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5337B1 - 층간소음방지용 완충재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층간소음방지용 완충재 제조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5337B1
KR101765337B1 KR1020170028028A KR20170028028A KR101765337B1 KR 101765337 B1 KR101765337 B1 KR 101765337B1 KR 1020170028028 A KR1020170028028 A KR 1020170028028A KR 20170028028 A KR20170028028 A KR 20170028028A KR 101765337 B1 KR101765337 B1 KR 1017653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rubber
powder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80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진호
Original Assignee
문진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진호 filed Critical 문진호
Priority to KR10201700280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53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53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53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7/00Use of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shape
    • C08K7/22Expanded, porous or hollow particles
    • C08K7/24Expanded, porous or hollow particles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7/00Use of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shape
    • C08K7/02Fibres or whisk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9/00Use of pretreated ingredients
    • C08K9/04Ingredients treated with organic substances
    • C08K9/06Ingredients treated with organic substances with 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rub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3/00Compositions of epoxy resin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epoxy res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5/00Compositions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5/04Polyurethan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20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for sound insulation
    • E04F15/203Separately-laid layers for sound insu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E04F2290/041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noise
    • E04F2290/043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noise with a bottom layer for sound insul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층간소음방지용 완충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동탄성계수, 손실계수, 인장강도 및 신율 등의 물성은 물론, 흡음률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층간소음방지용 완충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층간소음방지용 완충재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cushioning material for interlayer noise}
본 발명은 층간소음방지용 완충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동탄성계수, 손실계수, 인장강도 및 신율 등의 물성은 물론, 흡음률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층간소음방지용 완충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우리 나라 전체 가구수의 50% 이상이 공동주택의 주거 형태 하에서 생활하고 있으나, 이들 공동주택의 주거민들 대부분 층간소음에 가장 불만족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볼 때, 이에 대한 법적 제도적은 물론 건설현장에서의 개선책도 절실히 필요한 실정이다.
우리 나라 공동주택은 통상 두께가 120 ~ 200 mm의 콘크리트로 이루어진 벽체 및 바닥이 서로 연결되어 하나의 건물구조체로 구성되는 벽식구조가 대부분이다. 이러한 콘크리트 구조는 재료의 특성상 강성이 있기 때문에 말소리, TV 소음 등 공기를 매체로 전달되는 공기 전달음에 대해서는 충분한 차단성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콘크리트 면에 충격이 가해질 때 발생되는 고체 전달음의 경우 콘크리트는 자체 진동 감쇄능력이 매우 작기 때문에 인접 세대로 쉽게 전달되는 특성을 갖고 있다. 공동주택에서의 이러한 고체 전달음은 위층에서 뛰는 소리, 걷는 소리, 물건을 떨어뜨리는 소리, 문을 여닫는 소리, 망치 소리, 급배수관, 화장실 하수관 등에서 발생하는 바닥 충격음이 있으며, 이러한 계통의 소음은 소음방해 및 집중력 저하를 일으켜 심각한 사회문제가 되고 있다.
한편, 종래에 층간 소음차단을 위한 바닥구조는, 콘크리트 슬래브와 경량기포콘크리트사이에 폴리에스테르와 같은 완충재를 구성하여 바닥충격음을 차단하고 있으나 완충재가 바닥표면에서 멀리 떨어져 있어서 바닥충격음을 일차적으로 직접 차단하기 못하고, 기포경량콘크리트까지 전달된 후에 차음하기 때문에 차음효율은 물론 시공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공법들은 슬라브 위에 자갈 등을 깔고 그 위에 시멘트를 타설하는 등 4단계 내지 5단계의 공정을 거쳐 시멘트를 경화시키고, 그 위에 완충재 등 층간 소음을 줄이기 위해 별도의 탄성매트 등을 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나, 역시 많은 공정등을 거치는 관계로 시공에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요되며, 그에 따라 인건비 등이 추가되어 시공비가 많이 들어가는 등의 단점이 있다.
