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0775B1 - 층간소음 저감용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발포 패드용 조성물 및 발포 패드 - Google Patents

층간소음 저감용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발포 패드용 조성물 및 발포 패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0775B1
KR101810775B1 KR1020160063388A KR20160063388A KR101810775B1 KR 101810775 B1 KR101810775 B1 KR 101810775B1 KR 1020160063388 A KR1020160063388 A KR 1020160063388A KR 20160063388 A KR20160063388 A KR 20160063388A KR 101810775 B1 KR101810775 B1 KR 1018107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eva
composition
vinyl acetate
foam p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33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32478A (ko
Inventor
이주호
이준서
안장호
김경훈
이동훈
정선영
정갑철
주광회
Original Assignee
롯데건설 주식회사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주식회사 에스아이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롯데건설 주식회사,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주식회사 에스아이판 filed Critical 롯데건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633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0775B1/ko
Publication of KR201701324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24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07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07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46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containing other atoms than carbon or hydrogen atoms
    • C08L23/0853Vinylacet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11/00Recovery or working-up of waste materials
    • C08J11/04Recovery or working-up of waste materials of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4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4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 C08J9/06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by a chemical blowing agent
    • C08J9/1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by a chemical blowing agent developing nitrogen, the blowing agent being a compound containing a nitrogen-to-nitrogen bond
    • C08J9/102Azo-compounds
    • C08J9/103Azodicarbonam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33Agglomerating foam fragments, e.g. waste foam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11/00Use of ingredients of unknown constitution, e.g. undefined reaction products
    • C08K11/005Waste materials, e.g. treated or untreated sewage sludg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4Acids; Salts thereof
    • C08K3/26Carbonates; Bi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3/346Clay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0Esters; Ether-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4Acids; Salts thereof
    • C08K3/26Carbonates; Bicarbonates
    • C08K2003/265Calcium, strontium or barium carbona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20/00Technologies relating to chemical industry
    • Y02P20/141Feedstock
    • Y02P20/143Feedstock the feedstock being recycled material, e.g. plastic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Manufacture Of Porous Articles, And Recovery And Treatment Of Waste Products (AREA)

Abstract

층간소음 저감용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발포 패드용 조성물에 있어서, EVA를 주재료 성분으로 하되, 재단하고 남은 스크랍의 양이 약 20~25% 정도 되는데, 이를 압출 가공한 재료를 지속적으로 첨가할 수 있도록 대략 해당 중량범위를 첨가하여 기존의 작업공정으로 생산하도록 하고, 주요 용도인 층간소음 저감재의 물성범위를 유지하고 완충성능이 우수한 제품을 제조하여, 아파트 등 공동주택의 층간소음 저감재로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EVA 발포 패드 조성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층간소음 저감용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발포 패드용 조성물 및 발포 패드{EVA FOAMED PAD COMPOSITION FOR REDUCING FLOOR IMPACT SOUND AND FOAMED PAD}
본 발명은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발포 패드용 조성물 및 발포 패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아파트 층간소음 저감용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발포 패드용 조성물 및 발포 패드에 관한 것이다.
아파트 등 공동주택에서 발생하는 층간소음을 저감하기 위한 완충재로서 종래 EVA(Ethylene Vinyl Acetate)를 주재료 성분으로 하고 LDPE(Low Density Polyethylene)를 보조재료 성분으로 한 조성물을 발포체로 만든 "EVA 패드"가 사용되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03-0078135호에는 EVA를 이용한 조성물의 일예가 개시되어 있다.
