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3295B1 - 자체 평활성을 갖는 습식 석고계 황토 콘크리트 바닥재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자체 평활성을 갖는 습식 석고계 황토 콘크리트 바닥재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3295B1
KR100973295B1 KR20090104480A KR20090104480A KR100973295B1 KR 100973295 B1 KR100973295 B1 KR 100973295B1 KR 20090104480 A KR20090104480 A KR 20090104480A KR 20090104480 A KR20090104480 A KR 20090104480A KR 100973295 B1 KR100973295 B1 KR 1009732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ypsum
ocher
mixing
mass
c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901044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배
김영연
Original Assignee
김용배
김영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배, 김영연 filed Critical 김용배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32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3295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8/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 C04B28/14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containing calcium sulfate cements
    • C04B28/145Calcium sulfate hemi-hydrate with a specific crystal form
    • C04B28/146Calcium sulfate hemi-hydrate with a specific crystal form alpha-hemihydr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04Silica-rich materials; Silicates
    • C04B14/10Clay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8/00Use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8/02Agglomerated materials, e.g. artificial aggreg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8/00Use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8/04Waste materials; Refuse
    • C04B18/16Waste materials; Refuse from building or ceramic industry
    • C04B18/165Ceramic wast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4/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plasticisers
    • C04B24/24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24/38Polysaccharides or derivatives thereof
    • C04B24/383Cellulose or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7/00Hydraulic cements
    • C04B7/02Portland ce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03/00Function or property of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2103/30Water reducers, plasticisers, air-entrainers, flow improvers
    • C04B2103/34Flow improv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03/00Function or property of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2103/50Defoamers, air detrain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60Flooring materials
    • C04B2111/62Self-levelling composi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0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haracterised by specific physical values
    • C04B2201/5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haracterised by specific physical values for the mechanical strength
    • C04B2201/52High compression strength concretes, i.e. with a compression strength higher than about 55 N/mm2, e.g. reactive powder concrete [RP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91Use of waste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or concrete

Abstract

본 발명은 황산칼슘 알파-반수화물(calcium sulfate alpha-hemihydrate)과 수경성 시멘트(hydraulic cement)를 포함한 석고계 시멘트에 황토를 혼합하여 황토 석고계 시멘트조성물을 얻는 제1 단계와, 폐유리, 폐도자기를 파쇄 및 분쇄가공하여 구상 다면체 형상의 알갱이로 된 19∼90메쉬(mesh)의 재활용 세라믹모래를 얻고, 재활용 세라믹모래를 19∼90메쉬별로 골고루 혼합하여서 응집체(aggregate)를 얻는 제2 단계와, 황토 석고계 시멘트조성물과 응집체를 1 : 0.5 내지 1 : 3의 질량비로 혼합하고, 이들 혼합물에 물을 섞어서 반죽하여 바닥재를 얻는 제3 단계를 포함함으로써, 황토 등의 작용으로 콘크리트 중의 독소 성분이 분해 제거되고 인체에 좋은 영향 및 쾌적한 기운을 주며 시공이 신속 용이하고 경량인데 비하여 경화 후 압축강도가 매우 높도록 한 것이다.
황토, 석고계 시멘트, 재활용 세라믹모래, 콘크리트, 바닥재

Description

자체 평활성을 갖는 습식 석고계 황토 콘크리트 바닥재 및 그 제조방법{WET GYPSUM BASED CONCRETE FLOOR UNDERLAYMENTS SELF-LEVELS TO PRODUCE A SMOOTH SURFACE AND METHODS THEREOF}
본 발명은 습식 석고계 황토 콘크리트 바닥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소정의 석고와 황토, 재활용 세라믹모래를 포함 제조하여서 유동성(flowability)이 우수하고 시공이 간편하며 경량 고강도이고, 특히 콘크리트 독성들이 분해 제거되고 인체에 여러 좋은 영향을 끼치는 콘크리트 바닥을 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오래전부터 한국에서는 가옥의 바닥, 벽 등의 건축재료로서 황토(뢰스, loess)를 이용해 왔다. 황토로 시공된 건물 내부는 황토의 층상구조 및 황토 표면의 벌집구조에 의한 넓고 수많은 복층구조 공간들로부터 원적외선, 열(heat), 수분 등이 적절히 흡수 및 배출되어 쾌적하고 인체에 건강한 영향을 주는 환경을 조성해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일반적으로, 황토는 주로 실트(silt) 크기의 지름 0.002∼0.005㎜인 입자로 이루어진 적갈색 내지 황갈색을 띄는 풍화잔적토를 말한다. 황토(주로, 한국의 황 토)의 구성광물로는 점토광물이 30∼80% 다량 함유되고 그 외에 석영, 장석, 각섬석, 침철석, 깁사이트 등이 포함되며, 그 화학성분으로는 다량의 산화규소(SiO2), 산화알루미늄(Al2O3), 산화철(Fe2O3), 산화마그네슘(MgO), 산화칼륨(K2O), 산화수소(H2O) 등이 함유되어 있다. 또, 황토의 효소성분에는 주로 카탈라아제(catalase), 디페놀 옥시다아제(dephenol oxidase), 사카라아제(saccharase), 프로테아제(protease)의 4가지가 포함되고 이 효소들이 각각 독소제거, 분해력, 비료 요소, 정화 작용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그러나, 황토만을 사용하여 한국의 옛 건축방식대로 현대식 대형 고층 건물 바닥을 시공한다는 것은 공정 및 비용 등의 이유로 너무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게다가, 통상적인 습식 콘크리트 바닥재가 어느 정도 자체 평활성을 가진다고 하더라고, 이를 시공 기판 위에 유입하거나(pouring), 펌핑(pumping)한 후에는 바닥 표면이 평평하도록 펴바르는(spreading) 등 번거로운 마감 과정을 반드시 거쳐야만 하였다. 또, 경화 시에는 바닥 표면에 균열현상 및 하부층과의 박리현상이 발생하기도 하였던 것이다.
