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07780B1 - 충격음 저감용 고분자 복합재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충격음 저감용 고분자 복합재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7780B1
KR100407780B1 KR10-2001-0014545A KR20010014545A KR100407780B1 KR 100407780 B1 KR100407780 B1 KR 100407780B1 KR 20010014545 A KR20010014545 A KR 20010014545A KR 100407780 B1 KR100407780 B1 KR 1004077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impact sound
weight
parts
waste t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45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74643A (ko
Inventor
이경원
이정희
손호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145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07780B1/ko
Publication of KR200200746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46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77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778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 B32B2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comprising rubber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5/04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comprising rubber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fo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5/09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aluminium or cop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 B32B2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comprising rubber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5/047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comprising rubber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 B32B25/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comprising butyl or halobutyl rub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6/00Composition of foam
    • B32B2266/02Organic
    • B32B2266/0214Materials belonging to B32B27/00
    • B32B2266/025Polyolef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72/00Resin or rubber layer comprising scrap, waste or recycling material

Landscapes

  • Floor Finish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반 공동주택에 쓰이는 건축용 완충재에 관한 것으로, 상층부는 폴리올레핀계 고분자 발포체 층으로 이루어지고, 중간층은 부틸 고무(IIR) 혹은 에틸렌-프로필렌-디엔 3원 공중합체(EPDM)를 단독 혹은 블렌드한 고무발포체 층으로 이루어지고, 하층부는 폐타이어 칩과 바인더와의 결합층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음 저감용 고분자 복합재와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충격음 저감용 고분자 복합재 및 그 제조방법{High damping polymer composites for reducing impact sound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건축용 완충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일반 공동주택에 사용하는 충격음 저감용 고분자 복합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초고층화에 따른 철골조 투입, 슬래브 두께 감소 등과 같은 건축 구조의 변화에 따라 공동주택의 층간에 발생하는 바닥 충격음의 문제점 인식 및 이에 대한 거주자들의 요구는 더욱 증대되고 있다. 그러나 우리 나라의 온돌 문화 및 시공상의 습식 공법은 세계에서 유일하게 시행되고 있는 건축 양식으로서 이에 적합한 충격음 저감 기술 및 그 용도에 적합한 충격음 저감재를 찾아볼 수 없는 실정이다. 다만, 최근 들어 기존의 방진재 및 흡음재 등에 적용된 경험이 있는 재료 및 제품들을 충격음 저감재로서 용도 개발하여 이를 활용하는 방안이 시도되고 있다. 그러나 이 역시 그 효과에 있어 미미한 수준이고, 더구나 건축물의 장기 신뢰성에 미치는 영향이 전혀 고려되지 않아 장기적으로 안정성을 확보하고 있어야 하는 건축 자재의 특성상 그 적용에 있어 많은 문제를 안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 공동 주택 등에서의 층간 충격음 저감을 위해 유리솜, 폐타이어칩 등 다양한 종류의 완충재를 뜬 바닥 구조상에서 도입하는 방안이 대두되고 있으나, 충격음 저감 특성과 구조적 특성 및 시공 특성 등 건축자재로서 가져야 할 제반 특성을 모두 갖추고 있는 제품은 전무한 실정일 뿐만 아니라, 이에 대한 재료적인 측면에서의 접근은 전무한 실정이다.
