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66129A - 단열, 방음 및 내진형 자동수평재 - Google Patents

단열, 방음 및 내진형 자동수평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66129A
KR20070066129A KR20050126934A KR20050126934A KR20070066129A KR 20070066129 A KR20070066129 A KR 20070066129A KR 20050126934 A KR20050126934 A KR 20050126934A KR 20050126934 A KR20050126934 A KR 20050126934A KR 20070066129 A KR20070066129 A KR 200700661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der
vermiculite
waste
insulation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501269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35084B1 (ko
Inventor
박의신
권평곤
Original Assignee
박의신
권평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의신, 권평곤 filed Critical 박의신
Priority to KR200501269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5084B1/ko
Publication of KR200700661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61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50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508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8/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 C04B28/02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containing hydraulic cements other than calcium sulfates
    • C04B28/08Slag c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04Silica-rich materials; Silicates
    • C04B14/10Clay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04Silica-rich materials; Silicates
    • C04B14/20Mica; Vermiculit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6/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6/04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20Resistance against chemical, physical or biological attack
    • C04B2111/2038Resistance against physical degradation
    • C04B2111/2053Earthquake- or hurricane-resistant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52Sound-insulating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60Flooring materials
    • C04B2111/62Self-levelling composi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91Use of waste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or concre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uring Cements, Concrete, And Artificial Sto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열, 방음 및 내진형 자동수평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균열이 적은 슬래그 시멘트에, 저밀도의 다공질로서 단열성능이 우수한 질석과, 온도/습도 조절력과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황토와, 탄성이 좋아 방음성 및 내충격성을 폐타이어 분말과, 슬래그 시멘트와 융합하기 좋도록 하는 무수석고를 혼합하고, 섬유강화제 및 유동분말을 첨가한 후, 모래 또는 폐주물사를 배합하여 이루어지며, 건축물의 층간 소음을 줄이고 진동문제를 해결하며 단열성능이 우수하고, 작업공정이 단순화된 콘크리트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자동수평재, 슬래그시멘트, 황토분말, 질석, 폐타이어 분말

Description

단열, 방음 및 내진형 자동수평재{INSULATION, SOUNDPROOF AND QUAKE PROOF SELF LEVELING MORTAR}
본 발명은 단열, 방음 및 내진형 자동수평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슬래그 시멘트와, 황토분말과, 질석과, 타이어분말과 및 무수석고 등을 혼합한 혼합물에 일정량의 규사를 배합하여 이루어지는 자동수평재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은 소음이 적고, 단열이 잘 되며 및 진동에 강해야 한다. 그러나 종래의 건축물의 경우 이러한 모든 조건을 고루 갖춘 경우를 찾기가 쉽지 않다.
한편, 특수한 사용목적이나 환경에 맞도록 여러 가지 특수 콘크리트가 개발되었으나, 이와 같이 여러 가지 조건을 고루 갖도록 하는 것은 쉽지 않다.
특히, 아파트와 같은 건축물의 경우 단열과 함께 층간 소음의 차단 및 내진성 등이 매우 중요한바, 본 발명은 단열효과가 우수하며, 바닥 충격음 및 경계벽 소음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고, 내진성을 갖는 자동수평재를 개발하고자 한 것이다.
한편, 국민 생활수준의 급속한 향상과 경제성장으로 인하여 우리나라의 폐기물의 배출은 증가하고 있으며, 근래에 들어 폐기물의 효과적인 처리방법으로 재활 용과 소각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나 아직은 거의 대부분을 매립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폐주물사는 산업폐기물 분류상 유해폐기물로 분류되어 위생매립 등의 처리를 하여야 하고, 최근의 매립처분비용의 상승과 매립지의 부족 등으로 주물업자에게는 생산원가의 상승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또 국가환경적인 차원에서는 매립장의 부족문제와 더불어 유용자원의 폐기라는 측면이 있다.
