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4682B1 - 건축물용 벽면 패널 - Google Patents

건축물용 벽면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4682B1
KR101614682B1 KR1020150151554A KR20150151554A KR101614682B1 KR 101614682 B1 KR101614682 B1 KR 101614682B1 KR 1020150151554 A KR1020150151554 A KR 1020150151554A KR 20150151554 A KR20150151554 A KR 20150151554A KR 101614682 B1 KR101614682 B1 KR 1016146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ilding
detachable
wall
sheet
adhesiv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15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폴리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폴리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폴리쉘
Priority to KR10201501515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46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46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46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71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having an ornamental or specially shaped visible surfac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66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omposed of several layers, e.g. sandwich panels or layered pa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의 벽면에 인테리어기능 및 단열, 방음기능이 구비되는 건축물용 벽면 패널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히는 본 발명은, 시트원료, 발포제, 열안정제, 안료제가 혼합시켜 시트 형태로 압출한 후 발포시키고, 발포된 전면으로 인쇄필름이 코팅되는 인쇄층이 형성되고, 인쇄층이 형성된 전면을 성형하여 성형부가 형성되고, 후면으로 간격을 두고 수직 또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인입홈이 다수 형성되는 시트체; 상기 시트체에 형성된 인입홈에 접착되도록 제1접착층이 형성되는 제1착탈체 및 상기 제1착탈체와 착탈이 가능하며, 후측에 시공하고자 하는 건축물의 벽면에 접착되는 제2접착층이 형성되는 제2착탈체로 이루어지는 착탈수단;이 포함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용 벽면 패널을 제공한다.
따라서 건축물용 벽면 패널의 후측 전체면을 건축물 벽면에 접착하지 않고도 시공이 가능하여 시공을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하면서도 건축물용 벽면 패널의 교체 및 재시공 때에 제1착탈체와 제2착탈체를 이탈시켜 제1접착층에 접착된 건축물용 벽면 패널을 건축물 벽면에서 분리시킴으로서 교체 및 재시공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기존의 건축물용 벽면 패널의 후측 전체면이 접착되는 건축물 벽면의 훼손을 최소화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Description

건축물용 벽면 패널{THE PANEL}
본 발명은 건축물의 벽면에 인테리어기능 및 단열, 방음기능이 구비되는 건축물용 벽면 패널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건축물용 벽면 패널의 후측에 착탈수단을 구비하여 시공을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하면서도 재시공이 가능하며, 재시공된 건축물 벽면의 훼손을 최소화하는 건축물용 벽면 패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와 같은 건축물의 경우에는 벽체를 보호하고 건축물의 단열과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벽면에는 보온이나 열을 차단하기 위해 단열재가 시공되고, 이러한 단열재로는 주로 스티로폴 또는 유리면과 석고보드가 사용된다.
여기서, 스티로폴과 유리면은 단열 및 방음효과가 우수하기 때문에 건축물의 벽면에 직접 시공되어 단열부재로 사용되고, 석고보드는 표면 안정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스티로폴 또는 유리면의 시공부위에 대한 마감부재로 사용된다.
상기 단열재는 단열기능에 대한 성능이 국한되어 실내의 인테리어 기능은 거의 없다시피 하며, 또한 설치 후 수년의 시간이 지나게 되면 단열과 누수 방지력이 저하되는 문제점과 아울러 건축용 복합 패널의 두께가 너무 두꺼워 건축물의 벽면 두께가 두꺼워짐으로 인한 실내면적이 좁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나무 합판의 일측에 발포수지로 제작되고 난연 처리된 발포시트를 접착시키고 발포시트의 전면에 도료를 칠하거나 필름을 접착시켜 외적 아름다움을 제공하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9-0097435호가 개발되어 사용되어 왔다.