또한 온돌구조를 쓰고 있는 우리 나라의 경우, 습식 공법에 의한 시공 방법에 의해 충격음 저감재의 적용에 있어 어느 정도 제한적인 것이 사실이다. 즉, 수분의 침투를 막을 수 있는 구조로 제품이 구성되어야 하고 경량 기포 콘크리트가 양생되는 과정에서 충격음 저감재로 인한 경량 기포 콘크리트의 균열 등의 문제를 고려한 제품이어야 한다. 현재, 시공되고 있는 기존의 경량 기포 콘크리트 층에 대하여 충격음 저감 특성의 부여를 위해 유리솜, 폐타이어칩 등 여러 종류의 충격음 저감재가 출시되고 있으나, 그 적용에 있어 실효를 거두고 있는 제품은 전무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목적은 공동주택과 같은 건축물의 층간(상하 세대간)에 발생하는 바닥 충격음의 전파 및 소음 발생을 최소화하고 건축물에 있어서 반드시 요구되는 내하중 변형특성과 같은 장기 신뢰성을 보유하며, 고분자 발포체와 고무 발포체 및 폐타이어칩의 3중 적층구조로 구성되는 충격음 저감용 고분자 복합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폐타이어칩과 바인더와의 결합층으로 이루어진 하층부(7) 성형단계, 부틸 고무 혹은 에틸렌-프로필렌-디엔 3중 공중합체를 단독 혹은 블렌드한 원료고무 층으로 이루어진 중간층(5) 성형단계 및 폴리올레핀계 고분자 발포체 층으로 구성되는 상층부(3) 성형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음 저감용 고분자 복합재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도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상층부(3)는 폴리올레핀계 고분자 발포체 층으로 이루어지고, 중간층(5)은 부틸 고무 혹은 에틸렌-프로필렌-디엔 3원 공중합체를 단독 혹은 블렌드한 고무 발포체 층으로 이루어지고, 하층부(7)는 폐타이어칩과 바인더와의 결합층으로 이루어진 3중 적층구조의 고분자 복합재에 의하여 달성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지금까지 충격음 저감을 목적으로 하여 시도된 재료의 장점을 살리고 시너지 효과를 가질 수 있는 구성과 구조를 도입하여 충격음 저감 특성과 장기 신뢰성을 갖춘 고 감쇄(damping) 고분자 복합재를 개발하였다.
먼저, 상층부(3)는 닫힌 기포(closed cell) 구조를 갖는 충격음 저감용 고분자 발포체 즉, 폴리올레핀계 고분자 발포체를 사용하게 되는데, 밀도는 10~70 kg/㎥, 발포율은 20~50 배, 기포 수는 10~20 개/cm로 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중간층(5)은 천연 고무 또는 합성 고무 특히 부틸 고무(이소부틸렌-이소프렌 공중합체;IIR), 에틸렌-프로필렌-디엔 3원 공중합체(EPDM)를 단독 혹은 1종이상 병용한 고무 복합재를 압축성형공정과 발포 공정을 거치게 하여 뛰어난 진동/충격 흡수성을 갖는 고무 발포체 조성물을 개발하고,
하층부(7)는 폐타이어칩과 바인더와의 결합층을 사용하게 되는데 이때 폐타이어칩은 0.5~4 cm의 파이버 형태의 것을 사용하며, 이러한 폐타이어칩과 바인더와의 결합비는 3:1 ~ 10:1의 질량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기존 제품의 장점들을 접목시키고 새로운 구조 및 제품 설계를 도입함으로써 충격음 저감 특성은 물론 내구성이 뛰어난 충격음 저감용 3층 고분자 복합재를 발명하였다.
바닥 충격음이란 물체의 낙하나 이동시 또는 사람의 보행시 바닥에 가하여지는 충격에 의해 바닥 구조가 진동함으로써 발생되는 음으로 이 때 발생한 음은 극히 적은 감쇄로 여러 위치에 전달되어 구조체의 표면을 진동시킴으로써 직접 방사되는 공기음처럼 인식되는 음을 말한다. 따라서, 바닥 충격음의 발생에 관계되는 요인을 크게 나누어보면 충격원, 바닥 구조, 수음실 등 3가지 요소로 대별할 수 있다.
뜬 바닥 구조를 1자유도 진동계로 가정할 때 바닥 충격음의 저감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적당한 손실계수를 갖는 유연한 완충재를 사용하여 스프링 상수를 낮게 하거나 온돌 상부구조의 중량을 증가시켜 뜬 바닥 구조의 고유 진동수를 낮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너무 유연한 완충재를 사용할 경우 바닥에 흔들림(rolling) 현상이 일어나게 되므로 이의 최적화가 요구된다. 따라서, 충격음 저감재의 개발시 이러한 뜬 바닥 구조상에서의 고유 진동수를 낮추면서도 구조적 안정성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도록 최적화 하는 기술이 요구되며, 본 연구에서는 이의 최적점을 찾기 위해 노력하였다.
본 발명의 그 밖의 목적, 특정한 장점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격음 저감용 고분자 복합재의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고분자 복합재 3: 폴리올레핀계 고분자 발포체층
5: 고무 발포체층 7: 폐타이어 칩과 바인더 결합층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충격음 저감용 고분자 복합재의 구성 및 그 제조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격음 저감용 고분자 복합재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층부(3)는 폴리올레핀계 고분자 발포체 층을 사용하며 충격음 저감 효과와 외부 충격으로부터의 보호, 그리고 기계적 특성의 향상을 위해 알루미늄과 PET(Polyethyleneterephthalate)막을 열융착하여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 때 폴리올레핀계 고분자 발포체의 셀은 닫힌 기포(closed cell) 구조를 갖게 되며, 보다 나은 특성을 위해서는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을 화학 가교 혹은 조사 가교시켜 사용하게 된다.
