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8746B1 - 층간소음방지를 위한 모르타르 조성물 및 콘크리트슬래브의 충격소음 저감방법 - Google Patents

층간소음방지를 위한 모르타르 조성물 및 콘크리트슬래브의 충격소음 저감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8746B1
KR100788746B1 KR20070027919A KR20070027919A KR100788746B1 KR 100788746 B1 KR100788746 B1 KR 100788746B1 KR 20070027919 A KR20070027919 A KR 20070027919A KR 20070027919 A KR20070027919 A KR 20070027919A KR 100788746 B1 KR100788746 B1 KR 1007887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styrene
mortar composition
surfact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700279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반 라즐
한상훈
한찬훈
Original Assignee
김원기
지마이트 프로덕츠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원기, 지마이트 프로덕츠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김원기
Priority to KR200700279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87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87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874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4/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plasticisers
    • C04B24/24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24/26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04Silica-rich materials; Silicates
    • C04B14/06Quartz; Sand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8/00Use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8/04Waste materials; Refuse
    • C04B18/18Waste materials; Refuse organic
    • C04B18/20Waste materials; Refuse organic from 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18/22Rubber, e.g. ground waste ti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8/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 C04B28/02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containing hydraulic cements other than calcium sulfates
    • C04B28/04Portland c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82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sound only
    • E04B1/84Sound-absorbing elements
    • E04B1/86Sound-absorbing elements slab-shaped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03/00Function or property of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2103/40Surface-active agents, dispersa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52Sound-insulating materi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91Use of waste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or concre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uring Cements, Concrete, And Artificial Stone (AREA)
  • Tires In General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르타르 조성물에 특정 계면활성제 및 소정의 첨가물이 적절하게 배합된 스티렌·부타티엔 합성고무 라텍스를 첨가하여 상기 라텍스와 첨가물의 상호작용에 의해 모르타르의 강도의 저하가 없으면서, 소음방지효과가 우수한 모르타르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를 통해 별도의 이중바닥구조의 차음층을 형성하여 콘크리트 슬라브 상에 적층하지 않고, 직접 모르타르 조성물에 혼합하여 층간소음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공정단계가 감소되고, 비용 및 시간이 절약되며, 종래의 차음소재에 비하여 압축강도가 뛰어날 뿐 아니라 충격음 차단효과도 우수하다.
차음, 소음방지, SBR, 계면활성제, 모르타르, 바닥충격음, 경량 및 중량충격소음

Description

층간소음방지를 위한 모르타르 조성물 및 콘크리트 슬래브의 충격소음 저감방법{MORTAR COMPOSITION FOR IMPROVING IMPACT SOUND RESISTANCE AND METHOD OF IMPROVING IMPACT SOUND RESISTANCE OF CONCRETE SLAB FLOOR}
본 발명은 층간소음방지를 위한 모르타르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모르타르 조성물에 특정 계면활성제 및 소정의 첨가물이 적절하게 배합된 스티렌·부타티엔 합성고무 라텍스를 첨가하여 상기 라텍스와 첨가물의 상호작용에 의해 모르타르의 강도의 저하가 없으면서, 소음방지효과가 우수한 모르타르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복층으로 이루어지는 아파트나 다세대 주택의 경우, 아래층의 각종 음이 윗층으로 전달되거나, 윗층의 충격음이 아래층으로 전달되어 수면과 주거공간내의 활동에 장애를 주게 된다. 또한, 기계실, 공조실등의 건축설비의 소음진동을 인접한 공간에 전달되지 않게 차단할 필요가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국내에는 다양한 층간소음 차단용 완충재들이 개발 판매되고 있으며, 사용되는 충격음 저감재의 종류도 다양하게 개발되어 EPS류, 고무류, 발포고무류, 폴리프로필렌류, 섬유류 등이 있으며 현재 이들 재료에 대한 연구가 지난 10 여년간 활발히 진행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국내에 건설된 공동주택 대부분이 일본건축학회 차음등급 3급의 성과에 그치고 있다. 현재 건설교통부에서 고시한 기준에 따르면 공동주택의 층간소음은 경량충격음은 58dB, 중량충격음은 50dB 이하로 설정되어 있다. 그러나 경량충격음에 대하여서는 일정한 성과를 얻고 있으나 중량충격음의 차음성능은 L지수로 L-60 이상으로 개선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현재 이와 같이 바닥충격음 저감재의 시공에 따라 경량충격음에 대한 차음 성능이 일부 개선되더라도 우리나라 공동주택의 주거여건에서 문제의 관건인 중량충격음에 대한 획기적인 저감대책이 없이는 상하층간 소음으로 인한 문제해결이 어려운 실정이다.
또한 각사에서 제시하는 소음차단성능은 제품별 완충재 시공에 따른 성능 향상 정도가 통일적으로 명확하게 규명된 바 없고 대부분의 완충재가 고가이고, 일부 제품의 경우는 높은 시공정밀도가 요구되어 가격상승 및 하자요인이 되고 있는 점 등이 문제가 되고 있다.