따라서, 무엇보다도 황토 등의 작용으로 콘크리트 중의 독소성분이 분해 제거되고, 원적외선 방사로 인한 혈액순환과 신진대사를 활성화시켜 인체의 모든 부분의 노폐물을 배설시키고, 곰팡이와 세균을 억제, 호흡기 질환, 아토피 피부염 등을 유발시키는 세균 등을 향균시키는 등의 황토 본래의 효과가 발현될 수 있도록 하되, 그 시공과정은 종래의 습식 콘크리트보다 현저하게 평이하고 경화 시의 치수 안정성 및 압축강도 등 물성도 우수한 고층 빌딩의 바닥재 시공에 적합한 습식 콘크리트 바닥재에 대한 개량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콘크리트 내 각종 독성은 분해 제거되고 원적외선, 열, 수분 등은 적절히 배출되도록 하여서 일종의 새집증후군(sick house syndrome) 현상이 완화될 수 있도록 한 자체 평활성을 갖는 습식 석고계 황토 콘크리트 바닥재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쏟아 붓는 것만으로 바닥 시공이 완료될 정도의 자체 평활성 및 유동성을 가지고, 경화 속도가 빨라 공정 기간을 크게 단축할 수 있으며, 바닥 표면에 먼지 등 이물질, 및 수분이 거의 발생하지 않아 우수한 치수안정성을 갖도록 한 자체 평활성을 갖는 습식 석고계 황토 콘크리트 바닥재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습식 석고계 황토 콘크리트 바닥재의 제조방법은 황산칼슘 알파-반수화물(calcium sulfate alpha-hemihydrate)과 수경성 시멘트(hydraulic cement)를 포함한 석고계 시멘트에 황토를 혼합하여 황토 석고계 시멘트조성물을 얻는 제1 단계와, 폐유리, 폐도자기를 파쇄 및 분쇄가공하여 구상 다면체 형상의 알갱이로 된 19∼90메쉬(mesh)의 재활용 세라믹모래를 얻고, 상기 재활용 세라믹모래를 19∼90메쉬별로 골고루 혼합하여서 응집체(aggregate)를 얻는 제2 단계와, 상기 황토 석고계 시멘트조성물과 응집체를 1 : 0.5 내지 1 : 3의 질량비로 혼합하고, 이들 혼합물에 물을 섞어서 반죽하여 바닥재를 얻는 제3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무엇보다 시공완료된 바닥으로부터 황토의 작용을 받아 원적외선 방사, 실내악취제거, 세균 등의 항균처리, 콘크리트 중의 독소 성분 분해 제거 등으로 실내 환경이 쾌적하고 건강하게 조성되고, 경량 고강도인 석고의 사용으로 치수안정성이 우수하고 쏟아 붓는 것만으로 바닥 시공이 완료될 정도의 자체 평활성 및 유동성을 가지며 신속하게 경화되며, 경량이면서도 경화후 압축강도가 우수한 등의 장점을 갖는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은 황토의 작용에 의해 콘크리트 독성들이 분해 제거될 수 있으면서도 시공이 신속 용이하고 경량인데 비하여 경화 후 압축강도가 매우 높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습식 석고계 황토 콘크리트 바닥재는 황토 석고계 시멘트조성물과, 재활용 세라믹모래로 조성된 응집체에 물을 첨가하고 1∼2분(minute)간 교반하여서 균일한 슬러리(slurry) 상태가 되도록 제조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가장 중요한 구성부는 재활용 세라믹모래로 조성된 응집체이다. 보통 바닥시공시 자동수평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는 농도를 묽게 하는데, 상기 응집체로 일반 모래를 사용하면 모래가 수분을 흡수하여 가라앉음 현상이 생겨 자동수평이 어렵다.