중간층(5)의 고무 발포체 층으로 사용된 복합재의 베이스 레진은 부틸 고무 혹은 에틸렌-프로필렌-디엔 3원공중합체를 단독 혹은 블렌드하여 사용하고, 기계적 물성 강화 등의 목적을 위해서 카본 블랙, 탈크 및 탄산칼슘 등을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병용할 수 있다. 하층부(7)의 폐타이어 칩은 우레탄계 혹은 수성 아크릴계의바인더를 사용하여 혼합한 형태의 것을 사용하게 되며, 이 때 폐타이어 칩과 바인더와의 혼합비는 3:1 ~ 10:1로 하여 혼합한다.
보다 구체적인 제조 방법을 살펴보면, 상층부(3)의 고분자 발포체 층은 폴리올레핀계 고분자 특히,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을 화학 가교 혹은 조사 가교시켜 기계적, 열적 안정성을 부여하게 되며, 보다 나은 기계적 특성과 시공 과정에서의 훼손을 막고 충격음 저감 특성을 한층 더 향상시키기 위해 알루미늄 재질의 박막과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PET; polyethyleneterephthalate) 필름을 열융착 코팅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층부(3)의 폴리올레핀계 발포체의 경우 화학 가교시는 가교제, 발포제, 및 레진을 함께 믹싱한 후 시트 형상으로 뽑아내고 이후 이를 2단계로 오븐에서 가교와 발포공정을 거치게 된다. 또한, 조사 가교시는 레진과 발포제를 함께 믹싱한 후, 시트 형상으로 뽑아내고 이후 이를 전자선 조사를 통해 가교시키고 최종적으로 오븐에서 가열하여 발포시키게 된다.
중간층(5)의 고무 발포체 조성물의 경우 금형에서의 1차 성형은 180℃, 30kgf/㎠의 조건으로 5분간 성형하여 고무 조성물의 구조를 3차원의 가교 망상 구조로 만들어 열적, 기계적 특성을 우수하게 하고, 이를 위해 황 또는 과산화물 (peroxide)계의 가교제와 가교촉진제를 사용할 수 있다. 이후 물성 및 외관을 더욱 안정화시키기 위해 2차 성형을 할 수 있는데 이 때 온도와 압력, 시간은 170℃, 30kgf/㎠의 조건으로 12분간의 성형을 거쳐 충격/ 진동 흡수 특성을 갖는 발포체로 제작하게 된다. 이와 함께 가교 공정상의 스코치 방지를 위한 가교 지연제와 제품의 노화를 방지하기 위한 산화 방지제, 가공이 원활할 수 있도록 가공유 및 가공조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하층부(7)는 폐타이어 칩과 바인더의 결합 층으로 구성되며, 이러한 폐타이어 칩과 바인더와의 결합비는 3:1 ~ 10:1의 질량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충격음 저감 효과를 살펴보면 상층부(3)의 폴리올레핀계 고분자 발포체 층은 공기 점성에 의한 흡음 현상으로 설명할 수 있는데, 이들 다공질 재료에서는 기포 또는 섬유의 틈새에 대한 공기의 점성이 흡음 작용의 주요인으로 되어 있다. 즉 공기의 점성에 대응하는 흐름 저항이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이를 통해 내부 손실/ 공기 점성의 복합화된 흡음 현상에 의해 바닥 충격음은 효과적으로 차단되게 된다.
고온/ 압축성형과 발포 공정을 거친 중간층(5)의 고무 조성물 층의 경우, 내부손실에 의한 흡음 현상으로 설명할 수 있는데, 즉 고무 조성물 층의 위에 공기층을 둔 구조에 음이 접촉되면 고무 조성물 층은 진동하게 되고 이때 재료의 내부 손실 등에 대항하여 진동을 지속시키기 위해서는 외부에서 에너지를 공급할 필요가 있으며 이것이 음의 흡수로 나타나게 된다.
