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2319B1 - 도금욕조의 탕면 이물질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도금욕조의 탕면 이물질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2319B1
KR101482319B1 KR20120125673A KR20120125673A KR101482319B1 KR 101482319 B1 KR101482319 B1 KR 101482319B1 KR 20120125673 A KR20120125673 A KR 20120125673A KR 20120125673 A KR20120125673 A KR 20120125673A KR 101482319 B1 KR101482319 B1 KR 1014823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plate unit
collecting
collecting plate
discharge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201256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59060A (ko
Inventor
김정국
장태인
지창운
권용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201201256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2319B1/ko
Publication of KR201400590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90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23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23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325Processes or devices for cleaning the bath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04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material
    • C23C2/06Zinc or cadmium or alloys based thereon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34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material to be treated
    • C23C2/36Elongated material
    • C23C2/40Plates; Strip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ating With Molten Metal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도금욕조의 탕면 이물질 제거장치는, 개구된 하부가 도금욕조에서 용탕에 잠기도록 제공된 밀폐케이스; 및 상기 밀폐케이스 내에서 용탕면에 부유하는 탑 드로스를 포집하여 상기 밀폐케이스의 배출구로 밀어 배출시키는 포집수단;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밀폐케이스 내에서 용탕면에 부유하는 탑 드로스를 포집하여 밀폐케이스의 배출구로 밀어 배출시키는 포집수단을 구비함으로써, 포집판이 용탕면 상의 탑 드로스를 모두 포집하여 배출구 측으로 이동시키면 작업자가 탑 드로스를 용이하게 배출제거할 수 있음에 따라, 원활한 탑 드로스 제거에 의한 제품표면 결함 발생요인을 억제하여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도금욕조의 탕면 이물질 제거장치{Apparatus for collecting top dross of plating bath}
본 발명은 도금욕조의 탕면 이물질 제거장치로서, 밀폐케이스 내에서 용탕면에 부유하는 탑 드로스를 포집하는 도금욕조의 탕면 이물질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용융 아연도금설비는 고온스트립 표면에 아연 피막을 도금하기 위해 아연 잉곳을 450℃이상의 고온 용융상태로 용해시켜 고온 스트립 표면에 아연 피막을 도금하는 용탕 설비이다.
이러한 용융 아연도금설비는, 외기와의 온도차 및 수직스트립 표면에 충돌 후 용탕면으로 유동하는 가스 와이핑 장치('에어나이프'라고도 함)의 토출 와이핑 에어와의 접촉에 의한 아연산화 등으로 인해 도금욕조 용탕면에 응고 아연인 탑 드로스(top dross)가 상시 발생하게 된다.
특히, 도금 스트립의 내식성 강화, 표면 품질 개선 등을 위해 알루미늄, 망간, 실리콘 등 다양한 합금 원소 성분이 첨가되면서 외부 인자(온도차, 와이핑 가스접촉에 따른 산화 등)에 의한 탑 드로스 발생량이 크게 증가하게 된다.
이러한 탑 드로스는 아연 용탕면에 부유하게 되고, 도금스트립 표면에 다시 응착되어 가스 와이핑 장치의 가스 와이핑 과정에서 스트립 표면에 충돌하는 에어에 의한 비산으로 도금 표면에 결함을 발생시키는 주요 원인이 되고 있으며, 도금욕조 하부로 침전된 드로스는 싱크롤과 스트립 사이에 침투되어 도금 표면 결함 발생 및 싱크롤 표면손상의 주요 원인이 되고 있다.
이러한 탑 드로스 발생 억제를 위한 방안으로, 가스 와이핑 장치에서 에어 대신 질소(N2) 와이핑을 함으로써, 에어 접촉에 의한 산화를 최소화하고 탑 드로스 발생을 저감시키고 있다.
또한, 고품질/고급 제품의 도금스트립 생산을 위해, 질소 와이핑과 함께 대기와의 접촉을 차단하기 위해 가스 와이핑 장치 주변에 별도의 밀폐케이스(sealing box)를 설치해 탑 드로스 발생을 최소화하고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라 용융도금설비에서 밀폐케이스 내부의 드로스 유동을 나타낸 개략도 및 평면도이다.
탑 드로스(9) 및 침전 드로스의 유동 형태는, 가스 와이핑 장치(3) 하단에서 시작해 도금욕조(10) 외측부로 이동하며, 용탕면 하부로 침전된 드로스는 싱크롤(4)과 스트립(2) 구동에 의해 용탕(1) 내부를 유동하고, 일부는 싱크롤(4)과 스트립(2) 사이로 유입되어 스트립(2) 표면 및 싱크롤(4) 표면손상을 발생시키게 되므로, 탑 드로스(9)의 주기적인 제거가 필요하다.