더욱이, 폐주물사는 콘크리트용 모래와 거의 같은 특성이 있기 때문에 콘크리트용 재료로서 다양하게 재활용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또한, 자동차의 증가에 따라 폐타이어가 증가하여 새로운 환경문제로 대두하고 있는바, 이러한 폐타이어를 환경친화적으로 재활용할 필요성이 대두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단열성능이 우수하고 건축물의 층간 소음을 줄이며 진동문제를 동시에 해결할 수 있는 우수한 성능을 갖는 콘크리트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소음, 진동, 및 단열 문제를 동시에 해결함과 동시에 유동 분말을 포함하는 자동수평재로서 건축물의 시공시 작업공정을 크게 단순화할 수 있는 제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폐타이어 및 폐주물사 등의 폐기물을 재생하여 친환경적 제품으로 재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단열, 방음 및 내진형 자동수평재는 슬래그 시멘트와, 황토분말과, 질석과, 타이어분말 및 무수석고의 혼합하고 섬유강화제 및 유동 분말을 첨가한 혼합물에, 규사를 1:1의 비율로 배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단열, 방음 및 내진형 자동수평재는 상기 혼합물이 중량% 기준으로 하여 슬래그 시멘트 37%, 타이어분말 13%, 무수석고 11%, 질석 15%, 황토분말 22%, 섬유강화제 1%, 유동분말 1%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규사로서 콘크리트용 모래와 유사한 성질을 갖는 폐주물사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단열, 방음 및 내진형 자동수평재는 슬래그 시멘트, 질석, 황토, 무수석고, 타이어분말을 주원료로 하고, 여기에 섬유강화제와 유동 분말을 첨가하여 이루어진 혼합물에, 규사를 1:1의 비율로 배합한 것이다.
슬래그 시멘트는 포틀랜드 시멘트의 반제품인 클링커와 고로 슬래그 및 석고를 각각 또는 조합하여 분쇄하고 일정한 비율로 혼합한 것으로, 일반 포틀랜드 시멘트에 비하여, 장기강도가 높고, 수화열이 낮으며, 화학적 저항성, 내해수성, 내열성, 방수성, 및 안정도가 우수하다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일반 포틀랜드 시멘트보다는 크랙이 적은 슬래그 시멘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질석(蛭石, Vermiculite)은 단사정계에 속하는 광물로 회백색 또는 갈색이며, 광택이 나고 화학성분은 (Mg, Fe, Al)3(Al,Si)4O10(OH)2·4H2O로 알루미늄·마그 네슘·철의 수산화규산염으로 된 점토광물이며, 굳기 1~2, 비중 2.76인 광물이다. 질석은 저밀도의 다공질(多孔質)이며, 흡수능력이 좋아서 내열재료 및 방음재료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또한, 소성한 것은 가볍고 내화성이 있으며 흡음(吸音), 단열용 충전재나 시멘트 모르타르의 골재 등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질석의 물리, 화학적 성질에 착안하여 개발한 것이다. 즉, 시멘트의 밀도는 약 2300 ㎏/㎤인데 비하여, 질석은 64~160 ㎏/㎤으로 가볍고 공극이 많으며, 내화 및 단열 효과가 우수하다는 점에서 질석을 사용하고, 질석의 공극은 탄성이 있는 폐타이어 분말로 채움으로써 단열효과 및 충격흡수율을 최대화한 것이다.
타이어 분말은 고무의 탄성, 단열성, 절연성, 차음성 등의 성질이 있으며, 진동 및 충격흡수 능력이 뛰어나다. 또한, 폐타이어 분말은 질석의 공극을 채워 단열효과, 소음차단 및 내진성을 극대화하며, 약 200메쉬 이상의 분말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은 버려지고 있는 폐타이어를 자원으로 재생하여 환경오염을 막고, 질석과 함께 혼합되어 단열, 방음, 소음진동을 차단시켜 주는 기능을 한다.
황토 분말은 온도 및 습도 조절효과와, 항균 및 탈취효과가 있으며, 인체에 유용한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는 원적외선 방출량이 많다는 특징이 있다. 또한, 황토는 다량의 탄산칼슘(CaCO3)을 함유한 황토의 주성분은 실리카 알루미나, 철분, 마그네슘 등으로 구성되며, 또한, 표면이 넓은 벌집 구조로 수많은 공간이 복층구 조로 되어 있어 이 구멍으로 원적외선이 저장 발산하여 황토의 효소 성분에는 카탈라제, 디페놀 옥시다아제, 시카리제, 프로테아제의 4가지 효소가 함유되어 독소제거, 분해력 비료요소, 정화 역할을 하는 황토는 물과 반응하게 되면 각 입자 간의 응집현상으로 약 6%의 체적 감소현상이 일어나며 이것이 균열의 주된 원인이다.