본 발명의 재활용 세라믹모래로 조성된 응집체는 일반모래와 달리 수분을 흡수하지 않아 농도를 묽게 하여도 가라앉음 현상이 없고, 시멘트 및 석고와 비중이 비슷하여 골고루 균일하게 분포되므로, 바닥재의 자동수평작업이 용이하다.
또한, 일반모래보다 강도가 높고, 시공시 비틀림이나 금가는 현상이 없으며, 열전달 및 열의 유지가 탁월하여 에너지 절약에 도움이 되고, 일반모래와는 달리 실리카 등의 환경호르몬이 배출될 우려가 없다.
이하, 본 발명의 자체 평활성을 갖는 습식 석고계 황토 콘크리트 바닥재에 대하여 3 단계의 제조과정을 통하여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습식 석고계 황토 콘크리트 바닥재를 제조하는 제1 단계로는, 먼저 황토 석고계 시멘트조성물을 제조하는 것이다.
황토 석고계 시멘트조성물은 황산칼슘 알파-반수화물(calcium sulfate alpha-hemihydrate)과 수경성 시멘트(hydraulic cement) 등을 포함한 석고계 시멘트에 일정량의 황토를 혼합하여서 제조한 것이다.
상기 석고계 시멘트의 바람직한 일 예로는, 79∼94질량%의 황산칼슘 알파-반수화물(calcium sulfate alpha-hemihydrate)과, 5∼20질량%의 수경성 시멘트(hydraulic cement)와, 0.5∼0.75질량%의 고유동화제(superplasticizer)와, 0.2∼0.5질량%의 소포제(defoamer), 및 0.002∼0.01질량%의 알킬셀룰로오 스(alkylcellulose)를 혼합하여서 제조하는 것이다.
먼저, 석고계 시멘트의 제1 성분인 황산칼슘 알파-반수화물은, 석고(gypsum)의 일종으로 그 중에서도 알파(α)형의 소석고(calcined gypssum)에 속한다. 황산칼슘 알파-반수화물은 습식 석고계 황토 콘크리트 바닥재가 매우 급속도로 경화되도록 하는 성질을 갖는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황산칼슘 알파-반수화물의 일 예로는 본 발명의 출원인이 소속해 있는 EK Industries에서 제조된 것을 들 수 있는 바, 이는 전형적인 순도가 97.5%이고 표준 점조도가 40∼41이며 비카트(Vicat) 경화 시간이 20∼30분이고 경화 직후 한 시간 동안의 압축강도가 2,000∼4,500psi로 매우 높은 편이다. 이러한 황산칼슘 알파-반수화물을 전체 석고계 시멘트의 70질량% 이상 함유되도록 제조하는데, 바람직하게는 79∼94질량%가 되도록 한다.
석고계 시멘트의 제2 성분인 수경성 시멘트는 물과의 화학적 상호작용에 의해 딱딱하게 굳게 되는 시멘트이고, 대표적인 종류로는 포틀랜드(Portland) 시멘트, 알루미나(alumina) 시멘트, 플라이 애쉬(fly ash), 실리카 흄(silica fume) 등이 있다.
그 중에서도 본 발명에서는 수경성 시멘트로 포틀랜드 시멘트((Portland cement)를 사용하고, I형과 V형의 포틀랜드 시멘트 중에서는 V형 포틀랜드 시멘트를 사용한다. 상기 V형 포틀랜드 시멘트는 내황산성이 우수하고 경화 중에 발생하는 수축 및 팽창 등에 의한 치수변화가 거의 없는 장점이 있어 본 발명에 적합하다.
상기 수경성 시멘트를 전체 석고계 시멘트의 5% 이하로 사용하면 강도가 떨어져서 제품의 가치가 될 수 없으며, 전체 석고계 시멘트의 20% 이상으로 사용하면 무게가 많이 나가고 건조시 크랙(Crack)현상이 생길 수 있다. 따라서, 수경성 시멘트는 전체 석고계 시멘트의 5∼20질량% 함유되도록 하는 바, 더욱 바람직하게는 10∼15질량%가 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계속하여, 상기 황산칼슘 알파-반수화물과 수경성 시멘트 외에 석고계 시멘트조성물의 나머지 미량 성분들에 대하여 설명한다.
고유동화제는 본 발명의 습식 석고계 황토 콘크리트 바닥재의 유동성 및 슬럼프(slump)를 부여하는 화합물 중의 하나이다. 이러한 고유동화제로는 나프탈렌 설포네이트(naphthalene sulfonates), 나프탈렌 설포네이트-포름알데히드 농축액(naphthalene sulfonate-formaldehyde condensates), 칼슘 리그노설포네이트(calcium lignosulfonate), 멜라민 설포네이트-포름알데히드 농축액(melamine sulfonate-formaldehyde condensates) 및 폴리카르복시산(polycarboxylic acids) 등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한다. 이때, 고유동화제의 함유량은 전체 석고계 시멘트의 0.5∼0.75질량%가 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고유동화제 외에 감수제(water reducing agents), 가소제(plasticizers), 시멘트 분산제(cement dispersing agents) 등의 화합물 중에서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유동효과를 구현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느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석고계 시멘트의 다른 미량 성분으로서 소포제는 본 발명의 습식 석고계 황 토 콘크리트 바닥재의 경화 시 그 표면에 버그홀(bugholes)의 형성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소포제로는 트리부틸 포스페이트(tributyl phosphate), 실리콘(silicones), 보레이트 에스테르(borate esters), 석유 유도체(petroleum derivatives) 및 3차 부틸 프탈레이트(tert-butyl phthalates) 등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하고, 그 함유량은 전체 석고계 시멘트의 0.2∼0.5질량%이면 충분하다.