도금 스트립(2) 고급제품 생산을 위해 가스 와이핑 장치(3) 주변에 설치되는 밀폐케이스(Seal box)(6)의 경우, 내/외부 공간이 차단되고 밀폐케이스(6) 하단에 낮은 높이의 협소한 작업창(6b)을 통해 내부 용탕면의 탑 드로스(9)를 제거하는 형태로서, 밀폐케이스(6)의 길이가 길고, 폭이 넓어 작업자가 별도의 취공구를 이용해 수작업으로 드로스를 제거하는데 공간적 제약과 작업 편의성 저하가 발생한다.
나아가, 넓은 스트립(2)의 폭에 대한 탑 드로스(9)의 동시 포집 및 제거가 어렵다.
밀폐케이스(6) 내부 용탕면에 발생된 탑 드로스(9)의 유동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폐케이스(6) 가장자리 부분으로 유동되며, 특히 스트립(2) 폭방향 양 에지 부분에 정체, 누적되는 드로스는 스트립(2) 도금면에 재흡착 또는 침전되어 싱크롤(4) 표면에 부착됨으로써 도금표면 결함 발생의 주요 원인이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밀폐케이스 내에서 용탕면에 부유하는 탑 드로스를 포집하여 밀폐케이스의 배출구로 밀어 배출시키는 포집수단을 구비하는 도금욕조의 탕면 이물질 제거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금욕조의 탕면 이물질 제거장치는, 개구된 하부가 도금욕조에서 용탕에 잠기도록 제공된 밀폐케이스; 및 상기 밀폐케이스 내에서 용탕면에 부유하는 탑 드로스를 포집하여 상기 밀폐케이스의 배출구로 밀어 배출시키는 포집수단;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포집수단은, 상기 밀폐케이스 내 용탕면 상에 이동가능하게 배치된 지지대; 상기 지지대에 회동되게 설치되어 하방 회동 시 일부가 용탕면에 잠기는 포집판; 및 상기 포집판을 회동 시키고, 상기 지지대를 상기 밀폐케이스의 배출구 측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상기 포집판과 상기 지지대는, 상기 포집판이 하방 회동 시 탄성 복원력이 발생하는 탄성부재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집판의 하방 회동 시 회동각을 제한하기 위해, 상기 지지대 또는 포집판에는 서로에 대해 걸리도록 스토퍼가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밀폐케이스의 배출구 측으로 연장되어 일단이 상기 포집판에 연결되고, 상기 밀폐케이스의 배출구 반대 측으로 연장되어 타단이 상기 지지대에 연결된 구동로프; 및 상기 구동로프의 일단과 타단 사이에 감기며, 회전하면서 상기 구동로프를 이동시키는 구동풀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포집판은, 두 개의 판유닛이 회동 가변형 구조로 연결되며, 상부가 상기 지지대에 회동되게 연결되며, 상기 구동로프가 연결된 제1 판유닛; 및 자중에 의해 하방 수직으로 배치되도록 상기 제1 판유닛의 하부에 회동되게 연결된 제2 판유닛;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판유닛이 상기 밀폐케이스 배출구 측으로 회동되는 것을 제한하기 위해, 상기 제1 판유닛 또는 제2 판유닛에는 서로에 대해 걸리도록 걸림바가 장착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포집판을 위한 구동부는, 상기 밀폐케이스의 배출구 측으로 연장되어 일단이 상기 포집판에 연결되고, 상기 밀폐케이스의 배출구 반대 측으로 연장되어 타단이 상기 포집판에 연결된 구동로프; 및 상기 구동로프의 일단과 타단 사이에 감기며, 회전하면서 상기 구동로프를 이동시키는 구동풀리;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포집판은 두 개의 판유닛이 슬라이드 가변형 구조로 연결되며, 상부가 상기 지지대에 회동되게 연결된 제1 판유닛; 및 상기 제1 판유닛에 상하방향 슬라이드 이동되게 체결되며, 상기 구동로프가 상기 밀폐케이스의 배출구 측으로 하방 연장되어 일단이 연결된 제2 판유닛;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구동로프는 타단이 상측으로부터 상기 제2 판유닛과 연결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판유닛과 제2 판유닛 중 하나에는 가이드 돌출라인이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에는 상기 가이드 돌출라인과 대응되는 가이드 홈라인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제2 판유닛이 상기 제1 판유닛으로부터 탈거되는 것을 제한하도록, 상기 제1 판유닛과 제2 판유닛 중 하나에는 걸림쇠가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에는 상기 걸림쇠와 대응되는 걸림단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밀폐케이스에는 유도관 고정대가 설치되며, 상기 유도관 고정대에는 상기 구동로프를 