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0724B1 - 공동주택의 조립 가능한 배전용 트레이 - Google Patents

공동주택의 조립 가능한 배전용 트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0724B1
KR101110724B1 KR1020110136603A KR20110136603A KR101110724B1 KR 101110724 B1 KR101110724 B1 KR 101110724B1 KR 1020110136603 A KR1020110136603 A KR 1020110136603A KR 20110136603 A KR20110136603 A KR 20110136603A KR 101110724 B1 KR101110724 B1 KR 1011107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y
fixed
central
bolt
lower t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66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명환
Original Assignee
(주)재원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재원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재원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101366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07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07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07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0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 H02G3/32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using mounting cla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2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partly surrounding th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divided, i.e. with two or more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0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divided, i.e. with two or more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with two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tubing, both being made of thin band material completely surrounding the pipe
    • F16L3/1016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divided, i.e. with two or more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with two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tubing, both being made of thin band material completely surrounding the pipe the members being joined by means of two screw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정에 고정된 행거봉에 수평으로 중앙바가 고정되고, 중앙바에 고정대를 고정한 다음 막대볼트로 중앙프레임과 트레이세트를 고정하여 간편하게 조립할 수 있으며, 트레이세트는 추가로 계속 설치할 수 있게 구성한 공동주택의 조립 가능한 배전용 트레이에 관한 것이며, 천정(1)에 수직으로 고정된 행거봉(2) 하단에 고정되는 철재 사각바로 이루어진 중앙바(10); 중앙부(21)의 상부에 중앙바(10)가 삽입되는 홈부(23)가 형성되고, 중앙부(21)의 폭방향 양측으로 측판부(22)가 형성되며, 중앙부(21)의 하부에 수직판부(24)가 하향 돌출되어 형성되고, 측판부(22)의 저면에 길이방향으로 돌기(22-1)가 형성되며, 중앙바(10)에 고정대(30)로 고정되는 중앙프레임(20); 중앙고정부(31)의 양측으로 측판고정부(33)가 형성되고, 중앙고정부(31)에 압착고정구(32)가 설치되며, 측판고정부(33)에 형성된 볼트홀(34)을 통해 중앙프레임(20)의 측판부(22)와 트레이세트(40)를 동시에 막대볼트(60)가 관통하여 고정되고, 압착고정구(32)는 볼트봉(32-1)의 표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중앙고정부(31)에 