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3458B1 - 파티션 연결구조 - Google Patents

파티션 연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3458B1
KR101223458B1 KR1020120062894A KR20120062894A KR101223458B1 KR 101223458 B1 KR101223458 B1 KR 101223458B1 KR 1020120062894 A KR1020120062894 A KR 1020120062894A KR 20120062894 A KR20120062894 A KR 20120062894A KR 101223458 B1 KR101223458 B1 KR 1012234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k
frame
partition
type connector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28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준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모빌퍼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모빌퍼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모빌퍼스
Priority to KR10201200628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34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34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34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7407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61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slab-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each other
    • E04B1/610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slab-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each other the frontal surfaces of the slabs connected toge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티션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호 간의 연결을 통해 실내 공간을 구획하는 파티션들 사이에 설치되어, 이들 파티션들의 안정되고 긴밀하게 연결시키는 파티션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파티션 연결구조{Coupling structure of partions}
본 발명은 파티션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호 간의 연결을 통해 실내 공간을 구획하는 파티션들 사이, 또는 파티션과 지지대 사이에 형성되어, 이들을 안정되게 연결하는 파티션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티션(Partition)이란 주어진 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하여 공간은 분할하는 판재를 지칭하는 것으로서, 최근에는 사무용 가구에 파티션이 설치되는 것은 보편화 되는 추세이다.
그리고, 이러한 파티션은 단순한 칸막이 기능을 떠나 방문하는 고객과 상담을 할 경우, 고객과 상담자만의 아늑한 전용공간을 연출하여 기업의 이미지를 향상시키고, 또한 방음효과로 인해 업무능률을 향상시켜 보다 근무환경을 쾌적하게 하기 위하여 다양하게 파티션이 개발되어 왔다.
또한, 사무 자동화와 더불어 컴퓨터 등 다양한 첨단 기기를 사용함에 따라 사무용 가구 주변에는 복잡하게 전선이 가설되는데, 이러한 복잡한 전선을 파티션 내부의 닥트를 통해 깔끔하게 처리할 수 있고, 사무용 가구배치를 변경했을 경우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상호 연결이 가능한 구조방식을 이루고 있다.
이러한 파티션은 규격, 재질, 설계유형 등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용도 및 업무특성 등에 따라 하나의 파티션을 단일 설치하거나 또는 여러 개의 파티션을 복합 설치하여 사용하게 된다.
한편, 상기 파티션과 파티션 사이를 결합하여 복합 파티션을 설치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방법이 쓰이고 있는데, 대체적으로 볼트와 너트 또는 클램프 등과 같은 체결수단을 이용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체결수단의 조임력과 시공자의 시공성 등에 따라 파티션과 파티션의 결합의 견고성에 상당한 차이가 발생하고, 이는 제품의 품질과 공사기간에도 영향을 주는 중요한 요소가 된다.
이에, 파티션에 형성된 프레임과 프레임 사이를 직접적으로 체결하지 않는 비 체결형의 다양한 파티션 연결구조들이 당 분야를 통해 제안, 및 보급되고 있다.
일 예로,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공고 제 0168537호에서는 파티션의 측부에 설치된 프레임에 종방향으로 연결홈을 대응되게 형성하고, 이들 프레임에 형성된 연결홈 사이에 단면이 원형인 두 개의 원형바가 플레이트에 의해 연결된 형태의 고정봉을 삽입시켜, 인접한 파티션의 프레임이 고정봉에 의해 연결되도록 한 파티션 연결구조가 있다.
상기 고정봉을 이용한 파티션 연결구조는, 조립을 요하는 파티션의 프레임 사이의 체결이 요구되지 아니하는 이점을 갖지만, 조립과정에 길이가 길고 잘 휘어지는 고정봉을 프레임에 형성된 연결홈에 진입시키는 것은 매우 어려워, 숙련된 작업성이 요구되는 한계성을 갖는다.
