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1259B1 - 판넬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판넬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1259B1
KR102341259B1 KR1020210070913A KR20210070913A KR102341259B1 KR 102341259 B1 KR102341259 B1 KR 102341259B1 KR 1020210070913 A KR1020210070913 A KR 1020210070913A KR 20210070913 A KR20210070913 A KR 20210070913A KR 102341259 B1 KR102341259 B1 KR 1023412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le
casting
punch
conductive layer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09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태복
Original Assignee
박태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태복 filed Critical 박태복
Priority to KR10202100709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12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12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12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6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f metal, whether or not in combination with other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8/00Shaping by press-cutting; Perforating
    • B21D28/24Perforating, i.e. punching holes
    • B21D28/26Perforating, i.e. punching holes in sheets or flat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25/00Special casting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product
    • B22D25/005Casting metal foa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31/00Cutting-off surplus material, e.g. gates; Cleaning and working on castings
    • B22D31/002Cleaning, working on castings
    • B22D31/007Tumbling mi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3/00Mechanical cleaning, e.g. skimming of molten metals
    • B22D43/005Removing slag from a molten metal surface
    • B22D43/007Removing slag from a molten metal surface by using scrap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177Floor elements for use at a specific loc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8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nly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 top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 e.g. ceramics, concrete or glass
    • E04F15/08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nly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 top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 e.g. ceramics, concrete or glass with a top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 e.g. ceramics, concrete or glass in combination with a lower layer of other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판넬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클린룸 등에 사용될 수 있는 판넬을 제조할 수 있는 판넬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판넬 제조방법{PANEL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판넬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클린룸 등에 사용될 수 있는 판넬을 제조할 수 있는 판넬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중마루구조란, 건축물의 바닥위에 기둥을 세우고 그 상면에 패널을 설치하여 새로운 바닥을 설치한 것으로, 기존 건축물의 바닥과 이중마루 패널 사이의 공간에 각종 배관이나 전선 또는 설비 등을 매립하고, 냉난방과 공기정화들을 위한 닥트 등을 설치하기 위한 목적으로 쓰이는 건축구조로 대량의 전선이 사용되는 방송국, 전산센터, 호텔의 로비나 카지노, 각종 연구소와 클린룸 등의 건축에 사용되는 건축구조이다.
한편, 종래의 기술인 등록특허 제10-1740513호(이하 종래기술)는 이중마루용 알루미늄 합금 및 패널,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0 내지 11wt%의 실리콘; 0.5 내지 15wt%의 마그네슘; 1.0 내지 3.0wt%의 구리; 1.2wt%이하의 철, 0.35wt%의 망간, 0.3wt%이하의 니켈; 및 알루미늄 69.15 내지 90.65wt%;를 포함함으로써 이중마루용 패널에 적합한 고강도의 알루미늄 합금 및 패널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은 내부 공간을 청결하게 하도록 하는 클린룸 등에 사용하거나 패널이나 하측 공간을 용이하게 관찰하기 위한 패널(판넬) 등을 용이하게 제조 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하부 공간을 용이하게 관찰할 수 있고, 내부 공간을 청결하게 하도록 하는 클린룸 등에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패널을 제조할 수 있는 판넬 제조방법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개구율(open ratio)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판넬 제조방법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패널(판넬)의 측면 평탄도 및 이웃하는 패널 간에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 할 수 있도록 하는 패널을 제조할 수 있는 판넬 제조방법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을 목적으로 하는 본 발명은 다음의 구성 및 특징을 갖는다.