이와 같은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5-0113048에서는 아파트나 사무실 등과 같이 다층으로 이루어지며, 각 층간의 소음의 전달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다공성 광물질, 폐타이어, 폐스티로폼, 폐종이, 시멘트 및 석고, 기포제, 유기바인더 등을 혼합하여 층간 소음의 완충효과는 물론이고, 환경친화적이고, 폐자원을 재생하여 환경오염을 막을 수 있는 건물의 층간소음방지를 위한 바닥용 완충조성물을 공개한 바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층간 소음차단용 완충조성물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폐타이어 기타 폐자재를 이용하여 조성물을 혼합함으로써, 조성물의 전체적인 중량이 증가하고, 폐타이어로 인하여 악취가 발생하며, 발암물질이 유포되고, 난방시에는 환경호르몬이 생성되며, 인체에 악영향을 주는 문제점이 있다.
바인더의 비중이 지나치게 많아지는 결과, 폐타이어, 폐스티로폼, 폐종이, 석고, 시멘트 등 혼합물의 클러스터링 현상이 발생하여 조성물의 유동성이 좋지 않아 작업성이 나쁘며, 아울러 균일한 밀도의 방음차단재를 제조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14252호에서는 입자의 평균직경이 수밀리미터 내지 십수밀리미터로 분쇄된 크기를 갖는 시멘트; 상기 시멘트를 보충하여 층간 차음효과를 개선하는 석고; 상기 시멘트와 석고를 결합하여 기계적 강도를 강화하는 바인더; 상기 바인더에 의해 응고된 시멘트와 석고의 결합력을 보충하고 내충격성을 강화하는 섬유 칩; 상기 섬유 칩의 내충격성을 더욱 보충하면서 단열성을 강화하는 이브이에이 칩; 상기 바인더를 용해하는 물; 을 포함하며, 상기 이브이에이 칩은,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를 0.5㎜ 내지 5㎜의 크기로 절단한 것으로서, 바인더 1 중량부에 대하여 30 중량부 내지는 50 중량부의 비율로 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소음차단용 완충조성물을 개시하고 있다.
다만, 상기 등록특허는 시멘트와, 석고를 주성분으로 하기 때문에 경량성이 현저히 저하되고, 탄성 제공 효과가 저감되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14252호 2.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5-0113048호 3.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02220호 4.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36031호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본 발명의 목적은 동탄성계수, 손실계수, 인장강도 및 신율 등의 물성은 물론, 흡음률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층간소음방지용 완충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층간소음방지용 완충재는 부타디엔 고무(butadiene rubber,BR), 우레탄(Polyurethane), 천연고무(NR), 스티렌-부타디엔 고무(SBR), 이소프렌 고무(IR), 니트릴 고무(NR), 이피디엠 고무(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EPDM) 고무 중에서 적어도 1종을 선택한 고무 분말 100중량부와; 패각을 분쇄 및 탄화시킨 제1다공성 분말 10~30중량부와; 질석, 코르크, 제올라이트, 퍼라이트, 실리케이트, 벤토나이트 중에서 적어도 1종을 선택한 제2다공성 분말 1~5중량부와; 폴리우레탄 바인더 15~30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층간소음방지용 완충재 제조방법은 부타디엔 고무(butadiene rubber,BR), 우레탄(Polyurethane), 천연고무(NR), 스티렌-부타디엔 고무(SBR), 이소프렌 고무(IR), 니트릴 고무(NR), 이피디엠 고무(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EPDM) 고무 중에서 적어도 1종을 선택하여 입도가 1~10mm인 고무 분말을 마련하는 단계와; 패각을 분쇄 및 탄화시켜 입도가 100~500㎛인 제1다공성 분말을 마련하는 단계와; 질석, 코르크, 제올라이트, 퍼라이트, 실리케이트, 벤토나이트 중에서 적어도 1종을 선택하여 입도가 1~50㎛인 제2다공성 분말을 마련하는 단계와; 폴리올 55~65중량부,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20~33중량부를 포함하는 폴리우레탄 바인더를 마련하는 단계와; 상기 고무 분말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제1다공성 분말 10~30중량부와, 제2다공성 분말 1~5중량부와, 폴리우레탄 바인더 15~30중량부를 혼합한 조성물을 마련하는 단계와; 상기 조성물을 시트 형상으로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층간소음방지용 완충재 제조방법에 있어서, 성형하는 단계는 성형기에 조성물을 넣고 60~100℃로 1~5시간 동안 가황하여 고형화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층간소음방지용 완충재 제조방법에 있어서, 제1다공성 분말은, 실란 커플링제인 bis[3-(triethoxysilylpropyl)]tetrasulfide(TESPT)로 개질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층간소음방지용 완충재 