종래 EVA 패드용 조성물에서 주재료가 되는 EVA와 보조재료인 LDPE를 원재료로 하여 필러, 발포제 및 가교제에 가공제 등을 배합하여 니다기에서 1차 믹싱한 후 오픈 롤(open roll)에서 2차 믹싱하고 시팅 롤(sheeting roll)에서 시트를 만든 다음, 가압발포 프레스에서 발포하여 EVA 발포 패드 원판을 생산하였고, 원판을 일정한 규격으로 재단하여 제품으로 사용하였는데, 재단하고 남은 부분(스크랍)은 대부분 폐기 처리되고 있으며, 비율로 보면 대략 20~25% 정도가 되기 때문에 처리비용과 처리방법에 상당한 애로가 되고 있다.
한편, 아파트 등 공동주택의 건축물에서 발생되는 층간소음을 저감하기 위한 완충구조 및 완충재로서 종래에는 탄성을 가진 재료로서 방진고무류, EVA(Ethylene Vinyl Acetate) 발포 패드류, PE(Poly Ethylene) 발포 패드류, EPS(Polystyrene; 스치로폼) 등 다양한 재료들을 평판 상태 또는 평판몸통과 몸통의 하부에 돌기 또는 요철을 가진 완충재를 사용하여 건축물의 바닥 슬래브 위에 시공하고 그 위에 경량 기포콘크리트를 타설하고 다시 그 위에 난방배관을 설치하고 그 위에 마감몰탈을 시공하고 그 위에 마루, 장판, 타일, 데코타일 등으로 마무리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데, 이를 자세히 살펴보면 대부분의 구조를 이루는 완충재 패드는 상하가 평판이거나 하부에 돌기 또는 요철을 가지는 구조이며, 돌기의 끝부분도 주로 융기상태이므로 평면으로 상부의 압력을 견딜 수 있는 구조적인 안정성이 부족하며, 주로 탄성을 부여하여 동탄성을 가지도록 한 구조이기 때문에 시간이 지나면서 점점 찌그러져 처음에 설계된 완충성능이 갈수록 나빠지게 되므로 실제 시공한 현장측정에서의 성능이 떨어지는 원인이 된다.
구체적으로, 먼저 현재까지의 구조 중 성능이 비교적 양호한 EPS(Polystyrene; 스치로폼)는 상부와 하부가 평판(도 1(a) 참조)으로 발포배율이 용적비로 50~80배 정도 되며, 두께 60cm 이상의 BM으로 생산하여 이를 압축프레스에서 수 차례 압축과 회복을 반복하여 플라스틱이 가지는 압축에서의 1차 항복점을 소멸시켜서 탄성을 부여한 제품으로, 원하는 두께를 열선으로 가공한 다음 상부면에 부직포 등을 부착하여 건축물의 슬래브 위에 시공하는데, 압축과 회복을 수 차례 거치면서 얻어지는 1차 항복점 소멸은 일정부분 스프링 정수를 가지게 되어 원하는 동탄성을 부여하고 완충성능을 가진다. 그러나 외관상 평판이라는 한계에서 오는 구조와 물성이 실제 건축물에 시공하였을 때 완충저감 효과가 상당부분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난다.