형틀에 용융된 소재를 주입하여 주물을 생성하는 주조단계(S1), 상기 주물을 타공하는 공정(S21), 상기 주물을 연삭하는 공정(S22), 주물 표면과 볼을 충돌시키는 공정(S23) 및 상기 주물 표면을 평탄하게 하는 공정(S2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주물가공단계(S2), 상기 주물에 타일을 부착하여 가공품을 생산하는 타일부착단계(S3), 상기 타일을 깍는 공정(S41) 및 상기 타일을 타공하는 공정(S4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타일가공단계(S4) 및 상기 가공품에 수지재질로 형성된 완충부재를 부착하는 공정(S51), 상기 (S42) 단계에서 형성된 상기 타일의 통공을 투명부재로 덮는 공정(S52) 및 상기 가공품을 도장하는 공정(S5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후처리단계(S5)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주물을 타공하는 공정(S21) 및 상기 타일을 타공하는 공정(S42) 중 적어도 하나는 프레스 금형에 의해 수행되고, 상기 프레스 금형은, 프레스 기계와 연결되는 펀치홀더 및 상기 펀치홀더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타공용 펀지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타공용 펀치부재는, 단면 형상이 원형인 원형 펀치 파트, 단면 형상이 타원형인 타원형 펀치 파트 및 단면 형상이 다각형인 다각형 펀치 파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타일부착단계(S3)는, 상기 주물 또는 상기 타일을 선단에서 후단으로 이송시키는 컨베이어, 상기 컨베이어보다 상측에 배치되고 접착제를 공급하는 투입부, 상기 투입부 후단에 구비되고 상기 주물 상에 부착된 타일을 가압하는 가압부를 포함하는 부착장치에 의해 수행되고, 상기 (S51) 단계는, 상기 완충부재를 상기 가공품의 둘레를 따라 상기 가공품의 측면에 부착할 수 있다.
상기 구성 및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은 하부 공간을 용이하게 관찰할 수 있고, 내부 공간을 청결하게 하도록 하는 클린룸 등에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패널(판넬)을 제조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가공품의 개구율(open ratio)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가공품에 수지재질로 형성된 완충부재를 부착하는 공정을 포함함으로써, 패널(판넬)의 측면 평탄도 및 이웃하는 패널 간에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 할 수 있도록 하는 패널을 제조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판넬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2는 주조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주물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는 프레스금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쇼트기 및 그라인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부착장치의 투입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부착장치의 건조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부착장치의 가압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주물 상에 타일이 부착된 가공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타공된 타일과 주물이 부착된 가공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타일의 통공이 투명부재로 덮여진 가공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통공이 타원형인 가공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원형의 통공과 다각형의 통공이 형성된 타일을 포함하는 가공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판넬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흐름도이고, 도 2는 주조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은 주물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판넬 제조방법은 클림룸 등을 형성하는 바닥재인 패널(판넬)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이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본 방법'이라 칭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방법은 주조단계(S1), 주물가공단계(S2), 타일부착단계(S3), 타일가공단계(S4) 및 후처리단계(S5)를 포함한다.
주조단계(S1)는 형틀에 용융된 소재를 주입하여 주물(11)을 생성하는 단계이다. 주조단계(S1)는 주조장치(2)에 의해 수행될 수 있는데, 상기 주조장치(2)는 소재를 녹이는 전기로와 용융된 소재가 주입되는 형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재는 예시적으로 알루미늄일 수 있다. 상기 형틀에서 냉각된 소재는 주물(11)로 생성된다.
도 4a 및 도 4b는 프레스 금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쇼트기 및 그라인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도 4a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주물가공단계(S2)는 주물(11)을 타공하는 공정(S21), 주물(11)을 연삭하는 공정(S22), 주물(11) 표면에 볼을 충돌시키는 공정(S23) 및 주물(11) 표면을 평탄하게 하는 공정(S2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먼저 주물(11)을 타공하는 공정(S21) 및 후술하는 타일을 타공하는 공정(S42) 중 적어도 하나는 프레스 금형(3)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프레스 금형(3)은 승강수단(4)과 연결되는 펀치홀더(31) 및 펀치홀더(31)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타공용 펀치부재(32)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승강수단(4) 및 프레스 금형(3)은 프레스 기계를 구성한다.