제조방법에 있어서, 폴리올은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폴리에테르 폴리올 또는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올 중 적어도 1종을 선택하는 것이고, 상기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은 방향족 디이소시아네이트, 지방족 디이소시아네이트 및 지환족 디이소시아네이트 중 적어도 1종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층간소음방지용 완충재 제조방법에 있어서, 조성물에는 상기 고무 분말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변성 에폭시 수지 1~5중량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변성 에폭시 수지는 스테아린산과 에폭시 수지를 1 : 5~10의 중량비로 혼합한 혼합물 100중량부에 실란 화합물 5~10중량부를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층간소음방지용 완충재 제조방법에 있어서, 조성물에는 금속 산화물 코팅액에 단섬유를 혼합한 섬유 분산조성물 1~10중량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금속 산화물 코팅액은 물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아크릴 수지 1~10중량부와, ATO(Antimony Tin Oxide), AZO(Al-doped ZnO) 및 ITO(Titanium Oxide), WO3(Tungsten trioxide)분말 중 적어도 1종이 선택되는 금속산화물 0.1~5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층간소음방지용 완충재 제조방법에 있어서, 아크릴 수지는, 물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Ethylene diamine(EDA) 1~5 중량부, ethyl acrylate monomer(EAM) 20~50 중량부와, 탄산칼슘 10~30중량부와, UV안정제 0.1~0.5 중량부와, 암모니아수 0.1~1중량부를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층간소음방지용 완충재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하면, 동탄성계수, 손실계수, 인장강도 및 신율 등의 물성은 물론, 흡음률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층간소음방지용 완충재 제조방법의 각 단계를 도시하는 공정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판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층간소음방지용 완충재 제조방법의 각 단계를 도시하는 공정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층간소음방지용 완충재 제조방법은 크게 고무 분말을 마련하는 S1단계와, 제1다공성 분말을 마련하는 S2단계와, 제2다공성 분말을 마련하는 S3단계와, 폴리우레탄 바인더를 마련하는 S4단계와, 고무 분말과, 제1다공성 분말과, 제2다공성 분말과, 폴리우레탄 바인더를 혼합한 조성물을 마련하는 S5단계와, 조성물을 시트 형상으로 성형하는 S6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S1단계의 고무 분말은 부타디엔 고무(butadiene rubber,BR), 우레탄(Polyurethane), 천연고무(NR), 스티렌-부타디엔 고무(SBR), 이소프렌 고무(IR), 니트릴 고무(NR), 이피디엠 고무(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EPDM) 고무 중에서 적어도 1종을 선택하는 것을 예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무 분말은 입도가 1~10mm인 것을 예시할 수 있다.
본 발명 S2단계의 제1다공성 분말은 패각을 분쇄 및 탄화시켜 기공성을 극대화시킨 것을 예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다공성 분말은 입도가 100~500㎛인 것을 예시할 수 있다.
또한, 제1다공성 분말은 실란 커플링제인 bis[3-(triethoxysilylpropyl)]tetrasulfide(TESPT)로 개질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 S3단계의 질석, 코르크, 제올라이트, 퍼라이트, 실리케이트, 벤토나이트 중에서 적어도 1종을 선택하는 것을 예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다공성 분말은 입도가 1~50㎛인 것을 예시할 수 있다.
여기서, 제1다공성 분말과, 제2다공성 분말을 첨가하는 이유는 충분한 경도를 가지도록 하기 위함이고, 제1다공성 분말과, 제2다공성 분말의 입도를 서로 다르게 한 이유는 충분한 강도를 가짐과 동시에 진동 흡수를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S4단계는 폴리올 55~65중량부,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20~33중량부를 포함하는 폴리우레탄 바인더를 마련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폴리올은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폴리에테르 폴리올 또는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올 중 적어도 1종을 선택하는 것을 예시할 수 있다.
