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9322B1 - 원터치 파티션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파티션 커넥터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원터치 파티션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파티션 커넥터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9322B1
KR102329322B1 KR1020210057700A KR20210057700A KR102329322B1 KR 102329322 B1 KR102329322 B1 KR 102329322B1 KR 1020210057700 A KR1020210057700 A KR 1020210057700A KR 20210057700 A KR20210057700 A KR 20210057700A KR 102329322 B1 KR102329322 B1 KR 1023293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clined surface
partition connector
base plate
touch
part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77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보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모빌퍼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모빌퍼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모빌퍼스
Priority to KR10202100577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93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93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93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7407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61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slab-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each other
    • E04B1/610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slab-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each other the frontal surfaces of the slabs connected together
    • E04B1/6116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slab-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each other the frontal surfaces of the slabs connected together by locking means on lateral sur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원터치 파티션 커넥터(100)는, 납작한 판상의 베이스판(110)이 구성되고, 상기 베이스판(110)의 전면(1195)에 연결된 ㄱ형상의 것으로서 일측방(좌우측 중 어느 한 방향) 및 상하방으로 개방된 후크(120)가 구성된다. 또한, 베이스판(110)의 좌측면(111) 및 우측면(115)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어 베이스판(110)의 상단(1191)까지 상부 경사면(117)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좌측면(111) 및 우측면(115) 중 상부 경사면(117)이 형성되지 않은 것에 형성되어 베이스판(110)의 하단(1193)까지 형성된 하부 경사면(113)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상부 경사면(117) 및 하부 경사면(113)의 후방 단부에 돌기(1173, 1131)가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원터치 파티션 커넥터(100)를 포함하는 파티션 커넥터 어셈블리(90)는, 상기 원터치 파티션 커넥터(100)와 상기 원터치 파티션 커넥터(100)에 조합되는 것으로서 상하방으로 길게 형성된 바(bar) 형상의 프레임(200)이 구성된다.
따라서, 양측의 파티션(P)에 원터치 파티션 커넥터(100)를 각각 체결시킴에 있어, 양측의 장착 지점이 일치할 필요가 없다. 즉, 측방과 상하방으로 개방된 후크(120)가 상호 끼워지는 것이기 때문에 어느 일측의 장착 지점이 상대측보다 높거나 낮더라도 상호 결속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원터치 파티션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파티션 커넥터 어셈블리{ONE TOUCH PARTITION CONNECTOR AND PARTITION CONNECTOR ASSEMBLY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원터치 파티션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원터치 파티션 커넥터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파티션과 파티션을 연결함에 있어, 파티션에 부착되는 프레임에 원터치 파티션 커넥터를 삽입한 후 회동시키는 작업만으로 결속이 가능하기 때문에 용이하고 신속하며 정확하게 파티션을 연결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파티션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원터치 파티션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배경 기술에 의한 파티션 커넥터(1)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배경기술에 의한 파티션 커넥터에 의해서 파티션이 결합되는 과정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배경기술에 의한 파티션 커넥터에 의해서 파티션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파티션(P)은 사무실, 도서관 등의 실내에서 자리를 분할하는 칸막이로서, 규정된 사이즈로 생산되며, 현장에서 상호 연결하므로 시공 길이를 조정할 수 있다.
이러한 파티션을 연결하기 위해서 종래에는 파티션의 측방 단부에 프레임이 부착되고 상기 프레임과 프레임에 동시에 삽입되는 띠에 의해서 상호 연결이 가능하였다. 그런데 이러한 띠는 양측 프레임에 동시에 삽입하는 과정이 어렵고 힘든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선행기술문헌(한국 특허등록 제10-1225600호)에서는 다음과 같은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도 1에서처럼, 양측 파티션(P)의 측면 단부에 부착된 바(bar) 형상의 프레임 (F)내측에 볼트(B)로 결합되는 파티션 커넥터(1)가 구성되는데 일측에 경사면(10)이 형성된다.
상기 파티션 커넥터(1)의 사용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에서처럼, 일측 파티션(P)의 프레임(F)에 상기 파티션 커넥터(1)가 결합되는데 경사면(10)이 하향하도록 하고, 상대측 파티션(P)의 프레임(F)에 상기 파티션 커넥터(1)가 결합되는데 경사면(10)이 상향하도록 한다. 이때, 양측의 파티션 커넥터(1)는 상기 프레임(F)의 중심에 위치하고 일측 파티션(P)의 파티션 커넥터(1)의 부착 높이는 상대측의 것보다 높게 한다.