예시적으로 펀치홀더(31)는 상하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복수의 중공을 형성하고, 복수의 타공용 펀치부재(32)는 상기 중공을 관통하는 삽입부 및 상기 삽입부의 상단에 구비되고 상기 중공의 폭보다 큰 폭을 가지는 걸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타공용 펀치부재(32)는 펀치홀더(31)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이동하며 삽입부가 상기 중공에 삽입되고, 이후에 걸림부가 상기 펀치홀더(31)의 상부 측에 걸리게 된다. 이후에 상기 펄치홀더(31) 상부에 구비되고 승강수단과 연결되는 금형설치판이 구비되어 타공용 펀치부재(32)가 펀치홀더(31)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승강수단(4)은 상기 금형설치판을 승강시키는 것으로, 해당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기 때문에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프레스 금형(3)은 상기 펀치홀더(31)보다 하측에 배치되고 타공 대상체(주물(11) 또는 타일(12))가 안착되는 다이 플레이트(33)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이 플레이트(33)는 상기한 타공용 펀치부재(32)가 삽입되도록 홈 내지 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주물을 연삭하는 공정(S22)(사상 공정)은 주물(11) 표면에서 튀어나온 부분(주조 단계(S1)에서 다이캐스팅 금형에 의해 형성된 부분)을 연삭하는 공정으로 예시적으로 그라인더(6)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주물 표면과 볼을 충돌시키는 공정(S23)은 쇼트 공정으로 쇼트기(5)에 의해 수행될 수 있고, 상기 주물(11) 표면에 강구와 같은 볼을 충돌시켜 주물(11)의 강성을 부가하기 위한 공정이다.
주물 표면을 평탄하게 하는 공정(S24)(평탄도) 공정은 예시적으로 가압장치(예시적으로 프레스기) 수행될 수 있고, 주물 표면을 평탄하게 하여 본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판넬(패널)이 형성하는 바닥의 평탄화를 도모하기 위한 것이다.
도 6은 부착장치의 투입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은 부착장치의 건조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8은 부착장치의 가압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타일부착단계(S3)는 주물(11)에 타일(12)을 부착하여 가공품(1)을 생성하는 단계이다.
타일부착단계(S3)는 부착장치(7)에 의해 수행될 수 있는데, 부착장치(7)는 주물(11) 또는 타일(12)을 선단에서 후단으로 이송시키는 컨베이어(7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선단 및 후단은 부착장치(7)에서 주물(11), 타일(12) 및 가공품(1)의 이동 방향을 기준으로 한 것으로, 부착장치(7)에서 주물(11), 타일(12) 및 가공품(1)은 선단에서 후단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부착장치(7)는 컨베이어(72)보다 상측에 배치되고 접착제를 공급하는 투입부(7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투입부(71)는 컨베이어(72)와 프레임을 매개로 연결되어 컨베이어(72)보다 상측에 배치되고 선단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접착제는 해당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 사용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컨베이어(72) 상에서 타일(12)(또는 주물(11))이 선단에서 상측으로 이동하고, 상기 투입부(71)는 상기 타일(12) 상에 접착제를 도포할 수 있다.
또한 부착장치(7) 상기 투입부(71)의 후단에 구비되는 건조부(7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건조부(73)는 해당 분야에서 통상적인 것으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부착장치(7)는 투입부(71) 및 상기 건조부(73)의 후단에 구비되고 상기 주물(11) 상에 부착된 타일(12)을 가압하는 가압부(74)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가압부(74)는 프레임을 매개로 상기 컨베이어(72)에 연결되고, 상기 컨베이어(72)보다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컨베이어(72)의 이동 방향과 평면상에서 직교되는 방향을 중심축으로 하여 회동하는 가압롤일 수 있다.
주물(11)의 상면에 타일(12)이 부착된 가공품(1)(도 9 참조)은 컨베이어(72) 상에서 선단에서 후단으로 이동하며 상기 가압부(74)를 지나쳐 가고, 이를 통해 주물(11)과 타일(12)의 접착면에 기공들을 가압하며 제거함으로써 주물(11)과 타일(12)의 부착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 도 4a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타일가공단계(S4)는 타일을 깍는 공정(41)(면가공) 및 타일을 타공하는 공정(S42)(타일타공)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타일을 깍는 공정(41)은 가공품(1)을 평면상에서 봤을 때, 주물(11)을 기준으로 타일(12)의 돌출된 외각 부분을 깍는 공정일 수 있고, 상기 타일을 깍는 공정(41)은 상기한 그라인더(6)와 같은 도구로 수행될 수 있다.