상기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은 방향족 디이소시아네이트, 지방족 디이소시아네이트 및 지환족 디이소시아네이트 중 적어도 1종을 선택하는 것을 예시할 수 있다.
상기 폴리우레탄 바인더에는 2-HEMA(2-Hydroxyethyl Methacrylate) 5~10중량부, BPO(Benzoyl peroxyde) 0.01~0.1중량부, 흡습제 0.01~0.1중량부, UV 안정제 0.5~0.7중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S5단계는 고무 분말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제1다공성 분말 10~30중량부와, 제2다공성 분말 1~5중량부와, 폴리우레탄 바인더 15~30중량부를 혼합한 조성물을 마련하는 단계이다.
상기 조성물에는 상기 고무 분말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변성 에폭시 수지 1~5중량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변성 에폭시 수지는 스테아린산과 에폭시 수지를 1 : 5~10의 중량비로 혼합한 혼합물 100중량부에 실란 화합물 5~10중량부를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예시할 수 있다.
상기 실란 화합물은 glycidyloxypropyl trimethoxy silane, glycidoxypropyl triethoxy silane, glycidoxypropyl methyldiethoxy silane, glycidoxypropyl methyldimethoxy silane, 2-(3, 4-epoxycyclohexyl) ethyltrimethoxy silane, aminopropyl trimethoxy silane, aminopropyl triethoxy silane, aminoethyl aminopropyl trimethoxy silane, aminoethyl aminopropyl triethoxy silane, aminoethyl aminopropyl methyldimethoxy silane, phenyl aminopropyl trimethoxy silane, aminopropyl methyldimethoxy silane, aminopropyl methyldimethoxy silane, aminoethyl aminopropyl methyltriethoxy silane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선택되는 것을 예시할 수 있다.
상기 변성 에폭시 수지는 제1다공성 분말 및 제2다공성 분말에 대하여 접착 강도와 함께 흡음성을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조성물에는 금속 산화물 코팅액에 단섬유를 혼합한 섬유 분산조성물 1~10중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금속 산화물 코팅액은 물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아크릴 수지 1~10중량부와, ATO(Antimony Tin Oxide), AZO(Al-doped ZnO) 및 ITO(Titanium Oxide), WO3(Tungsten trioxide)분말 중 적어도 1종이 선택되는 금속산화물 0.1~5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예시할 수 있다.
상기 단섬유는 합성 섬유 또는 천연 섬유로 이루어지며, 1~5mm의 길이인 것을 예시할 수 있다.
일반 단섬유에 비해 섬유 분산조성물을 혼합하는 경우에는 금속산화물을 통해 전달된 진동을 단섬유에서 흡수하기 때문에 흡음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여기서, 상기 아크릴 수지는 물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Ethylene diamine(EDA) 1~5 중량부, ethyl acrylate monomer(EAM) 20~50 중량부와, 탄산칼슘 10~30중량부와, UV안정제 0.1~0.5 중량부와, 암모니아수 0.1~1중량부를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예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S5단계는 압출, 사출 등의 성형 방식을 통해 조성물을 시트 형상으로 성형하는 것을 예시할 수 있다.
또한, S5단계는 원통형 성형기에 조성물을 넣고 60~100℃로 1~5시간 동안 가황하여 고형화한 다음 냉각하고, 스카이빙 가공 장치를 이용하여 원통형의 고형물을 시트 형상으로 압착하여 성형하는 것을 예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S5단계는 현장에서 시공 바닥에 포설하여 경화시키는 방식으로 성형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층간소음방지용 완충재 제조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부타디엔 고무(butadiene rubber,BR)와, 천연고무(NR)가 1 : 0.5의 중량비로 혼합된 고무를 분쇄하여 평균 입도가 5mm인 고무 분말을 마련한다.
패각을 입도 200~300㎛로 분쇄한 다음, 소성로에서 850℃에서 20분 동안 탄화시킨 제1다공성 분말을 마련한 다음, bis[3-(triethoxysilylpropyl)]tetrasulfide(TESPT)에 혼합한 표면 개질된 제1다공성 분말을 마련한다.
입도가 20~30㎛인 칼슘실리케이트 분말을 마련한다.