홀드하면서 가이드하는 유도관이 장착된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지지대는 양단부에 리니어 가이더가 장착되고, 상기 밀폐케이스는 상기 지지대의 양단부가 외부로 돌출되어 이동되도록 이동슬릿이 형성되고, 상기 이동슬릿 하측에 상기 리니어 가이더가 안착되어 이동되는 가이드 레일이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도금욕조의 탕면 이물질 제거장치는, 밀폐케이스 내에서 용탕면에 부유하는 탑 드로스를 포집하여 밀폐케이스의 배출구로 밀어 배출시키는 포집수단을 구비함으로써, 포집판이 용탕면 상의 탑 드로스를 모두 포집하여 배출구 측으로 이동시키면 작업자가 탑 드로스를 용이하게 배출제거할 수 있음에 따라, 원활한 탑 드로스 제거에 의한 제품표면 결함 발생요인을 억제하여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 및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라 용융도금설비에서 밀폐케이스 내부의 드로스 유동을 나타낸 개략도 및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금욕조의 탕면 이물질 제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도금욕조의 탕면 이물질 제거장치가 탑 드로스를 제거하는 것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금욕조의 탕면 이물질 제거장치가 구동하는 것을 상세하게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포집판이 구동하는 것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포집판이 구동하는 것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8은 도 7의 포집판에서 두 개의 판유닛이 슬라이드 가변형 구조인 것을 나타낸 확대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도금욕조의 탕면 이물질 제거장치는, 밀폐케이스 내에서 용탕면에 부유하는 이물질을 포집하여 밀폐케이스의 배출구로 밀어 배출시키는 포집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이물질 중 대부분을 탑 드로스(Top dross)가 차지하는데,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일례로서 상기 이물질을 탑 드로스라고 지칭하기로 한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금욕조의 탕면 이물질 제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의 도금욕조의 탕면 이물질 제거장치가 탑 드로스를 제거하는 것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금욕조의 탕면 이물질 제거장치가 구동하는 것을 상세하게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실링된 구조물과, 상기 구조물 내에 설치된 포집수단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구조물은 산화를 최소화하기 위해 외부와 차단시키는 밀폐케이스(10)가 활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밀폐케이스(10)는 개구된 하부가 도금욕조에서 용탕(1)에 잠기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밀폐케이스(10)는 가스 와이핑 장치(3)의 질소 와이핑과 함께 스트립(2)에 대해서 에어 접촉에 의한 산화를 저감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결국에는 탑 드로스(9)의 발생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집수단은 밀폐케이스(10) 내에 배치되는 지지대(20), 상기 지지대(20)에 설치된 포집판(40), 및 상기 지지대(20)와 포집판(40)을 구동시키는 구동부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지대(20)는 밀폐케이스(10) 내 용탕면 상에 이동가능하게 배치된다. 이와 같은 지지대(20)는 포집판(40)이 설치되어 지지되는 지지부재로서, 구동부에 의해 밀폐케이스(10)의 배출구(10a) 측으로 이동된다.
또한, 상기 포집판(40)은 지지대(20)에 회동되게 설치되어 하방 회동 시 일부가 용탕(1)에 잠겨서, 지지대(20)가 밀폐케이스(10)의 배출구(10a) 측으로 이동 시 용탕면에 부유되는 탑 드로스(9)를 밀폐케이스(10) 측으로 밀어서 옮길 수 있다.
그러면, 먼저 상기 지지대(20)와 포집판(40)의 연결구성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포집판(40)과 지지대(20)는 포집판(40)이 하방 회동 시 탄성 복원력이 발생하는 탄성부재(70)로 연결될 수 있다.
