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6192B1 - 건축용 다공성 시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건축용 다공성 시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6192B1
KR100596192B1 KR1020040042592A KR20040042592A KR100596192B1 KR 100596192 B1 KR100596192 B1 KR 100596192B1 KR 1020040042592 A KR1020040042592 A KR 1020040042592A KR 20040042592 A KR20040042592 A KR 20040042592A KR 100596192 B1 KR100596192 B1 KR 1005961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press
building
polypropylene
materia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25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17315A (ko
Inventor
소병춘
Original Assignee
소병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병춘 filed Critical 소병춘
Priority to KR10200400425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6192B1/ko
Publication of KR200501173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73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61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619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003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hoice of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12Powdering or granul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5Forming flame retardant coatings or fire resistant coat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6Coating with compositions not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004Use of compounding ingredients, the chemical constitution of which is unknown, broadly defined, or irreleva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22After-treatment of expandable particles; Forming foamed products
    • C08J9/228Forming foamed produc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23/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 treatment
    • C08J23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J2323/06Poly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23/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 treatment
    • C08J23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J2323/12Poly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00/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unspecified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08K2003/2217Oxides; Hydroxides of metals of magnesium
    • C08K2003/2224Magnesium hydrox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02Flame or fire retardant/resista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e Of Porous Articles, And Recovery And Treatment Of Waste Products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용 다공성시트의 제조방법에 관련된다.
구성의 특징으로는 가연성을 가진 가교, 또는 무가교 폴레에틸렌(PE) 및 폴리프로필렌(PP), 또는 이들을 혼합형성한 발포체를 분쇄기를 통하여 3~10mm의 입자로 분쇄하여 입자화시킨 뒤, 이들 입자를 열풍 및 히터 등의 열을 가하여 압연롤 또는 프레스로 가압성형하여 판상의 시트로 제조하거나, 또는 핫멜트(Hot melt) 등의 열가소성수지를 혼합한 뒤, 압연롤 또는 프레스로 가압성형하여 시트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시트제조방법에 있어서 수산화 마그네슘 등의 난연재를 첨가하여 시트를 제조하면 난연성이 뛰어난 시트를 얻을 수 있으며, 상기 난연재와 더불어 또는 난연재를 제외하고 규산나트륨을 첨가하면 내화성이 뛰어난 시트를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조된 시트는 가교, 또는 무가교 처리된 폴리에틸렌(PE) 및 폴리프로필렌(PP), 또는 이들을 혼합한 발포체 자체에 형성된 미세한 기포가 그대로 유지되어 흡음, 차음, 단열, 재진효과 등이 극대화되게 되고, 제조가 극히 간단하여 생산성이 극대화 됨은 물론, 제조원가절감효과가 극대화되는 등의 특징이 따르게 된다.
또한, 강도가 매우 뛰어나며, 난연성과 내화성이 매우 뛰어나 다층 건물의 층간소음재로서의 활용이 극대화되는 등의 특징이 따르는 건축용 다공성시트를 제 공하게 된다.
난연재, 건축용 차음재, 건축용재진시트, 건축용 층간 방음재,

Description

건축용 다공성 시트의 제조방법{a manufacturing process of structural porosity seat}
본 발명은 건축용 다공성 시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보다 간단한 방법으로 방음, 흡음, 차음 효과를 비롯하여 단열 및 재진효과, 그리고 난연성과 내화성이 극대화되는 다공성시트를 제조하기 위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다세대, 또는 다층 구조의 건축물에는 각 층간의 진동, 소음, 화재 등을 예방하기 위해 재진, 차음, 난연 등의 효과가 따르는 건축용 자재를 사용하게 된다.
상기한 건축용 자재는 통상 소정의 두께를 가진 시트형상의 것들이 주로 사용되며, 주로 가연성이 있고, 가교 또는 무가교 처리된 발포 폴리에틸렌(PE) 및 발포 폴리프로필렌(PP) 또는 이들 두재료를 혼합 발포하여서 된 시트나 고무시트를 사용하게 된다.
특히, 흡음재나 재진재는 소음흡수 및 충격이나 진동흡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통상 다공판으로 제조된다.