현재 일부 대기업에서는 상당한 비용을 들여 이중바닥구조를 시공하여 바닥차음재를 사용하고 있으나, 바닥충격음의 전달경로 및 전달특성 등에 정확한 이해 없이 사용하고 있으며, 성능개선이 거의 없어서 오히려 민원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공동주택 바닥충격음 차단구조인정 및 관리기준제정안 고시에 의해 개발된 각종 차음자재의 성능을 파악하고, 국내의 바닥온돌 구성층에 적용시 성능개선의 여부를 조사하고, 근본적으로 바닥충격음을 설계단계에서 예측하여 다양한 구 조를 현장에 적용할 수 있도록 이론 연구가 병행되어야 할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이러한 장애를 해소하고자 기본적으로 콘크리트의 건축물 등의 경우에 있어서의 바닥면은 콘크리트 슬라브 위에 경량기포콘크리트를 도포한 후, 시멘트 모르타르 또는 인조석 모르타르로 마감시공하고 있다. 그러나 철근콘크리트 슬라브 상면에 구축된 경량기포큰크리트가 소음을 감쇄시키는 작용을 담당하고 있기는 하나, 경량 기포콘크리트의 소음감쇄작용은 경량충격, 중량충격에 따른 소음을 효과적으로 흡수 차단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콘크리트 구조체의 두께를 증가시키는 방법, 마감재를 개선하는 방법, 바닥구조 내부에 완충재를 삽입하는 방법, 흡음 천정구조로 설계하는 방법 등이 개발되었다. 한편 구조체의 두께는 주로 구조 설계에서 결정되며, 마감재나 천정구조 역시 건축 계획적인 측면에서 결정되는 요소이므로, 이러한 부분들은 바닥충격음 성능 향상만을 위해 변경하는 것은 곤란한 경우가 많다. 그러므로 경우에 따라서는 바닥구조 내부에 별도의 차음층을 삽입하는 방법이 유일한 선택이 될 경우가 많으며 바닥구조의 두께를 변화시키지 않고 충격음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어 현재 국내에서 가장 활발하게 연구 개발되고 있는 부분이기도 하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차음효과를 향상시키는 데는 효과가 있으나, 별도의 층을 만든 후 이를 적층하여야 하므로, 제조공정이 복잡할 뿐 아니라, 시간 및 비 용이 많이 소모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별도의 차음층을 형성하지 않고, 모르타르 조성물에 직접 특정한 스티렌·부타티엔 합성고무 라텍스(SBR)와 소정의 첨가제를 첨가하여 강도를 유지하면서도 충분한 차음효과를 가지는모르타르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특정한 스티렌·부타티엔 합성고무 라텍스(SBR)로 구성된 차음층을 제조하여 이를 콘크리트 슬래브 층에 적층하여 차음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콘크리트 슬래브에 적층되는 층간소음방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층간소음방지를 위한 모르타르 조성물은 포틀랜드 시멘트 100중량부에 대하여,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1 : 9] ~ [9 : 1]의 중량비로 혼합된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스티렌·부타티엔 합성고무 라텍스(SBR) 10 ~ 30 중량부, 폐타이어 분말 20 ~ 400 중량부, 모래 50 ~ 100 중량부를 분산하여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층간소음방지를 위한 모르타르 조성물은 포틀랜드 시멘트 100중량부에 대하여,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1 : 9] ~ [9 : 1]의 중량비로 혼합된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스티렌·부타티엔 합성고무 라텍스(SBR) 10 ~ 50 중량부 및 폴리스티렌 비드 3 ~ 5 중량부를 분산하여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층간소음방지를 위한 모르타르 조성물은 포틀랜드 시멘트 100중량부에 대하여,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1 : 9] ~ [9 : 1]의 중량비로 혼합된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스티렌·부타티엔 합성고무 라텍스(SBR) 10 ~ 50 중량부 및 세노스피어 75 ~ 150 중량부를 분산하여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층간소음방지를 위한 모르타르 조성물은 포틀랜드 시멘트 100중량부에 대하여,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1 : 9] ~ [9 : 1]의 중량비로 혼합된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스티렌·부타티엔 합성고무 라텍스(SBR) 10 ~ 50 중량부 및 펄라이트와 질석의 단독 또는 혼합물 50 ~ 200 중량부를 분산하여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층간소음방지를 위한 모르타르 조성물은 포틀 랜드 시멘트 100중량부에 대하여,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1 : 9] ~ [9 : 1]의 중량비로 혼합된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스티렌·부타티엔 합성고무 라텍스(SBR) 10 ~ 50 중량부 및 소결점토(sintered clay) 50 ~ 200 중량부를 분산하여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층간소음방지를 위한 모르타르 조성물은 포틀랜드 시멘트 100중량부에 대하여,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1 : 9] ~ [9 : 1]의 중량비로 혼합된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스티렌·부타티엔 합성고무 라텍스(SBR) 10 ~ 50 중량부, 모래 50 ~ 100중량부 및 경량기포시멘트(cellular cement) 50 ~ 150 중량부를 분산하여 포함한다.
상기 제1 ~ 제6 실시예에서 상기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바람직하게는 올레핀 설포네이트, 알킬벤젠 설폰산, 알킬 에테르 설페이트, 코코일 이세티오네이트, 및 라우로일 사코시네이트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이며, 상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글리세릴 에스터, 아민 옥사이드, 알칸올 아미드 및 소비탄 에스터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이다.
상기 제1 ~ 제6 실시예에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포틀랜드 시멘트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아크릴산, 아크릴산 코폴리머, 비닐아세테이트, 비닐아세테이트 코폴리머, 폴리비닐알콜 및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 느 하나 이상의 유기 바인더를 1 ~ 15 중량부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 제6 실시예에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포틀랜드 시멘트 100 중량부에 대하여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터, 나일론 및 아크릴 섬유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섬유 10 ~ 30 중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 제6 실시예에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포틀랜드 시멘트 100 중량부에 대하여 잔골재 100 ~ 200 중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 제6 실시예의 모르타르 조성물로 이루어지며 층간 콘크리트 슬라브층에 적층되는 차음층을 제조할 수 있으며, 상기 차음층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5 ~ 20 ㎝이다. 또한 상기 차음층은 그 외표면에 다수의 이격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층간 소음을 저감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콘크리트 슬라브 상에 별도의 차음재료만으로 구성된 차음층을 적층하였다. 그러나 별도의 차음층을 적층하는 경우 시공단계가 복잡해질 뿐 아니라 시공 시간 및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을 뿐 아니라 콘크리트 슬라브의 압축강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이에 콘크리트 슬라브의 방수층의 재료로 사용되던 스티렌·부타티엔 합성고무 라텍스를 차음재료로 활용하여 이를 포함하는 차음층을 제조한 후 이를 콘크리트 슬라브상에 적층하는 기술이 개발되었다. 콘크리댐이라는 상표명으로 출시된 이 제품은 가청 주파수 내의 소음의 감소에는 어느 정도 효과가 있지만, 이를 벗어나는 영역에서의 소음 감소에는 한계가 있을 뿐 아니라, 결정적으로 이를 콘크리트에 배합하여 차음층을 제조하는 경우 압축강도가 저하되는 치명적인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에 상기 제품의 사용설명서에서는 첨가하는 물의 양을 통상의 첨가량에 비하여 20% 정도 더 첨가시켜 압축강도의 저하문제를 해결하도록 기술하고 있다.