폴리에테르 폴리올 65중량부와, 디이소시아네이트 30중량부와, 2-HEMA(2-Hydroxyethyl Methacrylate) 5중량부, BPO(Benzoyl peroxyde) 0.01중량부, 흡습제 0.01중량부, UV 안정제 0.5중량부를 혼합한 폴리우레탄 바인더를 마련한다.
스테아린산과 에폭시 수지를 1 : 6의 중량비로 혼합한 혼합물 100중량부에 2-(3, 4-epoxycyclohexyl) ethyltrimethoxy silane 5중량부를 혼합한 변성 에폭시 수지를 마련한다.
고무 분말 100중량부와, 제1다공성 분말 10중량부와, 제2다공성 분말 5중량부와, 폴리우레탄 바인더 20중량부와, 변성 에폭시 수지 3중량부를 혼합한 조성물을 마련하는 단계이다.
상기 조성물을 2mm 두께의 층간소음방지용 완충재를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 1의 조성물에 섬유 분산조성물 10중량부를 더 포함한 것을 제외하고 동일한 방법으로 층간소음방지용 완충재를 제조하였다.
여기서, 섬유 분산조성물은 금속 산화물 코팅액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폴리에스터 단섬유 3중량부를 혼합한 것이다. 그리고 금속 산화물 코팅액은 물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아크릴 수지 10중량부와, ITO(Titanium Oxide) 0.5중량부로 이루어진다.
[비교예 1]
위 실시예 1에서 고무 분말 100중량부와, 폴리우레탄 바인더 20중량부와, 제1다공성 분말 10중량부와, 제2다공성 분말 5중량부를 혼합한 조성물로 성형하되, 표면 개질되지 않은 제1다공성 분말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동일한 방법으로 층간소음방지용 완충재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위 실시예 1에서 고무 분말 100중량부와, 폴리우레탄 바인더 20중량부를 혼합한 조성물로 성형한 것을 제외하고 동일한 방법으로 층간소음방지용 완충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 2를 통해 제조된 층간소음방지용 완충재의 흡음률을 측정하여 아래 표 1에 나타내었다.
(단, 흡음률은 흡음률 평가방법인 ISO R 354, Alpha Cabin법으로 측정하여 나타내었다.)

frequenc(Hz)
500 1000 2000 4000 8000
실시예 1 0.17 0.39 0.71 0.98 1.21
실시예 2 0.22 0.45 0.87 1.12 1.39
비교예 1 0.12 0.29 0.63 0.91 0.95
비교예 2 0.09 0.14 0.23 0.35 0.41
위 표 1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실시예 1, 2는 비교예 1, 2에 비해 흡음률이 현저히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 섬유 분산조성물을 더 첨가한 실시예 2의 경우, 저주파수 음역부터 고주파수 음역에서 모두 흡음률이 개선되었다.
비교예 1에서 변성 에폭시 수지를 생략하고 표면 개질되지 않은 제1다공성 분말을 사용한 경우 실시예 1에 비해 흡음률이 크게 저하된 것을 통해 변성 에폭시 수지와, 제1다공성 분말의 개질이 흡음률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비교예 2에서 제1, 2다공성 분말과, 변성 에폭시 수지를 생략한 경우에는 흡음률이 가장 낮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 2의 흡음재를 대상으로 KS F 4919에 준하여 인장강도 시험을 수행하였고, KS F 4919에 준하여 신장률을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아래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인장강도(kgf/㎠) 55 62 43 42
신율(%) 252 263 225 241
위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 2에 비해 비교예 1, 2가인장강도 및 신율이 크게 향상되어 건축재로서 우수한 물성을 가진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Claims (8)

  1. 삭제
  2. 부타디엔 고무(butadiene rubber,BR), 우레탄(Polyurethane), 천연고무(NR), 스티렌-부타디엔 고무(SBR), 이소프렌 고무(IR), 니트릴 고무(NR), 이피디엠 고무(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EPDM) 고무 중에서 적어도 1종을 선택하여 입도가 1~10mm인 고무 분말을 마련하는 단계와;
    패각을 분쇄 및 탄화시켜 입도가 100~500㎛인 제1다공성 분말을 마련하는 단계와;
    질석, 코르크, 제올라이트, 퍼라이트, 실리케이트, 벤토나이트 중에서 적어도 1종을 선택하여 입도가 1~50㎛인 제2다공성 분말을 마련하는 단계와;
    폴리올 55~65중량부,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20~33중량부를 포함하는 폴리우레탄 바인더를 마련하는 단계와;
    상기 고무 분말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제1다공성 분말 10~30중량부와, 제2다공성 분말 1~5중량부와, 폴리우레탄 바인더 15~30중량부를 혼합한 조성물을 마련하는 단계와;