그리고, 석고계 시멘트에는 미량의 알킬셀룰로오스가 함유된다. 알킬셀룰로오스는 본 발명의 습식 석고계 황토 콘크리트 바닥재의 시멘트 응집체의 모래 서스펜션(sand suspension) 균일성을 높이고 경화시 바닥재 표면으로 방출되는 수분량을 저감시키는데 유효한 범위에서 최소량으로 넣는 것이다. 알킬셀룰로오스로는 하이드록시알킬셀룰로오스(hydroxyalkylcelluloses), 2-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2-hydroxypropylcellulose) 등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하고, 그 함유량은 전체 석고계 시멘트의 0.002∼0.01질량%가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황산칼슘 알파-반수화물과, 수경성 시멘트와, 고유동화제와, 소포제 및 알킬셀룰로오스를 일정비율로 혼합하여서 석고계 시멘트를 제조한 후에는, 상기 석고계 시멘트에 일정량의 황토를 섞는다.
황토는 실트(silt) 크기의 입자들로 이루어진 가루알갱이 형태로서, 산화규소와 산화알루미늄과 산화철과 산화마그네슘 등의 화학성분으로 구성되고, 카탈라아제와 디페놀 옥시다아제와 사카라아제와 프로테아제의 4가지 효소성분을 함유하는 등, 건축재료로 사용가능한 황토표준특성을 갖는 황토이면 무엇이든지 사용가능 하다.
또, 황토는 후술할 응집체의 1∼30질량%가 포함되도록 하고, 바람직하게는 응집체의 5∼12질량%의 황토가 포함되도록 조성한다. 즉, 본 발명의 바닥재 경화 시 그 내부에 함유된 황토로부터 원적외선, 열, 수분 등이 적절히 흡수 및 배출되고 독소 제거 및 분해, 정화 작용 등 역할을 수행하면서도 전체 압축강도 등 콘크리트 물성은 저하되지 않도록 하는 범위로 구성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2단계로는, 폐유리제품, 폐도자기제품을 파쇄 및 분쇄하여 재활용 세라믹모래로 된 응집체를 조성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재활용 세라믹모래'는 유리병이나 유리그릇 등 각종 폐유리제품, 각종 폐도자기제품을 파쇄 및 분쇄하는 가공을 통해서 얻어진 구상 다면체의 가루알갱이임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 여기서, '구상 다면체'라 함은 판상이 아니라 구형에 가까운 오각형, 육각형, 칠각형 등의 다면체를 통칭하는 것이다.
일반 유리조각, 일반 도자기조각은 파쇄시 날카롭거나 납작하게 되고, 여러번 파쇄시 구형 분말입자가 되므로 접착성이 떨어지고 강도가 저하될 수 있으며, 펌핑시 호스 및 장비안에서 막히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재활용 세라믹모래는 폐유리제품, 폐도자기제품을 예컨대, 해머밀(hammer mill) 또는 트로멜밀(tromell mill)에 의해 1차적으로 파쇄한 후, 수직축 임팩터(VSI)에 의해 2차적으로 분쇄되고 스크리닝에 의해 크기별로 분류되어서 얻어진 것으로 오각형, 육각형, 칠각형 등 구상 다면체로 된 알갱이이다. 이러한 형상으로 인해, 재활용 세라믹모래는 습식 석고계 시멘트와 혼합시 접착이 잘 이루 어지고, 제품 펌핑시 호스안에서 막히는 현상을 방지하며, 일반 유리조각, 일반 도자기조각과는 달리 강도가 강하다.