그러나, 배합 시 물을 더 첨가하는 것은, 양생시간이 오래 걸릴 뿐 아니라 압축강도를 제외한 다른 기계적 물성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층간소음방지를 위한 모르타르 조성물은, 포틀랜드 시멘트 100중량부에 대하여,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1 : 9] ~ [9 : 1]의 중량비로 혼합된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스티렌·부타티엔 합성고무 라텍스(SBR) 10 ~ 30 중량부, 폐타이어 분말 20 ~ 400 중량부, 모래 50 ~ 100 중량부를 분산하여 포함함으로써, 기계적 물성을 저하시키지 않고, 별도의 차음층을 제조하여 콘크리트 슬라브 상에 적층하지 않고, 직접 콘크리트 조성물 및 모르타르 조성물에 혼합하여 층간소음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공정단계가 감소되고, 비용 및 시간이 절약된다. 나아가, 종래의 차음소재에 비하여 압축강도가 뛰어날 뿐 아니라 충격음 차단효과도 우수하다.
먼저, 본 발명에 첨가되는 스티렌·부타티엔 합성고무 라텍스(SBR)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첨가되는 스티렌·부타티엔 합성고무 라텍스(SBR)는 계면활성제를 함유하고 있으며, 상기 계면활성제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1 : 9] ~ [9 : 1]의 중량비로 혼합된다.
만일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중량비가 본 발명의 수치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상술한 콘크리댐과 같이 콘크리트 성형체의 압축강도가 현저히 저하되며,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물/시멘트의 비율이 매우 높아지는 문제가 있다. 이에 대한 정확한 작용기작은 확인할 수 없지만, 스티렌·부타티엔 합성고무 라텍스(SBR)에서 각각의 계면활성제의 종류에 따른 유리전이온도(Tg)의 차이가 중요한 원인이 되는 것으로 예상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유리전이온도의 범위는 0 ~ 16℃이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유리전이온도의 범위는 -30 ~ -10℃로서, 음이온계 계면활성제를 단독으로 사용할 때보다 양자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유리전이온도를 낮추는데 유리하며, 이렇게 낮춘 유리전이온도는 콘크리트 조성물의 압축강도, 휨강도, 인장강도 및 차음성의 개선에 현저하게 기여하는 것으로 예상된다.
본 발명에 사용가능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통상의 SBR 라텍스에 사용되는 것이면 종류의 제한이 없으나, 바람직하게는 올레핀 설포네이트, 알킬벤젠 설폰산, 알킬 에테르 설페이트, 코코일 이세티오네이트, 및 라우로일 사코시네이트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가능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글리세릴 에스터, 아민 옥사이드, 알칸올 아미드 및 소비탄 에스터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스티렌·부타티엔 합성고무 라텍스(SBR)는 습윤제 등의 첨가제를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나아가, 상기 계면활성제의 함유량 역시 통상의 함유량이면 족하고, 바람직하게는 스티렌·부타티엔 합성고무 라텍스(SBR) 고형분 100 중량%에 대하여 상기 계면활성제 5 ~ 40 중량%가 함유될 수 있다. 만일 상기 계면활성제가 5중량% 미만으로 함유되면 압축강도의 저하 및 차음효과의 감소가 예상되고, 40중량%를 초과하면 비용이 많이 소모될 뿐 아니라 압축강도가 감소되는 부작용이 예상된다.
본 발명에서는 포틀랜드 시멘트 100중량부에 대하여 본 발명의 스티렌·부타티엔 합성고무 라텍스(SBR) 10 ~ 30 중량부를 첨가한다. 만일 10 중량부 미만으로 첨가하면 첨가의의가 미미하고, 30중량부를 초과하면 차음성은 좋아지나 압축강도가 기준치 이하로 낮아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다음, 본 발명에 첨가되는 폐타이어 분말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첨가되는 폐타이어 분말은 모래의 대체할 뿐 아니라 첨가된 스티렌·부타티엔 합성고무 라텍스(SBR)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예상되는 폐타이어 분말의 첨가에 의한 차음성의 효과보다 더욱 현저하게 차음성을 강화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상호작용에 대한 정확한 기작은 알기 어려우나 첨가된 본 발명의 스티렌·부타티엔 합성고무 라텍스(SBR)의 주변에 상기 폐타이어 분말이 위치하여 첨가된 스티렌·부타티엔 합성고무 라텍스(SBR)의 차음성을 더욱 향상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예측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가능한 폐타이어 분말의 크기는 5㎛ ~ 5㎜인 것이 상술한 SBR과의 상호작용에 유리하며, 열처리된 폐타이어 또는 열처리되지 않은 폐타이어 분말을 모두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첨가되는 폐타이어 분말의 첨가량은 바람직하게는 포틀랜드 시멘트 100중량부에 대하여 20 ~ 400 중량부를 첨가한다. 만일 20중량부 미만으로 첨가하면 첨가의의가 미미하고, 400 중량부를 초과하면 압축강도가 낮아질 뿐 아니라 모래의 첨가량이 낮아져 성형성에 문제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한편, 폐타이어 분말이 첨가되지 않는 경우에는 통상적으로 포틀랜드 시멘트 100 중량부에 대하여 200 중량부 가량을 첨가하나, 본 발명에서는 50 ~ 100중량부를 첨가하는 것만으로 충분히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상기 모래의 첨가량은 폐타이어 분말의 첨가량에 반비례하여 상술한 범위내에서 탄력적으로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포틀랜드 시멘트 100 중량부에 대하여 실리콘계 습윤제(wetting agent) 또는 탄화수소계 습윤제를 0.2 ~ 1.5 중량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압축강도의 향상 등의 물성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모르타르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아크릴산, 아크릴산 코폴리머, 비닐아세테이트, 비닐아세테이트 코폴리머, 폴리비닐알콜 및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유기 바인더를 1 ~ 15 중량부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기바인더는 모르타르 조성물의 구성성분과 스티렌·부타티엔 합성고무 라텍스간의 결합을 유도하고, 형성되는 바닥의 기계적 물성을 향상시키며, 수밀성을 증대시키는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유기 바인더가 첨가된 포틀랜드 시멘트 100중량부에 대하여 1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결합력이 충분치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으며, 반대로 15 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되는 경우, 비용이 지나치게 상승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모르타르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포틀랜드 시멘트 100중량부에 대하여 석고 또는 폐석고 3 ~ 5 중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석고는 바람직하게는 비료공장이나 발전소 등에서 발생하는 폐석고를 재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폐석고의 활용은 환경오염의 방지는 물론이며, 경제적으로도 상당한 이익이 될 수 있다. 비료공장이나 발전소의 슬러지로 발생하는 석고는 2수석고의 상태로서, 로타리킬른과 같은 통상의 설비를 사용하여 반수석고 혹은 무수석고로 재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석고는 차음 효과가 높으며, 시멘트를 대신하여 경제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와 같이 유기 바인더와 함께 사용되는 경우, 내수성 등에도 문제가 없으나, 유기 바인더를 함께 사용하지 않는 경우 내수성에 문제가 있을 수 있다.