하지만 상기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9-0097435호는 제작과정에서 주원료인 EVA(Ethylene Vinyl Acetate)와 LDPE(Low Density Polyethylene)을 가교하기 위한 가교제가 첨가되어 제작과정에서 유해물질이 발생되는 단점이 있어왔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본 출원인은 특허출원 제10-2015-0130073호를 개발하였으며, 본 발명은 특허출원 제10-2015-0130073호의 개량을 제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건축물용 벽면 패널의 후측에 착탈수단을 구비하여 시공을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하면서도 재시공이 가능하며, 재시공된 건축물 벽면의 훼손을 최소화하는 건축물용 벽면 패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시트원료, 발포제, 열안정제, 안료제가 혼합시켜 시트 형태로 압출한 후 발포시키고, 발포된 전면으로 인쇄필름이 코팅되는 인쇄층이 형성되고, 인쇄층이 형성된 전면을 성형하여 성형부가 형성되고, 후면으로 간격을 두고 수직 또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인입홈이 다수 형성되는 시트체; 상기 시트체에 형성된 인입홈에 접착되도록 제1접착층이 형성되는 제1착탈체 및 상기 제1착탈체와 착탈이 가능하며, 후측에 시공하고자 하는 건축물의 벽면에 접착되는 제2접착층이 형성되는 제2착탈체로 이루어지는 착탈수단;이 포함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용 벽면 패널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시트체는 압출 후 전자선 조사기의 전자선을 조사시켜 가교화시키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시트체는 후면으로 간격을 두고 수직 또는 수평 방향으로 단면이 V자 형태로 연장되는 절곡홈이 다수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건축물용 벽면 패널의 후측 전체면을 건축물 벽면에 접착하지 않고도 시공이 가능하여 시공을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하면서도 건축물용 벽면 패널의 교체 및 재시공 때에 제1착탈체와 제2착탈체를 이탈시켜 제1접착층에 접착된 건축물용 벽면 패널을 건축물 벽면에서 분리시킴으로서 교체 및 재시공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기존의 건축물용 벽면 패널의 후측 전체면이 접착되는 건축물 벽면의 훼손을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착탈수단을 통해 건축물용 벽면 패널에 부분적으로 훼손된 부위를 교체할 수 있으면서도 건축물용 벽면 패널을 임의로 구획하고 구획된 부위가 착탈수단에 의해 교체가 가능하도록 하여 유아 또는 어린이들의 놀이 기능을 구비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인쇄층과 더불어 성형부로 하여금 건축물 내부의 인테리어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으면서도 기존의 가교제를 통한 화학가교공정에서 탈피하여 전자선을 조사시켜 가교가 이루어짐으로서 유해물질에 의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고, 건축물용 벽면 패널에 미세하고 균일한 셀이 배열되어 단열 및 흡음 특성이 향상되는 양질의 건축물용 벽면 패널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절곡홈으로 인해 건축물용 벽면 패널이 시공되는 건축물 벽면에 단차되는 부위 또는 건축물 벽면의 각 면에 접힘되어 시공이 가능하게 되어 건축물 벽면의 형태에 관계없이 깔끔한 시공이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도 1, 2는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건축물용 벽면 패널의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단시도,
도 4(a), (b)는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되는 건축물용 벽면 패널이 건축물 벽면에 사용되는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5(a), (b)은 본 발명에 의한 절곡홈에 의해 건축물용 벽면 패널이 접힘되는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용 벽면 패널은 도 1, 2,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축물용 벽면 패널의 형태가 가공되는 시트체(10)와, 상기 시트체(10)에 인입되어 시트체(10)와 건축물 벽면에 각각 접착되어 시트체(10)와 건축물 벽면(1)의 착탈구조를 구현하는 착탈수단(20)으로 구성되어진다.
상기 시트체(10)는 시트원료, 발포제, 열안정제, 안료제가 혼합시켜 시트 형태로 압출한 후 발포시키고, 발포된 전면으로 인쇄필름이 코팅되는 인쇄층(13)이 형성된다.