포집판(40)은 용탕면의 탑 드로스(9)를 제거 시에만 용탕면에 잠기도록 배치되어야 하는데, 아울러 탑 드로스(9)를 제거하지 않는 경우에는 용탕면으로부터 상방 이격되게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탄성부재(70)의 일단부가 지지대(20)에 체결되어 위치고정되고 타단부가 포집판(40)에 체결된 상태에서, 포집판(40)이 구동부 구동로프(31)의 인력에 의해 하방 회동하게 되면 탄성부재(7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포집판(40)이 원상태로 복구하려는 힘이 발생하며, 이때 구동로프(31)의 인력이 없어지면 포집판(40)은 상방 회동되어 다시 원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탄성부재(70)는 일례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20)의 체결봉(71)에 감긴 형상으로 일단부가 지지대(20) 하부에 체결되고 타단부가 포집판(40)의 하부에 체결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상기 포집판(40)의 하방 회동 시 회동각을 제한하기 위해, 지지대(20) 또는 포집판(40)에는 서로에 대해 걸리도록 스토퍼(80)가 장착될 수 있다.
포집판(40)은 용탕면의 탑 드로스(9)를 제거 시 용탕면에 잠긴 상태를 유지해야 하는데, 구동부 구동로프(31)의 인력에 의해 하방 회동하는 각이 너무 커지면 용탕면에 잠겼다가 이를 지나쳐 반대편까지 올라감으로써 용탕면으로부터 떨어지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포집판(40)의 하방 회동각을 제한하는 스토퍼(80)가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 스토퍼(80)는 포집판(40)과 지지대(20)가 서로에 대해 걸리도록 구성되면 될 뿐, 그 장착위치에 대해서는 한정되지 않고 지지대(20)와 포집판(40) 중 하나 또는 둘 다에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스토퍼(80)는 일례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삼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지지대(20)의 하면에 장착될 수 있으며, 나아가 사각 형상 등의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하방 회동되는 포집판(40)의 막음으로써 포집판(40)의 하방 회동각을 제한할 수 있으면 될 뿐, 그 형상에 대해서는 본 발명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상기 지지대(20)가 밀폐케이스(10)에 대해 배출구(10a) 측으로 이동가능한 구조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지지대(20)는 하방 회동되어 용탕(1)에 감긴 포집판(40)을 밀폐케이스(10)의 배출구(10a) 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밀폐케이스(10)에 이동가능하게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지지대(20)는 양단부에 리니어 가이더(21)가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밀폐케이스(10)는 지지대(20)의 양단부가 외부로 돌출되어 이동되도록 이동슬릿이 형성되며, 상기 이동슬릿 하측에 상기 지지대(20)의 리니어 가이더(21)가 안착되어 이동할 수 있는 가이드 레일(22)이 상기 밀폐케이스(10)의 양측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지지대(20)는 밀폐케이스(10) 내의 폭 전체를 따라 이동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지지대(20)를 따라 이동하는 포집판(40)은 용탕면 상의 탑 드로스(9)를 모두 포집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포집판(40)을 회동 시키고 지지대(20)를 이동시키는 구동부에 대해 살펴보면, 상기 구동부는 일단이 포집판(40)에 연결되고 타단이 지지대(20)에 연결된 구동로프(31)와, 상기 구동로프(31)가 감기며 회전에 의해 구동로프(31)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구동시키는 구동풀리(32)를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동로프(31)는 밀폐케이스(10)의 배출구(10a) 측으로 연장되어 일단이 상기 포집판(40)에 연결되고, 밀폐케이스(10)의 배출구(10a) 반대 측으로 연장되어 타단이 상기 지지대(20)에 연결된다.
즉, 구동로프(31)는 일측에서는 밀폐케이스(10)의 배출구(10a) 반대 측에서 배출구(10a) 측으로 이어지면서 일단이 포집판(40)에 연결고정되고, 타측에서는 밀폐케이스(10)의 배출구(10a) 측에서 배출구(10a) 반대 측으로 이어지면서 타단이 지지대(20)에 연결고정된다.
