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6129B1 - 조립이 가능한 전기 케이블 트레이 구조 - Google Patents

조립이 가능한 전기 케이블 트레이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6129B1
KR101026129B1 KR1020110009893A KR20110009893A KR101026129B1 KR 101026129 B1 KR101026129 B1 KR 101026129B1 KR 1020110009893 A KR1020110009893 A KR 1020110009893A KR 20110009893 A KR20110009893 A KR 20110009893A KR 101026129 B1 KR101026129 B1 KR 1010261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fixed
fixing
support
groov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98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윤상
Original Assignee
(주)예다종합설계감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예다종합설계감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예다종합설계감리사무소
Priority to KR10201100098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61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61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61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0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26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the pipes all along their length, e.g. pipe channels or duc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37Channels
    • H02G3/0443Channels formed by wire or analogous nett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56Ladders or other supports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블 트레이를 쉽게 설치할 수 있고, 천정에 고정된 행거봉 하단에 고정지지체를 설치한 뒤에 지지강선을 고정지지체에 고정하며, 지지강선에 강선트레이를 끼우면 간편하게 고정되는 조립이 가능한 전기 케이블 트레이 구조에 관한 것이며, 하단에 나사산이 형성된 행거봉(2)이 장방형 몸체(11)의 상면 중앙에 형성된 봉홀(12)과 체결되어 결합되고, 봉홀(12)을 중심으로 몸체(11) 양쪽에 각각 고정구홈(13)이 형성되며, 고정구홈(13)과 통하도록 몸체(11) 양단에 와이어홈(14)이 형성되고, 몸체(11) 상면의 모서리에 인접한 곳에 볼트홀(15)이 형성되며, 두개 한쌍으로 열을 이루어 형성된 행거봉(2) 하단에 각각 고정되는 고정지지체(10); 와이어(21)의 양단에 원통형 고정구(22)가 형성되고, 고정구(22)는 고정지지체(10)의 고정구홈(13)에 삽입되되 와이어(21)가 와이어홈(14)에 삽입되며, 와이어(21)에 일정 간격으로 원형의 걸림구(23)가 형성되며, 인접한 고정지지체(10)를 길이 방향으로 연결하여 두 열을 형성하는 지지강선(20); 와이어(31)의 양단에 고정클립(32)이 형성되어 한쌍의 지지강선(20)에 폭방향으로 양단의 고정클립이 각각 고정되고, 고정클립(32)은 몸체(32-1)의 하단에 고정부(32-4)가 형성되어 와이어(31)가 고정되며, 몸체(32-1)의 일측에 삽입구(32-5)가 형성되어 삽입구(32-5) 내측으로 몸체(32-1) 중앙에 반구형홈(32-2)이 형성되며, 반구형홈(32-2)의 양측으로 몸체(32-1)에 슬릿홀(32-3)이 형성되고, 반구형홈(32-2)에 걸림구(23)가 삽입되면서 지지강선(20)의 와이어(21)가 슬릿홀(32-3)에 삽입되며, 와이어(31)의 중간에 사각바(33)가 고정되어 사각바(33) 위에 케이블이 안착되는 강선트레이(30); 장방형 판체(41)의 양단에 각각 연결단(43)(44)이 형성되고, 연결단(43)(44)의 사이의 판체(41) 저면에 누름부(42)가 돌출되어 형성되며, 연결단(43)(44)에 서로 다른 방향으로 홈부(43-2)(44-2)가 각각 형성되어 행거봉(2)이 삽입되고, 연결단(43)(44)에 홀(43-1)(44-1)이 각각 형성되어 고정지지체(10)의 볼트홀(15)과 나비볼트로 고정되며, 일측 연결단(43)의 상면에 위치하도록 단턱(44-3)이 타측 연결단(44)에 형성되어 일측 연결단(43)의 상면에 인접한 타측 연결단(44)이 겹쳐져 고정되고, 누름부(42)가 고정클립(32)의 상단을 눌러 고정하는 누름지지판(4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조립이 가능한 전기 케이블 트레이 구조 {An electric cable tray assembly structure }
본 발명은 조립이 가능한 전기 케이블 트레이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케이블 트레이를 쉽게 설치할 수 있고, 천정에 고정된 행거봉 하단에 고정지지체를 설치한 뒤에 지지강선을 고정지지체에 고정하며, 지지강선에 강선트레이를 끼우면 간편하게 고정되는 조립이 가능한 전기 케이블 트레이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장이나 건축 구조물 등에는 전원 공급이나 유체 등의 공급을 위해 크고 작은 직경의 케이블이 천정 및 바닥 또는 벽체를 따라 배치되며, 이렇게 배치되는 케이블은 미관을 위하여 또는 통행하는 사람들에게 불편함을 주지 않기 위해서 케이블 트레이를 사용하여 지지고정한다.