한편, 상호 적층에 따른 효과를 살펴보면 충격음 저감용 고분자 발포체 층과 고무조성물 층의 발포율과 밀도, 재질에 따른 차이에 의해 가진에 따른 진동이 고분자 발포체 층과 고무 조성물층 사이를 통과하면서 각 물질의 공진 주파수 대역의 차이에 의해 충격음의 산란 및 분산 효과가 주파수 대역별로 각각 효과적으로 발생하게 된다. 하층부(7)의 폐타이어 칩은 시공 면의 요철을 보상하는 측면과 폐타이어 칩이 갖는 고무 점탄성과 더불어 상층부(3)와 중간층(5)의 기포 구조가 닫힌기포(closed cell)구조인데 반해 이 구조는 연속기포 (open cell)구조를 형성함으로써 상층부(3)와 중간층(5)을 통하여 전달된 충격음의 산란효과를 가져오게 된다. 즉, 충격음을 각 주파수 대역별로 대응하는 이종 재료의 접목을 통해 효과적인 충격음 저감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상층부(3)의 폴리올레핀계 고분자 발포체를 3차원 망상 구조 및 열융착 코팅을 통해 충격음 저감 특성은 물론, 기계적 안정성에서도 탁월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중간층(5)의 고무 발포체 부분은 천연 고무 또는 합성 고무를 단독 또는 블렌드하여 가교제, 발포제, 보강제 등과 접목하여 진동/소음을 효과적으로 분산, 차단시킬 수 있도록 한다. 하층부(7)는 폐타이어칩층을 도입함으로써 충격음 저감은 물론 기계적 안정성, 시공성을 완벽하게 갖추게 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충격음 저감용 고분자 복합재에 대한 작용 및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상층부(3)의 가교 폴리올레핀계 고분자 발포체와 중간층(5)의 고감쇄 특수 합성고무 발포체, 하층부(7)의 폐타이어칩 등의 이종 매질 적층에 따라 진동, 충격 에너지 감쇄율이 극대화되고 공진 주파수 대역의 차이에 따라 주파수 대역별로 고르게 충격음의 감쇄가 어루어지는 효과를 가져오게 되며, 상층부(3)와 중간층(5)의 발포체층은 고에너지 흡수의 가교 구조에 의한 합성고무의 점탄성 최적화로 진동, 소음의 에너지 흡수 효과를 증대시키게 된다.
폴리올레핀계 고분자 발포체층과 고감쇄 특수 고무 발포체층의 밀도 및 발포율의 조합에 따른 진동/소음의 산란, 분산효과의 극대화 및 진동가속도의 감소가 가능하다. 또한 고온/압축성형과 발포공정을 거친 고무 조성물 층의 내부 손실에 의한 흡음 효과와 다공질의 고분자 발포체의 기포 사이의 공기 점성에 기인한 저항효과의 복합화로 충격, 소음에너지를 흡수 차단하는 효과까지 가져올 수 있다.
화학 가교 또는 조사 가교를 거친 상층부(3)의 고분자 발포체의 경우, 닫힌기포(closed cell) 구조를 갖는 충격음 저감용 고분자 발포체의 경우, 밀도는 10~70kg/㎥, 발포율은 20~50배, 기포 수는 10~20 개/cm의 것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게 된다.
중간층(5)의 고무 조성물 층의 경우 천연 고무 및 합성 고무 특히 부틸 고무를 베이스 레진으로 하여 입자경 30~100nm, 비표면적 17~43㎡/g 에 해당하는 카본 블랙을 5~50 중량부, 입자경5~70um, 비표면적 10~50㎡/g에 해당하는 탈크를 50~200 중량부, 입자경1~40um, 비표면적 3~10 ㎡/g 에 해당하는 탄산칼슘을 50~200 중량부, 입자경 0.1~5um, 비표면적 5~40 ㎡/g 에 해당하는 클레이를 30~250 중량부로 각각 또는 병용한다. 그 외 가공유 10~50 중량부를 첨가하고, 기타 첨가제인 스테아린산, 산화아연, 산화 방지제, 가공조제 등을 각각 0.1~10 중량부로 첨가하였다.