한편, 상기 석고가 3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에는 첨가효과가 미미하고, 5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모르타르 조성물의 기계적 물성이 감소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모르타르 조성물은 차음효과 및 내구성의 강화를 위해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터, 나일론 및 아크릴 섬유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섬유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첨가되는 섬유의 양은 바람직하게는 포틀랜드 시멘트 100중량부 대하여 1 ~ 3 중량부를 첨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사용되는 모르타르 조성물은 통상의 건축용 모르타르 조성물이면 종류의 제한이 없으며, 그 목적에 따라 적절한 종류의 시멘트, 자갈, 모래 및혼화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나아가 모르타르 조성물을 배합하기 위해 첨가하는 물의 양도 목적에 따라 적절한 양을 첨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콘크리트 조성물에 사용되는 물의 양은 상기 스티렌·부타티엔 합성고무 라텍스 및 기타 첨가제 등을 충분히 용해시키고, 용해된 스티렌·부타티엔 합성고무 라텍스 등을 모르타르 조성물에 혼합시켜 통상의 시멘트 슬러리처럼 타설이 가능한 정도의 점성을 갖도록 하기에 충분한 양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이는 당업자에게는 이론적으로 또는 반복적인 실험에 의해 또는 경험적으로 결정할 수 있음은 당연히 이해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층간소음방지를 위한 모르타르 조성물은 포틀랜드 시멘트 100중량부에 대하여,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1 : 9] ~ [9 : 1]의 중량비로 혼합된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스티렌·부타티엔 합성고무 라텍스(SBR) 10 ~ 50 중량부 및 폴리스티렌 비드 3 ~ 5 중량부를 분산하여 포함한다.
제2 실시예의 구성 중 제1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은 상술한 설명으로 대체하고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모르타르 조성물의 차음성을 강화하기 위하여 제1 실시예의 폐타이어 분말과 모래 대신 폴리스티렌 비드를 첨가하는데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폴리스티렌 비드는 폐타이어 분말에 비하여 소량만 첨가하는 경우에도 발명의 목적을 차음 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으며, 모래를 첨가하지 않거나 조금만 첨가해도 차음층을 형성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첨가된 스티렌·부타티엔 합성고무 라텍스(SBR)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예상되는 폴리스티렌 비드의 첨가에 의한 차음성의 효과보다 더욱 현저하게 차음성을 강화하는 역할을 수행한다.한편 사용가능한 폴리스티렌 비드는 종류의 제한이 없으며 바람직하게는 발포 폴리 스티렌 비드를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첨가되는 폴리스티렌 비드는 포틀랜드 시멘트 100중량부에 대하여 3 ~ 5 중량부를 첨가한다. 만일 3중량부 미만으로 첨가하면 첨가의의가 미미하고, 5중량부를 초과하면 차음층에 균열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층간소음방지를 위한 모르타르 조성물은 포틀랜드 시멘트 100중량부에 대하여,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1 : 9] ~ [9 : 1]의 중량비로 혼합된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스티렌·부타티엔 합성고무 라텍스(SBR) 10 ~ 50 중량부 및 세노스피어 75 ~ 150 중량부를 분산하여 포함한다.
상기 제3 실시예의 구성 중 제1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은 상술한 설명으로 대체하고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는 모르타르 조성물의 차음성을 강화하기 위하여 제1 실시예와 비교하여 폐타이어 분말과 모래 대신 세노스피어(ceno-spheres)를 첨가하는데 특징이 있다. 플라이애쉬는 미세하고 단단한 다공성의 구형입자와 부정형 입자의 혼합물이며, 이중 가벼워 물위에 뜨는 다공성 구형입자가 2%정도 발생하는데 이것을 세노스피어라 부른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세노스피어는 폐타이어 분말에 비하여 차음 효과를 증진시는 것과 동시에, 모래를 첨가하지 않거나 조금만 첨가해도 차음층을 형성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한편, 본 발명에 첨가되는 폴리스티렌 비드는 포틀랜드 시멘트 100중량부에 대하여 75 ~ 150 중량부를 첨가한다. 만일 75 중량부 미만으로 첨가하면 첨가의의가 미미하고, 150중량부를 초과하면 압축강도가 저하될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층간소음방지를 위한 모르타르 조성물은 포틀랜드 시멘트 100중량부에 대하여,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1 : 9] ~ [9 : 1]의 중량비로 혼합된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스티렌·부타티엔 합성고무 라텍스(SBR) 10 ~ 50 중량부 및 펄라이트 또는 질석의 단독 또는 혼합물 50 ~ 200 중량부를 분산하여 포함한다.
상기 제4 실시예의 구성 중 제1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은 상술한 설명으로 대체하고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는 모르타르 조성물의 차음성을 강화하기 위하여 제1 실시예와 비교하여 폐타이어 분말과 모래 대신 펄라이트 및/또는 질석(vermiculite)을 첨가하는데 특징이 있다. 상기 펄라이트와 질석은 그 자체에 포함되는 다수의 기공들로 인해 소음을 흡수, 분산시키고, 충격을 흡수, 분산시키는 기능 및 단열성을 증대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첨가된 스티렌·부타티엔 합성고무 라텍스(SBR)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예상되는 펄라이트 등의 첨가에 의한 차음성의 효과보다 더욱 현저하게 차음성을 강화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펄라이트 등이 전체 포틀랜드 시멘트에 100중량부에 대하여 50 ~ 200 중량부가 첨가되며 만일 50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단열성이 저하되고, 소음저감효과 및 충격저감효과가 감소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으며, 반대로 200량부를 초과하여 포함되는 경우, 다른 성분들, 특히 유기바인더의 함량을 감소시켜 결합력을 저하시키고, 또한 완충조성물의 점도를 증가시켜 작업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한편, 상기 응회암 등은 1 내지 10㎜의 평균입경을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층간소음방지를 위한 모르타르 조성물은 포틀랜드 시멘트 100중량부에 대하여,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1 : 9] ~ [9 : 1]의 중량비로 혼합된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스티렌·부타티엔 합성고무 라텍스(SBR) 10 ~ 50 중량부 및 소결점토(sintered clay) 50 ~ 200 중량부를 분산하여 포함한다.