다음으로, 일측 파티션(P)을 들어올려서 경사면(10)이 하향하는 파티션 커넥터(1)가 상대측 파티션 커넥터(1)에 일치하도록 한 후, 하방으로 내리게 되면 양측 파티션 커넥터(1)의 경사면(10)이 밀착되면서 도 2에서처럼 조합되기 때문에 양측의 파티션(P)을 연결할 수 있다. 이때, 양측 파티션(P)의 상단이 일치하도록 상기 일측 파티션(P)에 부착되는 파티션 커넥터(1)의 부착 높이가 설정되어야 한다.
이상, 살펴본 상기 파티션 커넥터(1)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양측의 파티션(P)에 부착된 프레임(F)에, 파티션 커넥터(1)가 상호 조합되도록, 위치를 조정하여 부착시켜야 하는데, 일일이 프레임(F)에 부착지점을 마킹한 후 파티션 커넥터(1)를 볼트(B)로 고정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즉, 경사면(10)이 하향하는 일측 파티션 커넥터(1)의 부착 위치가 너무 높게 되면 상대측 파티션 커넥터(1)와 조합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고, 너무 낮게 되면 파티션(P)이 상승하게 되어 다른 파티션(P)과 상단이 일치하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숙련자가 아니고서는 작업할 수 없어 일반인들이 구매하여 시공할 수 없었고, 숙련자라고 하더라도 신속하게 작업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특허등록 제10-1225600호(2013년 01월 17일)
본 발명에 의한 원터치 파티션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파티션 커넥터 어셈블리를 통해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다음과 같다.
양측의 파티션에 부착된 프레임에, 파티션 커넥터가 상호 조합되도록, 위치를 조정하여 부착시켜야 하는데, 일일이 프레임에 부착지점을 마킹한 후 파티션 커넥터를 볼트로 고정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결하고자 한다. 즉, 경사면이 하향하는 일측 파티션 커넥터의 부착 위치가 너무 높게 되면 상대측 파티션 커넥터와 조합되지 못하는 문제점과, 너무 낮게 되면 파티션이 상승하게 되어 다른 파티션과 상단이 일치하지 않게 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다. 따라서, 비숙련자라도 용이하고 신속하게 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원터치 파티션 커넥터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납작한 판상의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의 전면에 연결된 ㄱ형상의 것으로서 일측방으로 개방된 후크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판의 좌측면 및 우측면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판의 상단까지 형성된 상부 경사면과, 상기 좌측면 및 우측면 중 상기 상부 경사면이 형성되지 않은 것에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판의 하단까지 형성된 하부 경사면과, 상기 상부 경사면 및 하부 경사면의 후방 단부에 형성된 돌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좌측면 및 우측면은 수직면으로서 상호 평행하고, 상기 상부 경사면 및 하부 경사면은 상호 평행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기는 각각 상기 상부 경사면과 하부 경사면을 따라 길게 형성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크는, 상기 베이스판의 전면에 연결된 돌출벽과, 상기 돌출벽에서 일측방으로 연장된 판상의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벽은, 상기 상부 경사면과 상기 상부 경사면의 상대측에 형성된 좌측면 또는 우측면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상부 경사면에 평행한 상부벽과,상기 상부벽의 하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상부 경사면에 이어지는 우측면 또는 좌측면에 평행한 하부벽과, 상기 상부벽과 하부벽의 내측면(커버가 연장되는 쪽의 면)은 상기 상부 경사면에 평행한 것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상기 돌출벽에서 상기 상부 경사면의 반대쪽으로 연장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판에 천공된 볼트홀과, 상기 볼트홀에 대응되도록 상기 커버에 천공된 렌치홀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원터치 파티션 커넥터를 포함하는 파티션 커넥터 어셈블리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상기 원터치 파티션 커넥터와, 상기 원터치 파티션 커넥터에 조합되는 것으로서 상하방으로 길게 형성된 바(bar) 형상의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상기 원터치 파티션 커넥터에 대응되는 쪽에 형성된 밀착면과, 상기 밀착면의 좌우측에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측벽과, 양측의 상기 측벽에서 내측으로 각각 연장된 걸림부와, 상기 밀착면에서 상기 측벽의 내측에 배치되고, 길이 방향으로 길게 양측에 형성되어 양측의 상기 돌기가 각각 삽입되는 홈을 포함한다.