다음으로, 완충재 상부는 평판이고 하부에 요철이 있는 구조(도 1(b) 참조)로서 EPS가 있으며, 스래트 모양의 긴 요철을 하부에 두어 완충성능을 가지도록 한 구조로서 평판형에 비하여 완충성능은 개선되나 침하의 우려가 크기 때문에 사용을 기피하고 있으며, 실제 침하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요철이 거의 없어지는 단계까지 진행되는 경우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EVA 발포 패드류로 상부는 평판이고 몸통의 아래쪽에 돌기가 있는 구조(도 1(c) 및 도 1(d) 참조)로, 기존의 신발바닥의 중창부분 발포 스폰지를 완충재로 개발 응용한 것으로서, 완충성능에서는 그다지 우수한 등급을 취득한 사례가 없다. 이는 구조상의 문제로 재료의 물성을 충분히 완충성능으로 이용할 수 있는 구조와 물성을 아직까지 개발하지 못하였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층간소음 저감용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발포 패드용 조성물에 있어서, EVA를 주재료 성분으로 하되, 재단하고 남은 스크랍의 양이 약 20~25% 정도 되는데, 이를 압출 가공한 재료(이하, 'RC 수지'라고도 함)를 지속적으로 첨가할 수 있도록 대략 해당 중량범위를 첨가하여 기존의 작업공정으로 생산하도록 하고, 주요 용도인 층간소음 저감재의 물성범위를 유지하고 완충성능이 우수한 제품을 제조하여, 아파트 등 공동주택의 층간소음 저감재로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EVA 발포 패드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발포 패드 구조의 성능 저하의 근본 원인인 상부가 평판이면서 하부가 돌기구조를 갖거나 상부와 하부가 평판인 완충재 구조를 상부와 하부에 돌기를 가지되 찌그러짐을 방지할 수 있는 완충재 패드로서 법적인 물성기준에 만족하며 완충성능이 우수한 형상의 EVA 발포 패드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층간소음 저감용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발포 패드용 조성물에 있어서, 비닐아세테이트 함량이 20~35중량%인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8~16중량%; 비닐아세테이트 함량이 5~20중량%인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31~51중량%; 상기 조성물을 믹싱, 발포 및 재단 후 남은 스크랍 13~23중량%; 필러 13~25중량%; 및 발포제 1~10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소음 저감용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발포 패드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필러는 칼슘카보네이트 13~19중량% 및 클레이 0~6중량%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소음 저감용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발포 패드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발포제는 아조디카본아미드(azodicarbonamid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소음 저감용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발포 패드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첨가제로 산화아연 0.5~5중량%; 스테아릭산 0.5~5중량%; 및 디큐밀퍼옥사이드 0.1~3중량%;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소음 저감용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발포 패드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또 다른 과제 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로 제조된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발포 패드로서, 상기 패드 상부 및 하부에 평판형 돌기가 형성된 층간소음 저감용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발포 패드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평판형 돌기의 평판 부분 넓이의 합은 상기 패드 면적의 20~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소음 저감용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발포 패드를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발포체로 제작되어 완충재를 제작하였을 때, 아파트 등 공동주택의 층간소음 저감효과가 뛰어나고, 가열치수 변화 물성이 향상되고, 폐기하는데 발생하는 비용을 압출로 재활용하는 생산비용으로 전환하여 자원을 절약하는 효과가 있고, 이러한 우수한 층간소음 저감효과는 건설기술연구원 인정등급 경량 1등급 및 중량 1등급을 인정(구조명 ECO-BH602-210)받음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효과가 확인되었다.