타일을 타공하는 공정(S42)은 상술하였듯이 프레스 금형(3)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고 하였는데, 타일(12)은 상기한 프레스 금형(3)에 의해 일면 및 타면이 관통되도록 타공 되어 복수의 통공(121)이 형성될 수 있다(도 10 참조).
이와 같이, 본 방법은 주물을 타공하는 공정(S21)과 타일을 타공하는 공정(S42)을 포함함으로써, 가공품(1)을 기준으로 상측 공간과 하측 공간의 공기가 이동되도록 할 수 있는 가공품(1)을 제조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가공품(1)은 클린룸 등에 사용되는 바닥재 패널로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하였듯이 타일을 타공하는 공정(S42)을 수행하는 프레스 금형(3)은 타공용 펀치부재(32)를 포함할 수 있다고 하였다.
이때 타공용 펀치부재(32)는 단면 형상이 원형인 원형 펀치 파트, 단면 형상이 타원형인 타원형 펀치 파트 및 단면 형상이 다각형인 다각형 펀치 파트 중 적어도 하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단면 형상이란 타공용 펀치부재(32)를 하측에서 바라본 단면일 수 있고, 상기 가공품(1)과 접촉하는 하단면 형상을 의미할 수 있다. 즉, 타일(12)의 통공(121) 형상은 상기한 타공용 펀치부재(32)의 파트 단면 형상과 상응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타공용 펀치부재(32)가 원형 펀치 파트를 포함하는 경우 타일(12)의 통공(121)은 도 10과 같이 원형이고, 타원형 펀치 파트를 포함하는 경우 도 12와 같이 타일(12)의 통공(121) 형상이 타원형일 수 있다. 또한 타공용 펀치부재(32)가 다각형 펀치 파트를 포함하는 경우 도 11과 같이 타일(12)의 통공(121)이 다각형일 수 있다.
한편, 다각형 펀치 파트는 일 측 변이 내측으로 만곡 되어 형성된 만곡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3은 원형 펀치 파트를 중심으로 다수의 다각형 펀치 파트(원형 펀치 파트를 마주보는 변이 내측으로 만곡 되어 있음)가 배치된 모듈(격자)이 다수 포함된 타공용 펀치부재(32)로 제조된 타일(12)이 도시되었다.
이와 같이, 본 방법은 단면 형상이 원형인 원형 펀치 파트, 단면 형상이 타원형인 타원형 펀치 파트 및 단면 형상이 다각형인 다각형 펀치 파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프레스 금형(3)에 의해 수행되는 타일을 타공하는 공정(S42)을 포함함으로써, 타일(12)(가공품(1))의 개구율(open ratio)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 도 11을 참조하면, 후처리단계(S5)는 가공품(1)에 수지재질로 형성된 완충부재(13)를 부착하는 공정(S51), 타일(12)의 통공(121)을 투명부재(14)로 덮는 공정(S52) 및 가공품(1)을 도장하는 공정(S5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S51) 공정은 상기 완충부재(13)를 가공품(1)의 둘레를 따라 가공품(1)의 측면에 부착하는 공정일 수 있다. 상기 완충부재(13)는 예시적으로 PVC(Poly Vinyl Chloride) 재질일 수 있으며, 상기한 접착제를 매개로 가공품(1)에 부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방법은 (S51) 공정을 통해 가공품(1)의 측면 평탄도를 보완하며, 이웃하는 가공품(1) 간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토록 하여 가공품(1)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S52) 공정은 타일(12)의 통공(121)을 투명부재(14)로 덮는 공정으로, 마찬가지로 투명부재(14)가 상기한 접착제를 매개로 타일(12)의 상면 또는 하면에 부착되어 통공(121)을 덮을 수 있다. 예시적으로 투명부재(14)는 투명 아크릴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방법은 (S52) 단계를 포함함으로써, 타일(12)의 하측 공간을 관찰할 수 있는 패널(판넬)을 제조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S53) 공정은 상기 가공품(1)을 도색하는 공정으로, 해당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염색제를 가공품(1)의 외면에 도포하는 공정일 수 있다.