이와 같이 각종 케이블을 지지고정하여 주는 종래의 케이블 트레이는 전반적으로 일정한 길이를 가지고 좌 우측에 각각 위치되는 한 쌍의 측면 프레임과, 상기 측면 프레임 사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결합되는 행거(막대형, 판형)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케이블 트레이를 적용하여 각종 케이블을 용이하게 정리된 상태로 배선할 수 있다는 장점은 있으나, 측면 프레임과 행거가 전반적으로 분해조립이 불가능하도록 용접에 의해 고정식 구조로 결합 되어 있기 때문에 외형적인 부피가 크고 그로 인하여 적재, 보관 및 운송이 효율적이지 못한 문제가 있다. 그리고 많은 적재 및 보관공간을 확보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고, 운송이 불편하며, 용접작업을 하여야 하므로 불필요한 인력의 낭비와 생산원가상승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용접에 의한 결합구조를 갖는 기존의 케이블 트레이는 사용에 의해 일부분만 파손되었더라도 분리/조립이 불가하여 전체를 폐기처리하여야 하는 관계로 인하여 일부 부품 내지는 전체적으로 재사용이 불가능하여 경제적으로도 큰 손실이 따르는 등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건축물의 고전압의 전기선, 통신선, 전화선 등 다양한 라인을 각 세대로 분배하기 위한 케이블 트레이가 건축물의 지하 주차장 천정에 설치되고 있고, 이러한 건축물 케이블 트레이는 다양한 형태로 전기선, 통신선, 전화선 등의 라인을 분배하는 경우에 이용되고 있다.
현재는 다양한 형태로 케이블 트레이가 연구되고 개발되는 실정이다.
하지만 전기선과 통신선이 같은 트레이 내에 있으면 전자파에 의한 간섭에 의해 통신선의 품질에 문제가 발생할 우려가 있고, 여러가지 케이블이 엉켜있어 유지 보수시에 필요한 케이블을 선별하여 보수하기 불편한 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트레이를 구성하는 부품을 용접하지 않고 설치할 뿐만 아니라, 해체하여 다시 사용할 수 있게 구성하고자 하는 목적이 있다.