가교제로는 황 0.1~5 중량부, 발포제 5~30 중량부와 가교 촉진제로서 다이벤조디아질 다이설파이드 (Dibenzothiazyl Disulfide) 및 다이펜타메틸렌 디우람 테트라설파이트 (Dipenta-methylene Thiuram Tetrasulfide) 등을 각각 0.5~5 중량부로 사용하였다. 시험 결과 탈크와 탄산칼슘, 하드 클레이를 단독으로 사용하는 것에 비해 2종 이상을 병용하는 것이 진동의 가속 정도를 감쇄시키는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탈크와 탄산칼슘을 1:1~4의 비로 적용하며, 더욱 우수한 특성을 나타내기 위해서는 1:1~2의 비로 적용하는 것이 더욱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하층부(7)는 폐타이어칩과 바인더의 결합층으로 구성되며, 이때 폐타이어칩은 0.5~4cm의 파이버 형태의 것을 사용하며, 우레탄계 혹은 수성 아크릴계의 바인더를 사용하여 혼합한 형태의 것을 사용하며, 이때 폐타이어칩과 바인더와의 혼합비는 3:1 ~ 10:1로 하여 혼합한다.
실시예에서 모형테스트(mock-up test)를 통해 측정된 충격음 저감재의 충격음 저감 정도를 경량 충격음과 중량 충격음에 대하여 비교, 평가하였다.
현재 충격음 저감 특성의 측정은 일본 공업규격을 받아들여 케이에스 에프(KS F) 2810으로 제정하여 사용하고 있으며, 바닥충격음 차단성능을 평가할 때 일본건축학회 및 일본공업규격에서 제안하고 있는 L곡선과 단일 평가지수인 전체음압레벨 (Overall sound pressure level) [dB (A)]에 의거한 평가방법을 사용하였다. 바닥충격음은 비교적 중,고음역을 발생시키는 경량충격음 발생 장치인 태핑머신(Tapping Machine)과 저음역을 발생시키는 뱅머신(Bang Machine)을 사용하여 측정한다.
완충재를 설치하지 않거나 스티로폼이나 폐타이어칩을 단독으로 설치한 경우, 비교 예에서 보듯이 충격음 저감에 거의 효과가 없거나 경량 충격음의 1등급 저감에 불과 한 데 비해, 3중 적층구조인 경우 효과적으로 충격음 저감이 이루어지게 됨을 알 수 있다. 특히 폴리올레핀계 고분자 발포체인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을 상층부(3)로 구성하고 고무 발포체층을 중간층(5)으로, 마지막으로 폐타이어칩을 하층부(7)로 구성하여 설치한 경우, 경량 충격음 3개 등급 저감, 중량 충격음 1개 등급 저감의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시예1>
건축자재로서 요구되는 충격음 저감재의 장기 신뢰성을 평가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고온에서의 하중인가에 따른 안정성을 비교하기 위해 200 ×200 ×20 (mm)의 틀을 제작한 후 충격음 저감재 시편을 그 안에 설치하고 400kgf/㎡의 하중을 14일간 인가한 후 변형 정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충격음 저감재는 고정 하중과 적재 하중에 따른 피로를 장기적으로 견뎌낼 수 있어야 하므로, 이에 따른 평가를 위해 유압 피로 시험기를 사용하여 인가 하중은 400kgf/㎡, 주파수는 5Hz, 반복회수는 100,000 cycles의 조건으로 하여 반복하중에 따른 시험을 진행하였다. 마지막으로 경량 기포 콘크리트의 포설에 따른 구조물로서의 충격음 저감재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경량 기포 콘크리트를 포설한 후 충격음 저감재로의 수분 침투 유무, 양생후의 균열 여부 및 정도를 평가하였다.