상기 제5 실시예의 구성 중 제1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은 상술한 설명으로 대체하고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5 실시예는 모르타르 조성물의 차음성을 강화하기 위하여 제1 실시예와 비교하여 폐타이어 분말과 모래 대신 소결점토를 첨가하는데 특징이 있다. 상기 소결점토는 모래의 대용재로서 차음성을 강화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나아가 첨가된 스티렌·부타티엔 합성고무 라텍스(SBR)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예상되는 소결점토의 첨가에 의한 차음성의 효과보다 더욱 현저하게 차음성을 강화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서는 포틀랜드 시멘트 100중량부에 대하여 50 ~ 200중량부가 첨가된다. 만일 첨가량이 50중량부 미만이면 첨가의의가 미미하고, 200중량 부를 초과하면 압축강도가 약화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첨가되는 소결점토의 크기는 0.1 ~ 15㎜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층간소음방지를 위한 모르타르 조성물은 포틀랜드 시멘트 100중량부에 대하여,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1 : 9] ~ [9 : 1]의 중량비로 혼합된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스티렌·부타티엔 합성고무 라텍스(SBR) 10 ~ 50 중량부, 모래 50 ~ 100중량부 및 경량기포시멘트(cellular cement) 50 ~ 150 중량부를 분산하여 포함한다.
상기 제6 실시예의 구성 중 제1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은 상술한 설명으로 대체하고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6 실시예는 모르타르 조성물의 차음성을 강화하기 위하여 제1 실시예와 비교하여 폐타이어 분말 대신 경량기포시멘트를 첨가하는데 특징이 있다. 상기 경량기포시멘트는 차음성을 강화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본 발명에서는 포틀랜드 시멘트 100중량부에 대하여 50 ~ 150중량부가 첨가된다. 만일 첨가량이 50중량부 미만이면 첨가의의가 미미하고, 200중량부를 초과하면 압축강도가 약화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의 제1 실시예 내지 제6 실시예는 종래의 콘크리트 슬래브 위에 차음층을 별도로 제조하는 대신 통상의 모르타르 조성물에 본 발명의 스티렌·부타티엔 합성고무 라텍스(SBR) 및 첨가물 등을 적절하게 배합하고 이를 건축물의 층간이나 측벽에 그대로 타설할 수 있어, 차음층을 만드는데 소요되는 시공기간 및 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모르타르 조성물은 종래와 마찬가지로 콘크리트 슬래브 위에 존재하는 차음층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차음층을 제조하는 방법은 통상의 차음층을 제조하는 방법과 동일하며, 차음층의 내구성 및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첨가제 등을 적절하게 첨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층간 콘크리트 슬라브에 적층되는 층간소음방지 조성물의 두께는 통상의 차음층의 두께면 족하나 바람직하게는 5 ~ 20 ㎝이다.
한편, 상기 콘크리트 슬라브에 적층되는 층간소음방지 모르타르 조성물은 층간소음을 보다 효과적으로 차단하기 위하여 바람직하게는 그 외표면에 다수의 이격돌기가 마련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격돌기는 소음을 감쇄하는 원리 중 스프링 요소로서 이에 의해 주로 파장이 짧고 고주파수대인 소음을 흡음할 뿐만 아니라 흡음된 소음이 이격돌기가 형성하는 굴곡을 따라 이동하면서 약화되어 최종적으로 이격돌기에 의해 충격음 저감층과 콘크리트바닥 슬라브 사이에 형성되는 공기층에서 소음이 퍼지면서 소멸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포틀랜드 시멘트 100중량부에 대하여 올레핀 설포네이트 (ASCO 1416, 애경화학)와 글리세릴 에스터(ASCO GMO, 애경화학)가 8 : 2의 중량비로 배합된 계면활성제가 전체 라텍스 고형분에 대하여 10중량%를 함유한 스티렌·부타티엔 합성고무 라텍스(유리전이온도 : 0℃, 노이즈가드, Gemite Product Inc) 20중량부, 폐타이어 분말(1㎜ 크기) 100 중량부, 모래 50 중량부를 혼합하여 모르타르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모르타르 조성물에 물 35중량부를 첨가한 뒤 양생하여 가로*세로*높이가 8㎝ * 6㎝ * 12㎝ 크기의 직사각형 모양의 모르타르층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포틀랜드 시멘트 100중량부에 대하여 올레핀 설포네이트 (ASCO 1416, 애경화학)와 글리세릴 에스터(ASCO GMO, 애경화학)가 8 : 2의 중량비로 배합된 계면활성제가 전체 라텍스 고형분에 대하여 10중량%를 함유한 스티렌·부타티엔 합성고무 라텍스(유리전이온도 : 0℃, 노이즈가드, Gemite Product Inc) 30중량부, 폴리스티렌 비드 3중량부를 혼합하여 모르타르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모르타르 조성물에 물 45중량부를 첨가한 뒤 양생하여 가로*세로*높이가 8㎝ * 6㎝ * 12㎝ 크기의 직사각형 모양의 모르타르층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포틀랜드 시멘트 100중량부에 대하여 올레핀 설포네이트 (ASCO 1416, 애경화학)와 글리세릴 에스터(ASCO GMO, 애경화학)가 8 : 2의 중량비로 배합된 계면활성제가 전체 라텍스 고형분에 대하여 10중량%를 함유한 스티렌·부타티엔 합성고무 라텍스(유리전이온도 : 0℃, 노이즈가드, Gemite Product Inc) 20중량부, 세노스피어 100중량부를 혼합하여 모르타르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모르타르 조성물에 물 80중량부를 첨가한 뒤 양생하여 가로*세로*높이가 8㎝ * 6㎝ * 12㎝ 크기의 직사각형 모양의 모르타르층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포틀랜드 시멘트 100중량부에 대하여 올레핀 설포네이트 (ASCO 1416, 애경화학)와 글리세릴 에스터(ASCO GMO, 애경화학)가 8 : 2의 중량비로 배합된 계면활성제가 전체 라텍스 고형분에 대하여 10중량%를 함유한 스티렌·부타티엔 합성고무 라텍스(유리전이온도 : 0℃, 노이즈가드, Gemite Product Inc) 30중량부, 질석 100중량부를 혼합하여 모르타르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모르타르 조성물에 물 50중량부를 첨가한 뒤 양생하여 가로*세로*높이가 8㎝ * 6㎝ * 12㎝ 크기의 직사각형 모양의 모르타르층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5>
