2109269A (en) Apparatus for the separation of metallic zinc from residues containing zinc
JP2905836B2 (ja) 浴中ドロスの分離排出方法と装置
JP2980902B1 (ja) 溶融めっき用シンクロール
KR20240035193A (ko) 임펠러샤프트 냉각유닛을 구비한 메탈펌프
EP4215637A1 (en) Device for cleaning a snout in a hot-dip galvanization installation
WO2024110603A1 (en) A hot dip coating device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