형성된 볼트홀과 맞물리며, 볼트봉(32-1)의 상단에 손잡이(32-3)가 형성되어 회전시키면 볼트봉(32-1)의 하단에 고정된 압착판(32-2)이 중앙바(10)를 눌러 고정하는 고정대(30); 동일한 형상으로 상부트레이(41)와 하부트레이(42)가 한쌍을 이루도록 형성되고, 상부트레이(41)와 하부트레이(42)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 배선홈부(48) 두개가 형성되며, 두개의 배선홈부(48) 사이에 차단부(45)가 형성되되 차단부(45) 양측으로 공간부(46)가 형성되고, 차단부(45)의 상면에 지지면(45-1)이 형성되어 상부트레이(41)와 하부트레이(42)의 각 지지면(45-1)이 서로 맞닿아 지지되며, 상부트레이(41)와 하부트레이(42)의 외측면인 결합면(43)에 연결홈(43-1)이 형성되어 중앙프레임(20)의 돌기(22-1)가 삽입되거나 연결판(43-2)이 삽입되고, 상부트레이(41)와 하부트레이(42)의 길이 방향 양단에 각각 연결돌기(47)와 연결홈(47-1)이 형성되며, 상부트레이(41)와 하부트레이(42)의 폭방향 양측단에 걸림단(44)이 형성되는 트레이세트(40);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양단이 내측으로 절곡되어 상부트레이(41)와 하부트레이(42)의 외측 걸림단(44)에 형성된 볼트홀에 끼워져 고정되는 탄성클립(50); 고정대(30)와 중앙프레임(20)과 트레이세트(40)의 상부트레이(41)와 하부트레이(42)의 일측에 형성된 볼트홀을 동시에 관통하여 고정하는 다수개의 막대볼트(6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공동주택의 조립 가능한 배전용 트레이 {A assembling cable tray for a building }
본 발명은 공동주택의 조립 가능한 배전용 트레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천정에 고정된 행거봉에 수평으로 중앙바가 고정되고, 중앙바에 고정대를 고정한 다음 막대볼트로 중앙프레임과 트레이세트를 고정하여 간편하게 조립할 수 있으며, 트레이세트는 추가로 계속 설치할 수 있게 구성한 공동주택의 조립 가능한 배전용 트레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장이나 건축 구조물 등에는 전원 공급이나 유체 등의 공급을 위해 크고 작은 직경의 케이블이 천정 및 바닥 또는 벽체를 따라 배치되며, 이렇게 배치되는 케이블은 미관이나 통행자들에게 불편함을 주지 않기 위해서 케이블 트레이를 사용하여 정리정돈의 상태로 지지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각종 케이블을 지지고정하여 주는 종래의 케이블 트레이는 전반적으로 크게 일정한 길이를 가지고 좌우측에 각각 위치되는 한 쌍의 측면 프레임과, 상기 측면 프레임 사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결합되는 행거(막대형, 판형)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케이블 트레이를 적용하여 각종 케이블을 용이하게 내지는 정리된 상태로 배선할 수 있다는 장점은 있으나, 측면 프레임과 행거가 전반적으로 분해조립이 불가능하도록 용접에 의해 고정식 구조로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외형적인 부피가 크고 그로 인하여 적재, 보관 및 운송이 효율적이지 못하여, 많은 적재 및 보관공간을 확보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고, 운송이 불편하며, 용접작업을 하여야 하므로 불필요한 인력의 낭비와 생산원가상승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용접에 의한 결합구조를 갖는 기존의 케이블 트레이는 사용에 의해 일부분만 파손되었더라도 분리/조립이 불가하여 전체를 폐기처리하여야 하는 관계로 인하여 일부 부품 내지는 전체적으로 재사용이 불가능하여 경제적으로도 큰 손실이 따르는 등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건축물의 고전압의 전기선, 통신선, 전화선 등 다양한 라인을 각 세대로 분배하기 위한 케이블 트레이가 건축물의 지하 주차장 천정에 설치되고 있고, 이러한 건축물 케이블 트레이는 다양한 형태로 전기선, 통신선, 전화선 등의 라인을 분배하는 경우에 이용되고 있다.
현재는 다양한 형태로 케이블 트레이가 연구되고 개발되는 실정이다.
하지만 대부분 설치가 불편하고, 케이블을 보수하거나 새로운 케이블을 설치할 때 공간을 확보하기 어려운 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트레이를 조립식으로 고정할 수 있게 구성하고, 추가로 배선을 해야할 경우 수납공간을 편리하게 추가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자 한다.
배선이 위치하는 곳의 공간을 분할하여 배선간의 간섭이 일어나지 않게 구성하고자 한다.
그리고 트레이세트를 설치할 경우 정위치를 잡기 위한 수단을 구비하여 설치가 용이하게 구성한다.