포틀랜드 시멘트 100중량부에 대하여 올레핀 설포네이트 (ASCO 1416, 애경화학)와 글리세릴 에스터(ASCO GMO, 애경화학)가 8 : 2의 중량비로 배합된 계면활 성제가 전체 라텍스 고형분에 대하여 10중량%를 함유한 스티렌·부타티엔 합성고무 라텍스(유리전이온도 : 0℃, 노이즈가드, Gemite Product Inc) 30중량부, 소결점토 100중량부를 혼합하여 모르타르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모르타르 조성물에 물 50중량부를 첨가한 뒤 양생하여 가로*세로*높이가 8㎝ * 6㎝ * 12㎝ 크기의 직사각형 모양의 모르타르층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6>
포틀랜드 시멘트 100중량부에 대하여 올레핀 설포네이트 (ASCO 1416, 애경화학)와 글리세릴 에스터(ASCO GMO, 애경화학)가 8 : 2의 중량비로 배합된 계면활성제가 전체 라텍스 고형분에 대하여 10중량%를 함유한 스티렌·부타티엔 합성고무 라텍스(유리전이온도 : 0℃, 노이즈가드, Gemite Product Inc) 30중량부, 경량기포시멘트 100중량부(한일시멘트)를 혼합하여 모르타르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모르타르 조성물에 물 50중량부를 첨가한 뒤 양생하여 가로*세로*높이가 8㎝ * 6㎝ * 12㎝ 크기의 직사각형 모양의 모르타르층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포틀랜드 시멘트 100중량부에 대하여 모래 300 중량부를 혼합하여 모르타르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모르타르 조성물에 물 55중량부를 첨가한 뒤 양생하여 가로*세로*높이가 8㎝ * 6㎝ * 12㎝ 크기의 직사각형 모양의 모르타르층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폐타이어 분말을 첨가하지 않고, 모래는 300 중량부를 첨가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직사각형 모양의 모르타르층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계면활성제로서 올레핀 설포네이트 (ASCO 1416, 애경화학)만을 함유하는 스티렌·부타티엔 합성고무 라텍스(유리전이온도 4℃)를 첨가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2와 동일하게 실시하여 직사각형 모양의 모르타르층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4>
비교예 2의 스티렌·부타티엔 합성고무 라텍스를 대신하여 마페이사의 콘크리댐을 동일한 양으로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2와 동일하게 실시하여 모르타르 층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5>
포틀랜드 시멘트 100중량부에 대하여 폐타이어 분말 100 중량부 및 모래 50중량부를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모르타르 층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6>
포틀랜드 시멘트 100중량부에 대하여 폴리스티렌 비드 3중량부 및 모래 50중량부를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모르타르 층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7>
포틀랜드 시멘트 100중량부에 대하여 세노스피어 100중량부 및 모래 50중량부를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모르타르 층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8>
포틀랜드 시멘트 100중량부에 대하여 질석 100중량부 및 모래 50중량부를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모르타르 층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9>
포틀랜드 시멘트 100중량부에 대하여 소결점토 100중량부 및 모래 50중량부를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모르타르 층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0>
포틀랜드 시멘트 100중량부에 대하여 경량기포콘크리트 100중량부 및 모래 100중량부를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모르타르 층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상기 실시예 1 ~ 6 및 비교예 1 ~ 10의 콘크리트 층의 물성을 실험하여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구체적으로 압축강도는 KS F 2405(콘크리트의 압축강도 평가), 충격음 저감특성은 경량충격음 발생장치인 태핑머신을 이용하여 KS F 2810의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표 1]
압축강도(7일, Mpa) 압축강도(28일, Mpa) 충격음 레벨(dB)
125Hz 500Hz 2000Hz
실시예 1 23.62 26.98 37 31 27
실시예 2 24.12 27.31 40 33 28
실시예 3 24.39 27.55 39 32 28
실시예 4 25.23 28.24 42 31 29
실시예 5 25.71 28.46 41 34 29
실시예 6 26.33 28.81 43 34 30
비교예 1 27.61 30.24 90 78 72
비교예 2 24.31 28.14 55 46 41
비교예 3 23.71 27.92 63 51 47
비교예 4 19.42 22.54 62 52 49
비교예 5 24.12 27.39 81 70 65
비교예 6 25.24 28.64 83 72 66
비교예 7 25.87 28.69 79 69 66
비교예 8 27.14 29.69 81 70 67
비교예 9 26.29 29.86 83 69 67
비교예 10 27.35 30.11 84 71 68
상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스티렌·부타티엔 합성고무 라텍 스르와 폐타이어 분말 등을 첨가한 실시예 1 ~ 6의 모르타르 층이, 이를 사용하지 않은 비교예 1 ~ 10에 비하여 압축강도 및 충격음 저감에 있어서 높은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별도의 차음층을 제조하여 콘크리트 슬라브 상에 적층하지 않고, 직접 콘크리트 조성물 및 모르타르 조성물에 혼합하여 층간소음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공정단계가 감소되고, 비용 및 시간이 절약된다.
나아가, 종래의 차음소재에 비하여 압축강도가 뛰어날 뿐 아니라 충격음 차단효과도 우수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기술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16)

  1. 포틀랜드 시멘트 100중량부에 대하여,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1 : 9] ~ [9 : 1]의 중량비로 혼합된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스티렌·부타티엔 합성고무 라텍스(SBR) 10 ~ 30 중량부, 폐타이어 분말 20 ~ 400 중량부, 모래 50 ~ 100 중량부를 분산하여 포함하되, 상기 스티렌·부타티엔 합성고무 라텍스(SBR) 고형분 100 중량%에 대하여 상기 혼합된 계면활성제 5 ~ 40 중량%가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소음방지를 위한 콘크리트 슬라브층용 모르타르 조성물.