또한 패드 상부 및 하부에 평판형 돌기가 최적 면적 비율로 형성되어 상부층에서 전달되는 층간 충격소음을 단열재를 거쳐 EVA 발포 패드 상부층의 평판요철에서 1차 음압을 흡수함과 동시에 충격진동을 감쇠시키고, 다시 몸통부분에서 충격진동을 저감시키며, 다음 EVA 발포 패드 하부의 평판 돌기에서 2차 음압을 흡수함과 동시에 충격진동을 감쇠시킴으로서, 탁월한 층간 충격소음 저감성능을 가짐과 동시에 구조적인 안정성으로 완충성능이 오랜 시간 지속되는 구조의 층간소음 저감용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발포 패드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발포 패드의 구조를 설명하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발포 패드의 평면 및 단면(a)과, 발포 패드가 시공된 완충구조의 단면(b)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층간소음 저감용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발포 패드용 조성물에 있어서, 비닐아세테이트 함량이 20~35중량%인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8~16중량%; 비닐아세테이트 함량이 5~20중량%인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31~51중량%; 상기 조성물을 믹싱, 발포 및 재단 후 남은 스크랍 13~23중량%; 필러 13~25중량%; 및 발포제 1~10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소음 저감용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발포 패드용 조성물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발포 패드용 조성물은 EVA를 주재료 성분으로 하되, 일정부분을 RC 수지로 대체하여 EVA 발포 패드를 생산할 수 있도록, 즉 EVA 발포 패드 재단 후 남은 부분인 제품 중량의 대략 20~25%중량인 스크랍을 압출 가공하여 원재료의 일부로 사용할 수 있는 압출가공 조건을 만족하는 조성을 구비함으로써, RC 수지를 일정범위로 포함하는 지속가능한 조성물을 공급하여 폐기비용 없이도 우수한 층간소음 저감효과를 갖는 층간소음 저감재인 EVA 발포 패드 제품을 생산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조성물을 믹싱, 발포 및 재단 후 남은 스크랍(RC 수지)은 EVA 발포 패드를 재단하고 남은 부분으로서, 파쇄기에서 파쇄하거나 바로 1차 압출기에 투입하는데 이때 압출기의 온도는 180±20℃ 정도가 바람직하며, 압출기에서 나온 분말을 2차 압출기에서 펠렛 타입으로 캇팅한 다음 냉각라인을 통하여 포대로 이송된 후 포장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RC 수지는 13~23중량% 범위에서 EVA 발포 패드 재단 후 남은 부분의 실제 양에 따라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될 수 있다. 즉 RC 수지를 13중량% 미만으로 사용할 경우 RC 수지의 활용도가 떨어지고, 23중량%를 초과하여 사용할 경우 지속가능한 공급량에 문제된다.
주재료인 EVA에 있어, 본 발명에서는 상기 스크랍의 활용으로 인해 비닐아세테이트(VA) 함량이 서로 다른 2종의 EVA가 사용된다. 이를 위해 VA 함량이 상대적 높은 EVA와 VA 함량이 상대적 낮은 EVA를 최적 함량 범위로 사용하는데, VA 함량이 20~35중량%인 EVA를 8~16중량% 사용하고, VA 함량이 5~20중량%인 EVA를 31~51중량% 사용할 때 최종 발포 패드로 적용 시 목적하고자 하는 성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VA 함량이 20~35중량%인 EVA를 10~14중량% 사용하고, VA 함량이 5~20중량%인 EVA를 36~46중량% 사용할 수 있다. EVA 중 VA 함량이 높은 재료를 8중량% 미만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작업성과 발포 시 퍼짐성이 저하되며, 16중량%를 초과하여 사용할 경우에는 가열치수 안정성이 저해된다. 또한 EVA 중 VA 함량이 낮은 재료는 중심적인 재로로서, 31중량% 미만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전체적인 중심이 흔들리고, 51중량%를 초과하여 사용할 경우에는 보조재료의 첨가량이 저해된다.
본 발명에 따른 EVA 발포 패드용 조성물에서 상기 필러는 13~25중량%로 함유되고, 바람직하게는 15~23중량%로 함유되며, 발포 패드 제조에 통상 사용되는 필러가 사용될 수도 있으나, 본 발명에서 RC 수지의 사용으로 인해 상기 필러로는 칼슘카보네이트(CaCO3) 및 클레이(Clay) 중에서 선택된 하나 또는 이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필러로서 칼슘카보네이트를 사용하는 경우 13~19중량% 함량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필러로서 클레이를 사용하는 경우 6중량% 이하 함량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프레스에서 발포작업을 계속하게 될 경우 몰드에 달라붙는 성질이 있어 장기 사용할 경우 발포제품에 흠결이 생길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발포제로는 발포 패드 제조에 통상 사용되는 유기 발포제가 사용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 RC 수지와 2종의 EVA를 사용함으로 인해 상기 발포제로는 아조디카본아미드(azodicarbonamide; AC)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술한 성분과의 조합을 통한 목적하는 성능 구현을 위해 1~10중량% 함량으로 사용되고, 바람직하게는 3~7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4.4~6.4중량% 함량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발포제 함량이 1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층간소음 저감을 좌우하는 동탄성이 한계를 벗어나고, 10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발포의 한계점으로 제품의 품질이 저하된다.