상기 시트체(10)가 시트 형태로 압출되는 과정은 시트원료, 발포제, 열안정제, 안료제가 혼합되어 이루어진 원료칩을 압출기를 이용하여 압출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시트체(10)를 이루는 원료칩은 시트원료 66 ~ 72중량%, 발포제 26 ~ 32중량%, 열안정제 0.5 ~ 1.5중량%, 안료제 0.5 ~ 1중량%가 혼합된 원료를 용융시켜 판 형태로 압출하면 내부에 냉각수가 유입, 배출되는 냉각관이 구비된 다수의 냉각롤러로 안내함으로서 냉각시킨 후 컷팅수단을 통해 직경 1 ~ 3㎜로 컷팅시켜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시트원료는 저밀도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임이 바람직하며, 이는 저밀도 폴리에틸렌과 폴리프로필렌의 강도가 높고 무게가 가벼워 가공이 용이한 특성뿐만 아니라 내충격성, 유연성, 내화학성, 내수성 등과 같은 특성이 구비되어 건축물용 벽면 패널로 사용되는 최적의 재료이기 때문이다.
또한 시트체(10)는 인쇄층(13)이 형성된 전면에 열과 압력을 통해 성형되는성형부(15)가 형성되며, 상기 성형부(15)는 인쇄층(13)과 더불어 건축물 내부의 인테리어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성형부(15)는 벽돌 모양의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의 예일 뿐 다양한 형태로 성형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시트체(10)는 후면으로 간격을 두고 수직 또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후술되는 착탈수단(20)이 인입되는 인입홈(17)이 다수 형성된다.
착탈수단(20)은 상기 시트체(10)와 시공하고자 하는 건축물 벽면(1) 간의 착탈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성요소로서, 시트체(10)에 형성된 인입홈(17)에 접착되도록 제1접착층(22)이 형성되는 제1착탈체(21) 및 상기 제1착탈체(21)와 착탈이 가능하며, 후측에 시공하고자 하는 건축물의 벽면(1)에 접착되는 제2접착층(26)이 형성되는 제2착탈체(25)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착탈수단(20)의 제1, 2착탈체(21, 25)는 벨크로 또는 자성체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며, 이는 계속적인 착탈로 하여금 용이한 재시공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축물 벽면(1)에 제2착탈체(25)의 제2접착층(26)이 접착되어 건축물용 벽면 패널(10)의 후측 전체면을 건축물 벽면(1)에 접착하지 않고도 시공이 가능하여 건축물 벽면(1)에 건축물용 벽면 패널(10)의 시공을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하면서도 건축물용 벽면 패널(10)의 교체 및 재시공 때에 제1착탈체(21)와 제2착탈체(25)를 이탈시켜 제1접착층(22)에 접착된 건축물용 벽면 패널(10)을 건축물 벽면(1)에서 분리시킴으로서 교체 및 재시공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기존의 건축물용 벽면 패널(10)의 후측 전체면이 접착되는 건축물 벽면(1)의 훼손을 최소화하는 효과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착탈수단(20)을 통해 건축물용 벽면 패널(10)에 부분적으로 훼손된 부위를 교체할 수 있으면서도 건축물용 벽면 패널(10)을 임의로 구획하고 구획된 부위가 착탈수단에 의해 교체가 가능하도록 하여 유아 또는 어린이들에게 놀이 기능까지 구비하는 효과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한편, 착탈수단(20)의 제2접착층(26)에는 제2접착층(26)의 접착력을 유지하면서 보호할 수 있도록 별도의 박리지가 구비되도록 한다.