이러한 구동로프(31)는 바람직하게 밀폐케이스(10) 내면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된 유도관(12)에 감겨서, 밀폐케이스(10)의 구조물을 따라 전체적으로 이어지는 구조를 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유도관(12)은 밀폐케이스(10)에 설치된 유도관 고정대(11)에 장착되며, 이러한 유도관(12)은 방향전환되는 구동로프(31)를 홀드하면서 가이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풀리(32)는 구동로프(31)의 일단(31a)과 타단 사이에 배치되어 구동로프(31)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거나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구동로프(31)를 이동시키면 될 뿐, 그 위치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바람직하게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폐케이스(10)의 일 모서리에 위치고정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구동부에 의해, 포집판(40)과 지지대(20)는 구동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포집판(40)이 용탕면에 부유하는 탑 드로스(9)를 포집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구동풀리(32)를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포집판(40)에 연결된 구동로프(31)의 일단(31a)을 밀폐케이스(10)의 배출구(10a) 측으로 잡아당기면, 포집판(40)이 하방 회동하여 하단부가 용탕(1)에 잠기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구동로프(31)의 일단(31a)을 계속해서 잡아당기면, 포집판(40)이 스토퍼(80)에 의해 고정되거나 탄성부재(70)의 탄성력에 의해 더 이상 회전하지 않게 됨으로써, 포집판(40)이 체결된 지지대(20)가 가이드 레일(22)을 따라 밀폐케이스(10)의 배출구(10a) 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동원리에 의해 밀폐케이스(10) 내의 용탕면에 부유되는 탑 드로스(9)를 모두 포집하여 밀폐케이스(10)의 배출구(10a) 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그런 다음 배출구(10a)에 장착된 내열천막(10b)을 올려서 작업자가 탑 드로스(9)를 외부로 배출시켜 제거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구동순서를 역으로 하게 되면 포집판(40)의 처음의 위치 및 상태로 다시 돌아오게 된다.
즉, 구동풀리(32)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지지에 연결된 구동로프(31)의 타단(31b)을 밀폐케이스(10)의 배출구(10a) 반대 측으로 잡아당기면 지지대(20)가 배출구(10a) 반대 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와 더불어 구동로프(31)가 전체적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이동함으로써 구동로프(31)의 일단(31a)도 배출구(10a) 반대 측으로 이동함으로써, 하방 회동된 포집판(40)이 탄성부재(7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다시 상방 회동되어 원상태로서 용탕(1)으로부터 상방 이격된 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용탕면이 상측의 포집판(40)으로부터 하측으로 일정 길이 이상의 간격이 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를 대비하여 상기 포집판(40)의 하방 회동 시 하측으로의 길이가 가변되는 구조를 취할 수 있다.
이에 대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포집판(50)을 도 6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포집판이 구동하는 것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포집판(50)은 두 개의 판유닛이 회동 가변형 구조로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포집판(50)은 상부가 지지대(20)에 회동되게 연결되고 구동로프(31)가 연결된 제1 판유닛(51)과, 자중에 의해 하방 수직으로 배치되도록 상기 제1 판유닛(51)의 하부에 회동되게 연결된 제2 판유닛(52)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판유닛(51)은 상술된 실시예에서의 일 부재로 이루어진 포집판(도 5의 40)과 동일구조 및 동작을 이루기 때문에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판유닛(52)은 제1 판유닛(51)의 하부에 회동되게 연결되되 자중에 의해 하방 수직으로 배치될 수 있는데, 이에 따라 제1 판유닛(51)이 용탕(1)과 이격된 상태에서는 용탕면과 상방 이격된 배치구조를 이루며, 제1 판유닛(51)이 하방 회동된 경우에는 용탕(1)에 잠기는 배치구조를 이룰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판유닛(52)이 밀폐케이스(10) 배출구(10a) 측으로 회동되는 것을 제한하기 위해, 제1 판유닛(51) 또는 제2 판유닛(52)에는 서로에 대해 걸리도록 걸림바(53)가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걸림바(53)는 일례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판유닛(52)의 상부에 장착되었다.
참고로, 도 6에서 미설명된 도면부호는 도 3 내지 도 5의 설명부분에서 상술되었기 때문에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포집판이 구동하는 것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8은 도 7의 포집판에서 두 개의 판유닛이 슬라이드 가변형 구조인 것을 나타낸 확대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포집판(60)은 두 개의 판유닛이 슬라이드 가변형 구조로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포집판(60)은 상부가 상기 지지대(20)에 회동되게 연결된 제1 판유닛(61)과, 상기 제1 판유닛(61)에 상하방향 슬라이드 이동되게 체결되며, 상기 구동로프(31)가 상기 밀폐케이스(10)의 배출구(10a) 측으로 하방 연장되어 일단이 연결된 제2 판유닛(62)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판유닛(61)은 상술된 실시예에서의 일 부재로 이루어진 포집판(도 5의 40)과 동일구조 및 동작을 이루기 때문에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판유닛(62)은 제1 판유닛(61)에 상하방향 슬라이드 이동되게 체결될 수 있는데, 이에 따라 제1 판유닛(61)이 용탕(1)과 이격된 상태에서는 용탕면과 상방 이격된 배치구조를 이루며, 제1 판유닛(61)이 하방 회동된 경우에는 용탕(1)에 잠기는 배치구조를 이룰 수 있다.