본 발명에 따른 EVA 발포 패드용 조성물은 층간소음 저감효과의 극대화와 함께 제품의 안정성, 공정 효율 향상 등을 위한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산화아연(ZnO) 0.5~5중량%,스테아릭산(Stearic acid) 0.5~5중량% 및 가교제로서 디큐밀퍼옥사이드(Dicumylperoxide; DCP) 0.1~3중량%가 더 포함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산화아연 1.2~2.2중량%, 스테아릭산 1.2~2.2중량% 및 디큐밀퍼옥사이드 0.45~65중량%;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분산제(예컨대 908B)가 0.1~2중량%, 바람직하게는 0.55~0.75중량% 범위에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EVA 발포 패드용 조성물에서 상기 산화아연 함량이 0.5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발포의 분해속도를 떨어뜨리고 가교시간을 지연시킬 수 있고, 5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가교보다 발포가 빠르기 때문에 제품의 형태가 바르지 못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EVA 발포 패드용 조성물에서 상기 스테아릭산 함량이 0.5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믹싱롤 작업 시 달라붙는 원인이 되고 발포 시 퍼짐성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될 수 있고, 5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발포 시에 찢어지는 원인이 되고 발포형태가 바르지 못한 원인이 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EVA 발포 패드용 조성물에서 상기 가교제(DCP) 함량이 0.1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가교효율이 낮아져 수축이 발생하고 제품 안정성이 저하될 수 있고, 3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가교가 초과하여 발포율이 떨어지고 발포 시 터짐이 발생하는 원인이 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EVA 발포 패드용 조성물에서 상기 분산제는 믹싱 작업 시 믹싱물의 분산을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함유되는 것으로, 그 함량이 0.1중량% 이상은 되어야 기본적인 효과가 있고, 2중량%를 초과하는 것은 함량 대비 효율이 좋지 않다.
본 발명에 따른 EVA 발포 패드용 조성물은 상기 열거한 구성성분에 대하여 EVA 발포 패드의 제조공정, 즉, 니다기에서 1차 믹싱한 후 오픈 롤(open roll)에서 2차 믹싱하고 시팅 롤(sheeting roll)에서 시트를 만든 다음, 가압히팅발포 프레스에서 발포하여 EVA 발포 패드 원판을 생산하고, 이를 적절한 규격으로 재단하여 아파트 등 공동주택의 층간소음 저감을 위한 목적으로 시공되어 사용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로 제조된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발포 패드로서, 상기 패드 상부 및 하부에 평판형 돌기가 형성된 층간소음 저감용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발포 패드를 개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발포 패드의 평면 및 단면(a)과, 발포 패드가 시공된 완충구조의 단면(b)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발포 패드(100) 구조는 종래 발포 패드 구조의 성능 저하의 근본 원인인 상부와 하부가 평판인 완충재 구조를 상부와 하부에 평판형 돌기(110, 120)를 가지되 찌그러짐을 방지할 수 있는 최소 돌기 면적과 경도를 확인하고 완충재 패드로서 법적인 물성기준에 만족하며, 완충성능이 우수한 상부와 하부에 평판형 돌기(110, 120)를 가진 EVA 발포 패드를 제조하여 아파트 및 공동주택의 층간 바닥기초인 슬래브(200) 위에 시공하고 그 위에 단열재(발포 폴리스치렌 또는 네오폴(단열과 탄성이 보강된 발포 폴리스치렌))(300)를 시공하고 그 위에 난방배관(400)을 시공하고 그 위에 마감 몰탈(500)을 시공하고 그위에 바닥마감재(마루판, 데코타일 장판 등)(600)로 조성된 구조로 시공되어, 상부층에서 전달되는 층간 충격소음을 단열재(300)를 거쳐 EVA 발포 상부층의 평판요철(110)에서 1차 음압을 흡수함과 동시에 충격진동을 감쇠시키고, 다시 몸통부분에서 충격진동을 저감시키며, 다음 EVA 발포 패드 하부의 평판 돌기(120)에서 2차 음압을 흡수함과 동시에 충격진동을 감쇠시킴으로서 탁월한 층간 충격소음 저감성능을 가짐과 동시에 구조적인 안정성으로 완충성능이 오랜 시간 지속되는 구조이다.