이와 같은 황토에 무수석고를 첨가하면 수화반응을 일으키면서 체적이 팽창되며 이 양자 간의 수축, 팽창작용으로 균열을 억제한다.
무수석고는 시멘트 중의 알루미네이트상과 반응하여 에트링가이트 생성 과정에서 수경성 광물인 칼슘실리게이트상 수화를 촉진하여 수화량 증가하고 화학적 결합수 증대시켜 시멘트 페이스트 중의 공극이 감소하여 고강도 콘크리트 얻을 수 있다. 즉, 무수석고는 슬래그 시멘트와 융합하기 좋도록 CaO, Al2O3의 비율을 3:1로 맞추기 위해 사용된다. 또한, 석고는 시멘트의 응결과 경화시간을 조절하기 위하여 첨가되며, 시멘트 안정성을 좋게 하며 초기강도를 강하게 한다. 그러나 석고를 필요 이상으로 첨가하면 응결시간이 너무 늦어지거나 강도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므로 적당양을 사용해야 한다.
한편, 섬유강화제는 콘크리트의 피로저항성 증대, 휨강도 증대, 전단력, 유연성, 충격저항, 파괴저항의 증가시키는 등 콘크리트의 물리적 성질을 향상시키고, 특히 섬유강화제의 첨가로 균열을 방지하고 강도를 증대시키며 충격저항성을 증대시키는 기능을 한다. 또한, 섬유강화제를 첨가함에 따라 와이어 메쉬 설치 작업이 필요없이 경제성, 시공성, 및 안전성이 확보되고 음극 이온화 차단으로 구조재의 부식을 방지시키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슬래그 시멘트와, 질석과, 황토분말과, 타이어분말을 혼합하고, 무수석고 및 섬유강화제를 첨가하여, 슬래그 시멘트의 황산염의 화학작용, 내해수성 및 강도증가, 수화열이 작은 장점과, 질석의 단열효과와, 타이어 분말의 탄성 및 충격흡수력과, 황토의 해독력, 습도/온도 조절력 및 열효율성 등의 장점과, 섬유강화제의 특징인 강도 증대 등의 물리적 특징을 향상시키도록 하여, 단열, 방음 및 내진성능을 동시에 향상시킨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슬래그 시멘트에 질석, 황토분말 및 폐타이어 분말을 혼합하고 무수석고, 섬유강화제 및 유동 분말을 첨가한 가미한 혼합물, 이 혼합물과 동량의 규사 또는 폐주물사를 배합하여 이루어지는 제품으로서, 단열, 방음 및 내진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콘크리트 타설시의 공정을 단순화하여 인력을 최소화하고 빠른 공정으로 제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폐주물사는 주물 공장에서 발생하는 폐기물로서 콘크리트용 규사 또는 모래와 거의 같은 특성을 나타내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폐기물의 자원화로 친환경적 제품을 만들기 위하여 폐주물사를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본 발명에 따른 단열, 방음 및 내진형 자동수평재를 제조하기 위한 주원료인 슬래그 시멘트와, 질석과 황토의 구성성분 및 함량이 표 1에 기재되어 있다.
구분 SiO2 Al2O3 CaO Fe2O3 MgO S MnO TiO3 K2O Na2O 기타
슬래그 시멘트 30~35 38~45 13~18 0.5~1.0 0.5~1.5 0.5~1.5 0.5~1.5 0.5~1.5
질석 36~46 6~16 1~5 6~13 1~3 1~6
황토 50.19 28.69 7.48 1.31 0.24 0.08
표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단열, 방음, 내진형 자동수평재를 제조하기 위한 혼합물의 혼합비율의 예가 기재되어 있다.
구분 슬래그 시멘트 타이어분말 무수석고 질석 황토 섬유강화제 유동분말
중량% 37 13 11 15 22 1 1 100
표 2에 기재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혼합물의 구성은 중량% 기준으로 하여 슬래그 시멘트 37%, 타이어분말 13%, 무수석고 11%, 질석 15%, 황토분말 22%, 섬유강화제 1%, 유동분말 1%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혼합물에, 폐주물사를 1:1의 비율로 배합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동수평재를 제조하였다.
하기 표 3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품과 다른 벽돌과의 압축강도 등의 실험결과가 기재되어 있다.