또한, 양측 상기 걸림부의 선단 사이 폭은 상기 베이스판의 좌우측 폭보다 크게 형성된 것과, 상기 베이스판이 상기 걸림부 사이로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원터치 파티션 커넥터가 회동하여 각각의 상기 돌기가 각각의 상기 홈에 삽입되도록 형성된 것과, 상기 돌기가 각각의 상기 홈에 삽입되도록 구성된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판이 상기 걸림부에 걸려서 전방 이탈이 방지되도록 형성된 것과, 상기 베이스판이 상기 걸림부에 걸려 있는 상태에서 상기 걸림부가 상기 베이스판을 압박하도록 형성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원터치 파티션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파티션 커넥터 어셈블리는, 상기 해결수단에 의해서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양측의 파티션에 원터치 파티션 커넥터를 각각 체결시킴에 있어, 양측의 장착 지점이 일치할 필요가 없다. 즉, 측방과 상하방으로 개방된 후크가 상호 끼워지는 것이기 때문에 어느 일측의 장착 지점이 상대측보다 높거나 낮더라도 상호 결속이 가능하다. 즉, 작업자가 대충 육안으로 짐작하여 원터치 파티션 커넥터를 파티션 즉 프레임에 체결하더라도 양측 파티션의 상단은 일치하게 된다. 다시 말하면, 조합된 양측의 원터치 파티션 커넥터는 각각 상하방으로 이송이 가능하다. 따라서, 파티션을 지지하는 레그의 높이만 조정하게 되면 파티션의 상단은 용이하게 일치하게 된다.
둘째, 굳이 볼트를 사용하지 않아도 원터치 방식으로 신속하게 파티션 즉 프레임에 체결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성이 용이하므로 비숙련자 이를테면 소비자들도 쉽게 작업할 수 있다.
도 1은 배경기술에 의한 파티션 커넥터에 의해서 파티션이 결합되는 과정을 도시한 단면도임.
도 2는 배경기술에 의한 파티션 커넥터에 의해서 파티션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원터치 파티션 커넥터로서, (a)는 전방에서 본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b)는 후방에서 본 것을 도시한 사시도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원터치 파티션 커넥터로서, (a)는 전방에서 본 정면도이고, (b)는 후방에서 본 것을 도시한 배면도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원터치 파티션 커넥터를 포함하는 파티션 커넥터 어셈블리로서, (a)는 프레임에 원터치 파티션 커넥터가 삽입된 것을 도시한 정면도이고, (b)는 (a)의 상태에서 원터치 파티션 커넥터를 회동시켜서 프레임에 체결된 것을 도시한 정면도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원터치 파티션 커넥터를 포함하는 파티션 커넥터 어셈블리로서, 프레임의 측벽을 절개하여 원터치 파티션 커넥터가 체결되는 과정을 (a), (b), (c) 순서대로 표현한 사시도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원터치 파티션 커넥터를 포함하는 파티션 커넥터 어셈블리로서, 프레임에 원터치 파티션 커넥터가 체결되는 과정을 (a), (b), (c), (d) 순서대로 표현한 사시도임.
도 8은 볼 발명에 의한 원터치 파티션 커넥터를 포함하는 파티션 커넥터 어셈블리로서 프레임이 파티션을 직각으로 연결하는 기둥 타입일 때 상기 프레임에 원터치 파티션 커넥터가 삽입되는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원터치 파티션 커넥터를 포함하는 파티션 커넥터 어셈블리의 사용 상태를 표현한 것으로서, 양측의 파티션에 프레임이 장착되고 각각의 상기 프레임에 원터치 파티션 커넥터가 삽입되는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임.
도 10은 도 9의 상태를 거쳐서 원터치 파티션 커넥터가 프레임에 결속된 후 무두볼트를 체결하는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임.
도 11은 도 10의 상태를 거쳐서 (a), (b)의 순서로 양측 프레임이 조합되는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임.
도 12는 도 11에서 양측 프레임이 조합될 때의 원터치 파티션 커넥터만을 발췌하여 조합되는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임.
도 13은 도 12를 후방에서 본 것을 도시한 사시도임.
도 14는 도 8에서처럼 기둥 타입의 프레임에 원터치 파티션 커넥터가 결속된 후, 양측의 파티션이 상기 기둥 타입의 프레임에 직각으로 연결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임.