상기한 발포시트는 제품자체가 폴리에틸렌(PE) 및 폴리프로필렌(PP) 발포체이므로 겉보기 밀도가 0.002~0.500g/㎤로 미세한 기포가 밀집 형성되어 있고, 시트 한 장의 두께가 10~12mm로 제법 두껍게 형성되어 있어 흡음, 방음, 단열효과가 뛰어난 이점이 있으나, 문제는 강도가 매우 약하여 상기 시트를 적어도 5~6장 정도 적층시킨 상태에서 고주파 등으로 열융착시켜 주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따른다.
또한, 상기한 시트를 여러장 적층시켜 열융착시키는 과정에서 각장의 시트가 맞 닿는 면이 고주파접착시 발생되는 전자선에 의해 열융착이 일어날 수밖에 없게 되어 통기성이 사라지며, 이에 따라 소음이나 차음, 또는 제진 효과가 일반 고무제 시트보다도 현저하게 떨어지게 되는 폐단이 따르게 되며, 따라서 근자에는 상기 다수 적층된 시트에 별도로 작은 구멍을 다수 천공한 것 등도 선보이고 있으나 제조에 따른 공정과다로 원가상승이 야기되면서도 그 효과는 별반 기대할 수 없는 정도의 수준이다.
다시 말하면, 상기한 폴리에틸렌(PE) 및 폴리프로필렌(PP) 또는 이들 두 재료를 혼합 발포하여서 된 통상의 시트는 미세한 다공이 무수히 형성되어 있지만, 여러장의 시트를 적층시켜 초음파 접착하는 과정에서 시트와 시트가 맞닿아 부착되는 부분이 전자선에 의해 부착 됨에 따라 미세구멍이 막히게 되어 흡음 및 차음, 그리고 제진효과가 크게 미흡하고, 또한 강도가 약하여 건축용 다공성 시트로서 제 기능을 유지하기가 매우 어려웠다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종래의 건축용 시트는 난연성 및 내화성이 크게 떨어져 고열이나 화재에 약하여 건축용 다공성 시트로서의 제 기능을 발휘할 수 없는 등의 폐단 도 따랐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제반문제점을 감안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특히, 종래 사용하던 가연성이 있고, 또, 가교, 또는 무가교 처리된 발포 폴리에틸렌(PE) 및 발포 폴리프로필렌(PP), 또는 이들 두 재료를 혼합하여 제조된 발포체를 이용하여 제조하되, 강도가 종래 시트에 비해 매우 뛰어나고, 소음방지 및 차음, 단열 제진효과 등도 매우 뛰어나며, 더불어 제조가 매우 간단하게 이루어지게 한 건축용 다공성 시트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려는데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종래 가교, 또는 무가교 처리된 통상의 발포 폴리에틸렌(PE) 및 발포 폴리프로필렌(PP), 또는 이들 두 재료를 혼합 발포하여서 된 통상의 발포체를 이용하여 건축용 다공성 시트를 제조하되,
상기 발포 폴리에틸렌(PE) 및 발포 폴리프로필렌(PP), 또는 이들 두 재료를 혼합발포하여서 된 발포체(또는 발포시트)를 분쇄기로서 3~10mm 크기의 입자로 분쇄하고, 분쇄된 입자를 열프레스를 통하여 120~150℃의 온도에서 가압성형하거나, 또는 열풍기나 히터를 이용하여 150~200℃의 온도에서 성형롤러 등을 이용하여 연속성형하거나, 또는 상기 입자에 핫멜트(hot-melt) 등의 열가소성수지를 입자 중량을 기준으로 20~30% 첨가혼합한 뒤, 상기와 같이 열프레스 또는 성형롤러를 이용하여 성형한다.
한편, 상기 발포입자에 수산화마그네슘 등의 난연재를 입자중량을 기준으로 5~15중량% 첨가한 뒤, 상기와 같이 열프레스, 또는 압연롤로 성형하면 시트의 난연성이 뛰어나게 된다.
시트 두께는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으며, 건축물의 용도와 특성에 따라 적절한 두께로 설정할 수 있다.
또, 상기 수산화마그네슘 등의 난연재는 열가소성수지를 첨가혼합하는 경우에도 함께 혼합하여 성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제조된 시트표면에는 규산나트륨을 진공함침시키거나 도포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내화성이 뛰어난 등의 효과도 따르게 된다.