특히, 상기 고정봉은 유연성이 우수한 플라스틱 재질로 제작된 관계로, 이를 통해 연결된 파티션에 외부 충격이 가해질 경우 파티션의 연결상태가 불량해져, 파티션의 연결상태가 해체되거나, 흐트러지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연결을 요하는 파티션과 파티션 사이, 또는 파티션과 지지대 사이에 배치되어 간편한 조립을 통해 이들 사이를 안정되게 연결하는 파티션 연결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하기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파티션 연결구조는,
연결을 요하는 파티션들의 측 가장자리 사이, 또는 연결을 요하는 파티션과 지지대의 측 가장자리에 사이에 형성되어 파티션을 연결하는 파티션 연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파티션 연결구조는,
연결을 요하는 파티션의 측 가장자리에 대응되게 형성된 프레임, 또는 상호 연결을 요하는 파티션과 지지대의 측 가장자리에 대응되게 형성된 프레임과;
상기 연결을 요하는 각 프레임에 대응되게 형성된 지지홈과;
상호 평행하는 장착편과 견착편이 연결편에 의해 'ㄷ'자형으로 연결되어, 장착편과 견착편 및 연결편에 의해 삼면이 감싸지고 상하 개방된 'ㄷ'자형의 견착부가 형성된 후크형 연결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후크형 연결구는, 견착부의 개방된 일측부는 지지홈과 직교하는 프레임의 일측방향을 향하고 견착부의 개방된 상부와 하부는 프레임의 상부와 하부를 향하는 종방향 진입구조로 프레임의 지지홈에 배치되어서,
상기 프레임의 지지홈에 배치된 각 후크형 연결구의 견착부에, 연결을 요하는 프레임의 지지홈에 배치된 각 후크형 연결구의 견착부를 종방향으로 억지끼움시켜 종방향으로 교차시키면,
상기 프레임의 지지홈에 배치된 각 후크형 연결구들은 종방향으로 상호 교차된 견착부 내벽에 억지끼움된 견착편 외벽을 상호 고착시켜 파티션의 프레임을 상호 연결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후크형 연결구의 견착부와 상기 견착부에 억지끼움되어 종방향으로 교차된 상태로 고착되는 견착편의 교차 높이에 따라 연결을 요하는 파티션들의 연결 높이가 조절되도록 구성되어서,
연결을 요하는 파티션들의 연결 높이에 따라, 후크형 연결구의 견착부와 상기 견착부에 억지끼움되는 견착편의 교차 높이를 조절하여, 연결높이가 상호 다른 파티션들을 안정되게 연결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후크형 연결구를 구성하는 견착편의 상부 및 하부에는 두께가 점차 두꺼워지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상호 밀착된 프레임들에 각각 배치된 후크형 연결구들은 견착편의 상부면과 하부면에 형성된 경사면을 따라 대응하는 후크형 연결구의 견착부에 종방향으로 진입하여 억지끼움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프레임의 지지홈에 배치된 후크형 연결구의 연결편은 프레임에 형성된 지지홈의 측벽에 지지되어, 상기 지지홈의 측벽에 의한 지지에 의해 후크형 연결구에 형성된 연결편의 강성이 보완되고,
상기 종방향 억지끼움을 통해 종방향으로 교차하여 고착되는 견착부의 내벽을 형성하는 연결편의 내벽과, 견착부의 견착편의 외벽에는 걸림돌기들이 각각 등간격으로 형성되어서,
상기 종방향으로 억지끼움되어 상호 고착된 후크형 연결구들의 견착부는 등간격으로 형성된 걸림돌기를 상호 견착시켜, 걸림돌기를 통한 견착에 의해 보다 안정된 연결상태를 형성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연결을 요하는 파티션과 파티션 사이, 또는 파티션과 지지대 사이에 배치되어 간편한 조립을 통해 이들 사이의 긴밀한 연결을 도모하는 파티션 연결구조를 제안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파티션 연결구조는, 상호 연결을 요하는 프레임의 지지홈에 후크형 연결구를 각각 배치하여, 이들 프레임을 밀착시킨 상태에서 종방향으로 이동시켜 상호 대응되는 후크형 연결구의 견착부에 견착편을 각각 억지 끼움되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후크형 연결구를 배치한 프레임에, 후크형 연결구를 배치한 프레임을 밀착된 상태로 하강시키는 간편한 조립공정을 통해 파티션의 안정된 연결을 도모할 수 있다.
그리고, 후크형 연결구는 암수 형태가 아니라 동일 형상으로 제작되므로, 단일 금형을 통해 제작이 가능하고 설치방향이나 위치의 변경 없이 파티션을 좌우 호환되게 연결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파티션의 시공에 따른 편리성을 확보한다.
특히, 후크형 연결구는 종방향 억지끼움을 통해 견착홈에 견착편을 종방향으로 교차되게 고착시킨 관계로 일정한 연결높이를 갖지 아니하므로, 연결을 요하는 파티션과 파티션 사이, 또는 파티션과 지지대 사이가 불균일한 지면에 의해 다소 편차가 발생되더라도, 후크형 연결구의 연결높이의 조절을 통해 연결높이가 다른 파티션을 안정되게 연결할 수 있다.