이하,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문서의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s), 균등물(equivalents),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s)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서 사용된 "제1," "제2," 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 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 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 부분'과 '제2 부분'은 순서 또는 중요도와 무관하게, 서로 다른 부분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문서에 기재된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문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문서의 실시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 원터치 파티션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파티션 커넥터 어셈블리의 상세한 실시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원터치 파티션 커넥터)
본 발명에 의한 원터치 파티션 커넥터(100)는 파티션(P) 연결에 사용되는 프레임에 삽입 후 회동시키는 작업만으로 상기 프레임에 결속이 가능하며, 프레임에 결속된 원터치 파티션 커넥터(100)끼리 상호 조합됨으로 파티션(P)을 용이하고 신속하며 정확하게 연결할 수 있는 것으로서,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원터치 파티션 커넥터로서, (a)는 전방에서 본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b)는 후방에서 본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원터치 파티션 커넥터로서, (a)는 전방에서 본 정면도이고, (b)는 후방에서 본 것을 도시한 배면도이다.
납작한 판상의 베이스판(110)이 구성되고, 상기 베이스판(110)의 전면(1195)에 연결된 ㄱ형상의 것으로서 일측방(좌우측 중 어느 한 방향) 및 상하방으로 개방된 후크(120)가 구성된다. 또한, 베이스판(110)의 좌측면(111) 및 우측면(115)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어 베이스판(110)의 상단(1191)까지 상부 경사면(117)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좌측면(111) 및 우측면(115) 중 상부 경사면(117)이 형성되지 않은 것에 형성되어 베이스판(110)의 하단(1193)까지 형성된 하부 경사면(113)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상부 경사면(117) 및 하부 경사면(113)의 후방 단부에 돌기(1173, 1131)가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판(110)은 좌측면(111) 및 우측면(115)이 상하방으로 곧은 수직면으로서 상호 평행하며, 상기 상부 경사면(117)과 하부 경사면(113)도 서로 평행하다. 이때, 상부 경사면(117) 및 하부 경사면(113)이 좌측면(111) 또는 우측면(115)과 이루는 각도(A)는 일례로서 3°∼45°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돌기(1173, 1131)는 도 3(b), 도 4(b)처럼 각각 상부 경사면(117)과 하부 경사면(113)을 따라 길게 형성된 선형(線形)의 것일 수 있다.
상기 후크(120)는 플레이트가 ㄱ형으로 꺾여진 형상의 것으로서, 상기 베이스판(110)의 전면(1195)에 돌출벽(121)이 연결되고, 상기 돌출벽(121)에서 일측방으로 판상의 커버(127)가 연장되므로 ㄱ형상이 된다. 또한, 도 3(a)에서는 후크(120)가 일례로서 하부 경사면(113)을 향하여 개방된 것으로 제시하고 있다.
상기 돌출벽(121)은 상부 경사면(117)과 상부 경사면(117)의 상대측에 형성된 좌측면 (111) 또는 우측면(115) 사이에 배치되고, 상부 경사면(117)에 평행한 상부벽(123)이 형성된다. 또한, 상부벽(123)의 하방으로 연장되고 상부 경사면(117)에 이어지는 우측면(115) 또는 좌측면(111)에 평행한 하부벽(125)이 형성된다. 도 3에서는, 상부벽(123)이 상부 경사면(117)과 좌측면(111) 사이에 배치되고, 하부벽(125)은 우측면(115)에 평행하며 동일면으로 일치된 것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상기 상부벽(123)과 하부벽(125)의 내측면(126, 커버가 연장되는 쪽의 면)은 동일면으로서 상부 경사면(117)에 평행하고, 상기 커버(127)는 돌출벽(121)에서 상기 상부 경사면(117)의 반대쪽으로 연장된 것이다. 도 3에서는 커버(127)가 일례로서 좌측면(111)을 향하여 개방된 것으로 제시되고 있다.