평가 결과, 아래의 비교 예와 실시예에서 알 수 있듯이 스티로폼과 타이어 칩의 경우 충격음 저감 특성은 물론, 장기 신뢰성의 항목인 가열 변형, 반복하중, 경량 콘크리트 안정성에 있어 취약한 특성을 나타낸다. 반면 올레핀계 고분자 발포체를 적용한 3중 적층 구조의 경우, 충격음 저감 특성에 있어 경량 충격음은 3개 등급 저감, 중량 충격음은 1개 등급을 저감시키고, 가열 변형 및 반복 하중, 경량 콘크리트 포설 후에도 구조적 안정성을 유지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충격음 저감재의 재료/구성에 따른 충격음 저감특성>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구성 완충재없음 스티로폼 타이어칩 유리솜/고무/타이어칩 우레탄/고무/타이어칩 폴리에틸렌/고무/타이어칩 폴리프로필렌/고무/타이어칩
경량충격음 감쇄 - - 1개 등급 3개 등급 2개 등급 3개 등급 3개 등급
중량충격음 감쇄 - - - - - 1개 등급 1개 등급
가열 변형 - 0.4mm 2.1mm 4.5mm 2.9mm 1.4mm 0.8mm
반복 하중 - 6.2mm 4.3mm 1.2mm 1.4mm 2.1mm 0.6mm
경량콘크리트 안정성 - 크랙발생 수분침투 및크랙발생 수분침투및크랙발생 수분침투및크랙발생 양호 양호
*총제품의 두께는 15mm기준으로 함 (3층구조는 층별로 각각5mm)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충격음 저감용 고분자 복합재 및 그 제조방법은 고분자 발포체층/ 고무발포체층/ 폐타이어 결합층의 3층 적층구조로 제작함으로써 각 부분에서의 특성 및 상호간 시너지 효과를 통해 효과적인 충격음 저감은 물론 장기 신뢰성과 시공성에 있어서도 뛰어난 특성을 갖게 된다. 또한 그 용도의 특수성에 따라 충격음 저감 특성 이외에도 구조적 안정성이 요구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고분자 발포체가 가지는 구조적 안정의 취약성을 고무 조성물 발포체층과 폐타이어칩층의 복합화를 통해 획기적으로 향상시키는 효과도 거둘 수 있다. 그리고, 기존제품의 장점들을 접목시키고 새로운 구조 및 제품 설계를 도입함으로써 충격음 저감 특성은 물론 내구성이 뛰어난 효과도 거둘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한다.

Claims (5)

  1. 고분자 복합재에 있어서,
    상층부(3)는 폴리올레핀계 고분자 발포체 층으로 이루어지고,
    중간층(5)은, 부틸 고무(이소부틸렌-이소프렌 공중합체;IIR) 혹은 에틸렌-프로필렌-디엔 3원 공중합체(EPDM)를 단독 혹은 블렌드한 원료고무 100 중량부;에 대하여, 카본 블랙 5~50중량부; 탈크 50~200중량부; 탄산칼슘 50~200 중량부; 및 클레이 30~250 중량부;를 단독 혹은 1종 이상 병용하여 첨가한 층으로 이루어지고,
    하층부(7)는 폐타이어 칩과 바인더와의 결합층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음 저감용 고분자 복합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층부(3)의 폴리올레핀계 발포체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에 과산화물(DCP: Dicumyl peroxide)을 사용하여 화학 가교 시키거나 또는 감마선을 조사하여 가교한 후 알루미늄 박막과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이중으로 열융착하여 코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음 저감용 고분자 복합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체는,
    연속기포(open cell) 또는 닫힌기포(closed cell)로 이루어지며 밀도는 10~70 kg/㎥, 발포율은 10~50 배, 기포 수는 10~20 개/cm 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음 저감용 고분자 복합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폐타이어 칩은,
    0.5~4 cm 길이의 파이버 형태이고, 우레탄계 혹은 수성 아크릴계의 바인더로 혼합하며 상기 폐타이어 칩과 상기 바인더의 혼합비는 3:1 ~ 10:1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음 저감용 고분자 복합재.
  5. 폐타이어 칩과 바인더와의 결합층으로 이루어진 하층부(7) 성형단계;
    부틸 고무(이소부틸렌-이소프렌 공중합체 ;IIR) 혹은 에틸렌-프로필렌-디엔 3원 공중합체 (EPDM)를 단독 혹은 블렌드한 원료고무 100 중량부;에 대하여, 카본 블랙 5~50 중량부; 탈크 50~200 중량부; 탄산칼슘 50~200 중량부; 및 클레이 30~250 중량부;를 단독 혹은 1종 이상 병용하여 첨가한 층으로 이루어진 중간층(5) 성형단계; 및
    폴리올레핀계 고분자 발포체 층으로 구성되는 상층부(3) 성형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음 저감용 고분자 복합재의 제조방법.