이와 같은 방법을 통하여 제조된 본 발명의 건축용 다공성 시트는 미세한 구멍이 최초 발포시와 같이 그대로 살아있어 흡음, 재진, 차음, 단열, 등의 효과가 발생되는 다공성 시트로서의 기능이 충분히 발휘 되게 되며, 이러한 시트 표면에 규산나트륨 등의 내화제를 도포 또는 함침시키면 난연성 및 내화성이 뛰어난 안전성이 극대화 된 시트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제조방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 1>
가교, 또는 무가교 폴리에틸렌(PE) 및 폴리프로필렌(PP)과 상기 두 제품을 혼합형성하여서 된 발포체를 분쇄기에 넣어 분쇄하여 선별기를 통해 3~10mm의 크기만을 선별한 뒤, 상기 입자 12kg을 열프레스를 이용하여 150℃의 온도를 가한 상태에서 가압하여 두께 40mm 가로 2400mm 세로 1200mm 크기의 시트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가교, 또는 무가교 폴리에틸렌(PE) 및 폴리프로필렌(PP)과 상기 두 제품을 혼합 형성하여서 된 발포체를 분쇄기에 넣어 분쇄하여 3~10mm의 크기의 입자만을 선별한 뒤, 상기 입자 15kg을 열풍기가 장착된 성형롤러를 통과시켜 가면서 170℃의 열풍을 불어넣어 입자표면을 용융가압시켜 두께 50mm 가로 2400mm 세로 1200mm 크기의 시트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가교, 또는 무가교 폴리에틸렌(PE) 및 폴리프로필렌(PP)과 상기 두 제품을 혼합 형성하여서 된 발포체를 분쇄기에 넣어 분쇄하여 3~10mm의 크기의 입자만을 선별한 뒤, 상기 입자 10.5kg에 수산화마그네슘을 1.5kg을 혼합 교반하여 열프레스로 150℃의 온도에서 두께 40mm, 가로 2400mm, 세로 1200mm 크기의 시트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
가교, 또는 무가교 폴리에틸렌(PE) 및 폴리프로필렌(PP)과 상기 두 제품을 혼합 형성하여서 된 발포체를 분쇄기에 넣어 분쇄하여 3~10mm의 크기의 입자만을 선별한 뒤, 상기 입자 12kg에 핫멜트 등의 열가소성 수지 3kg을 첨가 혼합하여 170℃ 온도의 성형롤러를 통과시켜 두께 50mm, 가로 2400mm, 세로 1200mm 크기의 시트를 제조하였다.
이와 같이 제조된 시트는 겉보기 밀도 0.002~0.500g/㎤의 밀도를 가진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 또는 이들을 혼합성형하여서 된 시트를 분쇄하여 분쇄된 입자에 열가소성수지나 수산화마그네슘 등의 난연재를 첨가 하여 시트를 성형한 것으로서, 겉보기 밀도가 0.002~0.500g/㎤로 그대로 유지되었으며, 또, 입자들이 서로 엉켜 소정의 두께로 결합 구성됨에 따라 휨 강도 등이 매우 뛰어남은 물론, 다공질로 되어 있어 흡음, 재진, 방음, 단열효과가 매우 뛰어났다.
또한 위와 같이 제조된 시트표면에 규산나트륨 등의 내화재를 도포하거나 함침시키면, 난연성 및 내화성이 뛰어나게 되어 화재에도 매우 강한 특징을 갖게되며, 따라서 종래 센드위치 판넬 단열재인 유리섬유와 연질우레탄, 발포 폴리스티렌을 대신할 수 있는 우수한 단열제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가연성이 있는 가교 또는 무가교 폴리에틸렌(PE) 및 폴레프로필렌 또는 상기 두 재질을 혼합발포하여서 된 발포체를 3~10mm의 크기의 입자로 분쇄하여 여기에 열, 또는 접착제 등을 가하여 소정두께의 시트로 성형함으로서 강도가 뛰어나고, 통기성이 양호하여 제진, 흡음의 효과가 극대화됨은 물론, 상기 시트에 내화재 또는 난연재를 도포 또는 함침시킴으로서 난연성이 극대화되는 등의 특징이 있는 건축용 다공성 시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게 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4)

  1. 가연성이 있는 가교 및 무가교 폴레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PP) 또는 상기 두 재료를 혼합발포하여서 된 통상의 발포체를 3~10mm의 크기로 분쇄하여 입자화시키고, 이를 120~150℃의 열프레스에서 가압성형하거나, 150~200℃의 열풍 또는 히터가 장착된 성형롤러로 성형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다공성 시트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입자에 입자중량 기준으로 핫멜트(hat melt)를 비롯한 열가소성수지 20~30중량%를 더 첨가 혼합하여 제조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다공성시트의 제조방법.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입자의 중량을 기준으로 난연재인 수산화마그네슘을 5~15중량% 더 첨가하여 제조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다공성 시트의 제조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제조된 다공성시트 표면에 규산나트륨을 진공함침시키거나 도포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다공성 시트의 제조방법.