    상기 조성물을 시트 형상으로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조성물에는 금속 산화물 코팅액에 단섬유를 혼합한 섬유 분산조성물 1~10중량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금속 산화물 코팅액은 물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아크릴 수지 1~10중량부와, ATO(Antimony Tin Oxide), AZO(Al-doped ZnO) 및 ITO(Titanium Oxide), WO3(Tungsten trioxide)분말 중 적어도 1종이 선택되는 금속산화물 0.1~5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소음방지용 완충재 제조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하는 단계는 성형기에 조성물을 넣고 60~100℃로 1~5시간 동안 가황하여 고형화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소음방지용 완충재 제조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다공성 분말은,
    실란 커플링제인 bis[3-(triethoxysilylpropyl)]tetrasulfide(TESPT)로 개질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소음방지용 완충재 제조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은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폴리에테르 폴리올 또는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올 중 적어도 1종을 선택하는 것이고,
    상기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은 방향족 디이소시아네이트, 지방족 디이소시아네이트 및 지환족 디이소시아네이트 중 적어도 1종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소음방지용 완충재 제조방법.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에는 상기 고무 분말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변성 에폭시 수지 1~5중량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변성 에폭시 수지는 스테아린산과 에폭시 수지를 1 : 5~10의 중량비로 혼합한 혼합물 100중량부에 실란 화합물 5~10중량부를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소음방지용 완충재 제조방법.
  7. 삭제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 수지는,
    물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Ethylene diamine(EDA) 1~5 중량부, ethyl acrylate monomer(EAM) 20~50 중량부와, 탄산칼슘 10~30중량부와, UV안정제 0.1~0.5 중량부와, 암모니아수 0.1~1중량부를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소음방지용 완충재 제조방법.
KR1020170028028A 2017-03-05 2017-03-05 층간소음방지용 완충재 제조방법 KR1017653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8028A KR101765337B1 (ko) 2017-03-05 2017-03-05 층간소음방지용 완충재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8028A KR101765337B1 (ko) 2017-03-05 2017-03-05 층간소음방지용 완충재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65337B1 true KR101765337B1 (ko) 2017-08-04

Family

ID=596543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8028A KR101765337B1 (ko) 2017-03-05 2017-03-05 층간소음방지용 완충재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5337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2250B1 (ko) * 2018-05-09 2018-08-27 주식회사 올림피아 친환경 폴리우레탄 탄성포장재 제조방법
KR101901619B1 (ko) * 2016-07-29 2018-10-01 주식회사 아름다운길 1액형 바이오바인더를 이용한 투수포장재 시공방법 및 이에 의해 만들어진 투수포장
KR101982294B1 (ko) * 2018-11-15 2019-08-28 대한한옥개발 주식회사 패각을 활용한 수지기와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77760B1 (ko) 2019-12-17 2020-11-11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압축코르크를 활용한 조립식 차음 패널
KR102177767B1 (ko) 2019-12-17 2020-11-12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층간소음 저감을 위한 압축코르크 및 경량골재를 활용한 조립식 복합 방음 패널
CN112341790A (zh) * 2020-09-16 2021-02-09 常州工程职业技术学院 一种废旧胶粉车用多层阻尼片及其制备方法