한편, 한편 프레스 금형(3)은 다이 플레이트(33)를 포함한다고 하였는데, 다이 플레이트(33) 상부에 구비되는 방수막(G)을 포함할 수 있다. 방수막(G)은 다이 플레이트(33)의 상부에 구비되는 누수감지수단(G2) 및 누수감지수단(G2)의 상부에 구비되는 방수수단(G1)을 포함한다.
방수막(G2)은 다이 플레이트(33)와 누수감지수단(G2)을 상호 부착시키는 접착층(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잇는데, 접착층(미도시)은 아크릴 접착제를 포함할 수 있다.
방수수단(G1)은 프로필렌 에틸렌(propylene ethylene) 공중합체(또는 에틸렌 프로필렌 공중합체) 100 중량부를 포함하는데 프로필렌 에틸렌 공중합체는 탄성을 부여하기 위해 채용되었다.
또한 방수수단(G1)은 디이소시아네이트(diisocyanate)와 폴리올(polyol) 혼합물 60 중량부를 포함하는데, 방수성을 부여하기 위해 사용되었고, 디이소시아네이트와 폴리올 혼합물이 60 중량부 미만일 경우 윤활성 및 표면 코팅성이 저하되고, 60 중량부를 초과하면 방수층 전체의 경량성이 저하된다.
알루미네이트(aluminate)는 방수수단(G1)의 각 성분들의 결합성 및 응집성을 향상시키도록 첨가된 것으로서, 결합 보제가 4 중량부 미만이면 혼합속도가 저하되고 4 중량부를 초과하면 기계적 특성 및 경량성이 저하될 수 있다.
방수수단(G1)은 누수감지수단(G2)과의 접착력 향상을 위해 아크릴 접착제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4를 참조하여 누수감지수단(G2)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누수감지수단(G2)은 방수수단(G1)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면에 다수의 지지홈(G211)이 형성된 하부 도전층(G21), 상기 하부 도전층(G21) 상부에 구비되는 절연층(G22), 상기 절연층(G22) 상부에 구비되는 상부 도전층(G23), 상기 지지홈(G211)에 지지된 상태로 상기 절연층(G22)에 배치되는 흡수팽창부(G24), 상기 하부 도전층(G21)에 연결된 하부 도전체(G25), 상기 흡수팽창부(G24) 상부에 구비된 상부 도전체(G26), 상기 하부 도전체(G25)와 상기 상부 도전체(G26)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도선(G27)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하부 도전층(G21), 상부 도전층(G23), 하부 도전체(G25), 상부 도전체(G26), 도선(G27) 각각은 구리나 알루미늄과 같은 전도성 필름 또는 금속 재질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절연층(G22)은 예시적으로 알갱이 형상이 다수의 고분자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다수의 고분자수지 알갱이는 하부 도전층(G21)과 상부 도전층(G23) 사이에 배치되어 흡수팽창부(G24)가 팽창되지 않은 상태에서 하부 도전층(G21)과 상부 도전층(G23)을 이격시킨다.
흡수팽창부(G24)는 폴리아크릴레이트(G241)(polyacrylate), 폴리아크릴레이트(G241)를 감싸되 면직물로 형성되는 내피(G242) 및 마 직조 직물로 형성되고 상기 내피(G242)를 감싸는 외피(G243)를 포함할 수 있다.
흡수팽창부(G24)는 물과 접촉할 경우 상기 물을 흡수하여 팽창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 물은 내피(G242)와 외피(G243)를 투과하여 폴리아크릴레이트(G241)에 흡수될 수 있다. 상기 폴리아크릴레이트(G241)는 외피(G243)와 내피(G242)를 투과한 물을 흡수하여 팽창함으로써, 결과적으로 흡수팽창부(G24)의 부피를 증가시킨다. 이와 같이, 누수감지수단(G2)이 흡수팽창부(G24)를 포함하여 물을 흡수 할 수 있기 때문에 방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한 상부 도전체(G26)는 강력 접착제 등 해당 분야에서 사용되는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그 하부가 외피(G243) 및 내피(G242) 중 적어도 하나와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상부 도전층(G23)은 깔때기 형상의 다수의 호퍼(G231)를 포함할 수 있다. 물은 호퍼(G231)의 유입구(G231a)로 유입되어 배출구(G231b)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이때 다수의 호퍼(G231) 각각의 배출구(G231b)는 흡수팽창부(G24)가 배치되는 다수의 지지홈(G211) 각각의 중심 부분과 상응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부 도전체(G26)는 하측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폭이 감소하되, 상부 도전체(G26)의 상단 폭은 배출구(G231b)의 폭 보다 작고, 상부 도전체(G26)의 하단 폭은 흡수팽창부(G24)의 폭보다 작을 수 있다.