또한, 본 출원인은 재활용 세라믹모래를 사용하여 시멘트와 혼합시 세라믹모래 알갱이의 크기에 따라 재활용 세라믹모래 콘크리트의 사용가능유무가 판가름됨을 실험을 통해 알 수 있었다. 즉, 세라믹모래 알갱이의 크기가 너무 작거나 너무 커면 바닥재의 세라믹모래로는 사용할 수 없게 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예를 들어, 16메쉬(mesh) 이하의 세라믹모래를 사용하면 골고루 혼합도 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특히 펌핑시 작업이 불가능해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출원인은 많은 실험을 거친 결과, 19∼90메쉬(mesh) 재활용 세라믹모래, 바람직하게는 30∼60메쉬의 재활용 세라믹모래로 작업시 펌핑이 원활하며 세라믹모래로서의 효능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30∼60메쉬(mesh)의 재활용 세라믹모래를 골고루 혼합하여 사용할 경우, 바닥재의 혼합이 잘될뿐만 아니라, 혼합시 가라앉음 현상이 전혀 없고 작업 후 열 전달도 가장 탁월한 효과를 나타낸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에서는 30∼60메쉬의 재활용 세라믹모래를 골고루 혼합함에 있어서, 예컨대, 30∼60메쉬 범위내에서 30메쉬, 40메쉬, 50메쉬, 60메쉬의 재활용 세라믹모래를 골고루 혼합하여서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재활용 세라믹모래로 조성된 응집체를 바닥재에 사용할 경우, 경량인데 비하여 경화 후 압축강도가 높으며, 열을 발산하여 신속하게 경화되는 장점이 있다. 특히, 경화시 자체 크리스탈을 형성하여 빠른 시간내에 굳고, 수분을 빠르게 배출하는 장점이 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제 3단계에서는, 소정의 비율로 혼합된 황토 석고계 시멘트조성물과 미세 응집체(aggregate)에 물을 첨가하고 1∼2분(minute)동안 교반하여서 균일한 슬러리(slurry) 상태가 되도록 하여 습식 석고계 황토 콘크리트 바닥재를 제조한다.
먼저, 황토 석고계 시멘트조성물과 재활용 세라믹모래로 된 응집체는 1 : 0.5 내지 1 : 3의 질량비로 혼합하는 바, 바람직하게는 1 : 1 내지 1 : 2.25의 질량비로 혼합 제조하는 것이 좋다. 재활용 세라믹모래로 된 응집체는 사용량에 따라 바닥재의 강도 조절이 가능하며, 재활용 세라믹모래에 세라믹분진을 소량 사용함으로써 시멘트 자체의 강도도 여러 형태로 조절이 가능하다.
그런 후에 상기 석고계 콘크리트 바닥재 혼합물과 물을 1 : 0.2 내지 1 : 0.75의 질량비로 혼합하는 바, 바람직하게는 1 : 0.4 내지 1 : 0.55의 질량비로 섞어서 반죽한다.
본 발명의 물의 양은 12.7㎝의 높이에서 15.2㎝×20.3㎝×1.9㎝ 크기의 트레이(tray)에 완성된 본 발명의 습식 석고계 콘크리트 바닥재 600㎖를 한 번의 연속 동작으로 부었을 때, 플로팅이나 마감 과정없이도 반죽물 그 자체로 완전히 편평하게 되어 지형학적으로 평활한 표면이 형성될 수 정도의 유동성이 있고, 신속하게 경화되며, 경화 후에 표면에 먼지가 없고 압축강도가 2,000∼4,500psi가 될 수 있을 정도의 충분한 양인 것이다. 또, 물의 양을 조절함으로써 필요한 유동성을 구현하는 바, 더 많은 양의 물을 첨가하면 콘크리트의 유동성은 더욱 향상되지만 경화 된 콘크리트의 강도는 저하하게 된다.
본 발명의 습식 석고계 황토 콘크리트 바닥재의 유동성은 일반적인 시멘트의 유동성 또는 슬럼프(slump)와는 다르므로, 본 발명과 유사하거나 동일한 슬럼프를 갖는 석고계 시멘트조성물이라 할지라도 그 유동성이 동일하지는 않다.
상기의 재활용 세라믹모래를 혼합한 습식 석고계 황토 콘크리트 바닥재로 시공하면, 펌핑 등으로 쏟아내어 부은 후 표면을 평활하게 하는 마감과정은 필요하지 않으며, 부은 직후 열을 발산하여 신속하게 경화하며, 경량인데 비하여 경화 후 압축강도가 매우 높다. 본 발명의 습식 석고계 황토 콘크리트 바닥재가 도포량 또는 도포 두께의 정도에 따라서 충분히 경화된 후에, 카페트(carpet), 리놀륨(linoleum), 타일, 목재, 또는 기타 바닥 커버링재를 상기 석고계 콘크리트 바닥재 위에 적층 구성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황산칼슘 알파-반수화물을 주성분으로 하여 황토 석고계 시멘트조성물을 제조하고 상기 황토 석고계 시멘트조성물과 주로 재활용 세라믹모래를 물을 혼합 반죽하여서 자체 평활성을 갖는 습식 석고계 황토 콘크리트 바닥재를 제조하는 방법 및 그 바닥재에 대해서 구체적인 실시 예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황산칼슘 알파-반수화물 외에 각종 석고(gypsum), 및 재활용 유리가루 외에 이와 동일한 기능성을 갖는 응집체를 사용하는 등의 방법으로도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23)

  1. 황산칼슘 알파-반수화물(calcium sulfate alpha-hemihydrate)과 수경성 시멘트(hydraulic cement)를 포함한 석고계 시멘트에 황토를 혼합하여 황토 석고계 시멘트조성물을 얻는 제1 단계와,