여러개의 배선을 분리하여 수납하므로 한개의 배선에서 문제가 발생하더라도 이웃한 배선에는 영향을 주지 않도록 구성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천정(1)에 수직으로 고정된 행거봉(2) 하단에 고정되는 철재 사각바로 이루어진 중앙바(10); 중앙부(21)의 상부에 중앙바(10)가 삽입되는 홈부(23)가 형성되고, 중앙부(21)의 폭방향 양측으로 측판부(22)가 형성되며, 중앙부(21)의 하부에 수직판부(24)가 하향 돌출되어 형성되고, 측판부(22)의 저면에 길이방향으로 돌기(22-1)가 형성되며, 중앙바(10)에 고정대(30)로 고정되는 중앙프레임(20); 중앙고정부(31)의 양측으로 측판고정부(33)가 형성되고, 중앙고정부(31)에 압착고정구(32)가 설치되며, 측판고정부(33)에 형성된 볼트홀(34)을 통해 중앙프레임(20)의 측판부(22)와 트레이세트(40)를 동시에 막대볼트(60)가 관통하여 고정되고, 압착고정구(32)는 볼트봉(32-1)의 표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중앙고정부(31)에 형성된 볼트홀과 맞물리며, 볼트봉(32-1)의 상단에 손잡이(32-3)가 형성되어 회전시키면 볼트봉(32-1)의 하단에 고정된 압착판(32-2)이 중앙바(10)를 눌러 고정하는 고정대(30); 동일한 형상으로 상부트레이(41)와 하부트레이(42)가 한쌍을 이루도록 형성되고, 상부트레이(41)와 하부트레이(42)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 배선홈부(48) 두개가 형성되며, 두개의 배선홈부(48) 사이에 차단부(45)가 형성되되 차단부(45) 양측으로 공간부(46)가 형성되고, 차단부(45)의 상면에 지지면(45-1)이 형성되어 상부트레이(41)와 하부트레이(42)의 각 지지면(45-1)이 서로 맞닿아 지지되며, 상부트레이(41)와 하부트레이(42)의 외측면인 결합면(43)에 연결홈(43-1)이 형성되어 중앙프레임(20)의 돌기(22-1)가 삽입되거나 연결판(43-2)이 삽입되고, 상부트레이(41)와 하부트레이(42)의 길이 방향 양단에 각각 연결돌기(47)와 연결홈(47-1)이 형성되며, 상부트레이(41)와 하부트레이(42)의 폭방향 양측단에 걸림단(44)이 형성되는 트레이세트(40);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양단이 내측으로 절곡되어 상부트레이(41)와 하부트레이(42)의 외측 걸림단(44)에 형성된 볼트홀에 끼워져 고정되는 탄성클립(50); 고정대(30)와 중앙프레임(20)과 트레이세트(40)의 상부트레이(41)와 하부트레이(42)의 일측에 형성된 볼트홀을 동시에 관통하여 고정하는 다수개의 막대볼트(6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의 조립 가능한 배전용 트레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새로운 배전선이 추가될 때, 트레이세트를 추가하면 쉽게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어 편리한 점이 있고, 트레이를 조립식으로 구성하여 조립과 해체가 간편한 효과가 있다.
그리고 압착고정구로 행거봉에 고정된 중앙바와 중앙프레임을 간편하게 고정할 수 있게 구성되고, 중앙프레임에 트레이세트를 고정하게 되므로 계속적으로 아래에 트레이세트를 추가로 고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공동주택의 조립 가능한 배전용 트레이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공동주택의 조립 가능한 배전용 트레이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공동주택의 조립 가능한 배전용 트레이를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공동주택의 조립 가능한 배전용 트레이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공동주택의 조립 가능한 배전용 트레이의 하부트레이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공동주택의 조립 가능한 배전용 트레이의 하부트레이를 반대 방향에서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공동주택의 조립 가능한 배전용 트레이의 다른 사용예를 도시한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은 공동주택의 배선을 위한 트레이를 설치하는 구조로서, 천정에 상단이 고정된 행거봉(2)의 하단에 수평되도록 중앙바(10)를 고정하고, 중앙바(10)에 중앙프레임(20), 고정대(30), 트레이세트(40)를 고정하며, 트레이세트(40)의 상부트레이(41)와 하부트레이(42)는 탄성클립(50)으로 고정하는 것을 주요 구성으로 한다.
중앙바(10)는 천정(1)에 수직으로 고정된 행거봉(2) 하단에 고정되는 철재 사각바로 이루어지고, 수평으로 여러개의 행거봉(2)과 고정된다.
중앙바(10)가 삽입되도록 중앙프레임(20)의 중앙부(21) 상부에 홈부(23)가 형성되고, 이러한 홈부(23)는 단면이 사각으로 형성되어 사각바가 삽입되었을 때 위에 홈부(23)의 공간이 남도록 형성한다. 이는 후술할 압착고정구(32)의 압착판(23-2)이 이동하여 고정할 수 있는 공간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상기 중앙부(21)의 폭방향 양측으로 측판부(22)가 수평되게 형성되고, 측판부(22)에 트레이세트(40)가 고정된다. 따라서 두개의 측판부(22)에 각각 트레이세트(40)가 고정된다.
그리고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볼 수 있듯이, 트레이세트(40)의 하부에 또 다른 트레이세트(40)가 고정될 수 있다.