여기서, 상기 발포 패드(100)의 평면 돌기(110, 120)의 형태는 원형, 사각, 삼각, 벌집모양 등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평판형 돌기 각각의 크기에 상관없이 돌기의 면적합계가 패드 전체 면적의 20~50%의 범위일 경우 탁월한 층간 충격소음 저감성능을 가짐과 동시에 구조적인 안정성으로 완충성능을 오랜 시간 지속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를 들어 설명한다.
실시예
하기 표 1에 나타낸 구성성분에 대하여 니다기에서 1차 믹싱한 후 오픈 롤(open roll)에서 2차 믹싱하고 시팅 롤(sheeting roll)에서 시트를 만든 다음, 가압히팅발포 프레스에서 발포하여 EVA 발포 패드 원판을 생산하고, 이를 일정한 규격으로 재단하여 EVA 발포 패드를 제조하였다.
Figure 112016049763695-pat00001
시험예 1: 가열치수 안정성
상기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EVA 발포 패드와 시판중인 EVA 발포 패드(RC 수지 미사용)에 대하여 KS M ISO 2796에 의거 가열치수 변화율을 측정(150℃, 1시간)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시험은 각 발포 패드에 대하여 동일한 조건에서 4회 반복하여 수행되었다.
Figure 112016049763695-pat00002
표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EVA 발포 패드용 조성물을 사용할 경우 RC 수지를 사용했음에도 불구하고 기존 시판 제품에 비해 우수한 가열치수 안정성을 구현함을 확인할 수 있다.
시험예 2: 바닥충격음 차단구조의 성능
상기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EVA 발포 패드가 적용된 완충구조를 도 2(b)와 같이 시공하고, 한국건설기술연구원에 의뢰하여 바닥충격음 차단구조(구조명: ECO-BH602-210)의 성능을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6049763695-pat00003
표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EVA 발포 패드용 조성물을 사용하여 제조된 발포 패드를 바닥충격음 차단구조에 적용할 경우 우수한 층간소음 저감효과를 구현함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범위 및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EVA 발포 패드 110: 상부 돌기
120: 하부 돌기 200: 슬래브
300: 단열재 400: 난방배관
500: 마감 몰탈 600: 바닥마감재

Claims (6)

  1. 층간소음 저감용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발포 패드용 조성물로 제조된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발포 패드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비닐아세테이트 함량이 20~35중량%인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8~14중량%;
    비닐아세테이트 함량이 5~20중량%인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36~51중량%;
    상기 조성물을 믹싱, 발포 및 재단 후 남은 스크랍 13~23중량%;
    필러 13~25중량%; 및
    발포제 1~10중량%;
    를 포함하되,
    상기 필러는 칼슘카보네이트 13~19중량% 및 클레이 0~6중량%로 이루어지고,
    상기 발포제는 아조디카본아미드(azodicarbonamide)이며,
    상기 조성물은 첨가제로 산화아연 0.5~5중량%; 스테아릭산 0.5~5중량%; 및 디큐밀퍼옥사이드 0.1~3중량%;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패드 상부 및 하부에 평판형 돌기가 형성되되,
    상기 평판형 돌기의 평판 부분 넓이의 합은 상기 패드 면적의 20~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소음 저감용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발포 패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60063388A 2016-05-24 2016-05-24 층간소음 저감용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발포 패드용 조성물 및 발포 패드 KR1018107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3388A KR101810775B1 (ko) 2016-05-24 2016-05-24 층간소음 저감용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발포 패드용 조성물 및 발포 패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3388A KR101810775B1 (ko) 2016-05-24 2016-05-24 층간소음 저감용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발포 패드용 조성물 및 발포 패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2478A KR20170132478A (ko) 2017-12-04