구체적으로, 구동로프(31)의 타단(31b)이 상술된 실시예들과는 달리 포집판(60)에 연결되는데, 더욱 구체적으로는 포집판(60)의 제2 판유닛(62)과 연결되되 상측으로부터 제2 판유닛(62)과 연결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제1 판유닛(61)이 용탕(1)과 이격된 상태에서는 구동로프(31)의 타단(31b)이 제2 판유닛(62)을 상측으로 당기고 있는 상태로서, 이러한 상태에서는 제2 판유닛(62)은 상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제1 판유닛(61)을 타고 상방 슬라이드 이동하게 됨으로써, 용탕면과 상방 이격된 배치구조를 이루게 된다.
또한, 제1 판유닛(61)이 하방 회동 시에는 구동로프(31)의 타단(31b)이 제2 판유닛(62)을 상측으로 당기지 않는 상태로서, 제2 판유닛(62)은 하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제1 판유닛(61)을 타고 하방 슬라이드 이동하게 됨으로써, 용탕(1)에 잠기게 된다.
이때, 상기 제1 판유닛(61)과 제2 판유닛(62) 중 하나에는 가이드 돌출라인(63)이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에는 상기 가이드 돌출라인(63)과 대응되는 가이드 홈라인(64)이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서, 도면에서는 상기 가이드 돌출라인(63)은 제1 판유닛(61)에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홈라인(64)은 제2 판유닛(62)에 형성되었다.
또한, 상기 제2 판유닛(62)이 제1 판유닛(61)으로부터 탈거되는 것을 제한하도록, 상기 제1 판유닛(61)과 제2 판유닛(62) 중 하나에는 걸림쇠(65)가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에는 상기 걸림쇠(65)와 대응되는 걸림단(66)이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서, 도면에서는 상기 걸림쇠(65)는 제2 판유닛(62)에 형성되고, 상기 걸림단(66)은 제1 판유닛(61)에 형성되었다.
참고로, 도 7 및 도 8에서 미설명된 도면부호는 도 3 내지 도 5의 설명부분에서 상술되었기 때문에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밀폐케이스(10) 내에서 용탕면에 부유하는 탑 드로스(9)를 포집하여 밀폐케이스(10)의 배출구(10a)로 밀어 배출시키는 포집수단을 구비함으로써, 포집판(40)(50)(60)이 용탕면 상의 탑 드로스(9)를 모두 포집하여 배출구(10a) 측으로 이동시키면 작업자가 탑 드로스(9)를 용이하게 배출제거할 수 있음에 따라, 원활한 탑 드로스(9) 제거에 의한 제품표면 결함 발생요인을 억제하여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 밀폐케이스 10a : 배출구
10b : 내열천막 11 : 유도관 고정대
12 : 유도관 20 : 지지대
21 : 리니어 가이더 22 : 가이드 레일
30 : 구동부 31 : 구동로프
32 : 구동풀리 40, 50, 60 : 포집판
51, 61 : 제1 판유닛 52, 62 : 제2 판유닛
53 : 걸림바 63 : 가이드 돌출라인
64 : 가이드 홈라인 65 : 걸림쇠
66 : 걸림단

Claims (15)

  1. 개구된 하부가 도금욕조에서 용탕에 잠기도록 제공된 구조물; 및 상기 구조물 내에서 용탕면에 부유하는 이물질을 포집하여 상기 구조물의 배출구로 밀어 배출시키는 포집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포집수단은, 상기 구조물 내 용탕면 상에 이동가능하게 배치된 지지대; 상기 지지대에 회동되게 설치되어 하방 회동 시 일부가 용탕면에 잠기는 포집판; 및 상기 포집판을 회동 시키고, 상기 지지대를 상기 구조물의 배출구 측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구비하며,
    상기 구동부는, 상기 구조물의 배출구 측으로 연장되어 일단이 상기 포집판에 연결되고, 상기 구조물의 배출구 반대 측으로 연장되어 타단이 상기 지지대에 연결된 구동로프; 및 상기 구동로프의 일단과 타단 사이에 감기며, 회전하면서 상기 구동로프를 이동시키는 구동풀리;를 구비하며,
    상기 포집판은 두 개의 판유닛이 회동 가변형 구조로 연결되며, 상부가 상기 지지대에 회동되게 연결되며, 상기 구동로프가 연결된 제1 판유닛; 및 자중에 의해 하방 수직으로 배치되도록 상기 제1 판유닛의 하부에 회동되게 연결된 제2 판유닛;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금욕조의 탕면 이물질 제거장치.