구분 압축강도(kgf/cm2) 기공율(%) 원적외선(%)
시멘트 벽돌 250 12 79
기존 황토벽돌 40 - 89
적벽돌 305 22.1 88
본 발명의 실시예 210 39.5 92
상기 표 3에 기재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수평재는 압축강도 면에서 건축물에 사용하기가 충분하고 기공율이 뛰어나며 원적외선 방사량이 많았다.
하기 표 4 및 5에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자동수평재의 압축강도 시험, 및 층간 차음시험 결과가 기재되어 있다.
시험항목 단위 측정치 비고
압축강도 (기건상태) kgf/cm2 1 2 3 4
21 21 22 21
시험방법 KSL 5105-97(수경성 시멘트 모르타르의 압축강도)
주파수 중량 충격음(dB) 경량 충격음(dB)
A B C D A B C D
63 74 75 76 74
125 69 71 71 70 67 68 68 69
250 56 52 55 56 64 60 63 66
500 44 44 47 43 57 55 57 58
시험방법 슬라브 150mm+ 본 발명의 실시예 50mm 타설 +미장 모르타르 40mm
건축법 시행령 제53조 주파수 500Hz 50dB 이하 주파수 500Hz 58dB 이하
상기 표 5의 층간 소음 시험결과, 본 발명에 따른 자동수평재를 사용한 결과, 중량 충격음 및 경량 충격음 모두 건축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소음 이하의 값이 나타나 본 발명은 소음 진동에서 우수한 성능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의 설명과 같이, 본 발명은 건축물의 층간 소음을 줄이고 진동문제를 해결하며 단열성능이 우수하고, 작업공정이 단순화된 콘크리트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소음, 진동, 및 단열 문제를 동시에 해결함과 동시에 유동 분말을 포함하는 자동수평재로서 건축물의 시공시 작업공정을 크게 단순화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폐타이어 및 폐주물사 등 폐기물을 효과적으로 처리하여 친 환경적인 2차 제품을 제조함으로써, 자원의 낭비를 막고 환경을 보호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슬래그 시멘트에, 질석과, 황토분말, 및 폐타이어 분말 등을 혼합하고 유동 분말 및 폐주물사를 배합하여 제조하여 단열효과와, 방음효과 및 내진형의 자동수평 모르타르재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술한 것에만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로서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3)

  1. 슬래그 시멘트와, 황토분말와, 질석과, 타이어분말 및 무수석고를 혼합하고 섬유강화제 및 유동 분말을 첨가한 혼합물에, 규사를 1:1의 비율로 배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방음 및 내진형 자동수평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의 구성은 중량% 기준으로 하여 슬래그 시멘트 37%, 타이어분말 13%, 무수석고 11%, 질석 15%, 황토분말 22%, 섬유강화제 1%, 유동분말 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방음 및 내진형 자동수평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규사는 폐주물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방음 및 내진형 자동수평재.
KR20050126934A 2005-12-21 2005-12-21 단열, 방음 및 내진형 자동수평재 KR1007350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50126934A KR100735084B1 (ko) 2005-12-21 2005-12-21 단열, 방음 및 내진형 자동수평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50126934A KR100735084B1 (ko) 2005-12-21 2005-12-21 단열, 방음 및 내진형 자동수평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6129A true KR20070066129A (ko) 2007-06-27
KR100735084B1 KR100735084B1 (ko) 2007-07-03

Family

ID=383652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50126934A KR100735084B1 (ko) 2005-12-21 2005-12-21 단열, 방음 및 내진형 자동수평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508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753417A (zh) * 2015-12-11 2016-07-13 派丽(上海)管理有限公司 一种具有隔音效果的β石膏基自流平材料及其制备方法
CN108975800A (zh) * 2018-09-30 2018-12-11 淮阴工学院 一种掺合生活垃圾焚烧发电底渣的预拌砂浆及其制备方法
CN109665790A (zh) * 2019-02-14 2019-04-23 郭绪平 一种水泥基自流平砂浆及其制备方法