여기서 시트체(10)는 압출 후 전자선 조사기의 전자선을 조사시켜 가교화시키도록 구성되어, 시트체(10)의 물리적 화학적 성질을 향상시키면서도 시트체(10)의 발포과정에서 발포배율을 컨트롤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전자선 조사기의 전자선의 에너지는 0.8 ~ 2MeV이며, 전자선 전류밀도는 50 ~ 120mA/㎠이고, 전자선 조사량은 20 ~ 200kGy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전자선의 에너지가 0.8MeV 미만일 때에는 전자선이 투과되는 깊이가 한계가 있어 전자선 조사효과를 기대하기 힘들고, 2MeV를 초과할 경우 생산비용이 낭비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전자선 전류밀도를 50 ~ 120mA/㎠로 한정하는 것은 상기의 범위를 초과하게 되면 많은 열이 발생하여 부적절한 열반응에 의해 물성이 변하게 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전자선 조사량은 20 ~ 200kGy인 것은 조사량이 20kGy 미만인 경우에는 표면물성이 좋지 않은 문제점이 존재하고 200kGy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분자 재료의 열적 변형에 의한 외형색의 변화 또는 분해가 발생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즉, 시트체(10)에 가교화공정이 추가됨으로서 기존의 유해물질이 발생되면서 취급이 어려운 가교제를 통한 화학가교공정에서 탈피하여 전자선을 조사시켜 이루어짐으로서 가교공정에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고, 시트체(10)에 미세하고 균일한 셀이 배열되어 단열 및 흡음 특성이 향상되면서도 시트체(10) 표면의 평활도가 우수하고, 내열성 및 인장강도가 향상되며, 완충성과 경량성이 구비되는 것이다.
그리고 시트체(10)의 발포배율은 18 ~ 32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발포 배율이 상기 범위 미만으로 이루어질 경우 진동에서 발생되는 충격 또는 건축물의 내부에서 사용자가 부딪혔을 때의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 분산하지 못하고 단열성 또한 로 사용되지 못할 만큼 저하되기 때문이고, 발포 배율이 상기 범위를 초과할 경우 강도와 형태안정성이 저하되기 때문이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체(10)는 간격을 두고 수직 또는 수평 방향으로 단면이 V자 형태로 연장되는 절곡홈(19)이 다수 형성되어 본 발명인 건축물용 벽면 패널이 시공되는 건축물 벽면(1)에 단차되는 부위 또는 건축물 벽면(1)의 각 면에 접힘되어 시공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절곡홈(19)은 70° ~ 110°의 각도로 형성되도록 가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절곡홈(19)으로 하여금 건축물용 벽면 패널이 안정적으로 접힘되기 때문이다.
10 : 건축물용 벽면 패널
13 : 인쇄층 15 : 성형부
17 : 인입홈 19 : 절곡홈
20 : 착탈수단
21 : 제1착탈체 22 : 제1접착층
25 : 제2착탈체 26 : 제2접착층

Claims (5)

  1. 저밀도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인 시트원료, 발포제, 열안정제, 안료제가 혼합시켜 원료칩 형태로 가공하고, 가공된 원료칩을 압출기를 이용하여 시트 형태로 압출한 후 발포시키고, 발포된 전면으로 인쇄필름이 코팅되는 인쇄층(13)이 형성되고, 인쇄층이 형성된 전면을 성형하여 성형부(15)가 형성되고, 후면으로 간격을 두고 수직 또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인입홈(17)이 다수 형성되는 시트체(10);
    상기 시트체(10)에 형성된 인입홈(17)에 접착되도록 제1접착층(22)이 형성되는 제1착탈체(21) 및 상기 제1착탈체(21)와 착탈이 가능하며, 후측에 시공하고자 하는 건축물의 벽면(1)에 접착되는 제2접착층(26)이 형성되는 제2착탈체(25)로 이루어지는 착탈수단(20);이 포함되고,
    상기 착탈수단(20)의 제1, 2착탈체(21, 25)는 벨크로 또는 자성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시트체(10)는 압출 후 전자선 조사기의 전자선을 조사시켜 가교화시키며, 시트체(10)의 가교하기 위한 전자선 조사기의 전자선의 에너지는 0.8 ~ 2MeV이며, 전자선 전류밀도는 50 ~ 120mA/㎠이고, 전자선 조사량은 20 ~ 200kGy이고,
    상기 시트체(10)의 발포배율은 18 ~ 32배로 이루어지고,
    상기 시트체(10)는 간격을 두고 수직 또는 수평 방향으로 단면이 V자 형태이면서 70° ~ 110°의 각도로 연장되는 절곡홈(19)이 다수 형성되고,