  2. 개구된 하부가 도금욕조에서 용탕에 잠기도록 제공된 구조물; 및 상기 구조물 내에서 용탕면에 부유하는 이물질을 포집하여 상기 구조물의 배출구로 밀어 배출시키는 포집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포집수단은, 상기 구조물 내 용탕면 상에 이동가능하게 배치된 지지대; 상기 지지대에 회동되게 설치되어 하방 회동 시 일부가 용탕면에 잠기는 포집판; 및 상기 포집판을 회동 시키고, 상기 지지대를 상기 구조물의 배출구 측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구비하며,
    상기 구동부는, 상기 구조물의 배출구 측으로 연장되어 일단이 상기 포집판에 연결되고, 상기 구조물의 배출구 반대 측으로 연장되어 타단이 상기 포집판에 연결된 구동로프; 및 상기 구동로프의 일단과 타단 사이에 감기며, 회전하면서 상기 구동로프를 이동시키는 구동풀리;를 구비하며,
    상기 포집판은 두 개의 판유닛이 슬라이드 가변형 구조로 연결되며, 상부가 상기 지지대에 회동되게 연결된 제1 판유닛; 및 상기 제1 판유닛에 상하방향 슬라이드 이동되게 체결되며, 상기 구동로프가 상기 구조물의 배출구 측으로 하방 연장되어 일단이 연결된 제2 판유닛;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금욕조의 탕면 이물질 제거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포집판과 상기 지지대는, 상기 포집판이 하방 회동 시 탄성 복원력이 발생하는 탄성부재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금욕조의 탕면 이물질 제거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포집판의 하방 회동 시 회동각을 제한하기 위해, 상기 지지대 또는 포집판에는 서로에 대해 걸리도록 스토퍼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금욕조의 탕면 이물질 제거장치.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판유닛이 상기 구조물 배출구 측으로 회동되는 것을 제한하기 위해, 상기 제1 판유닛 또는 제2 판유닛에는 서로에 대해 걸리도록 걸림바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금욕조의 탕면 이물질 제거장치.
  8. 삭제
  9. 삭제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로프는 타단이 상측으로부터 상기 제2 판유닛과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금욕조의 탕면 이물질 제거장치.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판유닛과 제2 판유닛 중 하나에는 가이드 돌출라인이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에는 상기 가이드 돌출라인과 대응되는 가이드 홈라인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금욕조의 탕면 이물질 제거장치.
  1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판유닛이 상기 제1 판유닛으로부터 탈거되는 것을 제한하도록, 상기 제1 판유닛과 제2 판유닛 중 하나에는 걸림쇠가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에는 상기 걸림쇠와 대응되는 걸림단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금욕조의 탕면 이물질 제거장치.
  1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에는 유도관 고정대가 설치되며, 상기 유도관 고정대에는 상기 구동로프를 홀드하면서 가이드하는 유도관이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금욕조의 탕면 이물질 제거장치.
  1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양단부에 리니어 가이더가 장착되고,
    상기 구조물은 상기 지지대의 양단부가 외부로 돌출되어 이동되도록 이동슬릿이 형성되고, 상기 이동슬릿 하측에 상기 리니어 가이더가 안착되어 이동되는 가이드 레일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금욕조의 탕면 이물질 제거장치.
  1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은 밀폐케이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금욕조의 탕면 이물질 제거장치.