중앙프레임(20)의 중앙부(21) 하부에 수직판부(24)가 하향 돌출되어 형성되고, 수직판부(24)는 양쪽의 트레이세트(40) 간에 발생하는 전자파나 기타 요인들에 의한 간섭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측판부(22)의 저면에 길이 방향으로 돌기(22-1)가 형성되고, 이러한 돌기에 의해 트레이세트(40)를 고정할 때 정확한 위치를 잡기 용이하다.
중앙프레임(20)은 중앙바(10)에 고정대(30)로 고정되는데, 고정대(30)는 중앙고정부(31)의 양측으로 측판고정부(33)가 형성되고, 중앙고정부(31)에 압착고정구(32)가 설치된다.
측판고정부(33)와 중앙고정부(31)에 다수개의 볼트홀(34)이 형성되고, 이러한 볼트홀(34)을 통해 막대볼트(60)가 삽입되어 중앙프레임(20)의 측판부(22)와 트레이세트(40)를 동시에 관통하여 고정된다.
압착고정구(32)는 볼트봉(32-1)의 표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중앙고정부(31)에 형성된 볼트홀과 맞물리고, 볼트봉(32-1)의 상단에 손잡이(32-3)가 형성되어 회전시키면 볼트봉(32-1)의 하단에 고정된 압착판(32-2)이 중앙바(10)를 눌러 고정하게된다. 압착판(32-2)은 볼트봉(32-1)의 하단에 회전이 용이하게 고정되어 볼트봉(32-1)은 회전하더라도 압착판(32-2)은 회전하지 않고 밀착상태를 유지하여 수직방향 힘만 전달한다.
트레이세트(40)는 동일한 형상으로 상부트레이(41)와 하부트레이(42)가 한쌍을 이루도록 형성되고, 상부트레이(41)와 하부트레이(42)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 배선홈부(48) 두 개가 각각 형성된다. 즉 배선홈부(48)는 단면이 반원형태로 서로 맞닿아 하나의 원형 공간을 형성한다. 상부트레이(41)와 하부트레이(42)에 각각 형성된 한쌍의 배선홈부(48)에 의하여 형성된 원형 공간에 배전선이 들어가 수납되어 전기를 공급하게 된다.
상부트레이(41)와 하부트레이(42)의 구성은 동일하고 방향만 반대이므로 트레이라는 명칭으로 사용하면 상부트레이(41) 또는 하부트레이(42)를 나타낸다.
트레이는 두개의 배선홈부(48) 사이에 차단부(45)가 형성되고, 차단부(45) 양측으로 공간부(46)가 형성된다. 차단부(45)의 상면에 지지면(45-1)이 형성되어 상부트레이(41)와 하부트레이(42)의 각 지지면(45-1)이 서로 맞닿아 지지된다. 따라서 배선홈부(48)가 맞닿아 형성된 원형의 공간부와 차단부(45) 양쪽의 공간(46)는 분리되어 배선홈부(48)에 수납된 배선에 의한 영향이 다른 배선에 미치지 않게 된다.
상부트레이(41)와 하부트레이(42)의 외측면인 결합면(43)에 길이 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연결홈(43-1)이 형성되고, 이러한 연결홈(43-1)에 중앙프레임(20)의 돌기(22-1)가 삽입되거나 연결판(43-2)이 삽입된다. 이때 상부트레이(41)에서는 상면이 결합면(43)이 되고, 하부트레이(42)에서는 저면이 결합면(43)이 된다.
상부트레이(41)와 하부트레이(42)의 길이 방향 양단에 각각 연결돌기(47)와 연결홈(47-1)이 형성되고, 상부트레이(41)와 하부트레이(42)의 폭방향 양측단에 걸림단(44)이 형성된다.
트레이의 길이 방향 연결은 연결돌기(47)와 연결홈(47-1)에 의해 연결되고, 트레이세트(40)의 상부트레이(41)와 하부트레이(42) 걸림단(44)에 막대볼트(60)가 끼워지거나, 탄성클립(50)이 끼워져 고정된다.
탄성클립(50)은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양단이 내측으로 절곡되어 상부트레이(41)와 하부트레이(42)의 외측 걸림단(44)에 형성된 볼트홀에 끼워져 고정된다.