KR101810775B1 true KR101810775B1 (ko) 2017-12-20

Family

ID=609212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3388A KR101810775B1 (ko) 2016-05-24 2016-05-24 층간소음 저감용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발포 패드용 조성물 및 발포 패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077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7400B1 (ko) * 2018-10-24 2020-04-06 삼덕통상 주식회사 신발 중창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신발 중창의 제조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15791A (ja) * 1999-10-18 2001-04-24 Fujimori Kogyo Co Ltd トンネル用防水シート
KR101206348B1 (ko) * 2010-11-25 2012-11-29 (주)퓨쳐테크 내열수축특성이 우수한 발포체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2014047609A (ja) * 2012-09-04 2014-03-17 Nanao Kogyo Kk 遮音床構造及び床衝撃音の低減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15791A (ja) * 1999-10-18 2001-04-24 Fujimori Kogyo Co Ltd トンネル用防水シート
KR101206348B1 (ko) * 2010-11-25 2012-11-29 (주)퓨쳐테크 내열수축특성이 우수한 발포체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2014047609A (ja) * 2012-09-04 2014-03-17 Nanao Kogyo Kk 遮音床構造及び床衝撃音の低減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2478A (ko) 2017-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181741B (zh) 发泡聚烯烃珠粒的制备方法、发泡聚烯烃板材及其应用
KR101765337B1 (ko) 층간소음방지용 완충재 제조방법
KR20130117642A (ko) 섬유질 교화성 석고 조성물
KR101810775B1 (ko) 층간소음 저감용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발포 패드용 조성물 및 발포 패드
KR100730542B1 (ko) 3중 구조의 건물 바닥용 방음판과 그 제조방법
KR100750628B1 (ko) 차음성이 우수한 건축용 소음차단재
KR100773106B1 (ko) 건물의 층간소음방지를 위한 바닥용 완충재, 이의 제조방법및 이를 이용한 바닥층 형성방법
CN104831860B (zh) 一种活动板房墙板
KR101941561B1 (ko) 층간 소음 완충재의 제조 방법
KR101361749B1 (ko)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복합 발포층 및 폴리우레탄 발포층을 포함하는 층간 차음재
KR101626470B1 (ko) 비발포체형 소음 저감재 및 이를 포함하는 바닥구조
KR100877198B1 (ko) 콜크를 이용한 경량성 흡차음 댐핑 발포 시트 및 제조방법
CN109093882A (zh) 一种隔音减震垫及其制备方法
KR101624963B1 (ko) 층간소음 방지를 위한 바닥 차음구조 및 그 시공방법
TW201924895A (zh) 制震墊的製備方法及制震墊
CN106836719A (zh) 石化木防水复合地板
KR100809450B1 (ko) 폐타이어 개질고무와 액상고무 혼합액을 이용한 탄성eps 층간 완충재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394242B1 (ko) 층간 소음 방지를 위한 차음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층간 차음재
KR100729234B1 (ko) 바닥충격음 차단용 수지 조성물
TWI733396B (zh) 吸音緩衝墊及其製法
KR101837501B1 (ko) 폴리에스테르 수지 발포체를 포함하는 층간 차음재
KR100523348B1 (ko) 스티로폼칩으로 이루어진 단열방진재와 그 제조 방법
KR100459677B1 (ko) 층간 충격음 방진 판넬 및 그 제조방법
KR200330114Y1 (ko) 흡음 및 치수안정성이 우수한 목질 판재
KR101046796B1 (ko) 기포층을 가진 건물의 층간 진동소음 차단판 성형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