또한, 무두볼트(S)의 체결이 가능하도록 상기 베이스판(110)에 볼트홀(116)이 천공되고, 상기 볼트홀(116)에 대응되도록 상기 커버(127)에 렌치홀(129)이 천공된다. 이때, 상기 렌치홀(129)은 도 3(a)에서처럼 커버(127)의 형태에 의해서 C 형으로 일측이 개방된 형상일 수도 있다. 상기 볼트홀(116)은 탭홀일 수도 있고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은 일반적인 것일 수도 있다. 이렇게 일반적인 홀일 때에는 본 발명이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므로 무두볼트(S)가 회전하면서 관통될 때 자연히 나사산이 형성되면서 체결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원터치 파티션 커넥터를 포함하는 파티션 커넥터 어셈블리)
본 발명에 의한 원터치 파티션 커넥터를 포함하는 파티션 커넥터 어셈블리(90)의 실시예를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원터치 파티션 커넥터를 포함하는 파티션 커넥터 어셈블리로서, (a)는 프레임에 원터치 파티션 커넥터가 삽입된 것을 도시한 정면도이고, (b)는 (a)의 상태에서 원터치 파티션 커넥터를 회동시켜서 프레임에 체결된 것을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원터치 파티션 커넥터를 포함하는 파티션 커넥터 어셈블리로서, 프레임의 측벽을 절개하여 원터치 파티션 커넥터가 체결되는 과정을 (a), (b), (c) 순서대로 표현한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원터치 파티션 커넥터를 포함하는 파티션 커넥터 어셈블리로서, 프레임에 원터치 파티션 커넥터가 체결되는 과정을 (a), (b), (c), (d) 순서대로 표현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볼 발명에 의한 원터치 파티션 커넥터를 포함하는 파티션 커넥터 어셈블리로서 프레임이 파티션을 직각으로 연결하는 기둥 타입일 때 상기 프레임에 원터치 파티션 커넥터가 삽입되는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원터치 파티션 커넥터를 포함하는 파티션 커넥터 어셈블리(90)는 상기 원터치 파티션 커넥터(100)와 상기 원터치 파티션 커넥터(100)에 조합되는 것으로서 상하방으로 길게 형성된 바(bar) 형상의 프레임(200)을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200)은 도 7 에서처럼, 파티션(P)의 측방 단부에 부착되어, 파티션(P)이 일자형으로 연결되게 하는 것일 수도 있고, 도 8에서처럼, 기둥형으로 형성되어 파티션(P)을 직각형으로 연결시키는 것일 수도 있다.
상기 프레임(200)들은 다음 사항을 공통되게 포함한다.
도 7 및 도 8에서처럼, 상기 원터치 파티션 커넥터(100)에 대응되는 쪽에 밀착면(210)이 형성되고, 상기 밀착면(210)의 좌우측에 원터치 파티션 커넥터(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측벽(220)이 형성된다. 또한, 양측의 상기 측벽(220)의 상단에서 내측으로 각각 걸림부(230)가 연장된다. 따라서, 측벽(220)과 걸림부(230)는 ㄱ형상이 되도록 연결된다. 상기 걸림부(230)의 선단(231)은 하방으로 절곡되어 추후 삽입된 베이스판(110)의 상면을 압박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도 6 및 도 7에서처럼, 상기 밀착면(210)에 원터치 파티션 커넥터(100)의 양측 돌기(1173, 1131)가 삽입되는 홈(211)이 형성되는데, 상기 밀착면(210)에 상기 측벽(220)의 내측 양쪽에 양측 돌기(1173, 1131)의 간격으로 배치되고, 원터치 파티션 커넥터(100)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돌기(1173, 1131)가 각각 삽입되게 형성된다.
또한, 도 7(a),(b)에서처럼, 양측 상기 걸림부(230)의 선단(231) 사이 폭(W)은 상기 베이스판(110)의 좌우측 폭(V)보다 크게 형성되므로 베이스판(110)이 용이하게 선단(231) 사이로 통과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도 7(c)에서처럼, 상기 베이스판(110)이 상기 걸림부(230) 사이로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원터치 파티션 커넥터(100)가 회동하여 각각의 상기 돌기(1173, 1131)가 각각의 홈(211)에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판(110)이 상기 걸림부(230)에 걸려서 전방 이탈이 방지되도록 구성되며, 이때 걸림부(230)가 베이스판(110)을 압박하도록 형성되므로 원터치 파티션 커넥터(100)가 상하방으로 이동되는 현상이 방지되도록 구성된다.