KR102493576B1 (ko) * 2022-04-26 2023-02-06 (주)천우 층간소음 방지패드 및 그 제조방법
KR102625506B1 (ko) * 2023-07-17 2024-01-17 주식회사 에덴21 층간소음 방지용 완충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완충재제조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9974B1 (ko) * 2005-07-29 2007-04-25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타이어 트레드용 고무 조성물
JP2010150780A (ja) * 2008-12-24 2010-07-08 Nitto Kako Kk 遮熱性ゴムマット
KR101690472B1 (ko) * 2016-10-19 2016-12-28 주식회사 씨씨티연구소 상온 경화형 차선도색 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9974B1 (ko) * 2005-07-29 2007-04-25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타이어 트레드용 고무 조성물
JP2010150780A (ja) * 2008-12-24 2010-07-08 Nitto Kako Kk 遮熱性ゴムマット
KR101690472B1 (ko) * 2016-10-19 2016-12-28 주식회사 씨씨티연구소 상온 경화형 차선도색 조성물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1619B1 (ko) * 2016-07-29 2018-10-01 주식회사 아름다운길 1액형 바이오바인더를 이용한 투수포장재 시공방법 및 이에 의해 만들어진 투수포장
KR101892250B1 (ko) * 2018-05-09 2018-08-27 주식회사 올림피아 친환경 폴리우레탄 탄성포장재 제조방법
KR101982294B1 (ko) * 2018-11-15 2019-08-28 대한한옥개발 주식회사 패각을 활용한 수지기와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77760B1 (ko) 2019-12-17 2020-11-11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압축코르크를 활용한 조립식 차음 패널
KR102177767B1 (ko) 2019-12-17 2020-11-12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층간소음 저감을 위한 압축코르크 및 경량골재를 활용한 조립식 복합 방음 패널
CN112341790A (zh) * 2020-09-16 2021-02-09 常州工程职业技术学院 一种废旧胶粉车用多层阻尼片及其制备方法
CN112341790B (zh) * 2020-09-16 2022-04-01 常州工程职业技术学院 一种废旧胶粉车用多层阻尼片及其制备方法
KR102493576B1 (ko) * 2022-04-26 2023-02-06 (주)천우 층간소음 방지패드 및 그 제조방법
KR102625506B1 (ko) * 2023-07-17 2024-01-17 주식회사 에덴21 층간소음 방지용 완충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완충재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5337B1 (ko) 층간소음방지용 완충재 제조방법
KR101814653B1 (ko) 단열 방음용 초경량 콘크리트 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82177B1 (ko) 향상된 단열성 및 항균성을 갖는 복합방수공법
KR100788746B1 (ko) 층간소음방지를 위한 모르타르 조성물 및 콘크리트슬래브의 충격소음 저감방법
WO2019108163A1 (en) Lightweight composite materials
KR101681826B1 (ko) 층간 소음완충구조 및 시공방법
KR100750628B1 (ko) 차음성이 우수한 건축용 소음차단재
KR100773106B1 (ko) 건물의 층간소음방지를 위한 바닥용 완충재, 이의 제조방법및 이를 이용한 바닥층 형성방법
KR20170090150A (ko) 폐고무를 이용한 소음방지 판넬 시스템
KR20050090141A (ko) 공동주택 층간 소음저감용 수성 도막식 적층형 바닥재
KR101626470B1 (ko) 비발포체형 소음 저감재 및 이를 포함하는 바닥구조
KR102252501B1 (ko) 차열성 방수제 조성물
KR20060127511A (ko) 사출성형물에 의한 층간 소음방지 시공방법
KR100473559B1 (ko) 충격흡수용 고분자복합체 및 그 시공방법
KR100877198B1 (ko) 콜크를 이용한 경량성 흡차음 댐핑 발포 시트 및 제조방법
CN107473649A (zh) 一种混凝土、其配方及制备工艺
KR100407780B1 (ko) 충격음 저감용 고분자 복합재 및 그 제조방법
KR20090113031A (ko) 코르크 탄성층을 포함하는 층간 구조
KR101810775B1 (ko) 층간소음 저감용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발포 패드용 조성물 및 발포 패드
KR100630863B1 (ko) 건축물의 층간소음 저감재 및 그 조성물
KR101315743B1 (ko) 자동차 차체용 분무형 제진재 조성물
KR102305763B1 (ko) 친환경 스포츠 시설용 탄성 바닥재 및 그의 제조방법
TWI779952B (zh) 牆體結構
KR100935422B1 (ko) 층간소음재 및 그 제조방법
KR102394242B1 (ko) 층간 소음 방지를 위한 차음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층간 차음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