    폐유리, 폐도자기를 파쇄 및 분쇄가공하여 구상 다면체 형상의 알갱이로 된 19∼90메쉬(mesh)의 재활용 세라믹모래를 얻고, 상기 재활용 세라믹모래를 19∼90메쉬별로 골고루 혼합하여서 응집체(aggregate)를 얻는 제2 단계와,
    상기 황토 석고계 시멘트조성물과 응집체를 1 : 0.5 내지 1 : 3의 질량비로 혼합하고, 이들 혼합물에 물을 섞어서 반죽하여 바닥재를 얻는 제3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 평활성을 갖는 습식 석고계 황토 콘크리트 바닥재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석고계 시멘트는,
    황산칼슘 알파-반수화물(calcium sulfate alpha-hemihydrate)과 수경성 시멘트(hydraulic cement)와 고유동화제(superplasticizer)와 소포제(defoamer)와 알킬셀룰로오스(alkylcellulose)를 혼합하여서 제조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 평활성을 갖는 습식 석고계 황토 콘크리트 바닥재 제조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황토 석고계 시멘트조성물은 상기 응집체의 1∼30질량%의 황토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 평활성을 갖는 습식 석고계 황토 콘크리트 바닥재 제조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재활용 세라믹모래는 30∼60메쉬(mesh)의 구상 다면체 형상의 알갱이로 되고, 상기 응집체는 30∼60메쉬(mesh)내에서 다양한 크기의 단위 메쉬를 정한 후, 상기 정해진 단위 메쉬의 재활용 세라믹모래를 크기별로 골고루 혼합하여서 얻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 평활성을 갖는 습식 석고계 황토 콘크리트 바닥재 제조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황토 석고계 시멘트조성물과 응집체의 혼합물에는 물을 1 : 0.2 내지 1 : 0.75의 질량비로 섞어서 반죽하여 바닥재를 제조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 평활성을 갖는 습식 석고계 황토 콘크리트 바닥재 제조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습식 석고계 황토 콘크리트 바닥재의 압축강도는 2,000∼4,500psi가 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 평활성을 갖는 습식 석고계 황토 콘크리트 바닥재 제조방법.
  7. 황산칼슘 알파-반수화물(calcium sulfate alpha-hemihydrate)과 수경성 시멘트(hydraulic cement)를 포함한 석고계 시멘트에 황토를 혼합하여 황토 석고계 시멘트조성물을 제조하는 제1 단계와,
    폐유리, 폐도자기를 파쇄 및 분쇄가공하여 구상 다면체 형상의 알갱이로 된 19∼90메쉬(mesh)의 재활용 세라믹모래를 얻고, 상기 재활용 세라믹모래를 19∼90메쉬별로 골고루 혼합하여서 응집체(aggregate)를 얻는 제2 단계와,
    상기 황토 석고계 시멘트조성물과 응집체를 1 : 0.5 내지 1 : 3의 질량비로 혼합하고, 이들 혼합물에 물을 1 : 0.2 내지 1 : 0.75의 질량비로 섞어서 반죽하여 바닥재를 얻는 제3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 평활성을 갖는 습식 석고계 황토 콘크리트 바닥재 제조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석고계 시멘트는 79∼94질량%의 황산칼슘 알파-반수화물(calcium sulfate alpha-hemihydrate)과 5∼20질량%의 수경성 시멘트(hydraulic cement)와 0.5∼0.75질량%의 고유동화제(superplasticizer)와 0.2∼0.5질량%의 소포제(defoamer)와 0.002∼0.01질량%의 알킬셀룰로오스(alkylcellulose)를 혼합하여서 제조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 평활성을 갖는 습식 석고계 황토 콘크리트 바닥재 제조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황토는 상기 응집체의 5∼12질량%의 비율로 상기 석고계 시멘트에 혼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 평활성을 갖는 습식 석고계 황토 콘크리트 바닥재 제조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재활용 세라믹모래는 30∼60메쉬(mesh)의 구상 다면체 형상의 알갱이로 되고, 상기 응집체는 30∼60메쉬(mesh)내에서 다양한 크기의 단위 메쉬를 정한 후, 상기 정해진 단위 메쉬의 재활용 세라믹모래를 크기별로 골고루 혼합하여서 얻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 평활성을 갖는 습식 석고계 황토 콘크리트 바닥재 제조방법.
  11. 제7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습식 석고계 황토 콘크리트 바닥재의 압축강도는 2,000∼4,500psi가 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 평활성을 갖는 습식 석고계 황토 콘크리트 바닥재 제조방법.