KR10-2001-0014545A 2001-03-21 2001-03-21 충격음 저감용 고분자 복합재 및 그 제조방법 KR1004077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4545A KR100407780B1 (ko) 2001-03-21 2001-03-21 충격음 저감용 고분자 복합재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4545A KR100407780B1 (ko) 2001-03-21 2001-03-21 충격음 저감용 고분자 복합재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4643A KR20020074643A (ko) 2002-10-04
KR100407780B1 true KR100407780B1 (ko) 2003-12-01

Family

ID=276980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4545A KR100407780B1 (ko) 2001-03-21 2001-03-21 충격음 저감용 고분자 복합재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0778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1165B1 (ko) 2008-11-25 2011-11-07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바닥 충격음 흡수 패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8324B1 (ko) * 2001-11-15 2005-01-27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감마선을 이용한 폐고무 재활용 방법 및 재활용제품
KR100787712B1 (ko) * 2006-08-16 2007-12-21 노선호 인테리어 장식용 모양지 및 그 제조방법
CN103737991A (zh) * 2013-12-11 2014-04-23 浙江经纬集团环保工程有限公司 一种耐晒抗老化聚乙烯管材
KR101941561B1 (ko) * 2017-06-13 2019-01-23 박병훈 층간 소음 완충재의 제조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31518A (ko) * 1995-02-08 1996-09-17 마에다 카츠노수케 폴리올레핀계 가교발포체
KR0166993B1 (ko) * 1994-06-01 1999-02-18 김상배 바닥충격음 방지 바닥구조 시공방법
KR19990085309A (ko) * 1998-05-15 1999-12-06 손연호 바닥충격음 저감재 및 이의 시공방법
KR20010027935A (ko) * 1999-09-16 2001-04-06 권문구 충격음 저감재와 이를 이용한 건축물 뜬바닥 구조 및 뜬바닥 시공방법
KR20010036969A (ko) * 1999-10-13 2001-05-07 권문구 충격음 저감용 고분자 복합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66993B1 (ko) * 1994-06-01 1999-02-18 김상배 바닥충격음 방지 바닥구조 시공방법
KR960031518A (ko) * 1995-02-08 1996-09-17 마에다 카츠노수케 폴리올레핀계 가교발포체
KR19990085309A (ko) * 1998-05-15 1999-12-06 손연호 바닥충격음 저감재 및 이의 시공방법
KR20010027935A (ko) * 1999-09-16 2001-04-06 권문구 충격음 저감재와 이를 이용한 건축물 뜬바닥 구조 및 뜬바닥 시공방법
KR20010036969A (ko) * 1999-10-13 2001-05-07 권문구 충격음 저감용 고분자 복합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1165B1 (ko) 2008-11-25 2011-11-07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바닥 충격음 흡수 패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4643A (ko) 2002-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0641B1 (ko) 층간 차음재 및 이를 이용한 바닥 시공 방법
CN1321150C (zh) 热塑性发泡nvh材料及其制造方法
KR102245395B1 (ko) 층간소음 방지 바닥구조체
KR100308254B1 (ko) 충격음 저감용 고분자 복합재
KR100398073B1 (ko) 충격음 저감재와 이를 이용한 뜬바닥 시공방법
KR100783117B1 (ko) 바닥 충격음 저감을 위한 층간 차음재
KR100407780B1 (ko) 충격음 저감용 고분자 복합재 및 그 제조방법
KR200399170Y1 (ko) 소음차단제
KR20070010256A (ko) 소음차단제
KR100473559B1 (ko) 충격흡수용 고분자복합체 및 그 시공방법
KR100468394B1 (ko) 충격음 저감용 고분자 발포체
KR20190119955A (ko) 연경질고무 2층 구조의 바닥소음저감재
CN112746707B (zh) 一种耐刮隔音皮革墙板
KR20100062050A (ko) 층간 차음재 및 이를 이용한 바닥 시공 방법
KR101626470B1 (ko) 비발포체형 소음 저감재 및 이를 포함하는 바닥구조
KR100750628B1 (ko) 차음성이 우수한 건축용 소음차단재
KR200378944Y1 (ko) 댐핑시트를 구비한 건축물 층간소음저감재
KR101837501B1 (ko) 폴리에스테르 수지 발포체를 포함하는 층간 차음재
KR100630863B1 (ko) 건축물의 층간소음 저감재 및 그 조성물
KR102649046B1 (ko) Abs발포폼층이 형성된 내충격성 및 난연성이 우수한 알루미늄 복합판넬
JP2007033899A5 (ko)
KR20060120332A (ko) 슬래브 바닥구조물
KR100485954B1 (ko) 올레핀-고무 복합 고분자 발포체
KR102496901B1 (ko) 층간 소음 방지를 위한 적층형 층간 차음재
KR102533759B1 (ko) 건축용 차음시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8

Year of fee payment: 13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8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1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7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0

Year of fee payment: 17