그리고 트레이를 구성하는 부품의 운반이 간편하고, 부품의 개별 하중이 가벼울 뿐만 아니라 연결구조가 간편하여 설치와 해체가 간편하게 구성한 조립이 가능한 전기 케이블 트레이 구조를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하단에 나사산이 형성된 행거봉(2)이 장방형 몸체(11)의 상면 중앙에 형성된 봉홀(12)과 체결되어 결합되고, 봉홀(12)을 중심으로 몸체(11) 양쪽에 각각 고정구홈(13)이 형성되며, 고정구홈(13)과 통하도록 몸체(11) 양단에 와이어홈(14)이 형성되고, 몸체(11) 상면의 모서리에 인접한 곳에 볼트홀(15)이 형성되며, 두개 한쌍으로 열을 이루어 형성된 행거봉(2) 하단에 각각 고정되는 고정지지체(10); 와이어(21)의 양단에 원통형 고정구(22)가 형성되고, 고정구(22)는 고정지지체(10)의 고정구홈(13)에 삽입되되 와이어(21)가 와이어홈(14)에 삽입되며, 와이어(21)에 일정 간격으로 원형의 걸림구(23)가 형성되며, 인접한 고정지지체(10)를 길이 방향으로 연결하여 두 열을 형성하는 지지강선(20); 와이어(31)의 양단에 고정클립(32)이 형성되어 한쌍의 지지강선(20)에 폭방향으로 양단의 고정클립이 각각 고정되고, 고정클립(32)은 몸체(32-1)의 하단에 고정부(32-4)가 형성되어 와이어(31)가 고정되며, 몸체(32-1)의 일측에 삽입구(32-5)가 형성되어 삽입구(32-5) 내측으로 몸체(32-1) 중앙에 반구형홈(32-2)이 형성되며, 반구형홈(32-2)의 양측으로 몸체(32-1)에 슬릿홀(32-3)이 형성되고, 반구형홈(32-2)에 걸림구(23)가 삽입되면서 지지강선(20)의 와이어(21)가 슬릿홀(32-3)에 삽입되며, 와이어(31)의 중간에 사각바(33)가 고정되어 사각바(33) 위에 케이블이 안착되는 강선트레이(30); 장방형 판체(41)의 양단에 각각 연결단(43)(44)이 형성되고, 연결단(43)(44)의 사이의 판체(41) 저면에 누름부(42)가 돌출되어 형성되며, 연결단(43)(44)에 서로 다른 방향으로 홈부(43-2)(44-2)가 각각 형성되어 행거봉(2)이 삽입되고, 연결단(43)(44)에 홀(43-1)(44-1)이 각각 형성되어 고정지지체(10)의 볼트홀(15)과 나비볼트로 고정되며, 일측 연결단(43)의 상면에 위치하도록 단턱(44-3)이 타측 연결단(44)에 형성되어 일측 연결단(43)의 상면에 인접한 타측 연결단(44)이 겹쳐져 고정되고, 누름부(42)가 고정클립(32)의 상단을 눌러 고정하는 누름지지판(4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이 가능한 전기 케이블 트레이 구조를 제공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행거봉에 나사 결합된 고정지지체 사이에 지지강선을 간단한 동작으로 끼우고, 지지강선 사이에 강선트레이를 끼워 고정하므로 간단하게 조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고정지지체, 지지강선, 강선트레이, 누름지지판 모두 운반하기 좋은 부피로 형성되어 운반과 조립이 간편한 효과가 있다.
용접 등의 공정이 필요 없어 설치가 간편하고, 조립에 걸리는 시간이 획기적으로 줄어드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조립이 가능한 전기 케이블 트레이 구조에서 고정지지체를 단면처리하여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조립이 가능한 전기 케이블 트레이 구조를 상방에서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조립이 가능한 전기 케이블 트레이 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조립이 가능한 전기 케이블 트레이 구조의 강선트레이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조립이 가능한 전기 케이블 트레이 구조의 고정클립을 도시한 일부 절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조립이 가능한 전기 케이블 트레이 구조를 도시한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조립이 가능한 전기 케이블 트레이 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은 천정(1)에 매입된 매설너트에 고정되는 행거봉(2)이 한쌍씩 열을 이루어 고정되고, 각각의 행거봉(2) 하단에 형성된 나사산에 고정지지체(10)가 체결되어 고정되며, 고정지지체(10)에 지지강선(20)이 고정되고, 평행하게 설치되는 한쌍의 지지강선(20)에 강선트레이(30)가 고정되어 케이블을 지지하며, 강선트레이(30)의 고정클립(32) 상단을 누름지지판(40)이 누르도록 설치되어 안정적인 설치가 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고정지지체(1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되어 있듯이, 장방형 몸체(11)의 상면 중앙에 봉홀(12)이 형성되고, 봉홀(12)의 내경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하단에 나사산이 형성된 행거봉(2)과 체결되어 결합된다.
그리고 봉홀(12)을 중심으로 몸체(11) 양쪽에 각각 고정구홈(13)이 수직으로 형성되고, 고정홈(13)의 깊이는 몸체(11) 2/3 정도의 깊이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히다. 상기 고정구홈(13)과 통하도록 와이어홈(14)이 몸체(11) 양단으로 형성되고, 몸체(11) 상면의 모서리에 인접한 곳에 볼트홀(15)이 형성된다. 모서리의 대각 방향으로 두개의 볼트홀(15)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4개를 형성하는 것도 무방하다.