도 14의 [A]를 참조하면, 흡수팽창부(G24)는 물을 흡수하지 않은 상태로 팽창되지 않아, 하부 도전층(G21)과 상부 도전층(G23)은 절연층(G22)에 의해 이격된 상태이다. 따라서 하부 도전층(G21)에서 상부 도전층(G23) 또는 상부 도전층(G23)에서 하부 도전층(G21)으로 전류가 흐르지 않은 상태이기 때문에, 누수가 발생되지 않은 상태임을 확인할 수 있다.
만약 도 14의 [A]에서 이웃하는 호퍼(G231)의 경계선(DL)을 기준으로 좌측 영역(이하 (제1영역(A1))(도 14의 좌측 영역)에 물이 고이는 경우, 호퍼(G231)를 통해 상기 제1영역(A1)의 물을 모을 수 있다.
제1영역(A1)에 배치된 호퍼(G231)의 물이 배출구(G231b)를 통해 배출되어 고분자수지 알갱이 사이 공간을 통해 하측으로 이동하고, 배출구(G231b)보다 폭(도 14를 기준으로 좌우 방향 길이)이 작은 상부 도전체(G26)의 상단에서 분쇄되어 하측으로 이동함으로써 흡수팽창부(G24)에 흡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부 도전체(G26)가 상단 폭은 배출구(G231b)의 폭보다 크므로 배출구(G231b)에서 배출된 물방울은 상부 도전체(G26)의 상단에 고이지 않을 수 있으며, 상부 도전체(G26)가 하측으로 갈수록 폭이 커지므로, 물이 하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상부 도전체(G26)의 하단 폭이 흡수팽창부(G24)의 폭보다 작기 때문에 상부 도전체(G26)를 통해 하측으로 이동한 물은 흡수팽창부(G24)로 이동하여 흡수될 수 있다.
상부 도전체(G26)를 통해 하측으로 흐른 물은 흡수팽창부(G24)의 외피(G243)와 내피(G242)룰 통과하여 폴리아크릴레이트(G241)에 흡수될 때, 폴리아크릴레이트(G241)는 수분 내에 팽창하게 되고, 흡수팽창부(G24)의 상부에 고정된 상부 도전체(G26)는 고분자수지 알갱이들을 이동시키며 상측으로 이동하여 상부 도전층(G23)과 접촉한다. 이를 통해 상부 도전층(G23)과 하부 도전층(G21)은 전류가 흐르게 되어 전류계 등을 통해 이를 확인함으로써 누수가 발생된 상태임을 파악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호퍼(G231)의 배출구(G231b)는 지지홈(G211)의 중심 부분에 상응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고 하였는데, 지지홈(G211)에 흡수팽창부(G24)가 배치되기 때문에 흡수팽창부(G24)를 최소한으로 사용하여 누수를 파악할 수 있다. 즉, 흡수팽창부(G24)를 하부 도전층(G21)의 상면에 배치할 필요 없이 지지홈(G211)에만 배치할 수 있어 자재 절감을 도모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부 도전층(G23)을 이웃하는 호퍼(G231)가 형성하는 경계선(DL)을 통해 분할하여 구역화 함으로써, 다수의 구역 중 어느 한 구역(예를 들어 도 14의 [B]와 같이 제1영역(A1))에 누수가 발생함을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누수가 발생된 구역만 보수를 할 수 있다.