  2. 포틀랜드 시멘트 100중량부에 대하여,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1 : 9] ~ [9 : 1]의 중량비로 혼합된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스티렌·부타티엔 합성고무 라텍스(SBR) 10 ~ 50 중량부 및 폴리스티렌 비드 3 ~ 5 중량부를 분산하여 포함하되, 상기 스티렌·부타티엔 합성고무 라텍스(SBR) 고형분 100 중량%에 대하여 상기 혼합된 계면활성제 5 ~ 40 중량%가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소음방지를 위한 콘크리트 슬라브층용 모르타르 조성물.
  3. 포틀랜드 시멘트 100중량부에 대하여,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1 : 9] ~ [9 : 1]의 중량비로 혼합된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스티렌·부타티엔 합성고무 라텍스(SBR) 10 ~ 50 중량부 및 세노스피어 75 ~ 150 중량부를 분산하여 포함하되, 상기 스티렌·부타티엔 합성고무 라텍스(SBR) 고형분 100 중량%에 대하여 상기 혼합된 계면활성제 5 ~ 40 중량%가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소음방지를 위한 콘크리트 슬라브층용 모르타르 조성물.
  4. 포틀랜드 시멘트 100중량부에 대하여,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1 : 9] ~ [9 : 1]의 중량비로 혼합된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스티렌·부타티엔 합성고무 라텍스(SBR) 10 ~ 50 중량부 및 펄라이트 또는 질석 50 ~ 200 중량부를 분산하여 포함하되, 상기 스티렌·부타티엔 합성고무 라텍스(SBR) 고형분 100 중량%에 대하여 상기 혼합된 계면활성제 5 ~ 40 중량%가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소음방지를 위한 콘크리트 슬라브층용 모르타르 조성물.
  5. 포틀랜드 시멘트 100중량부에 대하여,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1 : 9] ~ [9 : 1]의 중량비로 혼합된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스티렌·부타티엔 합성고무 라텍스(SBR) 10 ~ 50 중량부 및 소결점토(sintered clay) 50 ~ 200 중량부를 분산하여 포함하되, 상기 스티렌·부타티엔 합성고무 라텍스(SBR) 고형분 100 중량%에 대하여 상기 혼합된 계면활성제 5 ~ 40 중량%가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소음방지를 위한 콘크리트 슬라브층용 모르타르 조성물.
  6. 포틀랜드 시멘트 100중량부에 대하여,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1 : 9] ~ [9 : 1]의 중량비로 혼합된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스티렌·부타티엔 합성고무 라텍스(SBR) 10 ~ 50 중량부, 모래 50 ~ 100중량부 및 경량기포시멘트(cellular cement) 50 ~ 150 중량부를 분산하여 포함하되, 상기 스티렌·부타티엔 합성고무 라텍스(SBR) 고형분 100 중량%에 대하여 상기 혼합된 계면활성제 5 ~ 40 중량%가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소음방지를 위한 콘크리트 슬라브층용 모르타르 조성물.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올레핀 설포네이트, 알킬벤젠 설폰산, 알킬 에테르 설페이트, 코코일 이세티오네이트, 및 라우로일 사코시네이트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층간소음방지를 위한 콘크리트 슬라브층용 모르타르 조성물.
  8.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글리세릴 에스터, 아민 옥사이드, 알칸올 아미드 및 소비탄 에스터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층간소음방지를 위한 콘크리트 슬라브층용 모르타르 조성물. .
  9.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포틀랜드 시멘트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아크릴산, 아크릴산 코폴리머, 비닐아세테이트, 비닐아세테이트 코폴리머, 폴리비닐알콜 및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유기 바인더를 1 ~ 15 중량부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층간소음방지를 위한 콘크리트 슬라브층용 모르타르 조성물. .
  10.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포틀랜드 시멘트 100 중량부에 대하여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터, 나일론 및 아크릴 섬유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섬유 10 ~ 30 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층간소음방지를 위한 콘크리트 슬라브층용 모르타르 조성물. .
  11. 삭제
  12.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포틀랜드 시멘트 100 중량부에 대하여 잔골재 100 ~ 200 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층간소음방지를 위한 모르타르 조성물.
  13.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모르타르 조성물로 이루어지며 층간 콘크리트 슬라브층에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음층.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차음층의 두께는 5 ~ 2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차음층.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차음층은 그 외표면에 다수의 이격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차음층.