CN109956720A (zh) * 2017-12-26 2019-07-02 北京纽维逊建筑工程技术有限公司 一种轻质吸音自流平砂浆及其制备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3295B1 (ko) * 2009-06-09 2010-07-30 김용배 자체 평활성을 갖는 습식 석고계 황토 콘크리트 바닥재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99103B1 (ko) * 1996-10-08 1999-06-15 이재남 무기 단열.흡음재 조성물
KR100292186B1 (ko) * 1996-10-10 2001-09-17 민경훈 내균열성및/또는자동수평성을갖는모르타르조성물
US5824148A (en) 1997-05-16 1998-10-20 Cornwell; Charles E. Sound absorbing cementitious composition and method of making same
KR100218821B1 (ko) * 1997-05-21 1999-09-01 곽정화 셀프레벨링 황토 모르터 조성물
KR100326614B1 (ko) * 1999-12-14 2002-03-02 곽영훈 내화성 피복 조성물
KR20030060427A (ko) * 2002-01-09 2003-07-16 (주)동원휀스 자연석 및 고무를 이용한 방음재의 제조방법
KR100610450B1 (ko) * 2004-04-03 2006-08-08 주식회사 대동그린산업 석회자원을 활용한 바닥충격음을 저감시키는 환경친화형기능성 황토복합체의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0376033Y1 (ko) 2004-11-17 2005-03-10 (주)동성에스엔피 소음 방지재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753417A (zh) * 2015-12-11 2016-07-13 派丽(上海)管理有限公司 一种具有隔音效果的β石膏基自流平材料及其制备方法
CN109956720A (zh) * 2017-12-26 2019-07-02 北京纽维逊建筑工程技术有限公司 一种轻质吸音自流平砂浆及其制备方法
CN108975800A (zh) * 2018-09-30 2018-12-11 淮阴工学院 一种掺合生活垃圾焚烧发电底渣的预拌砂浆及其制备方法
CN109665790A (zh) * 2019-02-14 2019-04-23 郭绪平 一种水泥基自流平砂浆及其制备方法
CN109665790B (zh) * 2019-02-14 2021-02-23 成都顺佳美恒新材料有限公司 一种水泥基自流平砂浆及其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35084B1 (ko) 2007-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88887B2 (ja)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における漏水を伴うひび割れ用補修材料及び該補修材料を用いた該ひび割れの補修方法
US5290356A (en) Rubber crumb-reinforced cement concrete
Rashad An overview of pumice stone as a cementitious material–the best manual for civil engineer
CA2451657A1 (en) Fly ash composition for use in concrete mix
JP2009528240A (ja) メーソンリー部材用マトリックス及びその製造方法
US20230090940A1 (en) Heat and fire resistant geopolymer materials
KR101802698B1 (ko) 친환경 재료를 이용한 도로 측구 및 도막 바닥 보수보강 공법
KR101675325B1 (ko) 콘크리트구조물 단면복구제를 이용한 콘크리트구조물 표면보수 및 단면복구공법
KR20090025683A (ko) 파우더형 방수재
KR100735084B1 (ko) 단열, 방음 및 내진형 자동수평재
KR20080103135A (ko) 보온성, 차음성을 향상한 드라이 모르타르 및 상기 드라이모르타르로 제조된 불연성 보드 및 상기 드라이 모르타르로제조된 경량 벽돌
EP3371125B1 (en) Process for producing a building material obtained from an alkaline activation of sawing sludge of stone materials
KR100943746B1 (ko) 층간 바닥 충격음 차단성능을 자체적으로 구비한 경량기포 콘크리트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바닥구조와 시공방법
KR102269372B1 (ko) 고내구성 해중 콘크리트 앵커 제조방법
JP2004315303A (ja) セメント組成物、コーティング材料、及びそれを用いた遮塩方法
JP4201265B2 (ja) 超速硬・高流動モルタル組成物および超速硬・高流動モルタル
US7717999B1 (en) Titanium production waste byproduct as partial cement replacement
KR101120409B1 (ko) 친환경 에코블록
KR100516758B1 (ko) 고강도 시멘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패널의 제조방법
KR100623795B1 (ko) 고강도 바닥 패널의 제조 방법
CA2596848C (en) Method for preparing a building material comprising slag
KR101950812B1 (ko) Bp 부산물을 활용한 공동 충전용 팽창 슬러지 조성물
JP6985547B1 (ja) グラウト材料、グラウトモルタル組成物及び硬化体
KR102642542B1 (ko) 소각재 고품질 시멘트를 활용한 토목 및 건축자재 제조방법
KR101505397B1 (ko) 흙을 이용한 친환경 비소성 블록과 포장 재료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