  12. 79∼94질량%의 황산칼슘 알파-반수화물(calcium sulfate alpha-hemihydrate)과 5∼20질량%의 수경성 시멘트(hydraulic cement)와 0.5∼0.75질량%의 고유동화제(superplasticizer)와 0.2∼0.5질량%의 소포제(defoamer)와 0.002∼0.01질량%의 알킬셀룰로오스(alkylcellulose)를 혼합하여서 얻은 석고계 시멘트에 황토를 혼합하여 황토 석고계 시멘트조성물을 제조하는 제1 단계와,
    폐유리, 폐도자기를 파쇄 및 분쇄가공하여 구상 다면체 형상의 알갱이로 된 19∼90메쉬(mesh)의 재활용 세라믹모래를 얻고, 상기 재활용 세라믹모래를 19∼90메쉬별로 골고루 혼합하여서 응집체(aggregate)를 형성하는 제2 단계와,
    상기 황토 석고계 시멘트조성물과 응집체를 1 : 0.5 내지 1 : 3의 질량비로 혼합하고, 이들 혼합물에 물을 섞어서 반죽하여 바닥재를 제조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 평활성을 갖는 습식 석고계 황토 콘크리트 바닥재 제조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황토는 상기 응집체의 5∼12질량%의 비율로 상기 석고계 시멘트에 혼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 평활성을 갖는 습식 석고계 황토 콘크리트 바닥재 제조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황토 석고계 시멘트조성물과 응집체의 혼합물에는 물을 1 : 0.4 내지 1 : 0.55의 질량비로 섞어서 반죽하여 바닥재를 제조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 평활성을 갖는 자체 평활성을 갖는 습식 석고계 황토 콘크리트 바닥재 제조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재활용 세라믹모래는 30∼60메쉬(mesh)의 구상 다면체 형상의 알갱이로 되고, 상기 응집체는 30∼60메쉬(mesh)내에서 다양한 크기의 단위 메쉬를 정한 후, 상기 정해진 단위 메쉬의 재활용 세라믹모래를 크기별로 골고루 혼합하여서 얻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 평활성을 갖는 습식 석고계 황토 콘크리트 바닥재 제조방법.
  16. 제13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습식 석고계 황토 콘크리트 바닥재의 압축강도는 2,000∼4,500psi가 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 평활성을 갖는 습식 석고계 황토 콘크리트 바닥재 제조방법.
  17. 79∼94질량%의 황산칼슘 알파-반수화물(calcium sulfate alpha-hemihydrate)과 5∼20질량%의 수경성 시멘트(hydraulic cement)와 0.5∼0.75질량%의 고유동화제(superplasticizer)와 0.2∼0.5질량%의 소포제(defoamer)와 0.002∼0.01질량%의 알킬셀룰로오스(alkylcellulose)를 혼합하여서 얻은 석고계 시멘트에 황토를 혼합하여 황토 석고계 시멘트조성물을 제조하는 제1 단계와,
    폐유리, 폐도자기를 파쇄 및 분쇄가공하여 구상 다면체 형상의 알갱이로 된 30∼60메쉬(mesh)의 재활용 세라믹모래를 얻고, 상기 재활용 세라믹모래를 30∼60메쉬내에서 다양한 크기의 단위 메쉬를 정한 후, 상기 정해진 단위 메쉬의 재활용 세라믹모래를 크기별로 골고루 혼합하여서 응집체(aggregate)를 형성하는 제2 단계와,
    상기 황토 석고계 시멘트조성물과 응집체를 1 : 1 내지 1 : 2.25의 질량비로 혼합하고, 이들 혼합물에 물을 1 : 0.4 내지 1 : 0.55의 질량비로 섞어서 반죽하여 바닥재를 제조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 평활성을 갖는 습식 석고계 황토 콘크리트 바닥재 제조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황토 석고계 시멘트조성물은 상기 응집체의 5∼12질량%의 황토를 상기 석고계 시멘트에 혼합하여서 제조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 평활성을 갖는 습식 석고계 황토 콘크리트 바닥재 제조방법.
  19. 제17항 또는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습식 석고계 황토 콘크리트 바닥재의 압축강도는 2,000∼4,500psi가 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 평활성을 갖는 습식 석고계 황토 콘크리트 바닥재 제조방법.
  20. 제1항 내지 제4항, 제7항 내지 제10항, 제12항 내지 제15항, 제17항,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경성 시멘트는 포틀랜드 시멘트(Portland cemen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 평활성을 갖는 습식 석고계 황토 콘크리트 바닥재 제조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고유동화제는 나프탈렌 설포네이트(naphthalene sulfonates), 나프탈렌 설포네이트-포름알데히드 농축액(naphthalene sulfonate-formaldehyde condensates), 칼슘 리그노설포네이트(calcium lignosulfonate), 멜라민 설포네이트-포름알데히드 농축액(melamine sulfonate-formaldehyde condensates) 및 폴리카르복시산(polycarboxylic acids)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제조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 평활성을 갖는 습식 석고계 황토 콘크리트 바닥재 제조방법.