이상, 살펴본 상기 본 발명의 사용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프레임(200)과 상기 원터치 파티션 커넥터(100)의 결속 과정을 상기 도 6 내지 도 8과 함께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세워진 상기 프레임(200)을 향하여, 도 6(a), 도 7(a)에서처럼, 상기 원터치 파티션 커넥터(100)를 대향시킨다. 이때, 상기 베이스판(110)이 상기 상부 경사면(117)과 하부 경사면(113)이 각각 상하방을 향하도록 세운 상태가 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도 6(b), 도 7(b)에서처럼, 원터치 파티션 커넥터(100)를 상기 걸림부(230) 사이로 진입시켜서 상기 밀착면(210)까지 밀어 넣는다.
다음으로 도 6(c), 도 7(c)에서처럼, 원터치 파티션 커넥터(100)의 후크(120)를 잡고 일측으로 회동시켜서 각각의 상기 돌기(1173, 1131)가 밀착면(210)에 형성된 각각의 홈(211)에 삽입되도록 한다. 이때, 베이스판(110)이 회동하면서 걸림부(230)와 밀착면(210) 사이로 들어가는데, 걸림부(230)를 상방으로 들어올리면서 끼워진다. 그리고 돌기(1173, 1131)가 홈(211)에 삽입되면서 '딸깍'하는 소리와 함께 체결이 완료된다. 이때, 들어올려졌던 걸림부(230)는 다시 하강하면서 베이스판(110)을 압박하여 상하방을 이동하는 현상이 방지되도록 한다. 즉, 제동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도 5에서처럼, 상기 돌출벽(121)의 하부벽(125)은 베이스판(110)이 양측 걸림부(230) 사이로 진입한 상태에서 일측 걸림부(230)에 접하는 상태가 되고, 베이스판(110)이 회동한 후에는 상기 하부벽(125)은 접하던 걸림부(230)에서 이탈하게 되고 상부벽(123)이 일측 걸림부(230)에 접하게 되므로 돌출벽(121)이 베이스판(110)의 회동 시에 걸림부(230)에 간섭되지 않도록 하여 원활한 회동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이때 상부 경사면(117)과 하부 경사면(113) 및 상부벽(123) 그리고 내측면(126)은 수직 상태가 된다.
다음으로 도 7(c), (d)에서처럼, 무두볼트(S)를 상기 렌치홀(129)을 통해서 상기 볼트홀(116)에 체결되도록 한다. 이때, 렌치홀(129)에 렌치를 넣어 무두볼트(S)를 계속 회전시키면, 무두볼트(S)는 밀착면(210)에 닿은 상태에서 베이스판(110)을 걸림부(230) 쪽으로 밀어내게 된다. 따라서, 베이스판(110)과 걸림부(230) 사이의 마찰력을 증대시키게 되어 더욱 견고한 결속이 가능하다. 그러나, 이러한 무두볼트(S)의 체결은 선택사항으로서 반영구적으로 체결시킬 경우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수시로 이탈시켜서 파티션(P)의 배치를 변경할 경우에는 무두볼트(S)의 체결 없이도 사용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 살펴본 원터치 파티션 커넥터(100)의 이탈은 상기 조립 순서의 역순으로 가능하다.
이처럼, 프레임(200)에 원터치 파티션 커넥터(100)를 체결한 후, 파티션(P)끼리의 연결 과정을,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원터치 파티션 커넥터를 포함하는 파티션 커넥터 어셈블리의 사용 상태를 표현한 것으로서, 양측의 파티션에 프레임이 장착되고 각각의 상기 프레임에 원터치 파티션 커넥터가 삽입되는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상태를 거쳐서 원터치 파티션 커넥터가 프레임에 결속된 후 무두볼트를 체결하는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상태를 거쳐서 (a), (b)의 순서로 양측 프레임이 조합되는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에서 양측 프레임이 조합될 때의 원터치 파티션 커넥터만을 발췌하여 조합되는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또한, 도 13은 도 12를 후방에서 본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4는 도 8에서처럼 기둥 타입의 프레임에 원터치 파티션 커넥터가 결속된 후, 양측의 파티션이 상기 기둥 타입의 프레임에 직각으로 연결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파티션(P)을 일자형으로 연결하는 경우, 상기 언급한 것처럼 각 파티션(P)의 프레임(200)에 원터치 파티션 커넥터(100)를 체결한다. 이때, 무두볼트(S)의 체결은 선택 사항이다.