도 14의 [B]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1영역(A1)과 제2영역(A2)(경계선(DL)을 기준으로 우측 영역) 각각에 배치된 호퍼(G231) 중 제1영역(A1)에 배치된 호퍼(G231)에만 물이 고여 제1영역(A1)에 배치된 흡수팽창부(G24)만이 팽창할 경우, 제1영역(A1)의 상부 도전층(G23)과 하부 도전층(G21)만 통전되어 제1영역(A1)에만 누수가 발생된 것을 확인할 수 있어 제1영역(A1)만 보수를 수행하면 되기 때문에 보수 공정이 보다 간략화 할 수 있는 것이다(이웃하는 호퍼(G231) 사이에는 절연제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은 통상의 기술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가공품: 1 주물: 11
타일: 12 통공: 121
완충부재: 13 투명부재: 14
주조장치: 2 프레스 금형: 3
펀치홀더: 31 타공용 펀치부재: 32
다이 플레이트: 33 쇼트기: 5
그라인더: 6 부착장치: 7
투입부: 71 컨베이어: 72
건조부: 73 가압부: 74

Claims (4)

  1. 형틀에 용융된 소재를 주입하여 주물을 생성하는 주조단계(S1);
    상기 주물을 타공하는 공정(S21)을 포함하고, 상기 주물을 연삭하는 공정(S22), 주물 표면과 볼을 충돌시키는 공정(S23) 및 상기 주물 표면을 평탄하게 하는 공정(S24)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주물가공단계(S2);
    상기 주물에 타일을 부착하여 가공품을 생산하는 타일부착단계(S3);
    상기 타일을 깍는 공정(S41) 및 상기 타일을 타공하는 공정(S4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타일가공단계(S4); 및
    상기 타일부착단계(S3)에서 상기 주물에 상기 타일이 부착되어 생산된 상기 가공품에 수지재질로 형성된 완충부재를 부착하는 공정(S51) 및 상기 가공품을 도장하는 공정(S53)을 포함하는 후처리단계(S5)를 포함하고,
    상기 타일가공단계(S4)가 상기 타일을 타공하는 공정(S42)을 포함하여 상기 타일에 통공이 형성된 경우, 상기 후처리단계(S5)는 상기 타일의 통공을 투명부재로 덮는 공정(52)을 포함하고,
    상기 주물을 타공하는 공정(S21)은 프레스 금형에 의해 수행되고,
    상기 타일가공단계(S4)가 상기 타일을 타공하는 공정(S42)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타일을 타공하는 공정(S42)은 상기 프레스 금형에 의해 수행되고,
    상기 프레스 금형은, 프레스 기계와 연결되는 펀치홀더 및 상기 펀치홀더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타공용 펀지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타공용 펀치부재는, 단면 형상이 원형인 원형 펀치 파트, 단면 형상이 타원형인 타원형 펀치 파트 및 단면 형상이 다각형인 다각형 펀치 파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타일부착단계(S3)는, 상기 주물 또는 상기 타일을 선단에서 후단으로 이송시키는 컨베이어, 상기 컨베이어보다 상측에 배치되고 접착제를 공급하는 투입부, 상기 투입부 후단에 구비되고 상기 주물 상에 부착된 타일을 가압하는 가압부를 포함하는 부착장치에 의해 수행되고,
    상기 (S51) 단계는, 상기 완충부재를 상기 가공품의 둘레를 따라 상기 가공품의 측면에 부착하는 것이고,
    상기 프레스 금형은, 상기 펀치홀더보다 하측에 배치되는 다이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다이 플레이트 상부에 구비되는 방수막(G)을 포함하되,
    상기 방수막(G)은 상기 다이 플레이트의 상부에 구비되는 누수감지수단(G2) 및 누수감지수단(G2)의 상부에 구비되는 방수수단(G1)을 포함하되,
    상기 방수수단(G1)은 프로필렌 에틸렌(propylene ethylene) 공중합체 100 중량부, 디이소시아네이트(diisocyanate)와 폴리올(polyol) 혼합물 60 중량부, 알루미네이트(aluminate) 4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누수감지수단은 상면에 다수의 지지홈이 형성된 하부 도전층, 상기 하부 도전층 상부에 구비되는 절연층, 상기 절연층 상부에 구비되는 상부 도전층, 상기 지지홈에 지지된 상태로 상기 절연층에 배치되는 흡수팽창부, 상기 하부 도전층에 연결된 하부 도전체, 상기 흡수팽창부 상부에 구비된 상부 도전체, 상기 하부 도전체와 상기 상부 도전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도선을 포함하고,