이와 같이 고정지지체(10)는 두개 한쌍으로 열을 이루어 고정되는 행거봉(2) 하단에 각각 체결되되, 와이어홈(14)이 있는 양단이 열을 이루는 방향을 향하도록 고정된다.
지지강선(20)은 도 3에 도시되어 있듯이, 와이어(21)의 양단에 원통형 고정구(22)가 형성되고, 고정구(22)는 상기 고정지지체(10)의 고정구홈(13)과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되어 고정구(22)가 끼워져 이탈이 쉽지 않게 한다.
고정구(22)는 고정지지체(10)의 고정구홈(13)에 삽입되는 동시에 고정구(22)가 고정된 와이어(21)가 와이어홈(14)에 삽입되고, 와이어(21)에 일정 간격으로 원형의 걸림구(23)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지지강선(20)은 인접한 고정지지체(10)를 길이 방향으로 연결하여 두 열을 형성하게 된다.
강선트레이(30)는 와이어(31)의 양단에 고정클립(32)이 형성되어 한쌍의 지지강선(20)에 폭방향으로 양단의 고정클립이 각각 고정되고, 와이어(31)의 중앙에 사각바(33)가 고정되어 그 위에 케이블을 안착시키게 된다.
강선트레이(30)의 고정클립(32)은 몸체(32-1)의 하단에 고정부(32-4)가 형성되어 와이어(31)가 고정되고, 고정부(32-4)는 몸체 무게 중심을 이루는 수직선의 하단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몸체(32-1)의 일측에 삽입구(32-5)가 형성되어 몸체 내측으로 공간부가 형성되는데, 삽입구(32-5) 내측으로 형성되는 공간부인 몸체(32-1) 중앙에 반구형홈(32-2)이 아래를 향하여 형성되고, 반구형홈(32-2)의 양측으로 몸체(32-1)에 슬릿홀(32-3)이 형성된다.
반구형홈(32-2)이 지지강선(20)의 걸림구(23)에 위치하면서 걸림구(23)가 반구형홈(32-2)으로 삽입되면서 강선트레이(30)의 위치가 고정된다. 이때 동시에 지지강선(20)의 와이어(21)가 슬릿홀(32-3)에 삽입된다.
누름지지판(40)은 편평하게 형성된 고정클립(32)의 상단을 눌러 이탈되지 않게 고정하는 구성으로, 사용하지 않아도 무방하다.
누름지지판(40)은 장방형 판체(41)의 양단에 각각 연결단(43)(44)이 형성되고, 연결단(43)(44)의 사이의 판체(41) 저면에 누름부(42)가 돌출되어 형성되어 고정클립(32)의 상단을 누르게 된다.
연결단(43)(44)에 서로 다른 방향으로 홈부(43-2)(44-2)가 각각 형성되어 행거봉(2)이 삽입되고, 연결단(43)(44)에 홀(43-1)(44-1)이 각각 형성되어 고정지지체(10)의 볼트홀(15)과 나비볼트로 고정된다. 이때 일측 연결단(43)의 상면에 위치하도록 단턱(44-3)이 타측 연결단(44)에 형성되어 일측 연결단(43)의 상면에 인접한 타측 연결단(44)이 겹쳐져 고정된다.
도 6과 도 7에는 본 발명의 케이블 트레이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하였는데,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강선트레이(30)의 와이어(31) 길이를 다르게 하면 다단으로 케이블 트레이를 형성할 수 있어 편리하다.