또한, 후크형 연결구는 파티션의 연결과정에 경사면을 따라 견착홈에 자연스럽게 진입하여 고착되므로, 원활한 조립성을 갖고, 또 적은 힘으로도 파티션의 프레임들을 긴밀히 밀착시킨 상태로 연결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파티션 연결구조가 적용되는 파티션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파티션 연결구조를 구성하는 후크형 연결구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것으로, 도 2a는 사시도이고, 도 2b는 평면도이고, 도 2c는 측면도이며,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파티션 연결구조를 통한 파티션의 연결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작용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파티션 연결구조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파티션 연결구조가 적용되는 파티션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파티션 연결구조를 구성하는 후크형 연결구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것으로, 도 2a는 사시도이고, 도 2b는 평면도이고, 도 2c는 측면도이며,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파티션 연결구조를 통한 파티션의 연결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작용 상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파티션 연결구조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측 가장자리에 프레임(110)이 형성된 파티션(100) 사이, 또는 측 가장자리에 프레임이 각각 형성된 지지대(미도시)와 파티션(110) 사이에 형성되어, 이들 프레임들의 연결을 통해 파티션과 파티션 사이, 또는 지지대와 파티션 사이를 상호 연결하는 것이다.
상기 파티션, 및 지지대에 형성된 프레임(110)은, 통상 알루미늄이나 플라스틱으로 제작된 판상 몸체로 이루어져, 소정의 탄성을 갖는다.
한편, 이러한 프레임(110)을 상호 연결하는 본 발명에 따른 파티션 연결구조는, 기본적으로 상기 조립을 요하는 각 프레임(110)에는 지지홈(111)이 대응되게 형성하고, 상기 각 프레임(110)의 지지홈(111)에는 후크형 연결구(1)를 각각 고정시켜, 후크형 연결구(1)들의 결속을 통해 프레임(110)들이 상호 밀착된 상태로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후크형 연결구(1)는 도 2 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장착편(10)과 연결편(20) 및 상기 장착편에 평행한 견착편(30)이 'ㄷ'자형으로 연결된 형태로 이루어져, 후크형 연결구(1)에는 장착편(10)과 연결편(20), 및 견착편(30)에 의해 삼면이 감싸져, 일 측부와 상·하부가 개방된 형태의 견착부(40)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후크형 연결구(1)는 평상시에는 안정된 형태를 유지하다가 일정 이상의 외력이 가해지면 자체적인 탄성에 의해 비틀림되는 플라스틱이나 알루미늄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을 보면 상기 후크형 연결구(1)에 형성된 장착편(10)에는 일편이 개방된 한 쌍의 'U'자형의 체결홈(11)이 이격되게 형성되어, 후크형 연결구(1)들을 프레임(110)에 형성된 지지홈(111)에 진입한 다음, 'U'자형 체결홈(11)을 관통하는 고정볼트(B)를 통해 프레임(110)에 체결하여 고정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구성된 후크형 연결구(1)들을 각 프레임(110)에 형성된 지지홈(111)에 진입시켜 고정시키면, 도 4와 같이 후크형 연결구(1)의 장착편(10)과 연결편(20)은 지지홈(111)의 내벽에 지지된 상태를 형성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견착부(40)의 내벽을 형성하는 지지편과, 견착편(30)의 외벽에 복수의 걸림돌기(21, 31)들을 등간격으로 형성하여, 견착부(40)에 진입된 견착편(30)이 걸림돌기(21, 31)를 통해 견착부(40)에 보다 안정되게 고착되도록 한다.
따라서, 도 3a 내지 도 3c와 같이 상기 후크형 연결구(1)를 고정한 프레임(110)에 후크형 연결구(1)를 고정한 프레임(110)을 밀착시켜 종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상호 밀착된 프레임(110)들에 설치된 각 후크형 연결구(1)들의 견착편(30)은 마주하는 후크형 연결구(1)의 견착부(40)에 종방향으로 억지 끼움되어, 도 3과 같이 견착부(40)의 내벽에 종방향으로 억지 끼움된 후크형 연결구(1)의 견착편(30)이 견착부(40) 내에 종방향으로 교차하여 고착된 단일 조립체를 형성한다.
이때, 견착부(40)의 내벽에 형성된 걸림돌기(21)와 견착편(30)에 형성된 걸림돌기(31)는 상호 견착하여 고정된다.
그리하여, 상기 마주하는 프레임(110)에 고정된 한 쌍의 후크형 연결구(1)들의 조립에 의해 마주하는 프레임(110)들은 상호 밀착된 상태로 고정된다.
이와 더불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후크형 연결구(1)를 구성하는 견착편(30)의 상부와 하부에 경사면(32)을 형성한다.