다음으로, 도 11(a)에서처럼 일측 파티션(P)의 프레임(200)을 상대측 파티션(P)의 프레임(200) 보다 상승시킨 상태로 맞닿게 한다. 그러면, 체결된 각각의 원터치 파티션 커넥터(100)는 도 12(a), 도 13(a)와 같은 배치가 된다. 이 상태에서 도 11(b)처럼 들어올렸던 일측 파티션(P)을 하강시키면 도 12(b), 도 13(b)처럼 각각의 후크(120)가 맞물리게 된다. 이때, 일측 후크(120)에 구성된 커버(127)의 선단(128)은 상대측 후크(120)에 구성된 돌출벽(121)의 내측면(126)을 따라서 하강하게 된다. 즉, 상기 내측면(126)은 수직 상태가 되므로 상기 선단(128)이 내측면(126)을 따라 수직으로 하강하게 된다. 따라서, 양측의 파티션(P)의 연결이 완료된다. 상호 이탈시킬 때에는 상기 조립 순서의 역순으로 가능하다.
이런 방식으로 도 14에서처럼, 기둥 타입의 프레임(200)에 직각이 되도록 양측의 파티션(P)을 연결시킬 수 있다.
이상, 살펴본 본 발명에 의하면, 양측의 파티션(P)에 원터치 파티션 커넥터(100)를 각각 체결시킴에 있어, 양측의 장착 지점이 일치할 필요가 없다. 즉, 측방과 상하방으로 개방된 후크(120)가 상호 끼워지는 것이기 때문에 어느 일측의 장착 지점이 상대측보다 높거나 낮더라도 상호 결속이 가능하다. 즉, 작업자가 대충 육안으로 짐작하여 원터치 파티션 커넥터(100)를 파티션(P) 즉 프레임(200)에 체결하더라도 양측 파티션(P)의 상단은 일치하게 된다. 다시 말하면, 조합된 양측의 원터치 파티션 커넥터(100)는 각각 상하방으로 이송이 가능하다. 따라서, 파티션(P)을 지지하는 레그의 높이만 조정하게 되면 파티션(P)의 상단은 용이하게 일치하게 된다.
또한, 굳이 볼트를 사용하지 않아도 원터치 방식으로 신속하게 파티션(P) 즉 프레임(200)에 체결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성이 용이하므로 비숙련자 이를테면 소비자들도 쉽게 작업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90: 원터치 파티션 커넥터를 포함하는 파티션 커넥터 어셈블리
100: 원터치 파티션 커넥터 110: 베이스판
111: 좌측면 113: 하부 경사면
1131: 돌기 115: 우측면
116: 볼트홀 117: 상부 경사면 1173: 돌기 1191: 상단 1195: 전면 1193: 하단
120: 후크 121: 돌출벽
123: 상부벽 125: 하부벽
126: 내측면 127: 커버
128: 선단 129: 렌치홀
200: 프레임 210: 밀착면
211: 홈 220: 측벽
230: 걸림부 231: 선단
P: 파티션 V: 폭
W: 폭 A: 각도
S: 무두볼트

Claims (8)

  1. 납작한 판상의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의 전면에 연결된 ㄱ형상의 것으로서 일측방으로 개방된 후크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판의 좌측면 및 우측면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판의 상단까지 형성된 상부 경사면과,
    상기 좌측면 및 우측면 중 상기 상부 경사면이 형성되지 않은 것에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판의 하단까지 형성된 하부 경사면과,
    상기 상부 경사면 및 하부 경사면의 후방 단부에 형성된 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파티션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면 및 우측면은 수직면으로서 상호 평행하고,
    상기 상부 경사면 및 하부 경사면은 상호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파티션 커넥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각각 상기 상부 경사면과 하부 경사면을 따라 길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파티션 커넥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는,
    상기 베이스판의 전면에 연결된 돌출벽과,
    상기 돌출벽에서 일측방으로 연장된 판상의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파티션 커넥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벽은,
    상기 상부 경사면과 상기 상부 경사면의 상대측에 형성된 좌측면 또는 우측면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상부 경사면에 평행한 상부벽과,
    상기 상부벽의 하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상부 경사면에 이어지는 우측면 또는 좌측면에 평행한 하부벽과,
    상기 상부벽과 하부벽의 내측면(커버가 연장되는 쪽의 면)은 상기 상부 경사면에 평행한 것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상기 돌출벽에서 상기 상부 경사면의 반대쪽으로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파티션 커넥터.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판에 천공된 볼트홀과,
    상기 볼트홀에 대응되도록 상기 커버에 천공된 렌치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파티션 커넥터.