KR20120125673A 2012-11-07 2012-11-07 도금욕조의 탕면 이물질 제거장치 KR1014823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125673A KR101482319B1 (ko) 2012-11-07 2012-11-07 도금욕조의 탕면 이물질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125673A KR101482319B1 (ko) 2012-11-07 2012-11-07 도금욕조의 탕면 이물질 제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9060A KR20140059060A (ko) 2014-05-15
KR101482319B1 true KR101482319B1 (ko) 2015-01-13

Family

ID=508890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20125673A KR101482319B1 (ko) 2012-11-07 2012-11-07 도금욕조의 탕면 이물질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231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8459B1 (ko) 2019-05-03 2020-08-26 (주)스텝이엔지 강판 용융아연도금 공정에서의 탕면 이물질제거장치
KR20220058382A (ko) 2020-10-30 2022-05-09 (주)스텝이엔지 강판 용융아연도금 공정에서의 스나우트의 내부 이물제거장치
KR20220101065A (ko) 2020-10-30 2022-07-19 (주)스텝이엔지 강판 용융아연도금 공정에서의 스나우트의 내부 이물제거장치
KR20240035193A (ko) 2022-09-08 2024-03-15 (주)스텝이엔지 임펠러샤프트 냉각유닛을 구비한 메탈펌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6147B1 (ko) 2014-07-10 2016-02-19 윤종식 용탕의 드로스 및 슬러지 자동 제거장치
KR101596148B1 (ko) 2014-07-10 2016-02-19 윤종식 용탕의 드로스 및 슬러지 자동 제거 시스템
KR101633023B1 (ko) * 2014-12-08 2016-06-24 주식회사 리배산업 도금욕조의 탑 드로스 포집 및 제거장치
KR101696642B1 (ko) * 2016-01-21 2017-01-18 (주)엠솔루션 도금욕조의 부유물질 부착방지부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97516U (ko) * 1975-02-04 1976-08-05
JPH044051U (ko) * 1990-04-26 1992-01-14
JPH05302158A (ja) * 1992-04-24 1993-11-16 Nkk Corp 溶融金属めっき浴中のドロスのかき寄せ装置
JP2001107214A (ja) * 1999-09-30 2001-04-17 Nisshin Steel Co Ltd 連続式溶融メッキラインにおけるシールボックス内のトップドロス排出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97516U (ko) * 1975-02-04 1976-08-05
JPH044051U (ko) * 1990-04-26 1992-01-14
JPH05302158A (ja) * 1992-04-24 1993-11-16 Nkk Corp 溶融金属めっき浴中のドロスのかき寄せ装置
JP2001107214A (ja) * 1999-09-30 2001-04-17 Nisshin Steel Co Ltd 連続式溶融メッキラインにおけるシールボックス内のトップドロス排出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8459B1 (ko) 2019-05-03 2020-08-26 (주)스텝이엔지 강판 용융아연도금 공정에서의 탕면 이물질제거장치
KR20220058382A (ko) 2020-10-30 2022-05-09 (주)스텝이엔지 강판 용융아연도금 공정에서의 스나우트의 내부 이물제거장치
KR20220101065A (ko) 2020-10-30 2022-07-19 (주)스텝이엔지 강판 용융아연도금 공정에서의 스나우트의 내부 이물제거장치
KR20240035193A (ko) 2022-09-08 2024-03-15 (주)스텝이엔지 임펠러샤프트 냉각유닛을 구비한 메탈펌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9060A (ko) 2014-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2319B1 (ko) 도금욕조의 탕면 이물질 제거장치
KR101461739B1 (ko) 도금욕조의 부유 이물질 포집장치
KR101461746B1 (ko) 무산화 가스 와이핑 장치
ES2901679T3 (es) Procedimiento de recubrimiento por inmersión de una tira metálica
CN110523936B (zh) 一种铝锭连续铸造铝液导流槽
TW201034985A (e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float glass
CN211849309U (zh) 一种水利工程用污泥刮除装置
KR20220042457A (ko) 이동가능한 오버플로
KR100831061B1 (ko) 스나우트 내부의 탕면 이물질제거장치
EA004413B1 (ru) Способ нанесения покрытия на металлическую ленту, в частности на стальную ленту, путем погружения и установка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KR100591277B1 (ko) 제철소에 구비되는 아연도금욕조의 침전이물질 제거장치
KR101663549B1 (ko) 아연도금롤러 스크래핑 시스템
CN216107149U (zh) 一种用于钎剂热镀锌钢板生产线的清洁装置
TWI391347B (zh) 浮法玻璃之製造裝置
JP2005299293A (ja) 水路用除塵機
JP4238457B2 (ja) 溶融金属めっき浴中のドロスの除去方法および溶融金属めっき装置
KR101535536B1 (ko) 도금욕조의 탑 드로스 포집 및 제거장치
JP2014231617A (ja) ドロス除去装置
JP6848996B2 (ja) 溶融金属のめっき装置及びめっき方法
CN215462411U (zh) 一种具有过滤功能的沉锌池
JP5824838B2 (ja) 溶融金属めっき鋼帯製造装置
JP3979955B2 (ja) ボトムドロス除去装置
KR20150073310A (ko) 도금 장치
CN218981253U (zh) 一种用于生产润滑油的冷却设备
KR101359253B1 (ko) 부유증발물 부착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