따라서, 도 3b와 같이 후크형 연결구(1)가 형성된 프레임(110)에, 후크형 연결구(1)가 형성된 프레임(110)을 밀착시킨 상태로 하강시키면, 상기 후크형 연결구(1)의 견착편(30)은 경사면(32)을 따라 대응하는 후크형 연결구(1)의 견착부(40)에 서서히 진입되면서 점차적으로 견착편을 견착부의 내벽에 고착한다.
이때, 대응하는 후크형 연결구(1)의 견착부(40)에 진입된 각 견착편(30)은 도 3c와 도 4b와 같이 탄력적으로 비틀림하여 견착부(40)의 내벽에 고착되는 한편, 상호 밀착된 프레임(110)들은 견착부(40)에 고착된 견착편(3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긴밀히 밀착되어 파티션(100)의 안정된 연결을 도모하게 된다.
1. 후크형 연결구
10. 장착편 11. 'U'자형의 체결홈
20. 연결편 21. 걸림돌기
30. 견착편 31. 걸림돌기
32. 경사면 40. 견착부
100. 파티션 110. 프레임
111. 지지홈 B. 고정볼트

Claims (2)

  1. 연결을 요하는 파티션들의 측 가장자리 사이, 또는 연결을 요하는 파티션과 지지대의 측 가장자리에 사이에 형성되어 파티션을 연결하는 파티션 연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파티션 연결구조는,
    연결을 요하는 파티션의 측 가장자리에 대응되게 형성된 프레임, 또는 상호 연결을 요하는 파티션과 지지대의 측 가장자리에 대응되게 형성된 프레임과;
    상기 연결을 요하는 각 프레임에 대응되게 형성된 지지홈과;
    상호 평행하는 장착편과 견착편이 연결편에 의해 'ㄷ'자형으로 연결되어, 장착편과 견착편 및 연결편에 의해 삼면이 감싸지고 상하 개방된 'ㄷ'자형의 견착부가 형성된 후크형 연결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후크형 연결구는, 견착부의 개방된 일측부는 지지홈과 직교하는 프레임의 일측방향을 향하고 견착부의 개방된 상부와 하부는 프레임의 상부와 하부를 향하는 종방향 진입구조로 프레임의 지지홈에 배치되어서,
    상기 프레임의 지지홈에 배치된 각 후크형 연결구의 견착부에, 연결을 요하는 프레임의 지지홈에 배치된 각 후크형 연결구의 견착부를 종방향으로 억지끼움시켜 종방향으로 교차시키면,
    상기 프레임의 지지홈에 배치된 각 후크형 연결구들은 종방향으로 상호 교차된 견착부 내벽에 억지끼움된 견착편 외벽을 상호 고착시켜 파티션의 프레임을 상호 연결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후크형 연결구의 견착부와 상기 견착부에 억지끼움되어 종방향으로 교차된 상태로 고착되는 견착편의 교차 높이에 따라 연결을 요하는 파티션들의 연결 높이가 조절되도록 구성되어서,
    연결을 요하는 파티션들의 연결 높이에 따라, 후크형 연결구의 견착부와 상기 견착부에 억지끼움되는 견착편의 교차 높이를 조절하여, 연결높이가 상호 다른 파티션들을 안정되게 연결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후크형 연결구를 구성하는 견착편의 상부 및 하부에는 두께가 점차 두꺼워지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상호 밀착된 프레임들에 각각 배치된 후크형 연결구들은 견착편의 상부면과 하부면에 형성된 경사면을 따라 대응하는 후크형 연결구의 견착부에 종방향으로 진입하여 억지끼움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프레임의 지지홈에 배치된 후크형 연결구의 연결편은 프레임에 형성된 지지홈의 측벽에 지지되어, 상기 지지홈의 측벽에 의한 지지에 의해 후크형 연결구에 형성된 연결편의 강성이 보완되고,
    상기 종방향 억지끼움을 통해 종방향으로 교차하여 고착되는 견착부의 내벽을 형성하는 연결편의 내벽과, 견착부의 견착편의 외벽에는 걸림돌기들이 각각 등간격으로 형성되어서,
    상기 종방향으로 억지끼움되어 상호 고착된 후크형 연결구들의 견착부는 등간격으로 형성된 걸림돌기를 상호 견착시켜, 걸림돌기를 통한 견착에 의해 보다 안정된 연결상태를 형성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티션 연결구조.