상부트레이(41)와 하부트레이(42)는 막대볼트(60)로 고정되고, 이러한 막대볼트(60)는 고정대(30)와 중앙프레임(20)과 트레이세트(40)의 상부트레이(41)와 하부트레이(42)의 일측에 형성된 볼트홀을 동시에 관통하여 고정된다.
1 : 천정 2 : 행거봉
10 : 중앙바 20 : 중앙프레임
21 : 중앙부 22 : 측판부
22-1 : 돌기 23 : 홈부
24 : 수직판부 30 : 고정대
31 : 중앙고정부 32 : 압착고정구
32-1 : 볼트봉 32-2 : 압착판
32-3 : 손잡이 33 : 측판고정부
34 : 볼트홀 40 : 트레이세트
41 : 상부트레이 42 : 하부트레이
43 : 결합면 43-1 : 연결홈
43-2 : 연결판 44 : 걸림단
45 : 차단부 45-1 : 지지면
46 : 공간부 47 : 연결돌기
48 : 배선홈부 50 : 탄성클립
60 : 막대볼트

Claims (1)

  1. 천정(1)에 수직으로 고정된 행거봉(2) 하단에 고정되는 철재 사각바로 이루어진 중앙바(10);
    중앙부(21)의 상부에 중앙바(10)가 삽입되는 홈부(23)가 형성되고, 중앙부(21)의 폭방향 양측으로 측판부(22)가 형성되며, 중앙부(21)의 하부에 수직판부(24)가 하향 돌출되어 형성되고, 측판부(22)의 저면에 길이방향으로 돌기(22-1)가 형성되며, 중앙바(10)에 고정대(30)로 고정되는 중앙프레임(20);
    중앙고정부(31)의 양측으로 측판고정부(33)가 형성되고, 중앙고정부(31)에 압착고정구(32)가 설치되며, 측판고정부(33)에 형성된 볼트홀(34)을 통해 중앙프레임(20)의 측판부(22)와 트레이세트(40)를 동시에 막대볼트(60)가 관통하여 고정되고, 압착고정구(32)는 볼트봉(32-1)의 표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중앙고정부(31)에 형성된 볼트홀과 맞물리며, 볼트봉(32-1)의 상단에 손잡이(32-3)가 형성되어 회전시키면 볼트봉(32-1)의 하단에 고정된 압착판(32-2)이 중앙바(10)를 눌러 고정하는 고정대(30);
    동일한 형상으로 상부트레이(41)와 하부트레이(42)가 한쌍을 이루도록 형성되고, 상부트레이(41)와 하부트레이(42)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 배선홈부(48) 두개가 형성되며, 두개의 배선홈부(48) 사이에 차단부(45)가 형성되되 차단부(45) 양측으로 공간부(46)가 형성되고, 차단부(45)의 상면에 지지면(45-1)이 형성되어 상부트레이(41)와 하부트레이(42)의 각 지지면(45-1)이 서로 맞닿아 지지되며, 상부트레이(41)와 하부트레이(42)의 외측면인 결합면(43)에 연결홈(43-1)이 형성되어 중앙프레임(20)의 돌기(22-1)가 삽입되거나 연결판(43-2)이 삽입되고, 상부트레이(41)와 하부트레이(42)의 길이 방향 양단에 각각 연결돌기(47)와 연결홈(47-1)이 형성되며, 상부트레이(41)와 하부트레이(42)의 폭방향 양측단에 걸림단(44)이 형성되는 트레이세트(40);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양단이 내측으로 절곡되어 상부트레이(41)와 하부트레이(42)의 외측 걸림단(44)에 형성된 볼트홀에 끼워져 고정되는 탄성클립(50);
    고정대(30)와 중앙프레임(20)과 트레이세트(40)의 상부트레이(41)와 하부트레이(42)의 일측에 형성된 볼트홀을 동시에 관통하여 고정하는 다수개의 막대볼트(6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의 조립 가능한 배전용 트레이.