  16. 삭제
KR20070027919A 2007-03-22 2007-03-22 층간소음방지를 위한 모르타르 조성물 및 콘크리트슬래브의 충격소음 저감방법 KR1007887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027919A KR100788746B1 (ko) 2007-03-22 2007-03-22 층간소음방지를 위한 모르타르 조성물 및 콘크리트슬래브의 충격소음 저감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027919A KR100788746B1 (ko) 2007-03-22 2007-03-22 층간소음방지를 위한 모르타르 조성물 및 콘크리트슬래브의 충격소음 저감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88746B1 true KR100788746B1 (ko) 2007-12-26

Family

ID=391480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70027919A KR100788746B1 (ko) 2007-03-22 2007-03-22 층간소음방지를 위한 모르타르 조성물 및 콘크리트슬래브의 충격소음 저감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8746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64646A2 (en) 2009-11-25 2011-06-03 Lasso Financial Ltd. Heat-insulating, fire-proof, water-resistant, permeable-to-air, flexible lightweight concrete
KR101239626B1 (ko) * 2010-07-06 2013-03-07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콘크리트 슬라브의 바닥충격음 개선용 혼합 모르타르
CN103061786A (zh) * 2013-01-07 2013-04-24 山东科技大学 煤矿井下高噪硐室喷射混凝土降噪技术
KR20180025420A (ko) * 2016-08-30 2018-03-09 청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차음 및 흡음 성능이 향상된 복합몰탈을 이용한 철근콘트리트 공동주택의 층간소음 저감 공법
KR20210128631A (ko) * 2020-04-17 2021-10-27 주식회사 이노씨에스알 비료부산물을 이용한 모르타르용 조성물
KR102388141B1 (ko) 2021-04-28 2022-04-20 삼성물산 주식회사 층간 소음 저감을 위한 강도 등급별 바닥용 모르타르 배합 설계 방법
KR20220147837A (ko) 2021-04-28 2022-11-04 동남기업 주식회사 고중량 골재를 활용하여 층간소음에 효과가 있고 평탄성능을 향상시킨 고유동 콘크리트의 조성물
WO2023048311A1 (ko) * 2021-09-27 2023-03-30 주식회사 이노씨에스알 비료부산물을 이용한 모르타르용 조성물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57528A (en) 1976-04-19 1977-11-08 The Dow Chemical Company Process for repairing concrete structures using pneumatically sprayable cement mortar compositions containing portland cement, mineral aggregate, a styrene-butadiene copolymer latex and water
JPH0648810A (ja) * 1992-07-31 1994-02-22 Yoshiyuki Ogushi 吸音板の製造方法
KR970074708A (ko) * 1996-05-30 1997-12-10 소양섭 다층 건축물 층간 소음차단용 발포 레진콘크리트 제조방법
KR20000059965A (ko) * 1999-03-10 2000-10-16 박찬구 가황법을 이용한 고무분말의 무기질 결합제 코팅방법
KR20030093415A (ko) * 2002-06-03 2003-12-11 영보화학 주식회사 강도가 우수한 흡차음재용 경량 기포 콘크리트 및 그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57528A (en) 1976-04-19 1977-11-08 The Dow Chemical Company Process for repairing concrete structures using pneumatically sprayable cement mortar compositions containing portland cement, mineral aggregate, a styrene-butadiene copolymer latex and water
JPH0648810A (ja) * 1992-07-31 1994-02-22 Yoshiyuki Ogushi 吸音板の製造方法
KR970074708A (ko) * 1996-05-30 1997-12-10 소양섭 다층 건축물 층간 소음차단용 발포 레진콘크리트 제조방법
KR20000059965A (ko) * 1999-03-10 2000-10-16 박찬구 가황법을 이용한 고무분말의 무기질 결합제 코팅방법
KR20030093415A (ko) * 2002-06-03 2003-12-11 영보화학 주식회사 강도가 우수한 흡차음재용 경량 기포 콘크리트 및 그제조방법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64646A2 (en) 2009-11-25 2011-06-03 Lasso Financial Ltd. Heat-insulating, fire-proof, water-resistant, permeable-to-air, flexible lightweight concrete
KR101239626B1 (ko) * 2010-07-06 2013-03-07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콘크리트 슬라브의 바닥충격음 개선용 혼합 모르타르
CN103061786A (zh) * 2013-01-07 2013-04-24 山东科技大学 煤矿井下高噪硐室喷射混凝土降噪技术
CN103061786B (zh) * 2013-01-07 2015-04-08 山东科技大学 煤矿井下高噪硐室喷射混凝土降噪技术
KR20180025420A (ko) * 2016-08-30 2018-03-09 청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차음 및 흡음 성능이 향상된 복합몰탈을 이용한 철근콘트리트 공동주택의 층간소음 저감 공법
KR20210128631A (ko) * 2020-04-17 2021-10-27 주식회사 이노씨에스알 비료부산물을 이용한 모르타르용 조성물
KR102323800B1 (ko) 2020-04-17 2021-11-10 주식회사 이노씨에스알 비료부산물을 이용한 모르타르용 조성물
KR102388141B1 (ko) 2021-04-28 2022-04-20 삼성물산 주식회사 층간 소음 저감을 위한 강도 등급별 바닥용 모르타르 배합 설계 방법
KR20220147837A (ko) 2021-04-28 2022-11-04 동남기업 주식회사 고중량 골재를 활용하여 층간소음에 효과가 있고 평탄성능을 향상시킨 고유동 콘크리트의 조성물
WO2023048311A1 (ko) * 2021-09-27 2023-03-30 주식회사 이노씨에스알 비료부산물을 이용한 모르타르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88746B1 (ko) 층간소음방지를 위한 모르타르 조성물 및 콘크리트슬래브의 충격소음 저감방법
KR101780294B1 (ko) 내화, 공기질 개선 및 항균효과를 가지는 경량기포콘크리트 패널
KR101355111B1 (ko) 교면 포장용 폴리머 개질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교면 포장 공법
WO2020208401A1 (en) Dry powder composition, composite and method for attenuating impact noise in a building
KR101931354B1 (ko) 모듈화 된 중공형 경량벽체
KR100308254B1 (ko) 충격음 저감용 고분자 복합재
KR102537106B1 (ko) 개선된 설치구조를 갖는 공동주택의 층간소음방지 시스템
KR101355404B1 (ko) 내염해성 및 내알칼리성이 우수한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유지보수공법
KR102577733B1 (ko) 층간소음방지 모르타르 조성물, 모르타르층, 및 이를 포함하는 층간소음방지 바닥구조
KR20040100202A (ko) 경량·흡음 콘크리트 조성물 및 흡음재 제조방법
KR100831998B1 (ko) 고단열 고강성 경량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층간충격음 저감 바닥 구조
KR20070066129A (ko) 단열, 방음 및 내진형 자동수평재
KR101395608B1 (ko) 플라이애쉬 층을 포함하는 바닥재 및 그 시공방법
KR200321612Y1 (ko) 건축물의 바닥구조
KR20190100641A (ko) 전단면 일체 타설형 충격음 저감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충격음 저감 시공방법
KR100822452B1 (ko) 층간소음방지를 위한 콘크리트,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통한 콘크리트 슬래브-천정의 충격소음 저감방법
KR20040080667A (ko) 불연, 단열, 보온, 흡 . 차음 기능을 갖는 기포 콘크리트몰타르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90076747A (ko) 바닥충격음 저감용 방진구
KR102629422B1 (ko) 고성능 층간소음 저감 구조체
JP2000203916A (ja) 弾塑性を有するセメント系成形板材
KR102642937B1 (ko) 트레이형 층간 소음 저감 구조
KR20060025496A (ko) 탄성 콘크리트 바닥 차음저감재의 제법 및 바닥구조
KR100602041B1 (ko) 단열방진 경량콘크리트 조성물
KR102495825B1 (ko) 바닥충격음 저감용 바닥구조
KR102228209B1 (ko) 친환경 왕겨를 이용한 차음 및 단열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차음 및 단열 바닥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11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