  7. 제6항에 의한 원터치 파티션 커넥터와,
    상기 원터치 파티션 커넥터에 조합되는 것으로서 상하방으로 길게 형성된 바(bar) 형상의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상기 원터치 파티션 커넥터에 대응되는 쪽에 형성된 밀착면과,
    상기 밀착면의 좌우측에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측벽과,
    양측의 상기 측벽에서 내측으로 각각 연장된 걸림부와,
    상기 밀착면에서 상기 측벽의 내측에 배치되고, 길이 방향으로 길게 양측에 형성되어 양측의 상기 돌기가 각각 삽입되는 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파티션 커넥터를 포함하는 파티션 커넥터 어셈블리.
  8. 제7항에 있어서,
    양측 상기 걸림부의 선단 사이 폭은 상기 베이스판의 좌우측 폭보다 크게 형성된 것과,
    상기 베이스판이 상기 걸림부 사이로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원터치 파티션 커넥터가 회동하여 각각의 상기 돌기가 각각의 상기 홈에 삽입되도록 형성된 것과,
    상기 돌기가 각각의 상기 홈에 삽입되도록 구성된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판이 상기 걸림부에 걸려서 전방 이탈이 방지되도록 형성된 것과,
    상기 베이스판이 상기 걸림부에 걸려 있는 상태에서 상기 걸림부가 상기 베이스판을 압박하도록 형성된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파티션 커넥터를 포함하는 파티션 커넥터 어셈블리.
KR1020210057700A 2021-05-04 2021-05-04 원터치 파티션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파티션 커넥터 어셈블리 KR1023293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7700A KR102329322B1 (ko) 2021-05-04 2021-05-04 원터치 파티션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파티션 커넥터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7700A KR102329322B1 (ko) 2021-05-04 2021-05-04 원터치 파티션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파티션 커넥터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9322B1 true KR102329322B1 (ko) 2021-11-19

Family

ID=787179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7700A KR102329322B1 (ko) 2021-05-04 2021-05-04 원터치 파티션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파티션 커넥터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932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3458B1 (ko) * 2012-06-12 2013-01-21 주식회사 모빌퍼스 파티션 연결구조
KR101225600B1 (ko) 2012-07-24 2013-02-05 주식회사 세계로 파티션 컨넥터
KR20180003198U (ko) * 2017-05-02 2018-11-12 노상민 파티션 체결 부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3458B1 (ko) * 2012-06-12 2013-01-21 주식회사 모빌퍼스 파티션 연결구조
KR101225600B1 (ko) 2012-07-24 2013-02-05 주식회사 세계로 파티션 컨넥터
KR20180003198U (ko) * 2017-05-02 2018-11-12 노상민 파티션 체결 부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89515B2 (en) Hinge assembly for a frame structure
CN103541968B (zh) 用于两个型材部可拆卸连接的夹持装置
EP1878359A1 (en) Assembling structure
US20080061019A1 (en) Modular rack
EA031843B1 (ru) Мебельная панель
RU2357059C2 (ru) Направляющая для раздвижных и складывающихся дверей
US20030038829A1 (en) Display structure and system
JP6506207B2 (ja) 接合具
KR20160031434A (ko) 케이블 트레이 접합부 및 이음매 판 결합 시스템
CN108291396A (zh) 支持装置及其组件
KR102329322B1 (ko) 원터치 파티션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파티션 커넥터 어셈블리
DE10214603A1 (de) Vereinigbares Anschlußpaßstück, Konstruktion zum Vereinigen bzw. Verbinden einer Vielzahl von Anschlußpaßstücken und Verfahren
CN103620240A (zh) 连接元件
KR102026611B1 (ko) 테이블
KR100788046B1 (ko) 판재간의 결합구조
KR930008030B1 (ko) 조립식 선반틀체의 조립방법 및 설치구조
JP6717571B2 (ja) 腰壁パネル固定構造
DE69833173T2 (de) Zusammenstellungsweise von Halterungen, Verkaufsständern oder Verpackungen
CN2740539Y (zh) 金属箱体的组接结构
KR101605370B1 (ko) 알루미늄 프로파일의 연결구
KR102685987B1 (ko) 조립식 선반 구조물용 체결수단
US11324317B2 (en) Shelf support and arrangement
CN210739052U (zh) 快速拼装家具及隐藏式快速连接机构
JP3875538B2 (ja) パネル連結装置
US20240081529A1 (en) Assembled draw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