KR1020110136603A 2011-12-16 2011-12-16 공동주택의 조립 가능한 배전용 트레이 KR1011107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6603A KR101110724B1 (ko) 2011-12-16 2011-12-16 공동주택의 조립 가능한 배전용 트레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6603A KR101110724B1 (ko) 2011-12-16 2011-12-16 공동주택의 조립 가능한 배전용 트레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10724B1 true KR101110724B1 (ko) 2012-02-24

Family

ID=458400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6603A KR101110724B1 (ko) 2011-12-16 2011-12-16 공동주택의 조립 가능한 배전용 트레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072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0468B1 (ko) * 2015-04-24 2015-12-28 (주)케이제이종합엔지니어링 공동주택 벽체 설치용 케이블 트레이 장치
KR102031861B1 (ko) * 2019-06-12 2019-10-15 금정엔지니어링(주) 전선 보호가 용이한 건축물용 전선지지기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9082Y1 (ko) * 1994-04-07 1996-10-14 이강오 전선보호용 가이드레일의 고정장치
JP2009225533A (ja) 2008-03-14 2009-10-01 Suzuki Motor Corp ケーブルクランプ構造
KR100958548B1 (ko) 2010-03-22 2010-05-18 (주)케이아이씨 공동주택의 분리 수납이 가능한 전기 케이블 트레이 구조
KR101027683B1 (ko) 2010-12-27 2011-04-12 주식회사 명 이에프씨 공동주택용 조립식 전기 케이블 트레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9082Y1 (ko) * 1994-04-07 1996-10-14 이강오 전선보호용 가이드레일의 고정장치
JP2009225533A (ja) 2008-03-14 2009-10-01 Suzuki Motor Corp ケーブルクランプ構造
KR100958548B1 (ko) 2010-03-22 2010-05-18 (주)케이아이씨 공동주택의 분리 수납이 가능한 전기 케이블 트레이 구조
KR101027683B1 (ko) 2010-12-27 2011-04-12 주식회사 명 이에프씨 공동주택용 조립식 전기 케이블 트레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0468B1 (ko) * 2015-04-24 2015-12-28 (주)케이제이종합엔지니어링 공동주택 벽체 설치용 케이블 트레이 장치
KR102031861B1 (ko) * 2019-06-12 2019-10-15 금정엔지니어링(주) 전선 보호가 용이한 건축물용 전선지지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7877B1 (ko) 케이블 고정장치를 구비한 케이블 트레이
KR101216994B1 (ko) 공동주택 배전용 케이블 트레이
KR100958548B1 (ko) 공동주택의 분리 수납이 가능한 전기 케이블 트레이 구조
US6252171B1 (en) Ladder-type cable tray with power channel
KR101026129B1 (ko) 조립이 가능한 전기 케이블 트레이 구조
KR101485906B1 (ko) 공동주택용 전기케이블 트레이
US8091721B1 (en) Reconfigurable electrical box hanger assembly for suspended ceilings
JP2014122544A (ja) ソーラーモジュールを取り付けるための取付けシステム
JP2020184520A (ja) 電気コネクタ機構のコネクタ、およびそれによって形成される電気コネクタ機構
US20150322987A1 (en) Cable tray segments with integrated splice plates
KR101266615B1 (ko) 케이블트레이의 조립체
KR20090068517A (ko) 케이블 트레이의 슬라이드 조립구조
KR101110724B1 (ko) 공동주택의 조립 가능한 배전용 트레이
TWM609945U (zh) 一種理線架及服務器機櫃理線裝置
KR101143877B1 (ko) 배전 케이블 고정장치
CN107706860B (zh) 母线电缆组合单体双回路母线槽
CN111022989A (zh) 一种面板灯安装结构、面板灯及其安装方法
KR101884013B1 (ko) 내진 설계를 갖춘 공동주택 전기시설물
KR101908432B1 (ko) 케이블 트레이
KR100709062B1 (ko) 공동주택용 조립식 전기 케이블 트레이
KR200443797Y1 (ko) 턱트 겸용 케이블 트레이
KR100958549B1 (ko) 공동주택의 배전용 케이블 트레이 구조
KR100968077B1 (ko) 공동주택 배전용 조립식 케이블 트레이 구조
KR200479675Y1 (ko) 파이프 또는 부자재용 측면행거
KR101427406B1 (ko) 전기계량기함 설치대의 설치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