1 : 천정 2 : 행거봉
10 : 고정지지체 11 : 몸체
12 : 봉홀 13 ; 고정구홈
14 : 와이어홈 15 : 볼트홀
20 : 지지강선 21 : 와이어
22 : 고정구 23 : 걸림구
30 : 강선트레이 31 : 와이어
32 : 고정클립 32-1 : 몸체
32-2 : 반구형홈 32-3 : 슬릿홈
32-4 : 고정부 32-5 : 삽입구
33 : 사각바 40 : 누름지지판
41 : 판체 42 : 누름부
43, 44 : 연결단 43-1, 44-1 : 홀
43-2, 44-2 : 홈부 44-3 : 단턱

Claims (1)

  1. 하단에 나사산이 형성된 행거봉(2)이 장방형 몸체(11)의 상면 중앙에 형성된 봉홀(12)과 체결되어 결합되고, 봉홀(12)을 중심으로 몸체(11) 양쪽에 각각 고정구홈(13)이 형성되며, 고정구홈(13)과 통하도록 몸체(11) 양단에 와이어홈(14)이 형성되고, 몸체(11) 상면의 모서리에 인접한 곳에 볼트홀(15)이 형성되며, 두개 한쌍으로 열을 이루어 형성된 행거봉(2) 하단에 각각 고정되는 고정지지체(10);
    와이어(21)의 양단에 원통형 고정구(22)가 형성되고, 고정구(22)는 고정지지체(10)의 고정구홈(13)에 삽입되되 와이어(21)가 와이어홈(14)에 삽입되며, 와이어(21)에 일정 간격으로 원형의 걸림구(23)가 형성되며, 인접한 고정지지체(10)를 길이 방향으로 연결하여 두 열을 형성하는 지지강선(20);
    와이어(31)의 양단에 고정클립(32)이 형성되어 한쌍의 지지강선(20)에 폭방향으로 양단의 고정클립이 각각 고정되고, 고정클립(32)은 몸체(32-1)의 하단에 고정부(32-4)가 형성되어 와이어(31)가 고정되며, 몸체(32-1)의 일측에 삽입구(32-5)가 형성되어 삽입구(32-5) 내측으로 몸체(32-1) 중앙에 반구형홈(32-2)이 형성되며, 반구형홈(32-2)의 양측으로 몸체(32-1)에 슬릿홀(32-3)이 형성되고, 반구형홈(32-2)에 걸림구(23)가 삽입되면서 지지강선(20)의 와이어(21)가 슬릿홀(32-3)에 삽입되며, 와이어(31)의 중간에 사각바(33)가 고정되어 사각바(33) 위에 케이블이 안착되는 강선트레이(30);
    장방형 판체(41)의 양단에 각각 연결단(43)(44)이 형성되고, 연결단(43)(44)의 사이의 판체(41) 저면에 누름부(42)가 돌출되어 형성되며, 연결단(43)(44)에 서로 다른 방향으로 홈부(43-2)(44-2)가 각각 형성되어 행거봉(2)이 삽입되고, 연결단(43)(44)에 홀(43-1)(44-1)이 각각 형성되어 고정지지체(10)의 볼트홀(15)과 나비볼트로 고정되며, 일측 연결단(43)의 상면에 위치하도록 단턱(44-3)이 타측 연결단(44)에 형성되어 일측 연결단(43)의 상면에 인접한 타측 연결단(44)이 겹쳐져 고정되고, 누름부(42)가 고정클립(32)의 상단을 눌러 고정하는 누름지지판(4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이 가능한 전기 케이블 트레이 구조.