KR1020040042592A 2004-06-10 2004-06-10 건축용 다공성 시트의 제조방법 KR1005961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2592A KR100596192B1 (ko) 2004-06-10 2004-06-10 건축용 다공성 시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2592A KR100596192B1 (ko) 2004-06-10 2004-06-10 건축용 다공성 시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7315A KR20050117315A (ko) 2005-12-14
KR100596192B1 true KR100596192B1 (ko) 2006-07-03

Family

ID=372907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2592A KR100596192B1 (ko) 2004-06-10 2004-06-10 건축용 다공성 시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9619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5687B1 (ko) 2011-07-20 2013-05-20 소병춘 다공성 탄성매트의 제조방법
KR101265688B1 (ko) 2013-02-21 2013-05-20 소병춘 다공성 탄성매트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6812B1 (ko) * 2007-01-16 2008-07-16 문수창 난연발포플라스틱시트의 제조방법 및난연발포플라스틱시트를 내부심재로 구성한 금속복합패널의제조방법
KR100903208B1 (ko) * 2008-08-05 2009-06-18 (주)아해 오픈셀과 클로즈셀의 3중층 바탕조정 시트 및 다공성재질을 이용한 폴리우레탄 단열 복합 방수 구조체 및 그시공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5687B1 (ko) 2011-07-20 2013-05-20 소병춘 다공성 탄성매트의 제조방법
KR101265688B1 (ko) 2013-02-21 2013-05-20 소병춘 다공성 탄성매트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7315A (ko) 2005-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10200B2 (en) Multilayer foam composite element with recesses
US20050158536A1 (en) Molded body of thermoplastic resin having sound absorption characteristics
US20110263174A1 (en) Novel composite materials, method for their production and their use for the flooring sector
KR101277018B1 (ko) 건축물에 있어서의 칸막이벽 구조
KR100596192B1 (ko) 건축용 다공성 시트의 제조방법
BE1025811B1 (nl) Isolatiepanelen en de productie daarvan
EP2530113B1 (de) Verbundschaumstoff, wärmedämmelement aus verbundschaumstoff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verbundschaumstoffs
RU2016123057A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многослойного формованного изделия, а также многослойное формованное изделие для теплоизоляции зданий
RU2709844C2 (ru) Прокладка для изоляции ударных шумов на основе древесно-синтетического композитного материала
JP4906318B2 (ja) 独立気泡型ガラス発泡体からなる低周波用吸音材
Sharma et al. Polyurethane foams as packing and insulating materials
KR100612589B1 (ko) 흡차음재 및 그 제조방법
JP2008303593A (ja) 畳構成部材およびこれを用いた薄畳
KR20190119687A (ko) 난연성 및 차음성이 우수한 샌드위치 패널
KR100939035B1 (ko) 이형소재를 혼합성형하여 얻어지는 판재와 그 제조방법
KR100368783B1 (ko) 흡음성을 갖는 열가소성 수지 성형체
JP3822050B2 (ja) 発泡体の製造方法
JP7220612B2 (ja) 畳用芯材
EP2657280A1 (de) Mineralstoffpartikel enthaltender Polyurethan-Verbundwerkstoff
KR102118390B1 (ko) 난연 및 단열성이 개선된 스티로폼
JPH04266942A (ja) 多孔質材及び吸音パネル
KR200330933Y1 (ko) 내부마감재용 패널
KR101810775B1 (ko) 층간소음 저감용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발포 패드용 조성물 및 발포 패드
JP2004330534A (ja) タイルカーペットをリサイクルした成形吸音材
KR101916036B1 (ko) 폴리에스테르 수지 발포체를 포함하는 칸막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7

Year of fee payment: 11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5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6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