  2. 삭제
KR1020120062894A 2012-06-12 2012-06-12 파티션 연결구조 KR1012234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2894A KR101223458B1 (ko) 2012-06-12 2012-06-12 파티션 연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2894A KR101223458B1 (ko) 2012-06-12 2012-06-12 파티션 연결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23458B1 true KR101223458B1 (ko) 2013-01-21

Family

ID=478420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2894A KR101223458B1 (ko) 2012-06-12 2012-06-12 파티션 연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3458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1323B1 (ko) 2015-08-17 2017-07-26 인토스퍼니처(주) 조립식 칸막이
KR102123413B1 (ko) * 2019-01-21 2020-06-16 뷰로맥스 주식회사 각도 가변식 끼움 체결이 가능한 파티션 조립구조 및 이를 이용한 파티션
CN111480012A (zh) * 2017-12-15 2020-07-31 哈利·贾夫斯 连接元件、机械接头以及在机械接头中使用两个连接元件
KR20200117431A (ko) * 2019-04-04 2020-10-14 주식회사 류씨은 파티션의 체결구조
KR102165497B1 (ko) * 2020-04-10 2020-10-14 주식회사 오넥트 슬라이드식 연결조인트 브라켓 및 이를 구비한 파티션
KR102329322B1 (ko) * 2021-05-04 2021-11-19 주식회사 모빌퍼스 원터치 파티션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파티션 커넥터 어셈블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99648A (ko) * 2007-05-10 2008-11-13 (주)신영아트테크 파티션 연결장치
KR20100102777A (ko) * 2009-03-12 2010-09-27 진성산업 주식회사 칸막이 조립설치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99648A (ko) * 2007-05-10 2008-11-13 (주)신영아트테크 파티션 연결장치
KR20100102777A (ko) * 2009-03-12 2010-09-27 진성산업 주식회사 칸막이 조립설치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1323B1 (ko) 2015-08-17 2017-07-26 인토스퍼니처(주) 조립식 칸막이
CN111480012A (zh) * 2017-12-15 2020-07-31 哈利·贾夫斯 连接元件、机械接头以及在机械接头中使用两个连接元件
US11585362B2 (en) 2017-12-15 2023-02-21 Harry Jåfs Connecting element, a mechanical joint and use of two connecting elements in a mechanical joint
KR102123413B1 (ko) * 2019-01-21 2020-06-16 뷰로맥스 주식회사 각도 가변식 끼움 체결이 가능한 파티션 조립구조 및 이를 이용한 파티션
KR20200117431A (ko) * 2019-04-04 2020-10-14 주식회사 류씨은 파티션의 체결구조
KR102216583B1 (ko) * 2019-04-04 2021-02-17 주식회사 류씨은 파티션의 체결구조
KR102165497B1 (ko) * 2020-04-10 2020-10-14 주식회사 오넥트 슬라이드식 연결조인트 브라켓 및 이를 구비한 파티션
KR102329322B1 (ko) * 2021-05-04 2021-11-19 주식회사 모빌퍼스 원터치 파티션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파티션 커넥터 어셈블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3458B1 (ko) 파티션 연결구조
CA2676653C (en) Wall panel system
KR101266585B1 (ko) 케이블트레이의 조립체
KR101602807B1 (ko) 모듈형 플로어링 시스템
KR101242050B1 (ko) 케이블트레이
KR101075156B1 (ko) 케이블 트레이
US9032682B2 (en) Free-standing wall
KR101251700B1 (ko) 채널형 클립이 적용되는 테크 자재의 결합 시스템
CA2838361C (en) Seismic separation clip for suspended ceiling grid systems
US9493945B2 (en) Wall panel connecting system for modular building units
BRPI0611094A2 (pt) sistema de painéis de teto
KR20160031434A (ko) 케이블 트레이 접합부 및 이음매 판 결합 시스템
KR101026129B1 (ko) 조립이 가능한 전기 케이블 트레이 구조
KR101500313B1 (ko) 건식 벽돌벽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101450476B1 (ko) 합성목재 패널 고정장치
KR100825251B1 (ko) 조립식 파티션 연결장치
KR101144666B1 (ko) 케이블 트레이
KR101835423B1 (ko) 시공이 용이한 클린룸용 천장프레임
KR200449569Y1 (ko) 파티션 연결용 커넥터
CN205502642U (zh) 一种拼装式桑拿房结构
KR101907464B1 (ko) 조립식 칸막이
KR101824461B1 (ko) 샌드위치 패널 커플링 유니트
KR102042237B1 (ko) 케이블 트레이
KR101325668B1 (ko) 천장패널의 결합구조 및 결합방법
KR102436102B1 (ko) 조립형 비닐하우스 파이프 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