KR1020110009893A 2011-02-01 2011-02-01 조립이 가능한 전기 케이블 트레이 구조 KR1010261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9893A KR101026129B1 (ko) 2011-02-01 2011-02-01 조립이 가능한 전기 케이블 트레이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9893A KR101026129B1 (ko) 2011-02-01 2011-02-01 조립이 가능한 전기 케이블 트레이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26129B1 true KR101026129B1 (ko) 2011-04-05

Family

ID=440494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9893A KR101026129B1 (ko) 2011-02-01 2011-02-01 조립이 가능한 전기 케이블 트레이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6129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5805B1 (ko) 2013-09-13 2015-03-2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다단 케이블 트레이의 케이블 포설장치 및 포설방법
CN106848959A (zh) * 2016-12-30 2017-06-13 广州程科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电力施工用的线路固定装置
CN107093877A (zh) * 2016-12-30 2017-08-25 广州程科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耐用线路固定装置
CN107093879A (zh) * 2016-12-30 2017-08-25 广州程科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电力线路固定装置
CN107093875A (zh) * 2016-12-30 2017-08-25 广州程科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新型电力线路固定装置
CN107093878A (zh) * 2016-12-30 2017-08-25 广州程科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便用电力线路固定装置
CN112821304A (zh) * 2021-02-06 2021-05-18 安徽亢信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电缆固定组件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05524A (ja) * 1992-12-28 1994-07-22 Fujita Corp ケーブルラックの敷設方法
KR20090033505A (ko) * 2007-10-01 2009-04-06 김태식 케이블트레이
KR100968077B1 (ko) 2010-03-18 2010-07-08 (주)하경엔지니어링 공동주택 배전용 조립식 케이블 트레이 구조
KR20100086318A (ko) * 2009-01-22 2010-07-30 주식회사 제원에이스산업 케이블트레이 행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05524A (ja) * 1992-12-28 1994-07-22 Fujita Corp ケーブルラックの敷設方法
KR20090033505A (ko) * 2007-10-01 2009-04-06 김태식 케이블트레이
KR20100086318A (ko) * 2009-01-22 2010-07-30 주식회사 제원에이스산업 케이블트레이 행거
KR100968077B1 (ko) 2010-03-18 2010-07-08 (주)하경엔지니어링 공동주택 배전용 조립식 케이블 트레이 구조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5805B1 (ko) 2013-09-13 2015-03-2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다단 케이블 트레이의 케이블 포설장치 및 포설방법
CN106848959A (zh) * 2016-12-30 2017-06-13 广州程科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电力施工用的线路固定装置
CN107093877A (zh) * 2016-12-30 2017-08-25 广州程科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耐用线路固定装置
CN107093879A (zh) * 2016-12-30 2017-08-25 广州程科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电力线路固定装置
CN107093875A (zh) * 2016-12-30 2017-08-25 广州程科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新型电力线路固定装置
CN107093878A (zh) * 2016-12-30 2017-08-25 广州程科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便用电力线路固定装置
CN112821304A (zh) * 2021-02-06 2021-05-18 安徽亢信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电缆固定组件
CN112821304B (zh) * 2021-02-06 2022-03-04 安徽亢信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电缆固定组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6129B1 (ko) 조립이 가능한 전기 케이블 트레이 구조
KR100847877B1 (ko) 케이블 고정장치를 구비한 케이블 트레이
KR101602807B1 (ko) 모듈형 플로어링 시스템
US10288269B2 (en) Ceiling system
US9315996B2 (en) Partition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1485906B1 (ko) 공동주택용 전기케이블 트레이
KR101223458B1 (ko) 파티션 연결구조
KR100782442B1 (ko) 건축물용 조립식 케이블 트레이
KR100968077B1 (ko) 공동주택 배전용 조립식 케이블 트레이 구조
KR101803723B1 (ko) 케이블 트레이
KR20120048318A (ko) 천정재 설치구조
KR101110724B1 (ko) 공동주택의 조립 가능한 배전용 트레이
KR20120022139A (ko) 케이블 트레이
KR100657977B1 (ko) 공동주택용 합성수지재 케이블 트레이
KR101899350B1 (ko) 단자대 조립체
KR101823911B1 (ko) 경량구조물의 패널 연결장치
KR200466150Y1 (ko) 케이블 트레이
KR101835423B1 (ko) 시공이 용이한 클린룸용 천장프레임
KR200449569Y1 (ko) 파티션 연결용 커넥터
KR102167031B1 (ko) 농산업용 조립식 테이블
CN202550317U (zh) 电器柜立柱型材和电器安装板及使用该电器安装板的电器柜及电器屏架
KR200467343Y1 (ko) 조립식 칸막이용 판넬 받침대
KR101907464B1 (ko) 조립식 칸막이
KR20170057557A (ko) 스프링클러의 설치가 용이한 클린룸용 천장프레임
KR101216322B1 (ko) 케이블 트레이의 사이드레일 결속지지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7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