  22.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소포제는 트리부틸 포스페이트(tributyl phosphate), 실리콘(silicones), 보레이트 에스테르(borate esters), 석유 유도체(petroleum derivatives) 및 3차 부틸 프탈레이트(tert-butyl phthalates)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제조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 평활성을 갖는 습식 석고계 황토 콘크리트 바닥재 제조방법.
  23. 제 22항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자체 평활성을 갖는 습식 석고계 황토 콘크리트 바닥재.
KR20090104480A 2009-06-09 2009-10-30 자체 평활성을 갖는 습식 석고계 황토 콘크리트 바닥재 및 그 제조방법 KR1009732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1085 2009-06-09
KR20090051085 2009-06-0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73295B1 true KR100973295B1 (ko) 2010-07-30

Family

ID=4264619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90104480A KR100973295B1 (ko) 2009-06-09 2009-10-30 자체 평활성을 갖는 습식 석고계 황토 콘크리트 바닥재 및 그 제조방법
KR20090114193A KR101108468B1 (ko) 2009-06-09 2009-11-24 자체 평활성을 갖는 습식 석고계 황토 콘크리트 바닥재 제조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90114193A KR101108468B1 (ko) 2009-06-09 2009-11-24 자체 평활성을 갖는 습식 석고계 황토 콘크리트 바닥재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097329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6676B1 (ko) 2011-04-22 2011-11-25 신강하이텍(주) 투수성 황토 포장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24099A (en) * 1993-03-12 1995-06-13 W.R. Grace & Co.-Conn. High strength pourable gypsum floor underlayments and methods of providing same
KR100735084B1 (ko) * 2005-12-21 2007-07-03 박의신 단열, 방음 및 내진형 자동수평재
KR20080017966A (ko) * 2006-08-23 2008-02-27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폐유리를 활용한 세라믹 타일 조성물 및 그 타일의제조방법
KR100903342B1 (ko) 2007-12-21 2009-06-18 김용배 습식 석고계 황토 콘크리트 바닥재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24099A (en) * 1993-03-12 1995-06-13 W.R. Grace & Co.-Conn. High strength pourable gypsum floor underlayments and methods of providing same
KR100735084B1 (ko) * 2005-12-21 2007-07-03 박의신 단열, 방음 및 내진형 자동수평재
KR20080017966A (ko) * 2006-08-23 2008-02-27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폐유리를 활용한 세라믹 타일 조성물 및 그 타일의제조방법
KR100903342B1 (ko) 2007-12-21 2009-06-18 김용배 습식 석고계 황토 콘크리트 바닥재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6676B1 (ko) 2011-04-22 2011-11-25 신강하이텍(주) 투수성 황토 포장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2421A (ko) 2010-12-17
KR101108468B1 (ko) 2012-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urroughs et al. Potential of finely ground limestone powder to benefit ultra-high performance concrete mixtures
CA3000469C (en) Decorative concrete topping process
US20080057206A1 (en) Hydraulic cement compositions and method of forming floor underlayment
Samet et al. Characterization of the Tunisian blast-furnace slag and its application in the formulation of a cement
TW201841864A (zh) 混凝土、用於製備該混凝土之乾性混合物、及用於製備該混凝土之方法
NZ199253A (en) Particulate aggregate of portland cement and fly ash for addition to concrete
WO2020249145A1 (en) Dry mixture for the preparation of concrete, fresh concrete and method for the preparation of fresh concrete
EP3768651A1 (en) Method for the preparation of fresh concrete and fresh concrete obtained by this method
CN106045558A (zh) 一种加气混凝土砌块的制备方法
Tanash et al. Potential of recycled powder from clay Brick, sanitary Ware, and concrete waste as a cement substitute for Concrete: An overview
KR100903342B1 (ko) 습식 석고계 황토 콘크리트 바닥재 및 그 제조방법
KR100973295B1 (ko) 자체 평활성을 갖는 습식 석고계 황토 콘크리트 바닥재 및 그 제조방법
Pilipenko et al. Usage of crushed concrete fines in decorative concrete
KR100632341B1 (ko) 황토 모르터 용 분말 조성물
CZ9900863A3 (cs) Vtlačovací malta
CN110304882A (zh) 一种磷石膏基地聚合物铁尾矿砂混凝土及其制备方法
KR20110095999A (ko) 건축용 단열 복합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101108473B1 (ko) 자체 평활성을 갖는 습식 석고계 콘크리트 바닥재 제조방법
KR20110096002A (ko) 건축용 황토 단열 복합바닥재의 시공방법
KR100710690B1 (ko) 황토가 함유된 석고보드 및 그 제조방법
WO2021164794A1 (en) Fresh concrete with self-healing ability and a dry mixture for its preparation
KR100804204B1 (ko) 황토골재 및 그 제조방법
JPH04119957A (ja) 高強度コンクリート
CA2784424C (en) Self-consolidating concrete (scc) mixture having a compressive strength of at least 25 mpa at 28 days of age
US20220402817A1 (en) Dry mixture for the preparation of concrete, fresh concrete and method for the preparation of fresh concre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