    상기 시트체(10)를 이루는 원료칩은 시트원료 66 ~ 72중량%, 발포제 26 ~ 32중량%, 열안정제 0.5 ~ 1.5중량%, 안료제 0.5 ~ 1중량%가 혼합된 원료를 용융시켜 판 형태로 압출하면 내부에 냉각수가 유입, 배출되는 냉각관이 구비된 다수의 냉각롤러로 안내함으로서 냉각시킨 후 컷팅수단을 통해 직경 1 ~ 3㎜로 컷팅시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용 벽면 패널.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50151554A 2015-10-30 2015-10-30 건축물용 벽면 패널 KR1016146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1554A KR101614682B1 (ko) 2015-10-30 2015-10-30 건축물용 벽면 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1554A KR101614682B1 (ko) 2015-10-30 2015-10-30 건축물용 벽면 패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4682B1 true KR101614682B1 (ko) 2016-04-22

Family

ID=559184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1554A KR101614682B1 (ko) 2015-10-30 2015-10-30 건축물용 벽면 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468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9235A (ko) 2021-01-06 2022-07-13 임명호 외장재 설치가 용이한 단열재 및 이를 이용한 외단열 시공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8176Y1 (ko) * 2001-12-19 2002-03-15 (주) 유화산업 벽체 보호 패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8176Y1 (ko) * 2001-12-19 2002-03-15 (주) 유화산업 벽체 보호 패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9235A (ko) 2021-01-06 2022-07-13 임명호 외장재 설치가 용이한 단열재 및 이를 이용한 외단열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692167B2 (en) Plastic foam material composed of polyolefin based resin and silane-modified polymer and method for making same
ES2910702T3 (es) Métodos para producir láminas de espuma de poliolefina y artículos fabricados con las mismas
ES2461847T3 (es) Artículos de espuma polimérica estratificada perforada
KR101614682B1 (ko) 건축물용 벽면 패널
KR101614683B1 (ko) 건축물용 벽면 패널의 제조방법
US20100324162A1 (en) Foam board of polyolefin resin and method for its production
JP3902889B2 (ja) 再生複合発泡体及びその成形品並びにその製造方法
JP2012021332A (ja) 床材
JP2008127872A (ja) 発泡断熱ボードおよびその製造方法
EP0646622A2 (en) Plastic foam material composed of thermoplastic resin and silane-modified thermoplastic resin and method for making same
JP2009241482A (ja) 積層発泡シート
KR101733952B1 (ko) 건축물용 벽면 패널의 제조방법
JP7116681B2 (ja) 化粧材及び化粧材の製造方法
JP2006199970A (ja) 複合発泡体及びその成形品並びにその製造方法
JP4220831B2 (ja) 床下地材、床構造及びそれを用いた建物
WO2017217518A1 (ja) 化粧材
KR100596192B1 (ko) 건축용 다공성 시트의 제조방법
JP2005041130A (ja) 化粧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CN104774356B (zh) 发泡体及发泡体的制造方法
JP4393880B2 (ja) 薄幅溝を有する合成樹脂発泡成形体
JP7180990B2 (ja) 架橋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発泡体
JP2005009237A (ja) 枠材料、枠体及びそれを用いたパネル
KR20130031996A (ko) 차량 내장용 천정재 및 그 제조방법
JP6790110B2 (ja) 発泡成形用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ポリプロピレン系発泡成形体、ポリプロピレン系多層発泡成形体およびポリプロピレン系発泡成形体の製造方法
JP4148006B2 (ja) 床材の補間部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