    상기 흡수팽창부는 폴리아크릴레이트, 면직물로 형성되되 상기 폴리아크릴레이트를 감싸는 내피, 마 직조 직물로 형성되되 상기 내피를 감싸는 외피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 도전층은 깔때기 형상의 다수의 호퍼를 포함하고, 다수의 호퍼 각각의 배출구는 상기 다수의 지지홈 각각의 중심 부분과 상응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상부 도전체는 하측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폭이 감소하고, 상기 상부 도전체의 상단 폭은 상기 배출구의 폭보다 작고, 상기 상부 도전체의 하단 폭은 상기 흡수팽창부의 폭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넬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210070913A 2021-06-01 2021-06-01 판넬 제조방법 KR1023412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0913A KR102341259B1 (ko) 2021-06-01 2021-06-01 판넬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0913A KR102341259B1 (ko) 2021-06-01 2021-06-01 판넬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1259B1 true KR102341259B1 (ko) 2021-12-17

Family

ID=790335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0913A KR102341259B1 (ko) 2021-06-01 2021-06-01 판넬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125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8740B1 (ko) * 1995-03-06 2003-06-09 오엠 기끼 가부시키 가이샤 억세스플로어시스템
KR101101124B1 (ko) * 2011-08-12 2011-12-30 박태복 이중마루용 알루미늄 패널의 타공금형 및 이를 이용한 이중마루용 알루미늄 패널의 제조방법
KR20120035135A (ko) * 2011-10-10 2012-04-13 주식회사 알모티브 이중마루용 다공패널의 제조방법
KR20160112853A (ko) * 2015-03-20 2016-09-28 김종현 단열보드용 성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단열보드 제작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8740B1 (ko) * 1995-03-06 2003-06-09 오엠 기끼 가부시키 가이샤 억세스플로어시스템
KR101101124B1 (ko) * 2011-08-12 2011-12-30 박태복 이중마루용 알루미늄 패널의 타공금형 및 이를 이용한 이중마루용 알루미늄 패널의 제조방법
KR20120035135A (ko) * 2011-10-10 2012-04-13 주식회사 알모티브 이중마루용 다공패널의 제조방법
KR20160112853A (ko) * 2015-03-20 2016-09-28 김종현 단열보드용 성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단열보드 제작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442046B (zh) 汽车顶篷一次成型天窗切割包边的生产工艺
CN102036462B (zh) 印刷电路板及其保护方法
CN102883872A (zh) 无缝声衬垫
KR102341259B1 (ko) 판넬 제조방법
CN102381256B (zh) 湿法玻纤滚胶生产顶蓬的工艺
CN101947829A (zh) 一种汽车顶篷一次成型湿法生产工艺
CN106079819A (zh) 一种汽车顶蓬前沿包边的生产工艺
CN101337434A (zh) 一种汽车天窗遮阳板的生产方法
CN207757371U (zh) 一种用于铝铸件加工的抛光装置
CN101961932A (zh) 一种轻质点阵夹芯板及采用机械钻孔制备该板的方法
CN208697619U (zh) 一种吸尘器电路板钻孔装置
CN104191939B (zh) 一种汽车天窗遮阳板的生产方法
CN109605902A (zh) 一种汽车前围辅助隔音垫的加工方法
CN201119124Y (zh) 真空塞孔机
CN107088914A (zh) 一种可以移动的裁剪机
CN108818317B (zh) 一种磨料水射流抛光实验平台
CN103465165B (zh) 一种夹具
CN107089018B (zh) 导气板及制备方法和包含其的加筋壁板的固化成型方法
CN104117736B (zh) 水槽切割装置
KR20160082171A (ko) 압축회복률 및 흡음특성이 우수한 극세사 흡음재 및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흡음재
JP2862221B2 (ja) インシュレータダッシュの製造方法ならびに成形装置
CN103286992B (zh) 蜂窝吸音复合板及其复合工艺
KR101614682B1 (ko) 건축물용 벽면 패널
KR20170137417A (ko) 파노라마 선루프용 강화유리패널의 제조방법
CN219766845U (zh) 一种冷却塔布水管自动化加工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